KR100914451B1 -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451B1
KR100914451B1 KR1020070104197A KR20070104197A KR100914451B1 KR 100914451 B1 KR100914451 B1 KR 100914451B1 KR 1020070104197 A KR1020070104197 A KR 1020070104197A KR 20070104197 A KR20070104197 A KR 20070104197A KR 100914451 B1 KR100914451 B1 KR 100914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hid
cnu
aphids
peach
recanicil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740A (ko
Inventor
김인선
김길용
이향범
채동현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4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My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숭혹진딧물로부터 분리된 곤충병원성 미생물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Lecanicillium attenuatum) CNU-23 및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에 발생한 진딧물, 예를 들어,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우수한 살충력을 가지며, 시설재배 온실 및 농가포장에 적용시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어, 진딧물 방제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농작물 재배에 적용 시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이 아닌 생물학적으로 얻어진 것으로서, 친환경농업, 예를 들어, 무농약 작물 시설재배에서 진딧물 방제에 적용될 수 있다.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복숭아혹진딧물, 진딧물, 진딧물 방제, 곤충병원성 미생물, Myzus Persicae, Lecanicillium attenuatum CNU-23

Description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 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Entomopathogenic Lecanicillium attenuatum CNU-23, and agents and methods for controling green peach aphi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곤충병원성(entomopathogenic) 미생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숭혹진딧물(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로부터 분리된 곤충병원성 미생물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Lecanicillium attenuatum) CNU-23 및 이를 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물은 생육전반에 걸쳐 다양한 해충에 의해 공격당한다. 특히, 작물이 흡즙성 해충에 의해 공격당하면 해충에게 양분을 빼앗겨 생육 초기부터 수확기까지 건강하게 성장하지 못한 결과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한다. 흡즙성 해충의 대표적인 예로서 복숭아혹진딧물을 들 수 있다. 복숭아혹진딧물은 우리나라 시설재배지에서 사계절에 걸쳐 발생하는 대표적인 해충의 하나로서, 단시간에 성충이 되어 급격히 개체수가 증가하므로 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이 진딧물에 의한 작물의 피해는 진딧물 자체에 의해 발생하지만, 진딧물이 배설하는 감로(甘露)에 의해 식물병원균이 발생하여 복합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해 발생되 는 식물병의 대표적인 예는 모자이크바이러스이다. 복숭아혹진딧물이 매개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작물이 피해를 받으면, 약제로도 방제가 되지 않아 작물의 수량이 급격하게 감소할 뿐만 아니라, 농산품의 품질 또한 떨어져 농가에게 이중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는 이 진딧물에 의한 작물 피해뿐만 아니라 식물병에 의한 작물 피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다양한 합성농약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농약은 독성이 있으며 농업환경을 오염시키고 환경 생태계에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살포하면 약제에 대한 진딧물의 저항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진딧물 방제를 위한 대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근래에는 범국가적인 친환경농업 정책에 힘입어 화학합성 농약이 아닌 천연물이나 미생물을 이용한 진딧물 방제법이 그 대안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화학합성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진딧물을 방제하는 대표적인 예에는 곤충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지금까지 진딧물을 방제하는데 사용되는 곤충병원성 미생물로는 레카니실리움 롱지스포룸(Lecanicillium longisporum)(문헌 [Zare and Gams, 2001, Nova Hedwigia 73, 1-50]), 보우베리아 바씨아나(Beauveria bassiana)(문헌 [Knudsen et al., 1990, J. Econo. Entomol., 83, 2225-2228]), 패실로마이세스 푸모소로서스(Paecilomyces fumosoroseus)(문헌 [Ksvkova and Curn, 2005, Mycopathologia, 159, 53-63]), 버티실리움 레카니(Verticillium lecanii)(문헌 [Hall, 1976, J. Invertebr. Pathol., 27, 41-48]),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문헌 [Chandler, 1997, Biocontr. Sci Technol., 7, 95-104])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한국등록특허 제475,346호(2004. 1. 24. 공개)는 국내토착 균주 버티실리움 레카니 CS625 균주, 상기 균주 및 균주의 포자 현탁액을 함유하는 진딧물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농작물에 살포하여 진딧물, 특히 목화진딧물 및 복숭아혹진딧물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CS625 균주를 복숭아혹진딧물 2령 약충에 살포한 경우 6 일후에 약 100%의 살충율을 보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농작물을 재배하는 시설재배지에 적용한 경우의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하지 않았다. 한국등록특허 제404,767호(2002. 10. 11. 공개)는 국내토착 균주 버티실리움 레카니 CS626 균주, 및 상기 균주를 미생물 제제로 만들어서 이를 온실가루이나 복숭아혹진딧물이 발생할 염려가 있거나 이미 발생한 시설재배지에 살포하여 시설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CS626 균주의 온실가루이에 대한 살충효과를 기재하고 있으나,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효과는 전혀 기재하고 있지 않다. 또한, 문헌 [Jeong Jun Kim et al., Biological Control, 40(3), March 2007, pp327-332]에는 레카니실리움 롱지스포룸 및 레카니실리움 어테튜에이튬 (CS625)이 복숭아혹진딧물은 물론 오이 흰가루병균에 대해 높은 병원성을 가짐이 보고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에서는, 곤충병원성 미생물을 감자배지나 일반 영양배지에 배양하여 이 배양물에 0.001~0.01% 수준으로 계면활성제(트윈 80 또는 트윈 20)를 첨가하여 살충성 포자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여러 곤충병원성 미생물 제제가 알려져 있었으나, 현재까지 농가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미생물 제제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것은 개발된 미 생물 제제들을 실제 농작물을 재배하는 시설재배지에서 사용할 경우 살충효과가 기대하는 만큼 우수하지 못한데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진딧물의 성공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다양한 진딧물 방제용 미생물 자원의 확보와 더불어, 이를 농가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시설재배지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농가현장에 살포시 환경오염의 폐해 및 생태계 악영향의 가능성이 낮고, 이 진딧물에 대한 저항성 발현이 적으며, 농가현장에서도 복숭아혹진딧물 방제효율이 우수한 미생물의 확보와 더불어, 이를 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을 개발하고자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이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하여 우수한 살충력을 가짐과, 시설재배지에서 직접 이 균주를 이용하여 복숭아혹진딧물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균주가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용 미생물 제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살충력을 갖는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또는 포자현탁액을 함유하는 진딧물 방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제제를 식물 또는 그의 서식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딧물 방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은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살충력을 갖는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에 관한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또는 그의 배양물 또는 포자현탁액을 포함하는, 진딧물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 방제제를 식물 또는 그의 서식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딧물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균주는 기존에 알려져 있는 균주들과는 상이한 균주로서, 상기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 또는 포자현탁액은 식물, 예를 들어, 고추에 발생한 진딧물, 예를 들어,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우수한 살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시설재배 온실 및 농가포장에 적용시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된 바, 진딧물 방제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농작물 재배에 적용 시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방제제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이 아닌 생물학적으로 얻어진 것으로서, 친환경농업, 예를 들어, 무농약 작물 시설재배에서 진딧물 방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성이 우수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균주를 분리하고, 이 균주의 배양물을 이용하여 진딧물 살충효능을 온실 및 농가현장 포장실험에서 확인함으로써,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이 진딧물 방제제로서 실내외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고추 잎에 감염된 복숭아혹진딧물의 몸체로부터 직접 분리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균주의 배양물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국내토착 미생물로서, 지금까지 국내에 유일하게 알려진 진딧물 살충성 미생물인 버티실리움 레카니 균주(한국등록특허 제475,346호 및 제404,767호)와 유전학적으로 전혀 다르고 분자계통분류학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력이 있는 신규 곤충병원성 미생물이다. 버티실리움 레카니 균주(한국등록특허 제475,346호 및 제404,767호)와 관련한 문헌 [Jeong Jun Kim et al., Biological Control, 40(3), March 2007, pp327-332]에 따르면, 버티실리움 레카니 균주 CS625가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S625와 동일한 균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와 문헌에는 이 균주의 유전학적 자료와 분자계통분류학적인 자료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는, 균주명만을 고려할 때 버티실리움 레카니 균주 CS625와 동일한 종에 속한 것일 수는 있지만, 유전학적 자료를 근거로 한 분자계통분류학적 측면에서 버티실리움 레카니 균주 CS625와는 전혀 상이한 균주(strain)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국내토착 미생물이기 때문에 국내포장 환경에 적용하는데 용이한 점이 많으며, 균주 자체를 사용하는데 검역의 문제가 전혀 없다.
또한, 지금까지 보고된 다양한 곤충병원성 미생물들의 살충성 포자현탁액은 미생물을 감자배지나 일반 영양배지에 배양하여 이 배양물에 0.001~0.01% 수준으로 계면활성제(트윈 80 또는 트윈 20)를 첨가하여 얻은 것임에 비해, 본 발명의 살충성 포자현탁액은 미생물 자체를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Polyoxyethyelene Sorbitan Monooleate),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윈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1% 트윈 80과, 식물성 오일, 바람직하게는 대두유(soybean oil),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대두유를 탄소원으로 배양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얻은 포자현탁액은 생물학적 방제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진딧물 방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포자현탁액은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의 출아포자 및 분생포자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배양배지에서 얻어진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의 포자현탁액은 1010~1012/㎖ 수준의 포자를 함유하는 것이며, 이 포자현탁액의 원액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107~108/㎖ 수준의 포자를 함유하도록 100~100,000배, 특히 100~1,000배, 보다 특히 250~500배 수준으로 희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자현탁액은 통상적인 진딧물 방제방법에 따라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식물 엽면에 살포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의 포자현탁액은 기존의 버카니실리움 레카니 균주에 비해, 인위적으로 진딧물을 식재하여 살충력을 검정한 경우 보다 우수한 살충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실제로 시설재배 농가포장에 적용한 경우에도 우수한 살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설재배지에 서 실제로 진딧물, 특히 복숭혹진딧물에 대해 우수한 살충력을 나타내어,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배양
곤충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된 복숭아혹진딧물에서 분리된 균사체를 100 ㎎/ℓ의 테트라사이클린, 1% 트윈 80 및 0.2% 대두유를 함유하는 감자한천(PDA; Potato Dextrose Agar)배지에 접종하여 25 ℃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백색의 단일 콜로니를 형성하는 순수 분리된 배양체로부터 균사, 포자, 분생자경의 구조를 관찰하였다. 균사의 색깔은 앞면이 백색이며 뒷면은 옅은 황백색을 띠었으며, 분생포자원세포(phialide)는 균사 또는 이차 분지 균사체 상에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9~16(길이)×1~2(폭) ㎛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주로 단세포로 실린더형이 일반적이고, 가끔 중간부분이 휘어진 모양을 하고 있으며, 약간 움푹 들어간 모양을 보이기도 하고, 종종 2개의 세포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는 4~6(길이)×1.5~2(폭) ㎛였다. 상기 형태학적 특성은 한국등록특허 제475,346호 및 제404,767호에 기재된 버티실리움 레카니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과 상이한 것이므로, 본 균주는 버티실리움 레카니 균주와 상이한 균주임을 알 수 있었다. 균사와 포자 등의 모양은 주사전자현미 경을 통해 보다 상세히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레카니실리움 속(Lecanicillium sp.)에 속하는 곰팡이로 동정하였다(도 1 참조).
실시예 2: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의 동정
실시예 1에서 얻은 레카니실리움 균주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염색체 DNA를 추출하여 그중에서 18S 리보솜의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부위의 유전자 서열(5.8S를 포함하고 있음)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네이버-조이닝(Neighbor-joining) 분석에 의한 계통수를 보면, 본 균주가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텀 CBS402.78(AJ292434) 균주와 분류학적으로 매우 유사한 균주임을 알 수 있으며, 레카니실리움 레카니, 레카니실리움 롱지스포룸을 포함한 다른 레카니실리움 균주와 분류학적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실시예 3: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의 포자현탁액 제조
실시예 1의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를 함유한 한천배지를 가로×세로 기준 3×3 ㎜ 크기로 잘랐다. 한천배지 조각을 1% 트윈 80과 0.2% 대두유를 함유하는 무기염류 배지에 가하고, 25 ℃에서 150 rpm 수준으로 5 일간 진탕배양하였다. 거즈를 이용하여 균사체를 여과한 후 헤마사이토미터(hemacytometer)를 사용하여 포자농도가 107~108/㎖가 되도록 포자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무기염류 배지의 조성은 리터당 2.0 g KH2PO4, 2.0 g Na2HPO4, 0.4 g (NH4)2SO4, 0.4 g MgSO4· 7H2O 및 미량원소 용액 10%로 하였다. 미량원소 용액은 리터당 0.1 g Al(OH)3, 0.05 g SnCl2·2H2O, 0.05 g KI, 0.05 g LiCl, 0.08 g MnSO4·4H2O, 0.05 g H3BO3, 0.1 g ZnSO4·7H2O, 0.1 g CoCl2·6H2O, 0.1 g NiSO4·6H2O, 0.05 g BaCl2 및 0.05 g (NH4)6Mo7O·4H2O를 함유하였다.
실험예 1: 온실에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의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력 검정
실시예 1의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의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력을 검정하기 위한 실험을 온도 25 ℃와 상대습도 75% 이상 조건의 온실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3에서 얻은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의 포자현탁액을 복숭아혹진딧물 2령 약충이 붙어있는 고추 잎 뒷면에 분무하여 살포한 다음 7 일간 매일 살충력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복숭아혹진딧물 50마리 이상씩 3회 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살충율은 하기하는 바와 같은 무처리구 복숭아혹진딧물 생충수에 대한 처리구 복숭아혹진딧물 생충수 비율을 기준으로 하는 애보트(Abbott's)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살충율 = [(무처리구 진딧물 생충수 - 처리구 진딧물 생충수) / 무처리구 진딧물 생충수]×100
여기서 무처리구에는 무기염류 배지만을 살포하였으며, 대조구로서 1% 트윈 80과 0.2% 대두유가 함유된 무기염류 배지를 균주 살포 시와 동일하게 희석하여 사 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1과 도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74068882-pat00001
표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에 의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율은 균주 처리 4 일후 70% 이상이고, 6 일후 거의 100%에 달하는 수준이었다.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에 의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율은 균주 처리 경과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반수치사시간(LT50)은 3.72일이었다. 도 4는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이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부착하여 생장하는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는 처리 4 일후부터 진딧물에 부착기생하여 생장함으로써 진딧물을 살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등록특허 제475,346호에 개시된 버티실리움 레카니 CS625 균주의 처리 4 일후 살충율 50% 정도(도 12 참조)에 비해 우수한 것이라 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가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균주를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이라 명명하고, 2007년 9월 27일자로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1동 361-221에 소재하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완료하여 수탁번호 제KFCC 11397P호를 부여받았다.
실험예 2: 시설재배 농가포장에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의 복숭아혹진딧물 살충력 검정
농가포장에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의 복숭아혹진딧물 살충력 검정을 복숭아혹진딧물에 감염된 고추 시설재배 농가(전남 나주시 반남면 대안리 139번지 정상진씨 농가)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시험대상 농가는 시설재배 무농약 고추를 3년 이상 재배해온 농가로서, 해마다 7월에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한 피해가 매우 심하게 발생하였다. 농가에 따르면, 진딧물의 발생밀도가 높지 않은 7월 이전에는 데리스나 제충국 같은 천연식물 추출물 제제로 진딧물을 효율적으로 방제해왔으나 7월부터 급격하게 진딧물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효율적인 진딧물 방제가 어려워 작물의 피해가 매우 심하다고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우리나라의 경우 7~8월에 강우량이 높아 시설재배에서 습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고, 이 시기에 본 발명의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을 상기에서와 같이 살포처리하면 진딧물 밀도를 떨어뜨릴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에,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의 진딧물 살충력 검정을 복숭아혹진딧물의 밀도가 높은 2006년 7월에 실시하였다. 즉,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얻은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의 포자현탁액을 복숭아혹진딧물이 발생한 10주의 고추나무 잎 뒷면에 3 일 간격으로 2회 살포처리하였다. 진딧물의 개체수는 각주당 3개 잎에 붙어있는 진딧물 성충과 약충을 구분하지 않고 조사하였다. 처리기간 동안에는 강우량이 높아 시설재배 내부 및 외부에서 습도가 80% 이상이었으며 온도는 평균 23~28 ℃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의 포자가 고추 잎 뒷면에 있는 대부분의 진딧물에 부착하여 성장하여 진딧물을 살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살충율을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74068882-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가포장에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에 의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효율은 72~97% 수준으로서, 자연적인 진딧물 발생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진딧물을 식재하여 살충력을 검정한 실험예 1의 결과와 살충력에서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는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이 시설재배지에서 실제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은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균주의 포자와 균사의 구조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균주의 ITS 염기서열 분석에 기초한 분자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온실조건에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의 복숭아혹진딧물 살충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온실조건에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이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부착하여 생장함으로써 살충력을 나타냄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5는 농가포장 조건에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이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부착하여 생장함으로써 살충력을 나타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Claims (7)

  1.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에 대해 살충력을 갖는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Lecanicillium attenuatum) CNU-23(수탁번호 제KFCC 11397P호).
  2. 유효성분으로서,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수탁번호 제KFCC 11397P호), 또는 그의 배양물 또는 포자현탁액을 포함하는, 진딧물 방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진딧물이 복숭아혹진딧물인 진딧물 방제제.
  4. 제2항에 있어서, 포자현탁액은 107~108/㎖의 포자를 함유하는 것인 진딧물 방제제.
  5. 제2항에 있어서, 포자현탁액은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수탁번호 제KFCC 11397P호)을 계면활성제 및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액체배지에서 진탕배양한 후, 그 배양액을 여과하여 얻은 것인 진딧물 방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이고, 식물성 오일은 대두유인 진딧물 방제제.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제제를 식물 또는 그의 서식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딧물 방제방법.
KR1020070104197A 2007-10-16 2007-10-16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KR100914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97A KR100914451B1 (ko) 2007-10-16 2007-10-16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97A KR100914451B1 (ko) 2007-10-16 2007-10-16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740A KR20090038740A (ko) 2009-04-21
KR100914451B1 true KR100914451B1 (ko) 2009-08-28

Family

ID=4076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197A KR100914451B1 (ko) 2007-10-16 2007-10-16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3264B (zh) * 2011-11-25 2013-05-22 青岛农业大学 一种渐狭蜡蚧菌菌株
KR101886967B1 (ko) * 2017-05-22 2018-08-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세라티아 네마토디필라 gnu0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CN109971654B (zh) * 2019-04-08 2021-04-06 华南农业大学 普通大蓟马生防菌渐狭蜡蚧菌scaudcl-53及其应用
CN114304188B (zh) * 2021-12-15 2023-02-28 宁夏大学 一种蜡蚧轮枝菌可分散油悬浮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927001B (zh) * 2021-12-31 2024-02-09 海南大学 一株高效杀蚜虫生防真菌及其应用
CZ309786B6 (cs) * 2022-03-18 2023-10-11 Jihočeská Univerzita V Českých Budějovicích Kmen entomopatogenní houby Lecanicillium attenuatum CCM 9195 a způsob likvidace hmyzích škůdců, roztočů a patogenů rostlin kmenem entomopatogenní houb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782A (ko) * 2003-12-12 2005-06-17 유길곤 살진균 및 살충 활성이 우수한 환경 친화적 제제 및 이의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782A (ko) * 2003-12-12 2005-06-17 유길곤 살진균 및 살충 활성이 우수한 환경 친화적 제제 및 이의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ogical control 40 pp.327-332 (2006.12.12.)*
Korean J. Mycol., Vol. 34, No. 2, pp. 112~118 (2006)
Parasitol. Res., Vol. 100, No. 6, pp. 1297~1302 (2007. 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740A (ko) 200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kesa et al. Pathogenicity of Beauveria bassiana and Metarhizium anisopliae to the tobacco spider mite Tetranychus evansi
KR101836007B1 (ko) 해충방제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곤충병원성 곰팡이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sd4-2 균주
KR101785098B1 (ko) 이사리아 자바니카 Pf185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잘록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KR100914451B1 (ko)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KR20160139521A (ko) 해충방제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곤충병원성 곰팡이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sd4-2 균주와 뷰베리아 바시아나 sd15 균주
Tan et al. Biological control of alligatorweed (Alternanthera philoxeroides) with a Fusarium sp.
KR101680638B1 (ko) 신규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274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2251508B1 (ko)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JP4792685B2 (ja) 広宿主範囲を持つ昆虫病原性糸状菌
KR101444214B1 (ko) Beauveria bassiana Bb08 및 그 배양액 이용한 진딧물 방제용 조성물
Maniania Evaluation of three formulations of Beauveria bassiana (Bals.) Vuill. for control of the stem borer Chilo partellus (Swinhoe)(Lep., Pyralidae)
KR101896932B1 (ko)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317 또는 이를 함유하는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1773339B1 (ko)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 Pf212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잘록병균 및 고추 탄저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KR102126582B1 (ko) 이사리아 자바니카 ft333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총채벌레 및 식물탄저병균의 동시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2121945B1 (ko) 곤충병원성 진균 및 이를 포함하는 살충제
Cheramgoi et al. Efficacy and mode of application of local Beauveria bassiana isolates in the control of the tea weevil
KR102207732B1 (ko)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ft319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배추좀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0791983B1 (ko) 아쓰로보트리스속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기생성선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1680639B1 (ko) 신규미생물 이사리아 푸모소로세 fg340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Aker et al. Efficacy of some entomopathogenic fungi in controlling filbert aphid, Myzocallis coryli Goetze (Hemiptera: Aphididae)
KR101524557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 eml―cap3를 포함하는 살충 조성물
Annamalai et al. Pathogenicity of Beauveria bassiana (Balsamo) Vuillemin and Lecanicillium lecanii Zimmerman against onion thrips, Thrips tabaci Lindeman
KR100806730B1 (ko) 새삼류 및 환삼덩굴 방제용 콜레토트리쿰 비더블유씨04-49-3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포자 현탁액
KR100769364B1 (ko) 설포닐우레아계 저항성 물달개비 방제용 포마 마크로스토마비더블유씨05-8-3-2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균사체 현탁액
KR100458765B1 (ko) 파리목 해충에 대해 방제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슈린지에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살충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