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643A -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643A
KR20200057643A KR1020190145696A KR20190145696A KR20200057643A KR 20200057643 A KR20200057643 A KR 20200057643A KR 1020190145696 A KR1020190145696 A KR 1020190145696A KR 20190145696 A KR20190145696 A KR 20190145696A KR 20200057643 A KR20200057643 A KR 2020005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knu
bassiana
present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508B1 (ko
Inventor
신재호
박창언
정연균
최승대
박영준
조형우
김민지
박민규
김민철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JP202152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14866B2/ja
Priority to PCT/KR2019/015616 priority patent/WO2020101415A1/ko
Priority to US17/294,153 priority patent/US20230076846A1/en
Publication of KR2020005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12R1/01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에 관한 것으로, 곤충 병원성을 가지고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토양 해충인 총채 벌레 방제에 탁월한 살충 효과를 나타내며, 포자 생산력 또한 우수하므로, 친환경적 해충 방제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Beauveria bassiana KNU-101 Strain with Improved Insecticidal Effect and Spore Productio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 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대량생산방법, 상기 균주를 이용한 살충용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살충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곤충은 현재 지구상의 알려진 생물 중에서 가장 많은 종을 차지하고 있으며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곤충 중 일부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다양한 농경 작물에 많은 손실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서 예전부터 화학살충제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화학살충제는 살충 능력의 비 특이적인 스펙트럼으로 인하여 이로운 익충 및 해충에 있는 기생충과 같은 비 목적 미생물도 박멸하였고, 화학 살충제를 자주 사용함에 따라 화학 살충제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목적 해충의 내성 획득을 촉진하였으며, 아울러 화학 살충제 성분은 인체에 해로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화학 살충제의 사용을 줄이고자, 친환경 해충 방제제로서 곤충 병원성 진균(entomopathogenic fungi)을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곤충 병원성 진균은 식물을 포함한 인축에는 전혀 해가 없으면서도 기주 곤충에만 특이적인 살충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대상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는 대표적인 곤충 병원성 진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자가 곤충의 왁스 층을 분해하면서 곤충을 탈수시켜 사멸에 이르게 하고 이들의 사체를 자양분 삼아 다음세대를 이어나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곤충에 대한 경구 및 접촉 독성이 모두 유효하며 다양한 곤충 숙주에 감염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해충 방제용 진균의 포자 대량 배양에는 주로 분생 포자를 생산하는 고체배양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세균과 달리 곰팡이는 최소 7일 이상의 장기적 배양 기간에도 불구하고 포자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아 해충 방제용 진균의 제품화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까지 보고된 보베리아 바시아나 균주 역시 포자생능이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산업화를 위해서는 우수한 살충력을 보임과 동시에 대량의 포자를 생산할 수 있는 두가지 요건을 모두 가지는 진균을 선발하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가 된다.
한편, 총채 벌레(Thrips)는 대표적인 토양 해충으로서 어린 잎이나 줄기, 꽃잎 등의 부드러운 조직에 알을 낳으며 기온이 상승하면서부터 출현하기 시작해 줄기와 잎의 표면을 해를 가하고 개화기에는 꽃봉오리를 가해하여 작물의 품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피해 작물은 잎을 곧바로 펴지 못하고 기형으로 변형되거나 엽맥이 수축하는 병변을 보인다. 총채 벌레는 오이, 상추, 토마토, 가지, 치커리 등 기주 범위가 넓으며 온도 조건에 따라 세대 기간이 최소 12일에서 최장 26일 정도로 매우 짧고, 번식력이 강하기 때문에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해충 구제를 위해 다양한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있으나 아직까지는 화학살충제에 비하여 바이오살충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10-1444214
본 발명자는 상업적으로 중요하고 다양한 농경 작물에 해를 입히는 해충 방제를 위한 곤충 병원성 미생물을 탐색하던 중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의 총채 벌레 치사 효과 및 현저한 포자생성능을 확인하여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살충 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주의 대량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토양 또는 식물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살충 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서열 번호 1로 표시되는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주의 대량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은 28℃ 내지 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미생물 제제는 총채 벌레에 대해 살충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토양 또는 식물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는 곤충 병원성을 가지고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토양 해충인 총채 벌레 방제에 탁월한 살충 효과를 나타내며, 포자 생산력 또한 우수하므로, 친환경적 해충 방제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를순수 분리 후 형태학적인 특징(A) 및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B)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에대한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을 암호화 하고 있는 유전자를 이용하여 계통분류학적 모식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에의해 사멸한 총채 벌레를 나타낸 도이며, 화살표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에 의해 사멸한 총채 벌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의총채 벌레 대한 곤충 병원성을 다른 균주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진균의 배양 7 일 후 포자 생산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진균의 고추를 이용한 포장 실험에서 총채벌레에 대한 방제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업적으로 중요하고 다양한 농경 작물에 해를 입히는 해충방제를 위한 곤충 병원성 미생물을 탐색하던 중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의 총채 벌레 치사 효과 및 우수한 포자 생성능을 확인하여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를 토양 해충인 총채 벌레에 처리한 결과, 100%의 치사율을 보여 총채 벌레에 대한 곤충 병원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이 다른 해충병원성 진균에 비해 최소 100배에서 최대 10,000배까지 포자 생산능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이 다른 해충병원성 진균에 비해 방제가가 약 30% 정도 더 우수한 것을 확인 하였다(실시예 4 참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살충 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서열 번호 1로 표시되는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곤충 병원성 진균(Entomopathogenic fungi)에 감염되어 사멸한 총채 벌레, 총채 벌레가 서식하는 작물 및 토양으로부터 총채 벌레에 대한 살충 효과를 가지는 균주를 선발하고 곤충 병원성 진균에 감염되어 죽은 곤충, 및 주변 토양을 채집하여 총채 벌레에 대한 살충 효과를 가지는 균주를 분리하여 총채 벌레에서 우수한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균주를 선별하였으며(도 1 참조), 상기 균주를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으로 동정하고(도 2 참조), 이를 2018년 10월 16일 부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3660BP).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는 30℃ 및 pH 7.0에서 최적 생육 조건을 가질 수 있으며 호기성 균으로, 동결 건조하여 보존 할 수 있고, 0.02%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한 40% 글리세롤 수용액과 상기 진균 배양액을 1 대 1로 혼합한 뒤, -80℃에서 냉동하는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주의 대량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를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물과 밀기울을 등을 혼합한 기본적인 배지는 글리세린, 포도당, 효모 추출물, 인산염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체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진균의 생육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통기성과 온도, 수분 함유량으로 온도가 30℃일 때, 산소와의 접촉이 원활할수록, 생산된 생균 수의 양이 개선되고 균체의 생산량도 향상된다. 상기 배지에 첨가된 효모 추출물은 미량 원소, 질소원 제공 및 활성화된 균주의 살충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고 글리세린은 배지의 물성 및 수분 함유도를 개선하기 위한 보조제로서 사용되며, 인산염은 pH 완충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은 28℃ 내지 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에 계면활성제, 중량제, 영양제등의 부가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 소듐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포스포릭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폴리머, 폴리옥시알킬온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소듐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트리톤 100 및 트윈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증량제 및 영양제로는 콩가루, 쌀, 밀, 황토, 규조토, 덱스트린, 포도당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붕해제로는 벤토나이트(bentonite), 탈크(talc), 다이아라이트(dialite), 카올린(kaolin) 및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로 이루어진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충용 미생물 제제는 상기 균주의 안정적인 제제화를 목적으로 입제, 수화제 또는 캡슐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입제의 경우 표면 활성제, 비활성 담체, 보존제, 습윤제, 공급촉진제, 유인제, 캡슐화제, 결합제, 유화제, 염료, UV 보호제, 완충제 및 흐름제, 저비산 분제, 미분제, 수면전개제로 이루어진 제형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을 추가로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미생물 제제는 총채 벌레에 대해 살충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는 동족종속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균주 대비 약 30% 이상 우수한 총채 벌레 방제율을 나타내므로, 총채 벌레의 방제를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토양 또는 식물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살충 방법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당업계에서 토양 또는 식물에 미생물 제제를 처리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본 발명에서 토양 해충에 대해 살충력을 갖는 진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야외에서 병원성 진균에 의해 감염되어 죽은 곤충들을 채집하는 방법과 토양 해충이 서식하는 작물 및 토양 시료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병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감염되어 죽은 총채 벌레는 그 무게를 칭량한 뒤 0.85% 염류 용약(saline solution)에 10배 순차 희석하여 현탁액 중 0.1㎖를 취하고, 하기 표 1과 같은 사부로드 덱스트로스 아가 배지(SDA 배지; Sabouraud Dextrose Agar media)에 도말하였다. 하기 예에 표기된 배지의 성분은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를 분리하기 위함이며 하기에 제시된 성분의 가감에는 제한이 없다.
성분 양(%)
포도당 (Glucose) 4.0
효모 추출물 (Yeast extract) 1.0
펩톤 (Peptone) 1.0
폴리소르베이트 80 (Polysorbate 80, tween 80) 0.01
암피실린 (Ampicillin (100 mg/mL)) 0.01
카나마이신 (Kanamycin (100 mg/mL)) 0.01
한천 분말 (Agar powder) 1.5
pH 6.9 ± 0.2
또한, 토양, 작물, 분변, 및 사료 시료로부터 진균을 분리하기 위해 채취된 시료 1.0g을 9㎖ 0.85% 염류 용액에 순차 희석하여 각 희석 배수 별로 0.1㎖를 취하고 표 1의 조성을 갖는 배지에 도말하고, 30℃에서 5일간 배양시킨 후, 일반적으로 알려진 보베리아 바시아나와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진균만을 선별 분리하여 새 SDA 배지에 접종하여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총채 벌레에 대해 살충력을 갖는 곤충 병원성 13 종의 진균을 선별하였고, 상기 진균들을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로 동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분리한 곤충 병원성 분리균 중, 살충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진균을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라 명명하였고, 이를 2018년 10월 16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수탁 번호; KCTC 13660BP).
상기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을 순수 분리 후 형태학적인 특징을 도 1의 A에, 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사진을 도 1의 B에 나타내었으며, 도 2에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영역의 서열 분석 결과로부터 작성한 계통분류학적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균주의 계통분류학적 모식도는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7.0 version를 이용하여 maximum likelihood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의 토양 해충에 대한 병원성 검증
오이, 토마토 및 상추 등의 재배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해충인 총채 벌레류 중 오이 총채(Palm thrips, Parthenothrips dracaenae)를 공시충(test insect)으로 사용하였고 성충의 기주작물로는 강낭콩을 이용하였으며 누대 사육을 하면서 2-4세대 내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분리한 진균인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의 총채 벌레에 대한 살충력을 검증하고자 상기 진균을 사부로드 덱스트로스 액체 배지에 약 104 개의 포자를 접종하여 점 배양하였으며 약 105 개의 포자 개수를 밀기울로 된 고체 배지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혈구계수기(hemocytometer)로 관측한 결과, 1g 당 약 3.1×107 개의 포자를 확보하였다. 확보한 포자를 농가에서 획득한 총채 벌레에 약 105 개의 포자 수로 처리하고, 7일간 관찰 하였다. 무처리 군과 각 처리 군의 총채 벌레는 약 30마리로 설정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서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Aspergillus flavus) ATCC 9643, 양성 대조군으로서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ATCC 7404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가 총채 벌레에 대해 100%의 치사율 보여, 다른 분리 진균 및 양성 대조군에 비해 총채 벌레에 대한 곤충 병원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의 포자 생산량 비교 검증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진균을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해 물과 밀기울을 혼합한 기본적인 배지를 제작하였다.
상기 배지는 글리세린, 백강잠, 효모 추출물, 인산염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기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배지의 첨가제 중에서 효모 추출물은 미량 원소 및 질소원을 제공하고 글리세린은 배지의 물성 및 수분 함유도를 개선하기 위한 보조제로서 사용되며, 백강잠은 활성화된 균주의 살충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인산염은 pH 완충제로 사용된다.
공시 균주로서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Aspergillus falvus) ATCC 9643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ATCC 74040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분리한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및 상기 균주들을 고상 배지에 1g 당 약 104 spore/㎖의 포자 농도로 접종하고 7일간 배양한 후, 포자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각 균주의 실험군은 3개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구계수기로 7일간 28 내지 30℃에서 배양하고 관측한 결과,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을 배양한 배지 1g 당 약 1.8×1011 spore/g 개의 포자가 관측되었으며, 공시 균주인 보베리아 바시아나 ATCC 74040과 비교하였을 때, 최소 100배에서 최대 10,000배 이상 포자 생산능이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의 방제효과 실증
본 발명에서 분리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의 실제 작물에서 토양해충에 대한 방제가를 검증하고자 실증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작물은 고추를, 공시충으로는 꽃노랑총재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를 사용하여 총 27일간 실시하였고, 총 45m2 면적에서 완전임의배치법에 의한 3반복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은 하기의 표 2와 같이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서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ATCC 74040을 사용하였다. 포장실험은 외부와 차단된 시험구 내에 고추 묘를 정식한 화분을 넣고, 실내에서 사육한 꽃노랑총채벌레를 구당 300마리씩 투여하여 접종하였다. 방제가는 시험 시작 후 27일 뒤에 포장내의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율을 조사하여 확인하였다.
시험약제 주성분 함량(%) 약효시험
희석배수 및 사용량 처리시기 및 방법
ATCC 74040 과립제형 50% 300g/10a 정식 후 토양관주 처리
KNU-101 과립제형 50% 300g/10a 정식 후 토양관주 처리
무처리 - - -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KNU-101 제제가 약 80%의 방제가를 보이며 실제 포장에서도 공시 균주에 비해 더 높은 살충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660BP 20181016
<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Novel Beauveria bassiana KNU-101 Strain with Improved Insecticidal Effect and Spore Production and Uses thereof <130> PN190281-P1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94 <212> DNA <213> Beauveria bassiana <400> 1 gagggatcat taccgagttt tcaactccct aacccttctg tgaacctacc tatcgttgct 60 tcggcggact cgccccagcc cggacgcgga ctggaccagc ggcccgccgg ggacctcaaa 120 ctcttgtatt ccagcatctt ctgaatacgc cgcaaggcaa aacaaatgaa tcaaaacttt 180 caacaacgga tctcttggct ctggcatcga tgaagaacgc agcgaaatgc gataagtaat 240 gtgaattgca gaatccagtg aatcatcgaa tctttgaacg cacattgcgc ccgccagcat 300 tctggcgggc atgcctgttc gagcgtcatt tcaaccctcg acctcccctt ggggaggtcg 360 gcgttgggga ccggcagcac accgccggcc ctgaaatgga gtggcggccc gtccgcggcg 420 acctctgcgt agtaatacag ctcgcaccgg aaccccgacg cggccacgcc gtaaaacacc 480 caacttctga acgt 494

Claims (7)

  1. 살충 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 번호 1로 표시되는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균주.
  3. 제 1 항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주의 대량생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8℃ 내지 30℃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균주의 대량생산방법.
  5. 제 1 항의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제제는 총채 벌레에 대해 살충활성을 갖는 것인 살충용 미생물 제제.
  7. 제 5 항의 미생물 제제를 토양 또는 식물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충 방법.
KR1020190145696A 2018-11-16 2019-11-14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5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27814A JP7214866B2 (ja) 2018-11-16 2019-11-15 優れた殺虫効果および胞子生成能を有する新規ビューベリアバシアナknu-101菌株およびその用途
PCT/KR2019/015616 WO2020101415A1 (ko) 2018-11-16 2019-11-15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US17/294,153 US20230076846A1 (en) 2018-11-16 2019-11-15 Novel Beauveria Bassiana KNU-101 Strain Having Excellent Insecticidal Effect and Sporulation Potential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2137 2018-11-16
KR1020180142137 2018-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643A true KR20200057643A (ko) 2020-05-26
KR102251508B1 KR102251508B1 (ko) 2021-05-13

Family

ID=7091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696A KR102251508B1 (ko) 2018-11-16 2019-11-14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28B1 (ko) 2021-09-06 2022-05-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aad16 균주와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 및 살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175B1 (ko) * 2021-09-17 2023-09-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
KR20240021572A (ko) 2022-08-10 2024-02-19 (주)씨엠씨코리아 곤충 분말을 포함하는 백강균(Beauveria bassiana) 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강균(Beauveria bassiana)의 배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14B1 (ko) 2012-12-05 2014-11-03 대한민국 Beauveria bassiana Bb08 및 그 배양액 이용한 진딧물 방제용 조성물
KR20160084968A (ko) * 2015-01-06 2016-07-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병원성 보베리아 바시아나 및 이를 이용한 농업해충 방제용 액상제제
KR20180118266A (ko) * 2017-04-21 2018-10-31 주식회사 팜한농 총채벌레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KR20200112083A (ko) * 2019-03-20 2020-10-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총채벌레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350, 이를 포함하는 총채벌레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14B1 (ko) 2012-12-05 2014-11-03 대한민국 Beauveria bassiana Bb08 및 그 배양액 이용한 진딧물 방제용 조성물
KR20160084968A (ko) * 2015-01-06 2016-07-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병원성 보베리아 바시아나 및 이를 이용한 농업해충 방제용 액상제제
KR20180118266A (ko) * 2017-04-21 2018-10-31 주식회사 팜한농 총채벌레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KR20200112083A (ko) * 2019-03-20 2020-10-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총채벌레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350, 이를 포함하는 총채벌레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CBI, GenBank accession no. MG345086.1 (2018.10.31.)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28B1 (ko) 2021-09-06 2022-05-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aad16 균주와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 및 살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508B1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2942B (en) Bacillus sp.d747 strain, agent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and agent for controlling pests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9868250A (zh) 一株抑制病毒、促进植物生长的贝莱斯芽孢杆菌及其应用
KR20030035708A (ko) 신규한 패실로마이세스 속 미생물 및 그를 포함하는토양해충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CN110106093B (zh) 一种球孢白僵菌菌株及其应用
KR102251508B1 (ko)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30063209A (ko) 담배가루이 Q 타입에 대한 방제 효과를 갖는 신규 곤충병원성 곰팡이 이사리아 자바니카 Pf04 및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Q 타입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MX2007008234A (es) Una nueva cepa de trichoderma atroviride, un medio de cultivo conteniendola, asi como la utilizacion de dicha cepa en particular como estimulante de la germinacion y/o d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KR101680638B1 (ko) 신규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274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2162105B1 (ko) 담배가루이에 방제효과를 갖는 Beauveria bassiana JEF-462 또는 Beauveria bassiana JEF-507,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
KR100914451B1 (ko)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JP4792685B2 (ja) 広宿主範囲を持つ昆虫病原性糸状菌
KR101896932B1 (ko)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317 또는 이를 함유하는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1773339B1 (ko)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 Pf212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잘록병균 및 고추 탄저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KR100791983B1 (ko) 아쓰로보트리스속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기생성선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1825966B1 (ko) 흰점박이꽃무지 진균병 방제용 조성물
KR20220097325A (ko) 포자 형성속도가 빠르며 나방목 해충에 살충 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NU-2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80639B1 (ko) 신규미생물 이사리아 푸모소로세 fg340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2207732B1 (ko)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ft319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배추좀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JP7214866B2 (ja) 優れた殺虫効果および胞子生成能を有する新規ビューベリアバシアナknu-101菌株およびその用途
KR101785099B1 (ko) 뷰베리아 바시아나 Bb18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및 균핵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CN114480138B (zh) 一种球孢白僵菌LZ2-1a及其应用
KR100458765B1 (ko) 파리목 해충에 대해 방제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슈린지에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살충제의 제조방법
KR101239239B1 (ko) 나비목 해충에 대한 살충력을 갖는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균주, 동 균주가 생산하는 내독소단백질, 및 이들 균주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살충제
KR102395628B1 (ko)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aad16 균주와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 및 살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