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023A -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023A
KR20200112023A KR1020190031840A KR20190031840A KR20200112023A KR 20200112023 A KR20200112023 A KR 20200112023A KR 1020190031840 A KR1020190031840 A KR 1020190031840A KR 20190031840 A KR20190031840 A KR 20190031840A KR 20200112023 A KR20200112023 A KR 20200112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server
ossuary
memo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029B1 (ko
Inventor
구승연
Original Assignee
구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승연 filed Critical 구승연
Priority to KR102019003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02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모 컨텐츠를 선택하여 제공을 요청하는 제1 단말; 고인의 유골이 보관되는 납골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추모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제2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추모 컨텐츠를 상기 제2 단말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추모 컨텐츠는 음악, 음성, 향기, 이미지, 영상, 텍스트, 소품 및 영상통화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정보는 방문자 정보, 상기 납골함 내의 온도 및/또는 습도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Description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CHARNEL HOU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인의 유골을 안치하는 납골함에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소품의 배치를 지원하고, 다양한 형태의 추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인의 유족들은 자신의 조상을 기리기 위하여 묘지를 방문하고 고인을 추모하는 의식을 행한다. 여기에서, 유족들은 묘지, 수목장, 납골당 등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각종 명절 또는 기일에 방문하여 고인을 추모하는 의식을 갖춘다.
최근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고인을 화장하고 고인의 유골을 납골당에 안치하는 유족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족들은 고인을 추모하기 위하여 다수의 유족들이 방문하는 경우 공간이 협소하여 추모 의식을 제대로 갖추기 힘든 실정이다.
납골당은 각각의 유골함을 개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하, 납골함)이 마련된 선반을 적층하여 구비하게 되는데, 고인의 유족들은 그 공간에 유골함 외에도 유족이 생전에 좋아했던 음식, 물건 등을 축소하여 제작한 미니어쳐와 같은 소품, 꽃 등을 더 수납하고는 한다.
이와 같이 유족은 이러한 소품, 꽃 등과 같은 추모 컨텐츠를 납골함에 함께 배치하여 고인을 추모하고자 한다.
그러나, 납골함에 배치하고자 하는 소품이나 꽃이 해당 납골함에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는 현재 납골함 내의 상태는 물론, 납골함의 사이즈 및 배치하고자 하는 소품의 치수 등을 직접 확인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족은 납골함을 관리하기 위해 고인이 안치된 납골당을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족이 납골함에 보다 다양한 추모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납골당을 찾지 않고도 납골함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족이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추모 컨텐츠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납골함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추모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족이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당을 직접 찾지 않고도 납골함의 현재 상태를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납골함의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납골함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시스템은,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모 컨텐츠를 선택하여 제공을 요청하는 제1 단말; 고인의 유골이 보관되는 납골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추모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제2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추모 컨텐츠를 상기 제2 단말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추모 컨텐츠는 음악, 음성, 향기, 이미지, 영상, 텍스트, 소품 및 영상통화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정보는 방문자 정보, 상기 납골함 내의 온도 및/또는 습도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제1 단말을 통해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모 컨텐츠를 선택하면, 제1 단말이 선택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 정보를 확인하여 선택된 추모 컨텐츠를 납골함에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확인 결과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추모 컨텐츠가 제공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선택된 추모 컨텐츠를 상기 납골함에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모 컨텐츠는 음악, 음성, 향기, 이미지, 영상, 텍스트, 소품 및 영상통화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제1 단말을 통해 서비스 서버로 고인의 유골이 보관되는 납골함에 대한 정보인 납골함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납골함 내에 설치된 제2 단말로 납골함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납골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납골함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납골함 정보는 방문자 정보, 상기 납골함 내의 온도 및/또는 습도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족이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추모 컨텐츠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납골함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추모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족이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당을 직접 찾지 않고도 납골함의 현재 상태를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납골함의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납골함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시스템에서 제2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족이 납골함에 고인을 추고하기 위한 추모 컨텐츠로 소품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현재 납골함의 상태를 기반으로 해당 소품의 배치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외 다른 추모 컨텐츠로 음악, 음성, 향기, 이미지, 영상, 텍스트는 물론, 영상통화 등을 더 제공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본원발명은 추모 컨텐츠 제공을 넘어서서, 납골함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에 따라 납골당 관리자에게 점검을 요청하거나 납골함 내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시스템(1)은 제1 단말(10), 서비스 서버(30) 및 제2 단말(50)을 포함한다.
제1 단말(10)은 납골함에 고인을 안치한 유족의 사용자 단말로서, 유족은 제1 단말(10)을 통해 납골함에 배치된 추모 컨텐츠를 선택하여 제공을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은 제1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웹페이지 등을 통해서도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추모 컨텐츠는 소품, 꽃과 같은 형태를 갖는 물건(이하, 제1 추모 컨텐츠)일 수도 있고, 음악, 음성, 향기, 이미지, 영상, 텍스트는 물론, 영상통화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가 이뤄지는 것(이하, 제2 추모 컨텐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을 사용하는 유족이 추모 컨텐츠로서 제1 추모 컨텐츠에 해당하는 미니어처 성경책을 납골함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유족은 제1 단말(10)을 통해 배치하고자 하는 미니어처 성경책을 선택하여 서비스 서버로(30)로 제공을 요청하면, 서비스 서버(30)이 그 요청에 의해 현재 납골함의 상태를 이미지로 실시간으로 제2 단말(50)로부터 제공받아 해당 미니어처 성경책이 현재 납골함에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제1 단말(10)로 제공하거나, 제2 단말(50)로부터 제공받은 현재 납골함의 상태에 대한 이미지를 제1 단말(10)로 전달하여 제1 단말(10)을 사용하는 유족이 해당 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미니어처 소품이 현재 납골함에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배치 가능 여부는 해당 납골함, 해당 납골함 내에 기배치된 소품들 및 유족이 배치하고자 하는 소품의 크기 정보 또는 비율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단말(10)을 사용하는 유족은 자신이 배치하고자 하는 소품을 현재 납골함에 배치할 수 있는지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제1 단말(10)을 사용하는 유족이 추모 컨텐츠로서 제2 추모 컨텐츠에 해당하는 음악을 납골함에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유족은 제1 단말(10)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서비스 서버로(30)로 제공을 요청하면, 서비스 서버(30)는 그 요청에 의해 납골함에 설치된 제2 단말(50)이 해당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제1 단말(10)로 제공한다.
또한, 제1 단말(10)은 해당 추모 컨텐츠의 배치 또는 제공이 결정되면, 그 추모 컨텐츠를 바로 주문 및 결제한다.
한편, 제1 단말(10)은 서비스 서버(30)를 통해 제2 단말(50)로부터 납골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나아가 그 납골함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단말을 제어한다. 이로써, 유족은 납골함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납골함의 환경 또한 원하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는 제1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추모 컨텐츠가 납골함에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30)는 제1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추모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추모 컨텐츠가 제1 추모 컨텐츠일 경우, 서비스 서버(30)는 제2 단말(50)로부터 납골함의 상태를 이미지로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해당 추모 컨텐츠가 납골함에 배치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1 단말(10)로 전송한다.
한편, 예를 들어, 제1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추모 컨텐츠가 제2 추모 컨텐츠일 경우, 서비스 서버(30)는 납골함에 설치된 제2 단말(50)이 해당 추모 컨텐츠를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1 단말(10)로 전송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30)는 제1 단말(10)이 납골함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납골함에 설치된 제2 단말(50)로부터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제1 단말(10)로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단말(10)로부터 제어 및/또는 점검 요청을 수신하면, 그 요청을 기반으로 제2 단말(50)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30)는 제1 단말(10), 제1 단말(10)을 사용하는 유족, 제1 단말(10)에 대응하는 납골함, 그 납골함 내에 설치된 제2 단말(50)에 대한 정보를 모두 기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유족이 서비스를 가입할 시에 기록할 수도 있다.
제2 단말(50)은 납골함 내에 설치되어,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납골함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30)로 송신하거나, 제1 단말(10)로 직접 송신할 수도 있다.
이때, 납골함 정보는 방문자 정보, 납골함 내의 온도 및/또는 습도 정보, 및 상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50)은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그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납골함의 내부 환경을 제어한다. 즉,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납골함 내의 온도 및/또는 습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1 단말(10)을 통해 유족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201), 고인을 추모하고자 하는 다양한 추모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203).
이때, 선택 정보는 제1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서비스 서버(30)는 제1 단말(10), 제1 단말(10)을 사용하는 유족, 제1 단말(10)에 대응하는 납골함, 그 납골함 내에 설치된 제2 단말(50)에 대한 정보를 모두 기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서버(30)는 선택 정보를 통해 제1 단말(10)에 대응하는 납골함 정보와 그 납골함 내에 설치된 제2 단말(50)에 대한 정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그 선택 정보는 서비스 서버(30)로 송신되고(S205), 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30)가 해당 선택 정보를 확인한다(S207). 즉, 서비스 서버(30)는 선택 정보를 통해 유족이 선택한 추모 컨텐츠가 제1 추모 컨텐츠에 대한 것인지 제2 추모 컨텐츠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서비스 서버(30)는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상이한 동작으로 해당 추모 컨텐츠를 해당 납골함에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9).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선택 정보가 제1 추모 컨텐츠에 대한 것이라면 서비스 서버(30)는 제2 단말(50)로 현재 납골함의 상태를 이미지로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해당 추모 컨텐츠가 배치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선택 정보가 제2 추모 컨텐츠에 대한 것이라면 서비스 서버(30)는 제2 단말(50)에 대해 기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추모 컨텐츠가 제2 단말(5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30)는 그 확인 결과를 제1 단말(10)로 송신하고(S211), 제1 단말(10)이 그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추모 컨텐츠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해당 추모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제1 단말(10)은 해당 추모 컨텐츠에 대한 주문 및/또는 결제를 진행하고(S213), 주문 및/또는 결제가 완료됨에 따라 서비스 서버(30)로 제공 요청이 송신된다(S215).
서비스 서버(30)는 제공이 요청된 추모 컨텐츠가 제1 추모 컨텐츠인 경우에는 해당 추모 컨텐츠에 대한 주문을 접수받고, 추모 컨텐츠가 제2 추모 컨텐츠인 경우에는 해당 추모 컨텐츠를 제2 단말(50)로 송신한다(S217).
제2 단말(50)은 수신된 추모 컨텐츠를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 한다(S219).
예를 들어, 추모 컨텐츠가 텍스트인 경우에는 제2 단말(5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해당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추모 컨텐츠가 음악이 경우에는 제2 단말(50)의 스피커부를 통해 해당 음악을 재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1 단말(10)을 통해 유족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301),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에 대한 정보인 납골함 정보를 요청한다(S303).
서비스 서버(30)는 제1 단말(10)로부터 납골함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그 요청을 확인한다(S305).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30)는 납골함 정보 요청이 방문자 정보인지 납골함의 현재 사진 또는 영상을 요청하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후, 서비스 서버(30)는 그 확인 결과에 따라 납골함 정보에 대한 제공을 제2 단말(50)로 요청하고(S307), 제2 단말(50)은 그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납골함 정보를 수집 및 생성한다(S309).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제2 단말(50)은 납골함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고, 요청에 의해서만 수집할 수도 있다.
제2 단말(50)이 생성된 납골함 정보를 서비스 서버(30)로 송신하면(S311), 서비스 서버(30)는 그 납골함 정보를 제1 단말(10)로 송신한다(S313).
제1 단말(10)은 납골함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납골함의 상태를 확인하고(S315), 이를 기반으로 제2 단말(50)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거나 또는 관리자에게 점검을 요청한다(S317).
서비스 서버(30)는 제1 단말(10)로부터 제어 및/또는 점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이를 확인하고(S319), 그 요청이 점검에 대한 요청인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로 점검을 요청하는 알림을 생성하고, 그 요청이 제어에 대한 요청인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321).
서비스 서버(30)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2 단말(50)로 송신하고(S323), 제2 단말(50)은 그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제어를 실행한다(S325).
앞서 설명한 S317단계 내지 S325단계는 납골함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10)의 선택에 의한 것일 뿐, 필수적인 동작은 아니며,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30)는 송수신부(31), 저장부(32), 확인부(33), 생성부(34) 및 제어부(35)를 포함한다.
송수신부(31)는 납골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제1 단말(10)로부터의 여러 요청들과, 제1 단말(10)에 의해 결정되는 선택 정보들을 수신하고, 제2 단말로부터 납골함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한다.
또한, 송수신부(31)는 제1 단말(10)의 요청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다양한 정보 또는 결과들을 송신하고, 제2 단말(50)로 제2 단말(5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저장부(32)는 제1 단말(10), 제1 단말(10)을 사용하는 유족, 제1 단말(10)에 대응하는 납골함, 그 납골함 내에 설치된 제2 단말(50)에 대한 정보를 모두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유족이 서비스를 가입할 시에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다.
확인부(33)는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또는 정보들을 확인한다. 이러한 확인을 통해 적절한 동작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생성부(34)는 제1 단말(10)로부터 제어 또는 점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그 요청에 따른 제어신호 또는 알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생성부는 그 요청이 점검에 대한 요청인 경우에는 점검을 요청하는 알림을 생성하고, 그 요청이 제어에 대한 요청인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5)는 제1 단말(10)로부터 추모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그 선택 정보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납골함에 해당 추모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1 단말(10)로 송신하며, 제1 단말(10)로부터 추모 컨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그 추모 컨텐츠에 대한 주문을 접수하거나 제2 단말(50)에서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제2 단말(50)로 해당 추모 컨텐츠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35)는 제1 단말(10)로부터 납골함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대응하는 납골함에 설치된 제2 단말(50)로 납골함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단말(50)로부터 납골함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제1 단말(10)로 송신하며, 제1 단말(10)로부터 납골함에 대한 제어 또는 점검 요청을 수신하면, 그 요청을 기반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2 단말로 송신하거나 알림을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관리 시스템에서 제2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단말(50)은 송수신부(51), 센서부(52), 저장부(53), 실행부(54), 조절부(55) 및 제어부(56)를 포함한다.
송수신부(51)는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추모 컨텐츠 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납골함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센서부(5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납골함 외부 또는 내부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결정된 주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집될 수도 있으며, 요청이 있을 시에 수집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미지 센서, 모션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53)는 센서부(52)에 의해 수집된 정보들은 물론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컨텐츠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53)는 납골당을 방문한 방문자에 의한 기록 또는 메시지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방문자 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
생성부(54)는 센서부(52)에 의해 수집된 정보 또는 저장부(53)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납골함 정보를 생성한다.
실행부(55)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납골함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추모 컨텐츠를 실행한다. 이를 위해 실행부(55)는 스피커, 마이크, 분사기, 온도 및 습도 조절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납골함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음악 또는 음성을 재생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56)는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추모 컨텐츠를 수신하면, 해당 추모 컨텐츠를 저장하여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56)는 서비스 서버(30)로부터 납골함 정보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납골함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여 납골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그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제어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서비스 서버(30)는 제1 단말(10)과 제2 단말(50) 간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족이 실제 납골당을 방문하지 않고도 방문한 것과 같이 납골함을 바라보면 이야기를 하거나, 또는 가족들이 모두 모이기 어려운 상황에서 다자간 영상통화를 통해 납골함을 보며 제사를 지내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30)는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제1 단말(10)과 제2 단말(50)을 상호 연결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납골함 관리 시스템 10: 제1 단말
30: 서비스 서버 50: 제2 단말
31: 송수신부 32: 저장부
33: 확인부 34: 생성부
35: 제어부 51: 송수신부
52: 센서부 53: 저장부
54: 생성부 55: 실행부
56: 제어부

Claims (13)

  1. 납골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모 컨텐츠를 선택하여 제공을 요청하는 제1 단말;
    고인의 유골이 보관되는 납골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추모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제2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추모 컨텐츠를 상기 제2 단말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추모 컨텐츠는 음악, 음성, 향기, 이미지, 영상, 텍스트, 소품 및 영상통화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정보는 방문자 정보, 상기 납골함 내의 온도 및/또는 습도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추모 컨텐츠로 소품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요청을 통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납골함 내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납골함 내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소품의 배치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납골함, 상기 납골함 내에 기배치된 소품들 및 상기 선택된 소품의 크기 정보 또는 비율 정보를 기반으로 배치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확인 결과를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추모 컨텐츠로 영상통화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상호 연결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시스템.
  6. 납골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단말을 통해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모 컨텐츠를 선택하면, 제1 단말이 선택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 정보를 확인하여 선택된 추모 컨텐츠를 납골함에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확인 결과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추모 컨텐츠가 제공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선택된 추모 컨텐츠를 상기 납골함에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모 컨텐츠는 음악, 음성, 향기, 이미지, 영상, 텍스트, 소품 및 영상통화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추모 컨텐츠가 소품인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요청을 통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납골함 내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납골함 내부 정보를 기반으로 배치하고자 하는 소품의 배치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가능 여부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납골함, 상기 납골함 내에 기배치된 소품들 및 상기 배치하고자 하는 소품의 크기 정보 또는 비율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는,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추모 컨텐츠가 음악, 음성, 이미지, 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된 추모 컨텐츠를 상기 납골함 내에 설치된 제2 단말로 송신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추모 컨텐츠가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상호 연결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방법.
  12. 납골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단말을 통해 서비스 서버로 고인의 유골이 보관되는 납골함에 대한 정보인 납골함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납골함 내에 설치된 제2 단말로 납골함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납골함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납골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납골함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납골함 정보는 방문자 정보, 상기 납골함 내의 온도 및/또는 습도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납골함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제어 또는 점검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관리 방법.
KR1020190031840A 2019-03-20 2019-03-20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0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840A KR102205029B1 (ko) 2019-03-20 2019-03-20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840A KR102205029B1 (ko) 2019-03-20 2019-03-20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023A true KR20200112023A (ko) 2020-10-05
KR102205029B1 KR102205029B1 (ko) 2021-01-18

Family

ID=7280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840A KR102205029B1 (ko) 2019-03-20 2019-03-20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06B1 (ko) * 2021-06-02 2022-02-23 유광열 가정용 반려동물 유골 안치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868A (ko) * 2006-01-10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묘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40143954A (ko) * 2013-06-10 2014-12-18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납골 시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 시설 관리 서버
KR20170026805A (ko) * 2015-08-28 2017-03-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물류 적재 보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868A (ko) * 2006-01-10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묘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40143954A (ko) * 2013-06-10 2014-12-18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납골 시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 시설 관리 서버
KR20170026805A (ko) * 2015-08-28 2017-03-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물류 적재 보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06B1 (ko) * 2021-06-02 2022-02-23 유광열 가정용 반려동물 유골 안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029B1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325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iniscing to and venerating the deceased in a memorial facility
US20160378245A1 (en) Interactive device for memorial information
US11635929B2 (en) Memorial facility with memorabilia, meeting room, secure memorial database, and data needed for an interactive computer conversation with the deceased
KR102325686B1 (ko) 제사식장을 이용한 제사 대행 시스템
JP6736071B1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墓参支援システム、墓参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109670A (ko) 인터넷 기반 통합장례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205029B1 (ko) 납골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2070501A (ja) 参拝管理装置、参拝管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604018B2 (en) Computer-controlled cremation repository and associated methodology
US20210211608A1 (en) Remote gravesite experience system
JP2021056793A (ja) 参拝システム
KR100303422B1 (ko) 멀티시스템을 적용한 납골용 시설물
JP3215247U (ja) 遠隔管理が可能な墓
JP3199239U (ja) アクセサリー及び供養システム
US201503653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inisce and venerate the deceased
JP2019084151A (ja) 祭壇を備えた家具
JP2004046294A (ja) 故人情報管理装置
JP2006119681A (ja) 仏壇供養システム、及び納骨堂墓参システム
JP2002099641A (ja) インターネット上での創作墓碑および仮想霊園サービス
JP2004509245A (ja) 独立区画型納骨施設
JP2002073798A (ja) 墓苑システム
JP2023052724A (ja) セレモニーシステム、ストレージサーバおよびセレモニーホールのコンピュータ
KR2016013138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수목장 이용자에 대한 장례 절차 및 추모에 대한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50192828A1 (en) Method of viewing images of remains and photos together with video backgrounds and audio on television and the internet
KR102074247B1 (ko) 대규모 장묘시설의 추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인 추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