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035A -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035A
KR20200111035A KR1020190030772A KR20190030772A KR20200111035A KR 20200111035 A KR20200111035 A KR 20200111035A KR 1020190030772 A KR1020190030772 A KR 1020190030772A KR 20190030772 A KR20190030772 A KR 20190030772A KR 20200111035 A KR20200111035 A KR 20200111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old
cosmetic
mold
fram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873B1 (ko
Inventor
정하일
Original Assignee
정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하일 filed Critical 정하일
Priority to KR102019003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873B1/ko
Priority to CN202010134789.5A priority patent/CN111700367A/zh
Publication of KR2020011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체적인 형상의 제1 주입공간을 갖는 제1 탄성몰드를 준비하는 제1 준비단계; 상기 제1 탄성몰드의 제1 주입공간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 색상의 제1 화장품을 주입, 응고시키는 제1 주입응고단계; 상기 제1 탄성몰드로부터 응고된 제1 화장품을 꺼내는 제1 취출단계; 제2 주입공간을 갖는 제2 탄성몰드를 준비하는 제2 준비단계; 상기 제2 탄성몰드의 제2 주입공간에 응고된 제1 화장품을 삽입하는 제1 화장품 삽입단계; 상기 제2 탄성몰드의 제2 주입공간에 투명한 색상의 제2 화장품을 주입, 응고시키는 제2 주입응고단계 및 상기 제2 탄성몰드로부터 응고된 제1, 2 화장품을 꺼내는 제2 취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A method of charging a different type of stick type cosmetics}
본 발명은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제1 탄성몰드로 입체적인 형상의 제1 화장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화장품을 다시 제2 탄성몰드로 삽입하여 제1 화장품의 테두리에 투명한 색상의 제2 화장품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입체적인 형상의 제1 화장품이 투명한 제2 화장품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면서 심미감이 향상되고, 충전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증대된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의 색조화장에 필요한 화장품 중 립스틱은 입술화장을 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색감을 갖는 립스틱 내용물이 립스틱 케이스에 응고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립스틱 내용물을 여성들의 입술에 직접 바르거나 또는 별도의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립스틱 내용물은 립스틱 케이스의 일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립스틱 케이스로부터 출몰 또는 인입되어 보다 편리하게 보관 및 사용 가능하며,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립스틱 케이스가 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색감이나 디자인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립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제조공정으로는, 립스틱 내용물과 동일한 내부 형태를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몰드의 내부 공간에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를 주입하고, 립스틱 원료가 고형화되도록 소정시간 냉각시킨 후, 상기 고형화된 립스틱 원료의 단부에 립스틱 케이스를 꽂은 상태로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몰드가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잡아당기면서 고형화된 립스틱 내용물을 탄성몰드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고형화된 립스틱 내용물은 다양한 색상의 안료와 원료의 배합을 통해 얻어진 액상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주입홈을 갖는 성형치구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고형화되는 립스틱 내용물의 형상과 모양이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작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최종의 립스틱은 단일 색상의 립스틱 내용물만을 갖고 있어 통상의 사용자 또는 소비자는 기능 또는 색상이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립스틱을 마련하여 옷이나 헤어스타일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골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각기 다른 기능 및 색상을 갖는 여러 개의 립스틱을 모두 구매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생기게 되고, 구매한 립스틱 중 빈번하게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립스틱의 경우 지나치게 오랜 시간 보관 또는 사용되면서 쉽게 식상해져 소비자에 의해 버려지거나 방치되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 들어 구매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립스틱 화장품의 형태 및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립스틱 케이스에 다양한 종류의 립스틱 화장품이 함께 충전되는 제조 방식이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색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타입 화장품의 충전방법(등록특허 제10-1212915호)이 개시되었다.
이는 하나의 노즐로 내용물을 충전하는 방식 또는 여러 개의 노즐로 하나의 색상을 충전하는 방식에서 충전금형이나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외형틀에 외관을 구획할 수 있는 파티션을 삽입하여 파티션을 제외한 각각의 외곽에 여러 개의 충전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충전노즐을 통해 최소 2색상, 최대 6색상을 동시 충전하는 방식을 통한 다색을 갖는 외곽을 형성하게 하고 구획을 만드는 파티션을 제거하여 이 부분에 2차 충전하여 냉각한 후, 적당한 용기에 삽입하여 스틱 형태를 갖는 립스틱 또는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과 같은 스틱형 화장품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립스틱 내용물의 충전 과정에서 파티션과 립스틱 내용물이 잘 분리되도록 이형제라는 오일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수직으로 구획된 서로 다른 색상 또는 기능을 갖는 립스틱 내용물 간의 부착력이 떨어져 립스틱 내용물이 갈라지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파티션을 삽입, 제거하면서 다색 립스틱 내용물을 구획, 충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파티션을 외형틀에 삽입하는 공정, 1차 립스틱 내용물 충전 후 상기 파티션을 제거하는 공정, 2차 립스틱 내용물을 충전하기에 앞서 노즐의 구멍에 고온의 공기를 불어넣어 1차 충전된 립스틱 내용물의 내측면에 홈을 만드는 공정 등이 추가되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9393호(2001. 10. 11.), "진공 제거 장치를 구비한 립스틱 제조 몰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2915호(2012. 12. 14.), "다색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타입 화장품의 충전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입체적인 형상의 주입공간을 갖는 제1 탄성몰드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색상의 제1 화장품을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 응고된 제1 화장품을 꺼내 다시 제2 탄성몰드의 주입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제2 탄성몰드에 투명한 색상의 제2 화장품을 주입하여 응고시킴으로써, 상기 입체적인 형상의 제1 화장품이 투명한 제2 화장품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면서 심미감이 향상되고, 충전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도록 한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은, 입체적인 형상의 제1 주입공간을 갖는 제1 탄성몰드를 준비하는 제1 준비단계; 상기 제1 탄성몰드의 제1 주입공간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 색상의 제1 화장품을 주입, 응고시키는 제1 주입응고단계; 상기 제1 탄성몰드로부터 응고된 제1 화장품을 꺼내는 제1 취출단계; 제2 주입공간을 갖는 제2 탄성몰드를 준비하는 제2 준비단계; 상기 제2 탄성몰드의 제2 주입공간에 응고된 제1 화장품을 삽입하는 제1 화장품 삽입단계; 상기 제2 탄성몰드의 제2 주입공간에 투명한 색상의 제2 화장품을 주입, 응고시키는 제2 주입응고단계 및 상기 제2 탄성몰드로부터 응고된 제1, 2 화장품을 꺼내는 제2 취출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준비단계의 제1 탄성몰드는 제1 충전블럭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충전블럭은 제1 하부고정틀과, 제1 몰드안착틀 및 상부분리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주입응고단계에서는 상부분리틀의 제1 주입구를 통해 제1 화장품을 제1 탄성몰드의 제1 주입공간으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취출단계는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제1 탄성몰드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서 팽창시키는 제1 확장단계와, 제1 몰드안착틀로부터 상부분리틀을 분리하면서 상기 상부분리틀에 응고된 상태로 부착된 제1 화장품을 제1 탄성몰드로부터 꺼내는 제2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준비단계의 제2 탄성몰드는 제2 충전블럭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충전블럭은 제2 하부고정틀과, 제2 몰드안착틀 및 중간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화장품 삽입단계에서는 응고된 제1 화장품을 제2 탄성몰드 및 중간틀로 삽입하면서, 상기 제1 화장품이 부착된 상부분리틀을 상기 중간틀에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주입응고단계에서는 상부분리틀의 제1 주입구 외측에 형성된 제2 주입구를 통해 제2 화장품을 제2 탄성몰드의 제2 주입공간으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취출단계에서는 제2 몰드안착틀로부터 상부분리틀과 중간틀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제거단계와, 적어도 일부분이 제2 탄성몰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응고된 제1, 2 화장품에 립스틱 케이스를 결합하는 케이스 결합단계와,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탄성몰드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서 팽창시키는 제2 확장단계 및 상기 립스틱 케이스와 결합된 제1, 2 화장품을 제2 탄성몰드로부터 꺼내는 제2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탄성몰드로 입체적인 형상의 제1 화장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화장품을 다시 제2 탄성몰드로 삽입하여 제1 화장품의 외측에 투명한 색상의 제2 화장품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입체적인 형상의 제1 화장품이 투명한 제2 화장품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면서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굴곡을 갖는 입체적인 형상의 제1 화장품 테두리를 제2화장품이 감싸면서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화장품과 제2 화장품 간의 부착력이 유지되어 상기 제1, 2 화장품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탄성몰드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색상의 제1 화장품을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 응고된 제1 화장품을 제2 탄성몰드에 삽입한 다음, 상기 제2 탄성몰드에 투명한 색상의 제2 화장품을 주입하여 응고시킴에 따라, 제1, 2 화장품의 충전 공정이 단순화되고, 이를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충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충전블럭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주입응고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취출단계를 타나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2 준비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화장품 삽입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2 주입응고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2 취출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은 제1 준비단계(S100)와, 제1 주입응고단계(S200)와, 제1 취출단계(S300)와, 제2 준비단계(S400)와, 제1 화장품 삽입단계(S500)와, 제2 주입응고단계(S600) 및 제2 취출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충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충전블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제1 준비단계(S100)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의 제1 주입공간(12a)을 갖는 제1 탄성몰드(12)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탄성몰드(12)의 내측에는 유체 상태의 제1 화장품(C1)이 주입되는 제1 주입공간(12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 테두리(12b)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주입공간(12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이 형성된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화장품(C1)의 외형을 결정짓게 된다. 따라서, 심미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동물 또는 사물 또는 예술 작품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는 전방충전(frond filling) 방법 즉, 립스틱 화장품을 탄성몰드의 주입공간에 주입하고 응고시킨 후, 응고된 립스틱 화장품을 립스틱 케이스의 전방으로 끼워 부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1 준비단계(S100)의 제1 탄성몰드(12)는 제1 충전블럭(10)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1 충전블럭(10)은 제1 하부고정틀(11)과 제1 몰드안착틀(13) 및 상부분리틀(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고정틀(11)은 제1 충전블럭(10)의 바닥면을 이루는 판으로써 제1 몰드안착틀(13)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1 몰드안착틀(13)은 제1 하부고정틀(11)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1 탄성몰드(12)를 안착시킨다. 상기 제1 몰드안착틀(13)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탄성몰드(12)가 삽입되는 제1 몰드안착홀(13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몰드안착홀(13a)의 상부 외측에는 제1 탄성몰드(12)의 제1 테두리(12b) 일부분이 안착되는 제1 몰드안착턱(13b)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몰드안착홀(13a)의 외측에는 제1 탄성몰드(12)를 보호하는 제1 몰드외벽(13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몰드외벽(13c)의 측면 또는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공기유통홀(13d)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공기유통홀(13d)은 제1 몰드외벽(13c)에 진공흡입장치(미도시)를 씌워 상기 제1 몰드외벽(13c) 안쪽의 공기를 흡입할 때, 공기 유입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 몰드안착틀(1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고정기둥(13e)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몰드안착틀(13)을 제1 하부고정틀(11)의 상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상기 상부분리틀(14)은 제1 몰드안착틀(13)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응고된 제1 화장품(C1)을 제1 탄성몰드(12)로부터 꺼낸 후, 제2 탄성몰드(22)로 삽입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분리틀(14)에는 제1 화장품(C1)이 주입되는 제1 주입구(14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주입구(14a)와 인접한 외측에는 제2 화장품(C2)이 주입되는 제2 주입구(14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주입구(14a)는 제1 탄성몰드(12)의 제1 주입공간(12a)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주입구(14b)는 후술할 제2 탄성몰드(22)의 제2 주입공간(22a)과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주입응고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1 주입응고단계(S2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탄성몰드(12)의 제1 주입공간(12a)에 불투명(不透明) 또는 반투명(半透明)한 색상의 제1 화장품(C1)을 주입하고 응고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제1 화장품(C1)은 유체 상태이고, 상기 상부분리틀(14)의 제1 주입구(14a)를 통해 제1 탄성몰드(12)의 제1 주입공간(12a)으로 주입되며, 이와 같이 제1 탄성몰드(12)의 제1 주입공간(12a)으로 주입된 제1 화장품(C1)은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되면서 응고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분리틀(14)의 제1 주입구(14a) 안쪽에 제1 화장품(C1)이 채워진 상태로 응고되면서 제1 화장품(C1)의 일부분이 상부분리틀(14)에 부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취출단계를 타나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1 취출단계(S3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탄성몰드(12)로부터 응고된 제1 화장품(C1)을 꺼내는 단계이다.
상기 제1 취출단계(S300)는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탄성몰드(12)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서 팽창시키는 제1 확장단계(S310)와, 제1 몰드안착틀(13)로부터 상부분리틀(14)을 분리하면서 상기 상부분리틀(14)에 응고된 상태로 부착된 제1 화장품(C1)을 제1 탄성몰드(12)로부터 꺼내는 제2 분리단계(S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확장단계(S310)에서는 제1 몰드안착틀(13)의 제1 몰드외벽(13c)에 진공흡입장치를 씌운 후, 상기 진공흡입장치를 작동시켜 제1 몰드외벽(13c)에 형성된 제1 공기유통홀(13d)로 상기 제1 몰드외벽(13c) 안쪽의 공기를 빨아들여 제1 탄성몰드(12)를 외측으로 확장시키면서 응고된 제1 화장품(C1)과 제1 탄성몰드(12)의 내주면을 이격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2 준비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2 준비단계(S40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탄성몰드(22)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탄성몰드(22)의 내측에는 유체 상태의 제2 화장품(C2)이 주입되는 제2 주입공간(22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 테두리(22b)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주입공간(22a)은 봉 형상의 스틱형 화장품 외형과 대응되는 형태이다.
상기 제2 준비단계(S400)의 제2 탄성몰드(22)는 제2 충전블럭(20)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2 충전블럭(20)은 제2 하부고정틀(21)과 제2 몰드안착틀(23) 및 중간틀(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고정틀(21)은 제2 충전블럭(20)의 바닥면을 이루는 판으로써 제2 몰드안착틀(23)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2 몰드안착틀(23)은 제2 하부고정틀(21)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2 탄성몰드(22)를 안착시킨다. 상기 제2 몰드안착틀(23)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탄성몰드(22)가 삽입되는 제2 몰드안착홀(2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몰드안착홀(23a)의 상부 외측에는 제2 탄성몰드(22)의 제2 테두리(22b) 일부분이 안착되는 제2 몰드안착턱(23b)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몰드안착홀(23a)의 외측에는 제2 탄성몰드(22)를 보호하는 제2 몰드외벽(23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몰드외벽(23c)의 측면 또는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공기유통홀(23d)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몰드안착틀(23)에는 제2 고정기둥(23e)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틀(24)은 제2 몰드안착틀(23)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몰드안착틀(23)로부터 분리되면서 응고된 제1, 2 화장품(C1, C2)의 일정 부분을 외부로 노출하게 된다. 상기 중간틀(24)에는 관통홀(24a)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24a)의 양측은 제2 탄성몰드(22)의 제2 주입공간(22a) 및 상부분리틀(14)의 제2 주입구(14b)와 연결되며, 상기 관통홀(24a)에는 응고된 제1 화장품(C1)이 관통되고, 유체 상태의 제2 화장품(C2)이 주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1 화장품 삽입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제1 화장품 삽입단계(S50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고된 제1 화장품(C1)을 상기 제2 탄성몰드(22)의 제2 주입공간(22a)으로 삽입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1 화장품 삽입단계(S500)에서는 응고된 제1 화장품(C1)을 제2 탄성몰드(22)의 주입공간(22a) 및 중간틀(24)의 관통홀(24a)로 삽입하면서, 제1 화장품(C1)이 부착된 상부분리틀(14)을 상기 중간틀(24)에 고정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응고된 제1 화장품(C1)은 제2 탄성몰드(22)의 제2 주입공간(22a) 및 중간틀(24)의 관통홀(24a) 내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주입공간(22a)과 관통홀(24a)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2 주입응고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2 주입응고단계(S60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탄성몰드(22)의 제2 주입공간(22a)에 투명한 색상의 제2 화장품(C2)을 주입, 응고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제2 화장품(C2)은 유체 상태이며, 상기 상부분리틀(14)의 제2 주입구(14b)를 통해 제2 탄성몰드(22)의 제2 주입공간(22a)과 중간틀(24)의 관통홀(24a)로 주입되면서 제1 화장품(C1)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게 되고, 이와 같이 제2 주입공간(22a)과 관통홀(24a)로 주입된 제2 화장품(C2)은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되면서 응고된다. 이에 따라, 입체적인 형상의 불투명(不透明) 또는 반투명(半透明)한 제1 화장품(C1)이 투명한 제2 화장품(C2)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면서 심미감이 향상되고, 상기 제2 화장품(C2)이 굴곡을 갖는 입체적인 형상의 제1 화장품(C1) 외측을 감싼 상태로 응고되어 상기 제1 화장품(C1)과 제2 화장품(C2) 간의 부착력이 유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화장품(C2)은 입술에 보습을 주어 촉촉하게 유지시키는 립밤(lip balm) 또는 입술에 선명한 색상을 넣어주는 립틴트(lip tint) 또는 입술에 영양과 윤기를 주는 립글로즈(lip gloss)와 같은 립 메이크업 화장품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입술에 윤기를 주고 촉촉함을 유지시켜주는 립 메이크업 화장품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의 제2 취출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2 취출단계(S700)는 도 9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탄성몰드(22)로부터 응고된 제1, 2 화장품(C1, C2)을 꺼내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취출단계(S700)는 도 9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몰드안착틀(23)로부터 상부분리틀(14)과 중간틀(24)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제거단계(S710)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제2 탄성몰드(2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응고된 제1, 2 화장품(C1, C2)에 립스틱 케이스(30)를 결합하는 케이스 결합단계(S720)와,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탄성몰드(22)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서 팽창시키는 제2 확장단계(S730)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립스틱 케이스(30)와 결합된 제1, 2 화장품(C1, C2)을 제2 탄성몰드(22)로부터 꺼내는 제2 분리단계(S740)로 이루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제거단계(S710)에서는 중간틀(24)로부터 상부분리틀(14)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부분리틀(14)에 열을 가해 상기 상부분리틀(14)에 부착된 제1 화장품(C1)을 부분적으로 녹일 수 있으며, 제2 몰드안착틀(23)로부터 중간틀(24)을 제거할 때, 제1, 2 화장품(C1, C2)이 중간틀(24)을 따라 올라가지 않도록 상기 제1 화장품(C1) 또는 제2 화장품(C2)의 노출된 단부를 눌러주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결합단계(S720)를 진행하기에 앞서, 제1, 2 화장품(C1, C2)과 립스틱 케이스(3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화장품(C2)으로부터 돌출된 제1 화장품(C1)을 상기 제2 화장품(C2)의 높이에 맞춰 절단하거나 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확장단계(S730)에서는 제2 몰드안착틀(23)의 제2 몰드외벽(23c)에 진공흡입장치를 씌운 후, 상기 진공흡입장치를 작동시켜 제2 몰드외벽(23c)에 형성된 제2 공기유통홀(23d)로 상기 제2 몰드외벽(23c) 안쪽의 공기를 빨아들여 제2 탄성몰드(22)를 외측으로 확장시키면서 응고된 제2 화장품(C2)과 제2 탄성몰드(22)의 내주면을 이격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은 도 1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의 주입공간을 갖는 제1 탄성몰드(12)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 색상의 제1 화장품(C1)을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 응고된 제1 화장품(C1)을 꺼내 다시 제2 탄성몰드(22)의 주입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제2 탄성몰드(22)에 투명한 색상의 제2 화장품(C2)을 주입하여 응고시킴에 따라,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1 화장품(C1)이 투명한 제2 화장품(C2)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면서 심미감이 향상됨은 물론, 충전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충전블럭 11: 제1 하부고정틀
12: 제1 탄성몰드 13: 제1 몰드안착틀
14: 상부분리틀 20: 제2 충전블럭
21: 제2 하부고정틀 22: 제2 탄성몰드
23: 제2 몰드안착틀 24: 중간틀
C1: 제1 화장품 C2: 제2 화장품
S100: 제1 준비단계 S200: 제1 주입응고단계
S300: 제1 취출단계 S400: 제2 준비단계
S500: 제1 화장품 삽입단계 S600: 제 주입응고단계
S700: 제2 취출단계

Claims (8)

  1. 입체적인 형상의 제1 주입공간을 갖는 제1 탄성몰드를 준비하는 제1 준비단계;
    상기 제1 탄성몰드의 제1 주입공간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 색상의 제1 화장품을 주입, 응고시키는 제1 주입응고단계;
    상기 제1 탄성몰드로부터 응고된 제1 화장품을 꺼내는 제1 취출단계;
    제2 주입공간을 갖는 제2 탄성몰드를 준비하는 제2 준비단계;
    상기 제2 탄성몰드의 제2 주입공간에 응고된 제1 화장품을 삽입하는 제1 화장품 삽입단계;
    상기 제2 탄성몰드의 제2 주입공간에 투명한 색상의 제2 화장품을 주입, 응고시키는 제2 주입응고단계 및
    상기 제2 탄성몰드로부터 응고된 제1, 2 화장품을 꺼내는 제2 취출단계를 포함하는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준비단계의 제1 탄성몰드는 제1 충전블럭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충전블럭은 제1 하부고정틀과, 제1 몰드안착틀 및 상부분리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입응고단계에서는 상부분리틀의 제1 주입구를 통해 제1 화장품을 제1 탄성몰드의 제1 주입공간으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출단계는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제1 탄성몰드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서 팽창시키는 제1 확장단계와, 제1 몰드안착틀로부터 상부분리틀을 분리하면서 상기 상부분리틀에 응고된 상태로 부착된 제1 화장품을 제1 탄성몰드로부터 꺼내는 제2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준비단계의 제2 탄성몰드는 제2 충전블럭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충전블럭은 제2 하부고정틀과, 제2 몰드안착틀 및 중간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장품 삽입단계에서는 응고된 제1 화장품을 제2 탄성몰드 및 중간틀로 삽입하면서, 상기 제1 화장품이 부착된 상부분리틀을 상기 중간틀에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입응고단계에서는 상부분리틀의 제1 주입구 외측에 형성된 제2 주입구를 통해 제2 화장품을 제2 탄성몰드의 제2 주입공간으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출단계에서는 제2 몰드안착틀로부터 상부분리틀과 중간틀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제거단계와, 적어도 일부분이 제2 탄성몰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응고된 제1, 2 화장품에 립스틱 케이스를 결합하는 케이스 결합단계와,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탄성몰드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서 팽창시키는 제2 확장단계 및 상기 립스틱 케이스와 결합된 제1, 2 화장품을 제2 탄성몰드로부터 꺼내는 제2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KR1020190030772A 2019-03-18 2019-03-18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KR10218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72A KR102187873B1 (ko) 2019-03-18 2019-03-18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CN202010134789.5A CN111700367A (zh) 2019-03-18 2020-03-02 不同类型的棒状化妆品填充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72A KR102187873B1 (ko) 2019-03-18 2019-03-18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35A true KR20200111035A (ko) 2020-09-28
KR102187873B1 KR102187873B1 (ko) 2020-12-07

Family

ID=7253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772A KR102187873B1 (ko) 2019-03-18 2019-03-18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7873B1 (ko)
CN (1) CN1117003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826B1 (ko) * 2021-06-16 2022-11-04 (주)우정테크 다색 스틱형 화장품의 성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393Y1 (ko) 2001-04-12 2001-10-11 후 친 쿠오 진공 제거 장치를 구비한 립스틱 제조 몰드
KR20100011235U (ko) * 2009-05-08 2010-11-17 (주)아모레퍼시픽 냉기의 순환 배출부가 형성된 립스틱 성형용 러버몰드 안치틀
KR101212915B1 (ko) 2010-04-09 2012-12-14 주식회사제니스 다색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타입 화장품의 충전방법
KR20130060548A (ko) * 2011-11-3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코어립스틱 성형제조방법
KR20170133915A (ko) * 2016-05-27 2017-12-06 (주)레이덱스 립스틱 제조용 몰드블록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724B2 (ja) * 1990-04-17 1995-09-13 鐘紡株式会社 棒状化粧品の自動製造装置
FR2700448B1 (fr) * 1993-01-15 1995-04-07 Viguier Rene Viguier Dispositif pour le coulage et la mise en Óoeuvre de raisins de rouge à lèvres.
US6695510B1 (en) * 2000-05-31 2004-02-24 Wyeth Multi-composition stick product and a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20086079A1 (en) * 2001-01-02 2002-07-04 Kuo Fu Chin Lipstick making mold having vacuuming removing device
JP2006158513A (ja) * 2004-12-03 2006-06-22 Asanuma Corporation 化粧品成型装置及び化粧品成型方法
JP4936812B2 (ja) * 2006-07-21 2012-05-23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化粧料の成型装置および成型方法
CN201001479Y (zh) * 2007-02-01 2008-01-09 傅文祺 口红模具
CN201008417Y (zh) * 2007-03-12 2008-01-23 傅文祺 口红充填机
CN201042270Y (zh) * 2007-06-11 2008-04-02 洪海川 口红模具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393Y1 (ko) 2001-04-12 2001-10-11 후 친 쿠오 진공 제거 장치를 구비한 립스틱 제조 몰드
KR20100011235U (ko) * 2009-05-08 2010-11-17 (주)아모레퍼시픽 냉기의 순환 배출부가 형성된 립스틱 성형용 러버몰드 안치틀
KR101212915B1 (ko) 2010-04-09 2012-12-14 주식회사제니스 다색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타입 화장품의 충전방법
KR20130060548A (ko) * 2011-11-3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코어립스틱 성형제조방법
KR20170133915A (ko) * 2016-05-27 2017-12-06 (주)레이덱스 립스틱 제조용 몰드블록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826B1 (ko) * 2021-06-16 2022-11-04 (주)우정테크 다색 스틱형 화장품의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873B1 (ko) 2020-12-07
CN111700367A (zh)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915B1 (ko) 다색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타입 화장품의 충전방법
CN103002762B (zh) 用于在服饰上显示图像的装置
US4562606A (en) Method of producing footwear welt
RU2582707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обуви
KR102187873B1 (ko) 이종의 스틱형 화장품 충전 방법
US366367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otwear
US4217081A (en) Shoe sole molds
JP2020533333A (ja) トリュフ構成の化粧品
JP2002047135A (ja) 容器充填型固形化粧料の製造方法
KR100869054B1 (ko) 다색 분할된 성형체의 조합으로 된 파우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0455559Y1 (ko) 멀티 컬러 립스틱을 생산하기 위한 립스틱 성형치구
WO1998046436A1 (en) Highlighting lipstick
KR20090048995A (ko) 도형 문양을 갖는 식빵 제작용 성형틀
KR101947712B1 (ko) 스틱형 내용물의 멀티충전용기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101085457B1 (ko) 교체형 성형치구를 이용한 멀티 컬러 립스틱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3158558A (en) Method of making a hollow mold
CN210726941U (zh) 一种桌面用化妆品收纳盒
CN110507064B (zh) 棒型内容物用的多填充式容器及其填充方法
CN210581409U (zh) 一种口红收纳盒
EP3566616B1 (en) Multi-filling container for stick-type contents and method of filling the same
GB2139942A (en) A method of producing a footwear sole
KR102068147B1 (ko) 스틱형 내용물의 충전 기능이 개선된 멀티충전용기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CN202820055U (zh) 一种制备含内芯的功能唇膏的装置
US20210251367A1 (en) Process for producing lipsticks with special tridimensional surface effects and lipsticks obtained by such process
KR102441342B1 (ko) 이종 스틱형 화장품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