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112A -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112A
KR20200110112A KR1020190087469A KR20190087469A KR20200110112A KR 20200110112 A KR20200110112 A KR 20200110112A KR 1020190087469 A KR1020190087469 A KR 1020190087469A KR 20190087469 A KR20190087469 A KR 20190087469A KR 20200110112 A KR20200110112 A KR 20200110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asurement information
unit
health managemen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924B1 (ko
Inventor
유영효
배현경
김민석
박지윤
최지원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녹십자웰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2983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0635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녹십자웰빙 filed Critical (주)녹십자웰빙
Priority to KR102019008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924B1/ko
Priority to PCT/KR2020/003498 priority patent/WO2020189966A1/ko
Publication of KR2020011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는 생체 임피던스 장치로부터의 피측정자의 특정 측정정보가 입력되는 측정정보 획득부와, 특정 측정정보에 대한 기능성분들의 필요도를 결정하는 필요도 결정부와, 기능성분들의 결정된 필요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결과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Health management system and Health management apparatus using bio-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수분, 단백질, 뼈 및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수분, 단백질, 뼈 및 지방의 합은 체중을 이룬다. 체성분 측정은, 이러한 인체(또는, 다른 생명체)를 구성하는 개별 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체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생체 임피던스 분석(Bio-Impedance Analysis)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분석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 방법은, 적은 비용이 들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분석방법은 피측정자의 체내로 약한 교류 전류를 보냄으로써 인체의 전기 저항 또는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생체 임피던스 분석방법은 측정된 전기 임피던스(또는, 전기 저항) 및 피측정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체액의 양, 근육량, 및 체지방량 등을 산출할 수 있다.
피측정에 대한 정보는 피측정자의 신장, 체중, 연령 및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측정자에 대한 정보는, 측정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피측정자의 연령 및 성별은, 예컨대 키보드를 사용한, 입력 등을 통해 체성분 측정 기기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피측정자의 신장 및 체중은, 실제 측정 또는 입력을 통해 체성분 측정 기기로 입력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피측정자의 체성분등에 한정되어 있어서, 그 활용성의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8225호(2012.10.08.)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측정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능의학 검사 전에 사전 검사를 위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속적으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강관리장치는 생체 임피던스 장치로부터 피측정자의 특정 측정정보가 입력되는 측정정보 획득부; 데이터베이스에 진단대상자들에게 적용된 특정 기능성분들로 인한 복수의 측정항목 데이터의 개선정도를 기초로 수치적으로 설정된 필요가중치와, 기설정된 분류를 통해 상기 특정 측정정보를 변환한 수치를 연산함으로서, 각 기능성분들의 필요도를 수치적으로 결정하는 필요도 결정부; 상기 기능성분들의 상기 결정된 필요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결과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요도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항목, 상기 기능성분들간의 관계로부터 각각의 필요가중치를 생성하는 필요가중치 생성부; 상기 특정 측정정보의 수치와, 상기 필요가중치의 수치를 연산하여, 각 기능성분들의 필요도를 계산하는 필요도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요도 결정부는, 상기 필요가중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필요가중치가 저장되는 필요가중치 저장부; 일정조건에 따라 상기 필요가중치 저장부에 저장된 필요가중치들을 보정하는 필요가중치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측정정보는, n차 측정정보와, 상기 n차 측정정보 이후 특정 기능성분이 제공된 후에 측정한 n+1차 측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요가중치 보정부는, 상기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상기 n차 측정정보의 상기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보다 개선된 경우, 상기 특정 측정항목에 대한 상기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높이도록 보정하고, 상기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상기 n차 측정정보의 상기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보다 개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측정항목에 대한 상기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낮추도록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측정정보는, n차 측정정보와, 상기 n차 측정정보 이후 특정 기능성분이 제공된 후에 측정한 n+1차 측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요가중치보정부는, 상기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상기 n차 측정정보의 상기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보다 개선된 경우, 상기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높이도록 보정하고, 상기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상기 n차 측정정보의 상기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보다 개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낮추도록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요가중치 저장부는, 복수의 피측정자들에 대해 피측정자들 각각의 개인 필요가중치들이 저장되는 복수의 개인 필요가중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요가중치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피측정자들 중 공통된 특징을 가진 피측정자들을 분류한 일정 그룹에 대한 그룹 필요가중치들이 저장되는 그룹 필요가중치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 그룹에 속하는 피측정자들의 상기 개인 필요가중치들이 상기 필요가중치 보정부에 의해 일정비율 이상 동일한 보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상기 그룹 필요가중치 저장부의 상기 그룹 필요가중치들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정 그룹은, 성별, 연령별, 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분들의 필요도의 관한 정보와 함께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분석결과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결과생성부는, 상기 필요도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상기 기능성분들의 필요도 중 필요도가 높은 기능성분들과, 이에 대응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결과생성부는, 상기 제공된 기능성분들과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일정질환을 보유하는 경우 주의하여야 할 점에 대한 주의정보를 생성하는 주의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강관리장치 및 건강관리시스템을 통해 피측정자에게 맞춤형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강관리장치 및 건강관리시스템을 통해 기능의학 검사 전에 사전 검사로서, 건강정보를 미리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손쉽게 실행할 수 있는 생체 임피던스 장치를 통해 체성분 현황과 함께 부족영양군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어서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필요가중치 생성부의 블록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측정정보와 건강관리장치에서 생성된 필요가중치에 관한 표.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분석결과 제공부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능성분들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측정정보와 건강관리장치에서 생성된 필요가중치에 관한 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필요가중치 보정부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필요가중치 생성부의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필요가중치 보정부의 흐름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건강관리시스템(1)은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로부터 얻는 측정정보를 통해 기능성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건강관리시스템(1)은 기능성분들과 함께 기능성분들에 대응하는 건강기능식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피측정자의 건강이 개선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의료진은 건강관리시스템(1)을 통해 환자의 기초영양 건강정보를 알기 위해, 정밀검사 전에 기초검사로 활용할 수 있다.
기능성분들은 건강기능성 성분일 수 있다. 기능성분들은 비타민C, NAC, 리포산, 글루타치온, 셀레늄 , 아르기닌, 글루타민, 카르틴, 인태반유래아미노산, 글리시리진, 마그네슘, 아연, 칼슘, B5, 비타민B군, 비타민D, 글루텐 카제인 분해효소, 실리마린, 오메가3, 카테킨, 코엔자임Q10, 에노카디, 프로바이오틱스, 홍경천, 테아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기능성분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기능성분이면 이를 만족한다.
건강관리시스템(1)은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와, 건강관리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는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 예를 들면, 체성분, BMI(Body Mass Index), 생체 임피던스 또는 몸무게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체성분(body composition)이란 몸을 이루고 있는 성분을 나타낸다. 체성분은 몸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나타내는 체수분, 몸에 존재하는 지방의 양을 나타내는 체지방, 몸에 존재하는 근육의 양을 나타내는 근육량을 포함할 수 있다. 체성분은 피측정자의 체중, 체지방량, 내장지방 단면적, 부위별 체지방량, 체수분량, 세포내수분량, 세포외수분량, 세포내액량, 세포외액량, 세포외수분비, 세포외액비, 제지방량, 골격근량 및 부위별 근육량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지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에서 측정 및 분석되는 항목들을 측정항목이라 정의하고, 측정항목들에 해당하는 수치를 측정항목 데이터라고 정의할 수 있다.
BMI(Body Mass Index)란 신체 질량 지수를 나타내며, 신장과 체중의 비율을 이용하여 체중을 객관화 하기 위한 지수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BMI란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는 제어부와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의 센서와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생성된 생체정보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건강관리장치(20) 또는 사용자단말(5)로 전달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장치(20)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로부터 얻은 체성분, BMI등의 정보(이하 ‘측정정보’)로부터 피측정자의 건강을 관리 또는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건강관리장치(20)는 측정정보로부터 피측정자의 부족기능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측정정보는 의료설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측정정보는 피측정자에 의해 작성된 의료설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필요가중치 생성부의 블록도이다.
건강관리장치(20)는 측정정보획득부(30)와, 필요도결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정보획득부(30)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로부터 송신된 측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측정정보획득부(30)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의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설명하는 측정정보획득부(30)는 분석결과 제공부(90)와 함께 건강관리장치(20)의 통신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건강관리장치(20)의 통신부는 측정정보획득부(30)와 분석결과 제공부(90)를 수행할 수 있다.
건강관리장치(20)의 통신부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단말(5))와 유선으로 통신하는 유선 통신 모듈과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단말(5)은 건강관리장치(20)와 연결되는 통신 기능과 이미지나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의료진, 의료기관 또는 피측정자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장치(20)와 사용자단말(5)은 한정되지 않으며, 전용모니터링 기기,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서버,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건강관리장치(20)로부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게이트웨이까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게이트웨이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은 이더넷을 통하여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게이트웨이를 거쳐 통신망 상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단말(5)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72)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접속 중계기(Access Point, AP) (또는 사용자의 게이트웨이)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72)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를 통하여 접속 중계기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72)은 접속 중계기와 게이트웨이를 거쳐 통신망 상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단말(5)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처럼, 건강관리장치(20)의 통신부는 건강관리장치(20)의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단말(5)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단말(5)로부터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로부터 획득된 통신 데이터를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단말(5)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와 건강관리장치(20)는 직접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와 건강관리장치(20)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측정정보획득부(30)는 통신부를 거치지 않고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로부터의 측정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필요도결정부(40)는 측정정보획득부(30)에 의해 수신된 측정정보로부터 기능성분들의 필요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필요도는 피측정자에게 요구되는 기능성분에 있어서, 요구되는 정도를 수치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건강관리장치(20)는 측정정보들로부터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도가 높게 계산되면, 해당 특정 기능성분 또는 해당 특정 기능성분이 포함된 건강기능성식품을 섭취할 것을 제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측정정보와 건강관리장치에서 생성된 필요가중치에 관한 표이다. 앞선 도면들과 함께 설명한다.
필요도 결정부(40)는 필요가중치 생성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가중치는 측정정보의 복수의 측정항목에 대해 복수의 기능성분들이 필요한 정도를 나타낸다. 필요가중치는 측정정보 각 측정항목에 대한 기능성분의 영향도로 정의할 수도 있다. 즉, 기능성분의 필요도는 복수의 측정항목에 대한 기능성분의 영향도인 필요가중치들의 합을 의미한다. 적용되는 필요가중치는 도 4a, 4b의 T2와 같이 기재할 수 있고, 측정항목들이 나열되는 T1과 함께 기재될 수 있다. 이러한 필요가중치들의 합이 필요도가 될 수 있다.
필요가중치 생성부(50)는 측정정보의 다양한 측정항목들에 대해 각 기능성분들의 필요가중치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필요가중치 생성부(50)는 기계학습부(52)와, 필요가중치 저장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학습부(5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기초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계학습이 이루어지며, 관련된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기계학습부(5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적용된 복수의 기능성분들과, 측정정보들간의 관계를 학습하는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기계학습부(52)는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복수의 측정정보의 복수의 측정항목 데이터와, 제공된 기능성분들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즉, 기계학습모델은 적용 또는 제공된 복수의 기능성분들과, 복수의 측정항목들간의 관계를 학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측정정보의 다양한 측정항목들은 세부적으로 분류되어, 정상범주(분류 3), 미달범주(분류1, 2), 초과범주(분류 4, 5)로 구분될 수 있다. 정상범주, 미달범주, 초과범주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명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계학습부(52)는 적용 또는 제공된 복수의 기능성분들과, 측정항목들의 분류들간의 관계를 학습하여, 측정항목의 개선여부 또는 개선된 정도를 기초로 필요가중치들을 생성하는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측정자의 측정정보는 수치에 따라 도 4a, 4b와 같이 분류 1 내지 5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분류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계학습부(52)는 도 4a와 같이 적용된 복수의 기능성분들과, 복수의 측정항목들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도 4b와 같이 적용된 복수의 기능성분들과, 학습의료설문정보간의 관계를 학습한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적용된 복수의 기능성분들과, 측정정보들간의 관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과거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에 의해 측정된 피측정자들의 측정정보와, 피측정자들이 복용한 기능성분들의 관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새로운 피측정자들의 측정정보 또는 기존 피측정자들의 갱신된 측정정보들과, 해당 피측정자들이 복용한 기능성분들의 관계가 새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측정정보와, 기능성분들의 관계에 대한 논문, 임상실험, 의료진들의 의견들이 수치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기능성분들과, 복수의 측정항목들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적용된 복수의 기능성분들과, 의료설문정보간의 관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기계학습모델의 생성은 로지스틱 회귀법(logistic regression), 서포트 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그라디언트 부스팅(gradient boosting),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등의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에 의해 측정된 피측정자들의 측정정보와, 피측정자들이 복용한 기능성분들의 관계에 대한 기계학습이 이루어지면 이를 만족하고, 적용되는 알고리즘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기계학습부(52)에 의해 생성된 기계학습모델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에 의해 측정된 피측정자들의 측정정보와, 피측정자들이 복용한 기능성분들의 관계를 학습함으로서, 피측정자들의 측정정보와 복용한 기능성분들간의 필요가중치들을 생성할 수 있다. 기계학습모델은 상기 관계를 측정정보들에 대한 기능성분들의 필요가중치들의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필요가중치 저장부(54)는 기계학습모델에 의해 생성된 필요가중치들이 저장되도록 마련된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에 대한 정보와, 필요가중치 저장부(54)에 저장된 필요가중치들은 도 4a, 4b과 같이 각각 T1, T2로 표현할 수 있다. 도 4a, 4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능성분들의 일 종류로서 성분 1,2,3을 예로 들었으나, 기능성분들의 종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가중치 생성부(50)는 기계학습을 통해 필요가중치를 생성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가중치 생성부(50)에는 측정정보와, 기능성분들의 관계에 대한 논문, 임상실험, 의료진들의 의견들을 통해 기설정된 필요가중치들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필요가중치들은 복수의 기능성분들과 측정정보들의 관계사이에서 도 4와 같이 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필요도 결정부(40)는 필요도 계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도 계산부(70)는 측정정보획득부(30)에 의해 획득된 피측정자의 측정정보와, 필요가중치 저장부(54)에 저장된 필요가중치들로부터 각 기능성분들의 필요도를 계산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피측정자가 여성이고, 체지방률은 17%이고, 기초대사량은 1200kcal인 경우, 도 4a에서의 P1과 같이 체지방률에 대해서는 기능성분들의 종류인 성분1은 0, 성분2는 1, 성분3은 1의 필요가중치가 적용되고, 도 4a에서의 P2과 같이 기초대사량에 대해서는 성분1은 1, 성분2는 1, 성분3은 0의 필요가중치가 적용된다. 종합적으로 피측정자의 성분1 필요도는 1, 성분2 필요도는 2, 성분3 필요도는 1이 된다. 이렇게 계산된 필요도는 이후 분석결과 생성부(80)에 의해 필요도 정보와 함께, 해당 기능성분들의 건강기능식품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시에서는 성분2의 필요도가 2로서, 성분1, 3의 필요도보다 높게 계산이 되었으므로, 성분2와 함께 성분2의 필요도가 피측정자에게 추천 또는 제안될 수 있다. 또한 피측정자에게 성분2와 함께 성분2에 해당하는 건강기능식품이 제안될 수 있다. 물론 피측정자에게 성분1, 성분3의 필요도 및 성분1, 성분3에 해당하는 건강기능식품들도 제안될 수 있다.
상기 예시 및 도 4a에서 측정항목은 체지방률과, 기초대사량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측정정보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분들은 세 가지가 있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성분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는 설문1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문의 형태 및 개수, 내용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분석결과 제공부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능성분들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표이다. 앞선 도면들과 함께 설명한다.
건강관리장치(20)는 분석결과 생성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결과 생성부(80)는 필요도 결정부(40)에서 결정된 각 기능성분들의 필요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분석결과 생성부(80)는 필요도 정보생성부(82)와, 건강기능식품 정보생성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도 정보생성부(82)는 앞서 필요도 계산부(70)에서 합산된 필요도를 기능성분별로 나열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필요도 정보생성부(82)에 의해 기능성분과 해당 필요도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며, 생성된 정보는 이후 설명하는 분석결과 제공부(90)에 의해 도 5a에서의 A1와 같이 기재될 수 있다. 기능성분의 설명에 대해서는 도 5a에서의 A2와 링크 연결된 도 5b와 같이 기재될 수 있다. 도 5b에서는 기능성분에 대한 설명만을 도시하였으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설명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a와 도 5b를 일례로 기재하였으나, 정보제공방법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건강기능식품 정보생성부(84)는 기능성분별 필요도에 기초하여, 해당기능성분에 해당하는 건강기능식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능성분들과 건강기능식품들과의 관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도 정보생성부(82)에서 기능성분별 필요도와 매칭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기능성분들에 매칭되는 건강기능식품들은 이후 설명하는 분석결과 제공부(9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기능성분들에 대한 건강기능식품들은 도 6과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분석결과 생성부(80)는 주의정보 생성부(86)를 포함할 수 있다.
주의정보 생성부(86)는 기능성분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주의정보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즉, 필요도 정보생성부(82)와, 건강기능식품 정보생성부(84)에서 제시되는 필요도가 높은 기능성분들과, 건강기능식품들에 대해 섭취시 주의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주의정보와 기능성분들, 건강기능식품들의 관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주의정보는 이후 설명하는 분석결과 제공부(90)에 의해 도 5a에서의 A3와 같이 기재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a를 일례로 기재하였으나, 정보제공방법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주의정보는 활동사항, 영양사항, 수면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활동사항은 운동이나 일반생활에 있어서 주의할 점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영양사항은 음식, 식습관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수면사항은 수면습관, 수면과 관련한 식습관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주의정보 생성부(86)는 계산된 필요도와 기능성분 종류를 기초로 활동사항, 영양사항, 수면사항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주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의정보는 질병, 질환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질환이 있는 경우 주의해야 할 기능성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정질환에 대해 특정 기능성분이 건강에 해로우며 피측정자가 특정 기능성분에 대해 필요도가 높게 나왔다고 하더라도, 주의정보 생성부(86)는 도 5a의 A3에서와 같이 기재되도록 특정 기능성분에 대한 섭취 주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건강관리장치(20)는 분석결과 제공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결과 제공부(90)는 분석결과 생성부(80)에서 생성된 분석결과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분석결과 제공부(90)는 건강관리장치(2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분석결과 제공부(90)는 건강관리장치(20)의 통신부를 통해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단말(5)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된 데이터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 또는 사용자단말(5)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될 수 있다.
분석결과 제공부(90)는 도 5a, 5b와 같이 각 기능성분들에 대한 필요도정보와 함께 도 6과 같이 각 기능성분에 대한 설명과, 대응되는 건강기능식품들의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분석결과 제공부(9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들의 기초적인 건강정보를 미리 알 수 있어서, 이러한 건강정보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진료를 할 수 있고, 기능의학 검사에 앞선 사전검사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피측정자는 건강관리장치(20)를 통해 생체정보와 함께, 부족기능성분을 알 수 있어서,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흐름도이다.
건강관리장치(20)는 측정정보획득부(30)를 통해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10)로부터 측정된 측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측정정보는 필요가중치 생성부(50)에 의해 생성된 필요가중치를 통해 기능성분들의 필요도가 계산된다(S110). 필요가중치는 기계학습부(52)와 필요가중치 저장부(5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계산된 기능성분들의 필요도는 기능성분들의 정보와 함께 분석결과 제공부(9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S120). 또한 분석결과 제공부(90)는 기능성분들과 대응되는 건강기능식품들, 주의정보들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측정정보와 건강관리장치에서 생성된 필요가중치에 관한 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필요가중치 보정부의 흐름도이다.
필요도 결정부(40)는 필요가중치 보정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된 기계학습모델로부터 생성되어 필요가중치 저장부(54)에 저장된 필요가중치들은 필요가중치 보정부(60)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필요가중치 생성부(50)에서 생성되는 필요가중치를 보정하도록 마련된다.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일정조건에 따라 필요가중치를 보정하도록 마련된다.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기초로 필요가중치를 보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피측정자의 측정정보들이 누적 및 갱신되고, 측정정보들과 함께 제안되거나 복용된 건강기능식품정보가 누적 및 갱신될 수 있다.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제안되거나 복용된 기능성분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필요가중치를 상승 또는 하락시킴으로서, 필요가중치를 보정하도록 마련된다. 필요가중치들의 보정은 측정정보의 복수의 측정항목 데이터의 개선여부를 기준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개선의 기준은 미달범주(분류1, 2), 초과범주(분류 4, 5)에서 정상범주(분류 3)로 가까워지는 것을 개선으로, 멀어지는 것을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건강관리장치(20)는 보다 개개인에게 맞춤형 건강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각 기능성분별 측정항목의 필요가중치를 보정할 수 있다. 즉,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도 9에서의 A1, A2, A3, A4, B1, B2, B3, B4, C1, C2, C3, C4 섹터를 개별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1은 도 4를 참고하면, 분류 1 내지 5의 필요가중치는 A1(0,0,1,2,3)이다. 필요가중치 보정부(60)에 의해 상승하는 보정시에는 A1(0,0,1,2,3)은 A1(0,1,2,3,4)로, 하락하는 보정시에는 A1(0,0,0,1,2)로 순차적으로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는 필요가중치 보정부에 의한 필요가중치의 보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서와 같이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측정자의 n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와, n차 측정정보 이후 필요도 계산부(70)와 분석결과 생성부(80)에 제안된 특정 기능성분 또는 특정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한 후에 측정한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를 획득한다(S200).
이후 n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와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에서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개선되었는 지를 비교한다(S210).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개선되었는 지를 판단(S220)하여,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개선된 경우에는 해당 일정항목에 대한 제안된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S230).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개선되었는 지를 판단(S220)하여, 반대로 n+1차 측정정보에서 해당 특정 측정항목이 개선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일정항목에 대한 제안된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낮출 수 있다(S240).
일례로, 여성 피측정자가 1차 측정정보에서 체지방률이 분류2, 기초대사량이 분류 2가 제시되었고, 건강관리장치(20)에 의해 성분2에 해당하는 건강기능식품이 제안되었다고 가정한다.
여성 피측정자의 2차 측정정보에서 체지방률과 기초대사량이 개선되어 각각 분류 3이 된 경우에는 도 8에서의 B1, B2에 해당하는 필요가중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필요가중치를 상승시킴에 따라 피측정자에 대한 제안된 건강기능식품의 영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여성 피측정자의 2차 측정정보에서 체지방률과 기초대사량이 개선되지 않고 동일하게 분류 2에 속하거나, 정상범주로부터 더 벗어난 경우에는 도 8에서의 B1, B2에 해당하는 필요가중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 즉, 필요가중치를 하락시킴에 따라 피측정자에 대한 제안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향도를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기능성분들의 필요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됨으로서, 다른 기능성분들에 해당하는 건강기능식품이 제안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필요가중치 생성부의 블록도이다.
필요가중치 저장부(54)는 복수의 필요가중치 저장부(54a, 54b, 54c, 54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필요가중치 저장부(54)는 복수의 개인 필요가중치 저장부(54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인 필요가중치 저장부(54a)에는 각각의 개인의 필요가중치들이 저장될 수 있다.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개인 필요가중치 저장부(54a)에 저장된 개인의 필요가중치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별로 기능성분들의 영향도 차이를 둠으로서, 보다 개개인에게 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그룹 필요가중치 저장부(54b, 54c, 54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필요가중치 저장부(54b, 54c, 54d)는 복수의 피측정자들 중 공통된 특징을 가진 피측정자들을 분류한 일정 그룹에 대한 그룹 필요가중치가 저장되도록 마련된다. 그룹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공통된 특징의 종류도 한정되지 않는다. 개인 필요가중치 보정부(54a)는 그룹 필요가중치 저장부(54b, 54c, 54d)와 독립될 수 있다.
일정 그룹에 속하는 피측정자들의 개인 필요가중치들이 필요가중치 보정부(60)에 의해 일정비율이상 동일한 방향으로 보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해당 그룹 필요가중치 저장부의 그룹 필요가중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일정비율은 70%일 수 있다. 그러나 일정비율의 범위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룹 필요가중치저장부(54b, 54c, 54d)에서 보정된 그룹 필요가중치들은 새로 측정되는 피측정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그룹 필요가중치 저장부는 연령별 필요가중치 저장부(54b), 성별 필요가중치 저장부(54c), 전체 필요가중치 저장부(54d)를 포함할 수 있다. 연령별 필요가중치 저장부(54b), 성별 필요가중치 저장부(54c), 전체 필요가중치 저장부(54d)는 각각 연령별 그룹, 성별그룹, 피측정자 전체그룹의 필요가중치들이 저장될 수 있다. 필요가중치 보정부(60)에 의해 연령별, 성별, 피측정자 전체등 일정 그룹의 필요가중치가 달리 보정됨에 따라, 건강관리장치(20)는 일정 그룹에 대해 보다 맞춤형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연령별, 성별, 피측정자 전체에 대한 기능성분들의 영향도 차이를 둠으로서, 보다 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5세~30세의 그룹에서 일정비율이 A1 섹터의 필요가중치가 하락하는 보정이 이루어진 경우,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연령별 필요가중치 저장부(54b) 중 25~30세의 그룹에 대한 필요가중치를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보정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장치의 필요가중치 보정부의 흐름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각 기능성분별 측정항목의 필요가중치를 보정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기능성분별로 필요가중치를 보정할 수 있다. 즉, 필요가중치 보정부(60)는 도 9에서의 성분1의 필요가중치(A1, A2, A3, A4), 성분2의 필요가중치(B1, B2, B3, B4), 성분3의 필요가중치(C1, C2, C3, C4)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2에서와 같이, 피측정자의 n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와, n차 측정정보 이후 필요도 계산부(70)와 분석결과 생성부(80)에 제안된 특정 기능성분 또는 특정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한 후에 측정한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를 획득한다(S300).
이후 n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와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에서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개선되었는 지를 비교한다(S310).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개선되었는 지를 판단(S320)하여,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개선된 경우에는 제안된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S330).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개선되었는 지를 판단(S320)하여, 반대로 n+1차 측정정보에서 해당 특정 측정항목이 개선되지 않았을 경우 제안된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낮출 수 있다(S340).
일례로, 여성 피측정자가 1차 측정정보에서 체지방률이 분류 2, 기초대사량이 분류 2가 제시되었고, 건강관리장치(20)에 의해 성분 2의 필요도가 높게 계산됨에 따라, 성분2와, 성분2에 대응하는 건강기능식품이 제안되었다고 가정한다.
여성 피측정자의 2차 측정정보에서 체지방률과 기초대사량이 개선되어 각각 분류 3(정상)이 된 경우에는 도 9에서의 성분 2에 해당하는 B1, B2, B3, B4에 해당하는 필요가중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필요가중치를 상승시킴에 따라 피측정자에 대한 제안된 건강기능식품의 영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여성 피측정자의 2차 측정정보에서 체지방률과 기초대사량이 개선되지 않고 동일하게 분류 2에 해당하거나, 정상범주로부터 더 벗어난 경우에는 도 9에서의 성분 2에 해당하는 B1, B2, B3, B4의 필요가중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 즉, 필요가중치를 하락시킴에 따라 피측정자에 대한 제안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향도를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기능성분들의 필요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됨으로서, 다른 기능성분들에 해당하는 건강기능식품이 제안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건강관리시스템 10 : 생체 임피던스 장치
20 : 건강관리장치 30 : 측정정보획득부
40 : 필요도 결정부 50 : 필요가중치 생성부
52 : 기계학습부 54 : 필요가중치 저장부
80 : 분석결과 생성부 90 : 분석결과 제공부

Claims (10)

  1. 생체 임피던스 장치로부터 피측정자의 특정 측정정보가 입력되는 측정정보 획득부;
    데이터베이스에 진단대상자들에게 적용된 특정 기능성분들로 인한 복수의 측정항목 데이터의 개선정도를 기초로 수치적으로 설정된 필요가중치와, 기설정된 분류를 통해 상기 특정 측정정보를 변환한 수치를 연산함으로서, 각 기능성분들의 필요도를 수치적으로 결정하는 필요도 결정부;
    상기 기능성분들의 상기 결정된 필요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결과제공부;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도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항목, 상기 기능성분들간의 관계로부터 각각의 필요가중치를 생성하는 필요가중치 생성부;
    상기 특정 측정정보의 수치와, 상기 필요가중치의 수치를 연산하여, 각 기능성분들의 필요도를 계산하는 필요도 계산부;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도 결정부는,
    상기 필요가중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필요가중치가 저장되는 필요가중치 저장부;
    일정조건에 따라 상기 필요가중치 저장부에 저장된 필요가중치들을 보정하는 필요가중치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측정정보는,
    n차 측정정보와, 상기 n차 측정정보 이후 특정 기능성분이 제공된 후에 측정한 n+1차 측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요가중치 보정부는,
    상기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상기 n차 측정정보의 상기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보다 개선된 경우, 상기 특정 측정항목에 대한 상기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높이도록 보정하고,
    상기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상기 n차 측정정보의 상기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보다 개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측정항목에 대한 상기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낮추도록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측정정보는,
    n차 측정정보와, 상기 n차 측정정보 이후 특정 기능성분이 제공된 후에 측정한 n+1차 측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요가중치보정부는,
    상기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상기 n차 측정정보의 상기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보다 개선된 경우, 상기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높이도록 보정하고,
    상기 n+1차 측정정보의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가 상기 n차 측정정보의 상기 특정 측정항목 데이터보다 개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기능성분의 필요가중치를 낮추도록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가중치 저장부는,
    복수의 피측정자들에 대해 피측정자들 각각의 개인 필요가중치들이 저장되는 복수의 개인 필요가중치 저장부;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가중치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피측정자들 중 공통된 특징을 가진 피측정자들을 분류한 일정 그룹에 대한 그룹 필요가중치들이 저장되는 그룹 필요가중치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 그룹에 속하는 피측정자들의 상기 개인 필요가중치들이 상기 필요가중치 보정부에 의해 일정비율 이상 동일한 보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상기 그룹 필요가중치 저장부의 상기 그룹 필요가중치들을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그룹은,
    성별, 연령별, 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그룹을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분들의 필요도의 관한 정보와 함께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분석결과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결과생성부는,
    상기 필요도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상기 기능성분들의 필요도 중 필요도가 높은 기능성분들과, 이에 대응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기능식품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생성부는,
    상기 제공된 기능성분들과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일정질환을 보유하는 경우 주의하여야 할 점에 대한 주의정보를 생성하는 주의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장치.
KR1020190087469A 2019-03-15 2019-07-19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KR102426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69A KR102426924B1 (ko) 2019-03-15 2019-07-19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PCT/KR2020/003498 WO2020189966A1 (ko) 2019-03-15 2020-03-13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838A KR102006350B1 (ko) 2019-03-15 2019-03-15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KR1020190087469A KR102426924B1 (ko) 2019-03-15 2019-07-19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38A Division KR102006350B1 (ko) 2019-03-15 2019-03-15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112A true KR20200110112A (ko) 2020-09-23
KR102426924B1 KR102426924B1 (ko) 2022-07-29

Family

ID=7252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469A KR102426924B1 (ko) 2019-03-15 2019-07-19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6924B1 (ko)
WO (1) WO2020189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415B1 (ko) 2020-11-06 2023-03-09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 임피던스 계측용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225B1 (ko) 2010-05-27 2012-10-08 (주)라이프앤진 개인별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관리 시스템
KR20160080347A (ko) * 2014-12-29 2016-07-08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KR101806880B1 (ko) * 2015-08-24 2017-12-08 (주)매직에코 약 복용 관리 시스템
KR20180015804A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팜팜 건강 기능 식품 및 영양 성분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09A (ko) * 1999-11-04 2000-02-07 최창묵 휴대용 다이어트관리기
KR101732128B1 (ko) * 2016-10-13 2017-05-02 주식회사 제니스헬스케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영양식단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225B1 (ko) 2010-05-27 2012-10-08 (주)라이프앤진 개인별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관리 시스템
KR20160080347A (ko) * 2014-12-29 2016-07-08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KR101806880B1 (ko) * 2015-08-24 2017-12-08 (주)매직에코 약 복용 관리 시스템
KR20180015804A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팜팜 건강 기능 식품 및 영양 성분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9966A1 (ko) 2020-09-24
KR102426924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0394B2 (en) Lifestyle management supporting apparatus and lifestyle management supporting method
Picciano et al. Dietary supplement use among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1999-2002
US201703447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health regimen
JP5926517B2 (ja) 個人の健康およびウェルネスの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命令を含む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TWI658813B (zh) 飲食限制之遵從系統
Tsukayama et al. Self-control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overweight status in the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US20180233064A1 (en) Nutrition scoring system
JP2020184349A (ja) ヘルストラッキングデバイス
WO2013065246A2 (en) Diathesis determination apparatus, diathesis determination method, health assistance apparatus, health assistance method, program, terminal apparatus, and health assistance system
KR102067282B1 (ko) 모바일 건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별적으로 맞춤화되고, 피어-파생 메시지의 자동 구성
US20150379226A1 (en) Health management system, health management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2400740B1 (ko) 사용자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분석 방법
JP2020529297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量の栄養補助食品および機能性補助食品を送達する分配システム
WO201823408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ALCULATING, DISPLAYING, MODIFYING AND USING A SINGLE FOOD RECEPTORE SCREEN REFLECTING THE OPTIMUM QUANTITY AND QUALITY OF CONSUMABLE PRODUCTS
CN110838367A (zh) 健康风险综合评估方法
US10548528B2 (en) Smartphone device for body analysis
US20170242971A1 (en) Characteristic evaluation apparatus,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characteristic evalu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 evaluation program
Mauldin et al. Performing nutrition assessment remotely via telehealth
CN110634543A (zh) 一种减脂管理平台及其实现方法
Tamura et al. Assessment of participant compliance with a Web-based home healthcare system for promoting specific health checkups
KR102426924B1 (ko)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KR102006350B1 (ko)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Gardner et al. Electronic physiologic and subjective data acquisition in home-dwelling heart failure patients: An assessment of patient use and perception of usability
KR101572687B1 (ko)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US20200395116A1 (en) Systems and methods that provide a positive experience during weigh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