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880B1 - 약 복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약 복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880B1
KR101806880B1 KR1020150125408A KR20150125408A KR101806880B1 KR 101806880 B1 KR101806880 B1 KR 101806880B1 KR 1020150125408 A KR1020150125408 A KR 1020150125408A KR 20150125408 A KR20150125408 A KR 20150125408A KR 101806880 B1 KR101806880 B1 KR 10180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unit
circuit
data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691A (ko
Inventor
최형욱
Original Assignee
(주)매직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직에코 filed Critical (주)매직에코
Publication of KR2017002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5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키를 비롯한 신체정보를 측정하여 적절한 약을 선택 및 트리거링하여 복용자에게 최적화된 약 조합을 제공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측정부를 구비한 신장측정모듈과, 상기 신장측정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신장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신장 별 약 조합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및, 수신된 상기 신장데이터에 해당하는 약 조합 데이터를 산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처리모듈과, 상기 신장측정모듈 및 처리모듈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약 복용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MEDICINE DOSE}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연동을 통한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키를 비롯한 신체정보를 측정하여 적절한 약을 선택 및 트리거링하여 복용자에게 최적화된 약 조합을 제공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약 복용 방식은 복용자(특히 성장기 어린이)의 상태에 따라 조합을 달리하거나, 또는 복용량을 달리하는 등, 복용자의 상태에 따른 유동적인 약 복용 관리가 불가능하여 영양제를 과다 섭취하거나 필요한 약을 제 때 복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약 복용을 정기적으로 관리해주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약 복용 관리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81039호 (2013년06월26일) [환자의 약 복용을 실시간 관리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관리 방법](이하 종래기술1)이 있는데, 종래기술1은 약을 복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통신을 이용하여 약 복용 시간을 알리고, 환자의 약 복용 현황을 관리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에서는 약 복용 처방 정보의 등록을 통한 환자의 약 복용을 관리하기 때문에, 영양제, 건강 보조제, 비타민 약 등과 같은 처방전이 제공되지 않는 약에 대해서는 복용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고, 나아가 특히 성장기 환자의 성장 정도, 발달 상태 등을 고려한 약 복용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97307호 (2015년02월24일)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이하 종래기술2)이 있는데, 종래기술2에서도 역시 약포 패키지 정보에 관한 복용 관리가 이루어지는 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처방전이 제공되지 않는 약에 대한 복용 관리뿐만 아니라 성장기 환자의 성장 정도, 발달 상태 등을 고려한 약 복용 관리에 대한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키를 비롯한 신체정보를 측정하여 적절한 약을 선택 및 트리거링하여 복용자에게 최적화된 약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벽에 간편하게 설치되는 신장측정모듈을 통해 정확하게 측정된 복용자를 키를 이용하여 복용자의 성장상태 및 발육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약을 선택 및 트리거링하여 복용자에게 최적화된 약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측정부를 구비한 신장측정모듈과, 상기 신장측정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신장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신장 별 약 조합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및, 수신된 상기 신장데이터에 해당하는 약 조합 데이터를 산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처리모듈과, 상기 신장측정모듈 및 처리모듈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장측정모듈은 측정 위치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설치 높이를 확인하는 설치확인부, 측정 대상이 측정 위치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대상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 설치확인부 및 대상확인부는 조도센서, 적외선센서 및 초음파센서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신장측정모듈로부터 측정된 신장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와, 사용자의 체중, 체온, 기초대사량 및 활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다수의 외부기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신장데이터 외 체중데이터, 체온데이터, 기초대사량데이터 및 활동량데이터를 더 처리하여 약 조합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처리부는 복약할 약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약 변경 판단파트, 복용할 약의 유무를 판단하는 약 유무 판단파트, 복약이 필요한 약을 추천하는 약 추천파트 및 알람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키를 비롯한 신체정보를 측정하여 적절한 약을 선택 및 트리거링하여 복용자에게 최적화된 약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용자의 성장상태 및 발육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약을 선택 및 트리거링하여 복용자에게 최적화된 약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장 측정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 구성도.
도 3은 신장측정모듈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연동을 통한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키를 비롯한 신체정보를 측정하여 적절한 약을 선택 및 트리거링하여 복용자에게 최적화된 약 조합을 제공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D))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신장측정모듈(1)의 실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측정부(10)를 구비한 신장측정모듈(1)은 벽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자의 키를 측정한다. 신장 측정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신장측정모듈(1)이 설치된 벽면에 등을 댄 채로 직립하면 신장측정모듈(1)이 사용자가 측정 위치에 자리 잡았는지를 확인한 후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여 신장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신장측정모듈(1)은 조도센서, 적외선센서 및 초음파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측정부(10)는 이 센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2(구성도)에는 본 시스템(D)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D)은 신장측정모듈(1), 처리모듈(2), 연동수단(3) 및 외부기기(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시스템(D)은 신장측정모듈(1)로부터 측정된 신장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서버를 통해 신장측정모듈(1)에 구비될 수 있는 메모리의 용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D)에서 외부기기(E)는 사용자의 체중, 체온, 기초대사량 및 활동량을 측정하고 처리모듈(2)로 전송하는데, 이에 처리모듈(2)은 사용자의 신장데이터 외 사용자의 체중데이터, 체온데이터, 기초대사량데이터 및 활동량데이터를 더 처리하여 약 조합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외부기기(E)를 통한 사용자의 체중데이터, 체온데이터, 기초대사량데이터 및 활동량데이터 수집은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이러한 외부기기(E)의 구성은 사용자의 신체 발달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약 복용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신장측정모듈(1)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측정모듈(1)은 상기한 측정부(10) 외 설치확인부(11), 대상확인부(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도 3에서는 신장측정모듈(1)에 구비된 출력수단, 연동수단(3) 및 전원공급수단(5)의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설치확인부(11)는 본 시스템(D)을 적용함에 있어서, 신장측정모듈(1)의 설치 높이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측정 위치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설치 높이를 확인하는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 바닥에 설치된 칼리브레이션(Calibration) 페이퍼를 스캔하여 설치 높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대상확인부(13)는 측정 대상이 측정 위치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지 확인하는 구성으로, 벽면에 설치된 신장측정모듈(1)의 하부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측정부(10), 설치확인부(11), 대상확인부(13)는 조도센서, 적외선센서 및 초음파센서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하 도 4를 통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정의 시작 및 종료, 측정 결과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구성이다.
또한 연동수단(3)은 신장측정모듈(1), 처리모듈(2) 및 외부기기(E) 등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저 전력 블루투스(BLE) 또는 와이파이(Wi-fi)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원공급수단(5)에 대한 실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도 6을 참고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1실시예)로, 신장측정모듈(1)을 통한 신장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시스템(D)을 이루는 신장측정모듈(1)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신장측정모듈(1)은 벽면에 설치된 후 기준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 과정은 신장측정모듈(1)이 기 측정된 설치정보를 불러옴으로써 진행되는데, 기 측정된 설치정보, 즉 신장측정모듈(1)의 설치 높이에 대한 정보는 신장측정모듈(1)에 구비된 메모리로부터 불러올 수 있고, 또는 본 시스템(D)에 구비된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전송받는 형태로 불러올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기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치 높이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 과정은 신장측정모듈(1)에 구비된 설치확인부(11)를 통해 진행된다. 설치확인부(11)는 초음파센서 및 적외선센서를 통해 구현되는데, 측정 위치의 바닥면까지의 거리 값을 초음파센서와 적외선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신장측정모듈(1)의 설치 높이 값을 산출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신장측정모듈(1)의 설치정보를 수집한 다음, 신장측정모듈(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확인부(13)를 통해 측정 대상(사용자)이 측정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대상확인부(13)는 조도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위치에 존재함에 따른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이 후 대상의 존재가 확인되면 신장측정모듈(1)은 측정부(10)를 통한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데, 적외선센서 및 초음파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가장 상단(머리 끝 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 값을 미리 측정한 신장측정모듈(1) 설치 높이 값에서 감산하여 사용자의 신장데이터 값을 산출한다.
다음 과정으로, 측정된 값은 데이터 서버 또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또한 신장데이터 값을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2실시예)로, 신장측정모듈(1)로부터 전송된 신장데이터를 이용한 처리모듈(2)의 약 복용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시스템(D)이 측정된 신장데이터를 통해 약 복용 관리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모듈(2)은 신장측정모듈(1)로부터 사용자의 신장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21), 신장 별 약 조합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22) 및, 수신된 신장데이터에 해당하는 약 조합 데이터를 산출하는 처리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처리부(23)는 복약할 약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약 변경 판단파트(24), 복용할 약의 유무를 판단하는 약 유무 판단파트(25), 복약이 필요한 약을 추천하는 약 추천파트(26) 및 알람파트(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처리모듈(2)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처리모듈(2)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에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처리모듈(2)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처리모듈(2)은 약 복용 관리를 위해 추천모드 사용 여부를 입력받는다. 만약 사용자가 추천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본인이 직접 약 복용 관리를 진행하게 된다.
추천모드 선택 시, 처리모듈(2)은 수신부(21)를 통해 신장측정모듈(1)에서 측정된 신장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22)로부터 신장 별 약 조합 데이터를 로드하여 복약 조건을 분석하게 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모듈(2)은 외부기기(E)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체중데이터, 체온데이터, 기초대사량데이터 및 활동량데이터를 추가로 활용하여 복약 조건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복약조건을 분석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처리부(23)의 약 변경 판단파트(24)를 통해 복약할 약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 과정에서 복약할 약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알람파트(27)는 기 설정된 복용시간에 약 복용을 알리는 제1알람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후 처리모듈(2)은 약 변경 판단파트(24)를 통해 복약할 약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약 유무 판단파트(25)를 통해 복용할 약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 과정에서 복용할 약이 존재하는 경우, 약 추천파트(26)는 해당 약을 트리거링하고, 알람파트(27)는 어떤 약을 복용해야 하는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는 복용할 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모듈(2)은 약 추천파트(26)를 통해 필요한 약을 추천하고, 이 역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구비된 액정 화면을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해당 약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본 시스템(D)을 통해, 사용자는 복용자(사용자 본인 또는 사용자가 약 복용을 관리하는 제3자)의 연령, 신체상태, 성장정도 등에 맞추어 최적화된 약 조합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약 복용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도 6에는 도 3을 통해 상기한 바 있는 본 시스템(D)의 신장측정모듈(1)에 구비된 전원공급수단(5)에 대한 실시예(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신장측정모듈(1)은 원격 사용을 위해 외부전원(s)에 의해 충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를 더 포함하고, 신장측정모듈(1)의 지속적 사용을 위해 외부전원(s)에 연결하여 주기적으로 배터리(b)를 충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전력 손실의 절감을 위해 배터리(b)로 공급되는 외부전원(s)의 인가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의 편의를 위해 충전 중에도 신장측정모듈(1)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소자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지만, 외부전원(s)이 배터리를 충전시키지 않도록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동작전원(공급전원)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을 수밖에 없어 배터리의 소모가 불가피하고 이는 충전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별도의 경로를 생성하여 신장측정모듈(1)에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동작전원(공급전원)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4실시예)인 전원공급수단(5)의 실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수단(5)은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및 외부전원(s)의 인가 차단 시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를 갖는 전원공급부(51),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작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부(52), 내부전원을 통제하는 통제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전원공급부(51)는 스위치부(52)의 온 동작 시 외부전원공급회로(511)를 작동시켜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고, 스위치부(52)의 오프 동작 시 내부전원공급회로(513)를 작동시켜 외부전원(s)으로부터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공급전원(Vcc)은 외부전원(s) 또는 내부전원을 통해 생성되어 각 구성의 동작을 위해 인가되는 전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51)의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외부전원(s)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제1정류다이오드(BD1),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전원공급회로(513)는 외부전원(s)에 병렬로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BD3),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스(T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에서 충전캐패시터(C5)는 동일 구성으로, 제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1)(BD2)에 의해 직류로 정류된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구성으로, 공급전원(Vcc)을 저장 및 출력하는 구성이다.
또한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및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출력단은 상호 연결되는데, 즉 제1정류다이오드(BD1)의 출력단과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이 상호 연결된다.
다음으로 스위치부(52)는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작동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브릿지다이오드(BD3)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Q1)(Tria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위치부(52)의 온/오프 결정 신호는 장치 외부 또는 내부 어디서든 전달받을 수 있는 것으로, 스위치부(52)의 신호 생성 회로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나, 당업자(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아울러 통제부(53)는 일단은 상호 병렬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BD3) 또는 트랜스(T1)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저항(R1)(R2) 및 캐패시터(C2)(C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제부(53)는 트랜스(T1), 브릿지다이오드(BD1)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일단은 제1정류다이오드(BD1)에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외부전원(s)으로부터 생성된 공급전원(Vcc)이 강하되는 강하저항(R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강하저항(R3)으로 인해 외부전원(s)의 높은 전압에 의해 제1정류다이오드(BD1)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51)는 제1정류다이오드(BD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에 구비된 안정화회로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안정화회로는 제1정류다이오드(BD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1), 이 제너다이오드(ZD1)와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4) 및, 양 단이 충전캐패시터(C5)와 제너다이오드(ZD1)에 연결된 인덕터(L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전원공급수단(5)의 회로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스위치부(52)에 스위치온 신호가 입력되면(외부전원(s)을 공급 중단), 스위치부(52)가 온 되어'브릿지다이오드(BD3)-스위칭소자(Q1)'가 상호 단락되고, 스위치오프 신호가 입력되면(외부전원(s) 공급 개시), 스위치부(52)가 오프되어 '브릿지다이오드(BD3)-스위칭소자(Q1)'가 상호 개방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1)는 스위치부(52)가 온 되어 있을 때와 오프되어 있을 때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공급전원(Vcc)을 제공한다.
먼저, 스위치부(52)가 온 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 경우에는 스위칭소자(Q1)가 단락되어 브릿지다이오드(BD3)-스위칭소자(Q1)'라인에 전류가 흘러서 전압 강하가 얻어진다. 브릿지다이오드(BD3)에 걸리는 전압은 트랜스(T1)에 의해 변압되고 제2정류다이오드(BD2)를 거쳐 직류로 정류된 후 충전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따라서 외부전원(s)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내부전압의 생성은 브릿지다이오드(BD3)에서의 전압 강하를 이용하는데, 본래의 브릿지다이오드의 역할은 정류를 위한 것이나(제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1)(BD2)), 브릿지다이오드의 비 인접 두 정류단자(브릿지다이오드는 순환 연결된 4개의 정류 단자로 이루어진다)를 단락시켜도 전압 강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전원의 생성은 별도의 다이오드를 4개 이용하여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에 비해 동일 성능을 가지면서도 부품 수 감소, 실장크기 감소, 비용 절감, 고장 발생 확률 저감 등의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스위치부(52)가 오프 된 경우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스위칭소자(Q1)가 개방되고, 트랜스(T1)의 1차 측인 '트랜스(T1)-저항(R2)-캐패시터((C3))'라인과 '캐패시터(C1)-제1정류다이오드(BD1)-강하저항(R3)'라인과의 임피던스 차이로 인해 '캐패시터(C1)-제1정류다이오드(BD1)-강하저항(R3)'라인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외부전원(s)에 의한 AC전류는 캐패시터(C1)를 통해 제1정류다이오드(BD1)로 흐르게 되고, 제1정류다이오드(BD1)에서 직류로 정류되어 충전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이때, 안정화회로인 제1정류다이오드(BD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1)는 과전압을 방지하고, 인덕터(L1) 및 캐패시터(C4)는 정류된 직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5)을 통해 생성된 공급전원(Vcc)은 각 구성에 인가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각 구성에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을 위해 보다 정제된 전원의 공급의 필요성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공급전원을 정제하는 몇 가지 구성을 더 구비하고 있다.
공급전원을 정제하는 구성으로는 DC전원인 공급전원을 변압하는 변압부(54), 변압된 공급전원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부(55) 및 검출된 공급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56)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변압부(54), 검출부(55) 및 필터부(56)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5)은 상기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조정하는 변압부(5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부(54)는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강하하는 분압회로(541), 이 분압회로(541)에 연결되어 과전압을 보호하는 보호회로(543), 이 보호회로(543)에 연결되어 고조파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공진회로(545),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회로(5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을 참고하면, 분압회로(541)는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가변저항(RV2)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가변저항(RV2)에서의 전압 강하를 통해 변압부(54)에 걸리는 전압이 과도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회로(543)는 분압회로(541)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2) 및 캐패시터(C6)로 이루어지는데, 제너다이오드(ZD2)는 분압회로(541)를 통과한 공급전원(Vcc)에 포함될 수 있는 서지(Surge)를 제거하여 접지 측으로 유도하고, 캐패시터(C6)는 분압회로(541)를 통과한 공급전원(Vcc)이 바로 공진회로(545)로 인가되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회로(545)는 보호회로(543)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된 인덕터(L1)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변압회로(547)의 유기 기전력의 방향에 따라 교번하여 스위칭되는 한 쌍의 스위칭파트 및, 이 스위칭파트의 출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7)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스위칭파트는 변압회로(547)의 1차 측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Q2)(Q3), 이에 병렬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3)(ZD4) 및 저항(R4)(R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스위칭파트는 변압회로(547)의 트랜스 양단에 대칭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회로(547)는 트랜스(T2) 및 트랜스(T2)의 2차 측에 연결된 다이오드(D1)(D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이오드(D1)(D2)는 변압회로(547)를 거친 공급전원(Vcc)의 출력을 지연시켜 안정성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5)은 상기 변압부(5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에 변압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부(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출부(55)는 크게 변압부(5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변압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회로(551), 이 검출회로(551)와 연결되어 검출회로(551)의 동작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553) 및 일단은 지연회로(553)와 타단은 필터부(56)와 연결된 릴레이회로(5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출부(55)는 공급전원(Vcc)을 별도로 인가받아 출력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고 공급전원(Vcc)을 노이즈 검출 여부를 판독하는데 사용한다.
도 6을 참고하면, 검출회로(551)는 직렬 연결된 저항(R6) 및 캐패시터(C8)로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의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링파트, 상호 병렬 연결된 두 저항(R7)(R9) 및 캐패시터(C9)로 이루어진 기준전압생성파트, OP앰프(OP1) 및 OP앰프(OP1)의 반전 단자에 연결된 검출저항(R10)을 포함하는 검출파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출회로(551)는 기준전압생성파트에서 생성된 기준 전압과 검출파트의 검출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노이즈의 양을 비교하여 노이즈를 검출한다.
또한 지연회로(553)는 검출회로(551)의 OP앰프(OP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D3)와 저항(R11) 및 캐패시터(C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연회로(553)의 구비에 대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발생되므로 지연회로(553)가 없으면 릴레이회로(555)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며 결국 단기간에 부품의 수명이 다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연회로(553)는 한 번 릴레이회로(555)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55)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가 생길 때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 시킨다.
또한 릴레이회로(555)는 역방향 다이오드(D4), 릴레이(RL1), 트랜지스터(Q4), OP앰프(OP2)(OP3), 저항(R)(R13)(R14)(R15)(R16) 및 캐패시터(C)(C12)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릴레이회로(555)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회로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검출부(55)를 통해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부(56)가 상시 동작하지 않고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릴레이회로(555)에 의해 동작이 차단되기 때문에, 필터부(56)에 사용되는 캐패시터(C13)(C14)(C15)(C16)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5)은 상기 검출부(55)에서 검출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5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발생한 노이즈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필터부(56)의 구성을 제1필터링회로(561), 제2필터링회로(562), 제3필터링회로(563)로 구비하여, 3중으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는 릴레이회로(555)에 연결되어 릴레이회로(555)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제1필터링회로(561)는 npn 트랜지스터(Q5), 이 npn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5)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양(+)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킨다.
그리고 제2필터링회로(562)는 pnp 트랜지스터(Q6), 이 pnp 트랜지스터(Q6)의 컬렉터에 애노드가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D6)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음(-)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킨다.
한편,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각 트랜지스터(Q5)(Q6)의 이미터에는 상호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RV3)(RV4) 및 캐패시터(C13)(C14)로 이루어진 보정파트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보정파트는 미세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여 전원 품질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제3필터링회로(563)는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 이에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6) 및 순방향 다이오드(D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8)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한쪽으로(도 6 상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는 필터로 작용하여 제1 및 제2필터링회로(561)(562)를 거친 공급전원(Vcc)에 잔존하는 노이즈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이러한 삼중 노이즈 제거 기능, 추가로 부수적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필터부(56)를 통해 노이즈가 완벽하게 제거된 직류 전원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최종 공급전원(Vps)으로 활용하여 각 구성의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본 시스템
1: 신장측정모듈 10: 측정부
11: 설치확인부 13: 대상확인부
2: 처리모듈 21: 수신부
22: 저장부 23: 처리부
24: 약 변경 판단파트 25: 약 유무 판단파트
26: 약 추천파트 27: 알람파트
3: 연동수단 E: 외부기기
5: 전원공급수단

Claims (4)

  1. 측정부를 구비한 신장측정모듈;
    상기 신장측정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신장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신장 별 약 조합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및, 수신된 상기 신장데이터에 해당하는 약 조합 데이터를 산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처리모듈; 및
    상기 신장측정모듈 및 처리모듈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연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신장측정모듈은
    측정 위치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설치 높이를 확인하는 설치확인부, 측정 대상이 측정 위치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대상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 설치확인부 및 대상확인부는 조도센서, 적외선센서 및 초음파센서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며,
    상기 신장측정모듈로부터 측정된 신장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 및
    사용자의 체중, 체온, 기초대사량 및 활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다수의 외부기기;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신장데이터 외 체중데이터, 체온데이터, 기초대사량데이터 및 활동량데이터를 더 처리하여 약 조합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처리부는
    복약할 약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약 변경 판단파트, 복용할 약의 유무를 판단하는 약 유무 판단파트, 복약이 필요한 약을 추천하는 약 추천파트 및 알람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신장측정모듈에 공급할 전원공급수단(5)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수단(5)은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및 외부전원(s)의 인가 차단 시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를 갖는 전원공급부(51)와,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작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부(52)와,
    내부전원을 통제하는 통제부(53)와,
    상기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조정하는 변압부(54)와,
    상기 변압부(5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에 변압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부(55)와,
    상기 검출부(55)에서 검출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외부전원(s)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제1정류다이오드(BD1),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전원공급회로(513)는 외부전원(s)에 병렬로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BD3),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스(T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정류다이오드(BD1)의 출력단과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충전캐패시터(C5)는 상기 제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1)(BD2)에 의해 직류로 정류된 전류에 의해 충전되어서 공급전원(Vcc)을 저장 및 출력하고,
    상기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일단은 제1정류다이오드(BD1)에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외부전원(s)으로부터 생성된 공급전원(Vcc)이 강하되는 강하저항(R3)을 더 포함하여서 외부전원(s)의 전압에 의해 제1정류다이오드(BD1)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필터부(56)는 제1필터링회로(561), 제2필터링회로(562), 제3필터링회로(563)로로 구성되어 3중으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는 릴레이회로(555)에 연결되어 릴레이회로(555)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1필터링회로(561)는 npn 트랜지스터(Q5), 이 npn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5)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양(+)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키고,
    제1필터링회로(561)는 npn 트랜지스터(Q5), 이 npn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5)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양(+)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키고,
    상기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각 트랜지스터(Q5)(Q6)의 이미터에는 상호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RV3)(RV4) 및 캐패시터(C13)(C14)로 이루어진 보정파트가 구비되어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3필터링회로(563)는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 이에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6) 및 순방향 다이오드(D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25408A 2015-08-24 2015-09-04 약 복용 관리 시스템 KR101806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71 2015-08-24
KR20150119071 2015-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91A KR20170023691A (ko) 2017-03-06
KR101806880B1 true KR101806880B1 (ko) 2017-12-08

Family

ID=5839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408A KR101806880B1 (ko) 2015-08-24 2015-09-04 약 복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350B1 (ko) * 2019-03-15 2019-10-01 (주)녹십자웰빙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KR20200110112A (ko) * 2019-03-15 2020-09-23 (주)녹십자웰빙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59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퀵보드 등 승용기구바퀴(회전자)에 설치되는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60A (ko) 2020-04-29 2020-05-22 김용원 자전거바퀴(회전자)와 바퀴덮개(고정자)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56361A (ko) 2020-05-04 2020-05-22 김용원 발판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7A (ko) 2020-05-06 2020-05-29 김용원 자전거와 리어 캐리어에 설치하는 발전장치들
KR20200060308A (ko) 2020-05-07 2020-05-29 김용원 수상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9A (ko) 2020-05-08 2020-05-29 김용원 헬스차량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2092A (ko) 2020-05-11 2020-06-03 김용원 수차와 공기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 발전기를 합한 발전기
KR20200061324A (ko) 2020-05-11 2020-06-02 김용원 보트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8614A (ko) 2020-05-26 2020-06-15 김용원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공기, 물 컨디션너 조절장치 내에 설치한 발전기
KR20200083393A (ko) 2020-06-16 2020-07-08 김용원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를 합한 발전기"를 "발열소자를 이용한 발전기"와 적용 양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를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와 결합 장착한 드론
KR20200088241A (ko) 2020-06-30 2020-07-22 김용원 역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의 추진에 맞는 관성을 이기는 팬이 없는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를 장착한 드론
KR20200108392A (ko) 2020-08-31 2020-09-18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 모터의 정격에 맞는 오토바이바퀴에 회전자와 물받이 고정자 발전기를 설치한 오토바이에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Propulsor)와 장착한 드론의 프로퓰러(Propullor)를 장착하는 제조기술)
KR20210018367A (ko) 2021-01-26 2021-02-17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에 설치한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와 장착한 프로퓰러(Propullor)로 구성한 오토에어크라프트(Autoaircraft)
KR20210029730A (ko) 2021-02-22 2021-03-16 김용원 산사태에 대비, 대응하는 에어 레이어들 블록들이 형성된 거대장비들(에어 레이어들 블록들)
KR20210040852A (ko) 2021-03-24 2021-04-14 김용원 전동에어버스
KR20210043513A (ko) 2021-03-26 2021-04-21 김용원 전동에어버스에 설치하는 연기(분연), 재 포집장치
KR20210045369A (ko) 2021-03-31 2021-04-26 김용원 전기 에어 카
KR20210049046A (ko) 2021-04-13 2021-05-04 김용원 전기에어버스를 강풍, 태풍에 구조하는 보조날개와 보조출입문 장치
KR20210055643A (ko) 2021-04-27 2021-05-17 김용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 다량의 회전자바퀴와 다량의 고정자바퀴발전기를 설치한 전동보드
KR20210072739A (ko) 2021-05-27 2021-06-17 김용원 의료용 전동보드
KR20210080293A (ko) 2021-06-11 2021-06-30 김용원 바퀴 사이 발전기 케이스
KR20220016234A (ko) 2022-01-14 2022-02-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를 장착한 3륜 자전거
KR20220038026A (ko) 2022-02-24 2022-03-25 김용원 4합 공기터빈 : 공기터빈 축에 1. 인너 팬들의 인너 실린더와 2. 아웃터 팬들의 아웃터 실린더와 3. 양쪽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에 덕트팬들과 덕트흡입구와 4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의 3. 덕트팬들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외부 형틀
KR20220056159A (ko) 2022-04-04 2022-05-04 김용원 물탱크 내의 스팀집 슈퍼히터에 전력공급한 스팀공급으로 스팀터빈을 구동하는 것과 슈퍼히터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청소기에 발전기들을 설치하는 것과 공기터빈의 흡입구들의 공기필터들 설치와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온 공기배출과 얼음제조기 시스템
KR20220056835A (ko) 2022-04-18 2022-05-06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여러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수상 자전거
KR102523827B1 (ko) 2022-04-20 2023-04-20 (주)리빗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
KR20220076421A (ko) 2022-05-11 2022-06-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페달자전차
KR20220080053A (ko) 2022-05-27 2022-06-14 김용원 다중 에어 레이어 튜브보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350B1 (ko) * 2019-03-15 2019-10-01 (주)녹십자웰빙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KR20200110112A (ko) * 2019-03-15 2020-09-23 (주)녹십자웰빙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WO2020189966A1 (ko) * 2019-03-15 2020-09-24 (주)녹십자웰빙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KR102426924B1 (ko) 2019-03-15 2022-07-29 (주)녹십자웰빙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91A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880B1 (ko) 약 복용 관리 시스템
US9649257B2 (en) Medicine bottle
CN103203053B (zh) 多输液瓶液位的远程监控方法和报警系统
US83788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medication, medication box, and medication storage container
CN104503666A (zh) 一种可视化药品管理设备
US91405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 state of medical container
KR101582190B1 (ko)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독거노인 보호 관리 시스템
KR101082005B1 (ko)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보조 장치, 이를 이용한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방법
EP3489638A1 (en)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Firdaus et al. Analysis of the Drop Sensors Accuracy in Central Peristaltic Infusion Monitoring Displayed on PC Based Wireless (TCRT5000 Drop Sensor)
KR20170030086A (ko)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KR101784974B1 (ko) 스마트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 시스템
KR20160082840A (ko)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KR101582326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디지털 소 충실지수 측정기
CN207095611U (zh) 一种低压配电监测系统
KR101683692B1 (ko)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
US9643023B2 (en) Method for monitoring power supply to implantable medical device
KR101505050B1 (ko) 실시간 분유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2841A (ko)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EP3582229A1 (en) Intravenous drip monitoring device, intravenous drip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782525B1 (ko) 다용도 로드셀 시스템
CN215653106U (zh) 一种计时计数输液报警器
WO2016199740A1 (ja) 被監視者監視中央処理装置、被監視者監視中央処理方法、被監視者監視中央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CN103203075A (zh) 可自动判断式助行器
CN217793981U (zh) 一种输液监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