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840A -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840A
KR20160082840A KR1020140192434A KR20140192434A KR20160082840A KR 20160082840 A KR20160082840 A KR 20160082840A KR 1020140192434 A KR1020140192434 A KR 1020140192434A KR 20140192434 A KR20140192434 A KR 20140192434A KR 20160082840 A KR20160082840 A KR 20160082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solution
frequency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택
김영철
최익창
김현덕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840A/ko
Publication of KR2016008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장치가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수액이 저장된 챔버의 양측면에 2개의 금속판을 형성하여 수액 방울의 낙하가 이루어지면 2개의 금속판 사이의 유전체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센서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을 주파수로 변환하여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와, 상기 주파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고 변화하는 주파수를 체크하여 점적율을 산출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에서의 점적율 산출에 따라 산출된 링거 투여량을 나타내거나 링거액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부와,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시키며, 상기 관리자 장치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ringer's fluid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it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적 챔버의 배치나 환경조명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원격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요한 양분(즉, 포도당) 및 주사액 등을 환자에게 보충하기 위하여 링거용기(링거팩, 링거병)에 수용된 링거액을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게 된다.
일반적인 링거액 주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액을 수용하는 링거용기(10)와, 상기 링거용기(10)와 연결되어 인체에 링거액을 공급하는 튜브(40)와, 상기 튜브(40)와 상기 링거용기(10) 사이에서 링거액을 저장하는 점적 챔버(20)와, 상기 튜브(4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혈관에 주사되는 주사기(50)와, 상기 점적 챔버(20)와 주사기(50) 사이에 설치되어 튜브의 단면적을 조정하여 링거액이 주사기로 흐르는 양을 조절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기(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링거액 주입장치에서는 링거액의 투입차단 및 링거용기 교체를 위해 간호사나 간병인이 환자 주변에 상주하여 링거액의 양을 수시로 체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더욱이 실수로 링거용기의 제거 및 교체시기를 놓치는 경우에는 링거액이 주입되는 튜브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여 혈관 내로 유입되는 위험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어, 링거액의 주입을 모니터링하고 투약 종료 시기를 알려주는 감지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링거액의 투약 종료 시기를 알려주는 선행기술이 있는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링거용기의 마개나 링거호스에 광센서를 부착하여 광센서의 조도 변화에 따라 링거액의 소모를 감지토록 한 장치가 있으나, 이것은 링거액의 색상이나 투명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링거액의 유무에 따른 조도변화가 적은 링거액의 경우 오작동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링거용기 내부에 전극을 삽입시켜 링거액이 있을 때만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성질을 이용한 장치의 경우는 링거액에 삽입된 전극에 의한 이물질과 세균 등의 오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링거의 무게 변화를 이용한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휴대가 용이치 않을 뿐 아니라 링거용기의 무게에 따라 설정 값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한 형태로 한국특허등록번호 10-0802313호가 있다. 이에 따르면, 전원이 발광부로 인가되면 발광부는 빛을 방사하고, 수광부에서는 링거액의 유무에 따라 모이는 빛의 양이 달라지므로 상대적으로 전압을 구별하여 링거액 소진을 알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는 외부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링거액의 소진 등을 모니터링하므로, 외부 빛이 침투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상자 등의 밀폐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처럼, 자연광 혹은 실내 조명등 등의 외부광(잡음)의 영향에 의해 광센서의 오동작 가능성이 있고, 링거액 소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점적 챔버의 배치나 환경조명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모니터링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링거액의 투입차단 및 링거용기 교체를 위해 간호사나 간병인이 환자 주변에 상주하여 링거액의 양을 수시로 체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10-08023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점적챔버에 정전용량 센서를 형성하여, 챔버의 방향성의 변화에 따른 영향뿐만 아니라 환경 조명의 외부 잡음의 영향을 제거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는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관리서버를 통해 관리자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관리자(간호사)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각 병실별 환자의 링거액 모니터링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장치가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수액이 저장된 챔버의 양측면에 2개의 금속판을 형성하여 수액 방울의 낙하가 이루어지면 2개의 금속판 사이의 유전체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센서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을 주파수로 변환하여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와, 상기 주파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고 변화하는 주파수를 체크하여 점적율을 산출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에서의 점적율 산출에 따라 산출된 링거 투여량을 나타내거나 링거액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부와,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시키며, 상기 관리자 장치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산출된 점적율이 임계치보다 높거나 낮을 때 링거액의 투입양을 조절하는 서브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제어부는 구동부를 통해 링거액의 투입량을 조절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인체에 연결된 튜브의 너비를 조절하여 상기 링거액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튜브조절부와, 상기 튜브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액의 투입량을 제어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평행한 2개의 입방형 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블럭의 일측면은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에 구리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챔버는 링거용기와 튜브 사이에서 상기 링거액을 저장하는 점적 챔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은 충전형 배터리 모듈이며,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하는 충전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의 전압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전원의 방전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원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배터리 상태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챔버의 장착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알려주는 동작상태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파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파수는 정전용량의 함수이며, 상기 주파수 생성부 회로의 각 저항값과 상기 정전용량에 의해서 주파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에서의 원격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장치를 초기화하고 상기 서버에 노드 아이디, 네트워크 아이디를 접속하여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상기 관리자 장치에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통신상태, 장치 아이디를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관리자 장치는 장치별 환자정보와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서버는 수정 정보에 대해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여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d) 상기 서버는 등록된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 주기적으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갱신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의 변경시에 상기 관리자 장치의 주기적인 요청이 있거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관리자 장치가 상기 변경된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보안 카드의 터치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가 동작하게 하고, 소정시간 이후에는 잠금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온도측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온도측정모듈을 통해 측정된 환자의 체온을 무선으로 수신받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 따르면, 정전용량 센서를 사용하여, 기존의 광학 센서에서 점적 챔버의 방향이 수직방향으로부터 변경되는 경우와 같이 챔버의 방향성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경 조명의 외부광에 따른 외부 잡음의 영향이 없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고 정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상태 갱신, 환자 정보, 체온정보, 링거액 정보 등의 개인별 정보를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이를 통한 원격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링거액 주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정전용량 센서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기능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서 온도측정 모듈을 나타낸 기능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서 주파수 생성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서 발생된 구형파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서 정전용량 주파수 변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원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원격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관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정전용량 센서(130)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센서(130)는 링거액이 수용되는 점적 챔버(drip chamber)(101)의 외벽을 둘러싸는 평행판 커패시터로 제1구리판(131)과 제2구리판(132)을 부착하여, 상기 점적 챔버(101)의 수액 방울이 떨어지느냐 여부에 따라 양 평형판(131)(132)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때, 점적 챔버(101)의 수액방울이 떨어지는 시점에 정전용량은 평행판 사이의 유전체의 변화에 따라 증가하며, 이러한 정전용량의 증가는 구형파 출력 주파수에서의 감소로 나타나므로, 감소되는 주파수를 체크하고 이때를 수액방울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낙하 방울수를 체크하고, 점적율(drip rate)을 계산하여 정밀한 수액량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 센서(130)는, 평행한 2개의 입방형 블럭을 형성하는데, 상기 블럭의 일측면은 오목부(133)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33)에 구리판이 부착된다. 이때, 오목부(133)는 점적 챔버(101)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원통형의 점적 챔버(101)의 양측면에 잘 부착되게 원통형의 측단면 형상으로 적합하게 형성된다. 가령, 구리판은 벨크로 테이프 또는 아교 등의 접착제를 통해 상기 오목부(133)에 접착될 수 있고, 외부선 및 커넥터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의 각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링거액을 수용하는 링거용기 또는 상기 링거용기와 연결되어 인체에 링거액을 공급하는 튜브 상에도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나, 도 2에서 점적 챔버(101)에 설치된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에서의 정확도가 더 높으므로, 점적 챔버(101) 위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를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의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보안모듈(190)을 나타낸 기능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는, 크게, 상기 장치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110)과, 상기 점적 챔버(101)의 부착되어 양 평형판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정전용량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측정부(140)와, 상기 측정부(140)에서 주파수 변화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점적율을 산출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에서의 산출된 점적율 등을 표시하는 알람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측정부(140)는, 점적 챔버(101)의 양측면에 2개의 구리판을 형성하여 수액 방울의 낙하가 이루어지면 2개의 구리판 사이의 유전체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센서(130)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130)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을 구형파 주파수로 변환하여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135)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 주파수 생성부(135)에서 생성된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고 변화하는 주파수를 체크하여 점적율을 산출하는 메인제어부(121)와, 상기 메인제어부(121)에서 산출된 점적율이 임계치보다 높거나 낮을 때 링거액의 투입양을 조절하는 서브제어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제어부(121)는 주파수에서의 감소를 감지하는데, 가령 그 감소가 소정 임계치를 벗어나고 설정시간 이상 동안 지속된다면 이를 수액 방울의 낙하로 감지할 수 있고, 이를 계산하면 점적율을 계산하고 누적된 계산량을 통해 수액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점적율(drip rate)은 점적 챔버를 통해 분당 통과하는 수액방울의 낙하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살펴본다.
예를 들어, 100ml를 10시간 동안 주입한다고 했을 때,
(i) 총 주입량을 주입시간으로 나누어 시간당 주입량을 계산할 수 있고, 즉,
시간당 주입량(ml/h)=총 주입량(ml)/총 주입시간(h)= 분당 방울수(gtt/min)×점적 상수(D) (ml·min/gtt·h)
로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점적 상수 H는 정수값(constant)로, 실험에 의해 최적치가 설정될 수 있다.
(ii) 총 주입량을 주입시간을 이용해 분당 방울수(gtt수)를 계산하면,
분당 방울수(gtt/min)= 총 주입량(ml)/(총 주입시간(h)×점적 상수 H (ml·min/gtt·h))= 시간당 주입량(ml/h)/점적 상수(D)(ml·min/gtt·h)
로 표시할 수 있다.
(iii) 총 주입량과 주입시간을 이용해 1방울 점적시간(방울간 간격)을 계산하면,
1방울 점적시간(sec/gtt)= (총 주입시간(h)×60(min/h)×60(sec/min))/(총 주입량(ml)×분당 낙하수 설정치(ex, 20 drop/min)) =180(ml·sec/gtt·h)/ 시간당 주입량(ml/h)= 60(sec/min)/분당 방울 수 (gtt/min)
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소정의 각 점적챔버 또는 링거용기에 대해 분당 방울수 또는 1방울 점적 시간에 대해 임계치(가령, 분당 60 방울수)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메인제어부(121)를 통해 산출된 점적율이 최대 점적율로서 분당 60 방울수 이상이 되면 링거액이 소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게다가, 메인제어부(121)는 산출된 점적율이 임계치보다 높거나 낮을 때마다 서브제어부(122)를 통해 링거액의 투입양을 조절한다. 가령, 서브제어부(122)는 구동부(150)를 통해 링거액의 투입양을 조절하는데, 상기 구동부(150)는 모터드라이버(151)를 통해 전동모터(152)를 제어하고, 상기 전동모터(152)와 연결된 튜브조절부(153)를 통해 링거액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튜브조절부(153)가 링거액의 유동 통로인 링거액 튜브의 너비를 좁히거나 넓히는 방식으로 링거액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전동모터(152)의 세기를 조절하여, 강하게 튜브를 압박할 경우에는 투입량이 줄 것이며, 약하게 튜브를 압박하거나 압박하지 않으면 투입량이 느는 방식으로, 전동모터(152)가 인체에 연결된 튜브에서의 링거액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링거액이 소진되었을 경우 공기가 주사기의 주입구 내로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환자에 따라 정맥의 수축/팽창은 점적율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설정된 점적율의 임계치(가령, 분당 60 방울수)에서 이보다 낮은 수의 분당 방울 수를 가질 때에는 링거용기의 튜브 너비를 확장시켜 투입양을 늘려주고, 상기 임계치보다 높은 수의 분당 방울수를 가질 때에는 링거용기의 튜브 너비를 축소시켜 투입양을 줄이는 방식으로, 상기 서브제어부(122)를 통해 튜브조절부(153)를 조절하여 링거액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부(160)는, LED 점등 표시 또는 LCD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을 통해 알려주는데, 배터리 상태 알람부(161), 통신 상태 알람부(162), 링거투여량 및 상태 알람부(163) 및 동작상태 알람부(164), 체온표시부(1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부(160)는 링거투여량 및 상태 알람부(163)를 통해 제어부(120)에서의 점적율 산출에 따라 산출된 링거 투여량을 표시하거나 임계치 이상의 링거액 소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10)는 충전형 배터리 모듈 혹은 전원어댑터를 병행 또는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며, 환자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충전형 배터리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충전회로(111)는 상기 전원부(110)와 연결되어 외부 DC 어댑터로 자체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중 DC 어댑터 전원을 사용하여 장치의 동작이 가능하므로 배터리 혹은 DC 어댑터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이어, 배터리 상태 알람부(162)는 상기 전원부(110)와 연결되어 전원 또는 배터리의 전압 크기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방전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교체시기를 알려준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휴대형 기기의 배터리 교체시기를 배터리 상태 알람부(162)를 통해 사용자 혹은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 표시 또는 경보음을 통해 알려주어 중단없는 장치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서의 산출된 점적율 또는 링거액 소진 상태는 통신모듈(180)을 이용하여, 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호사 단말기(300, 400) 또는 병원 중앙서버(200)와 연결되어 원격관리될 수 있다. 이어, 통신 상태 알람부(162)를 통해 이러한 통신모듈(180)과 2.4GHz 지그비 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300, 400) 또는 서버(200)간의 통신 상태를 알려준다.
또한, 동작상태 알람부(164)는 정전용량 센서(130)가 점적 챔버(101)에 올바르게 장착된 후 사용자 혹은 관리자가 모니터링 장치(100)의 동작 스위치를 활성화시킬시 정상적인 동작 상태를 알려준다.
또한, 보안모듈(190)은, 온도센서(191)와 RFID & NFC 모듈(192)를 구비하는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사용자(환자)의 어깨 또는 팔에 밴드 형태로 부착될 수 있게 고무밴드 연결고리와 연결된다. 가령, 상기 보안모듈(190)은 반도체칩이 구비된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서 RFID & NFC 모듈(192)과, 플렉서블한 고무소재의 온도센서 모듈(191)을 구비하며, 밴드 형태로 고무밴드 연결 고리와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RFID & NFC 모듈(192)은, RFID & NFC 카드 리더기 형태로, 카드 소지자(간호사)가 터치를 하면, 이때부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컨트롤이 가능하며, 통신 모듈(180)을 통해 연결된 메인 제어부(121)는 소정 시간 동안 컨트롤이 없으며 컨트롤은 잠금상태(LOCK)로 설정하여, 보안카드를 구비한 사람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는 안전한 시스템으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보안모듈(190)의 동작과 관련하여 온/오프를 위한 장치 컨트롤 버튼(196)과, 현재의 동작상태를 알려주는 동작상태표시등(192)과, 보안모듈(190)의 유료서비스를 위한 코인 주입 여부에 따라 동작하게 하는 코인 밧데리(197)와, 온도센서모듈(191) 및 RFID & NFC 모듈(192)의 데이터를 일시저장하거나 메인제어부(121)와 함께 보안모듈(190)을 제어하는 제2 서브 제어부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19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팔 또는 어깨에 부착되어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191)와, 상기 온도센서(191)에서 측정된 체온을 무선 전송하거나, RFID & NFC 카드의 보안 관련 정보의 무선 전송을 위해 2.4GHz 무선통신모듈(193)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이에, 2.4GHz의 무선으로 통신모듈(193)를 통해, 환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체온표시부(165)에서 디스플레이하거나 간호사 단말기(300, 400) 또는 관리서버(200)로 전송되어 원격관리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서 주파수 생성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서 발생된 구형파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서 정전용량 주파수 변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생성회로는, 정전용량 주파수 변환 방법으로, 점적 챔버(101) 상에 장착된 한쌍의 판에 형성된 각 플레이트 1의 커패시터 C1과 플레이트2의 커패시터 C2가 사용되며, 각각 하나는 센서로, 다른 하나는 기준(reference)으로 사용된다. 이때, 생성된 주파수는 회로에서 사용된 정전용량의 함수이며, 각 저항값 R1, R2, R3, R4, R5와 한쌍의 구리판 커패시터(C1, C2)의 정전용량 C에 의해서 주파수가 생성된다.
가령, 저항R1, R2, R3의 저항값을 5㏀ 정도로 설정하면 아래 수학식1과 같이와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는데, 원하는 주파수를 설정하여 R5, R4의 저항값을 설정하면 정전용량 값만으로 주파수의 변화가 생기게 할 수 있다.
수학식 1에 따라 주파수 듀티(duty) 설정 방법이 표시되고, 파형의 시간간격과 주파수(f=1/T)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수학식 1]
T1 = 0.693(R5+R4)C
T2 = 0.693(R4 ×C)
T = T1 + T2 = 0.693 × C × (R5+2R4)
f = 1/(0.693 × C × (R5+2R4))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회로에 의해 생성된 구형파의 시간 간격(T1, T2)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정전용량 주파수 변환 그래프에서, 정전용량 C 값은 점적 챔버(101)에서 수액방울이 낙하할 때 증가하고 이는 주파수 f에서 감소로 나타난다. 여기서, 수액 방울이 떨어지지 않을 때는 고정된 주파수 클럭이 발생할 것이며, 수액 방울이 떨어지면 구리판의 정전용량 값이 변하여 출력되는 주파수 클럭이 변한다. 이때, 변화하는 주파수를 체크하고 이를 수액 방울의 낙하수와 대응시켜 카운터 하면, 외부 빛에 영향이 없이 정밀한 수액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링거투여량 및 상태 알람부(163)는 산출된 점적율을 통해 링거액의 교체시기와 링거액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링거액 소진에 따라 링거액 교체로 판단시에는 경보신호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을 통해 알리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이어, 튜브 조절부에서는 링거액이 흐르는 튜브를 막아 공기가 정맥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간병인이나 간호사는 링거액의 교체시기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원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원격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관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은, 각 병실(100A, 100B,.....100M)에 설치되어 있는, 도 3 및 도 4에 설명한 다수의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가, 감지한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가령, 링거액 정보, 환자 체온 정보 등)를 2.4GHz 지그비(ZigBee)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유무선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관리자 PC(300)에 의하거나, 와이파이(wifi)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된 관리자 스마트폰(태블릿)(400)을 통해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원격관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A~100M)에서 통신모듈은 소출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환자별 고유아이디(ID), 병실아이디, 링거액의 식별번호 등의 데이터를 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2.4GHz ZigBee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저전력 네트워크망을 이용할 경우, 층별, 병실별, 환자별 데이터 수집과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이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 이더넷(Ethernet), PLC 등 유선통신 등도 통신모듈의 변경만으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통신 방법에서 통신모듈은 2.4GHz 지그비 센서네트워크로 대표되는 IEEE 802.15.4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FID & NFC 모듈(192)는 RFID & NFC 카드 리더기 형태로, 카드 소지자(간호사)가 터치를 하면, 이때부터 컨트롤이 가능하며, 소정 시간 동안 컨트롤이 없으며 컨트롤은 잠금상태(LOCK)로 제어되어 보안카드를 구비한 사람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는 안전한 시스템으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게다가, 2.4GHz의 무선으로 환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도 8에서 도시된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관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각 병실(100A, 100B,....100M)의 각 환자별로 본 발명의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가 배치되므로, 각 환자마다 배치된 장치 노드ID, 각 병실별 노드ID 및 그룹ID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장치별 노드ID를 통해서 환자를 식별할 수 있고, 병실별 노드 ID를 통해 병실을 식별할 수 있으며, 그룹 ID를 통해 병원에서 정한 그룹(가령, 중증 정도 여부에 따른 구분, 층별구분, 남녀 구분, 연령별 구분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그룹 ID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구성이 가능하며, 편의상 간단하게 병실별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는 장치를 초기화하고 관리서버(200)의 코디네이터에 노드 ID, 네트워크 ID를 접속하여 등록한다(S101). 이때, 장치 초기화 과정에서 환자 정보, 링거액 정보 등 개인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각각의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는 고유한 노드 ID를 부여받아 전체 센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관리서버(200)의 코디네이더 노드에 접속하여 통신한다. 또한, 관리서버(200)의 코디네이터 노드와 개별 노드 간의 통신거리가 물리적인 제약으로 불가능한 경우, 지그비 센서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토폴리지에 따라 멀티홉 방식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200)는 관리자 PC(300) 또는 스마트폰(400)에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통신상태, 디바이스 ID(노드 ID, 네트워크 ID)를 전송하여 표시한다(S102).
이후, 관리자는 관리자 PC(300) 또는 스마트폰(400)를 통해 장치별 환자정보와, 체온 정보, 링거액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시 정보를 수정하여 관리서버(200)에 전송하면(S103), 관리서버(200)는 수정사항에 대하여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여 정보를 갱신한다(S104).
이후, 관리서버(200)는 등록된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100)에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장치 상태를 갱신하고(S105, S106, S107, S108),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정보들을 관리자에게 통보한다(S109).
또한, 관리서버(200)는 관리자의 요청이 있을시 즉시 장치 정보를 요청하여 갱신한다(S110, S111, S112, S113).
또한,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상태 정보가 변경시 주기적인 요청 혹은 관리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즉시 관리서버(200)에 통보하면(S114), 관리자는 관리자 PC 또는 스마트폰(400)을 통해 알려주어 이를 확인할 수 있다(S115).
또한, RFID & NFC 모듈을 통해, 카드 소지자의 터치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가 동작하게 하고, 소정시간 이후에는 잠금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관리자(간호사) 등 지정인이 아닌 사람은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하여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점적 챔버에 수액방울의 낙하 여부를 정전용량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이를 정전용량 주파수 변환하여 변화된 주파수로 점적율을 산출하는데, 이 과정에서 점적 챔버의 배치나 환경조명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링거액의 교체시기와 링거액 양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링거액 정맥 주사가 필요한 환자에게 적용할 경우, 환자, 보호자, 간호사 등에게 정맥 주사의 정상 유무와 소진 여부를 적절히 통보해주어 안정성과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간호사)는 관리자 PC(300) 또는 스마트폰(태플릿)(400) 등을 이용하여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각 병실별 환자의 링거액 모니터링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게다가,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상태 갱신, 환자 정보, 체온 정보, 링거액 정보 등의 개인별 정보를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200)는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주고 받으며,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전원부
120: 제어부
130: 정전용량 센서
135: 주파수 생성부
140: 측정부
150: 구동부
160: 알람부

Claims (14)

  1.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장치가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수액이 저장된 챔버의 양측면에 2개의 금속판을 형성하여 수액 방울의 낙하가 이루어지면 2개의 금속판 사이의 유전체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센서와, 상기 정전용량 센서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을 주파수로 변환하여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와, 상기 주파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고 변화하는 주파수를 체크하여 점적율을 산출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에서의 점적율 산출에 따라 산출된 링거 투여량을 나타내거나 링거액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부와,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시키며, 상기 관리자 장치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산출된 점적율이 임계치보다 높거나 낮을 때 링거액의 투입양을 조절하는 서브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제어부는 구동부를 통해 링거액의 투입량을 조절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인체에 연결된 튜브에서의 상기 링거액의 투입을 조절하는 튜브조절부와, 상기 튜브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액의 투입량을 제어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원격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평행한 2개의 입방형 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블럭의 일측면은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에 구리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링거용기와 튜브 사이에서 상기 링거액을 저장하는 점적 챔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충전형 배터리 모듈이며,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하는 충전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의 전압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전원의 방전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원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배터리 상태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장착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알려주는 동작상태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파수는 정전용량의 함수이며, 상기 주파수 생성부 회로의 각 저항값과 상기 정전용량에 의해서 주파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으로, 환자를 식별하는 장치 노드 아이디와, 병실을 식별하는 병실 노드 아이디와,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보안 카드의 터치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가 동작하게 하고, 소정시간 이후에는 잠금상태로 전환시키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12. 제1항의 원격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장치를 초기화하고 상기 서버에 노드 아이디, 네트워크 아이디를 접속하여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상기 관리자 장치에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의 통신상태, 장치 아이디를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관리자 장치는 장치별 환자정보와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서버는 수정 정보에 대해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여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d) 상기 서버는 등록된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에 주기적으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갱신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의 변경시에 상기 관리자 장치의 주기적인 요청이 있거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관리자 장치가 상기 변경된 링거액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보안 카드의 터치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가 동작하게 하고, 소정시간 이후에는 잠금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는 온도측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온도측정모듈을 통해 측정된 환자의 체온을 무선으로 수신받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 방법.
KR1020140192434A 2014-12-29 2014-12-29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2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34A KR20160082840A (ko) 2014-12-29 2014-12-29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34A KR20160082840A (ko) 2014-12-29 2014-12-29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360A Division KR20170030086A (ko) 2017-03-06 2017-03-06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840A true KR20160082840A (ko) 2016-07-11

Family

ID=5649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434A KR20160082840A (ko) 2014-12-29 2014-12-29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8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232A (ko) * 2016-09-08 2018-03-16 중소기업은행 약액 주입장치
KR20180043648A (ko) * 2016-10-20 2018-04-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71897A (ko) *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13B1 (ko) 2006-02-06 2008-02-11 강상욱 링거액 소진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13B1 (ko) 2006-02-06 2008-02-11 강상욱 링거액 소진 경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232A (ko) * 2016-09-08 2018-03-16 중소기업은행 약액 주입장치
KR20180043648A (ko) * 2016-10-20 2018-04-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71897A (ko) *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1143T3 (es) Sistema para usar indicadores de estado en comunicaciones inalámbricas con dispositivos médicos
KR101806880B1 (ko) 약 복용 관리 시스템
CA2926606C (en) Methods for secure communication and pairing of a medical infusion device and a remote controller for such medical device
KR100643086B1 (ko) 수액관리장치
CA2634835C (en) Systems and methods to pair a medical device and a remote controller for such medical device
US9391670B2 (en) Methods for secure communication and pairing of a medical infusion device and a remote controller for such medical device
EP3799901A1 (en) Upgrade smart kit for conventional large volumetric pumps
JP2015518747A (ja) 投与量測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70030086A (ko)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CN102970885A (zh) 电子吸烟设备
EA036564B1 (ru)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контроля соблюдения режима терапии и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контроля применения дозаторов потребляемых материалов
CN102784425A (zh) 静脉输液监测装置及静脉输液监测网络系统
CA2634831A1 (en) Methods to pair a medical device and at least a remote controller for such medical device
JP5897798B2 (ja) 漏出検出システム
KR101897000B1 (ko)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82840A (ko)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CN108096666A (zh) 一种基于穿戴设备的输液监控系统
JP2002011095A (ja) 点滴監視装置および同システム
KR101729727B1 (ko)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KR101642502B1 (ko) 휴대가능한 수액-비접촉형 수액용기 상태검출기
US10276038B2 (en) Remote notification system for medical devices
KR20160082841A (ko)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JP5696297B2 (ja) 点滴モニタ装置
KR20180077116A (ko) 수액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05833B1 (ko)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