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692B1 -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692B1
KR101683692B1 KR1020150106856A KR20150106856A KR101683692B1 KR 101683692 B1 KR101683692 B1 KR 101683692B1 KR 1020150106856 A KR1020150106856 A KR 1020150106856A KR 20150106856 A KR20150106856 A KR 20150106856A KR 101683692 B1 KR101683692 B1 KR 101683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ircuit
unit
diod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욱
최재규
안진섭
Original Assignee
(주)매직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직에코 filed Critical (주)매직에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6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dedicated tools for LAN [Local Area 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수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설정된 코스 프로그램을 따라 순차적으로 인터벌 트레이닝을 진행할 때, 일부 디바이스에 이상(급격한 움직임 감지, 전원 부족, 고장 발생, 통신망 이탈 등)이 발생한 경우, 해당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코스 프로그램을 재 생성하여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보상하는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LINK TOPOLOG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다수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설정된 코스 프로그램을 따라 순차적으로 인터벌 트레이닝을 진행할 때, 일부 디바이스에 이상(급격한 움직임 감지, 전원 부족, 고장 발생, 통신망 이탈 등)이 발생한 경우, 해당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코스 프로그램을 재 생성하여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보상하는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벌 트레이닝은 제한된 시간 안에 설정된 코스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으로 순차적으로 버튼을 누르며 코스를 따라 운동을 하는 방식, 또는 무작위로 설정되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터치 방식의 인터벌 트레이닝의 경우, 관리자가 직접 훈련에 참여하여 눈으로 터치 여부를 판독하거나, LED소자를 통한 발광 및 발광의 전환에 의해 판독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제시된 다수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운동하는 시스템은 디바이스 중 일부가 네트워크 영역을 벗어나거나, 전원 부족 또는 고장으로 인한 오작동 시 이를 보상해주지 않아, 코스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10-1094206 (2011년12월08일) [반복 달리기 측정 장치 및 반복 달리기 측정 방법](이하 종래기술)이 있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가 도달하였을 때 도착 신호를 각각 송신하며,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출발 베이스(source base)로부터 목표 베이스(target base)를 향하여 달린다고 할 때 상기 출발 베이스 및 목표 베이스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소정의 토폴로지에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들과, 소정의 테스트 모드에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가 상기 출발 베이스로부터 상기 목표 베이스로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에 달려가도록 지시하는 지시 신호(instruction signal)를 출력하고, 상기 목표 베이스들로부터 상기 도착 신호들이 수신된 시간 정보를 상기 목표 베이스에 할당된 사용자의 기록으로서 저장하며, 상기 기록이 소정의 낙오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목표 베이스에 할당된 사용자가 낙오된 것으로 결정하는 중앙 제어부의 구성이 제시되어 있는 바, 그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의 전송 방식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각 베이스(본 발명의 디바이스와 대응된다고 가정)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는 수단의 구비가 부재하여 훈련을 종료하고 베이스의 교체 또는 수리가 이루어진 후 재 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부 디바이스에 이상(급격한 움직임, 전원 부족, 고장 발생, 통신망 이탈 등)이 발생한 경우, 해당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코스 프로그램을 재 생성하여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보상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핑을 수신하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핑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망 이탈로 판단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코스 프로그램을 재 생성하여 디바이스의 오작동을 보상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가압부, 이 가압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여 누름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누름감지부, 빛을 발하되 상기 누름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전환 발광되는 발광부 및, 상기 누름동작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디바이스와,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된 코스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의 전송부로부터 상기 누름동작신호를 수신하고, 다음 디바이스에 발광동작신호를 송신하는 관리단말기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관리단말기 간의 정보 전송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바이스는 모두 상기 통신망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망으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부,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하는 전원감지부 및,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고장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감지부는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측정하여 설정치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원부족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고장감지부는 고장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로 고장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탈감지부는 설정된 가속도 값 이상의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로 이탈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단말기는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감지부, 고장감지부 또는 이탈감지부로부터 전원부족신호, 고장감지신호 또는 이탈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코스 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핑(Ping)을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단말기는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핑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코스 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디바이스는 각각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중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을 생성하는 외부전원공급회로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을 생성하는 내부전원공급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전원공급회로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의 작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내부전원을 통제하는 통제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전원공급부의 외부전원공급회로는 외부전원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및 브릿지다이오드 및, 이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내부전원공급회로는 외부전원에 병렬로 연결된 제1정류다이오드, 이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스 및 제2정류다이오드, 이에 병렬로 연결된 상기 충전캐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정류다이오드의 출력단과 제2정류다이오드의 출력단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브릿지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Triac)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제부는 일단은 상호 병렬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 또는 트랜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저항 및 캐패시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의 전압을 강하하는 분압회로, 이 분압회로에 연결되어 과전압을 보호하는 보호회로, 이 보호회로에 연결되어 고조파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공진회로 및, 상기 공급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변압된 공급전원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회로, 이 검출회로와 연결되어 검출회로의 동작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및, 일단은 지연회로와 타단은 필터부와 연결된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는 검출부 및, 상기 릴레이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공급전원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제1필터링회로와 제2필터링회로 및, 상기 제1필터링회로 및 제2필터링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전원의 잔존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제3필터링회로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압회로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분압회로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 및 캐패시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회로는 상기 보호회로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된 인덕터, 상기 변압회로의 1차 측에 연결된 한 쌍의 npn 트랜지스터와 이에 병렬로 각각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3)(ZD4) 및 저항(R4)(R5)을 포함하는 스위칭파트 및, 이 스위칭파트 출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변압회로는 트랜스 및 트랜스의 2차 측에 연결된 두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링회로는 npn 트랜지스터(Q5), 이 npn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5),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7) 및 npn 트랜지스터(Q5)의 이미터에 상호 병렬되게 연결된 가변저항(RV3) 및 캐패시터(C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562)는 pnp 트랜지스터(Q6), 이 pnp 트랜지스터(Q6)의 컬렉터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2다이오드(D6),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8) 및 pnp 트랜지스터(Q6)의 이미터에 상호 병렬되게 연결된 가변저항(RV4) 및 캐패시터(C14)를 포함하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563)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 및 제2필터링회로의 출력단에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 이에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6) 및 순방향 다이오드(D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통해,
일부 디바이스에 이상(급격한 움직임, 전원 부족, 고장 발생, 통신망 이탈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코스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고 계속해서 진행하여 효율적인 코스 프로그램의 운용이 가능하고,
아울러 일부 디바이스가 통신망을 이탈한 경우에도, 해당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코스 프로그램이 재설정되기 때문에, 코스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고 계속해서 진행하여 코스 프로그램의 운용에 있어 효율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략적 구성 및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디바이스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수의 디바이스(1)를 활용하여 설정된 코스 프로그램을 따라 순차적으로 인터벌 트레이닝을 진행할 때, 일부 디바이스(1)에 이상(범위 이탈, 전원 부족, 고장 발생 등)이 발생한 경우, 해당 디바이스(1)를 제외하고 코스 프로그램을 재 생성하여 디바이스(1)의 오동작을 보상하는 디바이스(1)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S)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S)(이하 본 관리시스템(S))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정된 코스 프로그램은 관리단말기를 통해 설정되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순차적으로 디바이스(1)를 터치하는 방식, 또는 무작위로 표시되는 디바이스(1)를 터치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사항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순차적으로 디바이스(1)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특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보호받고자 하는 권리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특정이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략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관리시스템(S)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디바이스(1), 각 디바이스(1)를 제어하는 관리단말기(2) 및, 정보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디바이스(1) 각각은 도 1 하부 점선 영역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감지부(12), 발광부(13) 및 전송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가압부(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가압부(11)의 구성은 도 2를 참고할 수 있다.)
각 부 구성 별로 살펴보면, 먼저 가압부(11)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장치적 구성으로, 그 구체적인 구조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당업자(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잔)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누름감지부(12)는 가압부(11)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여 누름동작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중센서, 포토커플러, 압력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감지부(12)는 누름동작신호를 생성하여 메인보드(중앙처리장치 포함)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발광부(13)는 빛을 발하되, 누름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전환 발광되는 구성으로, 보다 명확하게는 짜인 코스 프로그램에 따라 발광하여 사용자가 터치해야하는 디바이스(1)를 표시해주고, 사용자의 터치가 진행된 후에는 터치 동작이 정학하게 이루어짐을 표시하기 위해 전환 발광(터치해야 하는 디바이스(1)의 표시를 위한 발광과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광부(13)는 LED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환 발광을 위해 이종(異種)색상을 갖는 두 그룹의 LED소자 군(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송부(14)는 누름감지부(12)를 통해 생성된 누름동작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메인보드로부터 누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데, 이러한 전송은 관리단말기(2)로 전송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관리시스템(S)을 이루는 또 다른 구성인 관리단말기(2)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된 코스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1)의 전송부(14)로부터 상기 누름동작신호를 수신하고, 다음 디바이스(1)에 발광동작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순차 진행되는 코스 프로그램에 따라 발광부(13)로 발광동작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디바이스(1)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누름동작신호를 수신하여 발광전환동작신호를 전송하여 발광부(13)의 전환발광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게하며, 코스 프로그램에 따른 다음 디바이스(1)(다음 순서로 터치해야 하는 디바이스(1))에 발광동작신호를 송신하여 발광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의 제어는 관리단말기(2)에 구비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관리단말기(2)가 컴퓨터인 경우에는 소프트웨어모듈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관리단말기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관리시스템(S)을 이루는 또 다른 구성인 근거리 통신망(3)은 디바이스(1)와 상기 관리단말기(2) 간의 정보 전송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각 디바이스(1)의 에너지 효율 및 전송되는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망(3)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특징은 디바이스(1)의 이탈, 방전, 고장(이하 '이상'으로 총칭) 등을 감지하여, 일부 디바이스(1)에 이상 발생 시 해당 디바이스(1)를 제외하고 새로운 코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보정 기능이다.
도 2, 즉 디바이스(1)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로그램 보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 관리시스템(S)의 각 디바이스(1)는 모두 통신망(3) 내에 배치되고, 통신망(3)으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부(15),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하는 전원감지부(16) 및,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고장감지부(17)를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디바이스(1)의 이탈감지부(15)는 설정된 가속도 값 이상의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전송부(14)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2)로 이탈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가속도센서(150)를 구비하여, 디바이스(1)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운동 진행 중 디바이스(1)를 발로 차서 통신망(3) 외부로 이탈시키는 등, 외력에 의해 디바이스(1)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 하부 점선 영역 내에는 이러한 이탈감지부(15)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탈감지부(15)에서 설정된 가속도 값은 관리단말기(2)를 통해 미리 설정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관리단말기(2)는 소트프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또한 디바이스(1)는 전송받은 가속도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리단말기(2)는 해당 디바이스(1)의 이탈감지부(15)로부터 이탈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코스 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바이스(1)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재설정한다.
다음으로 디바이스(1)의 전원감지부(16)는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측정하여 설정치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전송부(14)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2)로 전원부족신호를 전송한다.
역시 전원감지부(16)의 충전 용량에 대한 설정치는 관리단말기(2)를 통해 미리 설정되는 것으로, 충전 용량에 대한 설정치는 상기한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고, 또한 디바이스(1)는 전송받은 충전 용량에 대한 설정치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감지부(15)의 설명에서처럼 관리단말기(2)는 해당 디바이스(1)의 전원감지부(16)로부터 전원부족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코스 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바이스(1)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재설정한다.
아울러 디바이스(1)의 고장감지부(17)는 고장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전송부(14)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2)로 고장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고장의 감지는 각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거나, 통전 여부를 감지하거나 하는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전류측정, 또는 전압측정, 또는 쇼트 여부 측정을 위한 알고리즘이 구현되어야 하고, 이러한 알고리즘의 구현은 상기한 이탈감지부(15) 및 전원감지부(16)와 동일하게 관리단말기(2)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감지부(15) 및 전원감지부(16)의 설명에서처럼 관리단말기(2)는 해당 디바이스(1)의 고장감지부(17)로부터 고장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코스 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바이스(1)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재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 특징으로, 본 관리시스템(S)은 디바이스(1)는 전송부(14)를 통해 주기적으로 핑(Ping)을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감지부(18)를 더 포함하고, 또한 관리단말기는 해당 디바이스(1)로부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핑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코스 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바이스(1)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핑의 수신을 통해, 통신망(3) 내 디바이스(1)의 존재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통신망(3) 외부로 이탈하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1)를 제외하고 코스 프로그램을 재설정하여 디바이스(1) 오작동에 의한 프로그램 오류를 자동으로 보정한다.
일 실시예로, 설정 시간을 10초로 하여, 위치감지부(18)로부터 발생한 핑이 전송부(14)를 통해 관리단말기로 10초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1)를 제외하고 새로운 코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재설정 할 수 있다.
아울러 또 다른 특징으로, 본 관리시스템(S)은 상기한 이탈감지신호, 충전감지신호, 고장감지신호, 위치감지신호는 해당 디바이스(1)의 기기번호 및 발생 이벤트와 관련한 이벤트 번호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디바이스(1)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기번호 및 이벤트번호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1을 기준으로 총 5의 디바이스(1)를 상측부터 반 시계방향으로 1번 내지 5번으로 설정하고, 이벤트 번호를 각각, 이탈(급격한 움직임)에 대한 이벤트는 1번, 전원부족에 대한 이벤트는 2번, 고장에 대한 이벤트는 3번, 위치(통신망(3) 내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이벤트는 4번으로 설정하는 경우, 관리단말기로 32번이 전송되었다면, 3번 디바이스(1)에 전원 부족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14번이 전송되었다면, 1번 디바이스(1)가 통신망(3)을 벗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의 구현은 사용자로 하여금 발생한 문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능동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관리시스템(S)의 각 디바이스(1)는 외부전원(s)에 의해 충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를 더 포함하고, 디바이스(1)의 지속적 사용을 위해 외부전원(s)에 연결하여 주기적으로 배터리(b)를 충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전력 손실의 절감을 위해 배터리(b)로 공급되는 외부전원(s)의 인가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충전 중 배터리(b)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의 인가를 차단한 상태에서(충전단자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상태), 관리단말기와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1)간의 정보 전송 또는 충전과 동시에 해당 디바이스(1)를 사용하는 경우 등에서는 동작전원(공급전원)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을 수밖에 없어 배터리의 소모가 불가피하고 이는 충전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동작전원의 공급을 위한 동작전원(공급전원)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원공급수단(5)의 실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수단(5)은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및 배터리(b)의 충전 완료에 따른 외부전원(s)의 인가 차단 시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를 갖는 전원공급부(51), 배터리(b)의 충전 완료 여부에 따라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작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부(52), 내부전원을 통제하는 통제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전원공급부(51)는 스위치부(52)의 온 동작 시 외부전원공급회로(511)를 작동시켜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고, 스위치부(52)의 오프 동작 시 내부전원공급회로(513)를 작동시켜 외부전원(s)으로부터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공급전원(Vcc)은 외부전원(s) 또는 내부전원을 통해 생성되어 각 구성의 동작을 위해 인가되는 전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51)의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외부전원(s)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제1정류다이오드(BD1),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전원공급회로(513)는 외부전원(s)에 병렬로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BD3),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스(T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에서 충전캐패시터(C5)는 동일 구성으로, 제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1)(BD2)에 의해 직류로 정류된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구성으로, 공급전원(Vcc)을 저장 및 출력하는 구성이다.
또한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및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출력단은 상호 연결되는데, 즉 제1정류다이오드(BD1)의 출력단과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이 상호 연결된다.
다음으로 스위치부(52)는 배터리(b)의 충전 완료 여부에 따라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작동을 선택하는 구성(충전 미 완료 시 외부전원공급회로를 동작하고, 충전 완료 시 내부전원공급회로를 동작한다.)으로, 브릿지다이오드(BD3)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Q1)(Tria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위치부(52)의 온/오프 결정 신호는 배터리(b)의 완충을 감지하여 장치 외부 또는 내부 어디서든 전달받을 수 있는 것으로, 스위치부(52)의 신호 생성 회로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나, 당업자(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아울러 통제부(53)는 일단은 상호 병렬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BD3) 또는 트랜스(T1)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저항(R1)(R2) 및 캐패시터(C2)(C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제부(53)는 트랜스(T1), 브릿지다이오드(BD1)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일단은 제1정류다이오드(BD1)에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외부전원(s)으로부터 생성된 공급전원(Vcc)이 강하되는 강하저항(R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강하저항(R3)으로 인해 외부전원(s)의 높은 전압에 의해 제1정류다이오드(BD1)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51)는 제1정류다이오드(BD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에 구비된 안정화회로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안정화회로는 제1정류다이오드(BD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1), 이 제너다이오드(ZD1)와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4) 및, 양 단이 충전캐패시터(C5)와 제너다이오드(ZD1)에 연결된 인덕터(L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전원공급수단(5)의 회로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스위치부(52)에 스위치온 신호가 입력되면(외부전원(s)을 공급 중단), 스위치부(52)가 온 되어'브릿지다이오드(BD3)-스위칭소자(Q1)'가 상호 단락되고, 스위치오프 신호가 입력되면(외부전원(s) 공급 개시), 스위치부(52)가 오프되어 '브릿지다이오드(BD3)-스위칭소자(Q1)'가 상호 개방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1)는 스위치부(52)가 온 되어 있을 때와 오프되어 있을 때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공급전원(Vcc)을 제공한다.
먼저, 스위치부(52)가 온 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 경우에는 스위칭소자(Q1)가 단락되어 브릿지다이오드(BD3)-스위칭소자(Q1)'라인에 전류가 흘러서 전압 강하가 얻어진다. 브릿지다이오드(BD3)에 걸리는 전압은 트랜스(T1)에 의해 변압되고 제2정류다이오드(BD2)를 거쳐 직류로 정류된 후 충전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따라서 외부전원(s)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내부전압의 생성은 브릿지다이오드(BD3)에서의 전압 강하를 이용하는데, 본래의 브릿지다이오드의 역할은 정류를 위한 것이나(제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1)(BD2)), 브릿지다이오드의 비 인접 두 정류단자(브릿지다이오드는 순환 연결된 4개의 정류 단자로 이루어진다)를 단락시켜도 전압 강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전원의 생성은 별도의 다이오드를 4개 이용하여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에 비해 동일 성능을 가지면서도 부품 수 감소, 실장크기 감소, 비용 절감, 고장 발생 확률 저감 등의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스위치부(52)가 오프 된 경우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스위칭소자(Q1)가 개방되고, 트랜스(T1)의 1차 측인 '트랜스(T1)-저항(R2)-캐패시터((C3))'라인과 '캐패시터(C1)-제1정류다이오드(BD1)-강하저항(R3)'라인과의 임피던스 차이로 인해 '캐패시터(C1)-제1정류다이오드(BD1)-강하저항(R3)'라인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외부전원(s)에 의한 AC전류는 캐패시터(C1)를 통해 제1정류다이오드(BD1)로 흐르게 되고, 제1정류다이오드(BD1)에서 직류로 정류되어 충전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이때, 안정화회로인 제1정류다이오드(BD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1)는 과전압을 방지하고, 인덕터(L1) 및 캐패시터(C4)는 정류된 직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5)을 통해 생성된 공급전원(Vcc)은 각 구성에 인가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각 구성에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을 위해 보다 정제된 전원의 공급의 필요성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공급전원을 정제하는 몇 가지 구성을 더 구비하고 있다.
공급전원을 정제하는 구성으로는 DC전원인 공급전원을 변압하는 변압부(54), 변압된 공급전원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부(55) 및 검출된 공급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56)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변압부(54), 검출부(55) 및 필터부(56)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5)은 상기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조정하는 변압부(5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부(54)는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강하하는 분압회로(541), 이 분압회로(541)에 연결되어 과전압을 보호하는 보호회로(543), 이 보호회로(543)에 연결되어 고조파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공진회로(545),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회로(5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참고하면, 분압회로(541)는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가변저항(RV2)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가변저항(RV2)에서의 전압 강하를 통해 변압부(54)에 걸리는 전압이 과도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회로(543)는 분압회로(541)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2) 및 캐패시터(C6)로 이루어지는데, 제너다이오드(ZD2)는 분압회로(541)를 통과한 공급전원(Vcc)에 포함될 수 있는 서지(Surge)를 제거하여 접지 측으로 유도하고, 캐패시터(C6)는 분압회로(541)를 통과한 공급전원(Vcc)이 바로 공진회로(545)로 인가되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회로(545)는 보호회로(543)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된 인덕터(L1)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변압회로(547)의 유기 기전력의 방향에 따라 교번하여 스위칭되는 한 쌍의 스위칭파트 및, 이 스위칭파트의 출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7)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스위칭파트는 변압회로(547)의 1차 측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Q2)(Q3), 이에 병렬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3)(ZD4) 및 저항(R4)(R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스위칭파트는 변압회로(547)의 트랜스 양단에 대칭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회로(547)는 트랜스(T2) 및 트랜스(T2)의 2차 측에 연결된 다이오드(D1)(D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이오드(D1)(D2)는 변압회로(547)를 거친 공급전원(Vcc)의 출력을 지연시켜 안정성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5)은 상기 변압부(5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에 변압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부(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출부(55)는 크게 변압부(5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변압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회로(551), 이 검출회로(551)와 연결되어 검출회로(551)의 동작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553) 및 일단은 지연회로(553)와 타단은 필터부(56)와 연결된 릴레이회로(5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출부(55)는 공급전원(Vcc)을 별도로 인가받아 출력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고 공급전원(Vcc)을 노이즈 검출 여부를 판독하는데 사용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검출회로(551)는 직렬 연결된 저항(R6) 및 캐패시터(C8)로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의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링파트, 상호 병렬 연결된 두 저항(R7)(R9) 및 캐패시터(C9)로 이루어진 기준전압생성파트, OP앰프(OP1) 및 OP앰프(OP1)의 반전 단자에 연결된 검출저항(R10)을 포함하는 검출파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출회로(551)는 기준전압생성파트에서 생성된 기준 전압과 검출파트의 검출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노이즈의 양을 비교하여 노이즈를 검출한다.
또한 지연회로(553)는 검출회로(551)의 OP앰프(OP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D3)와 저항(R11) 및 캐패시터(C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연회로(553)의 구비에 대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발생되므로 지연회로(553)가 없으면 릴레이회로(555)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며 결국 단기간에 부품의 수명이 다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연회로(553)는 한 번 릴레이회로(555)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55)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가 생길 때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 시킨다.
또한 릴레이회로(555)는 역방향 다이오드(D4), 릴레이(RL1), 트랜지스터(Q4), OP앰프(OP2)(OP3), 저항(R)(R13)(R14)(R15)(R16) 및 캐패시터(C)(C12)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릴레이회로(555)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회로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검출부(55)를 통해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부(56)가 상시 동작하지 않고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릴레이회로(555)에 의해 동작이 차단되기 때문에, 필터부(56)에 사용되는 캐패시터(C13)(C14)(C15)(C16)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5)은 상기 검출부(55)에서 검출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5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발생한 노이즈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필터부(56)의 구성을 제1필터링회로(561), 제2필터링회로(562), 제3필터링회로(563)로 구비하여, 3중으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는 릴레이회로(555)에 연결되어 릴레이회로(555)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제1필터링회로(561)는 npn 트랜지스터(Q5), 이 npn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5)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양(+)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킨다.
그리고 제2필터링회로(562)는 pnp 트랜지스터(Q6), 이 pnp 트랜지스터(Q6)의 컬렉터에 애노드가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D6)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음(-)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킨다.
한편,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각 트랜지스터(Q5)(Q6)의 이미터에는 상호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RV3)(RV4) 및 캐패시터(C13)(C14)로 이루어진 보정파트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보정파트는 미세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여 전원 품질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제3필터링회로(563)는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 이에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6) 및 순방향 다이오드(D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8)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한쪽으로(도 3 상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는 필터로 작용하여 제1 및 제2필터링회로(561)(562)를 거친 공급전원(Vcc)에 잔존하는 노이즈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이러한 삼중 노이즈 제거 기능, 추가로 부수적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필터부(56)를 통해 노이즈가 완벽하게 제거된 직류 전원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최종 공급전원(Vps)으로 활용하여 각 구성의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본 관리시스템
1: 디바이스 2: 관리단말기
3: 근거리 통신망

Claims (4)

  1. 삭제
  2.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가압부, 이 가압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여 누름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누름감지부, 빛을 발하되 상기 누름동작신호를 전송받아 전환 발광되는 발광부 및, 상기 누름동작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디바이스;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된 코스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의 전송부로부터 상기 누름동작신호를 수신하고, 다음 디바이스에 발광동작신호를 송신하는 관리단말기;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관리단말기 간의 정보 전송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바이스는 모두 상기 통신망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망으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부,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하는 전원감지부 및,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고장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감지부는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측정하여 설정치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원부족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고장감지부는 고장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로 고장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탈감지부는 설정된 가속도 값 이상의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기로 이탈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단말기는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감지부, 고장감지부 또는 이탈감지부로부터 전원부족신호, 고장감지신호 또는 이탈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코스 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핑(Ping)을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단말기는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핑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코스 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각각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중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을 생성하는 외부전원공급회로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을 생성하는 내부전원공급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전원공급회로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의 작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내부전원을 통제하는 통제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전원공급부의 외부전원공급회로는 외부전원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및 브릿지다이오드 및, 이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내부전원공급회로는 외부전원에 병렬로 연결된 제1정류다이오드, 이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스 및 제2정류다이오드, 이에 병렬로 연결된 상기 충전캐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정류다이오드의 출력단과 제2정류다이오드의 출력단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브릿지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Triac)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제부는 일단은 상호 병렬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 또는 트랜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저항 및 캐패시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의 전압을 강하하는 분압회로, 이 분압회로에 연결되어 과전압을 보호하는 보호회로, 이 보호회로에 연결되어 고조파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공진회로 및, 상기 공급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변압된 공급전원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회로, 이 검출회로와 연결되어 검출회로의 동작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및, 일단은 지연회로와 타단은 필터부와 연결된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는 검출부 및,
    상기 릴레이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공급전원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제1필터링회로와 제2필터링회로 및, 상기 제1필터링회로 및 제2필터링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전원의 잔존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제3필터링회로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압회로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분압회로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 및 캐패시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회로는 상기 보호회로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된 인덕터, 상기 변압회로의 1차 측에 연결된 한 쌍의 npn 트랜지스터와 이에 병렬로 각각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3)(ZD4) 및 저항(R4)(R5)을 포함하는 스위칭파트 및, 이 스위칭파트 출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변압회로는 트랜스 및 트랜스의 2차 측에 연결된 두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링회로는 npn 트랜지스터(Q5), 이 npn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5),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7) 및 npn 트랜지스터(Q5)의 이미터에 상호 병렬되게 연결된 가변저항(RV3) 및 캐패시터(C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는 pnp 트랜지스터(Q6), 이 pnp 트랜지스터(Q6)의 컬렉터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2다이오드(D6),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8) 및 pnp 트랜지스터(Q6)의 이미터에 상호 병렬되게 연결된 가변저항(RV4) 및 캐패시터(C14)를 포함하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 및 제2필터링회로의 출력단에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 이에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6) 및 순방향 다이오드(D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
KR1020150106856A 2015-07-22 2015-07-28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 KR101683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968 2015-07-22
KR20150103968 2015-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692B1 true KR101683692B1 (ko) 2016-12-20

Family

ID=5773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856A KR101683692B1 (ko) 2015-07-22 2015-07-28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6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372A1 (en) * 2017-03-17 2018-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outine disruption handling and routine management in a smart environment
WO2019054721A1 (ko) * 2017-09-12 2019-03-21 박승훈 광 디스크를 이용한 운동 게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816A (ko) * 2008-08-18 2010-02-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맞춤형 운동관리 시스템
KR101094206B1 (ko) * 2009-03-06 2011-12-15 (주)더힘스 반복 달리기 측정 장치 및 반복 달리기 측정 방법
KR101482000B1 (ko) * 2013-09-10 2015-01-15 주식회사 바이로봇 휴대용 이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816A (ko) * 2008-08-18 2010-02-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맞춤형 운동관리 시스템
KR101094206B1 (ko) * 2009-03-06 2011-12-15 (주)더힘스 반복 달리기 측정 장치 및 반복 달리기 측정 방법
KR101482000B1 (ko) * 2013-09-10 2015-01-15 주식회사 바이로봇 휴대용 이탈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372A1 (en) * 2017-03-17 2018-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outine disruption handling and routine management in a smart environment
US11102305B2 (en) 2017-03-17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outine disruption handling and routine management in a smart environment
WO2019054721A1 (ko) * 2017-09-12 2019-03-21 박승훈 광 디스크를 이용한 운동 게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3481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Battery Identification
KR20170023691A (ko) 약 복용 관리 시스템
US9300144B2 (en) Integrated drive motor power interface
CN108633142B (zh) 一种led灯的调光电路
JP6286936B2 (ja) 電源回路装置、電流計測装置、電力監視システム、並びに電源回路装置の保護方法
KR101683692B1 (ko) 디바이스 연결 토폴로지 관리시스템
KR20060092251A (ko) 설비 기기용 통신 회로
EP3609296B1 (en) Power supply device
CN110687475A (zh) 远程故障诊断电路、检测方法和多联机空调机组
KR102456951B1 (ko) 숫자형 보행 잔여 시간 표시기 운영장치
US9099931B2 (en) Power supply device
CN112098887A (zh) 轨道交通干接点状态判断系统及方法
CN108448716B (zh) 一种自动转换开关的控制器电路
KR100961078B1 (ko)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535405B2 (en) Power supply device having two AC power inputs
CN211086560U (zh) 远程故障诊断电路和多联机空调机组
KR100844755B1 (ko) 무절연 궤도회로 랙용 듀얼 에스엠피에스 장치
JP2001346329A (ja) 電源供給装置および方法
CN216560832U (zh) 接地检测电路及电器
KR102296372B1 (ko) 피난 유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210074755U (zh) 一种基于ZigBee自组网的智能综合漏电保护装置
JP3559860B2 (ja) 防災監視制御盤の電源装置
KR101782525B1 (ko) 다용도 로드셀 시스템
CN212693898U (zh) 漏电保护功能自动检验电路
CN111564962A (zh) 一种应用于逆变焊机电源的防浪涌限流电路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