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827B1 -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827B1
KR102523827B1 KR1020220048852A KR20220048852A KR102523827B1 KR 102523827 B1 KR102523827 B1 KR 102523827B1 KR 1020220048852 A KR1020220048852 A KR 1020220048852A KR 20220048852 A KR20220048852 A KR 20220048852A KR 102523827 B1 KR102523827 B1 KR 102523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server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리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빗 filed Critical (주)리빗
Priority to KR102022004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용 중인 약, 영양제, 식품 등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적합한 제품을 효과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설문조사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서버와 입력서버에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을 인식하는 인식서버와 인식서버에서 인식한 복용제품의 영양소를 조사하는 조사서버와 조사서버에서 조사한 복용제품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판단하는 판단서버와 판단서버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서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System of Health Support Management an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용 중인 약, 영양제, 식품 등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적합한 제품을 효과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사용자의 키를 비롯한 신체정보를 측정하여 적절한 약을 선택 및 트리거링하여 복용자에게 최적화된 약 조합을 제공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측정부를 구비한 신장측정모듈과, 상기 신장측정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신장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신장 별 약조합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및, 수신된 상기 신장데이터에 해당하는 약 조합 데이터를 산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처리모듈과, 상기 신장측정모듈 및 처리모듈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은 약물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캘린더 인터페이스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캘린더 인터페이스를 약물 복용 앱과 자동 연동시키는 단계; 식사주기, 수면주기, 신체정보 주기, 활동정보를 연동시켜, 정해진 일정시간으로부터 기 설정 시간 전후로 연동되는 정보에 근거한 푸쉬 알람을 사용자에게 팝업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약물 복용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 발전 형태를 가시화하여 보여주는 단계; 및 약물 복용에 반하는 일정 행동에 대해 미래 일정을 수정 및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정정보 및 생체정보를 활용한 약물관리 방법을 사용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약 정보를 검색하고, 복약 상담을 하며, 약사와 채팅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및 가족 정보를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 서버가 온라인 상에서 운영하는 복약 상담 사이트에 등록하고, 처방전을 촬영하여 처방전 영상을 상기 복약 상담 사이트에 업-로드하고 복약 지도를 요청하며, 처방전에 따른 복약 지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및 가족 정보를 등록하고, 업-로드되는 처방전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처방전 및 처방 의약품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에 따라 복약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약 정보 검색 및 복약 상담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성별, 생년월일, 신장, 체중 및 음주주기를 포함한 문진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검진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건강검진결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기 대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보조제품을 추천하는 비회원 관리부;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기 저장된 회원정보를 기반으로 건강보조제품의 복용관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단을 입력받고 기 저장된 체중, 나이, 성별, 및 키에 대응되도록 저장된 기준 영양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반한 칼로리 및 영양 관리, 및 입력된 생체정보에 기반한 혈압과 혈당관리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 및 상기 DTC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연계하여 복용중인 영양제에 대한 설명과, 상기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추천된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 및 결제를 완료한 경우 배송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쇼핑몰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7-0023691 A (2017년03월06일) KR 10-2017-0085887 A (2017년07월25일) KR 10-2020-0063761 A (2020년06월05일) KR 10-2021-0025811 A (2021년03월10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용 중인 약, 영양제, 식품 등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적합한 제품을 효과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설문조사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서버(100); 상기 입력서버(100)에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20)을 인식하는 인식서버(200); 상기 인식서버(200)에서 인식한 복용제품(20)의 영양소를 조사하는 조사서버(300); 상기 조사서버(300)에서 조사한 복용제품(20)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판단하는 판단서버(400); 상기 판단서버(40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서버(50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입력서버(10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 중 선택된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기초정보기입부(110); 상기 기초정보기입부(110)에서 기초정보를 기입한 사용자에게 증상, 복용제품(20), 제품의 효과 중 선택된 질문을 제안하는 설문조사부(1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인식서버(200)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20)을 촬영하는 촬영부(210); 상기 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복용제품(20)의 정보를 인지하는 인지부(2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조사서버(300)에 형성되며, 공공데이터에 입력된 제품에 대한 영양소를 수신받는 수신부(310); 상기 수신부(310)에 형성되며, 수신받은 영양소를 정리하여 형성되는 데이터처리부(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판단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서버(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복용제품(20)에 따라 정보를 분류하는 분류부(410); 상기 분류부(41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 따라 복용제품(20)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판단부(4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제공서버(50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복용제품(20)의 적합성을 제공하는 제공부(510);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는 추천부(5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10) 어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설문조사에 대한 답변을 상기 입력서버(100)에 입력하는 입력단계(S1100); 상기 입력단계(S1100) 후, 상기 인서버에서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20)을 촬영하는 인식단계(S1200); 상기 인식단계(S1200) 후, 복용제품(20)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상기 판단서버(400)에서 판단하는 판단단계(S1300); 상기 판단단계(S1300) 후, 상기 제공서버(500)에서 사용자에게 복용제품(20)의 적합성 또는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는 제공단계(S1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용 중인 약이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용중인 제품을 촬영함에 따라 영양소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용 중인 약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적합한 제품을 추천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제품이 서로 적합한지 간단히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강 보조 제품의 효능을 높이기 위하여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력서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식서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공서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설문조사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서버(100); 상기 입력서버(100)에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20)을 인식하는 인식서버(200); 상기 인식서버(200)에서 인식한 복용제품(20)의 영양소를 조사하는 조사서버(300); 상기 조사서버(300)에서 조사한 복용제품(20)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판단하는 판단서버(400); 상기 판단서버(40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서버(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입력서버(10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 중 선택된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기초정보기입부(1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기입부(110)에서 기초정보를 기입한 사용자에게 증상, 복용제품(20), 제품의 효과 중 선택된 질문을 제안하는 설문조사부(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설문조사부(120)는 사용자의 유전적 요인, 작업환경, 생활환경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문을 사용자에게 질문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복용제품(20)은 약, 영양제, 식품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건강을 보조하기 위하여 복용 중인 약, 영양제, 식품 등이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적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약, 영양제, 식품 등의 사용자가 복용 중인 복용제품(20)이 사용자에게 효과가 있는지 판단해주고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영양소가 있을 시 다른 제품을 추천해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병원 또는 약국에서 제조되어 복용하는 약 외에 다양한 종류의 영양제, 건강 보조 식품 등을 섭취한다. 이때, 복용하는 약의 성분과 건강 보조 식품의 성분이 서로 혼합됨에 따라 효과를 높이는 반면에 효과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따라 약, 영양제, 건강 보조 식품 등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따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영양소를 확인하여 복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의 단말기(10)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입력서버(100)가 형성되며, 입력서버(100)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 직업 등의 다양한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기초정보기입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초정보기입부(110)에 의하여 기초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에게 복용중인 복용제품(20), 제품을 복용한 후의 건강상태, 복용제품(20)을 복용하기 전 증상, 사용자의 유전적 요인, 직업에 따른 작업환경, 생활패턴 등의 생활환경 등을 질문하는 설문조사부(120)가 형성된다. 설문조사부(120)는 사용자에게 질문을 제안한 후 사용자가 직접 답변을 기입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복용제품(20)이 사용자에게 효과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서버(100)에서 입력한 복용제품(20)은 인식서버(200)에서 촬영, 스캔, 직접 입력 등을 진행하여 인식시킬 수 있으며, 인식서버(200)에서 인식한 복용제품(20)의 영양소 등의 성분은 조사서버(300)에서 조사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복용제품(20)의 성분이 조사되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판단하는 판단서버(400)가 형성되며, 판단서버(400)에서 판단한 정보를 제공서버(500)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때, 제공서버(500)는 복용제품(20)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도를 수치 또는 그래프로 제공하고 일정 수준 이하라 판단되면 다른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앞에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식서버(200)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20)을 촬영하는 촬영부(210); 상기 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복용제품(20)의 정보를 인지하는 인지부(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210)는 사용자의 단말기(10)에 형성된 카메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210)는 복용제품(20)에 표기된 문자, 기호, 마크, 바코드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인쇄물을 스캔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210)에 형성되며, 파손된 인쇄물의 영상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인쇄물의 영상을 복수의 픽셀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에 형성되며, 파손된 인쇄물의 영상을 복구하는 복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구부에서 복구된 인쇄물의 영상과 식약처 또는 포털사이트로 형성되는 외부 서버와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220)는 복용제품(20)을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식서버(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인식서버(200)는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20)의 바코드를 스캔 또는 사용자가 복용제품(20)을 입력하여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서버(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복용제품(20)에 인쇄된 문자, 기호, 마크, 바코드 등의 인쇄물을 촬영하는 촬영부(210)가 형성된다. 촬영부(210)는 사용자의 단말기(10)로 형성되는 카메라로 형성되고, 촬영부(210)는 광학식 문자 판독 장치(OCR;Optical Character Reader/recognition)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용제품(20)에 표기된 인쇄물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복용제품(20)의 인쇄물이 외부 환경에 의하여 파손될 경우 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보정부가 형성된다. 보정부는 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영상 중 인쇄물이 파손되면 영상을 임의로 보정하는 것이다. 이때, 보정부는 인쇄물의 영상을 복수의 픽셀로 분류하는 분류부가 형성되며, 분류부에서 복수의 픽셀로 분류된 인쇄물의 영상 중 파손된 인쇄물은 색감, 색상 등을 검토하여 영상을 복구한다. 그리고 복구부에서 복구된 영상이 검색되지 않으면 복구된 영상만으로 식약처 또는 포털사이트 등의 외부 서버와 비교하여 복용제품(20)의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촬영된 인쇄물은 인지부(220)에서 복용제품(20)의 정보를 인지하는 것으로 인지부(220)는 검색부가 형성됨에 따라 복용제품(20)의 인쇄물이 촬영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검색할 수 있다. 이때, 검색부는 인터넷 기반의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정보가 검색되는 것으로 외부 서버는 식약처, 포탈 사이트 등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있어서, 상기 조사서버(300)에 형성되며, 공공데이터에 입력된 제품에 대한 영양소를 수신받는 수신부(310); 상기 수신부(310)에 형성되며, 수신받은 영양소를 정리하여 형성되는 데이터처리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공공데이터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업체 또는 식약처에서 공개된 영양소를 정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320)는 상기 인식서버(200)에서 인식한 복용제품(20)의 영양소를 정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사서버(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조사서버(300)는 복수의 건강 보조 제품들에 기재된 영양소가 정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사서버(300)는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품에 기재된 영양소를 수신부(310)에서 수신받아 정리하는 것으로 인식서버(200)에서 인식한 복용제품(20)의 영양소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310)는 공공데이터에서 복수의 제품에 기재된 영양소를 수신받는 것으로 공공데이터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업체 또는 식약처에서 공개된 영양소를 수신받는 것으로 제품이 공식적으로 검증된 제품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310)에서 수신받은 복수의 제품에 대한 영양소는 데이터처리부(320)에서 정리하는 것으로 이는 수신받은 정보가 영양소 외에 복용법 등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효과적으로 인식서버(200)에서 인식하는 복용제품(20)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또한, 데이터처리부(320)에서는 인식서버(200)에서 인식한 복용제품(20)의 영양소를 텍스트로 정리할 수 있다. 이는 복용제품(20)에 적힌 영양소와 공공데이터에 공개된 영양소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있어서, 상기 판단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서버(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복용제품(20)에 따라 정보를 분류하는 분류부(410); 상기 분류부(41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 따라 복용제품(20)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판단부(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판단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서버(100)와 상기 인식서버(200)에서 인식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410)는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정보를 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42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증상과 복용제품(20)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제 1판단부(420);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수의 복용제품(20)간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제 2판단부(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판단서버(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판단서버(400)는 입력서버(100)에서 설문조사하여 판단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복용제품(20)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서버(400)는 도 2를 참조하면, 입력서버(100)에 입력된 설문조사의 답변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증상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4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분류부(410)는 사용자가 증상에 따라 복용하는 복용제품(20)의 정보를 함께 분류하는 것으로 다른 사용자가 증상에 맞는 제품을 복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가이드가 된다. 또한, 분류부(410)에 각각 분류된 정보는 사용자가 복용하는 복용제품(20)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판단부(420)가 형성된다.
판단부(420)는 사용자가 복용 중이거나 지인의 추천에 의하여 복용 또는 복용하려는 제품이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420)는 사용자의 증상과 복용제품(20)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제 1판단부(420)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복수의 제품을 복용중일 때 복용제품(20)간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제 2판단부(420)가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복수의 복용제품(20)을 복용할 때 영양소가 서로 중복되거나 영양소간의 혼합으로 효과가 높아지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분류되어 판단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복용제품(20)은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는 다른 사용자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있어서, 상기 제공서버(50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복용제품(20)의 적합성을 제공하는 제공부(510);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는 추천부(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51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1일 권장량, 복용시기, 복용방법 중 선택된 하나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추천부(52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추천 제품을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표출부는 추천 제품의 구매 가능 사이트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공서버(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공서버(500)는 판단서버(400)에서 판단한 사용자와 복용제품(20)간의 적합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공서버(500)는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복용제품(20)의 적합성을 제공하는 제공부(510)와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는 추천부(520)가 형성된다. 제공부(510)는 판단서버(400)에서 판단한 사용자와 복용제품(20)간의 적합성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적합성이 높다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1일 권장량, 복용시기, 복용방법 등을 전달한다. 이때, 제공부(510)는 알림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효과적인 시간에 복용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추천부(520)는 사용자가 복용 중인 복용제품(20)이 효과가 낮다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적합한 다른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추천부(520)는 추천 제품을 표출하는 표출부가 형성되며, 표출부에서 표출된 추천 제품은 별도의 조작으로 구매 가능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있어서,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10) 어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설문조사에 대한 답변을 상기 입력서버(100)에 입력하는 입력단계(S1100); 상기 입력단계(S1100) 후, 상기 인식서버(200)에서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20)을 촬영하는 인식단계(S1200); 상기 인식단계(S1200) 후, 복용제품(20)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상기 판단서버(400)에서 판단하는 판단단계(S1300); 상기 판단단계(S1300) 후, 상기 제공서버(500)에서 사용자에게 복용제품(20)의 적합성 또는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는 제공단계(S1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S1100) 중,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제 1입력단계(S1110); 상기 제 1입력단계(S1110) 후, 설문조사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제 2입력단계(S1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은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S1200) 중, 사용자가 복용제품(20)을 촬영하는 촬영단계(S1210); 상기 촬영단계(S1210) 후, 복용제품(20)을 인지부(220)에서 인지하는 인지단계(S1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은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인지단계(S1220)에 형성되며, 파손된 복용제품(20)의 인쇄물을 보정하는 보정단계(S1221);를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은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보정단계 중, 인쇄물을 복수의 픽셀로 분류하는 분류단계(S1222); 상기 분류단계 후, 파손된 영상을 복구하는 복구단계(S1223);를 포함한다.
(실시예 6-6)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은 실시예 6-5에 있어서, 상기 복구단계 후, 복구된 영상을 외부 서버와 비교하는 비교단계(S1224);를 포함한다.
(실시예 6-7) 본 발명의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1300) 전, 공공데이터에 입력된 제품에 대한 영양소를 조사하는 조사단계(S1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복용 중인 복용제품(20)이 적합한지 판단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관리 방법은 도 6을 참조하면, 입력단계(S1100) 중 제 1입력단계(S1110)에서 사용자가 신상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신상정보가 입력서버(100)에 입력되면 제 2입력단계(S1120)에서 사용자의 단말기(10)로 복용제품(20), 증상 등의 설문조사를 위한 질문지가 표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설문조사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단계(S110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복용제품(20)을 인식단계(S1200)에서 인식하는 것으로 인식서버(200)에 형성되는 촬영부(210)에서 복용제품(20)에 표기된 바코드, 문자, 글씨 등의 인쇄물을 스캔하여 인식하는 촬영단계(S1210)가 형성된다. 촬영단계(S1210)에서 촬영된 복용제품(20)은 인지부(220)에서 인지하는 인지단계(S1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인지단계(S1220)에서 인지된 복용제품(20)의 인쇄물 중 파손된 영상을 보정하는 보정단계(S1221)가 형성된다. 보정단계(S1221)는 파손된 영상을 복구하여 복용제품(20)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으로 영상을 복수의 픽셀로 분류하는 분류단계(S1222)와 분류단계((S1222)에서 분류된 픽셀 중 파손된 픽셀을 복구하는 복구단계(S122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구된 영상이 정확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식약처, 포털사이트, 제작회사 등의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단계(S12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인지단계(S1220) 후, 조사단계(S1230)에서 공공데이터에 입력된 다수의 제품에 대한 영양소와 복용제품(20)에 표기된 영양소와 일체성을 비교한다. 그리고 판단단계(S1300)에서 복용제품(20)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판단서버(400)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복용제품(20)이 적합하다 판단되면 제공단계(S1400)에서 적합 여부를 통지하고 적합하지 않다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다른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10: 단말기 20: 복용제품
100: 입력서버 110: 기초정보기입부
120: 설문조사부 200: 인식서버
210: 촬영부 220: 인지부
300: 조사서버 310: 수신부
320: 데이터처리부 400: 판단서버
410: 분류부 420: 판단부
500: 제공서버 510: 제공부
520: 추천부
S1100: 입력단계 S1110: 제 1입력단계
S1120: 제 2입력단계 S1200: 인식단계
S1210: 촬영단계 S1220: 인지단계
S1230: 조사단계 S1300: 판단단계
S1400: 제공단계

Claims (7)

  1.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설문조사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서버(100);
    상기 입력서버(100)에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20)을 인식하는 인식서버(200);
    상기 인식서버(200)에서 인식한 복용제품(20)의 영양소를 조사하는 조사서버(300);
    상기 조사서버(300)에서 조사한 복용제품(20)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판단하는 판단서버(400);
    상기 판단서버(40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서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서버(200)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복용중인 복용제품(20)을 촬영하는 촬영부(210);
    상기 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복용제품(20)의 정보를 인지하는 인지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210)는 복용제품(20)에 표기된 문자, 기호, 마크, 바코드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인쇄물을 스캔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부(220)에 형성되며, 파손된 인쇄물의 영상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인쇄물의 영상을 복수의 픽셀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에 형성되며, 파손된 인쇄물의 영상을 복구하는 복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서버(50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복용제품(20)의 적합성을 제공하는 제공부(510);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는 추천부(520);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부(52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추천 제품을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출부는 추천 제품의 구매 가능 사이트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서버(10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 중 선택된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기초정보기입부(110);
    상기 기초정보기입부(110)에서 기초정보를 기입한 사용자에게 증상, 복용제품(20), 제품의 효과 중 선택된 질문을 제안하는 설문조사부(120);를 포함하는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사서버(300)에 형성되며, 공공데이터에 입력된 제품에 대한 영양소를 수신받는 수신부(310);
    상기 수신부(310)에 형성되며, 수신받은 영양소를 정리하여 형성되는 데이터처리부(320);를 포함하는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서버(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복용제품(20)에 따라 정보를 분류하는 분류부(410);
    상기 분류부(410)에 형성되며, 사용자에 따라 복용제품(20)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판단부(420);를 포함하는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48852A 2022-04-20 2022-04-20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 KR102523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52A KR102523827B1 (ko) 2022-04-20 2022-04-20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52A KR102523827B1 (ko) 2022-04-20 2022-04-20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827B1 true KR102523827B1 (ko) 2023-04-20

Family

ID=8614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852A KR102523827B1 (ko) 2022-04-20 2022-04-20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82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691A (ko) 2015-08-24 2017-03-06 (주)매직에코 약 복용 관리 시스템
KR20170085887A (ko) 2016-01-15 2017-07-25 김소연 일정정보 및 생체정보를 활용한 약물관리시스템
KR20180015804A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팜팜 건강 기능 식품 및 영양 성분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63761A (ko) 2018-11-28 2020-06-05 이상곤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20210018619A (ko) * 2019-08-07 2021-02-18 왓비타 주식회사 개인화된 영양소 추천 방법 및 서버
KR20210025811A (ko) 2019-08-28 2021-03-10 (주)이노맥스글로벌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10136483A (ko) *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시시더블유 건강기능식품 복용효과 수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시스템
KR20220032784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버즈핏 헬스케어 제품 추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691A (ko) 2015-08-24 2017-03-06 (주)매직에코 약 복용 관리 시스템
KR20170085887A (ko) 2016-01-15 2017-07-25 김소연 일정정보 및 생체정보를 활용한 약물관리시스템
KR20180015804A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팜팜 건강 기능 식품 및 영양 성분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63761A (ko) 2018-11-28 2020-06-05 이상곤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20210018619A (ko) * 2019-08-07 2021-02-18 왓비타 주식회사 개인화된 영양소 추천 방법 및 서버
KR20210025811A (ko) 2019-08-28 2021-03-10 (주)이노맥스글로벌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10136483A (ko) *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시시더블유 건강기능식품 복용효과 수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시스템
KR20220032784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버즈핏 헬스케어 제품 추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of food and medicine to provide outputs relative to a user profile
TWI444921B (zh) 用於促進提供健康及保健幫助的線上系統、方法及電腦可讀取媒體
US20050075908A1 (en) Personal business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020027164A1 (en) Portable computing apparatus particularly useful in a weight management program
US6025984A (en) Portable drug information computer
US20060095298A1 (en) Method for horizontal integration and research of information of medical records utilizing HIPPA compliant internet protocols, workflow management and static/dynamic processing of information
US20010034613A1 (en) Method for acquiring and analyzing a list of a patient's prescription medications
US20160154946A1 (en) Method for acquiring and analyzing a list of a patient's prescription medications
US20170177802A1 (en) Allergy Service Management Portal
KR102653178B1 (ko)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523827B1 (ko) 건강 보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관리 방법
JP494681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Paquette-Lemieux et al. US medical information websites benchmarking: How is the industry fairing in usability?
US20100063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and dissemination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US20190237178A1 (en) Method to reduce errors, identify drug interactions, improve efficiency, and improve safety in drug delivery systems
US105038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prescription verification
Chaudhry Expecting great expectations when expecting
Perez et al. Prescription opioid use among Hispanics/Latinos with arthritis symptoms: results from the Hispanic Community Health Study/Study of Latinos
Gordon et al. Graphical timeline software for inpatient medication review
KR102533699B1 (ko) 약국 관리 제공 시스템
JP7494439B2 (ja) 給食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営方法
US202401619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nutritional supplement platform
US20060067490A1 (en) Sales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and adviser support system
KR20240069183A (ko)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라벨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보조 제품의 추천 방법 및 추천 시스템
KR20220145006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식이 순응도 평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