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122A - 스틱형 통증완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틱형 통증완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122A
KR20200109122A KR1020190028237A KR20190028237A KR20200109122A KR 20200109122 A KR20200109122 A KR 20200109122A KR 1020190028237 A KR1020190028237 A KR 1020190028237A KR 20190028237 A KR20190028237 A KR 20190028237A KR 20200109122 A KR20200109122 A KR 20200109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pain relief
composition
type pain
gel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063B1 (ko
Inventor
박성진
이영익
이수철
박용일
신현만
최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2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0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61K31/125Camphor; Nuclear substitu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고형화제로서 왁스가 아닌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와 덱스트린팔미테이드를 포함하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은 기존의 로션, 크림, 분무 또는 부착형 조성물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보관 및 휴대의 편리성, 원하는 환부 범위에 손에 묻힘 없이 도포 가능한 사용의 편리성, 피부보호 성분 함유로 도포 부위의 피부를 보호, 부드럽게 환부에 롤링하면 끝나므로 피부자극이 없는 점 등을 장점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틱형 통증완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stick type composition for reducing pa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명세서에는 스틱 형태로 제조되고 사용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이 제시된다. 구체적으로, 스틱 형태이기 때문에 간편하게 도포 가능하고 쉽게 통증을 완화함으로써 환부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처치할 수 있는 조성물이 제시된다.
통증 완화제로서 가장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제형은 패치와 같은 부착 제형 제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 제형 제제는 사용 후 제거 시 물리적 피부자극에 의해 피부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피부자극을 줄이기 위해 분무 제형이나 로션, 크림 제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제형의 통증 완화제는 일반적으로, L-멘톨(KP), DL-멘톨(USP), DL-캄파(KP), 실리실산메칠(KP, NF), 디펜히드라민염산염(KP), 디부카인염산염(KP) 또는 글리시레틴산(BP) 등을 함유하여 통증완화용 조성물 기능을 부여하는 구성을 가진다. 예컨대, 소염진통제인 살리실산과 특유의 향과 시원한 느낌을 주는 멘톨이 함유된 로션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뜨거운 느낌을 주는 노닐산바닐릴아미드를 함유하는 조성물도 있다. 이들은 보통 사용 시 손으로 분주하여 환부에 바르거나 액화가스가 충전된 봄베에서 분무하여 환부에 도포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조성물들은 근육통, 타박상 등의 증상 완화용으로 수시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제품은 바르고 난 뒤 잘 마사지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손에 기름기와 강한 냄새가 많이 남게 되며, 이는 비누로 닦지 않으면 잘 제거되지 않고 심지어 비누로 닦아도 잔존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크림 또는 로션 병이나 튜브 또는 가스가 함유된 통을 이용하여 보관 및 운송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분무 제형의 경우 가스 충전된 봄베를 가스와 함께 환부에 도말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4-161715 A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림, 로션, 분무, 부착 형태의 단점을 해결하고 환경문제가 거론되는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통증자극을 최소화한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증부위를 진정시키기 위하여 통증 부위 환부 또는 통증 발생 부위를 손쉽게 손이나 다른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도포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도포 또는 도말을 위해서 통증부위를 포함하여 다른 부위에도 넓게 사용하는 제품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즉, 통증부위를 알맞게 짧은 시간에 적은 양으로도 정확하고 충분한 도포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증완화용 스틱 조성물은, 고형화제로서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증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오일에 고형화제를 첨가하고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은 스틱형태로 사용이 편리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기존의 크림, 로션, 분무, 부착 형태의 단점을 보완하여,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은 고형화제로서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는, 115℃ 이상의 온도에서 오일에 용해되고 실온에서 고형화되는 겔화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겔화제는, 글루타마이드계 겔화제일 수 있다. 상기 글루타마이드계 겔화제는, 디부틸펜탄디아마이드계 겔화제일 수 있다. 상기 디부틸펜탄디아마이드계 겔화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펜탄디아마이드, N,N'-디부틸-2-((1-옥소알킬)아미노)-, (2S)- [Pentanediamide, N,N'-dibutyl-2-((1-oxoalkyl)amino)-, (2S)-]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Oxo-Alkyl(Alkyl=O)의 알킬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C4-16 알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치환은 하나 이상의 수소가 C1-6의 알킬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C6-12일 수 있다. 상기 치환은 하나 이상의 수소가 C1-4의 알킬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겔화제는 하기 화학식 2의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Pentanediamide, N,N'-dibutyl-2-[(2-ethyl-1-oxohexyl)amino]-, (2S)-]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겔화제는 하기 화학식 3의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Pentanediamide, N,N'-dibutyl-2-((1-oxododecyl)amino)-, (2S)-]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겔화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겔화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는 0.1:99.9 내지 99.9:0.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대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의 중량비는, 1-100 : 100-1, 1-50 : 50-1, 1-40 : 40-1, 1-30 : 30-1, 1-20 : 20-1, 1-10 : 10-1, 1-5 : 5-1, 1-4 : 4-1, 1-3 : 3-1, 1-2 : 2-1, 1-1.5 : 1.5-1, 또는 약 1:1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겔화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1중량% 이상, 2중량% 이상, 3중량% 이상, 4중량% 이상, 5중량% 이상, 6중량% 이상, 또는 7중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겔화제는 40중량% 이하, 35중량% 이하, 30중량% 이하, 25중량% 이하, 20중량% 이하, 18중량% 이하, 16중량% 이하, 14중량% 이하, 12중량% 이하, 또는 10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은, 고형화제로서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는 탄소수 14 내지 18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는 덱스트린팔미테이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는,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1.9 중량% 이상 또는 2 중량% 이상 일 수 있다. 또한,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 일 수 있다. 예컨대 약 2중량%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의 중량비는, 1 : 0.05 내지 1.5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의 중량비는, 1: 0.05 이상, 1: 0.08 이상, 1 : 0.1 이상, 1 : 0.2 이상, 1:0.3 이상 또는 1:0.4 이상일 수 있다. 또한, 1:1.5 이하, 1:1.3 이하, 1:1.1 이하, 1:1 이하, 1:0.9 이하, 1:0.8 이하, 1:0.7이하, 1:0.6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약 1 : 0.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왁스를 포함하지 않을수록 사용 후 사용감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오일에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를 첨가하고, 덱스트린팔미테이트를 첨가하여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는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간 용해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는 115℃ 이상, 116℃ 이상, 117℃ 이상, 118℃ 이상, 119℃ 이상, 또는 12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130℃ 이하, 128℃ 이하, 126℃ 이하, 124℃ 이하, 122℃ 이하, 120℃ 이하, 118℃ 이하, 또는 116℃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간은 10분 이상, 11분 이상, 12분 이상, 13분 이상, 14분 이상, 15분 이상, 16분 이상, 17분 이상, 또는 18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은 20분 이하, 19분 이하, 18분 이하, 17분 이하, 16분 이하, 15분 이하, 14분 이하, 13분 이하, 12분 이하, 또는 11분 이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4
A: Palmitoyl group or Hydrogen n: Degree of Polymeriza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오일 겔화제가 첨가된 유상에 (엘,디,디엘)멘톨, (디,디엘)캄파, 살리실산메칠, 살리실산글리콜 및/또는 디펜히드라민 등을 적절히 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되는 유효성분들의 예를 들면 (엘,디,디엘)멘톨, (디,디엘)캄파, 살리실산메칠, 살리실산글리콜, 디펜히드라민, 디부카인염산염, 티몰,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박하유, 니코틴산벤질에스텔 또는 유칼리유 등이며, 첨가제로는 세라마이드, 히알루론산, 이부프로펜, 보르네올, 스코폴리아 엑스, 초산 토코페롤, 글리시레틴산, 등의 항히스타민제, 센텔라정량추출물, 오오바크 또는 산시시 등의 생약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5
ibuprofen
이부프로펜은 비스테로이드항염증제로, 진통, 관절염 제거, 해열에 주로 사용하며 특히 소염 작용이 있기 때문에 이들 증상이 염증을 동반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은, 의약 또는 의약보조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규격은 대한민국약전, 의약외품에 관한 기준 및 시험방법,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공정서 및 의약품집에 수재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성분의 총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mg/g 내지 900mg/g일 수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의 총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mg/g 이상, 25 mg/g 이상, 50mg/g 이상, 60 mg/g 이상, 70 mg/g 이상, 80 mg/g 이상, 90 mg/g 이상, 100 mg/g 이상, 또는 110 mg/g 이상 일 수 있다. 또한, 900 mg/g 이하, 800 mg/g 이하, 700 mg/g 이하, 600 mg/g 이하, 500 mg/g 이하, 400 mg/g 이하, 300 mg/g 이하, 250 mg/g 이하, 200 mg/g 이하, 150 mg/g 이하, 140 mg/g 이하, 130 mg/g 이하, 또는 120 mg/g 이하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성분은 멘톨, 캄파, 살리실산메칠, 살리실산글리콜 및 디펜히드라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효성분은 (엘,디,디엘)멘톨, (디,디엘)캄파, 살리실산메칠, 살리실산글리콜 및 디펜히드라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성분은 멘톨, 캄파, 살리실산메칠, 살리실산글리콜 및 디펜히드라민을 전체 조성물 중량 기초로 각각 약 3-4중량%, 약 2.5-3.5중량%, 약 3-4중량%, 약 1.5-2.0중량% 및 약 0.01-0.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성분은 (엘,디,디엘)멘톨, (디,디엘)캄파, 살리실산메칠, 살리실산글리콜 및 디펜히드라민을 전체 조성물 중량 기초로 각각 약 3.5중량%, 약 3중량%, 약 3.5중량%, 약 1.75중량% 및 약 0.04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스틱형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는 경피형 제형일 수 있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유상에 고형화제를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15분간 아지 믹서(agi mixer)로 1000rpm 으로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그 후 온도를 섭씨90~100도로 유지시키고, 다시 아지믹서로 500rpm 이하로 교반하면서 소염진통제, 향료 및 수상을 서서히 투입하였다.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유상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유동파라핀
to 100
10.0
5.0
10.0
10.0
10.0
10.0
10.0
to 100
10.0
5.0
10.0
10.0
10.0
10.0
10.0
to 100
10.0
5.0
10.0
10.0
10.0
10.0
10.0
to 100
10.0
5.0
10.0
10.0
10.0
10.0
10.0
to 100
10.0
5.0
10.0
10.0
10.0
10.0
10.0
고형화제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덱스트린팔미테이트
카나우바왁스
폴리에틸렌 파우더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4.0
4.0
2.0
3.0
3.0

2.0

2.0
1.0
1.0

3.0
3.0
2.0



5.0
4.0
2.0



6.0
2.0
2.0
수상 정제수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5.0
3.0
1.0
1.0
5.0
3.0
1.0
1.0
0.2
0.5
1.0
1.0
0.2
0.5
1.0
1.0
0.2
0.5
1.0
1.0
소염진통제 (엘,디,디엘)멘톨
(디,디엘)캄파
살리실산메칠
살리실산글리콜
디펜히드라민
3.5
3
3.5
1.75
0.04
3.5
3
3.5
1.75
0.04
3.5
3
3.5
1.75
0.04
3.5
3
3.5
1.75
0.04
3.5
3
3.5
1.75
0.04
기타 향료 0.1. 0.1 0.1 0.1 0.1
* to 100 : 합이 100 중량%가 되도록 그 성분을 첨가함.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에서 각각 제조된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스틱으로 성형한 후, 전문 패널 요원 20명이 1개월간 사용하게 하여 물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스틱제품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환부에 사용할 때의 편리성, 촉감, 지속감 및 사용 후의 사용감 등을 평가 하였다.
평가점수는 매우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나쁨 2점, 매우 나쁨 1점으로 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관능테스트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편리성 4.9 4.5 4.1 3.8 3.8
촉감 4.6 4.1 3.6 3.0 2.9
지속감 4.8 3.9 3.3 3.7 3.8
사용후 사용감 4.7 3.8 3.3 3.1 3.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왁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조성물이고 사용감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비교예 1 과 비교예 2는 왁스 조성물인데 사용감에 있어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실시예 1은 사용 후의 사용감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통증완화 효능 이외에 도포 부위의 피부 자극이 없을 뿐 아니라 피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소염진통제, 오일 및 고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고형화제는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제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를 더 포함하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는,
    115℃ 이상의 온도에서 오일에 용해되고 실온에서 고형화되는 것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는,
    글루타마이드계 겔화제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타마이드계 겔화제는,
    디부틸펜탄디아마이드계 겔화제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부틸펜탄디아마이드계 겔화제는,
    펜탄디아마이드, N,N'-디부틸-2-((1-옥소알킬)아미노)-, (2S)- [Pentanediamide, N,N'-dibutyl-2-((1-oxoalkyl)amino)-, (2S)-]이며,
    상기 알킬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C4-16 알킬이고,
    상기 치환은 하나 이상의 수소가 C1-6의 알킬로 치환된 것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부틸펜탄디아마이드계 겔화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부틸펜탄디아마이드계 겔화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는 0.1:99.9 내지 99.9:0.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는 탄소수 14 내지 18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것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는,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것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터의 중량비는, 1 : 0.05 내지 1.5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염진통제는, (엘,디,디엘)멘톨, (디,디엘)캄파, 살리실산메칠, 살리실산글리콜, 티몰, 디펜히드라민염산염, 디부카인염산염, 글리시레틴산,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박하유, 유칼리유 및 세라마이드, 히알루론산, 이부프로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오일에 고형화제를 첨가하고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틱형 통증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28237A 2019-03-12 2019-03-12 스틱형 통증완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3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37A KR102253063B1 (ko) 2019-03-12 2019-03-12 스틱형 통증완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37A KR102253063B1 (ko) 2019-03-12 2019-03-12 스틱형 통증완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122A true KR20200109122A (ko) 2020-09-22
KR102253063B1 KR102253063B1 (ko) 2021-05-18

Family

ID=7270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37A KR102253063B1 (ko) 2019-03-12 2019-03-12 스틱형 통증완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470A (ko) *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네오메디컬 스틱형 파스
WO2023204616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향수 젤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715A (ja) 2002-11-15 2004-06-10 Mikasa Seiyaku Co Ltd 消炎鎮痛固形軟膏剤
KR20100028355A (ko) * 2008-09-04 2010-03-1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9336A (ko) * 2009-11-12 2012-08-09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외용 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715A (ja) 2002-11-15 2004-06-10 Mikasa Seiyaku Co Ltd 消炎鎮痛固形軟膏剤
KR20100028355A (ko) * 2008-09-04 2010-03-1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9336A (ko) * 2009-11-12 2012-08-09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외용 의약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470A (ko) *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네오메디컬 스틱형 파스
WO2023204616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향수 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063B1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4759A (en) Vehicle for delivering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to the human skin
ES2322269T3 (es) Composiciones en forma de spray que contiene un principio activo farmaceutico, al menos una silicona volatil y una fase oleosa no volatil.
RU2754846C1 (ru) Обезболивающие композиции местного действия
JP2003012511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2003528821A (ja) 局所適用のための薬学的および化粧用の担体または組成物
EP0948332A1 (en) Antiherpe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ovir for topical applicators
US11007241B2 (en) Compositions for relieving pain with malkangni oil and cypriol oil as active ingredients and method of topical administration of the same
JP6738120B2 (ja) 外用医薬組成物
WO1997002803A1 (fr) Preparation externe pour la peau
WO2008047680A1 (fr) Préparation externe pour la peau
KR102253063B1 (ko) 스틱형 통증완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646390B2 (ja) 外用組成物
TWI766912B (zh) 水性製劑
JP4450545B2 (ja) エアゾール製剤
JP4256125B2 (ja) 外用組成物
JP6903411B2 (ja) 外用組成物
JP5746807B2 (ja) 皮膚用化粧品の組成物
JP3022541B1 (ja) 外用剤
GB2327041A (en) Topical Analgesic Composition
JP2003012501A (ja) 鎮痒エアゾール製剤
CN113286590A (zh) 皮肤外用组合物和气雾剂
JP6929339B2 (ja) 外用組成物
JP7253328B2 (ja) 外用医薬組成物
JPH08268866A (ja) 皮膚外用剤
TWI839432B (zh) 皮膚外用組成物和氣溶膠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