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857A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857A
KR20200107857A KR1020200028340A KR20200028340A KR20200107857A KR 20200107857 A KR20200107857 A KR 20200107857A KR 1020200028340 A KR1020200028340 A KR 1020200028340A KR 20200028340 A KR20200028340 A KR 20200028340A KR 20200107857 A KR20200107857 A KR 2020010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ash
cap
coupl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603B1 (ko
Inventor
박현욱
Original Assignee
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욱 filed Critical 박현욱
Publication of KR2020010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2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having means for operat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두 개로 구비하여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전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발판을 한번 밟는 동작으로 상기 두 개의 도어가 모두 개방되어서 쓰레기의 투입을 쉽게 할 수 있는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측을 덮고 상기 내부공간과 통하는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상부 도어와, 상기 캡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하부 도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를 개폐시키는 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이 일측으로 일부 회전되어 상기 상부 도어가 일부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도어는 개방을 시작하고, 상기 발판이 일측으로 완전히 회전되어 상기 상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도어는 완전히 개방된다.

Description

쓰레기통{WASTEBASKE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발판을 밟아서 작동시키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상단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은 쓰레기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손으로 잡고 개방시킨 후, 상기 내부공간에 쓰레기를 투입하고 상기 도어를 닫았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쓰레기통에 사용자의 손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체를 구부려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발판이 구비되고, 상기 발판을 사용자가 밟으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의 쓰레기통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4514호(2016.04.29. 공고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도어의 기능을 하는 덮개와, 상기 발판의 기능을 하는 가압패널을 구비한 쓰레기통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본체의 상단에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캡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내측 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도어는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는 상기 가압패널을 밟아서 상기 덮개를 개방시킨 후, 상기 내측 도어를 손으로 눌러서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여 쓰레기를 상기 본체 내로 투입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본체 내로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서는, 결국 상체를 구부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4514호(2016.04.29. 공고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1 과제는,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두 개로 구비하여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전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발판을 한번 밟는 동작으로 상기 두 개의 도어가 모두 개방되어서 쓰레기의 투입을 쉽게 할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2 과제는, 발판을 살짝 밟아서 상기 두 개의 도어 중 외측 도어만 일부 개방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두 개의 도어 중 내측 도어를 손으로 최소한으로 개방하여 쓰레기를 투입함으로써, 쓰레기통 내부에서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적게 전해질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본체, 캡, 상부 도어, 하부 도어 및 발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에는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캡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측을 덮는다. 상기 캡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통하는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캡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하부 도어는 상기 캡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발판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를 개폐시킨다. 상기 발판이 일측으로 일부 회전되어 상기 상부 도어가 일부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도어는 개방을 시작한다. 상기 발판이 일측으로 완전히 회전되어 상기 상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도어는 완전히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는 제1 푸쉬로드 및 제2 푸쉬로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푸쉬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발판 중 상기 발판의 회전중심보다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푸쉬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도어 중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중심보다 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푸쉬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발판 중 상기 발판의 회전중심보다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푸쉬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하부 도어 중 상기 하부 도어의 회전중심보다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푸쉬로드는 상기 제2 푸쉬로드보다 상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의 후방부에는 상하로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의 후방부에는 상기 관통홀의 후방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의 후방부에는 상기 관통홀보다 전방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2 결합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의 후방부 하면에는 갈고리형의 제3 결합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리브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리브는 상기 제1 결합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의 후방부에는 제4 결합리브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리브는 상기 제2 결합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리브 중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중심보다 전방부에는 제1 연결샤프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리브 중 상기 하부 도어의 회전중심보다 후방부에는 제2 연결샤프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푸쉬로드의 상단부에는 제1 연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푸쉬로드의 상단부에는 제2 연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 상기 제1 결합리브, 상기 제2 결합리브, 상기 제3 결합리브 및 상기 제4 결합리브 각각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샤프트는 상기 한 쌍의 제3 결합리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샤프트는 상기 한 쌍의 제4 결합리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연결샤프트와 연결되는 제1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홈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2 연결샤프트와 연결되는 제2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홈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을 카트리지통 수용공간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으로 상하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카트리지통 수용공간 및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통 수용공간에는 카트리지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통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통은 상기 쓰레기 투입구 및 상기 연통홀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통의 둘레면에는 튜브형의 쓰레기봉투가 접혀진 상태로 씌워질 수 있다. 상기 접혀진 쓰레기봉투는 사용자에 의해 펼쳐져서 상기 카트리지통의 상단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통의 내부와 상기 연통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의 하면에는 커버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리브는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둘레 하면을 적어도 일부 감쌀 수 있다. 상기 커버 리브는 상기 카트리지통의 상단 테두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리브는 상기 카트리지통의 상단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카트리지통 수용공간 및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의 둘레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는 사이드 도어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도어는 상기 카트리지통 수용공간 및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의 개구된 일측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의 내측면에는 봉합절단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봉합절단장치는 상기 쓰레기봉투를 테이프로 봉합할 수 있고, 봉합이 완료된 쓰레기봉투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캡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제1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는 상기 캡의 상면 나머지부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 테두리부는 상기 제1 단차 위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캡의 상면 나머지부는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 테두리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 테두리부 내측면에는 제2 단차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제3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차는 상기 하부 도어의 상면 나머지부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둘레 하면은 상기 제3 단차 위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하부 도어의 상면 나머지부는 상기 쓰레기 투입구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의 하면에는 제1 테두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홈에는 상기 캡의 상면 나머지부와 접촉되는 패킹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둘레 하면에는 제2 테두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테두리 홈에는 상기 제3 단차와 접촉되는 패킹이 삽입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구비하여,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전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발판을 한번 밟는 동작으로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가 모두 개방되어서 쓰레기의 투입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상기 상부 도어가 일부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도어가 개방을 시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발판을 살짝 밟아 상기 상부 도어를 일부 개방시킨 후, 상기 하부 도어를 손으로 최소한으로 개방하여 쓰레기를 투입함으로써, 쓰레기통 내부에서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적게 전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의 밀폐구조가 적용되어서, 쓰레기통 내부에서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쓰레기봉투를 테이프로 봉합함과 아울러 봉합이 완료된 쓰레기봉투를 절단하는 봉합절단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쓰레기봉투를 버릴 시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입구부를 오므린 후, 상기 입구부를 상기 봉합절단장치의 가이드홈에 밀어 넣는 한 번의 동작으로, 상기 봉합절단장치에서 상기 쓰레기봉투의 입구부의 둘레를 상기 테이프로 감싸서 봉합한 후 봉합된 상기 입구부가 절단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을 살짝 밟았을 때 상부 도어가 일부 개방되고 하부 도어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을 완전히 밟았을 때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캡 및 발판을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캡 커버를 제거한 캡 본체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캡 본체를 제거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캡 본체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상부 도어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하부 도어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에서 사이드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에서 카트리지통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카트리지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의 메인 바디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
도 16은 도 4에 도시된 발판을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봉합절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서 커터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메인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을 살짝 밟았을 때 상부 도어가 일부 개방되고 하부 도어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을 완전히 밟았을 때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1)은, 본체(100)와, 캡(200)과, 상부 도어(300)와, 하부 도어(400)와, 발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상단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의 내부에는 양단이 개방된 튜브형의 쓰레기봉투가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접혀진 쓰레기봉투의 일부를 펼쳐서 일단을 봉합한 후 그 안에 쓰레기를 채우는 구조이지만,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체(100)의 내부에 상기 쓰레기봉투가 설치되지 않고, 본체(100)의 상기 내부공간에 쓰레기가 직접 수용되는 구조일 수도 있고, 양단이 개방된 튜브형의 쓰레기봉투가 아닌 일단만이 개방된 쓰레기봉투를 사용자가 하나씩 본체(100) 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본체(100)는 상측이 개구된 사각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100)는 타원통형 또는 원통형 등 다양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캡(200) 및 상부 도어(300)는 본체(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통형, 타원통형 또는 원통형 등 다양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쓰레기 투입구(201)도 본체(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통형, 타원통형 또는 원통형 등 다양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400)는 쓰레기 투입구(201)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판형, 타원판형 또는 원판형 등 다양한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지지프레임(130)은 본체(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링형, 타원링형 또는 원링형 등 다양한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연통홀(미도시)도 본체(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카트리지통(140)도 본체(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통형, 타원통형 또는 원통형 등 다양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200)은 본체(100)의 개구된 상단을 덮을 수 있다. 캡(200)에는 쓰레기 투입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쓰레기 투입구(201)를 투입된 쓰레기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본체(100) 내의 쓰레기봉투에 수용될 수 있다.
상부 도어(300)는 캡(20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쓰레기 투입구(201)를 개폐할 수 있다.
하부 도어(400)는 캡(20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쓰레기 투입구(201)를 개폐할 수 있다.
발판(500)은 본체(1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쓰레기를 본체(100) 내의 상기 쓰레기봉투에 버리기 위해 발판(500)을 살짝 밟으면, 발판(500)은 아래측으로 일부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도어(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도어(400)는 닫힌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부 도어(300)가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500)을 더욱 더 밟으면, 하부 도어(400)가 개방되기 시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발판(500)을 완전히 밟으면, 발판(500)은 아래측으로 완전히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판(500)이 일측으로 일부 회전되어 상부 도어(300)가 일부 개방되었을 때 하부 도어(400)는 개방을 시작하고, 발판(500)이 일측으로 완전히 회전되어 상부 도어(300)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하부 도어(400)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500)을 한 번 밟는 동작으로,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가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상체를 구부리지 않고 쓰레기 투입구(201)를 통해 쓰레기를 버릴 수 있다. 또한, 본체(100) 내에 수용된 쓰레기 냄새가 고약한 경우,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300)만 일부 개방시킨 후, 하부 도어(400)는 손으로 살짝 개방하여, 쓰레기 투입구(201)를 통해 쓰레기를 버릴 수도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캡(200), 상부 도어(300), 하부 도어(400) 및 발판(5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캡 및 발판을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캡 커버를 제거한 캡 본체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캡 본체를 제거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캡 본체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상부 도어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하부 도어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1)은 제1 푸쉬로드(610) 및 제2 푸쉬로드(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푸쉬로드(610) 및 제2 푸쉬로드(62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푸쉬로드(610) 및 제2 푸쉬로드(620)는 본체(100)의 후방 내측벽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푸쉬로드(610)는 상부 도어(300) 및 발판(500)을 연결할 수 있고, 제2 푸쉬로드(620)는 하부 도어(400) 발판(500)을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발판(500)을 밟으면, 제1 푸쉬로드(610)는 상부 도어(300)를 위로 밀어 개방시킬 수 있고, 제2 푸쉬로드(620)는 하부 도어(400)를 위로 밀어서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푸쉬로드(610)의 하단부는 발판(500) 중 발판(500)의 회전중심(501)보다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발판(500)의 회전중심(50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장축(501)으로 형성되지만, 발판(500)이 회전중심(501)을 기준으로 상하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푸쉬로드(610)의 하단부가 발판(500) 중 발판(500)의 회전중심(501)보다 후방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판(500)의 전방부를 밟으면 제1 푸쉬로드(610)는 상측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1 푸쉬로드(610)의 상단부는 상부 도어(300) 중 상부 도어(300)의 회전중심(301, 302)보다 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도어(300)의 회전중심(301, 302)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두 개의 단축(301, 302)으로 형성되지만, 상부 도어(300)가 회전중심(301, 302)을 기준으로 상하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상기 두 개의 단축(301, 302)은 제1 단축(301) 및 제2 단축(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축(301)은 제2 단축(302)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축(302)은 제1 단축(301)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푸쉬로드(610)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300) 중 상부 도어(300)의 회전중심(301, 302)보다 전방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판(500)의 전방부를 밟아서 제1 푸쉬로드(610)가 상측으로 직선 이동되면, 상부 도어(300)의 전방부는 상부 도어(300)의 회전중심(301, 302)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되어서, 쓰레기 투입구(20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2 푸쉬로드(620)의 하단부는 발판(500) 중 발판(500)의 회전중심(501)보다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푸쉬로드(620)의 하단부가 발판(500) 중 발판(500)의 회전중심(501)보다 후방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판(500)의 전방부를 밟으면 제2 푸쉬로드(620)는 상측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푸쉬로드(620)의 상단부는 하부 도어(400) 중 하부 도어(400)의 회전중심(401)보다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도어(400)의 회전중심(40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장축(401)으로 형성되지만, 하부 도어(400)가 회전중심(401)을 기준으로 상하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푸쉬로드(620)의 상단부가 하부 도어(400) 중 하부 도어(400)의 회전중심(401)보다 후방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판(500)의 전방부를 밟아서 제2 푸쉬로드(620)가 상측으로 직선 이동되면, 하부 도어(400)의 전방부는 하부 도어(400)의 회전중심(401)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회전되어서, 쓰레기 투입구(20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푸쉬로드(610)는 제2 푸쉬로드(620)보다 상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푸쉬로드(620)는 제1 푸쉬로드(610)보다 상하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푸쉬로드(610)의 상단은 제2 푸쉬로드(62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서, 하부 도어(4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부 도어(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푸쉬로드(610)의 상하길이가 제2 푸쉬로드(620)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판(500)의 전방부를 밟으면, 제1 푸쉬로드(610)에 연결된 상부 도어(300)가 제2 푸쉬로드(620)에 연결된 하부 도어(400)보다 먼저 개방을 시작할 수 있다.
캡(200)에 형성된 쓰레기 투입구(201)는 상하 깊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쓰레기 투입구(20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차적으로 깊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쓰레기 투입구(201)는, 전방측면이 후방측면에 비해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좌우측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캡(200)의 후방부에는 상하로 통하는 관통홀(202, 20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02, 203)은 쓰레기 투입구(201)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02, 203)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관통홀(202, 203)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관통홀(202, 203)은 좌측 관통홀(202) 및 우측 관통홀(203)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관통홀(202)은 우측 관통홀(203)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우측 관통홀(203)은 좌측 관통홀(202)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캡(200)의 후방부에는 관통홀(202, 203)의 후방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리브(211, 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리브(211, 212)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결합리브(211, 212)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결합리브(211, 212)는 좌측 제1 결합리브(211) 및 우측 제1 결합리브(21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제1 결합리브(211)는 우측 제1 결합리브(212)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제1 결합리브(212)는 좌측 제1 결합리브(211)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제1 결합리브(211)는 좌측 관통홀(202)의 후방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제1 결합리브(212)는 우측 관통홀(203)의 후방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리브(211, 212)에는 관통홀(202, 20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홀(211A, 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홀(211A, 212A)은 상하로 통하고 전방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홀(211A, 212A)은, 좌측 제1 결합리브(211)에 형성되어 좌측 관통홀(20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좌측 연장홀(211A)과, 우측 제1 결합리브(212)에 형성되어 우측 관통홀(20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우측 연장홀(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연장홀(211A)에는 후술하는 좌측 제3 결합리브(311)의 후단부가 삽입될 수 있고, 우측 연장홀(212A)에는 후술하는 우측 제3 결합리브(312) 후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캡(200)의 후방부에는 관통홀(202, 203)보다 전방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2 결합리브(213, 2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리브(213, 214)는 쓰레기 투입구(201)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리브(213, 214)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결합리브(213, 214)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결합리브(213, 214)는 좌측 제2 결합리브(213) 및 우측 제2 결합리브(214)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제2 결합리브(213)는 우측 제2 결합리브(214)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제2 결합리브(214)는 좌측 제2 결합리브(213)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제2 결합리브(213)는 좌측 관통홀(202)보다 전방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제2 결합리브(214)는 우측 관통홀(203)보다 전방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300)의 후방부 하면에는 갈고리형의 제3 결합리브(311, 3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리브(311, 312)는 관통홀(202, 203)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결합리브(311, 312)는 제1 결합리브(211, 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 결합리브(311, 312)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3 결합리브(311, 312)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결합리브(311, 312)는 좌측 제3 결합리브(311) 및 우측 제3 결합리브(31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제3 결합리브(311)는 우측 제3 결합리브(312)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제3 결합리브(312)는 좌측 제3 결합리브(311)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제3 결합리브(311)는 좌측 관통홀(202)을 관통할 수 있다. 좌측 제3 결합리브(311)는 좌측 제1 결합리브(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좌측 제3 결합리브(311)의 후단부가 좌측 제1 결합리브(211)에 형성된 좌측 연장홀(211A)에 삽입된 후, 상부 도어(300)의 회전중심(301, 302)을 형성하는 제1 단축(301)이 좌측 제1 결합리브(211)에 형성된 홀(211B)과 좌측 제3 결합리브(311)에 형성된 홀(311B)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좌측 제3 결합리브(311)는 좌측 제1 결합리브(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제3 결합리브(312)는 우측 관통홀(203)을 관통할 수 있다. 우측 제3 결합리브(312)는 우측 제1 결합리브(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제3 결합리브(312)의 후단부가 우측 제1 결합리브(212)에 형성된 우측 연장홀(212A)에 삽입된 후, 상부 도어(300)의 회전중심(301, 302)을 형성하는 제2 단축(302)이 우측 제1 결합리브(212)에 형성된 홀(212B)과 우측 제3 결합리브(312)에 형성된 홀(312B)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우측 제3 결합리브(312)는 우측 제1 결합리브(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도어(400)의 후방부에는 제4 결합리브(413, 414)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4 결합리브(413, 414)는 제2 결합리브(213, 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 결합리브(413, 414)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4 결합리브(413, 414)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결합리브(413, 414)는 좌측 제4 결합리브(413) 및 우측 제4 결합리브(414)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제4 결합리브(413)는 우측 제4 결합리브(414)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제4 결합리브(414)는 좌측 제4 결합리브(413)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제4 결합리브(413)는 좌측 제2 결합리브(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제4 결합리브(414)는 우측 제2 결합리브(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좌측 제4 결합리브(413) 및 우측 제4 결합리브(414)는 하부 도어(400)의 회전중심(401)을 형성하는 제2 장축(401)에 의해 좌측 제2 결합리브(213) 및 우측 제2 결합리브(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장축(401)의 좌측단부는 좌측 제4 결합리브(413)에 형성된 홀(413A)과 좌측 제2 결합리브(213)에 형성된 홀(213A)로 삽입되어서, 좌측 제4 결합리브(413)를 좌측 제2 결합리브(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2 장축(401)의 우측단부는 우측 제4 결합리브(414)에 형성된 홀(414A)과 우측 제2 결합리브(214)에 형성된 홀(214A)로 삽입되어서, 우측 제4 결합리브(414)를 우측 제2 결합리브(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3 결합리브(311, 312) 중 상부 도어(300)의 회전중심(301, 302)보다 전방부에는 제1 연결샤프트(30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샤프트(303)의 좌측단부는 좌측 제3 결합리브(311)에 형성된 홀(311C)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 연결샤프트(311)의 우측단부는 우측 제3 결합리브(312)에 형성된 홀(312C)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샤프트(303)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샤프트(303)는 한 쌍의 제3 결합리브(311, 312)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결합리브(413, 414) 중 하부 도어(400)의 회전중심(401)보다 후방부에는 제2 연결샤프트(40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샤프트(403)의 좌측단부는 좌측 제4 결합리브(413)에 형성된 홀(413C)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연결샤프트(403)의 우측단부는 우측 제4 결합리브(414)에 형성된 홀(414C)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샤프트(403)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샤프트(403)는 한 쌍의 제4 결합리브(413, 414)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샤프트(303)는 제2 연결샤프트(403)보다 좌우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샤프트(403)는 제1 연결샤프트(303)보다 좌우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샤프트(303)의 좌측단은 제2 연결샤프트(403)의 좌측단보다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연결샤프트(303)의 우측단은 제2 연결샤프트(403)의 우측단보다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푸쉬로드(610)의 상단부에는 제1 연결부재(6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630)는 제1 연결샤프트(30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630)가 제1 연결샤프트(303)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판(500)의 전방부를 밟으면, 상부 도어(300)가 개방될 수 있다.
제2 푸쉬로드(620)의 상단부에는 제2 연결부재(6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640)는 제2 연결샤프트(40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640)가 제2 연결샤프트(403)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판(500)의 전방부를 밟으면, 하부 도어(400)가 개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630)의 상면에는 제1 연결샤프트(303)와 연결되는 제1 연결홈(6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샤프트(303)의 둘레는 제1 연결홈(635)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홈(635)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서, 제1 연결샤프트(303)의 둘레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1 연결홈(635)이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판(500)의 전방부를 밟지 않고도, 상부 도어(300)를 손으로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물론, 제1 연결홈(635)은 반드시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제1 연결샤프트(303)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재(640)의 상면에는 제2 연결샤프트(403)와 연결되는 제2 연결홈(64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샤프트(403)의 둘레는 제2 연결홈(645)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홈(645)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서, 제2 연결샤프트(403)의 둘레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2 연결홈(645)이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판(500)의 전방부를 밟지 않고도, 하부 도어(400)를 손으로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물론, 제2 연결홈(645)은 반드시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제2 연결샤프트(403)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쓰레기봉투 내에 담긴 쓰레기 냄새가 심할 경우, 사용자는 발판(500)의 전방부를 살짝 밟아서 상부 도어(300)만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하부 도어(400)를 손으로 눌러서 살짝 개방하여서,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캡(200)은 캡 본체(210) 및 캡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본체(210)는 캡(2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캡 커버(220)는 캡(20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쓰레기 투입구(201)는 캡 본체(2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02, 203), 제1 결합리브(211, 212) 및 제2 결합리브(213, 214)도 캡 본체(21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는 캡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쓰레기 투입구(201)를 개폐할 수 있다.
캡 본체(210)의 하측에는 외측 테두리(215) 및 쓰레기 투입구(201) 사이에 상측으로 오목한 공간(216)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한 공간(216)은 캡 본체(2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캡 커버(220)는 캡 본체(2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캡 본체(210)의 외측 테두리(215) 및 쓰레기 투입구(201) 사이의 오목한 공간(216)을 덮는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캡 커버(220)는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 커버(220)는 캡 본체(210)에 형성된 오목한 공간(216)의 후방부를 제외한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 커버(220)는 캡 본체(210)에 형성된 오목한 공간(216)을 덮되, 캡 커버(220)의 개구된 후방부는 제1 결합리브(211, 212), 제2 결합리브(213, 214), 제3 결합리브(311, 312), 제4 결합리브(413, 414), 제1 단축(301), 제2 단축(302), 제2 장축(401), 제1 연결샤프트(303), 제2 연결샤프트(403), 제1 연결부재(630) 및 제2 연결부재(640)를 노출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결합리브(211, 212) 및 한 쌍의 제2 결합리브(213, 214)는 오목한 공간(216)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캡 본체(210)의 오목한 공간(216)에는 복수개의 제1 체결보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보스는 캡 본체(210)의 오목한 공간(216)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캡 커버(220)에는 복수개의 제2 체결보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체결보스는 캡 커버(2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체결보스는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보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체결보스는 스크류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류가 캡 커버(220)의 하측에서 상기 제2 체결보스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체결보스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체결보스 및 상기 제2 체결보스는 상기 스크류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200)이 캡 본체(210) 및 캡 커버(220)로 구성되는 경우, 캡(2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금형 내에서 캡(200)의 제작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 내에서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캡(200),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는 밀폐구조를 가진다. 아래에서는 캡(200),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의 밀폐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캡(200)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제1 단차(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는 캡(200)의 상면 나머지부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캡(200)의 상면은 캡 본체(210)의 상면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차는 캡 본체(210)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300)의 하면 테두리부(315)는 상기 제1 단차 위에 안착될 수 있고, 캡(200)의 상면 상기 나머지부는 상부 도어(300)의 하면 테두리부(31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도어(300)의 하면 테두리부(315) 내측면에는 제2 단차(316)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316)는 캡(200)의 상면 상기 나머지부와 접촉될 수 있다. 제2 단차(316)의 하면에는 제1 테두리 홈(3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테두리 홈(317)에는 캡(200)의 상면 상기 나머지부와 접촉되는 패킹(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400)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제3 단차(4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단차(415)는 하부 도어(400)의 상면 나머지부(416)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쓰레기 투입구(201)의 둘레 하면은 제3 단차(415) 위에 안착될 수 있고, 하부 도어(400)의 상면 나머지부(416)는 쓰레기 투입구(201)로 삽입될 수 있다.
쓰레기 투입구(201)의 둘레 하면에는 제2 테두리 홈(219)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테두리 홈(219)에는 제3 단차(415)와 접촉되는 패킹(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도어(300)가 닫힌 상태일 때, 제2 단차(316) 하면의 제1 테두리 홈(317)에 설치된 상기 패킹이 캡(200)의 상면 상기 나머지부와 접촉되고, 하부 도어(400)가 닫힌 상태일 때, 쓰레기 투입구(201)의 둘레 하면의 제2 테두리 홈(219)에 설치된 상기 패킹이 제3 단차(415)와 접촉되어서, 본체(100) 내의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 커버(220)의 하면에는 제1 후크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돌기는 캡 커버(2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 후크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제1 후크돌기는 캡(200)을 본체(10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본체(100)의 상면에는 캡 커버(22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제1 후크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홀은 본체(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 후크홀로 형성될 수 있다. 캡 커버(22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제1 후크돌기가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제1 후크홀로 각각 삽입됨으로써, 캡(200)은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면에는 개구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홀은 캡 본체(210)에 형성된 쓰레기 투입구(201)와 대응되게 형성되어서, 쓰레기 투입구(201)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는 상기 개구홀을 통해 상기 쓰레기봉투 내로 투입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에서 사이드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에서 카트리지통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카트리지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내측면에는 지지프레임(130)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0)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으로 상하 구획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0)의 내측에는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을 연통시키는 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0)의 후단에는 본체(100)의 후방 내측면에 체결되는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본체(100) 중 후술하는 메인 바디(110)의 내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스크류를 통해 본체(100)의 메인 바디(110) 후방 내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에는 카트리지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통(140)은 상하단이 각각 개구될 수 있다. 카트리지통(140)은 지지프레임(130)에 안착되어, 상단은 캡 본체(210)에 형성된 쓰레기 투입구(201)와 연통될 수 있고, 하단은 지지프레임(130)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과 연통될 수 있다.
카트리지통(140)의 하단에는 플랜지(145)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45)는 카트리지통(1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는 플랜지(145)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지지프레임(130)의 좌측부 상면 및 우측부 상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이드 도어(150)를 개방한 후 카트리지통(140)을 전방으로 당겨서 빼낼 수 있고, 이후에 카트리지통(140)의 둘레면에 쓰레기봉투를 리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카트리지통(140)의 둘레면에 쓰레기봉투를 리필한 후, 플랜지(145)를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 맞대고 카트리지통(140)을 후방으로 밀면, 플랜지(145)가 상기 가이드 리브의 안내를 받으며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카트리지통(140)은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플랜지(145)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통(140)의 둘레면에는 튜브형의 쓰레기봉투가 접혀진 상태로 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1)의 판매처는 상기 튜브형의 쓰레기봉투를 접혀진 상태로 판매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접혀진 상태의 쓰레기봉투를 구입하여서, 카트리지통(140)의 둘레면에 씌울 수 있다.
상기 접혀진 쓰레기봉투의 일단부는 사용자에 의해 펼쳐져서 카트리지통(140)의 상단을 통해 카트리지통(140)의 내부와 지지프레임(1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에 배치된 쓰레기봉투의 하단을 후술하는 봉합절단장치(700)를 이용하여 봉합할 수 있고, 쓰레기봉투의 내부에 쓰레기가 가득 채워진 후에는 쓰레기봉투를 카트리지통(140) 내부에서 인출한 후 쓰레기봉투의 적당한 부위를 좁게 오므린 후 봉합절단장치(700)를 이용하여 봉합하고 절단할 수 있다.
캡(200)의 하면에는 커버 리브(223; 도 4 참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리브(223)는 캡 커버(2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리브(223)는 쓰레기 투입구(201)의 둘레 하면을 적어도 일부 감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리브(223)는 캡 커버(220)의 형상에 대응되어 후방이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리브(223)는 쓰레기 투입구(201) 둘레의 후방부를 제외한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커버 리브(223)는 카트리지통(140)의 상단 테두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리브(223)는 카트리지통(140)의 상단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통(140)의 둘레면에 접혀져서 설치된 상기 튜브형의 쓰레기봉투의 일단부는, 커버 리브(223)의 하단과 카트리지통(140)의 상단 사이에 틈을 통해 카트리지통(140)의 내부로 삽입된 후 지지프레임(1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을 지나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의 둘레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즉, 도면상, 본체(100)는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의 둘레 전방측이 개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1)은 사이드 도어(150; 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도어(150)는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의 개구된 전방측을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이드 도어(150)를 개방한 후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에서 카트리지통(140)을 전방으로 당겨 분리하여, 카트리지통(140)에 접혀진 쓰레기봉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이드 도어(150)를 개방한 후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에서 쓰레기봉투를 봉합절단장치(700)를 이용해 봉합 및 절단한 후 배출할 수 있다.
본체(100)는,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이 형성되어,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의 둘레 전방측이 개구된 메인 바디(110)와, 메인 바디(110)의 하측에 결합된 메인 바디(110)를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200)의 전방부는 메인 바디(110)보다 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120)의 전방부도 메인 바디(110)보다 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도어(150)의 상단은 메인 바디(110)보다 전방으로 돌출 배치된 캡(200)의 전방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도어(150)의 하단은 메인 바디(110)보다 전방으로 돌출 배치된 베이스(120)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도어(150)는 일측을 회전중심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도어(150)의 일측은 메인 바디(110), 베이스(120) 및 캡(200)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 결합되어서, 메인 바디(110)의 둘레 전방측이 개구된 카트리지통 수용공간(102)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을 개폐할 수 있다. 사이드 도어(150)의 타측은 메인 바디(110)에 후크방식으로 걸림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이드 도어(150)의 타측을 메인 바디(110)에 후크걸림해제한 후, 사이드 도어(150)를 일측으로 회전시켜서 개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의 메인 바디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메인 바디(110)의 후방 내측면에는 제1 푸쉬로드(610) 및 제2 푸쉬로드(620)의 상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115, 116)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더(115, 116)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더(115, 116)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더(115, 116)는 좌측 가이더(115) 및 우측 가이더(116)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가이더(115)는 우측 가이더(116)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우측 가이더(116)는 좌측 가이더(115)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좌측 가이더(115) 및 우측 가이더(116)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가이더(115)의 하단 및 우측 가이더(116)의 하단은 메인 바디(110)의 내부공간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가이더(115)의 상단 및 우측 가이더(116)의 상단은 메인 바디(110)의 상단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가이더(115)에는 제1 푸쉬로드(610)가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제1 통로(115A)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 가이더(116)에는 제2 푸쉬로드(620)가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제2 통로(116A)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가이더(115) 및 우측 가이더(116)는 가이더 커버(C)에 의해 가리어질 수 있다. 좌측 가이더(115), 우측 가이더(116) 및 가이드 커버(C)는 메인 바디(110)의 후방 내측면에 후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메인 바디(110)의 내부공간 바닥면 후방부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1 통과홀(미도시) 및 제2 통과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과홀은 좌측 가이더(115)의 하단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과홀은 우측 가이더(116)의 하단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과홀에는 제1 푸쉬로드(610)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과홀에는 제2 푸쉬로드(620)가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메인 바디(110)의 하면에는 제2 후크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돌기는 메인 바디(11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2 후크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제2 후크돌기는 메인 바디(110)를 베이스(12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본체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베이스(120)의 상면에는 제2 후크홀(12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크홀(128)은 베이스(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 제2 후크홀(128)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11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제2 후크돌기는 복수개의 제2 후크홀(128)로 각각 삽입됨으로써, 메인 바디(110) 및 베이스(1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베이스(120) 후방부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3 통과홀(127A) 및 제4 통과홀(127B)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통과홀(127A)은 메인 바디(110)에 형성된 상기 제1 통과홀과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통과홀(127B)은 메인 바디(110)에 형성된 상기 제2 통과홀과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통과홀(127A)에는 제1 푸쉬로드(610)가 통과할 수 있다. 제4 통과홀(127B)에는 제2 푸쉬로드(620)가 통과할 수 있다.
도 16은 도 4에 도시된 발판을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발판(500)은, 사용자가 발로 밟는 부분인 푸쉬부(510)와, 푸쉬부(5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1 푸쉬로드(610) 및 제2 푸쉬로드(620)가 연결되는 부분인 연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부(510) 및 연결부(5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푸쉬부(510)는 발판(500)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연결부(520)는 발판(500)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20)의 전단은 푸쉬부(510)가 배치되는 부분이 후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20)의 전단이 후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되고, 이 후방으로 함입된 베이스(120)의 전단에 발판(500)의 푸쉬부(5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으로 합입된 베이스(120)의 전단과 대응되는 사이드 도어(150)의 하부 전면도 후방으로 합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발판(500)의 푸쉬부(510)를 발로 쉽게 밟을 수 있다.
베이스(120)의 후방으로 함입된 전단에는 전후로 통하는 발판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발판(500)은 발판 관통홀(121)을 관통하여서, 발판(500)의 후방부는 베이스(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20)의 내부에는 발판(500)의 연결부(520)가 수용되는 연결부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수용홈은 발판 관통홀(121)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3 통과홀(127A) 및 제4 통과홀(127B)은 상기 연결부 수용홈의 후방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20)의 하면에는 발판(500)의 회전중심(501)을 형성하는 제1 장축(501)이 수용되는 제1 장축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축 수용홈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1 장축 수용홈에 수용된 제1 장축(501)의 좌우측단이 돌출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0)의 상기 연결부 수용홈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1 장축 수용홈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된 제1 장축(501)의 좌우측단이 돌출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발판(500)의 연결부(520)에는 에어 댐퍼(530)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발판(500)을 밟아서 상부 도어(300)가 개방되거나,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500)을 밟는 외력을 제거하면, 에어 댐퍼(530)는 발판(500)을 서서히 원위치로 회전되도록 하여서, 상부 도어(300) 또는 하부 도어(400)가 닫히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520)에는 에어 댐퍼(530)가 설치되는 에어 댐퍼 설치홀이 상하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 댐퍼(530)는 상기 에어 댐퍼 설치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에어 댐퍼(530)는 상기 에어 댐퍼 설치홀의 둘레면에 형성된 단차에 걸림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댐퍼 설치홀은 연결부(520) 중 발판(500)의 회전중심(501)보다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20)의 상면에는 제1 푸쉬로드(610)의 하단부 및 제2 푸쉬로드(62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로드 결합부(528, 529)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 결합부(528, 529)는 연결부(520) 중 회전중심(501)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 결합부(528, 529)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로드 결합부(528, 529)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로드 결합부(528, 529)는 좌측 로드 결합부(528) 및 우측 로드 결합부(529)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로드 결합부(528)는 우측 로드 결합부(529)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우측 로드 결합부(529)는 좌측 로드 결합부(528)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좌측 로드 결합부(528)에는 제1 푸쉬로드(610)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고, 우측 로드 결합부(529)에는 제2 푸쉬로드(620)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로드 결합부(528)는 전후로 통하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푸쉬로드(610)의 하단부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좌측 로드 결합부(528)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로 삽입됨으로써, 제1 푸쉬로드(610)의 하단부는 좌측 로드 결합부(528)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로드 결합부(529)의 상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푸쉬로드(620)의 하단부는 상하로 곧게 형성되어 우측 로드 결합부(529)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됨으로써, 제2 푸쉬로드(620)의 하단부는 우측 로드 결합부(529)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에는 봉합절단장치(700)가 배치될 수 있다. 봉합절단장치(700)는,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의 바닥면에 눕혀져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져 있으나,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의 바닥면에 세워져 설될 수도 있고,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의 둘레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베이스(120)의 상면에는 봉합절단장치(700)가 결합되는 결합부(129A, 129B)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메인 바디(110)의 내부공간 바닥면에는 결합부(129A, 129B)가 관통하는 관통홀(119A, 119B)이 형성될 수 있다. 봉합절단장치(700)는 관통홀(119A, 119B)을 관통한 결합부(129A, 129B)에 결합되어, 메인 바디(110)의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29A, 129B)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결합부(129A, 129B)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부(129A, 129B)는 전방 결합부(129A) 및 후방 결합부(129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결합부(129A)는 후방 결합부(129B)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후방 결합부(129B)는 전방 결합부(129A)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119A, 119B)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관통홀(119A, 119B)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관통홀(119A, 119B)은 전방 관통홀(119A) 및 후방 관통홀(119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관통홀(119A)은 후방 관통홀(119B)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후방 관통홀(119B)은 전방 관통홀(119A)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방 결합부(129A)는 전방 관통홀(119A)을 관통할 수 있고, 후방 결합부(129B)는 후방 관통홀(119B)을 관통할 수 있다.
봉합절단장치(700)는 전방 결합부(129A) 및 후방 결합부(129B) 사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전방 결합부(129A)에는 봉합절단장치(700)의 전방부가 결합될 수 있고, 후방 결합부(129B)에는 봉합절단장치(700)의 후방부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봉합절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서 커터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메인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봉합절단장치(700)는 상기 쓰레기봉투(7)를 테이프(5)로 봉합할 수 있고, 봉합이 완료된 쓰레기봉투(8)를 절단할 수 있다.
봉합절단장치(700)는 케이스(7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710)는 봉합절단장치(7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710)는 케이스 바디(711), 메인 커버(712) 및 커터 커버(71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711)는 일면이 개구될 수 있고, 메인 커버(712)는 케이스 바디(711)에 결합되어 케이스 바디(711)의 개구된 일면을 덮을 수 있다. 커터 커버(713)는 메인 커버(712)에 결합되어 메인 커버(712)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710)에는 상기 쓰레기봉투의 둘레가 삽입되는 대략 L형상의 가이드홈(715)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쓰레기봉투 수용공간(103)에 배치된 쓰레기봉투에 쓰레기가 어느 정도 채워져서 쓰레기봉투를 버리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쓰레기봉투에 채워진 쓰레기보다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쓰레기봉투의 소정부위의 둘레를 손으로 오므린 후, 상기 오므려진 쓰레기봉투(7)의 둘레를 가이드홈(715)으로 삽입할 수 있고, 상기 쓰레기봉투(7)의 둘레는 가이드홈(715)으로 삽입되어 가이드홈(715)의 길이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봉합절단장치(700)의 내부에 구비된 테이프(5)에 의해 감싸여져서 봉합될 수 있고, 봉합이 완료된 쓰레기봉투(8)는 쓰레기봉투 커터(77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쓰레기봉투의 둘레를 가이드홈(715)에 삽입하여 이동시키는 한 번의 동작으로, 쓰레기봉투(7)의 둘레는 테이프(5)에 의해 봉합되고, 봉합이 완료된 쓰레기봉투(8)는 쓰레기봉투 커터(77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에는 가이드홈(715)이 L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커터 커버(713)에 형성된 가이드홈(715)은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에 형성된 L형상의 가이드홈(715)의 짧은 길이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715)의 입구는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가 이루는 둘레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가 이루는 둘레 일측은 개구될 수 있고, 이 개구된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가 이루는 둘레 일측은 제1 사이드 커버(717) 및 제2 사이드 커버(718)가 개폐할 수 있다. 가이드홈(715)의 입구는 제1 사이드 커버(717) 및 제2 사이드 커버(7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커버(717)의 길이가 제2 사이드 커버(718)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커버(718)의 길이가 제1 사이드 커버(717)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봉합절단장치(700)는 롤러(720), 제1 회전체(730), 제2 회전체(740), 제3 회전체(750) 및 제4 회전체(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720), 제1 회전체(730), 제2 회전체(740), 제3 회전체(750) 및 제4 회전체(760)는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롤러(720)의 양단은 후술하는 개구부(716)로 노출될 수 있다.
롤러(720)의 외측둘레에는 롤 타입의 테이프(5)가 씌워질 수 있다. 사용자가 롤러(720)에 씌워진 롤 타입의 테이프(5)의 끝단을 잡고 당기면, 롤러(720)가 회전되면서 롤 타입의 테이프(5)는 풀려질 수 있다.
제1 회전체(730)는 가이드홈(715)의 일측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체(730)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날개(735)가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날개(735) 중 일부는 가이드홈(715)의 일측에서 가이드홈(715)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체(730)가 회전될 때 복수개의 날개(735)는 롤러(720)에서 풀리는 테이프(5)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개의 날개(735)는 제1 회전체(730)의 외주면에 테이프(5)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가 이루는 둘레 일측 중 가이드홈(715)의 입구가 형성된 일측에는, 개구부(716)가 형성될 수 있다. 롤러(720)는 개구부(716)에 분리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커버(717)는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가 이루는 둘레 일측 중 롤러(720) 및 제1 회전체(730)가 배치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커버(717)는 개구부(716)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커버(717)는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716)를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사이드 커버(717)를 회전시켜 개구부(716)를 개방한 후 롤러(720)를 개구부(716)에서 빼내서 롤러(720)의 둘레에 롤 타입의 테이프(5)를 씌운 후, 롤러(720)를 개구부(716)에 삽입하고 제1 사이드 커버(717)를 회전시켜 개구부(716)를 닫을 수 있다.
제2 회전체(740)는 가이드홈(715)의 타측 부근에 제1 회전체(730)와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체(740)는 리턴스프링을 통해 원위치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가지게 설치되어서, 제1 회전체(730) 및 제2 회전체(740) 사이에 배치된 테이프(5)를 쓰레기봉투의 둘레로 가압할 수 있다.
제2 회전체(740)는 제1 회전체(730)의 둘레면에 대향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체(740)의 오목한 곡면은 가이드홈(715)의 타측에서 가이드홈(715)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커버(718)는 케이스 바디(711) 및 메인 커버(712)가 이루는 둘레 일측 중 제2 회전체(740)가 배치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롤러(720)의 외측면에 씌워진 롤 타입의 테이프(5)의 끝단을 잡아 당겨서, 테이프(5)를 제1 회전체(730)의 복수개의 날개(735)로 경유시키고, 테이프(5)의 끝단을 제2 사이드 커버(718)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홈(715)의 입구를 통해 상기 쓰레기봉투의 둘레가 삽입된 후, 상기 쓰레기봉투의 둘레가 가이드홈(715)을 따라 이동되어 제1 회전체(730) 및 제2 회전체(740) 사이를 통과하면서, 테이프(5)에 의해 둘레가 감싸여짐으로써, 상기 쓰레기봉투는 테이프(5)에 의해 봉합될 수 있다.
제3 회전체(750)는 제1 회전체(73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전체(750)는 가이드홈(715)의 일측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전체(750)는 리턴스프링을 통해 원위치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가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회전체(750)의 일단부는 가이드홈(715)의 일측에서 가이드홈(715)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전체(750)의 타단에는 테이프 커터(75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체(730) 및 제2 회전체(740) 사이를 통과하면서 테이프(5)에 의해 봉합이 완료된 쓰레기봉투는, 제3 회전체(750)의 일단부를 밀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3 회전체(750)가 회전되면서 테이프 커터(755)가 가이드홈(755)의 일측에서 가이드홈(715)으로 돌출되어 테이프(5)를 절단할 수 있다.
제4 회전체(760)는 제2 회전체(74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회전체(760)는 가이드홈(715)의 타측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회전체(760)는 리턴스프링을 통해 원위치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가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4 회전체(760)의 일단부는 제3 회전체(750)의 일단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봉합절단장치(700)는 메인 커버(712)의 외측면에 설치된 쓰레기봉투 커터(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쓰레기봉투 커터(770)는 가이드홈(715)의 끝단부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쓰레기봉투 커터(770)는 메인 커버(712)의 외측면에 결합된 커터 커버(713)에 의해 가리어질 수 있다.
가이드홈(715)의 입구를 통해 삽입된 쓰레기봉투는, 가이드홈(715)내에서 제1 회전체(730) 및 제2 회전체(740) 사이를 통과하면서 쓰레기봉투의 둘레가 테이프(5)에 의해 감싸여져 봉합이 완료되고, 가이드홈(715) 내에서 제3 회전체(750)를 통과하면서 테이프(5)가 절단되며, 가이드홈(715)의 끝단부를 통과하면서 쓰레기봉투 커터(770)에 의해 쓰레기봉투는 절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1)은, 쓰레기 투입구(201)를 개폐하는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를 구비하여,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전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발판(500)을 한번 밟는 동작으로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가 모두 개방되어서 쓰레기의 투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1)은 상부 도어(300)가 일부 개방되었을 때 하부 도어(400)가 개방을 시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판(500)을 살짝 밟아 상부 도어(300)를 일부 개방시킨 후, 하부 도어(400)를 손으로 최소한으로 개방하여 쓰레기를 투입함으로써, 쓰레기통 내부에서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적게 전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1)은 상부 도어(300) 및 하부 도어(400)의 밀폐구조가 적용되어서, 쓰레기통 내부에서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1)은 쓰레기봉투를 테이프(5)로 봉합함과 아울러 봉합이 완료된 쓰레기봉투를 절단하는 봉합절단장치(700)를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쓰레기봉투를 버릴 시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입구부를 오므린 후, 상기 입구부를 봉합절단장치(700)의 가이드홈(715)에 밀어 넣는 한 번의 동작으로, 봉합절단장치(700)에서 상기 쓰레기봉투의 입구부의 둘레를 상기 테이프로 감싸서 봉합한 후 봉합된 상기 입구부가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쓰레기통 100 : 본체
102 : 카트리지통 수용공간 103 : 쓰레기봉투 수용공간
130 : 지지프레임 140 : 카트리지통
150 : 사이드 도어 200 : 캡
201 : 쓰레기 투입구 202, 203 : 관통홀
210 : 캡 본체 211, 212 : 제1 결합리브
213, 214 : 제2 결합리브 219 : 제2 테두리 홈
220 : 캡 커버 223 : 커버 리브
300 : 상부 도어 301 : 상부 도어의 회전중심
303 : 제1 연결샤프트 311, 312 : 제3 결합리브
316 : 제2 단차 317 : 제1 테두리 홈
400 : 하부 도어 401 : 하부 도어의 회전중심
403 : 제2 연결샤프트 413, 414 : 제4 결합리브
415 ; 제3 단차 500 : 발판
501 : 발판의 회전중심 610 : 제1 푸쉬로드
620 : 제2 푸쉬로드 630 : 제1 연결부재
635 : 제1 연결홈 640 : 제2 연결부재
645 : 제2 연결홈 700 : 봉합절단장치

Claims (11)

  1.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측을 덮고, 상기 내부공간과 통하는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된 캡;
    상기 캡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상부 도어;
    상기 캡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하부 도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를 개폐시키는 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이 일측으로 일부 회전되어 상기 상부 도어가 일부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도어는 개방을 시작하고, 상기 발판이 일측으로 완전히 회전되어 상기 상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도어는 완전히 개방되는 쓰레기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 중 상기 발판의 회전중심보다 후방부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 도어 중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중심보다 전방부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제1 푸쉬로드와,
    상기 발판 중 상기 발판의 회전중심보다 후방부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하부 도어 중 상기 하부 도어의 회전중심보다 후방부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제2 푸쉬로드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쉬로드는 상기 제2 푸쉬로드보다 상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쓰레기통.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의 후방부에는, 상하로 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후방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리브와, 상기 관통홀보다 전방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2 결합리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의 후방부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1 결합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갈고리형의 제3 결합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도어의 후방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리브 중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중심보다 전방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샤프트와,
    상기 제4 결합리브 중 상기 하부 도어의 회전중심보다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2 연결샤프트와,
    상기 제1 푸쉬로드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샤프트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푸쉬로드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샤프트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상기 제1 결합리브, 상기 제2 결합리브, 상기 제3 결합리브 및 상기 제4 결합리브 각각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샤프트는 상기 한 쌍의 제3 결합리브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샤프트는 상기 한 쌍의 제4 결합리브를 연결하는 쓰레기통.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연결샤프트와 연결되는 제1 연결홈이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2 연결샤프트와 연결되는 제2 연결홈이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쓰레기통.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을 카트리지통 수용공간 및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으로 상하 구획하고, 상기 카트리지통 수용공간 및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카트리지통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쓰레기 투입구 및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며, 튜브형의 쓰레기봉투가 접혀진 상태로 둘레면에 씌워지는 카트리지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혀진 쓰레기봉투의 일단부는 사용자에 의해 펼쳐져서 상기 카트리지통의 상단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통의 내부와 상기 연통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쓰레기통.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면에는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둘레 하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는 커버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리브는 상기 카트리지통의 상단 테두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통의 상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쓰레기통.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카트리지통 수용공간 및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의 둘레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카트리지통 수용공간 및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의 개구된 일측을 개폐하는 사이드 도어;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봉투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쓰레기봉투를 테이프로 봉합하고, 봉합이 완료된 쓰레기봉투를 절단하는 봉합절단장치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상기 캡의 상면 나머지부에 비해 높이가 낮은 제1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 테두리부는 상기 제1 단차 위에 안착되고, 상기 캡의 상면 나머지부는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 테두리부 내로 삽입되며,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 테두리부 내측면에는 제2 단차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상기 하부 도어의 상면 나머지부에 비해 높이가 낮은 제3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둘레 하면은 상기 제3 단차 위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상면 나머지부는 상기 쓰레기 투입구로 삽입되며,
    상기 제2 단차의 하면에는 상기 캡의 상면 나머지부와 접촉되는 패킹이 삽입되는 제1 테두리 홈이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둘레 하면에는 상기 제3 단차와 접촉되는 패킹이 삽입되는 제2 테두리 홈이 형성되는 쓰레기통.
KR1020200028340A 2019-03-08 2020-03-06 쓰레기통 KR102265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6672 2019-03-08
KR1020190026672 2019-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857A true KR20200107857A (ko) 2020-09-16
KR102265603B1 KR102265603B1 (ko) 2021-06-17

Family

ID=7266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340A KR102265603B1 (ko) 2019-03-08 2020-03-06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6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380B1 (ko) * 2021-04-15 2021-09-08 김용철 사용성이 향상된 하향 개폐식 쓰레기통
KR102345476B1 (ko) * 2020-10-30 2021-12-31 (주)제니벨 쓰레기봉투의 밀봉 및 절단이 편리한 쓰레기통
KR102408213B1 (ko) * 2020-12-28 2022-06-10 이정혜 친환경 휴지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514B1 (ko) 2015-07-06 2016-04-29 (주)매직캔 덮개의 폐쇄 속도를 감속시키는 에어 댐퍼를 구비한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514B1 (ko) 2015-07-06 2016-04-29 (주)매직캔 덮개의 폐쇄 속도를 감속시키는 에어 댐퍼를 구비한 쓰레기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476B1 (ko) * 2020-10-30 2021-12-31 (주)제니벨 쓰레기봉투의 밀봉 및 절단이 편리한 쓰레기통
WO2022092596A1 (ko) * 2020-10-30 2022-05-05 (주)제니벨 쓰레기봉투의 밀봉 및 절단이 편리한 쓰레기통
KR102408213B1 (ko) * 2020-12-28 2022-06-10 이정혜 친환경 휴지통
KR102300380B1 (ko) * 2021-04-15 2021-09-08 김용철 사용성이 향상된 하향 개폐식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603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7857A (ko) 쓰레기통
EP3230177B1 (en) Container with waste chamber and supports for flexible bags
US6925781B1 (en) Integrated cutting tool for waste disposal method and apparatus
KR101742991B1 (ko) 세탁장치
US7992742B1 (en) Refuse receptacle with spring bias arrangement
US8844751B2 (en) Waste container
US4060182A (en) Bottle with electrically-operated pump
KR102094524B1 (ko) 순차 개폐식 도어가 구비된 쓰레기통
CN208307572U (zh) 一种脚踏式开换袋垃圾桶
KR200449987Y1 (ko) 쓰레기통
JP2005028927A (ja) ボックス装置
CN205739001U (zh) 脚踏式内套袋卫生垃圾桶
KR200482840Y1 (ko) 쓰레기통의 악취 방지용 보조덮개 개폐장치
CN218318709U (zh) 垃圾桶
US20040222225A1 (en) Waste collecting tank
US3890653A (en) Incinerator toilet having a vertically movable incinerator chamber lid
CN211109229U (zh) 垃圾桶桶盖
KR20220001461U (ko) 쓰레기통
KR101539562B1 (ko) 압축 휴지통
CN218023422U (zh) 垃圾桶
EP3878770B1 (en) Wastebasket having airtight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foul odors
KR102345476B1 (ko) 쓰레기봉투의 밀봉 및 절단이 편리한 쓰레기통
KR102650891B1 (ko) 쓰레기통
JP3781120B2 (ja) ごみ箱
KR20170020181A (ko)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