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593A - 자구 드로잉 장치 - Google Patents

자구 드로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593A
KR20200107593A KR1020190026954A KR20190026954A KR20200107593A KR 20200107593 A KR20200107593 A KR 20200107593A KR 1020190026954 A KR1020190026954 A KR 1020190026954A KR 20190026954 A KR20190026954 A KR 20190026954A KR 20200107593 A KR20200107593 A KR 20200107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plate
horizontal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729B1 (ko
Inventor
이기석
강명환
정대한
한희성
이수석
김남규
옥혜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2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729B1/ko
Priority to US16/809,945 priority patent/US11331932B2/en
Publication of KR2020010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magnet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9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multi-stylus heads
    • B41J2/4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multi-stylus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multi-stylus head

Landscapes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는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이동시키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 플레이트가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변형시키는 자구 변형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자구 변형부는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여 상기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변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구 드로잉 장치 {Apparatus For Drawing Magnetic Domain}
본 발명은 자구 드로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성 잉크에 함유된 자성 입자는 자기력 세기에 따라 상이한 밀도로 분포되는 점을 이용하여 자성 인쇄를 구현할 수 있다.
자성 인쇄 패턴을 만들기 위해서는 자성 플레이트의 자기력 세기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해서, 종래에는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성 플레이트의 요철을 영구적으로 식각하는 "자성 잉크 및 자기력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등록특허공보: 10-1881037)"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자성 플레이트의 요철을 영구적으로 깎은 것이기 때문에, 그 형상이 한번 정해진 후에는 자기력 조정이 불가하고, 자성 인쇄 패턴 디자인이 바뀌면 자성 플레이트의 요철도 새로 만들어야 한다. 더하여, 자성 인쇄 패턴 또한 경험적 방법으로 디자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하학적 모양 이외의 원하는 디자인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자성 인쇄에 필요한 독특한 패턴을 원하는 방향으로 가변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등록공보 10-1881037 (2018.07.1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자구 드로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는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이동시키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 플레이트가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변형시키는 자구 변형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자구 변형부는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여 상기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에서 상기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는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고정하고,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 상기 수직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이동부를 제1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수평 이동부; 및 상기 제1 수평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부를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엇갈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수평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에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브라켓;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스크류;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스크류와 이격되게 상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 스크류 회전 시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수직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수직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에서 상기 제1 수평 이동부는,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홀더를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수평 스크류; 상기 제1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수평 스크류와 이격되게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수평 스크류 회전 시 상기 제1 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수평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제1 수평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수평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에서 상기 제2 수평 이동부는, 상기 제1 수평 이동 가이드에 연결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와 결합된 제2 홀더; 상기 제2 홀더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홀더를 상기 제2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수평 스크류; 상기 제2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수평 스크류와 이격되게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수평 스크류 회전 시 상기 제2 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수평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제2 수평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 수평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에서 상기 자구 변형 모듈은,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상기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구 변형부; 상기 자구 변형부가 결합되고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가로 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지지부; 및 상기 수평 지지부의 단부에서 기저면을 향해 연장되는 수직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에서 상기 자구 변형부는 영구 자석, 전자석, 레이저 온도 변환기 또는 전자파 조사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에서 상기 자구 변형부는, 상기 수평 지지부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승강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렉 기어; 및 상기 렉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렉 기어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는 강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는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고정 모듈;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변형시킬 수 있는 자성 변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구 변형 모듈은,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상기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구 변형부; 및 상기 자구 변형부를 이동시키는 자구 변형부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는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이동시키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구 변형부 및 상기 자구 변형부를 이동시키는 자구 변형부 이동부를 포함하는 자구 변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는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용이하게 변형할 수 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 플레이 이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자구 드로잉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1)는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磁區, magnetic domain)를 변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와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200)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10) 및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변형 시키는 자구 변형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는 자성 플레이트(p)가 안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는 단턱(110)이 구비될 수 있다.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의 상면과 하면은 적어도 일부 면이 개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 자성 플레이트(p)가 안착되는 경우 자성 플레이트(p)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 플레이트(p)는 예를 들어, 고무 자석, 페라이트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자성 플레이트(p)는 외부로부터 열, 압력, 전자파 및 자기장 중 어느 하나에 노출되었을 때 자구가 변화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200)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를 고정하고,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210), 수직 이동부(210)에 연결되어 수직 이동부(210)를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수평 이동부(220) 및 제1 수평 이동부(220)에 연결되어 제1 수평 이동부(220)를 제1 수평 방향과 엇갈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수평 이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방향, 제1 수평 방향 및 제2 수평 방향은 서로 직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수평 방향은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수평 방향은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수직 이동부(210)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 연결되어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직 이동부(210)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직 이동부(210)는 일 예로서, 자성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브라켓(211), 플레이트 브라켓(211)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수직 스크류(212), 플레이트 브라켓(211)을 관통하여 수직 스크류(212)와 이격되게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수직 이동 가이드(213) 및 스직 스크류(212)를 회전 시키는 수직 모터(21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브라켓(211)은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 브라켓(211)은 수직 모터(214)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직 스크류(212)는 플레이트 브라켓(211)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고, 플레이트 브라켓(211) 양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이드(2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직 이동 가이드(213)는 수직 방향 양측 단부가 별도의 고정부재(213a)에 구속되어 있어, 플레이트 브라켓(211)가 수직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모터(214)가 회전하여 수직 스크류(212)를 회전 시키는 경우, 수직 스크류(21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플레이트 브라켓(211)은 수직 이동 가이드(213)를 따라 상측으로 상승하거나 하측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수직 모터(214)는 스텝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평 이동부(220)는 수직 이동부(210)에 연결되어 수직 이동부(210)를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수평 이동부(220)는 수직 이동부(21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직 이동부(210)가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직 이동부(210)에 연결된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가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수평 이동부(220)는 일 예로서, 플레이트 브라켓(211)에 결합되는 제1 홀더(221), 제1 홀더(221)를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수평 스크류(222), 제1 홀더(221)를 관통하여 제1 수평 스크류(222)와 이격되게 제1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평 이동 가이드(223) 및 제1 수평 스크류(222)를 회전시키는 제1 수평 모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221)는 플레이트 브라켓(211)에 기구적으로 결합되거나 용접, 접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홀더(221)는 제1 수평 모터(224)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수평 스크류(222)는 제1 홀더(221)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제1 홀더(221)의 양측으로 제1 수평 방향으로 제1 수평 이동 가이드(22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 이동 가이드(223)는 제1 수평 방향 양측 단부가 별도의 고정부재(223a)에 구속되어 있어 제1 홀더(221)가 제1 수평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평 모터(224)가 회전하여 제1 수평 스크류(222)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1 수평 스크류(2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홀더(221)는 제1 수평 이동 가이드(223)를 따라 제1 수평 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평 모터(224)는 스텝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평 이동부(230)는 제1 수평 이동부(220)에 연결되어 제1 수평 이동부(220)를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수평 이동부(230)는 제1 수평 이동부(22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수평 이동부(230)는 일 예로서, 제1 수평 이동부(220)에 연결된 커넥터(231), 커넥터(231)와 결합된 제2 홀더(232), 제2 홀더(232)를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수평 스크류(233), 제2 홀더(232)를 관통하여 제2 수평 스크류(233)와 이격되게 제2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 이동가이드(234) 및 제2 수평 스크류(233)를 회전시키는 제2 수평 회전모터(23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31)는 제1 수평 이동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231)는 제1 수평 이동부(220)의 제1 수평 이동 가이드(223)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31)는 제2 홀더(2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홀더(232)는 커넥터와 기구적으로 결속되거나 접착,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홀더(232)는 제2 수평 스크류(223)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수평 스크류(223)는 제2 홀더(232)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제2 홀더(232)의 양측으로 제2 수평 방향으로 제2 수평 이동 가이드(234)가 결합될 수 잇다. 이때, 제2 수평 이동 가이드(234)는 제2 수평 방향 양측 단부가 별도의 고정부재(234a)에 구속되어 있어 제2 홀더(232)가 제2 수평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평 모터(235)가 회전하여 제2 수평 스크류(223)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2 수평 스크류(22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홀더(232)는 제2 수평 이동 가이드(234)를 따라 제2 수평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평 모터(235)는 스텝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1)는 수직 이동부(210), 제1 수평 이동부(220) 및 제2 수평 이동부(230)를 포함함으로써,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부를 3차원 이동 시킬 수 있다.
자구 변형 모듈(20)은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 자성 플레이트(p)가 안착되는 경우 자성 플레이트(p)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구 변형부(300), 자구 변형부(300)부가 결합되고,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를 가로 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지지부(400) 및 수평 지지부의 단부에서 기저면을 향해 연장되는 수직 지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구 변형부(300)는 자성 플레이트(p)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석(도 1 참조) 또는 강한 영구자석(도 6 참조)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하측에 배치된 자성 플레이트(p)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구 변형부(300)는 자성 플레이트(p)에 외력을 인가하여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자구 변형부(300)는 수평 지지부(400)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310), 피니언 기어(310)와 기어 결합되어 승강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렉 기어(320) 및 렉 기어(320)에 결합되어 렉 기어(320)가 하강하는 경우 자성 플레이트(p)를 가압하는 강성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구 변형부(300)는 자성 플레이트(p)의 표면을 가압하여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강성체(330) 하측에 배치된 자성 플레이트(p)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형할 수 있다.
더하여, 자구 변형부(300)는 자성 플레이트(p)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형시키는 레이저 온도 변환기 또는 자성 플레이트(p)에 전자파를 조사하여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형하는 전자파 조사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자구 변형부(300)를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햐, 자구 변형부(300)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의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자구 변형부(300)를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 상측 및 하측 모두에 배치하여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는 강성체(330)를 포함한 자구 변형부(300)가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자구 변형부(300)는 영구 자석, 전자석, 레이저 온도 변환기 또는 전자파 조사기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1)는 자성 플레이트(P)가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고정 모듈(10) 및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 자성 플레이트(p)가 안착되는 경우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변형시킬 수 있는 자성 변형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구 변형 모듈(20)은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 자성 플레이트(p)가 안착되는 경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구 변형부(300) 및 자구 변형부(300)를 이동시키는 자구 변형부 이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구 변형부(340)는 별도의 브라켓(340)을 통해 자구 변형부 이동부(600)에 연결될 수 있다. 자구 변형부 이동부(600)는 자구 변형부(3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610), 수직 이동부(610)에 연결되어 수직 이동부(610)를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수평 이동부(620) 및 제1 수평 이동부(620)에 연결되어 제1 수평 이동부(620)를 제1 수평 방향과 엇갈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수평 이동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1)에 구비되는 수직 이동부(610), 제1 수평 이동부(620) 및 제2 수평 이동부(63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200)의 수직 이동부(210), 제1 수평 이동부(220) 및 제2 수평 이동부(230)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설명에 갈음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자구 드로잉 장치(1)는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와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를 이동시키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200)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10) 및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100)에 자성 플레이트(p)가 안착되는 경우 자성 플레이트(p)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구 변형부(300)와 자구 변형부(300)를 이동시키는 자구 변형부 이동부(600)를 포함하는 자구 변형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자구 드로잉 장치(1)에 구비되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1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자구 드로잉 장치(1)의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1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자구 드로잉 장치(1)에 구비되는 자구 변형 모듈(20)은 도 9에 도시된 자구 드로잉 장치(1)에 구비되는 자구 변형 모듈(2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설명에 갈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구 변형 장치(1)를 구동하는 방법으로 수동 동작 혹은 전동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전동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MATLAB, LabVIEW, Aduino 등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구 드로잉 장치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10) 및 자구 변형 모듈(20)을 포함함으로써 자성 플레이트(p)의 자구를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어, 원하는 패턴으로 자성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자구 드로잉 장치 10: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
20: 자구 변형 모듈 100: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
110: 단턱 200: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
210: 수직 이동부 220: 제1 수평 이동부
230: 제2 수평 이동부 300: 자구 변형부
310: 피니언 기어 320: 렉 기어
330: 강성체 400: 수평 지지부
500: 수직 지지부

Claims (11)

  1.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이동시키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 플레이트가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변형시킬 수 있는 자구 변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구 변형모듈은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가하여 상기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변형시키는,
    자구 드로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는,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고정하고,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
    상기 수직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이동부를 제1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수평 이동부; 및
    상기 제1 수평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부를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엇갈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수평 이동부;를 포함하는,
    자구 드로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브라켓;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스크류;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스크류와 이격되게 상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 스크류 회전 시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수직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수직 모터;를 포함하는,
    자구 드로잉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이동부는,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홀더를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수평 스크류;
    상기 제1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수평 스크류와 이격되게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수평 스크류 회전 시 상기 제1 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수평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제1 수평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수평 모터;를 포함하는,
    자구 드로잉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 이동부는,
    상기 제1 수평 이동 가이드에 연결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와 결합된 제2 홀더;
    상기 제2 홀더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홀더를 상기 제2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수평 스크류;
    상기 제2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수평 스크류와 이격되게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수평 스크류 회전 시 상기 제2 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수평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제2 수평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 수평 모터;를 포함하는,
    자구 드로잉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구 변형 모듈은,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상기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구 변형부;
    상기 자구 변형부가 결합되고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가로 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지지부; 및
    상기 수평 지지부의 단부에서 기저면을 향해 연장되는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자구 드로잉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구 변형부는 영구 자석, 전자석, 레이저 온도 변환기 또는 전자파 조사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자구 드로잉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구 변형부는,
    상기 수평 지지부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승강 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렉 기어; 및
    상기 렉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렉 기어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는 강성체;를 포함하는,
    자구 드로잉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구 변형부는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자구 드로잉 장치.
  10.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고정 모듈;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의 자구를 변형시킬 수 있는 자성 변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구 변형 모듈은,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상기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구 변형부; 및
    상기 자구 변형부를 이동시키는 자구 변형부 이동부를 포함하는,
    자구 드로잉 장치.
  11.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를 이동시키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부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이동 모듈; 및
    상기 자성 플레이트 안착부에 자성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열, 자기장 및 외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구 변형부 및 상기 자구 변형부를 이동시키는 자구 변형부 이동부를 포함하는 자구 변형 모듈;을 포함하는,
    자구 드로잉 장치.
KR1020190026954A 2019-03-08 2019-03-08 자구 드로잉 장치 KR10226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54A KR102265729B1 (ko) 2019-03-08 2019-03-08 자구 드로잉 장치
US16/809,945 US11331932B2 (en) 2019-03-08 2020-03-05 Magnetic domain draw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54A KR102265729B1 (ko) 2019-03-08 2019-03-08 자구 드로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593A true KR20200107593A (ko) 2020-09-16
KR102265729B1 KR102265729B1 (ko) 2021-06-16

Family

ID=7233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954A KR102265729B1 (ko) 2019-03-08 2019-03-08 자구 드로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31932B2 (ko)
KR (1) KR1022657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547A (ja) * 1999-04-02 2000-11-28 Nipson Sa 磁気印刷の方法
KR20000021424U (ko) * 1999-05-27 2000-12-26 정문술 핸들러의 트레이 이송용 엘리베이터
JP2005093889A (ja) * 2003-09-19 2005-04-07 Yaskawa Electric Corp 微細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80005989A (ko) * 2016-07-07 2018-01-17 주식회사 동명이엔지 용접용 지그 장치
KR101881037B1 (ko) 2017-12-12 2018-07-23 (주)아이엠씨티 자성잉크 및 자기력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415A (en) * 1977-07-15 1979-10-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System for producing orthophotographs
US6359747B1 (en) * 1998-02-10 2002-03-19 Seagate Technology Llc Hard disk patterning
TW201100975A (en) * 2009-04-21 2011-01-01 Nikon Corp Moving-object apparatus, exposure apparatus, exposure method,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6467233B2 (ja) * 2015-01-29 2019-02-0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検査装置、描画装置及び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547A (ja) * 1999-04-02 2000-11-28 Nipson Sa 磁気印刷の方法
KR20000021424U (ko) * 1999-05-27 2000-12-26 정문술 핸들러의 트레이 이송용 엘리베이터
JP2005093889A (ja) * 2003-09-19 2005-04-07 Yaskawa Electric Corp 微細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80005989A (ko) * 2016-07-07 2018-01-17 주식회사 동명이엔지 용접용 지그 장치
KR101881037B1 (ko) 2017-12-12 2018-07-23 (주)아이엠씨티 자성잉크 및 자기력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82744A1 (en) 2020-09-10
KR102265729B1 (ko) 2021-06-16
US11331932B2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3296B2 (en) Device for making an object and a method for making an object
WO2015143868A1 (zh) 一种车门把手遮盖装置及具有其的车辆
US111419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object
EP27446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object
JP4545697B2 (ja) ステージ装置
EP2722159A1 (en)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0747855B1 (ko) 짐벌 기구를 구비한 전사 장치 및 전사 장치를 이용한 전사방법
KR20100009491A (ko) 정렬 장치
KR102265729B1 (ko) 자구 드로잉 장치
JP5781381B2 (ja) 固定治具
CN110280864A (zh) 一种带有力控制和视觉定位的自动焊接装置
JP4399869B2 (ja) 超音波振動を用いて実装部品を被実装部品に実装する実装装置
CN1854551A (zh) 线性电动机的制动装置以及用于定位线性电动机的活动部件的方法
US20180326482A1 (en) Three-dimensional object shap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US9703129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5366452B2 (ja) 被成型品の成型方法および成型装置
JP2021061394A (ja) 転写装置及び転写方法
KR100764295B1 (ko) 전사 장치
JP2007313708A (ja) 転写装置、転写機構および転写方法
KR20110088362A (ko) 광 조사 장치
US1156546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shaped object,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rticle
JP2008300508A (ja) 圧着装置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6582282B2 (ja) 画像彫刻装置
KR20230120352A (ko) 곡면패널 유연소재합착장치용 헤드유닛의 틸팅기능부여 어태치먼트 및 상기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곡면패널 유연소재합착장치
KR102539487B1 (ko)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