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258A -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258A
KR20200107258A KR1020190026106A KR20190026106A KR20200107258A KR 20200107258 A KR20200107258 A KR 20200107258A KR 1020190026106 A KR1020190026106 A KR 1020190026106A KR 20190026106 A KR20190026106 A KR 20190026106A KR 20200107258 A KR20200107258 A KR 20200107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feeder
carrier tape
modul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배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258A/ko
Publication of KR2020010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258A/ko
Priority to KR1020210127182A priority patent/KR20210123253A/ko
Priority to KR1020230022768A priority patent/KR20230031269A/ko
Priority to KR1020230191557A priority patent/KR20240007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의 위한 유도 경로가 형성된 피더 몸체(11); 피더 몸체(11)의 경로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모듈(12); 및 분리 모듈(12)의 끝 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A Feeder for a Carrier Tape}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부품이 수용된 캐리어 테이프를 픽업 위치로 이송하여 부품의 픽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동일 부품이 자동 생산 공정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켜 부품을 공급하는 피더가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는 부품 수용 홈이 형성된 기재 및 기재의 위쪽에 결합되어 부품을 보호하는 보호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가 픽업 위치로 이송되기 전 보호 테이프가 제거되어야 하고, 노출된 부품이 픽업 장치에 의하여 픽업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피더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등록번호 10-0942164는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 공급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4-0031009는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공급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피더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이 이송될 수 있고, 다수 개의 피더가 부품 공급 장치에 배치되어 전자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품 공급 구조에서 보호 테이프를 분리시키는 부분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부품에 대한 픽업 위치에 따라 보호 테이프의 분리 부분만을 교체하여 부품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테이프의 분리 구조에 따라 그에 적합한 분리 구조를 가지는 보호 테이프 분리 모듈로 교체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피더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0942164(김광식, 2010.02.12. 공고)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 공급 장치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14-0031009(한화테크윈 주식회사, 2014.03.12. 공개)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테이프의 분리를 위한 분리 모듈의 교체가 가능하면서 보호 테이프의 분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의 위한 유도 경로가 형성된 피더 몸체; 피더 몸체의 경로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모듈; 및 분리 모듈의 끝 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더 몸체에 결합되어 캐리어 테이프의 기재로부터 분리된 보호 테이프를 유도하는 분리 유도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리 모듈은 분리 몸체; 분리 몸체의 뒤쪽에 형성된 결합 다리; 및 분리 몸체의 앞쪽에 형성되어 고정 유닛에 결합되는 고정 결합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리 모듈은 분리 몸체; 분리 몸체의 아래쪽 면에 결합되는 분리 커터 및 분리 커터의 맞은편에 형성되면서 연장 방향에 따라 경사진 분리 틈을 형성하는 갭 형성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리 모듈은 판 형상의 결합 부분; 결합 부분으로 한쪽 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조절 부분; 및 조절 부분에 결합되면서 점차로 두께가 감소되면서 끝 부분에 곡선 형상이 되는 분리 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리 모듈에 형성된 제거 홀을 더 포함하고, 제거 홀은 픽업 위치와 분리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는 분리 모듈이 교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분리 방식의 모듈이 동일한 이송 모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더는 서로 다른 분리 위치를 가진 분리 커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분리 특성을 가진 캐리어 테이프에 대한 보호 테이프의 분리가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분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에 적용되는 분리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에 적용되는 서로 다른 분리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하나의 분리 모듈의 분리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다른 분리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더에 적용되는 분리 커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더에 적용되는 분리 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의 위한 유도 경로가 형성된 피더 몸체(11); 피더 몸체(11)의 경로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모듈(12); 및 분리 모듈(12)의 끝 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15)을 포함한다.
캐리어 테이프는 부품의 수용을 위한 수용 홈이 형성된 기재 및 기재의 위쪽 면에 결합되어 부품을 보호하는 보호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는 합성수지 소재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보호 테이프는 비닐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호 테이프는 접착제에 의하여 기재에 결합되고, 보호 테이프의 한쪽 끝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보호 테이프가 기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부품은 전자기기를 위한 칩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부품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캐리어 테이프는 테이프 릴과 같은 공급 릴(111)에 감긴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 릴(111)은 분리 가능하도록 피더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고, 피더 몸체(11)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공급 릴(111)에 감긴 캐리어 테이프는 테이프 유도 경로(112)를 따라 유도되어 분리 모듈(12)로 이송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은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경로에 설치될 수 있고, 피더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경로는 공급 릴(111)로부터 연장되어 피더 몸체(111)의 위쪽 부분에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경로의 평면 연장 부분에 분리 모듈(12)이 결합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은 피더 몸체(11)의 위쪽 부분에서 평면 연장 부분의 위쪽 면 및 양쪽 측면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에서 기재로부터 보호 테이프가 분리될 수 있다. 보호 테이프는 분리 커터에 의하여 분리되거나, 위쪽으로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보호 테이프가 기재로부터 분리되면 부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픽업 위치에서 픽업 장치에 의하여 픽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테이프와 부품이 픽업이 된 빈 기재 부분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는 기재 배출 경로(113)를 통하여 배출되고, 보호 테이프는 분리 배출 경로(11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보호 테이프의 분리를 위하여 피더 몸체(11)에 분리 유도 모듈(13)이 설치될 수 있다. 분리 유도 모듈(13)은 보호 테이프를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보호 테이프를 뒤쪽으로 유도하도록 분리 모듈(12)의 뒤쪽에 설치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에서 보호 테이프는 뒤쪽으로 당겨지는 방법으로 기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유도 모듈(13)은 예를 들어 피더 몸체(11)의 위쪽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모듈(13)로 유도된 보호 테이프는 분리 배출 경로(114)에 설치된 기어 유닛과 같은 배출 수단(142)을 통하여 당겨져 분리 배출 경로(11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기재는 피더 몸체(11)의 앞쪽 끝 부분으로 유도된 이후 기재 배출 경로(113)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의 옆쪽 부분에 선형으로 이송 유도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이송 유도 홀은 일정 피치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유도 홀에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141)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프로킷의 이빨이 맞물리면서 캐리어 테이프가 미끄러짐이 없이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송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에 스프로킷 이빨과 캐리어 테이프가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이 형성될 수 있고, 분리 위치에 보호 테이프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픽업 위치에서 부품이 픽업이 되면 보호 테이프와 기재는 예를 들어 분리 배출 경로(114) 또는 기재 배출 경로(113)와 같은 미리 결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배출 경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 모듈(12)은 피더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피더는 다양한 형상의 전자부품을 공급할 수 있고, 전자부품은 다양한 형태의 캐리어 테이프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보호 테이프가 분리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보호 테이프와 기재의 결합 방식에 따라 분리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분리 모듈(12)이 분리 가능하도록 피더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은 한쪽 면이 열린 사각형 단면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터널 형상이 될 수 있고, 피더 몸체(11)의 위쪽에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경로를 덮는 형태로 피더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몸체(12)의 앞쪽 끝이 고정 유닛(15)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의 뒤쪽 부분이 스크루 또는 이와 유사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고, 또한 분리 모듈(12)의 앞쪽 부분이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 유닛(15)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 케이프가 이송되어 분리 모듈에서 보호 테이프가 분리되어 부품이 흡착 장치에 의하여 흡착되어 생산 공정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테이프 및 기재가 각각 정해진 경로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분리 모듈(12)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분리 모듈(12)이 피더 몸체(11)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분리 모듈(12)이 피더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은 다양한 방법으로 피더 몸체(11)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에 적용되는 분리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더 몸체(11)는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선형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의 유도 경로(112)가 피더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캐리어 테이프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의 앞쪽에 밀착 유닛(115)이 형성될 수 있고, 밀착 유닛(115)은 유도 경로(112)의 바닥 면에 고정된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밀착 유닛(115)의 아래쪽에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밀착 유닛(115)은 캐리어 테이프에 수용된 부품을 탐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는 다양한 방법으로 유도 경로(112)를 따라 이송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밀착 유닛(115)을 경유하여 캐리어 테이프는 분리 모듈(12)로 유도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은 전체적으로 U-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분리 몸체(121); 분리 몸체(121)의 위쪽 면에 형성되어 스프로킷이 캐리어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유도 홀에 결합되도록 하는 피치 조절 홀(122); 보호 테이프가 분리되면서 부품이 노출되고, 이에 따라 부품 픽업이 되도록 하는 픽업 홀(123); 부품이 제거된 기재의 이송을 유도하는 기재 유도 유닛(124); 및 고정 결합 유닛(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 몸체(121)는 평면으로 연장되는 유도 경로(112)의 위쪽에 결합이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고, 피치 조절 홀(122)의 통하여 회전되는 스프로킷의 이빨이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유도 홀에 결합되면서 캐리어 테이프가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송되어 픽업 홀(123)로 이송될 수 있다. 픽업 홀(123)에서 보호 테이프가 뒤쪽 방향으로 당겨져 분리 유도 모듈(13)로 유도되면서 기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부품이 노출되면 픽업 장치가 픽업 홀(123)로 이동되어 부품을 픽업할 수 있고, 다시 캐리어 테이프가 이송되어 가재는 기재 유도 유닛(124)을 통하여 배출 경로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고정 결합 유닛(125)은 분리 몸체(121)의 끝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피더 몸체(11)의 끝 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픽업 홀(123)의 측면에 배출 홀(126)이 형성되어 보호 테이프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접착제 잔여물과 같은 찌꺼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분리 유도 모듈(13)은 피더 몸체(11)에 고정되는 유도 블록(131) 및 유도 경로(112)와 분리되도록 유도 블록(131)에 결합되면서 선형 유도 경로가 형성된 유도 유닛(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 유닛(132)의 선형 연장 부분의 양쪽 끝에 회전 가능하도록 유도 롤러(133a, 133b)가 결합되어 보호 테이프가 안정적으로 배출 경로로 유도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의 앞쪽 끝은 고정 유닛(15)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고정 유닛(15)은 피더 몸체(11)의 끝 부분에 결합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몸체(151); 고정 몸체(151)에 결합되어 분리 모듈(12)의 고정 결합 유닛(125)에 결합되는 훅 형상의 체결 유닛(152); 및 체결 유닛(152)의 결합 상태를 안정시키는 체결 조절 유닛(15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유닛(152)은 갈고리 또는 훅 형상의 체결 부위를 가지면서 고정 몸체(151)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체결 유닛(152)의 아래쪽 부분은 체결 조절 유닛(153)의 스프링과 같은 장력 조절 수단에 연결될 수 있고, 장력 조절 수단의 아래쪽 부분은 상하로 고정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고정 몸체(151)에 고정될 수 있다. 분리 모듈(12)의 한쪽 끝은 체결 유닛(152)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분리 모듈(12)의 다른 끝은 피더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분리 모듈(12)은 피더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필요에 따라 분리 모듈(12)이 교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에 적용되는 서로 다른 분리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리 모듈(12, 12a)은 분리 몸체(121, 31); 분리 몸체(121, 31)의 뒤쪽에 형성된 결합 다리(127, 311); 및 분리 몸체(121, 31)의 앞쪽에 형성되어 고정 유닛에 결합되는 고정 결합 유닛(125, 33)으로 이루어진다. 분리 모듈(12a, 12b)은 전체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분리 방법에 따라 분리 커터를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가)는 분리 커터가 설치되지 않은 분리 모듈(12)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나)는 분리 커터가 설치된 분리 모듈(12a)을 도시한 것이다. 분리 몸체(121)는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덮개 면 및 덮개 면의 양쪽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측면 결합 벽의 뒤쪽에 피더 몸체에 고정되는 결합 다리(127, 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몸체(121, 31)의 앞쪽 끝에 고정 결합 유닛(125, 3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결합 유닛(125, 33)은 분리 몸체(121)의 끝 부분으로부터 분리 몸체(121)와 분리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이 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수직 연장 부분에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분리 모듈(12, 12a)에서 분리 몸체(121, 31), 결합 다리(127, 311) 및 고정 결합 유닛(125, 33)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동일 피더 몸체(12, 12a)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하나의 분리 모듈의 분리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 모듈(12)에 픽업 홀(123)이 형성될 수 있고, 픽업 홀(123)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이 되면서 뒤쪽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형상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보호 테이프가 뒤쪽으로 안정적으로 분리되어 유도될 수 있다. 픽업 홀(123)의 뒤쪽 가장자리에 보호 테이프의 유도를 위한 분리 유도 팁(128)이 형성될 수 있고, 픽업 홀(123)의 앞쪽 가장자리에 기재의 유도를 위한 기재 유도 팁(129)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테이프가 분리된 기재는 기재 유도 유닛(124)을 통하여 배출 경로로 배출될 수 있다. 고정 결합 유닛(125)은 분리 몸체(121)와 분리되어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고정 유닛이 결합되는 체결 홀(12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보호 테이프와 기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되지만 보호 테이프의 분리 방향에 따라 기재와 보호 테이프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다른 분리 모듈(12a)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 모듈(12a)은 분리 몸체(31); 분리 몸체(31)의 아래쪽 면에 결합되는 분리 커터(51) 및 분리 커터(51)와 맞은편에 형성되면서 연장 방향에 따라 경사진 분리 틈을 형성하는 갭 형성 유닛(52)으로 이루어진다. 분리 모듈(12a)의 분리 몸체(31)는 도 4에서 설명된 분리 모듈의 분리 몸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호 테이프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과정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 커터(51)에 의하여 분리가 개시되어 픽업 홀(34)에서 분리가 완료될 수 있다. 분리 몸체(31)의 위쪽 면에 분리 개시 홀(35)이 형성될 수 있고, 분리 개시 홀(37)에 분리 커터(51)의 분리 팁이 위치할 수 있고, 갭 형성 유닛(52)에 의하여 유도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보호 테이프의 분리가 개시될 수 있다. 분리가 개시된 보호 테이프는 분리 유도 경로(311)를 따라 유도되면서 폭 방향으로 분리 길이가 커질 수 있고, 분리 유도 경로(311)는 부품이 수용된 기재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분리 유도 경로(311)는 픽업 홀(34)의 뒤쪽까지 연장될 수 있고, 분리 유도 경로(311)의 끝 부분으로 접힘 유도 영역(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접힘 유도 영역(312)은 분리 몸체(31)은 연장 방향을 따라 점차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접힘 유도 영역(312)의 한쪽 가장자리의 끝 부분에 안쪽 방향으로 경사진 접힘 개시 부분(312a)이 형성될 수 있고, 접힘 개시 부분(312a)은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접힘 경로(313)와 연결될 수 있다. 접힘 경로(313)에서 기재와 포개진 보호 테이프는 기재와 함께 기재 유도 유닛(124)을 통하여 배출 경로로 배출될 수 있다. 분리 몸체(31)의 위쪽 평면에 경로 형성 부분(35)이 형성될 수 있고, 경로 형성 부분의 한쪽 부분은 분리 몸체(31)와 일체로 형성되고, 경로 형성 부분의 다른 부분은 분리 유도 경로(311)의 한쪽 가장자리를 형성하면서 경사진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로 형성 부분(35)은 접힘 유도 영역(312) 및 접힘 경로(313)를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접힘 유도 영역(312)이 형성된 부분의 옆쪽에 픽업 홀(34)이 형성될 수 있다. 픽업 홀(34)에서 노출이 된 부품이 픽업이 되고, 기재는 기재 유도 유닛(124)을 통하여 겹쳐진 보호 테이프와 함께 배출 경로로 배출될 수 있다.
기재로부터 분리 테이프를 분리시키는 분리 커터(51)는 경로 형성 부분(35)의 아래쪽 면에 결합될 수 있다. 분리 커터(51)는 분리 테이프와 기재의 사이에 접촉되는 분리 팁이 경로 형성 부분(35)에 노출이 되도록 경로 형성 부분(35)의 아래쪽 면에 결합될 수 있고, 분리 팁의 노출 길이가 조절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갭 형성 유닛(52)이 분리 몸체(31)의 아래쪽 면에 결합되어 분리 커터와 함께 분리 유도 경로(311)를 형성하면서 이와 동시에 캐리어 테이프를 분리 커터(51)로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더에 적용되는 분리 커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리 커터(51)는 판 형상의 결합 부분(511); 결합 부분(511)으로 한쪽 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조절 부분(512); 및 조절 부분(512)에 결합되면서 점차로 두께가 감소되면서 끝 부분이 곡선 형상으로 된다. 분리 커터(51)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분리 몸체의 아래쪽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다리(511)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판 형상을 가지면서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 다리(511)의 한쪽 끝에 커터 형성 부분(512) 및 분리 팁(513)이 형성될 수 있다. 커터 형성 부분(512)과 분리 팁(513)은 결합 다리(511)와 동일한 바닥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커터 형성 부분(512)은 평면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끝 부분이 날카로운 형상이 될 수 있다. 커터 형성 부분(512)은 한쪽 방향으로 삼각형이 되면서 분리 몸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삼각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팁(513)은 폭 방향으로 커터 형성 부분(512)과 경계(BL)를 형성하면서 위쪽 면이 연장 방향을 따라 점자로 얇아지면서 끝 부분이 날카로운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커터 형성 부분(512)과 분리 팁(513)이 일체로 형성되면 한쪽 가장자리는 이송 방향에 평행한 직선 형상이 되면서 다른 쪽 가장자리는 이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팁(513)의 끝 부분은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분리 팁(513)의 팁 연장 길이(TL)은 커터 형성 부분(512)의 형성 길이(FL)의 0.5 내지 0.7배가 될 수 있고, 최대 돌출 부분으로부터 경계(BL)에 이르는 분리 유도 길이(CL)의 0.45 내지 0.55배가 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으로 커터 형성 부분(512)의 돌출 폭은 경계(BL)의 폭의 0.8 내지 1.2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하학적 구조에 의하여 보호 테이프가 기재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되면서 분리된 보호 테이프가 접히면서 기재와 겹쳐질 수 있다.
갭 형성 유닛(52)은 기재를 유도하면서 분리 몸체의 아래 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갭 형성 몸체(521) 및 갭 형성 몸체(521)로부터 연장되면서 분리 몸체의 경로 형성 부분과 일정한 틈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경사 연장 부분(5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갭 형성 몸체(521)에 캐리어 테이프의 유도를 위한 유도 부분(524)이 형성될 수 있고, 갭 형성 몸체(521)로부터 경사 연장 부분(522)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회전 유도 홀(523)이 형성될 수 있다. 갭 형성 유닛(52)은 한쪽 가장자리는 갭 형성 몸체(521)와 한쪽 가장자리와 함께 하나의 직선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경사 영장 부분(522)의 다른 쪽 가장자리는 이송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부분과 이송 방향과 평행한 연장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 연장 부분은 평행 연장 부분에 비하여 큰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경사 연장 부분(522)의 끝 부분은 이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갭 형성 유닛(52)은 분리 유도 경로를 형성하면서 캐리어 테이프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캐리어 테이프에 형성된 부품 홈에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부품이 수용될 수 있고, 부품의 크기에 따라 보호 테이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부품이 유실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 모듈이 그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더에 적용되는 분리 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픽업 홀(123)과 보호 테이프의 분리 위치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이 픽업 홀(123)에 도달하기 이전에 미리 보호 테이프가 제거되고, 이후 부품이 일정 거리만큼 이동되어 픽업 홀(123)에 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픽업 홀(123)의 뒤쪽에 사각 형상의 제거 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거 홀(71)의 부분에 분리 몸체(12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경사지도록 연장된 보호 테이프의 분리를 위한 분리 날개(7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날개(711)의 맞은 편 가장자리에 부품이 노출된 캐리어 테이프를 픽업 홀(123)로 유도하는 유도 팁(712)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 팁(712)은 삼각 형상이 되면서 유도 팁(712)과 마찬가지로 분리 몸체(121)의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거 홀(71)의 길이는 픽업 홀(123)의 길이에 비하여 충분히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분리 테이프의 분리 과정에서 부품이 예를 들어 분리 테이프에서 생성된 정전하 또는 이와 유사한 부착 원인에 의하여 보호 테이프에 부착되어 유실이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는 부품의 크기가 작은 소형 부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거 홀(71)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는 분리 모듈이 교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분리 방식의 모듈이 동일한 이송 모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더는 서로 다른 분리 위치를 가진 분리 커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분리 특성을 가진 캐리어 테이프에 대한 보호 테이프의 분리가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분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피더 몸체 12, 12a: 분리 모듈
13: 분리 유도 모듈 15: 고정 유닛
15, 51: 분리 커터 35: 경로 형성 부분
37: 분리 개시 홀 52: 갭 형성 유닛
71: 제거 홀
111: 공급 릴 112: 테이프 유도 경로
113: 기재 배출 경로 114: 분리 배출 경로
115: 밀착 유닛
121, 31: 분리 몸체 122: 피치 조절 홀
123: 픽업 홀 124: 기재 유도 유닛
126: 배출 홀
127, 311: 결합 다리 128: 분리 유도 팁
129: 기재 유도 팁 131: 유도 블록
132: 유도 유닛 133a, 133b: 유도 롤러
125, 33: 고정 결합 유닛 141: 구동 수단
142: 배출 수단
151: 고정 몸체 152: 체결 유닛
153: 체결 조절 유닛
312: 접힘 유도 영역 313: 접힘 경로
511: 결합 부분
512: 조절 부분

Claims (6)

  1.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의 위한 유도 경로가 형성된 피더 몸체(11);
    피더 몸체(11)의 경로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모듈(12); 및
    분리 모듈(12)의 끝 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15)을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더 몸체(11)에 결합되어 캐리어 테이프의 기재로부터 분리된 보호 테이프를 유도하는 분리 유도 모듈(13)을 더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 모듈(12)은 분리 몸체(121, 31); 분리 몸체(121, 31)의 뒤쪽에 형성된 결합 다리(127, 311); 및 분리 몸체(121, 31)의 앞쪽에 형성되어 고정 유닛(15)에 결합되는 고정 결합 유닛(125, 33)으로 이루어진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 모듈(12)은 분리 몸체(31); 분리 몸체(31)의 아래쪽 면에 결합되는 분리 커터(51) 및 분리 커터(51)의 맞은편에 형성되면서 연장 방향에 따라 경사진 분리 틈을 형성하는 갭 형성 유닛(5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 모듈(12)은 판 형상의 결합 부분(511); 결합 부분(511)으로 한쪽 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조절 부분(512); 및 조절 부분(512)에 결합되면서 점차로 두께가 감소되면서 끝 부분에 곡선 형상이 되는 분리 커터(51)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 모듈(12)에 형성된 제거 홀(71)을 더 포함하고, 제거 홀(71)은 픽업 위치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20190026106A 2019-03-07 2019-03-07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20200107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06A KR20200107258A (ko) 2019-03-07 2019-03-07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20210127182A KR20210123253A (ko) 2019-03-07 2021-09-27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20230022768A KR20230031269A (ko) 2019-03-07 2023-02-21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20230191557A KR20240007098A (ko) 2019-03-07 2023-12-26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06A KR20200107258A (ko) 2019-03-07 2019-03-07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182A Division KR20210123253A (ko) 2019-03-07 2021-09-27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58A true KR20200107258A (ko) 2020-09-16

Family

ID=7266978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106A KR20200107258A (ko) 2019-03-07 2019-03-07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20210127182A KR20210123253A (ko) 2019-03-07 2021-09-27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20230022768A KR20230031269A (ko) 2019-03-07 2023-02-21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20230191557A KR20240007098A (ko) 2019-03-07 2023-12-26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182A KR20210123253A (ko) 2019-03-07 2021-09-27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20230022768A KR20230031269A (ko) 2019-03-07 2023-02-21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20230191557A KR20240007098A (ko) 2019-03-07 2023-12-26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001072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64B1 (ko) 2009-03-09 2010-02-12 김광식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KR20140031009A (ko) 2012-09-04 2014-03-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64B1 (ko) 2009-03-09 2010-02-12 김광식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KR20140031009A (ko) 2012-09-04 2014-03-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253A (ko) 2021-10-13
KR20240007098A (ko) 2024-01-16
KR20230031269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20689B (zh) 用于贴片机的带送进器和带送进方法
US9914609B2 (en) Feeder
JP6286150B2 (ja) 電子部品キャリアテープ供給装置及び電子部品キャリアテープ供給方法
WO2016117091A1 (ja) フィーダ装置
US20160192548A1 (en) Feeder
CN1895012A (zh) 用于使电子元件暴露的方法和装置
US9839170B2 (en) Feeder
JP2010003714A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CN106660710B (zh) 元件供给装置
JP2012009579A (ja) 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KR101823926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KR20200107258A (ko)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1125287B1 (ko) 듀얼 픽업 타입의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US6705376B2 (en) Device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pick-up position
KR101020561B1 (ko)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JP2006245349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WO2020008517A1 (ja) 部品供給テープ処理装置および部品供給テープ除去方法
KR102535351B1 (ko) 라벨공급장치
US951365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reel feeder efficiency
US95619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electronic devices
KR20110091147A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자동공급장치의 테이프 가이드
JP2017139367A (ja) テープフィーダ
US20140311945A1 (en) Tape and components for tape and reel packaging
WO2019097581A1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1224871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