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155A -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155A
KR20200107155A KR1020190025823A KR20190025823A KR20200107155A KR 20200107155 A KR20200107155 A KR 20200107155A KR 1020190025823 A KR1020190025823 A KR 1020190025823A KR 20190025823 A KR20190025823 A KR 20190025823A KR 20200107155 A KR20200107155 A KR 2020010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entilation device
wall
inle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155A/ko
Publication of KR2020010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을 통해 실내 공기를 환기하면서 외부에서의 소음 유입을 최소화하는 환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입자가 확산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유로와 실외 공간을 연통하는 배기부, 및 상기 유로와 실내 공간을 연통하는 급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에는 팽창식 소음기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환기 장치{ventilator}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농도의 증가로 환기 장치, 공기 청정기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환기 장치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를 쾌적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환기 장치는 팬(fan)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흡기 및 배기를 실시하는 강제 환기 장치와 확산 등을 통해 자연적으로 흡기 및 배기를 실시하는 자연 환기 장치가 있다.
공기 청정기는 팬(fan) 등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킨 후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이다.
강제 환기 장치나 공기 청정기는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자연 환기 장치의 사용을 늘림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자연 환기 장치의 경우 외부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확산을 통해 실내 공기를 환기하면서 외부에서의 소음 유입을 최소화하는 환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는 내부에 입자가 확산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유로와 실외 공간을 연통하는 배기부, 및 상기 유로와 실내 공간을 연통하는 급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에는 팽창식 소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팽창식 소음기에는 상기 배기부와 상기 급기부 중 상기 배기부에 더 가까운 소음 입구와, 상기 배기부와 상기 급기부 중 상기 급기부에 더 가까운 소음 출구와, 상기 소음 입구와 상기 소음 출구를 연결하는 소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소음 입구의 폭은 상기 소음 통로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소음 출구의 폭은 상기 소음 통로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팽창식 소음기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제1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입구벽과,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제2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출구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면은 상기 제2 내측면의 반대면이고, 상기 입구벽의 타단과 상기 제2 내측면 사이에 상기 소음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구벽의 타단과 상기 제1 내측면 사이에 상기 소음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벽과 상기 출구벽 중 적어도 하나는 흡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부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제1 경사벽과 상기 급기부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제2 경사벽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부와 상기 급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소음 이동하는 통로 공간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며, 복수개로 분리된 통로 공간이 합쳐지는 상쇄공간이 형성된 간섭형 소음기가 설치될 수 있다.
유로에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 공기를 자연 환기시키면서 외부에서의 소음 유입을 최소화하는 환기 장치를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환기 장치에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소음 제거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환기 장치 내부의 소음 입구, 소음 통로 및 소음 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폭 등을 조절하거나, 경사벽 등을 통해 팽창식 소음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소음 제거를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실내로의 소음 유입을 최소화하는 환기 장치를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수평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환기 장치의 배기부와 급기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수평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환기 장치의 배기부와 급기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수평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사벽에 형성된 경사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에 형성되는 간섭형 소음기의 예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2)는 실내 공간(I)과 실외 공간(O)의 경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장치(2)는 건물의 창틀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 장치(2)는 건물의 창틀에 설치되고, 이 경우 실내 공간(I)의 대기 오염 물질이 확산 원리에 의해 환기 장치(2)를 통해 실외 공간(O)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오염 물질은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의 가스(gas)를 의미한다. 그러나, 대기 오염 물질은 가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세먼지 등과 같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장치(2)는 실내 공간(I)과 실외 공간(O)의 경계에 단독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장치(2)는 강제 환기 장치(1)와 함께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때 강제 환기 장치(1)는 전열교환기와 팬을 구비하는 환기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환기 장치(2)를 실시 예에 따라 다른 도면 부호로 표기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10)(100)(200)는 내부에 입자가 이동하는 유로(P)가 형성된 케이스(11)(111)(211), 유로(P)와 실외 공간(O)을 연통하는 배기부(12)(112)(212)와, 유로(P)와 실내 공간(I)을 연통하는 급기부(13)(113)(213)를 포함하며, 유로(P)와 배기부(12)(112)(212)와 급기부(13)(113)(213) 중 적어도 하나에 소음기(muffler)가 형성될 수 있다.
소음기는 환기 장치(10)(100)(200)를 통해 실내(I)로 전달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작동 원리에 따라 가는 관에서 넓은 공간으로 확산시켜 소리를 작게 하는 팽창식, 가는 관의 많은 구멍에서 넓은 공명실로 확산시켜 서로 음을 상쇄시키는 공명식, 스틸울에 흡수시키는 흡수식, 앞의 세 가지 방식을 혼합한 격벽식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10)(100)(200)를 자세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수평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환기 장치의 배기부와 급기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10)는 내부에 입자가 이동하는 유로(P)가 형성된 케이스(11), 유로(P)와 실외 공간(O)을 연통하는 배기부(12) 및 유로(P)와 실내 공간(I)을 연통하는 급기부(13)를 포함하고, 유로(P)에 팽창식 소음기(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기부(12)와 급기부(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hole)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passag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부(12)는 통로 형태인 경우 한 쌍의 가이드벽(12a)을 포함하며, 한 쌍의 가이드벽(12a) 사이에 통로 공간(12b)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부(12)가 통로 형태인 경우 배기부(12)에는 간섭형 소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급기부(13)는 통로 형태인 경우 한 쌍의 가이드벽(13a)을 포함하며, 한 쌍의 가이드벽(13a) 사이에 통로 공간(13b)이 형성될 수 있다. 급기부(13)가 통로 형태인 경우 급기부(13)에는 간섭형 소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간섭형 소음기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케이스(11)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P)에서 입자가 확산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간(I)에서 발생한 입자(예를 들어,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가 급기부(13)를 지나 유로(P)로 이동하고, 유로(P)를 통과한 오염 물질은 배기부(12)를 지나 실외 공간(O)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환기 장치(10)는 실내를 자연 환기시킬 수 있다.
한편, 실외 공간(O)에서 발생한 소음이 유로(P)를 통해 실내 공간(I)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유로(P)에 팽창식 소음기(20)가 형성될 수 있고, 팽창식 소음기(20)는 실외 공간(O)에서 실내 공간(I)으로 유입되는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팽창식 소음기(20)는 유로를 Impedance miss-matching 머플러이거나, 또는 Plenum chamber 형태일 수 있다.
팽창식 소음기(20)에는 소음 입구(21)와, 소음 출구(23)와, 소음 통로(25)가 형성될 수 있다. 소음 입구(21)는 배기부(12)와 급기부(13) 중 배기부(12)에 더 가깝게 형성되고, 소음 출구(23)는 배기부(12)와 급기부(13) 중 급기부(13)에 더 가깝게 형성되고, 소음 통로(25)는 소음 입구(21)와 소음 출구(23)를 연결할 수 있다. 소음 통로(25)는 소음 입구(21)와 소음 출구(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팽창식 소음기(20)는 일단(24a)이 케이스(11)의 제1 내측면(11a)에서 연장되는 입구벽(24)과, 일단(27a)이 케이스(11)의 제2 내측면(11b)에서 연장되는 출구벽(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측면(11a)은 제2 내측면(11b)의 반대면일 수 있고, 제3 내측면(11c)은 배기부(12)와 급기부(13) 중 배기부(12)에 더 가깝게 형성된 케이스(11)의 내면이고, 제4 내측면(11d)은 배기부(12)와 급기부(13) 중 급기부(13)에 더 가깝게 형성된 케이스(11)의 내면이다.
입구벽(24)의 타단(24b)과 제2 내측면(11b) 사이에 소음 입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벽(24)의 외면(26)은 배기부(12)를 향하고, 입구벽(24)의 내면(25)은 소음 통로(25)를 향할 수 있다. 소음 입구(21)는 케이스(11)의 제3 내측면(11c)을 향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부(12)를 통해 환기 장치(10) 내부로 유입된 소음 중 적어도 일부는 입구벽(24)에 부딪힌 뒤 반사되어 다시 실외 공간(O)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출구벽(27)의 타단(27b)과 제1 내측면(11a) 사이에 소음 출구(23)가 형성될 수 있다. 출구벽(27)의 외면(29)은 급기부(13)를 향하고, 출구벽(29)의 내면(28)은 소음 통로(25)를 향할 수 있다. 소음 출구(23)는 케이스(11)의 제4 내측면(11d)과, 입구벽(24)의 내면(25)을 향할 수 있다. 즉, 소음 출구(23)는 소음 입구(21)와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 입구(21)를 통해 소음 통로(25)로 유입된 소음 중 적어도 일부는 출구벽(27)에 부딪힌 뒤 반사되어 다시 소음 입구(21)를 통과하여 실외 공간(O)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입구벽(24)과 출구벽(27) 중 적어도 하나는 흡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음재는 소리를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 다공질 흡음재 또는 판상 흡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벽(24)의 내면(25)과 외면(26), 출구벽(27)의 내면(28)과 외면(29) 중 적어도 하나에 흡음재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의 제1 내측면(11a)과, 제2 내측면(11b)과, 제3 내측면(11c)과, 제4 내측면(11d) 중 적어도 하나에 흡음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입구벽(24)의 외면(26)과, 출구벽(27)의 외면(29)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천공의 크기에 따라 흡수할 소음의 고유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소음 입구(21)의 폭(W1)은 소음 통로(25)의 폭(W3)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부(12)를 통해 실외 공간(O)에서 환기 장치(10)로 유입된 소음이 소음 입구(21)에서 소음 통로(25)로 이동하면서 확산되어 팽창하므로, 소음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소음 출구(23)의 폭(W2)은 소음 통로(25)의 폭(W3)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소음 통로(25)를 통과하여 실내 공간(I)으로 이동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수평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환기 장치의 배기부와 급기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는 내부에 입자가 이동하는 유로(P)가 형성된 케이스(111), 유로(P)와 실외 공간(O)을 연통하는 배기부(112) 및 유로(P)와 실내 공간(I)을 연통하는 급기부(113)를 포함하고, 유로(P)에 팽창식 소음기(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기부(112)와 급기부(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hole)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passag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부(112)는 통로 형태인 경우 한 쌍의 가이드벽(112a)을 포함하며, 한 쌍의 가이드벽(112a) 사이에 통로 공간(112b)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부(112)가 통로 형태인 경우 배기부(112)에는 간섭형 소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급기부(113)는 통로 형태인 경우 한 쌍의 가이드벽(113a)을 포함하며, 한 쌍의 가이드벽(113a) 사이에 통로 공간(113b)이 형성될 수 있다. 급기부(113)가 통로 형태인 경우 급기부(113)에는 간섭형 소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간섭형 소음기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P) 및 소음 통로(12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열교환기(1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케이스(111)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P)에서 입자가 확산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간(I)에서 발생한 입자(예를 들어,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가 급기부(113)를 지나 유로(P)로 이동하고, 유로(P)를 통과한 오염 물질은 배기부(112)를 지나 실외 공간(O)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실외 공간(O)에서 발생한 소음이 유로(P)를 통해 실내 공간(I)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즉, 유로(P)는 소음이 이동하는 통로일 수도 있다.
유로(P)에 팽창식 소음기(120)가 형성될 수 있고, 팽창식 소음기(120)는 실외 공간(O)에서 실내 공간(I)으로 유입되는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팽창식 소음기(120)에는 소음 입구(121)와, 소음 출구(122)와, 소음 통로(123)가 형성될 수 있다. 소음 입구(121)는 배기부(112)와 급기부(113) 중 배기부(112)에 더 가깝게 형성되고, 소음 출구(122)는 배기부(112)와 급기부(113) 중 급기부(113)에 더 가깝게 형성되고, 소음 통로(123)는 소음 입구(121)와 소음 출구(122)를 연결할 수 있다. 소음 통로(123)는 소음 입구(121)와 소음 출구(1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팽창식 소음기(120)는 일면(124a)이 케이스(111)의 제1 내측면(111a)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벽(124)과, 일면(127a)이 케이스(111)의 제2 내측면(111b)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벽(1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측면(111a)은 제2 내측면(111b)의 반대면일 수 있고, 제3 내측면(111c)은 배기부(112)와 급기부(113) 중 배기부(112)에 더 가깝게 형성된 케이스(111)의 내면이고, 제4 내측면(111d)은 배기부(112)와 급기부(113) 중 급기부(113)에 더 가깝게 형성된 케이스(111)의 내면이다.
입구벽(124)의 타면(124b)과 제2 내측면(111b) 사이에 소음 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벽(124)의 외면(126)은 배기부(112)를 향하고, 입구벽(124)의 내면(125)은 소음 통로(123)를 향할 수 있다. 입구벽(124)의 타면(124b)은 입구벽(124)의 외면(126)과 입구벽(124)의 내면(125)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소음 입구(121)는 케이스(111)의 제3 내측면(111c)을 향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부(112)를 통해 환기 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소음 중 적어도 일부는 입구벽(124)에 부딪힌 뒤 반사되어 다시 실외 공간(O)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출구벽(127)의 타면(127b)과 제1 내측면(111a) 사이에 소음 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출구벽(127)의 외면(129)은 급기부(113)를 향하고, 출구벽(129)의 내면(128)은 소음 통로(123)를 향할 수 있다. 소음 출구(122)는 케이스(111)의 제4 내측면(111d)과, 입구벽(124)의 내면(125)을 향할 수 있다. 즉, 소음 출구(122)는 소음 입구(121)와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 입구(121)를 통해 소음 통로(123)로 유입된 소음 중 적어도 일부는 출구벽(127)에 부딪힌 뒤 반사되어 다시 소음 입구(121)를 통과하여 실외 공간(O)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입구벽(124)과 출구벽(127) 중 적어도 하나는 흡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음재는 소리를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 다공질 흡음재 또는 판상 흡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벽(124)의 내면(125)과 외면(126)과 타면(124b), 출구벽(127)의 내면(128)과 외면(129)과 타면(127b) 중 적어도 하나에 흡음재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1)의 제1 내측면(111a)과, 제2 내측면(111b)과, 제3 내측면(111c)과, 제4 내측면(111d) 중 적어도 하나에 흡음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소음 입구(121)의 폭(W1)은 소음 통로(123)의 폭(W3)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부(112)를 통해 실외 공간(O)에서 환기 장치(100)로 유입된 소음이 소음 입구(121)에서 소음 통로(123)로 이동하면서 확산되어 팽창하므로, 소음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소음 출구(122)의 폭(W2)은 소음 통로(123)의 폭(W3)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소음 통로(123)를 통과하여 실내 공간(I)으로 이동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수평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200)는 내부에 입자가 이동하는 유로(P)가 형성된 케이스(211), 유로(P)와 실외 공간(O)을 연통하는 배기부(212) 및 유로(P)와 실내 공간(I)을 연통하는 급기부(213)를 포함하고, 유로(P)에 팽창식 소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200)의 배기부(212)와 급기부(213)는 홀(hole) 형태 또는 통로(passage)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통로 형태인 배기부(212)와 통로 형태인 급기부(213)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간섭형 소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간섭형 소음기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로(P) 및 소음 통로(22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열교환기(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케이스(111)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P)에서 입자가 확산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간(I)에서 발생한 입자(예를 들어,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가 급기부(213)를 지나 유로(P)로 이동하고, 유로(P)를 통과한 오염 물질은 배기부(212)를 지나 실외 공간(O)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실외 공간(O)에서 발생한 소음이 유로(P)를 통해 실내 공간(I)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즉, 유로(P)는 소음이 이동하는 통로일 수도 있다.
유로(P)에 팽창식 소음기(220)가 형성될 수 있고, 팽창식 소음기(220)는 실외 공간(O)에서 실내 공간(I)으로 유입되는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팽창식 소음기(220)에는 소음 입구(221)와, 소음 출구(222)와, 소음 통로(223)가 형성될 수 있다. 소음 입구(221)는 배기부(212)와 급기부(213) 중 배기부(212)에 더 가깝게 형성되고, 소음 출구(222)는 배기부(212)와 급기부(213) 중 급기부(213)에 더 가깝게 형성되고, 소음 통로(223)는 소음 입구(221)와 소음 출구(222)를 연결할 수 있다. 소음 통로(223)는 소음 입구(221)와 소음 출구(2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팽창식 소음기(220)는 일면(224a)이 케이스(211)의 제1 내측면(211a)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벽(224)과, 일면(227a)이 케이스(211)의 제2 내측면(211b)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벽(2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측면(211a)은 제2 내측면(211b)의 반대면일 수 있고, 제3 내측면(211c)은 배기부(212)와 급기부(213) 중 배기부(212)에 더 가깝게 형성된 케이스(211)의 내면이고, 제4 내측면(211d)은 배기부(212)와 급기부(213) 중 급기부(213)에 더 가깝게 형성된 케이스(211)의 내면이다.
입구벽(224)의 타면(224b)과 제2 내측면(211b) 사이에 소음 입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벽(224)의 외면(226)은 배기부(212)를 향하고, 입구벽(224)의 내면(225)은 소음 통로(223)를 향할 수 있다. 입구벽(224)의 타면(224b)은 입구벽(224)의 외면(226)과 입구벽(224)의 내면(225)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소음은 배기부(212), 소음 입구(221), 소음 통로(223), 소음 출구(222), 급기부(213)를 차례로 통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환기 장치(200)에는 배기부(212) 및 급기부(213)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벽(240)(25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벽(240)(250)은 배기부(212)와 팽창식 소음기(220) 사이 및 급기부(213)와 팽창식 소음기(2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벽(240)(250)은 제1 경사벽(240)과 제2 경사벽(250)을 포함하고, 제1 경사벽(240)은 배기부(212)와 소음 입구(221)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경사벽(250)은 급기부(213)와 소음 출구(2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벽(240)은 일단(240a)이 케이스(211)의 제3 내측면(211c)에서 연장되고, 타단(240b)이 케이스(211)의 제2 내측면(211b)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경사벽(240)은 배기부(212)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k1)에 소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제1 경사벽(240)은 소음 입구(221)가 배기부(213)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k1)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부(212)를 통과한 소음은 제1 경사벽(240)에 의해 위상차를 갖게되어 일부가 상쇄됨으로써, 소음 저감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경사벽(240) 중 소음 입구(221)를 향하는 경사면(240)에는 적어도 하나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2 경사벽(250)은 일단(250a)이 케이스(211)의 제4 내측면(211d)에서 연장되고, 타단(250b)이 케이스(211)의 제1 내측면(211a)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경사벽(250)은 급기부(213)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k2)에 소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급기부(213)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k2)은 소음 통로(223)를 통과한 소음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경사벽(25)은 소음 출구(222)가 소음 통로(223)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 통로(223)를 통과한 소음은 제2 경사벽(250)에 의해 위상차를 갖게되어 일부가 상쇄됨으로써, 소음 저감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경사벽(250) 중 소음 출구(222)를 향하는 경사면(251)에는 적어도 하나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입구벽(224)과 출구벽(227) 중 적어도 하나는 흡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벽(224)의 내면(225)과 외면(226)과 타면(224b), 출구벽(227)의 내면(228)과 외면(229)과 타면(227b) 중 적어도 하나에 흡음재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211)의 제1 내측면(211a)과, 제2 내측면(211b)과, 제3 내측면(211c)과, 제4 내측면(211d) 중 적어도 하나에 흡음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소음 입구(221)의 폭(W1)은 소음 통로(223)의 폭(W3)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부(212)를 통해 실외 공간(O)에서 환기 장치(100)로 유입된 소음이 소음 입구(221)에서 소음 통로(223)로 이동하면서 확산되어 팽창하므로, 소음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소음 출구(222)의 폭(W2)은 소음 통로(223)의 폭(W3)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소음 통로(223)를 통과하여 실내 공간(I)으로 이동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환기 장치(200)의 경사벽(240)(250)에 형성되는 홀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사벽에 형성된 경사면의 예시 도면이다.
경사벽(240)(250)에는 경사면(241)(251)이 형성될 수 있고, 경사면(241)(251)은 소음 입구(221) 또는 소음 출구(222)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는 면일 수 있다.
경사면(241)(251)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이 홀(h)을 통과함에 따라 케이스(11)의 내면과 마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소리 에너지의 일부가 기계 에너지인 열로 소비되어 소음이 감쇄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241)(251)에 홀(h)이 형성될 경우 소음을 감소시키는 주파수 폭이 확장되어, 다양한 주파수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에 형성되는 간섭형 소음기의 예시 도면이다.
간섭형 소음기는 소음이 이동하는 통로 공간(12b)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구획벽(60)을 포함하며, 복수개로 분리된 통로 공간(12b)이 합쳐지는 상쇄공간(61)이 형성될 수 있다.
간섭형 소음기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60)을 포함하며, 구획벽(60)은 소음이 이동하는 통로 공간(1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쇄공간(61)은 복수개로 분리된 통로 공간(12b)이 합쳐지는 공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실외 공간(O)에서 유입되는 소음은 구획벽(60)을 통과하면서 위상이 달라지게 되며, 상쇄공간(61)에서는 위상이 상이한 소음들이 만나 상쇄하게 된다.
한편, 도 8에서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10)의 배기부(12)에 간섭형 소음기가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다. 즉, 간섭형 소음기는 배기부(12) 뿐만 아니라 급기부(13)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간섭형 소음기는 환기 장치(10)(100)(200)의 배기부(12)(112)(212) 및 급기부(13)(113)(213)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0, 200: 환기 장치
12, 112, 212: 배기부
13, 113, 213: 급기부
20, 120, 220: 팽창식 소음기

Claims (9)

  1. 내부에 입자가 확산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유로와 실외 공간을 연통하는 배기부; 및
    상기 유로와 실내 공간을 연통하는 급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에는 팽창식 소음기가 형성된
    환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식 소음기에는
    상기 배기부와 상기 급기부 중 상기 배기부에 더 가까운 소음 입구와,
    상기 배기부와 상기 급기부 중 상기 급기부에 더 가까운 소음 출구와,
    상기 소음 입구와 상기 소음 출구를 연결하는 소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소음 입구의 폭은 상기 소음 통로의 폭 보다 작은
    환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출구의 폭은 상기 소음 통로의 폭 보다 작은
    환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식 소음기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제1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입구벽과,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제2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출구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면은 상기 제2 내측면의 반대면이고,
    상기 입구벽의 타단과 상기 제2 내측면 사이에 상기 소음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구벽의 타단과 상기 제1 내측면 사이에 상기 소음 출구가 형성되는
    환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벽과 상기 출구벽 중 적어도 하나는 흡음재로 형성된
    환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제1 경사벽과 상기 급기부를 통과하는 소음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제2 경사벽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환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와 상기 급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소음 이동하는 통로 공간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며, 복수개로 분리된 통로 공간이 합쳐지는 상쇄공간이 형성된 간섭형 소음기가 설치되는
    환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되는
    환기 장치.
KR1020190025823A 2019-03-06 2019-03-06 환기 장치 KR20200107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23A KR20200107155A (ko) 2019-03-06 2019-03-06 환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23A KR20200107155A (ko) 2019-03-06 2019-03-06 환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55A true KR20200107155A (ko) 2020-09-16

Family

ID=7266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823A KR20200107155A (ko) 2019-03-06 2019-03-06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71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116B1 (ko) 흡기·송풍 장치
FI100484B (fi) Ilmastointilaitteisto
JP2014522472A (ja) 高機能空気浄化装置および方法
WO2005018404A1 (fr) Unite de reduction de bruit pour aspirateur
JP5147508B2 (ja) 換気送風機
KR20200107155A (ko) 환기 장치
KR101433437B1 (ko) 창호용 환기장치
CN215062804U (zh) 一种商业屋顶消音降噪装置
KR100960712B1 (ko) 덕트형 소음기
JP2007016440A (ja) 通気口設備
KR101554108B1 (ko) 방음부스
JP2003302095A (ja) 消音ダンパー
JP2010236538A (ja) 消音ボックス付送風機
JP2008281299A (ja) 吸音式クリーンルーム装置
JP2020101344A (ja) 空調システム収容構造
JP2007170737A (ja) ダクト部品
JP2005156127A (ja) 負圧型閉鎖空間形成システム
JP4419052B2 (ja) 清浄機能付ユニット型喫煙室
CN213144894U (zh) 一种便于更换消声元件的通风消声器
CN207750288U (zh) 一种组合控流式风机消声器
CN213362748U (zh) 一种封闭式靶道的地坑通风排烟消音器
JP2023050064A (ja) カプセルベッド
JP2005207078A (ja) 喫煙ブースおよび空気清浄方法
WO2022162731A1 (ja) 消音装置
KR102570303B1 (ko) 소음 저감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