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773A -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6773A KR20200106773A KR1020190025407A KR20190025407A KR20200106773A KR 20200106773 A KR20200106773 A KR 20200106773A KR 1020190025407 A KR1020190025407 A KR 1020190025407A KR 20190025407 A KR20190025407 A KR 20190025407A KR 20200106773 A KR20200106773 A KR 202001067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disconnection
- unit
- leakage
- pul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9—Testing of circuits in sensor or actuator 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리크 센서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고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누수를 검출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부재, 상기 제1 전극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펄스 공급부,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펄스 폭을 측정하는 펄스 폭 측정부, 상기 제2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단선을 판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센서 부재에서 오감지를 방지하고, 전극의 단선에 의한 리크 미감지의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센서부에서의 단선 및 리크를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크 센서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고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누수를 검출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크 감지 센서는 누수 및 누유 시에 누수 또는 누유를 감지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지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주는 센서이다. 이와 같이 누수 및 누유 시에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리크 센서가 사용되고 있으며, 케이블형 리크 센서, 밴드형 리크 센서, 모듈형 리크 센서 등이 사용된다.
케이블형 리크 센서는 각종 액체(물, 오일 등)의 노출을 감지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지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주는 누수 및 누유 감지 리크 센서로서, 누수 및 누유의 감지는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가 누출된 물 또는 오일의 저항에 의하여 전위차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선으로 감지하여 누수 및 누유의 확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블형 리크 센서는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센서 케이블 길이가 정해져 있어 사용의 선택 폭이 적다.
밴드형 리크 감지 센서는 전선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동안 물이 전선에 닿게 되면 저항값이 변하게 되어 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형 리크 감지 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넓은 면적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지만, 높은 습도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에러 발생률이 높고, 정확한 누수 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모듈형 리크 센서는 플라스틱 케이스 내부에 포토 센서(수광부, 발광부)를 위치시켜, 액체를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광부의 빔을 수광부에서 수광하며, 발광부 빔이 액체를 감지하게 되면 굴절률의 변화로 빔이 수광부에서 수광되지 않으므로, 빛의 수광된 상태로서 누수를 감지하며, 저가의 비용으로 누수 위험 부분을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문헌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 베이스 필름(105), 베이스 필름(105)의 상부 표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 전도성 고분자층(110) 및 베이스 필름(105)의 상부 표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2 전도성 고분자층(120)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전도성 고분자층들(110, 120)이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며, 노출된 상부 표면에 수분 또는 기름이 접촉할 경우, 제1 전도성 고분자층(110) 및 제2 전도성 고분자층(120)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크 감지 센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테이프 형태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한 쌍의 도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라인은 전도성 카본 50~90 중량%에 알키드 수지가 5~30 중량%, 그리고 POSS(Polyhedral Oligomeric Silsequioxane) 고분자 화합물이 5~20 중량%가 혼합된 혼합물로 형성된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는 스트링별로 발전전압을 감지하고, 스트링별로 발전전압의 인가 유무를 표시하는 전압감지회로부, 스트링별로 발전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류감지회로부, 퓨즈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단선 판단용 전압에 의해 퓨즈 단선시 발생되는 전압 변화를 이용하여 퓨즈의 단선 상태와 스트링별 발전 전압의 개방 상태를 구분하여 감시하는 단선감지회로부, 퓨즈의 단선시 출력측의 고전압이 전압감지회로부 또는 단선감지회로부에 역방향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전압 방지회로부 및 단선 판단용 전압을 발생하여 단선감지회로부에 인가하고, 단선감지회로부의 출력 전압을 통해 퓨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반 제어기를 포함하는 능동형 퓨즈 단선 검출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누수 및 누유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지만, 지면 노이즈나 기후 변화에 따른 이슬점 등도 누수로 감지하므로, 오감지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도층에 산화 등에 의해 전극이 단선으로 되면, 누수를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센서 부재에서 오감지를 방지하고, 전극의 단선에 의한 리크 미감지의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크에 의한 센서 부재의 전극을 보호할 수 있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는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부재, 상기 제1 전극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펄스 공급부,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펄스 폭을 측정하는 펄스 폭 측정부, 상기 제2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단선을 판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에서, 상기 제1 전극의 단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단부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펄스 폭 측정부에서 측정된 펄스 폭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단선을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에서, 상기 제2 판단부는 상기 제1 전극에 공급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폭과 상기 제2 전극에서 검출된 PWM 신호의 폭이 동일할 때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에서, 상기 펄스 공급부에서의 펄스 인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펄스 인가 및 전원 공급을 교대로 반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에서, 상기 센서 부재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센서 부재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알람으로 통지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방법은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부재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1 전극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펄스 폭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제2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d)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b)에서의 측정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 (d)에서의 측정에 따라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단선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방법에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제1 전극에 공급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폭과 상기 제2 전극에서 검출된 PWM 신호의 폭이 동일할 때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방법에서, 상기 단계 (a) 및 단계 (c)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에 의하면, 펄스 공급부, 펄스 폭 측정부, 전원 공급부, 전압 측정부를 마련하여 센서 부재에서 오감지를 방지하고, 전극의 단선에 의한 리크 미감지의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마련하여 리크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여 센서 부재를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리크 감지 센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리크 검출을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검출을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및 리크를 검출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및 리크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리크 검출을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검출을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및 리크를 검출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및 리크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센서 부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대향한 구조로 마련된 것을 의미하며, "오감지"는 정상적인 리크(누설)의 감지가 아니라 간헐적인 빗물 또는 습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누수 및 각 전극의 노이즈 등에 의해 감지된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누설)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을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10)에서 리크 검출을 위한 블록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11)의 단부와 상기 제2 전극(12)의 단부 사이에는 다이오드(13)가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전도성 고분자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층에는 예를 들어, 금-코팅 은입자, 금-코팅 구리입자, 금-코팅 니켈입자, 은-코팅 구리입자, 은-코팅 니켈 입자, 은-코팅 알루미늄 입자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띠 형상으로 마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층을 통해 적층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이오드(13)는 역전압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이 리크를 검출할 장소에 직접 접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1)으로 인가된 PWM 신호는 다이오드(13)에 의해 제2 전극(12)으로 전달되지 않고, 즉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고, 상기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에 누설액(14)이 접촉되면,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은 서로 통전이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오감지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11)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펄스 공급부(20) 및 상기 제2 전극(12)으로부터 펄스 폭을 측정하는 펄스 폭 측정부(30)를 마련한다.
상기 펄스 공급부(20)는 누수 감지용 신호로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및 저항으로 이루어진 신호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PWM 신호를 제1 전극(11)에 인가하기 위해 마련되고, 상기 펄스 폭 측정부(30)는 제2 전극(12)을 통해 측정된 펄스 폭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펄스 공급부(20)에서 인가된 PWM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액(14)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이 도통되어 펄스 폭 측정부(30)에서 인가된 PWM 신호와 동일한 펄스 폭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에서 간헐적인 빗물 또는 습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누수 및 각 전극의 노이즈 등에 의해서는 인가된 PWM 신호와는 다른 펄스 폭을 측정하게 된다.
다음에,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단선 검출에 대해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10)에서 단선 검출을 위한 블록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센서 부재(10)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극(11) 또는 제2 전극(12)의 단선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전극(12)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40) 및 상기 제1 전극(11)으로부터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50)를 마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40)가 제2 전극(12)으로 DC 전원을 공급하면, 다이오드(13)를 거쳐 제1 전극(11)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전압 측정부(50)는 제1 전극(11)에서 전압을 측정한다. 즉 제1 전극(11) 또는 제2 전극(12)에 단선이 없는 경우 전압 측정부(50)는 정상적인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11) 또는 제2 전극(12)이 단선된 경우 전압 측정부(50)는 정상적인 전압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전압 검출기를 마련한 구조로 설명을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류 검출기로 대체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부재(10)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검출하는 장치에 대해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및 리크를 검출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센서 부재에서 리크 검출을 위한 펄스 공급부(20) 및 펄스 폭 측정부(30), 도 3에서 단선 검출을 위한 전원 공급부(40) 및 전압 측정부(5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60), 제어부(70), 표시부(80), 경보부(90), 전원부(15)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의 단선을 판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펄스 폭 측정부(30)에서 측정된 펄스 폭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61) 및 상기 전압 측정부(40)에서 측정된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의 단선 유무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판단부(61)는 미리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 폭에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펄스 공급부(20)에서의 PWM 신호와 펄스 폭 측정부(30)에서 측정된 펄스 폭을 대비하고, 측정된 펄스 폭이 동일한 경우,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이 리크(누설)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80) 및 경보부(90)로 판단 정보를 출력하고, 측정된 펄스 폭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오감지로 판단하여 표시부(80) 및 경보부(90)로 판단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제2 판단부(62)는 전압 측정부(50)에서 측정된 전압에 따라 제1 전극(11) 또는 제2 전극(12)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정보를 표시부(80) 및 경보부(90)로 출력한다. 즉 제2 판단부(62)는 전압 측정부(50)에서 전압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표시부(80) 및 경보부(90)로 판단 정보를 출력하고, 전압 측정부(50)에서 전압이 측정되면, 표시부(80) 및 경보부(90)로 판단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펄스 공급부(20)에서의 펄스 인가 및 상기 전원 공급부(40)에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 제어부(70)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10초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11)으로의 펄스 인가 및 제2 전극(12)으로의 전원 공급이 교대로 실행되도록 펄스 공급부(20) 및 전원 공급부(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펄스 공급부(20)를 3초간 작동시킨 후 정지시키고, 이어서 전원 공급부(40)를 3초간 작동시킨 후 정지시키고, 다시 펄스 공급부(20)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에서의 펄스 인가와 전압 인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70)는 센서 부재(10)에서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단선 또는 리크가 검출된 경우, 펄스 공급부(20) 및 전원 공급부(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 제어부(70)도 상기 판단부(60)과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 소자를 구비하며, 도 4에서는 제어부(70)와 판단부(60)를 구분하여 나타내었지만,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 소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고, 센서 부재(10)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표시한다. 또 표시부(80)는 다수의 센서 부재(10)를 사용하는 경우, 단선 및 리크된 센서 부재(10)의 위치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90)는 센서 부재(10)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알람으로 통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센서 부재(10)에서의 단선 및 리크 상태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15)는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지고, 전원 공급부(40)를 포함하여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에서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센서 부재(10)에서의 단선 및 리크 상태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고, 단선 또는 리크 상태 시, 센서 부재(10)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12)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및 리크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및 리크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부재에서 단선 및 리크를 검출하는 방법에서는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부재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펄스 공급부(20)에서 공급될 펄스 신호 정보를 판단부(60)에 저장하고, 제어부(70)에 펄스 공급부(20)와 전원 공급부(40)를 교대로 작동시키기 위한 시간 설정을 실행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10).
다음에 센서 부재(10)가 장착된 위치에서 리크 판단을 실행(S20)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공급부(20)는 제1 전극(11)에 미리 설정된 PWM 신호를 인가하고(S21), 펄스 폭 측정부(30)는 제2 전극(12)으로부터 펄스 폭을 측정한다(S22).
상기 펄스 폭 측정부(30)에서 측정된 펄스 폭 정보는 제1 판단부(61)로 전송되고, 제1 판단부(61)는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 폭 정보와 펄스 폭 측정부(30)에서 측정된 펄스 폭 정보를 비교하고, 2개의 펄스 폭 정보가 일치하면 센서 부재(10)의 위치에 리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1 판단부(61)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누설액(14)에 의해 리크 판단으로 결정되면(S23), 제어부(70)는 전원부(15)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S24) 센서 부재(10)의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을 보호하도록 한다. 또한, 제1 판단부(61)는 리크 판단 정보를 표시부(80) 및 경보부(90)로 통지한다(S30). 이에 따라 표시부(80)에는 센서 부재(10)에서의 리크의 상태 및 리크된 센서 부재(10)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경보부(90)는 센서 부재(10)에서의 리크의 상태를 관리자에게 알람으로 통지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3에서 센서 부재(10)에서 리크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또 상기 단계 S20에서 리크 판단이 아닌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40)에서 제2 전극(12)으로 전원을 인가한다(S40). 이어서, 전압 측정부(50)는 제1 전극(11)으로부터 전압을 측정한다(S41).
제2 판단부(62)는 상기 전압 측정부(50)에서 측정된 전압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S42), 상기 단계 S20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각각의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42에서 단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즉 전압 측정부(50)에서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2 판단부(62)는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센서 부재(10)의 위치에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2 판단부(62)에서 제1 전극(11) 또는 제2 전극(12)이 단선된 것으로 결정되면(S23), 제어부(70)는 전원부(15)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단선 판단 정보를 표시부(80) 및 경보부(90)로 통지한다(S30). 이에 따라 표시부(80)에는 센서 부재(10)에서의 단선의 상태 및 단선된 센서 부재(10)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경보부(90)는 센서 부재(10)에서의 단선의 상태를 관리자에게 알람으로 통지한다.
상기 단계 S21 및 단계 S40은 제1 판단부(61) 및 제2 판단부(62)에서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이 리크 또는 단선으로 판단될 때까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 실행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센서 부재에서 오감지를 방지하고, 전극의 단선에 의한 리크 미감지의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10 : 센서 부재
20 : 펄스 공급부
30 : 펄스 폭 측정부
40 : 전원 공급부
50 : 전압 측정부
20 : 펄스 공급부
30 : 펄스 폭 측정부
40 : 전원 공급부
50 : 전압 측정부
Claims (10)
-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부재,
상기 제1 전극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펄스 공급부,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펄스 폭을 측정하는 펄스 폭 측정부,
상기 제2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단선을 판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제1 전극의 단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단부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펄스 폭 측정부에서 측정된 펄스 폭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단선을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제1 판단부는 상기 제1 전극에 공급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폭과 상기 제2 전극에서 검출된 PWM 신호의 폭이 동일할 때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펄스 공급부에서의 펄스 인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펄스 인가 및 전원 공급을 교대로 반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센서 부재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센서 부재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알람으로 통지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부재에서의 단선 및 리크의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1 전극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펄스 폭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제2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d)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b)에서의 측정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 (d)에서의 측정에 따라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단선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방법. - 제8항에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제1 전극에 공급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폭과 상기 제2 전극에서 검출된 PWM 신호의 폭이 동일할 때 물 또는 화학 용액의 리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방법. - 제8항에서,
상기 단계 (a) 및 단계 (c)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및 리크 검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407A KR102187189B1 (ko) | 2019-03-05 | 2019-03-05 |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407A KR102187189B1 (ko) | 2019-03-05 | 2019-03-05 |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6773A true KR20200106773A (ko) | 2020-09-15 |
KR102187189B1 KR102187189B1 (ko) | 2020-12-04 |
Family
ID=7246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5407A KR102187189B1 (ko) | 2019-03-05 | 2019-03-05 |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718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7355B1 (ko) * | 2022-01-13 | 2022-07-29 | (주)엠씨마스터스 | 오일 누출 자동 검지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3023A (ko) * | 2004-08-10 | 2007-03-23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액체 누수 검출 방법 및 시스템 |
JP2011191177A (ja) * | 2010-03-15 | 2011-09-29 | Fujitsu Semiconductor Ltd | 漏液センサ |
KR101326923B1 (ko) | 2012-02-14 | 2013-11-11 | 하솜정보기술 주식회사 | 리크 감지 센서 |
KR101719523B1 (ko) | 2015-01-12 | 2017-03-24 | (주)유민에쓰티 |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
KR101787487B1 (ko) | 2016-04-01 | 2017-10-18 | 주식회사 디케이 |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의 능동형 퓨즈 단선 검출 장치 |
-
2019
- 2019-03-05 KR KR1020190025407A patent/KR1021871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3023A (ko) * | 2004-08-10 | 2007-03-23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액체 누수 검출 방법 및 시스템 |
JP2011191177A (ja) * | 2010-03-15 | 2011-09-29 | Fujitsu Semiconductor Ltd | 漏液センサ |
KR101326923B1 (ko) | 2012-02-14 | 2013-11-11 | 하솜정보기술 주식회사 | 리크 감지 센서 |
KR101719523B1 (ko) | 2015-01-12 | 2017-03-24 | (주)유민에쓰티 |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
KR101787487B1 (ko) | 2016-04-01 | 2017-10-18 | 주식회사 디케이 |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의 능동형 퓨즈 단선 검출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7355B1 (ko) * | 2022-01-13 | 2022-07-29 | (주)엠씨마스터스 | 오일 누출 자동 검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7189B1 (ko) | 2020-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46318B2 (en) | Leak sensor apparatus for sensing moisture | |
EP2265917B1 (en) | Leak sensor apparatus for sensing moisture | |
US9212965B2 (en) | Leak detection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having slave controllers with unique IDs | |
JP5777013B2 (ja) | 漏油感知装置 | |
KR101326923B1 (ko) | 리크 감지 센서 | |
KR101479177B1 (ko) | 물성감지 리크센서 | |
KR20110053883A (ko) | 히팅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 |
KR102187189B1 (ko) |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 |
KR101445310B1 (ko) | 리크 감지 방법 | |
KR20190047435A (ko) | 누액 감지 시스템 및 누액 감지 방법 | |
KR20160006091A (ko) | 용액 누설 감지 장치 | |
KR101200923B1 (ko) | 정전용량형 레벨센서 | |
JP2004101282A (ja) | 漏水検出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漏水検出器 | |
TWI583258B (zh) | 故障檢測設備及方法 | |
KR101737873B1 (ko) | 연료 레벨을 산출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실시간 연료 레벨 모니터링 장치 | |
KR102087562B1 (ko) | 누액센서장치와 누액감지시스템 | |
KR101983660B1 (ko) | 누설감지장치 | |
KR101847090B1 (ko) |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 |
JP6883382B2 (ja) | 漏液検知器 | |
KR20230085305A (ko) | 전류값을 이용한 누수 감지 시스템 | |
KR101895071B1 (ko) | 액화가스 선적선의 누출가스 검출시스템 | |
CN112513606B (zh) | 成像分离传感器 | |
KR101737869B1 (ko) | 발광 스틱을 이용하여 연료 레벨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실시간 연료 레벨 모니터링 장치 | |
KR20150131888A (ko) | 누수 감지 센서 | |
JP2010190574A (ja) | 漏液検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