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490A - 조명 기기 - Google Patents

조명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490A
KR20200106490A KR1020207015414A KR20207015414A KR20200106490A KR 20200106490 A KR20200106490 A KR 20200106490A KR 1020207015414 A KR1020207015414 A KR 1020207015414A KR 20207015414 A KR20207015414 A KR 20207015414A KR 20200106490 A KR20200106490 A KR 20200106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head
illumination head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791B1 (ko
Inventor
유야 지키하라
겐 데라오
Original Assignee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6Optical design with parabolic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헤드의 방향을 조정하지 않고 조명 헤드의 직하방보다 전방으로 오프셋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조명 헤드(4)는 광원(5), 반사판(6) 및 확산판(7)을 구비한다. 광원(5)은 반사판(6)의 곡면 형상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공간에서 반사판(6)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광원(5)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축(A)은 조명 헤드(4)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향하고 있다. 반사판(6)은, 상기 광축(A)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곡면 형상을 가지며, 조명 헤드(4)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로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이 조명 헤드(4)의 직하방에 대하여 특정의 방향으로 오프셋하도록 출사광을 반사한 반사광을 특정의 방향으로 인도한다. 확산판(7)은 반사판(6)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조사 영역의 빛 강도가 균일해지도록 반사광을 확산한다.

Description

조명 기기
본 발명은 조명 헤드를 구비하는 조명 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반사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조명 헤드를 구비하는 조명 기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1에는 LED 실장기판, 케이싱 및 LED 기판 지지판을 구비하는 조명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LED 실장기판에는 단파장 빛을 방사하는 LED 소자가 실장되어 있다. 케이싱은 오목부에 LED 소자의 단파장 빛에 의해 변환광을 발광하는 파장 변환부가 마련된 반사면을 갖는다. LED 기판 지지판은 케이싱의 개구 가장자리 내측에 내측면이 오목부 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LED 기판 지지판에는 LED 소자의 발광면이 반사면의 오목부 저면을 향하도록 LED 실장기판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LED 소자의 광원 이미지가 직접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LED 캐리어를 사용하여 간격을 두고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LED를 구비하는 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LED는 광선의 중심방향 주변의 특정 입체각 영역에 발광한다. 입체각 영역은 램프의 간접 발광을 위한 램프 반사판을 향해 있다. LED의 수량 및/또는 LED의 간격은 모든 LED의 입체각 영역이 서로 가장 멀리 위치한 LED 간의 거리의 적어도 0.2~2.5 배로, 램프의 저면에서 조명 표면 거리로 광 반사판에서 반사된 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선택된다.
특허문헌3에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효율적으로 조명에 사용 가능한 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명장치는 링형 광원과 반사부재를 구비한다. 반사부재의 반사면은 두 초점을 갖는 타원의 일부를 이루는 곡선을 중심축을 중심으로 1 회전시킴으로써 공간내에 형성되는 오목 곡면이다. 각 LED와 반사면과의 위치관계는 링형 광원의 각 LED의 광축을 포함하는 유효 배광각내의 모든 빛이 반사면에 닿도록 정해져, 링형 광원의 각 LED에서 발사하여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을 조사면에 조사한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 2007-300138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표 2015-511017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 특개 2017-133984호 공보
종래의 조명 기기는 조명 헤드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빛의 조사에 의해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은 조명 헤드의 직하방에 위치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사용상황에 의하면 조명 헤드의 직하방이 아니라 그보다 전방(앞쪽)에 조사 영역이 위치하는 편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경우도 많다. 이러한 상황으로서, 예를 들어, 조사 영역에 놓인 책 등을 읽는 사용자의 시선이 조명 헤드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 등이 예상된다. 이 경우, 조명 헤드의 방향을 비스듬히 전방으로 조정하면 해결할 수 있지만, 본래 대략 원형의 조사 영역이 타원형으로 변형됨으로써 그 가장자리가 유동되어 경계가 불선명해질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사용자가 광원을 직시하는 것에 가까운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완성한 것이며, 그 목적은 조명 헤드의 방향을 조정하지 않고 조명 헤드의 직하방보다 전방으로 오프셋한 조사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은 적어도 조명 헤드를 구비하는 조명 기기를 제공한다. 조명 헤드는 광원과 반사판을 구비한다. 반사판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곡면 형상을 가지며, 조명 헤드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로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이 조명 헤드의 직하방에 대하여 오프셋하도록 출사광을 반사한 반사광을 특정의 방향으로 인도한다.
제 2 발명은 설치대, 조명 헤드 및 아암을 구비하는 조명 기기를 제공한다. 아암은 설치대와 상기 조명 헤드를 연결한다. 조명 헤드는 광원과 반사판을 구비한다. 반사판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곡면 형상을 가지며, 조명 헤드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로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이 조명 헤드의 직하방에 대하여 오프셋하도록 출사광을 반사한 반사광을 특정의 방향으로 인도한다.
여기서,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반사광을 전방으로 인도함으로써 조사 영역을 전방으로 오프셋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반사판은 전방측 가장자리의 반사 특성으로서 연직 방향에 대한 반사광의 광선 각도가 전방측의 가장자리에 향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도록 반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비대칭적인 곡면 형상으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축에 대하여 포물선을 기울인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반사광의 광축에 설치되고, 조사 영역의 빛 강도가 균일해지도록 반사광을 일정한 각도로 확산하는 렌즈 확산판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광원은 복수의 서브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판은 복수의 서브 광원의 각각에서 출사된 출사광을 반사하여 반사광으로서 전방으로 인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판에 의해 반사광을 특정의 방향으로 인도함으로써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을 조명 헤드의 직하방에 대하여 오프셋시킬수 있다.
도 1은 조명 기기의 정면도
도 2는 조명 기기의 측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단면도
도 4는 반사구조의 설명도
도 5는 반사구조의 설명도
도 6은 반사구조의 설명도
도 7은 반사구조의 설명도
도 8은 조명 헤드로부터의 빛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 영역의 설명도
도 9는 조사 영역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조정기구가 장착된 광학계의 단면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좌우 광학계의 단면도
도 13은 중앙 광학계의 단면도
도 14는 확산전의 각 광원의 조사 영역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확산전의 합성광원의 조사 영역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확산후의 조사 영역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평면도
도 18은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광학계의 설명도
도 19는 확산전의 조사 영역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확산후의 조사 영역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그의 측면도이다. 이 조명 기기(1)는 데스크 스탠드로서 사용되며, 설치대(2), 아암(3) 및 조명 헤드(4)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대(2)는 대략 원주형의 형상을 가지며 데스크 등의 설치면상에 재치(載置)된다. 아암(3)은 일단이 설치대(2)의 상부에 장착되며 설치대(2)의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아암(3)의 타단에는 조명 헤드(4)가 후방에 장착되어 있다. 조명 헤드(4)의 방향은 자유롭게 조정된다. 이 도면은 조명 헤드(4)가 약간 전방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수평선(H)에 대하여 조명 헤드(4)가 이루는 각도 θ가 0도인 상태(θ=0)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이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조명 기기(1)의 전후방향을 “X방향”으로, 그 좌우방향을 “Y방향”으로 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X방향에서의 아암(3)측과의 반대방향을 “전방”으로 한다.
도 3은 조명 헤드(4)에 내장된 광학계의 단면도이다. 이 광학계는 광원(5), 반사판(6) 및 렌즈 확산판(7)을 구비한다. 광원(5)은 발광체인 LED가 1개 또는 복수개가 탑재된 단일 발광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사판(6)의 곡면 형상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공간에서 반사판(6)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5)은 조명 헤드(4)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θ=0)로 그곳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축(A)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원(5)은 복수의 발광유닛을 조합한 복수의 광원일 수도 있다.
반사판(6)은 광원(5)으로부터 광축(A)의 방향으로 출사된 출사광을 하방으로 반사한다. 반사판(6)은 좌우방향(Y방향)에 있어서 광원(5)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축(A)에 대하여 좌우대칭적인 곡면 형상을 갖지만, 전후방향(X방향)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A)에 대하여 전후 비대칭적인 곡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반사판(6)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은 조명 헤드(4)의 직하방이 아니라 이보다 전방으로 인도된다.
또한, 광원(5)의 경사 및 위치는 도 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탠드의 높이 등을 포함하는 실제 제품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는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광원(5)을 전방으로 기울이면 조명 헤드(4)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보다 전방으로 인도할 수 있고, 후방으로 기울이면 이와 반대로 된다. 또한, 광원(5)을 반사판(6)에 가까이 하면 빛의 조사 영역이 넓어지고, 이를 반사판(6)으로부터 멀리하면 이와 반대로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사판(6)의 일예로 전후방향의 단면이 포물선 형상인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나타내는 비구면식이 사용되고, k의 값에 따라 베이스면(오른쪽의 제 1 항)은 구면(k=0), 타원면(-1<k<0), 포물면(k=-1), 쌍곡면(k<-1)과 같이 분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일예로서 K=-1,r=30,h=54.772이다.
Figure pct00001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물선을 참고한다. 포물선의 초점(B)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빛을 출사하였을 경우, 반사판(6)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은 평행광으로서 직하방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조사면상에는 대략 원형의 조사 영역(광야)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5)을 초점(B)의 위치로부터 반사판(6)측에 가까이 하는 동시에, 반사판(5)의 초점축(C)에 대하여 광축(A)을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30도)만큼 기울이는 경우를 참고한다. 따라서, 반사광의 출사방향도 기울어져 조명 헤드(4)의 직하방이 아니라 비스듬히 전방으로 인도된다.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은, 도 4의 경우보다 크고, 또한, 초승달 형상으로 된다. 또한, 광원(5)을 가까이 함으로써 반사광은 평행광을 이루지 못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5)이 바로 위를 향하도록 반사판(6)의 경사를 되돌린 후, 반사판(6)의 일부, 즉, 광원(5)보다 하방의 부위를 수평선(H)으로 절단한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판(6)(조명 헤드(4))이 직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조명 헤드(4)(반사판(6))로부터의 반사광은 비스듬히 전방으로 인도된다.
또한, 반사판(6)의 단면 형상은 비구면 형상(포물선 형상)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반사광을 비스듬히 전방으로 인도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렌즈 확산판(7)은, 반사판(6)으로부터 출사된 반사광의 광축에 설치되어 조사 영역(S)의 빛 강도가 균일해지도록 반사광을 확산한다. 렌즈 확산판(7)은 LSD(Light Shaping Diffusers)확산판이라고도 불리우며, 필름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고, 요철구조에 의한 굴절/회절작용에 의해 입사광을 일정한 각도로 확산시킨다.
도 8은 조명 헤드(4)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 영역의 설명도이다. 조명 헤드(4)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반사판(6)으로부터의 반사광은 비스듬히 전방을 향해 직선상으로 출사된다. 이 반사광은, 렌즈 확산판(7)을 투과할 때 확산하지만, 그 특성으로 인해 전방으로의 직진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조사 영역(D)(광야)이 조명 헤드(4)의 직하방에 대하여 전방으로 오프셋하여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X방향에서 조사 영역(D)의 중심은 조명 헤드(4)의 전단(전방의 가장자리)보다 바깥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9는 렌즈 확산판(7)을 개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조사 영역(D)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9에서 담색(백색)으로 나타낸 영역일 수록 빛 강도가 높고, 농색(흑색)으로 나타낸 영역일 수록 빛 강도가 낮은 것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낸 빛 강도 분포에서, 하부가 조금 잘려 있는 것은 광원(5)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다. 렌즈 확산판(7)을 개재함으로써, 조사 영역(D)은 대략 원형이고 또한 균일한 강도 분포를 갖게 된다.
또한, 전방측의 가장자리에서의 반사판(6)의 반사특성으로, 반사판(6)으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의 교선 각도 θ, 즉, 연직 방향에 대하여 반사광의 출사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의 가장자리에 향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도록 반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평행광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5)을 초점(B)의 위치로부터 반사판(6)측으로 가까이하여 경사지게함으로써 실현된다. 따라서,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스폿 광)이 전방으로 유동되어 경계가 불선명해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판(6)에 의해 반사광을 비스듬히 전방으로 인도함으로써,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D)을 조명 헤드(4)의 직하방보다 전방으로 오프셋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 헤드(4)의 방향을 조정하지 않아도, 조명 헤드(4)의 직하방에 놓인 책 등을 읽는 사용자의 시선이 조명 헤드(4)에 의해 방해되는 상황 등을 유효하게 피면할 수 있다. 또한, 조명 헤드(4)의 방향이 직하방 상태인 채로 좋으므로, 조사 영역(D)이 본래의 대략 원형의 선명한 형상으로 되는 외에, 사용자가 광원(5)을 직시하는 상황도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판(6)에서의 전방측 가장자리의 반사특성으로, 연직 방향에 대한 반사광의 광선 각도 θ가 전방측의 가장자리에 향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도록 반사한다. 따라서,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D)이 전방으로 유동되어 경계가 불선명해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 헤드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는, 전형적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 헤드(4)의 하면(도 3중의 렌즈 확산판(7)의 면) 혹은 광원(5)을 구성하는 평면이 조사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말한다. 그러나, 조명 헤드(4)의 하면 등은 유효한 판단요소이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조명 헤드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인지 여부는, 실제 제품의 전체 형상 및 구조(광학적 기구를 포함한다) 등의 다양성을 감안하여, 실제 제품마다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조명 헤드의 조정을 전동 모터 등으로 진행하는 시스템(조명 기기)에서, 대부분의 경우, 조명 헤드가 직하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가 초기설정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러한 뉴트럴 초기설정 상태에서의 조명 헤드의 방향이 직하방을 향한 상태라고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한 조정이 진행되지 않은 초기설정 상태에서 전원 투입시, 조사 영역(D)이 조명 헤드의 직하방보다 전방으로 형성되도록 시스템이 동작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기의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즉시 어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명 헤드(4)에 광원(5)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광축 경사를 변경가능한 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5)을 구성하는 발광유닛에 조명 기기(1)의 Y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8)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8)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광원(5)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광원(5)의 회동은, 회전축(8)을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할 수도 있고, 또한, 전동 모터 등으로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조명 헤드(4)로부터의 출사광의 퍼짐과 강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물선의 초점(B)에 대한 발광유닛(광원(5))의 거리를 가변으로 하는 기구를 설치하면, 포커스 조정도 가능하다. 그 때, 발광유닛에 대하여 회전축(8)을 편심시켜 두면, 회전축(8)의 회전만으로 광축의 경사 조정 및 포커스 조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원(5)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광축 경사 및 광원(5)과 초점(B)의 위치관계에 대하여, 회전축(8)과 같은 구동을 위한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임의의 경사 및 위치관계로 고정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서브 광원)를 복수개 조합하여 조명 헤드(4)의 직하방보다 전방으로 조사 영역(D)을 형성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조명 헤드(4)의 내부에는 3개의 반사판(6a)~(6c)이 전후방향으로 번갈아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반사판(6a)~(6c)에는 광원(5)을 구성하는 서브 광원(5a)~(5c)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12는 좌우 광학계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중앙 광학계의 단면도이다. 좌우 광학계에서의 연직 방향에 대한 광원(5a), (5c)의 광축의 경사를 θ1, 중앙 광학계에서의 경사를 θ2로 하면, θ2는 θ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확산전의 각각의 서브 광원(5a)~(5c)의 확산전의 조사 영역(D)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3개의 서브 광원(5a)~(5c)을 중첩시킨 확산전의 합성광원의 조사 영역(D)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그의 확산후의 조사 영역(D)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들은 실험의 일예로서, 조명 헤드(4)의 직경은 200mm정도, 스탠드의 높이는 300mm로 하고, 설치면과 평행한 평면으로부터 광범위한 둥근 빛을 사출한 경우의 분포를 나타냈다. 좌우 서브 광원에 의해 형성되는 빛의 조사 영역(도 14a 및 14c)은 중앙 광원의 조사 영역(도 14b)에 비하여 전후방향(도면의 좌우방향)으로 퍼져 있고, 이에 따라 3개의 빛을 겹쳤을 경우, 보다 원형에 가까운 빛이 형성되고(도 15), 그 원형에 가까운 합성광을 확산판(7)에서 확산시킨 결과(도 16), 조사 영역(D)을 보다 원형에 가깝게, 또한 조도(照度)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광학계로부터의 출사광이 합성되어, 조사 영역(D)이 조명 헤드(4)의 직하방보다 전방에 조사 영역(D)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광학계를 조합함으로써,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D)을 조명 헤드(4)의 직하방보다 전방으로 오프셋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조사 영역(D)이 조명 헤드의 직하방보다 전방으로 형성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학계(서브 광원)를 조합하여, 조명 헤드(4)의 직하방에 대형이면서 깨끗한 대략 원형의 조사 영역(D)을 형성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평면도이다. 조명 헤드(4)의 내부에는 상술한 반사특성을 갖는 반사판(6)을 절단한, 4개의 반사판(6a)~(6d)이 점대칭, 즉 상하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반사판(6a)~(6d)에는 광원(5)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광원(6a)~(6d)이 각각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반사판(6a)~(6d)에 대한 서브 광원(6a)~(6d)의 상대적인 경사는 제 1 및 제 2 실시예보다 작고, 각각의 반사판(5a)~(5d)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조명 헤드(4)의 직하방으로부터 크게 분산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반사판(6)을 단일 링형의 반사판(6e)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복수의 서브 광원(5a)~(5d)에 의한 조사 영역(D)의 확산전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렌즈 확산판(7)에 의한 확산후의 빛 강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렌즈 확산판(7)에 의한 처리를 거쳐 4개의 광야가 겹쳐지고, 조사 영역(D)으로서, 광범위하고 대략 원형으로 빛 강도가 균일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광학계를 조합함으로써, 조명 헤드(4)의 직하방에 광범위하고 대략 원형으로 빛 강도가 균일한 조사 영역(D)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헤드(4)의 직하방에 대하여 전방으로 오프셋하도록 조사 영역(D)을 형성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오프셋 방향은 전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조명 헤드(4)의 직하방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오프셋시키는 형태를 널리 포함한다. 또한, 조명 기기(1)는 스탠드식에 한정되지 않고 클립식, 펜던트식 등을 포함하고, 조명 헤드(4)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1 조명 기기
2 설치대
3 아암
4 조명 헤드
5 5a~5d 광원
6 6a~6e 반사판
7 렌즈 확산판
8 회전축

Claims (7)

  1. 적어도 조명 헤드를 구비하는 조명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명 헤드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명 헤드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로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이 상기 조명 헤드의 직하방에 대하여 오프셋하도록 상기 출사광을 반사한 반사광을 특정의 방향으로 인도하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2. 설치대,
    조명 헤드, 및
    상기 설치대와 상기 조명 헤드를 연결하는 아암을 구비하는 조명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명 헤드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명 헤드가 직하방을 향한 상태로 조사면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이 상기 조명 헤드의 직하방에 대하여 오프셋하도록 상기 출사광을 반사한 반사광을 특정의 방향으로 인도하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반사광을 전방으로 인도함으로써, 상기 조사 영역을 전방으로 오프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전방측 가장자리의 반사특성으로,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반사광의 광선 각도가 전방측의 가장자리에 향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도록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비대칭적인 곡면 형상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축에 대하여 포물선을 기울인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헤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의 광축에 설치되고, 상기 조사 영역의 빛 강도가 균일해지도록 상기 반사광을 일정한 각도로 확산하는 렌즈 확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서브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복수의 서브 광원의 각각에서 출사된 상기 출사광을 반사하여 상기 반사광으로서 전방으로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
KR1020207015414A 2018-01-10 2018-01-10 조명 기기 KR102469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0266 WO2019138459A1 (ja) 2018-01-10 2018-01-10 照明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90A true KR20200106490A (ko) 2020-09-14
KR102469791B1 KR102469791B1 (ko) 2022-11-22

Family

ID=6580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414A KR102469791B1 (ko) 2018-01-10 2018-01-10 조명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87128B1 (ko)
KR (1) KR102469791B1 (ko)
CN (1) CN111406178B (ko)
TW (1) TWI768136B (ko)
WO (1) WO2019138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1508A (zh) * 2019-09-20 2020-01-17 江门市想天照明科技有限公司 偏光台灯
CN218064522U (zh) * 2022-09-27 2022-12-16 苏州欧普照明有限公司 减影台灯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6204A (ja) * 1986-09-17 1988-04-06 株式会社アイ・ライテイング・システム 投光器
KR19990016520U (ko) * 1997-10-28 1999-05-25 강영주 비대칭 반사판을 구비한 터널 조명등
JP2007300138A (ja) 2003-12-05 2007-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発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WO2008117865A1 (ja) * 2007-03-28 2008-10-02 Kyocera Corporation 照明装置および照明ユニット
JP2010073644A (ja) * 2008-09-22 2010-04-0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および照明装置
JP2011513931A (ja) * 2008-12-24 2011-04-28 ハンサン エルコム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含む照明装置
KR20120093271A (ko) * 2009-10-08 2012-08-22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대칭 광 빔 발생을 위한 렌즈
WO2013035788A1 (ja) * 2011-09-09 2013-03-14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スタンド
JP2015511017A (ja) 2012-03-23 2015-04-13 バイオタージ アクチボラゲット クロマトグラフィック・ランのシミュレーション
JP2017527973A (ja) * 2014-09-19 2017-09-21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テーブルランプ及びテーブルランプからの光出力の方向を調整する方法
KR20170133984A (ko) 2016-05-27 2017-12-06 조계옥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5567A1 (de) * 2003-09-29 2005-05-19 Erco Leuchten Gmbh Reflektorleuchte, wie Boden-, Decken- oder Wandeinbau-Reflektorleuchte, insbesondere Stufen-Reflektorleuchte
WO2008153104A1 (ja) * 2007-06-12 2008-12-18 Miraikankyokaihatsukenkyujo Kabushikikaisha 机上照明装置
WO2009067844A1 (fr) * 2007-11-28 2009-06-04 Chihua Shieh Dispositif d'éclairage à diode électroluminescente
CN102374444B (zh) * 2010-08-11 2014-01-15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调光台灯及其自动调光方法
CN203823633U (zh) * 2014-03-14 2014-09-10 王正 车灯结构及其灯杯结构
TWI518287B (zh) * 2014-11-03 2016-01-21 Playnitride Inc Light emitting device
JP6390396B2 (ja) * 2014-12-10 2018-09-19 レシッ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Led灯具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6204A (ja) * 1986-09-17 1988-04-06 株式会社アイ・ライテイング・システム 投光器
KR19990016520U (ko) * 1997-10-28 1999-05-25 강영주 비대칭 반사판을 구비한 터널 조명등
JP2007300138A (ja) 2003-12-05 2007-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発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WO2008117865A1 (ja) * 2007-03-28 2008-10-02 Kyocera Corporation 照明装置および照明ユニット
JP2010073644A (ja) * 2008-09-22 2010-04-0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および照明装置
JP2011513931A (ja) * 2008-12-24 2011-04-28 ハンサン エルコム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含む照明装置
KR20120093271A (ko) * 2009-10-08 2012-08-22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대칭 광 빔 발생을 위한 렌즈
WO2013035788A1 (ja) * 2011-09-09 2013-03-14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スタンド
JP2015511017A (ja) 2012-03-23 2015-04-13 バイオタージ アクチボラゲット クロマトグラフィック・ランのシミュレーション
JP2017527973A (ja) * 2014-09-19 2017-09-21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テーブルランプ及びテーブルランプからの光出力の方向を調整する方法
KR20170133984A (ko) 2016-05-27 2017-12-06 조계옥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06178B (zh) 2022-09-06
CN111406178A (zh) 2020-07-10
TW201930781A (zh) 2019-08-01
JP6487128B1 (ja) 2019-03-20
WO2019138459A1 (ja) 2019-07-18
TWI768136B (zh) 2022-06-21
JPWO2019138459A1 (ja) 2020-01-23
KR102469791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779B2 (en) Vehicle headlight
KR100570481B1 (ko) 차량용 전조등
CN101285561B (zh) 车辆用灯具单元
US7207705B2 (en) Vehicle illumination lamp
US7575344B2 (en) Lamp fixture
JP4735333B2 (ja) Led照明器具
KR20180049632A (ko)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유닛
CN108603646B (zh) 车辆用灯具
JP6250137B2 (ja) 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2256457A (ja) 車両用前照灯
KR102469791B1 (ko) 조명 기기
JP2013521606A (ja) 照明器具及びルーバ
JP2007087904A (ja) 車両用灯具
JP2018045847A (ja) Ledを用いたスポットライト
JP4988538B2 (ja) スポットライト
JP6988249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2020984B1 (ko) 간접조명타입 led 조명기구
TWI567340B (zh) A light source device using a point light source, and an illumination device for an optical reader using the same
WO2024048390A1 (ja) ランプ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7234681B2 (ja) 車両用灯具
CN218936102U (zh) 模拟天空照明装置
JP2008166184A (ja) 照明装置
WO2019244783A1 (ja) 車両用灯具
JP2023162988A (ja) 車両用灯具
JP2012160416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