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732A -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732A
KR20200105732A KR1020207025158A KR20207025158A KR20200105732A KR 20200105732 A KR20200105732 A KR 20200105732A KR 1020207025158 A KR1020207025158 A KR 1020207025158A KR 20207025158 A KR20207025158 A KR 20207025158A KR 20200105732 A KR20200105732 A KR 20200105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inlet
chamber
powder inhal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317B1 (ko
Inventor
클라우스-디터 벨러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디터 벨러
페를렌 패키징 아게, 페를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디터 벨러, 페를렌 패키징 아게, 페를렌 filed Critical 클라우스-디터 벨러
Publication of KR2020010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0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 A61M15/0008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rotating by air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6Inhalation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4Static flow deviators in tubes disturbing laminar flow in tubes, e.g. archimedes screws

Abstract

본 발명은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소정 용량의 분체 약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챔버(11)가 형성되는 하우징부(1)를 구비한 흡입기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흡입기 하우징은 토출 개구(13'), 및 약제 챔버(11)로부터 토출 개구(13')로 연장되는 토출 덕트(13)를 구비한다. 토출 덕트(13)는 유리하게는 하우징부(1) 내에 형성된다. 약제 챔버(11) 중 토출 개구(13')로부터 멀리 있는 측의 공기 유입 개구(12'), 및 공기 유입 개구(12')로부터 약제 챔버(11)로 연장되는 유입 덕트(12)가 또한 하우징부(1) 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SINGLE-DOSE POWDER INHALATO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용화된 분말 흡입기("흡입기")는 빈번하게 다수회 사용을 위해 설계되므로, 제조가 복잡하며 고비용이다. 일회용품으로 사용하는 것은 종종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환자가 사용 후 세척기를 부적절하게 세척하거나 거의 또는 전혀 세척하지 않기 때문에, 다수회 사용은 때때로 상당한 위생 문제를 일으킨다. 다른 문제는 캡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위생적인 관점에서, 환자가 흡입기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흡입기 내로 숨을 내쉬는 경우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공지된 흡입기에서, 환자는 항상 의도된 배출 방향으로 숨을 내쉬는 것이 아니라 흡입기를 통해 숨을 내쉬게 되고, 그에 따라 흡입기는 다수회 사용 시에 호흡 습도로 인해 막히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분체 약제가 응집되어 흡입기의 공기 덕트 내에 고착된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병원균으로도 오염될 수 있는 이러한 침착물과 응집물은 예를 들어 비강 응용의 경우에도 부정확한 투여 및 다른 단점을 초래할 수 있다: 거기서, 예를 들어 부비동염이 치료에 내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될 때, 비강 세균을 고려해야 한다. 해당 환자는 흡입기를 통해 (비강으로, 구강으로) 반복적으로 재감염될 수 있다.
WO 2007/042822에는, 서로 결합되어 토출구를 갖는 흡입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를 구비한 1회-용량 분말 흡입기가 기재되어 있다. 제1 하우징부는 1회 용량의 분체 약제를 포함하는 약제 챔버를 포함하되, 이는 제1 하우징부에 체결되는 포일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포일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을 위해 파지되어 인출될 수 있고, 그 결과 분체 약제가 약제 챔버로부터 배출되도록, 흡입기 하우징 밖으로 연장된다. 제2 하우징부는 수집 웰 및/또는 분산 챔버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흡입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공기 덕트가 토출구로 이어진다. 약제 챔버가 개방된 후에, 토출구에서의 흡입 시에, 포일이 인출된 후에 남아있는 하우징부들 사이의 갭을 통해, 공기 유동이 발생되고, 상기 공기 유동은 약제 챔버로부터 수집 웰 또는 분산 챔버 밖으로 배출되는 분체 약제를 연행한다(entrain).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시작되어,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며 비용효율적이고, 사용이 용이하며, 포함된 분말의 탈응집 및 분말 소개의 완전성과 관련하여 개선된, 1회-용량 분말 흡입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구비한 1회-용량 분말 흡입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은 흡입기를 제조하려는 목적은 독립항 제13항의 특징부를 구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장치의 개선들은 종속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는 전체 용량 또는 부분 용량의 분체 약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챔버가 형성되는 하우징부를 구비한 흡입기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는 말하자면 비블리스터(blister-free) 방식으로, 즉 약제로 충진되는 별개의 블리스터의 사용 없이 이용 가능한 흡입기이다. 흡입기 하우징은 토출 개구, 및 약제 챔버로부터 토출 개구로 연장되는 토출 덕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기 하우징은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와 함께 결합되어 흡입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커버 요소를 구비한다. 이 경우, 토출 덕트가 하우징부 내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약제 챔버 중 토출 개구로부터 멀리 있는 측의 공기 유입 개구, 및 공기 유입 개구로부터 약제 챔버로 연장되는 유입 덕트도 형성되고, 토출 덕트, 약제 챔버, 및 유입 덕트는 하나의 축을 정의한다.
그러므로, 분말 흡입기와 관련된 모든 부분들이 단일 하우징부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이후 약제 챔버가 소정 용량의 분말로 충진된 후에 단지 커버 요소로 덮인다. 탈응집, 균일한 분산, 및 1회-용량 분말 흡입기가 사용될 때의 분말의 완전한 소개를 지원하고 개선하기 위해, 공기-안내 난류-유도 및/또는 편향 구조들이 공기 유입 덕트, 약제 챔버, 및 토출 덕트에서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어, 약제 챔버 내부로의, 이를 통한, 그리고 외부로의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유속을 제어하기 위해, 유입 덕트는 토출 덕트, 약제 챔버, 및 유입 덕트에 의해 정의되는 축에 수직인 두 방향으로 공기 유입 개구에서 약제 챔버까지 좁아지고, 토출 덕트는 토출 덕트, 약제 챔버, 및 유입 덕트에 의해 정의되는 축에 수직인 두 방향으로 약제 챔버로부터 토출 개구의 방향으로 넓어진다.
그 결과, 최적으로 기능하는 분말 흡입기에 요구되는 모든 구조들이 유리하게는 하나의 하우징부 내에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유리하게는 전술한 단지 2개의 하우징부로 간단히 구성되고, 이들은 또한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분말 흡입기는 굉장히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를 위한 연관된 위생적 이점과 함께 단일 사용으로 소정 용량의 분말(또는 여러 용량의 분말의 조합)을 투여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흡입에 의한 분체 약제의 최적의 투여에 요구되는 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분체 약제를 위한 블리스터 팩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부는 비용효율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또는 약학적으로 순응성, 바람직하게는 단일-유형 플라스틱 필름을 바람직하게는 성형,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공기 유입 덕트, 약제 챔버, 및 토출 덕트를 한정하도록 하우징부를 덮고, 하우징부를 완성하여 흡입기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넓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비성형 방식으로 용이하게 그리고 비용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커버 요소가 구비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비성형"은 커버 요소가 가장 간단하고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완전히 평면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안정화 및 유동 최적화 모두를 위해, 또한, 커버 요소는 예를 들어 공기 유입 덕트, 약제 챔버, 및 토출 덕트를 따라 종방향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커버 요소는 또한 적어도 유입 덕트 및 토출 덕트의 영역에서 하우징부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후자처럼, 커버 요소는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사출성형 공정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순응성, 바람직하게는 단일-유형 플라스틱 필름을 바람직하게는 성형,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구조는 블리스터 팩의 구조에 대응한다. 이 경우, 2개의 흡입기 하우징 부품, 즉 하우징부 및 커버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약제 챔버 내에 존재하는 분말 및 그 투여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우징부는 알루미늄 포일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덮이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성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 유입 개구 및 토출 개구만이 개방 상태로 남아있다. 플라스틱 필름이 커버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하우징부와 동일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말 흡입기는 사용 후에 쉽게 재활용될 수 있다. 물론, 합성 필름이 또한 커버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더 열악한 재활용성으로 인해 선호되지 않는다. 커버 요소에 대한 재료 선택은 이것이 성형되거나 실질적으로 평탄한 커버 요소로 의도되는지 여부에 따라 좌우된다. 커버 요소가 성형되는 경우, 바람직한 재료는 하우징부에 대응하는 플라스틱 열성형 필름이고, 그에 따라 성형된 커버 요소는 치수 안정적이다.
커버 요소는 추가로 유리하게는 흡입기의 함량 및 용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프린트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문자로 제공될 수 있거나, 국제적으로 이해 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그래픽 및 선택적으로 색상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정보는 또한 점자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는 불투명 또는 착색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이한 착색 플라스틱들이 또한 포함된 분말 약제의 유형 및/또는 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토출 개구는 마우스 파이프로 형성되거나 노우즈 노즐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 덕트가 공기 유입 개구에서 약제 챔버까지 좁아지는 것과 토출 덕트가 약제 챔버로부터 토출 개구의 방향으로 넓어지는 것에 더하여(노우즈 노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토출 덕트는 선택적으로 다시 좁아진다), 유속을 제어하기 위해, 약제 챔버에서의 공기 유입 덕트의 단면이 또한 바람직하게는 약제 챔버에서의 토출 덕트의 단면보다 더 작게 유지될 수 있다.
1회-용량 분말 흡입기가 사용될 때 약제 챔버 내의 분말의 탈응집을 지원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느슨한 탈응집제(loose deagglomerator)가 그 안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약제 챔버 내의 공기 유입 덕트의 형상에 의해 발생되는 난류 공기 유동에 의해 분말과 함께 선회되며, 분말 응집물을 해체한다. 바람직하게는, 탈응집제는 약제 챔버 내에 남아있을 정도, 그리고 공기 유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 내로 들어갈 수 없을 정도의 치수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탈응집제는 개구들을 가지고, 즉 공기투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탈응집제가 약제 챔버의 토출 개구 앞에 놓일 때에도 공기 유동이 차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1회-용량 분말 흡입기의 약제 챔버는 소정 용량의 분말로(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탈응집제로) 충진된 후에 폐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충진된 1회-용량 분말 흡입기는 사용될 때까지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폐쇄는 분말 흡입기가 포함된 분말의 흡입을 위해 사용되려 할 때 개방되도록 의도된다. 폐쇄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상이한 변형예들이 제공된다.
사용자를 위한 용이한 조작성으로 인해 선호되는 변형예는 약제 챔버를 폐쇄하는 폐쇄 탭을 구비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필름 요소(박리 필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필름 요소는, 테이프부를 통해 폐쇄 탭에 연결되며, 약제 챔버의 일측으로부터 반대편 공기 유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를 통해 공기 유입 개구 또는 토출 개구 밖으로 연장되는 인출 탭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테이프부가 약제 챔버의 토출측으로부터 인출 탭을 갖는 공기 유입 덕트를 통해 공기 유입 개구 밖으로 연장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약제 챔버의 유입측으로부터 토출 덕트를 통해 토출 개구 밖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덕트 단면이 약제 챔버의 토출측에서 더 크기 때문이다. 견인이 인출 탭 상에 가해지면, 폐쇄 요소는 분말 약제가 배출되도록 약제 챔버로부터 인출되며, 흡입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인출 탭에 대한 대안으로, 약제 챔버를 폐쇄하는 폐쇄 탭을 개방하기 위해, 커버 요소는 약제 챔버에 대향하는 측으로서 내측에 하나 이상의 관통 요소를 구비한 탄성 압력 요소로 약제 챔버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압력 요소 상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폐쇄 탭을 천공할 수 있다.
필름 요소에 대한 대안으로, 약제 챔버는 2개의 플러그 요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되, 각각의 플러그 요소는 공기 유입 덕트와 토출 덕트 중 약제 챔버와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는 플러그부를 구비한다; 게다가, 플러그 요소는 각각의 경우 공기 유입 개구 및 토출 개구 밖으로 연장되는 인출 탭을 구비한다. 분말 흡입기를 흡입 준비 상태로 만들기 위해, 이 경우, 플러그부들은 인출 탭들 상의 견인에 의해 공기 유입 덕트 및 토출 덕트로부터 제거된다.
약제 챔버를 폐쇄하기 위한 추가적인 그러나 기술적으로 더 복잡한 대안에서, 측방향으로 한정된 차단 덕트가 공기 유입 덕트 및 토출 덕트에 직각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약제 챔버의 양측에서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되, 상기 차단 덕트는 결과적으로 하우징부에 증가된 안정성을 부여하고, 커버 요소의 대응하여 형성된 접힘부는 밀봉 방식으로 공기 유입 덕트 및 토출 덕트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차단 덕트 내에 수용된다. 약제 챔버를 개방하기 위해 공기 유입 덕트 및 토출 덕트를 개방하도록 차단 덕트 밖으로 이러한 접힘부들을 상승시키기 위해, 분말 흡입기는 상승 요소를 구비하는데, 이를 위해 다시 본 발명에 따라 상이한 구현예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상승 요소는 흡입기 하우징, 즉 커버 요소 상의 적어도 하나의 기결정되어 표시된 압력, 절곡, 또는 당김 지점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흡입기 하우징의 특정 지점들에서의 압력 또는 견인 또는 절곡의 인가에 의해 접힘부들이 차단 덕트들 밖으로 상승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당김 테이프가 상승 요소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당김 테이프는 커버 요소의 접힘부와 하우징부 사이의 차단 덕트를 통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공기 유입 덕트 및 토출 덕트를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당김 테이프는 양 단부에 파지부를 구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당김 테이프의 양 단부를 동시에 당겨서 접힘부들을 상승시킨다. 더 용이한 조작으로 인해 선호되는 대안으로, 당김 테이프는 일 단부에만 파지부를 구비할 수 있는 반면, 타 단부는 흡입기 하우징의 고정 구조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구조는 공기 유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 내의 공기 편향 또는 안내 구조와 동시에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플러그 요소들은 또한 약제 챔버와 인접한 덕트부들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접힘부를 상승시킨다는 점에서 상승 요소들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게는 탈응집제일 수 있는, 약제 챔버 내에 느슨하게 배치되는 구조가 접힘부를 상승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하우징부를 위한 단일-유형 플라스틱 열성형 필름 및 커버 용도를 위한 알루미늄 포일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한 바람직한 비용효율적 구현예에서 한 번 사용되도록 설계되지만, 부품들은 재활용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재활용을 위해 공급되지 않을지라도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일 수 있다.
더 높은 위생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멸균 및/또는 항균 플라스틱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적어도 공기 유입 덕트, 약제 챔버, 및 토출 덕트, 그리고 또한 마우스피스 또는 노우즈피스는 멸균 및/또는 항균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위조 방지를 위해, 플라스틱은 또한 완성된 분말 흡입기 상에서 확인될 수 있는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활성 성분이 동시에 투여되도록 의도될 때, 약제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서브챔버로 세분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약제 챔버가 하우징부 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의 경우 공기 유입 덕트 및 토출 덕트와 함께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거나 서로 직렬로 배치되고, 공기 유입 덕트는 제1 약제 챔버로 이어지고, 토출 덕트는 최종 약제 챔버로부터 연장되며, 약제 챔버들은 추가 덕트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포함된 분말의 완전한 탈응집 및 소개 그리고 또한 균일한 분산 및 그에 따른 흡입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약제 챔버들 간의 더 큰 1회 용량의 분할이 유동의 측면에서 더 유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는 단일 약제 챔버 내에 전체 용량의 분체 약제를 포함하거나, 각각의 경우 2개 이상의 서브챔버 또는 병렬 또는 직렬 약제 챔버 내에 부분 용량을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부분 용량은 사용 시 동시에 흡입된다.
서브챔버들이 하나의 필름 요소에 의해 폐쇄되거나, 여러 챔버들이 여러 필름 요소들에 의해 폐쇄되는 경우, 성형된 커버 요소는 필름 요소들을 개방하기 위해 대응하는 방식으로 관통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약제 챔버가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서브챔버들로 세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통 요소가 커버 요소에서 약제 챔버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압력 요소 상에 각각의 서브챔버를 위해 구비되고, 그에 따라 압력 요소 상의 가압 시, 각각의 서브챔버 상의 필름 요소가 천공되어, 그 안에 존재하는 분체 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여러 분말 챔버를 구비한 하우징부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관통 요소를 갖는 대응하는 개수의 압력 요소가 성형된 커버 요소 상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리하게는 단일 장치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필름 열성형, 충진, 및 밀봉을 위한 블리스터 기계이다. 방법은 먼저 플라스틱으로 하우징부를 사출성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열성형하는 단계를 제공하고, 그 결과 약제 챔버는 소정 용량의 분체 약제로 충진된다. 하우징부의 제조 및/또는 충진과 병행하여, 커버 요소는, 구현예에 따라, 넓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커버 요소의 절단 또는 펀칭과 같은 분리 방법에 의해 간단히 필름으로, 또는 사출성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열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약제 챔버가 필름 요소로 폐쇄된 후에(여기서 폐쇄 탭이 밀봉되거나 약제 챔버에 접착 결합된다), 커버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밀봉, 접착 결합, 또는 용접(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에 의해 하우징부에 부착된다. 폐쇄 탭을 인출함으로써 약제 챔버를 개방하도록 제공되는 필름 요소로 약제 챔버가 폐쇄될 때, 커버 요소가 부착되기 전에, 인출 탭으로 이어지는 테이프부가 접혀지거나 젖혀지고, 그에 따라 인출 탭은 하우징부의 개구들 중 하나의 밖으로 돌출된다. 필름 요소에 대한 대안으로, 약제 챔버는 선택적으로 또한 커버 요소 중 차단 덕트 내에 수용되는 하나의 접힘부 및/또는 2개의 플러그 요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방법은 분말 흡입기의 굉장히 비용효율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상이한 변형예들에 따라 조절하기가 더 용이하며 신속하고, 그에 따라 환자-특정 구현예 및 충진 역시 경제적으로 가능하다. 게다가, 비용효율적인 제조와 최적의 분말 배출을 결합하는 이러한 분말 흡입기는 제3 세계 국가들에서의 판매 또는 유통에도 적합하다.
추가적인 구현예들, 및 이러한 구현예들 및 또 다른 구현예들과 연관된 이점들 중 일부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그리고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대상들 또는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의 개략적인 도해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의 하우징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하우징부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약제 챔버가 필름 요소로 폐쇄된 도 1의 하우징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커버 요소로서 평탄한 (알루미늄) 포일로 폐쇄된 도 4의 하우징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비강 사용을 위해 형성된 토출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2개의 플러그 요소가 약제 챔버를 폐쇄하기 위해 구비된 하우징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커버 요소로서 평탄한 (알루미늄) 포일로 폐쇄된 도 8의 하우징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2개의 차단 덕트가 약제 챔버를 폐쇄하기 위해 구비되며, 당김 테이프가 이를 개방하기 위해 구비된, 하우징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접힘부들이 차단 덕트들 내에 수용되는, 커버 요소로서 평탄한 (알루미늄) 포일로 폐쇄된 도 10의 하우징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약제 챔버가 커버 요소 상의 견인에 의해 상승되는 차단 덕트들 내의 커버 요소의 접힘부들에 의해 폐쇄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약제 챔버가 커버 요소 상의 압력 및 절곡 요소들에 의해 상승되는 차단 덕트들 내의 커버 요소의 접힘부들에 의해 폐쇄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폐쇄 탭을 개방하기 위한 관통 요소를 갖는 압력 요소를 구비한 성형된 커버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압력 요소가 2개의 서브챔버에 걸쳐 폐쇄 탭을 개방하기 위한 2개의 관통 요소를 갖는 성형된 커버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분말 흡입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분말 흡입기들이 절단되기 전에 커버 요소들이 부착되는 4개의 형성된 하우징부들을 갖는 열성형 필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조가 간단하며 비용효율적인 분말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서로 결합되어 흡입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2개의 하우징부, 즉 성형된 하우징부 및 커버 요소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블리스터 팩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하우징부 또는 커버 요소 또는 둘 다는 투명하여, 분말 흡입기의 내부, 특히 약제 챔버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흡입기에 의해, 사용 중 내용물 또는 내용물의 완전한 소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 중 난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하우징부는 공기 유입 덕트, 약제 챔버, 및 토출 덕트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유리하게는 플라스틱 열성형 필름에 의해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또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기 유입 덕트, 약제 챔버, 및 토출 덕트를 한정하기 위해, 알루미늄 포일, 복합 필름, 또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는 약학적으로 순응성인 필름이, 하우징부에 대한 커버 요소로서, 예를 들어 밀봉, 용접, 또는 접착 결합에 의해 간단히 부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하우징부(1)의 일례를 도시한다. 여기서 열성형 필름으로 성형되는 하우징부(1)는 공기 유입 개구(12')로부터 컵형 방식으로 형성되는 약제 챔버(11)로 연장되는 반깔대기(half-funnel)형 공기 유입 덕트(12)를 구비한다. 공기 유입구의 반대편에서, 토출 덕트(13)가 약제 챔버(11)로부터 토출 개구(13')로 연장되는데, 이 경우, 토출 개구는 구강 내 쉽게 수용될 수 있도록 반타원형 단면을 갖는다.
사용 중 인입된 공기 유동이 약제 챔버(11)에 도달하기 전에 공기 유동을 선회시키기 위해 복수의 공기 안내 구조(15)가 공기 유입 덕트(12) 내에 형성된다. 선회된 분말의 탈응집을 개선하는 난류-유도 구조들(16)이 약제 챔버(11)의 기저부에 형성된다. 약제 챔버(11) 인근에서 토출 덕트(13)를 넓히는 것은 스페이서 효과를 보장하고, 여기서 깔대기형 유입구에 의해 사전에 증가된 유속이 느려질 뿐만 아니라, 연행된 분말이 균일하게 분배된다. 이러한 효과는 추가로 토출 영역에서 향상된 안정성을 하우징부(1)에 부여하는 안내 구조들(17)에 의해 뒷받침된다.
바람직하게는 열성형 필름에 의해 이루어지는, 그러나 선택적으로 또한 사출성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하우징부(1)의 제조에 이어, 약제 챔버(11)를 소정 용량의 분말(및 선택적으로 또한 느슨한 탈응집제)로 충진하고(미도시), 이어서 폐쇄한다.
약제 챔버(11)는 상이한 방식들로 폐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필름 요소(3)가 약제 챔버(11)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필름 요소(3)는 약제 챔버(11)를 폐쇄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폐쇄 탭(30)을 구비한다. 이 폐쇄 탭(30)으로부터, 테이프부(31)가 인출 탭(32)으로 연장되고, 인출 탭은 여기서 견고한 파지를 위해 파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테이프부(31)는 폐쇄 탭(30) 상에서 접히고, 그에 따라 인출 탭(32)은 접힌 단부의 반대편에서 하우징부(1) 밖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예에서, 테이프부(31)는 폐쇄 탭(30)의 유입측에서 편향되며, 인출 탭(32)과 함께, 토출 개구(13') 밖으로 돌출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필름 요소(3)가 또한 반대로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출 탭(32)이 유입 개구(12')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약제 챔버(11)에서의 토출 덕트(13)의 단면이 바람직하게는 유입 덕트(12)의 단면보다 더 크기 때문에, 토출 덕트(13)는 폐쇄 탭(30)을 인출하기에 적합하다. 폐쇄 탭(30)은 약제 챔버(11)의 둘러싼 견부 또는 벽부에 밀봉되거나, 용접되거나, 접착 결합될 수 있고, 여기서 연결은 누출 방지 방식으로 그러나 또한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그에 따라 폐쇄 탭(30)은 찢김 없이 인출 탭(32) 상의 견인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바람직한 변형예를 나타내는데, 이는 블리스터-타입 구조로 인해 단일 기계에서 굉장히 간단하며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가 구강 내에 수용되도록 성형되는 토출구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예로서 도시한다. (가공의) 토출 개구(13'; 파선으로 도시됨)는 비강 사용을 위해 형성되는 토출 부품(14)과 인접할 수 있고, 토출 부품은 하우징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될 수 있거나, 토출 개구(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약제 챔버(11)는 커버 요소(2)가 공기 유입 덕트(12), 약제 챔버(11), 및 토출 덕트(13)를 덮기 전에 2개의 플러그 요소(4)에 의해 폐쇄된다. 각각의 플러그 요소(4)는 플러그부(40)를 구비하고, 이로부터 테이프부(41)가 인출 탭(42)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플러그 요소(4)의 플러그부(40)는 공기 유입 덕트(12)와 토출 덕트(13) 중 약제 챔버(11)와 인접한 부분(120, 130)에 배치되고, 이 부분(120, 130)을 폐쇄하도록 치수 및 형상이 정해진다. 플러그부들(40)의 재료는 누설 방지 폐쇄를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되지만, 이는 인출 탭들(42) 상의 견인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 또는 밀봉 수단이 플러그부(40)와 덕트부(120, 130) 사이에 도입될 수 있고, 상기 접착 또는 밀봉 수단은 인출 탭들(42)의 견인 시 플러그부들(40)의 비파괴적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약제 챔버의 폐쇄를 위한 다른 대안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공기 유입 덕트(12)와 토출 덕트(13) 중 약제 챔버(11)와 인접한 부분들(120, 130)에서, 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덕트(18)가 형성되는 하우징부(1)를 나타낸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커버 요소(2)는, 이 차단 덕트들(18)에 대응하는 지점들에서, 차단 덕트들(18)을 충진하고, 그에 따라 공기 유입 덕트(12)와 토출 덕트(13)의 부분들(120, 130)을 차단하여, 약제 챔버(11)를 폐쇄하는 일체형 접힘부들(2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폐쇄되는 약제 챔버(11)를 개방하고, 공기 유입 덕트(12)와 토출 덕트(13)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접힘부들(21)이 차단 덕트들(18) 밖으로 상승되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변형예들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당김 테이프(5)가 구비되는데, 그 테이프부(51)는 토출 덕트(13)로부터 차단 덕트들(18) 및 약제 챔버(11)를 통해 횡방향으로 공기 유입 덕트(12)로 연장된다. 당김 테이프(5)는 일 단부(50)에 의해 토출 덕트(13) 내의 고정 구조(17')에 체결되되, 상기 고정 구조(17')는 동시에 공기 안내 구조의 역할을 한다. 당김 테이프(5)의 타 단부에서, 탭(52)이 공기 유입 덕트(12) 밖으로 돌출된다. 테이프부(51)는 커버 요소(2)가 배치될 때 접힘부들(21)과 함께 차단 덕트들(18)에 밀어 넣어진다. 공기 유입 덕트(12)와 토출 덕트(13)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견인이 탭(52)에서 고정 구조(17') 상에 유지되는 테이프부(51) 상에 가해지고, 그에 따라 테이프부(51)는 접힘부들(21)을 차단 덕트들(18) 밖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도시된 것 외에도, 이와 같은 당김 테이프는 또한 2개의 탭과 함께 비고정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접힘부들(21)을 상승시키고 공기 유입 덕트(12)와 토출 덕트(13)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2개의 탭을 당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요소(2) 상에 견인력(Z)을 인가하여, 이중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힘부들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또한, 특정 지점들에서 커버 요소(2) 상에 압력(D)을 인가하여, 이를 위해 구비된 지점들(K)에서 하우징을 절곡시키고/절곡시키거나 접힘부들을 상승시킬 수 있다.
공기 유입 덕트(12)와 토출 덕트(13)를 통해 유동 덕트를 깨끗이 하고 약제 챔버(11)를 개방할 다른 가능성은 접힘부들을 상승시키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플러그 요소들을 탈착시키는 데에 있다. 게다가, 약제 챔버 내에 느슨하게 배치되며 그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또한 사용 중 탈응집제 역할을 하는 바람직하게는 구형 구조가, 상승에 의해, 차단 덕트들 내의 접힘부들을 상승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들과 상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공기-난류-유도 편향 및 안내 구조들(15, 16, 17, 17')의, 도면에 도시된 개수 및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역학, 저항, 및/또는 탈응집을 개선하기 위해 공기 유입 덕트(12), 약제 챔버(11), 및 토출(13) 내에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의 내벽의 구조들은 강내 유동 요소들로서 도시된 형상과는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케인, 블레이드, 헬리컬, 나선형, 또는 사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약제 챔버를 통한 유동 프로파일은 약제 챔버의 유입구와 토출구에서의 크기, 형상, 및 모서리 설계(날카롭거나 경사지거나 둥근 모서리)와 관련하여 보어 프로파일 내의 변경에 의해 저항, 통류, 및 분말에 따라 공기역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이한 인자들이 분말 흡입기, 특히 약제 챔버를 통한 속도 및 코스의 측면에서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되, 이 인자들은 공기 유동의 분산 및 탈응집과 소개의 완전성에 영향을 미치고(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의 좁은 단면 프로파일 및 토출구의 넓은 단면), 여기서 유동 덕트는 바람직하게는 약제 챔버의 토출측보다 유입측에서 더 좁다.
도 14 및 도 15는 약제 챔버(11)를 구비한 하우징부(1)뿐만 아니라 커버 요소(2)도 성형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들을 도시한다. 이 구현예에서는, 하우징부(1)와 커버 요소(2) 중 공기 유입 덕트(12)와 토출 덕트(13)를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부분들이, 형성된 공기-난류-유도 편향 및 안내 구조들(15, 17) 및 개방각의 측면 모두에서 서로 대응한다. 커버 요소(2)는 유입 덕트(12)와 토출 덕트(1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만 하우징부(1)와 상이하다: 약제 챔버(11) 대신에, 커버 요소(2)는 탄성 압력 요소(22)로 형성되는 영역을 가지는데, 이는 도 14에서 약제 챔버(11)의 방향으로 내부를 향하는 중앙 관통 요소(23), 및 도 15에서 격벽(11b)에 의해 약제 챔버(11) 내에 형성되는 2개의 서브챔버(11a)의 반대편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관통 요소(23)를 구비한다.
압력 요소(22)는 이 지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동심 원형벽 구조들에 의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내향 일체형 관통 요소(23)는 압력의 인가에 의해 약제 챔버(11)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폐쇄 탭(30)을 관통할 수 있고, 압력이 해제되면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관통 요소는 하나 이상의 니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피라미드형 스파이크와 같은 각진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개방을 위해, 압력이 양측에 인가되는 경우(즉, 압력 요소(22) 상의 압력과 약제 챔버(11) 상의 역압),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로 구성될 수 있는 폐쇄 탭(30)은 약제 챔버(11) 상의 역압에 의해 장력 하에 놓이며 관통 요소(23)에 굴복할 수 없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강제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의 하우징부 및 커버부는 열에 의해 함께 용접될 수 있지만, 접착 결합, 클램핑 연결(하나의 하우징부의 외주가 다른 하우징부의 외주 주위에서 절곡된다), 래칭 연결, 또는 스티칭 연결이 또한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1회 사용을 위해 제공되고, 그에 따라 흡입기 하우징은 약제 챔버가 개방되고 소정 용량의 분말이 흡입된 후에 다시 사용될 수 없는데, 이는 또한 오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양호한 재활용성 또는 생분해성 외에도,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단점으로 여겨지는 포장 폐기물의 증가된 부피는, 그러나, 다회용량 흡입기의 감소된 사용에 의해 또한 넓은 시각으로 보게 되는데, 이의 처리는 분체 약제의 잔류량이 대개 그 안에 포함되기 때문에 더 복잡하다.
본 발명에 따른 1회-사용 분말 흡입기는 다양한 징후에 대해, 예를 들어 편두통, 통증, 면역 조절제, 생물 약제, 또는 CNS 물질의 투여의 경우, 예를 들어 몇 회 사용만이 필요할 때 또는 요구 시에만 경제적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위생적이며, 오용으로 인한 훼손 또는 높은 공기 습도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대부분 배제한다.
비용효율적인 제조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또한 제3 세계 및 위기 영역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환자-특정 약제 팩이 경제적으로 정당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분체 약제(또는 복수의 약제)의 조성 및 투여는 각각의 환자에 맞춤한 특정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에 충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소정 용량의 분말이 존재하는 단일 약제 챔버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약제 챔버(11)는 이 경우 하우징부(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11b)에 의해 2개의 서브챔버(11a)로 세분되고, 그에 따라 서로 따로 보관될 필요가 있는 2개의 상이한 분체 물질 또는 약제는 폐쇄 탭이 개방된 후에만 흡입 시 합쳐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약제 챔버가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고, 이들은 공기 유입구와 토출구 사이의 유동 덕트 내에 병렬 또는 직렬로 배치된다. 여기서, 병렬은,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 덕트가 (공통 공기 유입 개구 또는 별개의 공기 유입 개구들로부터) 각각의 약제 챔버로 이어지고,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토출 덕트가 각각의 약제 챔버 밖으로부터 마우스피스 또는 노우즈 노즐로 형성되는 토출구 내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약제 챔버들이 직렬로 배치될 때, 공기 유입 덕트는 제1 약제 챔버까지 연장되고, 거기서부터, 다른 덕트가 다음 약제 챔버까지 연장되고, 토출 덕트는 최종 약제 챔버로부터 토출 개구로 연장된다. 각각의 약제 챔버에는 소정 용량의 분말이 있을 수 있고, 여기서 이들은 사용 중에만 서로 접촉하는 상이한 활성제들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분말 흡입기는 원칙적으로 소정 용량의 분말을 둘 이상 포함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복수의 소정 용량의 분말이 1회 사용 시 결합된 방식으로 흡입된 후에 분말 흡입기가 더 이상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분말 흡입기는 본 발명에 따르면 "1회-용량" 분말 흡입기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회용 물품으로 설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분말 흡입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멸균 또는 살균 및/또는 항균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공기 유입 덕트, 약제 챔버, 및 공기 토출 덕트는 흡입 장치가 사용될 때 세균이 흡입되지 않도록 코팅될 수 있다. 그러나, 더 용이한 적용으로 인해, 전체 흡입 장치가 코팅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은 코팅의 일례로 Rilit(Endingen)의 Perlazidㄾ가 있다. 대안적으로, 멸균 또는 살균 및/또는 항균 플라스틱이 흡입 장치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또한 예를 들어 외부 포장재에 담겨 시중에 판매될 수 있고, 이는 분말 흡입기가 깨끗하거나 살균되어 즉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보장한다. 대안적으로, 커버 요소가 양 단부에 중첩부를 가지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토출구(선택적으로 또한 공기 유입구)가 요거트 컵 뚜껑의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후, 중첩부는 예를 들어 형성된 탭에 의해 개구(들)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필름이 이후 또한 하우징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결정된 파괴점, 예를 들어 천공부가 중첩부의 연결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식별성을 위해 표지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표지를 포함하지 않는 위조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6은 각각 유입 및 토출 덕트(12, 13)와 약제 챔버(11)를 구비한 4개의 하우징부(1)가 형성되는 플라스틱 열성형 필름(10)을 나타낸다. 더 명확함을 위해, 하우징부들의 모든 요소들에 참조 번호가 부여되지는 않는다. 하우징부들(1)의 약제 챔버들(11)은 필름 요소(3)의 폐쇄 탭(30)으로 충진되어 폐쇄된다. 게다가, 넓은 커버 요소(2)가 각각의 하우징부(1)에 부착되되, 상기 커버 요소(2)는 약제 챔버(11)의 반대편에 관통 요소(23)를 갖는 압력 요소(22)를 구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분말 흡입기들을 완성하기 위해, 이제 필요한 모든 것은 대응하는 충진된 블리스터 구조들을 분리하는 것이다.
종래의 분말 흡입기와 달리, 그에 따라 소정 용량의 분말이 분말의 흡입 전에 흡입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야 하는 캡슐 또는 블리스터 내에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는 말하자면 흡입될 분말을 포함하는 블리스터 자체에 의해 형성된다. 그에 따라, 분말-포함 캡슐을 흡입기 하우징에 삽입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입기를 위한 예시적인 제조 장치(100)의 모듈들을 요약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제조 장치들을 마찬가지로 고려할 수 있다. 제1 모듈(M1)에서는, 하우징부(1)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예시적인 방법 변형예에서, 연속 공정을 위해, 예열 및 성형 스테이션으로의 전방 이송 전에, 열성형 필름을 압연 제품으로부터 스플라이싱하여 무한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반연속 또는 불연속 공정을 또한 고려할 수 있고, 여기서 예를 들어 스플라이싱을 생략할 수 있다. 제2 모듈(M2)은 형성된 약제 챔버들이 기결정된 유형 또는 혼합 및 양의 분말로 충진되는 충진 스테이션이다. 적절한 경우, 특정 환자에 따라 맞춤화된 분말 조성 및 용량을 충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3 모듈(M3)에서는, 약제 챔버들이 폐쇄 필름에 의해 밀봉되거나(또는 플러그 요소들로 폐쇄되고), 커버 요소들이 연속 공정으로 부착된다. 성형된 커버 요소들의 경우, 이들은 마찬가지로 예열 전에 제1 모듈에서 하우징부들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열성형 필름으로 성형되며, 하우징부들을 구비한 열성형 필름 상에 배치되고, 밀봉될 수 있다. 최종 모듈(M4)에서는, 열성형 필름으로 이루어진 분말 흡입기들이 분리되고, 바람직하게는 펀칭되고, 완성된 블리스터로서 배출되기 전에, 추가 밀봉 스테이션이 이어질 수 있다.

Claims (14)

  1. 하우징부(1) 및 소정 용량의 분체 약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 챔버(11)를 구비한 흡입기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흡입기 하우징은 토출 개구(13'), 및 상기 약제 챔버(11)로부터 상기 토출 개구(13')로 연장되고 하우징부(1)에 형성되는 토출 덕트(13)를 구비하고, 공기-안내 난류-유도 및/또는 편향 구조들(17)이 상기 토출 덕트(13) 내에 형성되고,
    - 상기 약제 챔버(11) 중 상기 토출 개구(13')로부터 멀리 있는 측의 공기 유입 개구(12'), 및
    - 상기 공기 유입 개구(12')로부터 상기 약제 챔버(11)로 연장되는 공기 유입 덕트(12)가 상기 하우징부(1) 내에 형성되되, 상기 토출 덕트(13), 상기 약제 챔버(11), 및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는 하나의 축을 정의하는 것인 1회-용량 분말 흡입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 하우징은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부분은 하우징부(1), 및 상기 하우징부(1)와 함께 결합되어 흡입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커버 요소(2)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 챔버(11)가 상기 하우징부(1)에 형성되고,
    공기-안내, 난류-유도 및/또는 편향 구조들(15, 16)이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 및 상기 약제 챔버(11) 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는 상기 토출 덕트(13), 상기 약제 챔버(11), 및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축에 수직인 두 방향으로 상기 공기 유입 개구(12')에서 상기 약제 챔버(11)까지 좁아지며, 상기 토출 덕트(13)는 상기 토출 덕트(13), 상기 약제 챔버(11), 및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축에 수직인 두 방향으로 상기 약제 챔버(11)로부터 상기 토출 개구(13')의 방향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는 사출성형 플라스틱부이거나, 플라스틱 필름으로 열성형되고,
    상기 커버 요소(2)는
    - 넓고 평탄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 상기 약제 챔버(11), 및 상기 토출 덕트(13)를 한정하거나,
    - 적어도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 및 상기 토출 덕트(13)의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부(1)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포일, 또는 복합 필름으로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하우징부(1) 및/또는 커버 요소(2)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개구(13')는 마우스 파이프로서 형성되거나 노우즈 노즐(14)에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약제 챔버(11)에서의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의 단면은 상기 약제 챔버(11)에서의 상기 토출 덕트(13)의 단면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탈응집제가 상기 약제 챔버(11)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5. 제1항에 있어서,
    폐쇄 탭(30)을 갖는 필름 요소(3)가 상기 약제 챔버(11)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요소(3)는, 상기 폐쇄 탭(30)에서 시작하여, 상기 약제 챔버(11)의 일측으로부터 반대편 공기 유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12, 13)를 통해 상기 공기 유입 개구 또는 토출 개구(12', 13') 밖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 탭(32)을 구비하거나, 상기 커버 요소(2)는 압력이 압력 요소(22) 상에 인가될 때 상기 폐쇄 탭(30)을 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요소(23)를 구비한 탄성 압력 요소(22)로 상기 약제 챔버(1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챔버(11)는 2개의 플러그 요소(4)에 의해 폐쇄되되, 각각의 플러그 요소(4)는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와 상기 토출 덕트(13) 중 상기 약제 챔버(11)와 인접한 부분(120, 130)에 배치되는 플러그부(40), 및 각각 상기 공기 유입 개구(12') 및 상기 토출 개구(13') 밖으로 연장되는 인출 탭(42)을 구비하거나,
    차단 덕트(18)가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 및 상기 토출 덕트(13)에 직각으로 상기 약제 챔버(11)의 양측에서 상기 하우징부(1) 내에 형성되되, 상기 커버 요소(2)의 대응하여 형성된 접힘부(21)가 밀봉 방식으로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 및 상기 토출 덕트(13)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차단 덕트(18) 내에 수용되고, 상기 1회-용량 분말 흡입기는 상기 접힘부(21)를 상기 차단 덕트(18) 밖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상승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요소는,
    상기 흡입기 하우징 상의 적어도 하나의 기결정되어 표시된 압력, 절곡, 또는 당김 지점(D, Z)이거나,
    상기 접힘부(21)와 상기 하우징부(1) 사이의 상기 차단 덕트(18)를 통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 및/또는 상기 토출 덕트(13)를 통해 연장되는 당김 테이프(5)로, 양 단부에 파지부(52)를 구비하거나 일 단부에 파지부(52)를 구비하며 타 단부(50)에서 상기 흡입기 하우징의 고정 구조(17')에 고정되는 당김 테이프(5)이거나,
    상기 플러그 요소들(4)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약제 챔버 내에 배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생분해성인, 및/또는
    식별성을 위한 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멸균 및/또는 항균 플라스틱이거나,
    적어도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 상기 약제 챔버(11), 및 상기 토출 덕트(13)는 멸균 및/또는 항균 코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챔버(11)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1b)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서브챔버(11a)로 세분되거나,
    2개 이상의 약제 챔버(11)가 상기 하우징부(1) 내에 형성되어, 각각의 경우 공기 유입 덕트(12) 및 토출 덕트(13)와 함께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거나 서로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 덕트(12)는 제1 약제 챔버(11)로 이어지고, 상기 토출 덕트(13)는 최종 약제 챔버(1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약제 챔버들(11)은 추가 덕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커버 요소(2)에서,
    상기 하우징부(1) 내에 형성되는 각각의 서브 챔버(11a)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요소(23)가 각각의 경우 상기 압력 요소(22) 상에 구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관통 요소(23)를 갖는 탄력 압력 요소(22)가 각각의 경우 상기 하우징부(1) 내에 형성되는 각각의 약제 챔버(11)를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는 단일-유형 플라스틱 필름으로 열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량 분말 흡입기.
  14. 제2항에 따른 1회-용량 분말 흡입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하우징부(1)를 제조하는 단계;
    소정 용량의 분체 약제로 약제 챔버(11)를 충진하는 단계;
    커버 요소(2) 중 차단 덕트(18) 내에 수용되는 하나의 접힘부(21) 및/또는 2개의 플러그 요소(4)에 의해 필름 요소(3)로 상기 약제 챔버(11)를 폐쇄하는 단계;
    넓고 평탄한 커버 요소(2)를 절단하거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또는 플라스틱 필름의 열성형에 의해 성형된 커버 요소(2)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 요소(2)를 상기 하우징부(1)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단일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KR1020207025158A 2014-11-26 2015-07-29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5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7409.3 2014-11-26
DE102014017409.3A DE102014017409B4 (de) 2014-11-26 2014-11-26 Einzeldosis-Pulverinhalat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CT/EP2015/001558 WO2016082900A1 (de) 2014-11-26 2015-07-29 Einzeldosis-pulverinhalat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20177017242A KR20170092591A (ko) 2014-11-26 2015-07-29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242A Division KR20170092591A (ko) 2014-11-26 2015-07-29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732A true KR20200105732A (ko) 2020-09-08
KR102275317B1 KR102275317B1 (ko) 2021-07-12

Family

ID=542514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158A KR102275317B1 (ko) 2014-11-26 2015-07-29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77017242A KR20170092591A (ko) 2014-11-26 2015-07-29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242A KR20170092591A (ko) 2014-11-26 2015-07-29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1) US11110233B2 (ko)
EP (1) EP3223890B1 (ko)
JP (2) JP2018500076A (ko)
KR (2) KR102275317B1 (ko)
CN (1) CN107106795B (ko)
AU (1) AU2015353091C1 (ko)
BR (1) BR112017011064B1 (ko)
CA (1) CA2969030C (ko)
DE (1) DE102014017409B4 (ko)
DK (1) DK3223890T3 (ko)
ES (1) ES2714284T3 (ko)
HK (1) HK1243018A1 (ko)
HR (1) HRP20190397T1 (ko)
HU (1) HUE043730T2 (ko)
IL (1) IL252343B (ko)
LT (1) LT3223890T (ko)
MA (1) MA40374B1 (ko)
MX (1) MX2017006844A (ko)
MY (1) MY181131A (ko)
PH (1) PH12017500929A1 (ko)
PL (1) PL3223890T3 (ko)
PT (1) PT3223890T (ko)
RS (1) RS58391B1 (ko)
RU (1) RU2679083C2 (ko)
SG (1) SG11201704152YA (ko)
SI (1) SI3223890T1 (ko)
TN (1) TN2017000210A1 (ko)
TR (1) TR201902942T4 (ko)
WO (1) WO2016082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881A2 (en) 2011-09-07 2013-03-14 Syphase, Llc Dry powder inhalation device
US11207478B2 (en) 2016-03-25 2021-12-28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production assembly including surface with micro-pattern
CN110494181B (zh) 2017-03-28 2022-03-18 康森特里克斯药物公司 用于输送干粉药物的装置和方法
EA201992119A1 (ru) * 2017-04-06 2020-03-27 Милан Инк. Недорогой ингалятор порошка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11297876B2 (en) * 2017-05-17 2022-04-12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US11690964B2 (en) 2017-05-31 2023-07-04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ry powder therapies
DE102017006763A1 (de) 2017-07-18 2019-01-24 Klaus Dieter Beller Einzeldosis-Pulverinhalator
US11607509B2 (en) * 2017-09-19 2023-03-21 Iconovo Ab Dry powder inhaler comprising a casing with a first casing portion and a second casing portion
WO2022013088A1 (en) * 2020-07-14 2022-01-20 Stamford Devices Limited A vaccine administr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22043336A1 (en) 2020-08-25 2022-03-03 Vectura Delivery Devices Limited Unit dose dry powder inhaler
CA3214327A1 (en) * 2021-05-07 2022-11-10 Andreas Meliniotis Unit dose dry powder inha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2510A1 (en) * 2002-12-18 2005-11-17 Quadrant Technologies Limited Unit dose dry powder inhaler
US20080142009A1 (en) * 2006-09-28 2008-06-19 Silvio Carrico Inhalation device
US20100313886A1 (en) * 2007-08-01 2010-12-16 Herbert Wachtel Inhaler
JP2014500779A (ja) * 2010-12-07 2014-01-16 レスピラ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乾燥粉末吸入器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YU41046B (en) 1974-08-22 1986-10-31 Schering Ag Medicine inholating device
US5239991A (en) * 1989-06-21 1993-08-31 Fisons Plc Disposable powder medicament inhalation device with peel-off cover
SE9002895D0 (sv) * 1990-09-12 1990-09-12 Astra Ab Inhalation devices for dispensing powders i
GB9026025D0 (en) * 1990-11-29 1991-01-16 Boehringer Ingelheim Kg Inhalation device
EP0558879B1 (en) * 1992-03-04 1997-05-14 Astra Aktiebolag Disposable inhaler
SE9502799D0 (sv) * 1995-08-10 1995-08-10 Astra Ab Device in inhalers
SE9502800D0 (sv) * 1995-08-10 1995-08-10 Astra Ab Disposable inhaler
SE9700421D0 (sv) * 1997-02-07 1997-02-07 Astra Ab Single dose inhaler I
SE9700423D0 (sv) * 1997-02-07 1997-02-07 Astra Ab Disposable inhaler
SE9700422D0 (sv) * 1997-02-07 1997-02-07 Astra Ab Single dose inhaler II
US6397838B1 (en) * 1998-12-23 2002-06-04 Battelle Pulmonary Therapeutics, Inc. Pulmonary aerosol delivery device and method
WO2002013897A2 (en) * 2000-08-14 2002-02-21 Advanced Inhalation Research, Inc. Inhalation device and method
US6722364B2 (en) * 2001-01-12 2004-04-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ment inhalation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DE60235164D1 (de) * 2001-05-22 2010-03-11 Uni Charm Corp Interlabial-polster mit lasche
EP1488819A1 (en) * 2003-06-16 2004-12-22 Rijksuniversiteit te Groningen Dry powder inhaler and method for pulmonary inhalation of dry powder
US20050263153A1 (en) * 2004-05-28 2005-12-01 Quadrant Technologies Limited Unit dose dry powder inhaler
IL175664A0 (en) * 2006-05-16 2006-09-05 Aespira Ltd Dry-powder inhaler
GB0520794D0 (en) 2005-10-12 2005-11-23 Innovata Biomed Ltd Inhaler
DE102006016903A1 (de) * 2006-04-11 2007-10-2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Inhalator
US7903371B2 (en) * 2006-07-21 2011-03-08 Tdk Corporation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head and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head having a magnetic shield layer with a thick edge portion
WO2008056370A2 (en) * 2006-11-19 2008-05-15 Aespira Ltd. Dry-powder inhaler
US20090056716A1 (en) * 2007-09-04 2009-03-05 Atlantic Research Group Llc Cool air inhaler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same
WO2009046072A1 (en) * 2007-10-02 2009-04-09 Baxter International Inc Dry powder inhaler
EP2224984A4 (en) * 2007-12-20 2013-10-30 Astrazeneca Ab DISPENSER AND METHOD FOR DRIVING POWDER IN AIR FLOW 537
DK2570147T3 (da) * 2008-06-13 2018-01-29 Mannkind Corp Tørpulverinhalator og system til lægemiddelindgivelse
FR2933619B1 (fr) * 2008-07-11 2012-03-30 Valois Sas Dispositif d'inhalation de poudre
US8551545B2 (en) * 2008-11-18 2013-10-08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Food package for segregating ingredients of a multi-component food product
CN201692450U (zh) * 2010-06-22 2011-01-05 于清 用于药物输送的高效干粉吸入器
FR2962345B1 (fr) * 2010-07-09 2013-06-21 Valois Sas Inhalateur unidose de poudre seche pour blister pelable.
TR201109804A2 (tr) 2010-10-07 2012-05-21 Bi̇lgi̇ç Mahmut Tek dozlu inhalasyon cihazı.
DE202011101012U1 (de) * 2011-05-20 2012-05-21 Hans Haindl Inhalationsgerät
WO2013036881A2 (en) * 2011-09-07 2013-03-14 Syphase, Llc Dry powder inhalation device
US8985118B2 (en) * 2011-12-01 2015-03-24 Alred E. Mann Institute for Biomedical Engineering at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Retention device
US9649454B2 (en) * 2012-05-03 2017-05-16 Manta Devices, Llc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s
PL2712643T3 (pl) * 2012-09-26 2018-08-3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ator
US9447987B1 (en) * 2013-05-01 2016-09-20 Preco, Inc. Variable air access films
RU2533727C1 (ru) 2013-06-11 2014-11-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Фабрика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 Ингалято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2510A1 (en) * 2002-12-18 2005-11-17 Quadrant Technologies Limited Unit dose dry powder inhaler
US20080142009A1 (en) * 2006-09-28 2008-06-19 Silvio Carrico Inhalation device
US20100313886A1 (en) * 2007-08-01 2010-12-16 Herbert Wachtel Inhaler
JP2014500779A (ja) * 2010-12-07 2014-01-16 レスピラ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乾燥粉末吸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53091C1 (en) 2021-01-07
DE102014017409A1 (de) 2016-06-02
US20170312458A1 (en) 2017-11-02
MX2017006844A (es) 2018-01-23
PH12017500929A1 (en) 2017-11-20
ES2714284T3 (es) 2019-05-28
EP3223890B1 (de) 2018-12-05
KR102275317B1 (ko) 2021-07-12
AU2015353091B2 (en) 2020-04-30
TR201902942T4 (tr) 2019-03-21
BR112017011064B1 (pt) 2021-11-03
RS58391B1 (sr) 2019-04-30
CA2969030C (en) 2020-02-18
DK3223890T3 (en) 2019-03-25
LT3223890T (lt) 2019-03-25
JP7113410B2 (ja) 2022-08-05
US11110233B2 (en) 2021-09-07
WO2016082900A1 (de) 2016-06-02
KR20170092591A (ko) 2017-08-11
CA2969030A1 (en) 2016-06-02
DE102014017409B4 (de) 2016-06-09
MA40374A1 (fr) 2018-05-31
CN107106795B (zh) 2020-08-11
MY181131A (en) 2020-12-18
RU2017120384A3 (ko) 2018-12-26
HK1243018A1 (zh) 2018-07-06
PT3223890T (pt) 2019-03-19
HRP20190397T1 (hr) 2019-04-19
AU2015353091A1 (en) 2017-06-08
HUE043730T2 (hu) 2019-09-30
MA40374B1 (fr) 2018-12-31
BR112017011064A2 (pt) 2018-02-27
JP2018500076A (ja) 2018-01-11
IL252343A0 (en) 2017-07-31
RU2017120384A (ru) 2018-12-26
SG11201704152YA (en) 2017-06-29
PL3223890T3 (pl) 2019-05-31
JP2020127837A (ja) 2020-08-27
IL252343B (en) 2019-08-29
RU2679083C2 (ru) 2019-02-05
TN2017000210A1 (en) 2018-10-19
EP3223890A1 (de) 2017-10-04
CN107106795A (zh) 2017-08-29
SI3223890T1 (sl)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317B1 (ko) 1회-용량 분말 흡입기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8500076A5 (ko)
US6666359B2 (en) Controlled-dose dispenser with integral nozzle and cap
AU2007246858B2 (en) Dry powder inhalation device for the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more than one medicament
CN101952180B (zh) 包装袋
TR201807942T4 (tr) İnhalatör.
US20160144140A1 (en) Disposable-inhaler for substances in powder form
AU2018303130B2 (en) Single-dose powder-medication inhaler
JP5394440B2 (ja) 吸入器
US20040149774A1 (en) Liquid disposable plastic container
IT201800009586A1 (it) Capsula monouso per la generazione di un aerosol
JP5931280B2 (ja) 分包体、分包体の製造方法および分包体の製造装置
WO2011071845A1 (en) Powder delivery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160557B1 (en) A powder inhaler device
JP5992151B2 (ja) 吸引式投薬器
JP2011079543A (ja) 小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