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469A -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469A
KR20200105469A KR1020200109704A KR20200109704A KR20200105469A KR 20200105469 A KR20200105469 A KR 20200105469A KR 1020200109704 A KR1020200109704 A KR 1020200109704A KR 20200109704 A KR20200109704 A KR 20200109704A KR 20200105469 A KR20200105469 A KR 20200105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mposition
pruritus
par2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완
서요한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9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5469A/ko
Publication of KR20200105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푸니칼라진,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PAR2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PAR2 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칼슘(Ca2+)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바, 소양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유래 천연 화합물로서 부작용과 독성이 적은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PRURITUS, CONTAINING PUNICALAGIN}
본 발명은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푸니칼라진,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소양증(가려움증, pruritus)은 습진, 피부염, 두드러기 및 유사 질환에서 나타나는 긁고 싶은 심정을 증가시켜 심한 고통을 동반하는 피부질환 증상이다. 소양증은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여드름, 지루성 피부염, 두드러기 및 건선 등에 의해서 유발된 가려움증을 모두 포함한다. 피부질환에서 발생하는 심한 소양증은 수면장애, 정서적 불안정, 과민한 스트레스반응 등 이차적인 악화요인과 함께 환자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소양증에 의해 피부를 긁는 행동 등은 질환 자체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환자와 주변인에게 상당한 수준의 사회심리적 고통을 유발한다. 최근 환경오염 및 고령화로 소양증 유병률 및 치료제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새로운 소양증 치료제 개발의 약물표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PAR2 (protease-activated receptor 2) 수용체는 소양증과 관련된 신경세포, 면역세포, 피부세포 등에 발현하며, 피부염에서 PAR2 활성은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특히 PAR2 수용체는 히스타민 비의존적 가려움증 유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존의 치료제에 PAR2 수용체 길항제(antagonist)를 추가하면 다양한 피부염에 의한 소양증을 기존의 치료제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PAR2길항제는 염증세포 및 염증 관련 세포에 작용하여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소양증 완화를 통한 피부염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피부염 치료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고 기존 치료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신약개발을 위하여 PAR2 수용체 길항제를 개발하였으며, 새로운 PAR2 수용체 특이적 길항제인 푸니칼라진(punicalagin)이 농도 의존적으로 PAR2 수용체 억제를 통해 생쥐 모델에서 소양증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푸니칼라진(Punicalagin)은 석류(Punica granatum), 뱅골아몬드(Terminalia catappa), 동부 인도 아몬드(Terminalia myriocarpa) 및 남아프리카의 벨벳 부시윌로우(Combretum molle)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물이다. 현재까지 푸니칼라진의 작용기전에 대해서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PAR2 수용체 억제 기전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천연물 유래 물질로부터 PAR2 수용체를 억제하여 피부염 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소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푸니칼라진이 PAR2 수용체를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세포 실험 및 동물실험에서 푸니칼라진이 PAR2 수용체 억제 기전을 통해 소양증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푸니칼라진(Punicalagin),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푸니칼라진(Punicalagin),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PAR2 활성에 의한 칼슘(Ca2 +)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소양증은 PAR2 활성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니칼라진,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푸니칼라진,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PAR2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PAR2 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칼슘(Ca2 +)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바, 소양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유래 천연 화합물로서 부작용과 독성이 적은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푸니칼린(B) 또는 푸니칼라진(C)이 HaCaT 세포에서 트립신(trypsin)에 의한 세포 내 칼슘 농도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PAR2 활성에 의해 소양증이 유도된 C57BL6N마우스에서 푸니칼라진이 소양증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소양증 억제 천연물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 화합물 은행에서 제공한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검색하고, 분자생리 실험을 수행하여 푸니칼린(Punicalin)이 PAR2 수용체를 억제함을 발견하였으나, 푸니칼린의 세포내 칼슘 증가 억제 효력이 비교적 약하다는 것을 알고 보다 우수한 천연물 화합물을 발굴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푸니칼린의 유사체 화합물인 푸니칼라진이 PAR2 활성을 특이적으로 강력하게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AR2-AP를 피부내 주사하여 가려움증이 유도된 C57BL6마우스에서 푸니칼라진이 소양증 증상을 완화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푸니칼라진(Punicalagin),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Figure pat00001
구체적으로, 상기 푸니칼라진은 주로 석류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구조식은 C48H28O30, 분자량은 1084.71 g/mol이고, CAS 번호는 65995-63-3, IUPAC 이름은 1,2,3,11,12,13-Hexahydroxy-5,10-dioxo-8-[3,4,5,11,17,18,19,22,23,34,35-undecahydroxy-8,14,26,31-tetraoxo-9,13,25,32-tetraoxaheptacyclo[25.8.0.02,7.015,20.021,30.024,29.028,33]pentatriaconta- 1(35),2,4,6,15,17,19,21,23,27,29,33-dodecaen-10-yl]-5,7,8,10-tetrahydrodibenzo[f,h][1,4]dioxecin-7-carbaldehyd이다.
본 발명의 푸니칼라진은 상기 푸니칼라진과 동일한 효능을 갖는 범위 내에서 푸니칼라진 수화물, 푸니칼라진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용매 화합물이나 입체 이성질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니칼라진의 수득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푸니칼라진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로부터 분리하거나, 공지된 제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염”은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상기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소양증(가려움증, pruritus)"이란, 습진, 피부염, 두드러기 및 유사 질환에서 나타나는 긁고 싶은 심정을 증가시켜 심한 고통을 동반하는 피부질환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여드름, 지루성 피부염, 두드러기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에 의해서 유발된 가려움증을 모두 포함하며, PAR2 활성에 의해 발병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PAR2 활성은, 트립신, PAR2-AP 등에 의해 PAR2 수용체가 활성화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PAR2 활성에 의한 칼슘(Ca2 +)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상기 소양증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에 더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는 것은, 이를 투여 시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식품, 의약품, 사료 첨가제, 음용수 첨가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말토 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부형제, 희석제, 항산화제, 완충액 또는 정균제 등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들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정제,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Amylo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또는 젤라틴(Gelatin)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등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등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Sodium stearyl fumarate)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Polyethylene glycol wax) 등과 같은 윤활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방향제, 시럽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제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액으로 제제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ampoule) 또는 바이알(vial)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에어로졸제로 제제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연고, 크림 등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담체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한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0.1 mg/kg 내지 1,0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g 내지 500 mg/k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 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소양증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양증용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상기 푸니칼라진을 건강기능식품의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예방, 건강 또는 치료 등의 각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산제, 과립제, 환, 정제, 캡슐제의 형태뿐만 아니라 일반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푸니칼라진은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의 분획물을 이용하는 점에서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으므로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식품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100 mL당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소양증용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소양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기능성식품 100 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HaCaT 세포에서 Trypsin에 의한 세포 내 칼슘증가 억제
본 발명의 천연물 푸니칼라진(punicalagin)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각질형성 세포(HaCaT)를 DMEM 배양액으로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 plate)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Flou4-NW dye mixture 100 μl를 넣고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칼슘 이온 염색약(Ca2+ dye)이 세포에 로딩(loading) 되도록 1시간 동안 안정화 시켰다. 100 μM 푸니칼라진을 처리하고 5분간 세포내 칼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도 1A). 그 다음으로 농도별 푸니칼린(0, 1, 3, 10, 20, 30, 100, 300 μM)(도 1 B) 또는 농도별 푸니칼라진(0, 1, 3, 5, 10, 20, 30, 100 μM)(도 1C) 을 10분간 처리한 후, 각 웰에 0.1 μM trypsin를 처리하여 세포 내 칼슘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 μM 푸니칼라진은 각질형성세포에서 세포내 칼슘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또한, 도 1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푸니칼라진은 푸니칼린에 비해 약 3.7배 이상 PAR2 수용체를 강력하게 억제하며 IC50는 5.24 μM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동물실험에서 소양증 완화 효과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매한 7주령 C57BL6N 마우스 24마리를 대상으로 푸니칼라진이 PAR2-AP(activating peptide)에 의해 유도된 소양증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 3, 10) mg/kg 푸니칼라진(n = 4)을 각각 생리식염수에 녹여 복강 주사하고 30분 뒤 PAR2-AP 100 ug을 피부내 주사하였다. 대조군으로 생리식염수만 복강주사하고 PAR2-AP를 주사한 그룹(n=4), 푸니칼라진 10 mg/kg 를 복강주사하고 생리식염수를 피부내 주사한 그룹(n=4), 생리식염수를 복강주사하고 피부내 주사한 그룹(n=4)을 설정하고 가려움증(긁는 횟수)를 40분동안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리식염수를 복강주사하고 PAR-AP를 피부내 주사한 그룹은 초기 10분동안 긁는 횟수가 약 104회였지만, 푸니칼라진을 (1, 3, 10) mg/kg을 주사한 뒤 PAR2-AP 를 피부내 주사한 그룹은 긁는 횟수가 약 59, 27.5, 14.3회로 억제되었다. 또한,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가 PAR2-AP에 의해 긁는 횟수를 40분동안 측정 했을 때 PAR2-AP를 주사한 그룹은 약 240회 긁었지만 푸니칼라진 (1, 3, 10) mg/kg을 주사한 그룹은 긁는 횟수가 187.5, 102.5, 39.5회로 억제되었다.

Claims (5)

  1. 푸니칼라진(Punicalagin),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AR2 활성에 의한 칼슘(Ca2 +)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양증은 PAR2 활성에 의해 발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푸니칼라진(Punicalagin),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푸니칼라진(Punicalagin),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09704A 2020-08-28 2020-08-28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5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704A KR20200105469A (ko) 2020-08-28 2020-08-28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704A KR20200105469A (ko) 2020-08-28 2020-08-28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307A Division KR20200025244A (ko) 2018-07-30 2018-08-29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469A true KR20200105469A (ko) 2020-09-07

Family

ID=7247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704A KR20200105469A (ko) 2020-08-28 2020-08-28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54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12292C1 (ru) * 2022-09-09 2024-01-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ый центр проблем здоровья семьи и репродукции человека"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вирусным действием в отношении вируса клещевого энцефалит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12292C1 (ru) * 2022-09-09 2024-01-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ый центр проблем здоровья семьи и репродукции человека"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вирусным действием в отношении вируса клещевого энцефалит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67B1 (ko)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0595B1 (ko) 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47637A (ko) 커큐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35492B1 (ko) 야라야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15666B1 (ko) 노나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U2014315877B2 (e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acylglycer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20200025244A (ko)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5469A (ko)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1925A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05188A (ko)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06712B1 (ko)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74765B1 (ko) 사이코사포닌 d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906896B1 (ko) 티몰 및 미르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9510B1 (ko)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par2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2284065B1 (ko) 필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말라리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73674A (ko) Cape, 퀘르세틴 및 크리신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용 조성물
KR102284060B1 (ko)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말라리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4068B1 (ko) 메틸 로즈마리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말라리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4061B1 (ko) 토릴로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말라리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7716B1 (ko) 개똥쑥 추출물 또는 아르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일주기 리듬 장애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482196B1 (ko) 천심련 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일주기 리듬 장애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248513B1 (ko) 무좀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54338B1 (ko) 천연 약초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말라리아 조성물
KR102251917B1 (ko) N-사이아노설폰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