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346A -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346A
KR20200105346A KR1020190024406A KR20190024406A KR20200105346A KR 20200105346 A KR20200105346 A KR 20200105346A KR 1020190024406 A KR1020190024406 A KR 1020190024406A KR 20190024406 A KR20190024406 A KR 20190024406A KR 20200105346 A KR20200105346 A KR 20200105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ube
coupled
fixing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043B1 (ko
Inventor
김원봉
Original Assignee
김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봉 filed Critical 김원봉
Priority to KR102019002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04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전거 프레임을 구성하는 톱튜브와 보텀튜브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프레임에 있어서, 자전거의 톱튜브와 보텀튜브 각각의 내측에는; 로프꼬임기가 제공된채, 로프꼬임기를 관통하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배치되는 것과; 헤드튜브에는; 제1결합수단 및, 제2결합수단이 구성되며, 시트튜브에는; 제3결합수단이 구성되고, 또한 보텀브라켓쉘에는; 제4결합수단 및 제5결합수단이 구성되어 보텀브라켓쉘에 시트튜브가 입설된채, 보텀브라켓쉘에는; 제6결합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체인스테이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제1결합수단과 제3결합수단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상호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2결합수단과 제4결합수단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상호 연결되어 로프꼬임기에 의한 인출로프 인장력으로 헤드튜브와 시트튜브는 톱튜브에 고정되며, 헤드튜브와 보텀브라켓쉘은 보텀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조립식 자전거 프레임.

Description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Bicycle of assemble frame}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전거 프레임을 구성하는 톱튜브와 보텀튜브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에 관한 것 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톱튜브와 보텀튜브가 인출로프의 인장력으로 고정되어 결합되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에 관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프레임은 첨부도면 제2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보텀브라켓쉘(3) 상측으로 입설되는 시트튜브(2) 전방으로 헤드튜브(1)가 배치되어 상기 시트튜브(2)와 헤드튜브(1)는 톱튜브(4) 및 보텀튜브(4a)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 한 상기 시트튜브(2) 후방으로 시트스테이(6) 및 상기 보텀브라켓쉘(3) 후방에 체인스테이(5)가 고정되게 결합 되어 자전거 프레임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통상적으로 상기 헤드튜브(1)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톱튜브(4) 및 보텀튜브(4a)의 선단부는 상기 헤드튜브(1) 원주 외주면에 밀착 되도록 만곡진 곡면부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튜브(1) 외주면에 밀착되게 배치된채, 용접수단을 통하여 상기 헤드튜브(1)와 한 몸체로 고정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톱튜브(4) 및 보텀튜브(4a)는 상기 시트튜브(2)와 보텀브라켓쉘(3)에 용접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톱튜브(4) 및 보텀튜브(4a)가 상기 헤드튜브(1)를 포함하여 시트튜브(2) 및 보텀브라켓쉘(3)에 용접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과정에 용접열에 의한 열변형이 동반되어 별도의 전문제작기구(툴)가 있어야 하며, 또한 용접열에 따른 프레임 튜브의 고유 열처리 특성이 감소되어 프레임 접합부 강도 저하에 따른 자전거 프레임이 파손되는 자전거 프레임의 안전성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러한 자전거 프레임의 안정성 문제와; 자전거 프레임의 더 가벼운 프레임을 개선 하고자 자전거 톱튜브(4) 및 보텀튜브(4a)의 양단부에 구성되는 튜브의 두께는 다소 두껍게 형성되는 반면에 튜브 중앙부의 두께가 더 얇게 형성되는 버티드 튜브를 개발하여 좀 더 가벼운 자전거 프레임을 제작하고 있으나, 이러한 버티드 튜브는 생산공정이 더 복잡하여 자전거 프레임의 제작 단가가 높으며, 무엇보다 상기 버티트 튜브는 두께가 얇아서 반복적인 외부충격 흡수가 부족하여 튜브의 피로누적이 심하며, 이에 따라 자전거 프레임의 내구성 저하 및 외부충격 흡수율 저하에 따른 자전거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자전거 프레임의 안전성 문제와 더 가벼운 자전거 프레임을 개선 하고자 하는 다른 수단으로는 최근에는 카본소재를 이용한 더 가볍고, 충격흡수가 개선되는 자전거 카본 프레임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자전거 카본 프레임은 카본소재를 이용한 일체형의 가압 성형품으로 제작되어 제작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고, 자전거 프레임 부분 파손시 수리 복구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 자전거 프레임 각각의 접합부는 고정방식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자전거 프레임 각 구성 요소들을 한 몸체로 일체화 하는 제작 작업은 자전거 프레임의 전문제작소 및 전문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며, 또한 필요시 자전거 운송과정에 자전거 프레임의 분리 및 조립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출한 것으로,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구성수단에 있어서 용접부가 생략된채,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상기 시트튜브를 포함하는 톱튜브 및 보텀튜브는 가벼운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어 자전거 프레임 제작이 용이함과 아울러 무게가 가벼운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자전거 프레임의 톱튜브 및 보텀튜브 내측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자전거 프레임의 강도 증가 및 외부충격 흡수율이 개선되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전거 프레임에 있어서, 자전거의 톱튜브와 보텀튜브 각각의 내측에는; 로프꼬임기가 제공된채, 로프꼬임기를 관통하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배치되는 것과;
자전거 프레임에 있어서, 헤드튜브에는; 제1결합수단 및, 제2결합수단이 구성되며, 시트튜브에는; 제3결합수단이 구성되고, 또한 보텀브라켓쉘에는; 제4결합수단 및 제5결합수단이 구성되어 보텀브라켓쉘에 시트튜브가 입설된채, 보텀브라켓쉘에는; 제6결합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체인스테이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제1결합수단과 제3결합수단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상호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2결합수단과 제4결합수단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로프꼬임기에 의한 인출로프 인장력으로 헤드튜브와 시트튜브는 톱튜브에 고정되며, 헤드튜브와 보텀브라켓쉘은 보텀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조립식 자전거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헤드튜브와 시트튜브 사이에 톱튜브가 배치된채, 헤드튜브의 제1결합수단에 구성되는 제1결합부재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 일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시트튜브의 제3결합수단에 구성되는 제3결합부재에 상기 복 수개의 인출로프 타단부가 결합된채, 로프꼬임기를 구동 시키면,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상호 꼬임작용이 이루어져 길이가 짧아지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특징으로 헤드튜브와 시트튜브가 톱튜브에 밀착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톱튜브의 양단부에는; 제1원통결합부재와 제2원통결합부재가 결합되며, 또한 상기 로프꼬임기에는; 톱튜브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수단이 각각 결합되는 것과;
상기 제1결합부재와 제1원통결합부재가 상호 밀착되게 결함된채, 제1결합부재는 외측으로부터 밀폐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3결합부재와 제2원통결합부재가 각각 상호 밀착되게 결합된채, 제3결합부재는 외측으로부터 밀폐되게 구성되어 톱튜브 내측이 밀폐되는 특징으로 톱튜브 내측에 압축공기가 충전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헤드튜브의 외주면에 제1고정수단이 결합된채, 톱튜브 및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 헤드튜브의 하측 외주면에 제2고정수단이 결합된채, 보텀튜브 및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제2결합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시트튜브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되는 클램프링 및 클램프체로 구성되는 제3고정수단이 결합된채, 톱튜브 및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제3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3결합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3고정수단의 후방에 시트스테이 결합부가 구성되어 시트스테이가 시트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보텀브라켓쉘의 외주면에 제4고정수단이 고정되게 결합된채, 보텀튜브 및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제4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4결합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보텀브라켓쉘의 외주면에 시트튜브가 결합되는 제5고정수단에 고정되게 구성된채, 제5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5결합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시트튜브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텀브라켓쉘 양단부 내측에 자전거 크랭크 축을 지지하는 축수부재가 제공된채, 각각의 축수부재에 원통부재가 결합되며, 또한 보텀브라켓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슬로트가 형성되어 자전거 체인스테이를 구성하는 헤드부재가 슬로트를 통하여 원통부재에 링크결합되는 특징으로 체인스테이가 보텀브라켓쉘에 링크결합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수단은; 헤드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의 일측면에 평면체 및 고정체가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는; 고정홀이 형성된 원통벽체 및 톱튜브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가 구성되어 제1고정수단의 평면체 및 고정체에 결합된채, 고정너트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제1결합부재의 원통벽체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제1결합부재에는; 인출로프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톱튜브가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수단은: 헤드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제2고정수단의 일측에 경사결합체가 구성된채,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제2결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2결합부재는; 고정홀이 형성된 원통벽체 및 보텀튜브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가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수단의 경사결합체 및 체결홀과 결합된채, 상기 체결홀에 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상기 제2결합부재가 제2고정수단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3고정수단은; 시트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링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클램프체가 구성된채, 체결홀이 형성되는 특징으로 상기 클램프체의 내측에 상기 제3결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3결합부재는; 원통형상의 원통벽체에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체가 구성된채, 고정체에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체의 절개부에 결합되며, 또한 원통벽체의 일측에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결합체가 구성된채, 원통벽체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제3결합부재에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결합된채, 톱튜브가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4고정수단은; 평면체 및 고정체가 구성된채, 상기 제4고정수단은 보텀브라켓쉘의 외주면에 전방 상향으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상기 제4결합부재가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4결합부재는; 고정홀이 형성된 원통체를 포함하여 원통벽체 및 원통결합체가 구성되어 제4고정수단의 고정체와 결합되며, 또한 상기 원통벽체에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가 형성되어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고정수단의 내측부는 헤드튜브를 밀착되게 감싸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평면체의 외측면 가장자리에는 복 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또한 헤드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고정수단의 고정홀과 결합되는 결합구가 복 수개 형성되어 제1고정수단의 고정홀과 관통된채, 헤드튜브의 외주면과 제1고정수단의 내측부는 접착제로 고정되게 부착됨과 아울러 헤드튜브 내측에서 제1고정수단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특징으로 제1고정수단이 헤드튜브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수단의 평면체 외측면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홀이 복 수개 형성되는 특징으로 헤드튜브 내측에서 제1고정수단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가 헤드튜브의 중심선에서 소정의 각도로 결함됨과 아울러 고정너트가 상기 평면체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제1고정수단이 헤드튜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6결합수단은; 상기 각각의 체인스테이를 구성하는 헤드부재 선단부에는;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게 회동되는 링크구가 형성되며, 또한 각각의 헤드부재 꼬리에는; 자전거 체인스테이 몸체와 결합되는 복 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각각의 헤드부재는; 상호 마주보며, 고정부재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재의 꼬리부는 소정의 각도 및 간격으로 이격된채, 한 몸체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보텀브라켓쉘 내측에 구성되는 원통부재에 자전거 체인스테이의 헤드부재가 링크결합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로프꼬임기는; 원통형상으로 일단부가 개방되는 원통체가 구성되며, 타단부는 원통벽체가 구성된채, 원통벽체에 웜휠 및 웜기어가 결합되어 로프꼬임기가 톱튜브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상기 웜휠은; 웜휠기어부와 웜휠샤프트로 구성되어 원통벽체에 축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또한 웜휠의 내측 양단부가 축방향으로 상호 관통되어 상기 인출로프가 관통되는 복 수개의 꼬임안내로가 형성되고, 또 한편 상기 웜기어는; 웜휠에 결합되는 웜기어 양측에는 웜샤프트가 구성된채, 상기 웜샤프트에는 웜기어를 회동되게 지지하는 웜고정부재가 제공되어 원통벽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웜기어가 회전되면, 웜휠의 꼬임안내로에 배치되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 꼬임작용이 이루어지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로프꼬임기는; 상기 웜기어의 웜샤프트 단부에는 각형의 요홈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원통벽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웜고정부재의 일측에는; 구동기구가 출입하는 파이프 형상의 안내부재가 결합되며, 또 상기 안내부재의 일단부는 톱튜브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구에 밀착된채, 관통되어 톱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상세히 예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은 자전거 프레임의 헤드튜브와 시트튜브 사이에 톱튜브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헤드튜브와 보텀브라켓쉘 사이에 보텀튜브가 배치된채, 인출로프의 인장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조립식 프레임 방식이므로, 톱튜브와 보텀튜브의 양단부에는 용접수단이 생략되어 용접열에 의한 열적 변형이 없어 프레임 제작이 용이하며, 또한 가압성형품의 카본 프레임과 같은 일체형 프레임의 구성에 따른 복잡한 제작공정을 생략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톱튜브 및 보텀튜브는 종래의 버티드 튜브의 방식이 생략된채, 튜브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더 얇게 제작할 수 있어, 톱튜브 및 보텀튜브는 더 가벼운 프레임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무엇보다 상기 톱튜브 및 보텀튜브는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티타늄 및 카본 파이프, 내부가 파이프 형상의 대나무 등등의 다양한 튜브로 활용되어 재질선정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톱튜브 및 보텀튜브은 내부가 밀폐된채, 압축공기가 충전되므로 상기 톱튜브 및 보텀튜브는 압축공기의 탄성력으로 강도가 증가되어 상기 톱튜브 및 보텀튜브의 두께를 더 얇게 구성하여 무게를 더 가볍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압축공기의 탄성력에 따른 외부충격 흡수가 우수하여 자전거 라이딩의 승차감이 개선된다.
또 한편으로 본 발명의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은 인출로프의 인장력 상태를 조절하여 자전거 프레임의 분리 및 조절이 용이하여 운송과정이 개선되며, 무엇보다 자전거 프레임을 매우 용이하게 조립 결합할 수 있어, 자전거 프레임 전문제작소 및 전문기술력의 필요성이 작아 자전거 프레임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제 2도는 제1도중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의 주요 구성부를 절개하여 예시한 도면
제 3도는 제2도중 인출로프 및 로프꼬임기를 포함하는 톱튜브 및 보텀튜브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4도는 제3도중 A-A' 선상에서 로프꼬임기를 예시한 단면도.
제 5도는 제2도중 헤드튜브에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 및 제2결합수단을 예시한 도면.
제 6도는 제2도중 제3결합수단의 분해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 7도는 제6도중 제3결합수단의 조립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제 8도는 제2도중 보텀브라켓쉘에 결합되는 제4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제5결합수단 및 제6결합수단을 예시한 도면.
제 9도는 제8도중 보텀브라켓쉘에 결합되는 제6결합수단의 평면 상태에서 결합관계를 예시한 단면도.
제 10도는 제9도중 보텀브라켓쉘에 형성되는 슬로트 상태를 예시한 도면.
제 11도는 제3도중 로프꼬임기를 인출하여 예시한 종단면도.
제 12도는 제4도중 로프꼬임기를 인출하여 중요부를 예시한 횡단면도.
제 13도는 제5도중 헤드튜브에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의 결합관계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14도는 제13도중 제1결합수단의 제1고정수단을 예시한 도면
제 15도는 제5도중 헤드튜브에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의 결합관계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16도는 제15도중 제2 결합수단의 제2고정수단을 예시한 도면.
제 17도는 제13도에 예시된 제1결합수단의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제 18도는 제17도에 예시된 제1결합수단의 일측에서 예시한 정면도.
제 19도는 제3도중 톱튜브 및 보텀튜브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원통결합부재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20도는 제19도에 예시된 제2a원통결합부재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제 21도는 제2도에 예시된 본 발명의 톱튜브 양부에 결합되는 헤드튜브와 시트튜브가 로프꼬임기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제 22도는 제2도에 예시된 본 발명의 보텀튜브 양단부에 결합되는 헤드튜브와 보텀브라켓쉘이 로프꼬임기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제 23도는 제2도에 예시되는 본 발명의 톱튜브 양단부에 결합되는 헤드튜브와 시트튜브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제24도는 종래의 자전거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은 첨부도면 제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자전거의 보텀브라켓쉘(30) 상측으로 입설되는 시트튜브(20) 전방에 헤드튜브(10)가 배치되어 상기 헤드튜브(10)와 시트튜브(20)는 톱튜브(40)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헤드튜브(10)와 보텀브라켓쉘(30)은 보텀튜브(50)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시트튜브(20) 후방으로 시트스테이(80)가, 보텀브라켓쉘(30) 후방으로 체인스테이(70)가 결합되어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은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톱튜브(40)와 보텀튜브(50) 각각의 내측에는; 로프꼬임기(700),(700A)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로프꼬임기(700),(700A)를 관통하는 인출로프(60),(61)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튜브(10)에는 제1결합수단(100) 및, 제2결합수단(200)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시트튜브(20)에는 제3결합수단(300)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보텀브라켓쉘(30)에는 제4결합수단(400) 및 제5결합수단(500)이 구성되어 상기 보텀브라켓쉘(30)에 상기 시트튜브(20)가 고정되게 입설된채, 상기 보텀브라켓쉘(30)에 제6결합수단(600)이 구성되어 상기 체인스테이(7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리하여, 상기 헤드튜브(10)와 시트튜브(20) 사이에 톱튜브(40)가 배치된채, 상기 제1결합수단(100)과 제3결합수단(300)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60)가 상호 연결되며, 또한 상기 헤드튜브(10)와 보텀브라켓쉘(30) 사이에 보텀튜브(50)가 배치된채, 상기 제2결합수단(200)과 제4결합수단(400)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61)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로프꼬임기(700),(700A)에 의한 인출로프(60),(61) 인장력으로 상기 헤드튜브(10)와 시트튜브(20)는 상기 톱튜브(40)에 고정되며, 상기 헤드튜브(10)와 보텀브라켓쉘(30)은 상기 보텀튜브(50)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본 발명의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3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로프꼬임기(700),(700A)에 구성되는 에어주입수단(770),(770A)에 의하여 상기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상기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의 강성이 증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로프(60),(61)는 피아노선, 강선, 낚시줄, 합성섬유 로프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인출로프의 결속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공지의 낚시줄 결속 방법과 같은 통상적인 공지된 기술로 다양하게 결속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 내측은 밀폐되며, 상기 에어주입수단(770),(770A)은 에어를 일방향으로 주입하는 보편적인 수단으로써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에 직접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수단(100) 내지 제4결합수단(400)에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상기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의 결합부에는 용접수단이 생략된채, 인출로프(60),(61)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톱튜브(40)의 양단부에는; 상기 헤드튜브(10) 및 시트튜브(20)가, 상기 보텀튜브(50)의 양단부에는; 상기 헤드튜브(10) 및 보텀브라켓쉘(30)이 견고하게 밀착되는 방식과 더불어 상기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 내측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압축공기의 탄성력에 의한 강도가 크게 증가되는 특징으로 상기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 있어 톱튜브 및 보텀튜브의 무게는 더 가볍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밀폐된 튜브 또 타이어, 공, 압축용기 등등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밀폐된 압축용기는 압축공기의 탄성력에 비례하여 그 강도가 증가되게 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로써, 본 발명의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의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에 압축공기를 충전하게 되면, 상기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의 강성이 증가됨과 아울러 외부충격에 따른 충격흡수가 좋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튜브 내측부는 밀폐됨과 아울러 압축공기가 저장되어 시트튜브의 강성력이 증가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헤드튜브(10)를 포함하여 시트튜브(20) 및 보텀브라켓쉘(30)의 재질은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티타늄, 스테인레스, 스틸, 카본소재 등등의 다양한 재질로 사용되며, 또한 상기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의 재질은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티타늄, 스테인레스, 스틸, 카본소재, 고강도 합성수지류, 대나무 등의 다양한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수단(100)에 구성되는 제1고정수단(110) 내지 제4결합수단에 구성되는 제4고정수단(410)은 상기 헤드튜브(10)를 포함하는 시트튜브(20) 및 보텀브라켓쉘(30)에 한 몸체로 구성되는 주조형식의 주물형태를 포함하여 카본 소재의 가압성형품 또는 용접수단 등의 다양한 수단 및 방법을 통하여 한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첨부도면 제1도에 예시된 미설명 후보 750 및 750A는 공기구를 이용하여 로프꼬임기를 구동하는 안내부재이고, 미설명 부호 770 및 770A는 에어주입수단이고, 미설명 부호 40a, 40b 및 50a, 50b는 상기 제1결합수단 내지 제4결합수단을 보호하는 커버부재이다.
이하 상기 헤드튜브(10)를 포함하여 시트튜브(20) 및 보텀브라켓쉘(30)에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100) 내지 제6결합수단(60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2도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헤드튜브(10)에는; 헤드튜브(10)의 상측 외주면에 제1고정수단(110)이 결합된채, 톱튜브(40) 및 인출로프(60)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120)가 결합된 제1결합수단(100)이 구성되며, 또한 상기 헤드튜브(10)의 하측 외주면에 제2고정수단(210)이 결합된채, 보텀튜브(50) 및 인출로프(61)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220)가 결합된 제2결합수단(200)이 구성되어 상기 헤드튜브(10)는 상기 톱튜브(40)에 의하여 시트튜브(20)와 인출로프(60)의 인장력으로 결합되며, 또한 상기 헤드튜브(10)는 보텀튜브(50)에 의하여 보텀브라켓쉘(30)과 인출로프(61)의 인장력으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시트튜브(20)에는; 시트튜브(20)의 상측 외주면에 제3고정수단(310)이 결합된채, 톱튜브(40) 및 인출로프(60)가 결합되는 제3결합부재(320)가 결합된 제3결합수단(300)이 구성되며, 또한 제3결합수단의 후방에 시트스테이 결합부(315)가 구성되어 첨부도면 제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시트스테이(80)가 시트튜브(2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보텀브라켓쉘(30)의 외주면에 제4고정수단(410)이 고정되게 결합된채, 보텀튜브(50) 및 인출로프(61)가 결합되는 제4결합부재(420)가 결합된 제4결합수단(400)이 구성되며, 또한 시트튜브(20)가 결합되는 제5고정수단(510) 및 제5결합부재(520)로 구성되는 제5결합수단(500)이 결합되어 상기 시트튜브(20)가 상기 보텀브라켓쉘(30)에 고정되게 입설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텀브라켓쉘(30) 양단부 내측에 자전거 크랭크 축을 지지하는 축수부재(610)가 제공된채, 각각의 축수부재(610)에 원통부재(620)가 결합되며, 또한 첨부도면 제10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보텀브라켓쉘(30)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슬로트(30a),(30a')가 형성되어 자전거 체인스테이를 구성하는 헤드부재(630)가 슬로트(30a),(30a')를 통하여 원통부재(620)에 링크결합되는 특징으로 첨부도면 제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체인스테이(70)가 보텀브라켓쉘(30)에 링크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톱튜브(40) 내측에는; 상기 로프꼬임기(700)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톱튜브(40) 외주면에는;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로프꼬임기(700)를 구동하는 구동기구가 출입하는 결합구(41),(42)가 형성되어 구동기구를 이용하여 로프꼬임기(700)가 구동되게 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헤드튜브(10)와 시트튜브(20) 사이에 톱튜브(40)가 배치된채, 헤드튜브의 제1결합수단(100)에 구성되는 제1결합부재(120)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60) 일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시트튜브(20)의 제3결합수단(300)에 구성되는 제3결합부재(320)에 상기 복 수개의 인출로프(60) 타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된다.
이렇게 제1결합수단(100) 및 3결합수단(300)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60)가 상호 고정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렌치 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로프꼬임기(700)를 구동 시키면, 첨부도면 제2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복 수개의 인출로프(60a),(60b)가 상호 꼬임작용이 이루어져 꼬임로프(60ab)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길이가 짧아지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특징으로 헤드튜브(10)와 시트튜브(20)는 톱튜브(40)에 밀착 고정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4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톱튜브(40)의 양단부에는; 제1원통결합부재(800)와 제2원통결합부재(810)가 결합되어 첨부도면 제2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20)와 제1원통결합부재(800)가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3결합부재(320)와 제2원통결합부재(810)가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어 톱튜브(40) 내측이 밀폐되게 된다.
또한 상기 로프꼬임기(700)에는; 로프꼬임기(700)의 구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750),(750') 및 톱튜브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수단(770)이 각각 결합된채, 상기 톱튜브(40)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구(41),(42),(43)로 밀착되게 관통되어 톱튜브(40) 내측이 밀폐됨과 아울러 상기 로프꼬임기(700)가 톱튜브(40)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로프꼬임기(700)의 안내부재(750)를 통하여 구동기구를 이용하여 로프꼬임기(700)를 구동시키면, 복 수개의 인출로프(60)가 상호 꼬임작용 및 인출작용이 이루어져 헤드튜브(10)와 시트튜브(20)는 톱튜브(40) 양단부에 밀착되게 고정됨과 아울러 에어주입수단(770)으로 톱튜브 내측에 압축공기가 충전되게 되므로 상기 톱튜브의 강성이 더 증가되게 된다.
이하 상기 보텀튜브(50) 양단부에 헤드튜브 및 보텀브라켓쉘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본 발명의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의 구성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3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보텀튜브(50) 각각의 내측에는; 로프꼬임기(700A)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복 수개의 인출로프(61))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보텀튜브(50)의 양단부에는 원통형상을 갖는 제3원통결합부재(820)와 제4원통결합부재(83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보텀튜브(50)는 상기 톱튜브(40)와 그 형태 및 기능이 유사하고, 보텀튜브의 길이가 상이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헤드튜브(10)에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200)에 있어서 보텀브라켓쉘(30)에 결합되는 제4결합수단(400)으로 보텀튜브(50)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채, 상기 제2결합수단(200)의 제2결합부재(220)와 상기 제4결합수단(400)의 제4결합부재(420) 각각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61)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로프꼬임기(700A)를 구동하게 되면, 복 수개의 인출로프(61)가 상호 꼬임작용 및 인출작용이 이루어져 헤드튜브(10)와 보텀브라켓쉘(30)이 보텀튜브(50) 양단부에 밀착되게 고정됨과 아울러 에어주입수단(770A)으로 보텀튜브(50) 내측에 압축공기가 충전되게 되므로 상기 보텀튜브(50)의 강성이 더 증가되게 된다.
이하 상술한 제1결합수단 내지 제6결합수단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헤드튜브(10)에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10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5도 및 제13도 내지 제14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결합수단(100)은; 헤드튜브(1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1고정수단(110)의 외측면에 평면체(112) 및 고정체(113)가 구성되어 제1결합부재(120)가 결합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120)는 첨부도면 제5도중 "도5-1" 및 첨부도면 제13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고정홀(124)이 형성된 원통벽체(122) 및 톱튜브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121)가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수단(110)의 평면체(112) 및 고정체(113)에 결합된채, 고정너트(130)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결합체(121)의 선단부는 외경이 경사지게 작아지는 경사외경부(123)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제1결합부재(120)의 원통벽체(122)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125)가 형성되어 첨부도면 제2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제1결합부재(120)에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60a),(60b)가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로프(60a),(60b)의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부재(120)의 로프결합구(125)를 통하여 원통벽체(122) 외측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인출로프의 일단부에는 매듭부(60c)가 매듭처리된채, 인출로프(60a),(60b)의 인장력으로 상기 인출로프의 매듭부(60c)가 상기 로프결합구(125)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부재(120)의 로프인출구(125)에 인출로프(60)가 고정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결합구(125)는 통상적인 실링재를 포함하여 코킹 등의 방법으로 외측부와 차단되도록 마감처리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결합부재(120)의 내측부는 밀폐된채, 상기 톱튜브 내측으로 압축공기의 충진에 따른 압축공기가 누설 없이 저장되게 된다.
이하 상술한 제1고정수단(11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5도중 "도5-1" 및 제13도 내지 제14도에 의거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5도중 "도5-1" 및 제13도 내지 제14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제1고정수단(110)의 내측부(114)는 헤드튜브(10)를 밀착되게 감싸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채, 상기 평면체(112)의 외측면(111)에는 고정홀(115),(115')이 복 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튜브(10)의 외주면에는 첨부도면 제13도중 "도13-1"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고정수단(110)의 고정홀(115),(115')과 결합되는 결합구(11),(11')가 복 수개 형성되어 제1고정수단(110)의 고정홀(115),(115')과 관통된채, 헤드튜브(10)의 외주면과 제1고정수단(110)의 내측부(114)는 접착제로 고정되게 부착되며, 또한 헤드튜브(10) 내측에서 제1고정수단(110)의 고정홀(115),(115')을 관통하는 고정부재(116),(116')에 고정너트(117),(117')가 체결된다.
그러므로 제1고정수단(110)은 헤드튜브(10) 외주면에 접착제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고정부재(116),(116')에 고정너트(117),(117')로 체결되어 헤드튜브(10)에 강력하게 고정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4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고정수단(110)의 평면체(112) 외측면(111)에는 소정의 각도(A2)로 경사지도록 구성된채, 상기 고정홀(115),(115')이 복 수개 형성되는 특징으로 헤드튜브(10) 내측에서 제1고정수단(110)의 고정홀(115),(115')을 관통하는 고정부재(116),(116')가 헤드튜브(10)의 중심선에서 소정의 각도(A3)로 결합됨과 아울러 고정너트((117),(117')가 상기 제1고정수단(110)의 외측면(111)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재(116)의 머리부(116a)는 두께가 작게 구성된채, 고정부재의 머리부(116a)는 헤드튜브의 내경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리하여 헤드튜브(10) 내측 공간이 크게 확보되어 헤드튜브 내측에 구성되는 다른 구성품(일명 자전거 서스펜션 포크 스티어링튜브)의 간섭이 없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헤드튜브(10)에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20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5도 및 제15도 내지 제16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결합수단(200)은; 헤드튜브(1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제2고정수단(210)의 일측에 경사결합체(212)가 구성된채,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체결홀(213)이 형성되어 제2결합부재(220)가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제2결합부재(220)는; 첨부도면 제5도중 "도5-2" 및 첨부도면 제15도 내지 제16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고정홀(224)이 형성된 원통벽체(222) 및 보텀튜브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221)가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수단(210)의 경사결합체(212) 및 체결홀(213)과 결합된채, 상기 체결홀(213)에 고정부재(230)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결합체(121)의 선단부는 직경이 경사지게 작아지는 경사외경부(223)가 구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결합부재(220)는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헤드튜브(10)의 외주면에서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된채, 보텀튜브(50)가 상기 제2결합수단(200)의 제2결합부재(220)에 밀착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또한 제2결합부재(220)의 원통벽체(222)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225)가 형성되어 첨부도면 제2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제2결합부재(220)에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61a),(61b)가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로프(61a),(61b)의 일단부는 상기 제2결합부재(220)의 로프결합구(225)를 통하여 원통벽체(222) 외측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인출로프의 일단부에는 매듭부(61c)가 매듭처리된채, 인출로프(61)의 인장력으로 상기 인출로프의 매듭부(61c)가 상기 로프결합구(225)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결합부재(220)의 로프인출구(225)에 인출로프(61)가 고정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결합구(225)는 통상적인 실링재를 포함하여 코킹 등의 방법으로 외측부와 차단되도록 마감처리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결합부재(220)의 내측부는 밀폐된채, 상기 보텀튜브 내측으로 압축공기의 충진에 따른 압축공기가 누설 없이 저장되게 된다.
이하 상술한 제2고정수단(21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5도중 "도5-2" 및 제15도 내지 제16도에 의거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5도중 "도5-2" 및 제15도 내지 제16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제2고정수단(210)의 내측부(214)는 헤드튜브(10)를 밀착되게 감싸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채, 상기 경사결합체(212)의 외측면(211)에는 고정홀(215),(215')이 복 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튜브(10)의 외주면에는 첨부도면 제15도중 "도5-1"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2고정수단(210)의 고정홀(215),(215')과 결합되는 결합구(12),(12')가 복 수개 형성되어 제2고정수단(210)의 고정홀(215),(215')과 연통되게 관통된채, 헤드튜브(10)의 외주면과 제2고정수단(210)의 내측부(214)는 접착제로 고정되게 부착되며, 또한 헤드튜브(10) 내측에서 제2고정수단(210)의 고정홀(215),(215')을 관통하는 고정부재(216),(216')에 고정너트((217),(217')가 체결된다.
그러므로 제2고정수단(210)은 헤드튜브(10) 외주면에 접착제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고정부재(216),(216') 및 고정너트(217),(217')로 체결되어 헤드튜브(10)에 강력하게 고정되게 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헤트튜브를 포함하여 시트튜브 및 보텀브라켓쉘의 외주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톱튜브 또는 보텀튜브의 일단부와 밀착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톱튜브 또는 보텀튜브 내측을 외부로부터 밀폐하여 압축공기가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 13도 및 제15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결합부재(120),(220)의 입구가 개방되는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121),(211)로 구성된채, 상기 원통결합체(121),(221)의 외주면은 입구 측으로 외경이 감소되는 경사외경부(123),(223)로 구성되어 첨부도면 제21도 및 제2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톱튜브 또는 보텀튜브의 일단부에 구성되는 원통결합부재(800)(820)의 경사내경부(804),(824)와 밀착 결합되게 된다.
이하 상기 시트튜브에 결합되는 제3결합수단(30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2도 및 제6도 내지 제7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3결합수단(300)은; 시트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링(311)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절개부(313)가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체(312)에 체결홀(314)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제3고정수단(310)에 상기 제3결합부재(320)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3결합부재(320)는; 첨부도면 제6도 및 제7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원통형상의 원통벽체(322)에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체(324)가 구성된채, 상기 고정체(324)에는 결합구(326)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체(312)의 절개부(313)에 결합되며, 또한 원통벽체(322)의 일측에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321)가 구성된채, 상기 원통벽체(322)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325)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3고정수단(300)의 제3결합부재(320)에는 첨부도면 제2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3결합부재의 로프결합구(325)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60a')(60b')가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3결합부재(320)는 톱튜브(40)의 단부에 구성되는 제2원통결합부재(810)와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첨부도면 제6도 및 제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3결합부재(310)의 고정체(324)가 상기 제3고정수단(310)의 클램프체(312) 내측에 배치된채, 고정볼트(340)가 고정홀(326)에 밀착되게 관통되어 체결홀(314)에 체결되면, 상기 제3고정수단(310)의 클램프링(311) 내경부가 수축됨과 아울러 상기 헤드튜브(20)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게 되며, 또한 상기 제3결합부재(320)에 구성되는 고정체(324)가 상기 제3고정수단(310)의 절개부(313) 내측에 배치된채, 고정볼트(340)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3고정수단9310)의 클램프링(311) 타측(우측)에는 소정의 각도(A) 및 간격(D)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시트스테이 결합부(315,(315')가 돌출되게 구성된채, 상기 시트스테이 결합부(315),(315')에 고정홀(316),(316')이 형성되어 자전거 프레임의 시트스테이가 고정핀을 포함하는 고정볼트 및 너트 등의 통상적인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되게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각도 "A" 및 소정의 간격 "D"는 특정범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자전거 후륜휠이 설치되는 후륜휠의 크기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범위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하 상기 보텀브라켓쉘(30)에 결합되는 제4결합수단(40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2도 및 제8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4결합수단(400)은;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보텀브라켓쉘(30) 외주면에는 평면체(411) 및 고정체(412)로 구성된 제4고정수단(410)이 전방 상향으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제4결합부재(420)가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첨부도면 제8도중 "도8-1"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4고정수단(410)의 평면체(411)에는 복 수개의 고정홀(413)이 형성되어 보텀브라켓쉘(30)의 외주면 전방 상향으로 배치되며, 또한 보텀브라켓쉘(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고정볼트(430)가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4고정수단(410)의 고정홀(413)에 결합된채, 고정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4결합부재(420)는;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고정홀(426)이 형성된 원통체(424) 및 원통벽체(422)가 구성된채, 보텀튜브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421)가 구성되어 제4고정수단(410)의 고정체(412)에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상기 원통벽체(422)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425)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원통결합체(421)의 입구측 외주면에는 외경이 감소되는 경사외경부(423)가 구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제4결합부재(420)에는; 첨부도면 제2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복 수개의 인출로프(61a'),(61b')가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4결합부재(420)의 경사외경부(423)는 보텀튜브(3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4원통결합부재(830)의 경사내경부(834)와 밀착된채, 고정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고정수단(410)은; 첨부도면 제8도중 "도8-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평면체(413)의 하측에 전방벽체(414) 및 후방벽체(415)가 구성된채, 후방벽체(415)는 전방벽체(414)의 높이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4고정수단(410)의 평면체(411)는 보텀브라켓쉘(30)의 외주면에서 소정의 각도로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평면체(411)의 상측 수직으로 고정체(412)가 돌출되게 구성된채, 상기 고정체(412)와 전방벽체(411) 사이의 평면체(411) 가장자리에는 복 수개의 고정홀(413)이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보텀브라켓쉘(30) 내측에서 외주면으로 고정부재(430)가 관통된채, 상기 평면체(411)의 고정홀(413)을 관통하여 고정너트(도시하지 않음)로 체결된다.
그러므로 제4고정수단(410)은 보텀브라켓쉘(30) 외주면에 전방 상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제4고정수단(410)의 고정체(412)에는 상술한 제4결합부재의 원통체(424)가 고정되게 체결되어 상기 제4결합부재(420)는 보텀브라켓쉘(30) 외주면에 전방 상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하 상기 보텀브라켓쉘(30)에 결합되는 제5결합수단(50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2도 및 제8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5결합수단(500)은;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보텀브라켓쉘(30) 외주면에는 평면체(511) 및 고정체(512)로 구성되는 제5고정수단(510)이 후방 상향으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제5결합부재(520)가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첨부도면 제8도중 "도8-2"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5고정수단(510)의 평면체(511)에는 복 수개의 고정홀(513)이 형성되어 보텀브라켓쉘(30)의 외주면 후방 상향으로에 배치되며, 또한 보텀브라켓쉘(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고정볼트(530)가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5고정수단(510)의 고정홀(513)에 결합된채, 고정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5결합부재(520)는;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고정홀(524)이 형성된 원통체(523) 및 원통벽체(522)가 구성된채,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521)가 구성된다.
이리하여 제5고정수단(510)의 고정체(512)에 상기 제5결합부재(520)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원통결합체(521)에는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된 시트튜브(20)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5고정수단(510)은; 첨부도면 제8도중 "도8-2"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평면체(513)의 하측에 전방벽체(514) 및 후방벽체(515)가 구성된채, 후방벽체(515)는 전방벽체(514)의 높이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5고정수단의 평면체(511)는 보텀브라켓쉘(30)의 외주면에서 소정의 각도로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평면체(511)의 상측 수직으로 고정체(512)가 돌출되게 구성된채, 상기 고정체(512)와 전방벽체(514) 사이의 평면체(511) 가장자리에는 복 수개의 고정홀(513)이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보텀브라켓쉘(30) 내측에서 외주면으로 고정부재(530)가 관통된채, 상기 평면체(511)의 고정홀(513)을 관통하여 고정너트(도시하지 않음)로 체결된다.
그러므로 제5고정수단(510)은 보텀브라켓쉘(30) 외주면에 후방 상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제5고정수단(510)의 고정체(512)에는 상술한 제5결합부재의 원통체(523)가 고정되게 체결되어 상기 제5결합부재(520)는 보텀브라켓쉘(30) 외주면에 후방 상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하 상기 보텀브라켓쉘(30)에 결합되는 제6결합수단(60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2도 및 제8도 내지 제10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6결합수단(600)은 첨부도면 제9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보텀브라켓쉘(30) 양단부 내측에 자전거 크랭크 축을 지지하는 축수부재(610),(610')의 내측에 상기 크랭크 축이 관통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재(620)가 결합되며, 또한 보텀브라켓쉘(30) 외주면의 일측 후방에는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채, 원주상의 슬로트(30a),(30a')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슬로트(30a),(30a') 각각으로 자전거 체인스테이를 구성하는 헤드부재(630),(630')가 삽입되어 상기 원통부재(620)의 양측에 링크결합으로 결합되는데 있어서, 각각의 헤드부재(630),(630') 선단부(631),(631')에는; 원통부재(62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게 회동되는 링크구(632),(632')가 형성되며, 또한 각각의 헤드부재(630),(630) 꼬리부(633),(633')에는;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자전거 체인스테이 몸체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고정홀(633a)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헤드부재(630),(630')는; 상호 마주보며 고정부재(634),(635)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재(630)의 꼬리부(633),(633')는 소정의 각도(A1) 및 간격(D1)으로 이격된채, 한 몸체로 구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보텀브라켓쉘(30) 내측에 구성되는 원통부재(620)에 자전거 체인스테이의 헤드부재(630)가 링크결합으로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헤드부재(630)의 꼬리부(633)에 형성되는 고정홀(633a)에 체인스테이의 몸체가 고정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본 발명의 체인스테이는 보텀브라켓쉘에 조립식 프레임으로 구성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9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보텀브라켓쉘(30) 양단부에 제공되는 각각의 축수부재(610),(610')에는 베어링이 수용되는 베어링안착부(611),(611') 외측으로 결합체(612),(612')가 구성된채, 상기 결합체(612),(612') 내측으로 내경이 단차지게 확장되는 결합부(613),(613')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축수부재(610),(610')의 결합부(613),(613')에 상기 원통부재(620)가 밀착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보텀브라켓쉘(30) 외주면에는; 축수부재(610),(610')의 결합체(612),(612') 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슬로트(30a),(30a')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보텀브라켓쉘(30)에 형성되는 슬로트(30a),(30a') 각각으로 체인스테이의 헤드부재(630),(630')가 삽입되어 헤드부재(630),(630')의 링크구(632),(632') 각각으로 상기 원통부재(620)가 밀착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또한 원통부재(620)는 상기 축수부재(610),(610')의 결합부(613),(613')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체인스테이의 헤드부재(630),(630')는 보텀브라켓쉘(30)의 원통부재(620)에 링크결합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0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보텀브라켓쉘(30)에 형성되는 상기 슬로트(30a),(30a')의 폭 크기(T),(T')는 체인스테이의 헤드부재(630),(630')가 밀착 슬라이딩되게 출입되는 크기(T),(T')로 형성되며, 또한 슬로트(30a),(30a') 폭의 길이(W1)는 보텀브라켓쉘(30)의 원주상으로 체인스테이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는 범위(W1)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체인스테이가 보텀브라켓쉘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로 회동되는 특징을 갖는다.
첨부도면 제10도에 예시된 미설명 부호 W2는 상기 체인스테이의 헤드부재(630) 높이의 크기이며, 미설명 부호 S 는 슬로트(30a)와 슬로트(30a') 사이의 간격으로 상기 보텀브라켓쉘(30)의 길이 및 축수부재(6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9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각각의 헤드부재(630),(630')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채, 제1고정부재(634) 및 제2고정부재(635)가 결합되어 각각의 헤드부재(630),(630')는 한 몸체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635)는 제1고정부재(634)의 길이보다 크게 구성되어 헤드부재(630),(630') 꼬리부 폭이 더 크게 확장된다.
그러므로 헤드부재(630),(630')의 꼬리부(633),(633')는 소정의 간격(D1)으로 마주보며 이격된채, 소정의 각도(A1)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각각의 체인스테이 내측에 자전거 후륜휠이 원만하게 배치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부재(630),(630')에는 제2고정부재(635)가 결합되는 수용부재(637),(637')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수용부재(637),(637') 내측에는 만곡지는 수용홈(637a),(637a')이 형성되어 제2고정부재(635)가 수용부재(637),(637')의 수용홈(637a),(637a')에 밀착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634)는 고정볼트(636),(636')에 의하여 상기 헤드부재(630),(63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각도 "A1" 및 소정의 간격 "D1"은 특정범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자전거 후륜휠이 설치되는 후륜 휠의 크기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범위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하 상기 로프꼬임기(70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4도 및 제11도 내지 제12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프꼬임기(700)는; 첨부도면 제11도 내지 제1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원통형상으로 일단부가 개방되는 원통체(711)가 구성되며, 타단부는 원통벽체(710)가 구성된채, 원통벽체(710)에 웜휠(720) 및 웜기어(730)가 결합되어 로프꼬임기(700)가 톱튜브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상기 웜휠(720)은; 웜휠기어부(721)와 웜휠샤프트(722)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벽체(710)에 축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또한 웜휠(720)의 내측 양단부가 축방향으로 상호 관통되어 상기 인출로프가 관통되는 복 수개의 꼬임안내로(723)가 형성되어 상기 웜휠(720)의 꼬임안내로(723) 각각에 인출로프가 관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웜기어(730)는; 첨부도면 제1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웜휠(720)에 결합되는 웜기어(731) 양측으로 웜샤프트(732)가 구성된채, 상기 웜샤프트(732)의 각각에는 웜기어(731)를 회동되게 지지하는 웜고정부재(740)가 제공되어 상기 원통벽체(7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2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웜기어(730)가 구동되면, 웜휠(720)이 회전됨과 아울러 꼬임안내로(723)에 배치되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60a),(60b),(60a'),(60b')가 꼬임작용이 이루어져 꼬임로프(60ab),(60ab')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로프꼬임기(700)는; 첨부도면 12도중 "도12-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웜기어(731)의 웜샤프트(732) 단부에는 각형의 요홈(733)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웜고정부재(740),(740')의 일측에는; 구동기구가 출입하는 파이프 형상의 안내부재(750),(750')가 결합된채, 안내부재(750),(750')의 내측에 커버링(751),(751')이 체결되어 웜고정부재(740),(740')에 결합되는 웜샤프트(732)는 외부와 선택적으로 차단되거나 개방되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안내부재(750),(750)의 일단부는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톱튜브(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구(41),(42)에 밀착된채, 관통되어 톱튜브(30)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톱튜브 내측이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밀폐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안내부재(750)를 통하여 구동기구가 삽입되어 상기 웜샤프트(732)의 요홈(733)과 결합된채, 웜기어(730)를 회전 시키면, 웜휠(720)이 회전됨과 아울러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회전되면서 상호 꼬임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첨부도면 제12도중 "도12-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로프꼬임기(700)의 원통벽체(710) 상측 축방향으로 축수홀(71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축수홀(712) 하측으로 상기 웜고정부재(740),(740') 고정되는 고정홀(713),(713') 및 압축공기가 출입되는 출입구(714)가 각각 형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1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웜휠(720)의 웜휠샤프트(721)는 상기 축수홀(712)에 결합된채, 상기 웜휠샤프트(722)의 일측에 고정부재(760)가 체결되어 상기 웜휠(720)이 원통벽체(710)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웜기어(730)는 첨부도면 제1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웜휠(720)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웜기어(730) 양측으로 상기 웜고정부재(740)가 상호 마주보며 배치된채, 웜고정부재(740)에 구성되는 고정체(742)는 원통벽체(710)에 형성되는 고정홀(713(713')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제1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로프꼬임기(700)의 원통벽체(710) 하측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체결홀(715)이 형성된채, 상기 체결홀(715)의 단부는 원통벽체(710) 일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출입구(714)와 연통되게 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톱튜브(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통벽체(710)의 체결홀(715)과 연통되는 결합구(43)가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수단(770)이 상기 결합구(43)에 밀착되게 관통하여 원통벽체(710)의 체결홀(715)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에어주입수단(770)을 통하여 로프꼬임기(700) 내측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특징을 갖는다.
더 상세하게는 첨부도면 제11도중 "도11-1" 및 "도11-2" 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각각의 웜고정부재(740),(740')에는; 웜샤프트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축수부(741a),(741a') 및 상기 안내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741b),(741b')이 형성된채, 상기 원통벽체(7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리하여, 상술한 톱튜브의 외주면에는; 첨부도면 제4도중 "도4-1"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웜고정부재(740)의 체결홀(741b),(741b')과 연통되는 결합구(41),(42)가 상호 마주보며 형성된채, 상기 안내부재(750),(750')는 톱튜브의 상기 결합구(41),(42)에 밀착되게 관통하여 각각의 웜고정부재(740),(740')의 체결홀(741b),(741b')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웜고정부재(740)(,(740')를 포함하는 로프꼬임기(700)가 톱튜브(40) 내측에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웜고정부재(740)는; 첨부도면 제1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원통벽체(710)에 고정되는 고정체(742)가 구성된채, 상기 고정체(742)의 상측으로 “T” 형의 결합체(741)가 구성되어 결합체(741)의 일측에는 상기 축수부(741a)가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체(741)의 타측에는 상기 축수부(741a)와 연통되는 체결홀(741b)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웜고정부재(740)의 축수부(741a)에는; 웜기어(730)의 웜샤프트(732)가 회동되게 결합되며, 또한 웜고정부재(741b)의 체결홀에는 상기 안내부재(750)가 고정되게 체결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렇게 구성되는 로프꼬임기를 포함하는 제1결합수단의 제1결합부재 및 제3결합수단의 제3결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인출로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3도 및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상기 로프꼬임기(700)의 웜휠(720) 중심선은 톱튜브(40) 중심선상에서 상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 수개의 인출로프는; 로프꼬임기(700)의 웜휠(720) 중심선과 동일 선상에서 배치되며, 또한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20) 및 제3결합부재(320)의 상측에 상기 인출로프(60)가 상호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로프꼬임기(700)의 웜휠(720)에 형성되는 꼬임안내로(723)의 양단부에는 인출로프의 꼬임상태가 원만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첨부도면 제3도에 예시되는 톱튜브(40)의 양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원통결합부재(800),(810)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3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는; 내측으로 공간부(805)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원통체(801)이 구성되어 내주면에는 직선내경부(803)와 입구측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경사내경부(804)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원통체(801)의 입구측(좌측) 외주면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단차부(802)가 구성되어 상기 톱튜브(40)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802)에 밀착됨과 아울러 상기 톱튜브(40)의 내주면은 제1원통결합부재(800)의 원통체(801) 외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21도의 "도21-1" 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20)의 경사외경부(123)가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의 경사내경부(804)와 상호 경사지게 밀착되어 결합되는 특징으로 상기 제1결합부재(120)가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와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재(120)와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의 밀착되는 결합력이 더 강력하게 이루어져 상기 톱튜브(40)가 상기 헤드튜브(10)에 더 확실하게 밀착된채, 고정되게 결합된다.
첨부도면 제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톱튜브(40)에 결합되는 제2원통결합부재(810)를 포함하여 보텀튜브(50)에 결합되는 제3원통결합부재(820) 및 제4원통결합부재(830)는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에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톱튜브(40)의 일단부 외주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100)을 감싸는 제1커버부재(40a)가 결합된채, 상기 제1커버부재(40a)의 선단부는 상기 헤드튜브(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곡선형선단부(40a')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톱튜브(40)의 타단부 외주에는 상기 제3결합수단(300)을 감싸는 제3커버부재(40b)가 결합된채, 상기 제3커버부재(40b')의 선단부는 상기 시트튜브(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곡선형선단부(40b')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톱튜브(40)와 헤드튜브(10) 사이에 구성되는 제1고정수단(110) 및 제1결합부재(120)로 구성되는 제1결합수단(100)은 상기 제1커버부재(40a)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톱튜브(40)와 시트튜브(20) 사이에 구성되는 제3고정수단(310) 및 제3결합부재(320)로 구성되는 제3결합수단(300)은 상기 제3커버부재(40b)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받게 된다.
또 한편, 첨부도면 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보텀튜브(50)의 일단부 외주에는 상기 제2결합수단(200)을 감싸는 제2커버부재(50a)가 결합된채, 상기 제2커버부재(50a)의 선단부는 상기 헤드튜브(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곡선형선단부(50a')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보텀튜브(50)의 타단부 외주에는 상기 제4결합수단(400)을 감싸는 제4커버부재(50b)가 결합된채, 상기 제4커버부재(50b)의 선단부는 상기 보텀브라켓쉘(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곡선형선단부(50b')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보텀튜브(50)와 헤드튜브(10) 사이에 구성되는 제2고정수단(210) 및 제2결합부재(220)로 구성되는 제2결합수단(200)은 상기 제2커버부재(50a)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텀튜브(50)와 보텀브라켓쉘(30) 사이에 구성되는 제4고정수단(410) 및 제4결합부재(420)로 구성되는 제4결합수단(300)은 상기 제4커버부재(50b)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받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톱튜브 및 보텀튜브에 구성되는 상술한 원통결합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9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톱튜브(40)의 일단부에는 제1원통결합부재(800a)가, 타단부에는 제2a원통결합부재(810a)가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첨부도면 제2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a)는; 상기 제1결합수단(100)의 제1결합부재(120) 외주면에 밀착된채, 고정되게 결합되며, 제2a원통결합부재(810a)는; 상기 제3결합수단(300)에 구성되는 제3고정수단(310)의 클램프체(312)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톱튜브(40)의 양단부에 헤드튜브(10)와 시트튜브(20)는 상호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9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a)는 원통형상의 원통체(801a)가 구성되어 상기 톱튜브(40)의 일단부 내측에 밀착된채, 접착제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제1원통결합부재(800a)의 원통체(801a) 일측에는; 다 수개의 체결홀(805a)이 형성된채, 톱튜브(40)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고정부재(840a)가 밀착되게 관통됨과 아울러 제1원통결합재(800a)의 체결홀(805a)에 체결되어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a)는 톱튜브(40)의 일단부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a)의 원통체(801a) 타측에는; 직경이 단차지게 확장되는 단차부(802a)가 구성됨과 아울러 다 수개의 고정홀(806a)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120)의 원통벽체(122)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홀(122a)과 결합된채, 고정볼트(840c)로 체결된다.
상세하게는 첨부도면 제23도중 "도23-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20)에 구성되는 원통벽체(122)의 외주면에는 다 수개의 체결홀(122a)이 형성된채,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800a)의 고정홀(806a)과 결합되어 고정볼트(840c)로 체결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2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톱튜브(40)의 일단부에는 제1원통결합부재(800a)의 원통체(801a)가 접착제로 고정되게 부착된채, 고정볼트(840c)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헤드튜브(10)에 고정되게 결합되므로 상술한 인출로프(60)의 결합수단과 더블어 더 강력한 결합수단이 연출되게 된다.
또 한편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9도 내지 제20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2a원통결합부재(810a)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체(811a)로 구성된채, 원통체(811a)의 외주면 일측(우측)에는 다 수개의 체결홀(815a)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원통체(811a)의 외주면 타측에는 직경이 단차지게 확장되는 단차부(812a)를 갖는 원통벽체(813a)가 구성되어 상기 원통벽체(813a)의 축방향 외측에는 고정홀(817a)이 형성된 고정체(816a)가 구성됨과 아울러 원통벽체(813a)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814a)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톱튜브의 타단부(좌측) 내측에는 제2a원통결합부재(810a)의 원통체(811a) 외주면이 밀착된채, 접착제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톱튜브(40)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고정부재(840b)가 밀착되게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a원통결합부재(810a)의 체결홀(815a)에 고정되게 체결되며, 이 때 톱튜브(40)의 타단부(우측)는 상기 제2a원통결합부재(810a)의 단차부(812a)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또한 첨부도면 제2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2a원통결합부재(810a)의 고정체(816a)는 상기 제3고정수단(310)의 클램프체(312)에 배치된채, 고정볼트(340)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톱튜브(40)의 타단부에는 제2a원통결합부재(810a)가 접착제로 고정되게 부착된채, 고정볼트(840b)로 고정됨과 아울러 제3고정수단(310)의 클램프체(312)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술한 인출로프(60)의 결합수단과 더불어 더 강력한 결합수단이 연출되게 된다.
이하 보텀튜브(50)에 구성되는 상술한 원통결합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9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보텀튜브(5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3원통결합부재(820a)는 상술한 제1원통결합부재(800a)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하고, 또한 제4a원통결합부재(830a)는 상술한 제2a원통결합부재(82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는데 있어서, 첨부도면 제20도중 "도20-1" 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4a원통결합부재(830a)의 원통체(831a) 일측에는 축방향으로 고정홀(837a)이 형성된 원통결합체(836a)가 구성되어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4고정수단(410)의 고정체(412)에 결합되게 된다.
첨부도면 제20도는 첨부도면 제19도에 예시되는 제2a원통결합부재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로써, 상기 원통벽체의 외측에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체(816a)가 구성된채, 상기 고정체(816a)에는 고정홀(817a)이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제2a원통결합부재(810a)가 상기 제3고정수단(310)의 클램프체(312)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인출로프 단부가 제1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다른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17도 및 제18도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1결합부재(120)의 원통벽체(122) 내측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디스크링 형상의 로프 결합부재(140)가 배치된채, 상기 고정체(113)에 고정너트(130)가 체결되며, 또한 로프 결합부재(140)에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141)가 형성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8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로프결합구(141)는 제1결합부재(120)의 중심선 상측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17도중 "도17-1" 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20)의 내측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로프 결합부재(140)의 로프결합구(141)에 인출로프(60a)가 관통된채, 인출로프(60)의 단부에 매듭부(60c)가 형성되어 상기 로프결합구(141)에 고정되게 결속됨과 아울러 상기 로프 결합부재(140)는 제1고정수단(110)의 고정체(113) 및 고정너트(130)에 의하여 고정되게 되므로 복 수개의 인출로프(60a),(60b)는 상기 제1결합부재(120) 내측에 제공되는 로프 결합부재(140)에 보다 원만하게 결속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제1결합부재(120) 내측에 제공되는 로프 결합부재(140)는 제2결합부재 내지 제4결합부재(420) 내측에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또한 다양한 다른 형태의 유사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였으며,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자전거의 보텀브라켓쉘(30) 상측으로 입설되는 시트튜브(20) 전방에 헤드튜브(10)가 배치되어 상기 시트튜브(20)와 헤드튜브(10)는 톱튜브(40) 및 보텀튜브(50)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시트튜브(20) 후방으로 시트스테이(80)가, 보텀브라켓쉘 후방으로 체인스테이(70)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톱튜브(40)와 보텀튜브(50) 각각의 내측에는 첨부도면 제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로프꼬임기(700),(700A)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로프꼬임기(700),(700A)를 관통하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60)(61)가 배치된채, 상기 톱튜브(40)와 보텀튜브(50) 양단부 각각에는 원통결합부재(800),(810),(820),(83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헤드튜브(10)의 상측에 "도2-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1고정수단(110)이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제1결합부재(120)가 결합된 제1결합수단(100)이 구성되고, 상기 시트튜브(10)의 상측에는 "도2-2" 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3고정수단(310)이 결합된채, 상기 제3결합부재(320)가 결합된 제3결합수단(300)이 구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2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20)와 제3결합부재(320) 각각에 톱튜브(40)가 배치된채, 제1결합부재(120)와 제3결합부재(320) 각각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60a),(60b),(60a'),(60b')가 상호 마주보며 동일한 길이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톱튜브(40) 내측에 제공되는 로프꼬임기(700)를 구동하게 되면, 로프꼬임기(700)의 웜휠(720)에 형성되는 꼬임안내로(723)가 회전하게 되면서, 복 수개의 인출로프(60a),(60b),(60a'),(60b')는 로프꼬임기(700) 양단부에서 한 줄로 결합되는 인출로프 꼬임현상이 이루어져 한 줄의 꼬임로프(60ab),(60ab')가 형성됨과 아울러 인출로프 꼬임현상에 따른 꼬임로프(60ab),(60ab')의 길이가 짧아지는 인출로프(60a),(60b),(60a'),(60b') 인장력이 발생되어 제1결합부재(120)에 결합된 헤드부재(10)와, 제3결합부재(320)에 결합되느 시트튜브(20)는 톱튜브(40)의 양단부에 각각 밀착된채, 인출로프(60a),(60b),(60a'),(60b')의 인장력으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톱튜브(40)의 내측은 상기 제1결합부재(120) 및 제3결합부재(320)에 의하여 밀폐됨과 아울러 로프꼬임기(700)에 제공되는 에어주입수단(770)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톱튜브(40)는 압축공기에 의한 강성력이 더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톱튜브(40)의 두께를 더 얇게 구성할 수 있어 상기 톱튜브(40)의 무게를 더 가볍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외력의 충격흡수가 개선된다.
그리고 또한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헤드튜브(10)의 하측에 "도2-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2고정수단(210)이 고정되게 결합된채, 제2결합부재(220)가 결합된 제2결합수단(200)이 구성되고, 상기 보텀브라켓쉘(30)에는 "도2-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4고정수단(410)이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제4결합부재(420)가 결합된 제4결합수단(400)이 구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2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2결합부재(220)와 제4결합부재(420) 각각에 보텀튜브(50)가 배치된채, 제2결합부재(220)와 제4결합부재(420) 각각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61a),(61b),(61a'),(61b')가 상호 마주보며 동일한 길이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보텀튜브(50) 내측에 제공되는 로프꼬임기(700A)를 구동하게 되면, 로프꼬임기(700A)의 웜휠(720A)에 형성되는 꼬임안내로(723A)가 회전하게 되면서, 복 수개의 인출로프(61a),(61b),(61a'),(61b')는 로프꼬임기(700A) 양단부에서 한 줄로 결합되는 인출로프 꼬임현상이 이루어져 한줄의 꼬임로프(61ab),(61ab')가 형성됨과 아울러 인출로프 꼬임현상에 따른 인출로프(61a),(61b),(61a'),(61b')의 길이가 짧아지는 인출로프(61a),(61b),(61a'),(61b') 인장력이 발생되어 제2결합부재(220)에 결합된 헤드부재(10)와, 제4결합부재(420)에 결합되느 보텀브라켓쉘(30)은 보텀튜브(50)에 양단부에 각각 밀착된채, 인출로프(61a),(61b),(61a'),(61b')의 인장력으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텀튜브(50)의 내측은 상기 제2결합부재(220) 및 제4결합부재(420)에 의하여 밀폐됨과 아울러 로프꼬임기(700A)에 제공되는 에어주입수단(770A)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보텀튜브(50)는 압축공기에 의한 강성력이 더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보텀튜브(50)의 두께를 더 얇게 구성할 수 있어 상기 보텀튜브(50)의 무게를 더 가볍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외력의 진동흡수가 개선된다.
또 한편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6결합수단(600)은 상기 보텀브라켓쉘(30)의 내측에 제공되는 원통부재(620)에 자전거 체인스테이를 구성하는 헤드부재(630)가 링크결합으로 결합된채, 상기 헤드부재(630)의 꼬리부에 복 수개의 고정홀(633a)이 형성되어 자전거 체인스테이가 고정볼트 등으로 조립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3결합수단(300)의 고정수단(310) 후방으로 상기 시트스테이 결합부(315)가 구성된채, 자전거 시트스테이가 조립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은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용접부가 생략되며, 또한 카본 프레임과 같은 일체형의 가압성형품이 생략됨과 아울러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카본, 티타늄, 스틸, 대나무 등등의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는 간단한 조립방식으로 자전거 프레임이 구성되어 자전거 프레임 제작성이 간단하며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양한 수단에 의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 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헤드튜브 20 : 시트튜브
30 : 보텀브라켓쉘 40 : 톱튜브
50 : 보텀튜브 60,61 : 인출로프
70 : 체인스테이 80 : 시트스테이
100 : 제1결합수단 110 : 제1고정수단
120 : 제1결합부재 130 : 고정너트
200 : 제2결합수단 210 : 제2고정수단
220 : 제2결합부재 230 : 고정부재
300 : 제3결합수단 310 : 제3고정수단
315 : 시트스테이 결합부 320 : 제3결합부재
400 : 제4결합수단 410 : 제4고정수단
420 : 제4결합부재 500 : 제5결합수단
510 : 제5고정수단 520 : 제5결합부재
600 : 제6결합수단 610 : 축수부재
620 : 원통부재 630 : 헤드부재
634 : 고정부재 637 : 수용부재
700 : 로프꼬임기 710 : 원통벽체
720 : 웜휠 723 : 꼬임안내로
730 : 웜기어 731 : 웜샤프트
740 : 웜고정부재 741 : 결합체
742 : 고정체 750 : 안내부재
751 : 커버링 760 : 고정부재
770 : 에어 주입수단 800/810/820/830 : 원통결합부재

Claims (28)

  1. 자전거 프레임의 보텀브라켓쉘에 시트튜브가 입설된채, 시트튜브 전방에 헤드튜브가 배치되어 상기 헤드튜브와 시트튜브는 톱튜브 및 보텀튜브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시트튜브 후방으로 시트스테이가, 상기 보텀브라켓쉘 후방으로 체인스테이가 구성되어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톱튜브와 보텀튜브 각각의 내측에는; 로프꼬임기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로프꼬임기를 관통하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배치되는 것과;
    상기 헤드튜브에는; 제1결합수단 및, 제2결합수단이 구성되며, 상기 시트튜브에는; 제3결합수단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보텀브라켓쉘에는; 제4결합수단 및 제5결합수단이 구성되어 보텀브라켓쉘에 시트튜브가 입설된채, 상기 보텀브라켓쉘에는; 제6결합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체인스테이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제1결합수단과 제3결합수단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상호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2결합수단과 제4결합수단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로프꼬임기에 의한 인출로프 인장력으로 헤드튜브와 시트튜브는 톱튜브에 고정되며, 헤드튜브와 보텀브라켓쉘은 보텀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튜브에는; 헤드튜브의 외주면에 제1고정수단이 결합된채, 톱튜브 및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가 결합된 제1결합수단이 구성되며, 또한 헤드튜브의 하측 외주면에 제2고정수단이 결합된채, 보텀튜브 및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가 결합된 제2결합수단이 구성되는 것과;
    상기 시트튜브에는; 시트튜브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되는 클램프링 및 클램프체로 구성되는 제3고정수단이 결합된채, 톱튜브 및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제3결합부재가 결합된 제3결합수단이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3고정수단의 후방에 시트스테이 결합부가 구성되어 시트스테이가 시트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보텀브라켓쉘에는; 보텀브라켓쉘의 외주면에 제4고정수단이 고정되게 결합된채, 보텀튜브 및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제4결합부재가 결합된 제4결합수단이 구성되며, 또한 시트튜브가 결합되는 제5고정수단 및 제5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제5결합수단이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결합수단은; 상기 보텀브라켓쉘 양단부 내측에 자전거 크랭크 축을 지지하는 축수부재가 제공된채, 각각의 축수부재에는 원통부재가 결합되며, 또한 보텀브라켓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슬로트가 형성되어 자전거 체인스테이를 구성하는 헤드부재가 슬로트를 통하여 상기 원통부재에 링크결합되는 특징으로 체인스테이가 보텀브라켓쉘에 링크결합으로 고정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톱튜브 내측에는; 상기 로프꼬임기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톱튜브 외주면에는 로프꼬임기를 구동하는 구동기구가 출입하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과;
    헤드튜브와 시트튜브 사이에 톱튜브가 배치된채, 헤드튜브의 제1결합수단에 구성되는 제1결합부재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 일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시트튜브의 제3 결합수단에 구성되는 제3결합부재에 상기 복 수개의 인출로프 타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구동기구를 이용하여 로프꼬임기를 구동시키면,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상호 꼬임작용이 이루어져 길이가 짧아지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특징으로 헤드튜브와 시트튜브가 톱튜브에 밀착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5. 제 4항에 있어서,
    톱튜브의 일단부에는 제1원통결합부재가, 톱튜브의 타단부에는 제2원통결합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것과;
    상기 로프꼬임기에는; 로프꼬임기의 구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및 톱튜브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수단이 각각 결합된채, 톱튜브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구로 밀착되게 관통되어 톱튜브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톱튜브 내측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차단되는 것과;
    상기 제1결합부재와 제1원통결합부재가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3결합부재와 제2원통결합부재가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어 톱튜브 내측이 밀폐되는 것과;
    상기 안내부재를 통하여 구동기구를 이용하여 로프꼬임기를 구동시키면,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상호 꼬임작용 및 인출작용이 이루어져 헤드튜브와 시트튜브가 톱튜브 양단부에 밀착되게 고정됨과 아울러 에어주입수단으로 톱튜브 내측에 압축공기가 충전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은: 헤드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의 외측면에 평면체 및 고정체가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가 결합되는데 있어서,
    제1결합부재는; 고정홀이 형성된 원통벽체 및 톱튜브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가 구성되어 제1고정수단의 평면체 및 고정체에 결합된채, 고정너트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제1결합부재의 원통벽체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제1결합부재에는; 인출로프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톱튜브가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수단은: 헤드튜브 하측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제2고정수단의 일측에 경사결합체가 구성된채,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제2결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제2결합부재는; 고정홀이 형성된 원통벽체 및 보텀튜브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가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수단의 경사결합체 및 체결홀과 결합된채, 상기 체결홀에 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제2결합부재의 원통벽체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제2결합부재에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보텀튜브가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수단은; 시트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링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클램프체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제3고정수단에 상기 제3결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제3결합부재는; 원통형상의 원통벽체에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체가 구성된채, 고정체에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체의 절개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원통벽체의 일측에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가 구성된채, 원통벽체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제3결합부재에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결합된채, 톱튜브가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결합수단은; 고정체 및 평면체가 구성된 제4고정수단이 보텀브라켓쉘의 외주면에 전방 상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제4고정수단에 제4결합부재가 구성되는데 있어서,
    제4결합부재는; 고정홀이 형성된 원통체 및 원통벽체가 구성된채, 보텀튜브가 결합되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결합체가 구성되어 제4고정수단의 고정체와 결합되며, 또한 원통벽체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제4결합부재에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결합된채, 보텀튜브가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6결합수단은; 상기 축수부재의 내측에 상기 크랭크 축이 관통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재가 결합되며, 또한 보텀브라켓쉘 외주면의 일측 후방에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채, 원주상의 슬로트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슬로트를 통하여 보텀브라켓쉘 내측으로 한 쌍의 헤드부재가 삽입되어 원통부재의 양측에 링크결합으로 결합되는데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 선단부에는;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게 회동되는 링크구가 형성되며, 또한 헤드부재 꼬리부에는 자전거 체인스테이 몸체와 결합되는 복 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한 쌍의 헤드부재는; 상호 마주보며, 고정부재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재의 꼬리부는 소정의 각도(A1) 및 간격(D1)으로 이격된채, 한 몸체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보텀브라켓쉘 내측에 구성되는 원통부재에 자전거 체인스테이의 헤드부재가 링크결합의 조립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1. 제 4항에 있어서,
    로프꼬임기는; 원통형상으로 일단부가 개방되는 원통체가 구성되며, 타단부는 원통벽체가 구성된채, 원통벽체에 웜휠 및 웜기어가 결합되어 로프꼬임기가 톱튜브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상기 웜휠은; 웜휠기어부와 웜휠샤프트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벽체에 축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또한 웜휠의 내측 양단부가 축방향으로 상호 관통되어 상기 인출로프가 관통되는 복 수개의 꼬임안내로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웜기어는; 웜휠에 결합되는 웜기어 양측에 웜샤프트가 구성된채, 양측의 웜샤프트에는 웜기어를 회동되게 지지하는 웜고정부재가 제공되어 상기 원통벽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웜기어가 구동되면, 웜휠의 꼬임안내로에 배치되는 복 수개의 인출로프 꼬임작용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2. 제 11항에 있어서,
    로프꼬임기는; 웜기어의 웜샤프트 단부에 각형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원통벽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웜고정부재의 일측에는; 구동기구가 출입하는 파이프 형상의 안내부재가 결합된채, 안내부재의 내측에 커버링이 체결되며, 또한 상기 안내부재의 일단부는 톱튜브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구에 밀착된채, 관통되어 톱튜브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안내부재를 통하여 구동기구가 삽입되어 웜샤프트의 요홈과 결합된채, 웜기어를 회전시키면, 웜휠이 회전됨과 아울러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회전되면서 상호 꼬임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꼬임기의 원통벽체 상측 축방향으로 축수홀이 형성되어 상기 웜휠의 웜휠샤프트가 결합되고, 또한 상기 웜휠샤프트 일측에 고정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웜휠이 원통벽체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웜기어는; 상기 웜휠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웜기어 양측으로 상기 웜고정부재가 상호 마주보며 배치된채, 웜고정부재에 구성되는 고정체가 상기 원통벽체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웜기어의 회전에 따라 웜휠이 회전되어 인출로프 꼬임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꼬임기의 원통벽체 하측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체결홀이 형성된채, 상기 체결홀의 상단부에는 원통벽체 일측으로 연통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것과;
    톱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통벽체의 체결홀과 연통되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수단이 상기 결합구에 밀착되게 관통하여 원통벽체의 체결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에어주입수단을 통하여 로프꼬임기 내측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웜고정부재에는; 웜샤프트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축수부 및 상기 안내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채, 상기 원통벽체에 결합되며, 톱튜브의 외주면에는; 웜고정부재의 상기 체결홀과 연통되는 결합구가 상호 마주보며 형성된채, 상기 안내부재는 톱튜브의 상기 결합구에 밀착되게 관통하여 각각의 웜고정부재의 체결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웜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로프꼬임기가 톱튜브 내측에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6. 제 15항에 있어서,
    웜고정부재는; 상기 원통벽체에 고정되는 고정체가 구성된채, 상기 고정체의 상측으로 "T" 형의 결합체가 구성되어 결합체의 일측에는 상기 축수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체의 타측에는 상기 축수부와 연통되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는 특징으로 웜고정부재의 축수부에는; 웜샤프트가 회동되게 결합되며, 또한 웜고정부재의 체결홀에는 안내부재가 고정되게 체결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7. 제 4항 또는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꼬임기의 웜휠 중심선은 톱튜브 중심선상에서 상측으로 배치되는 것과;
    상기 복 수개의 인출로프는; 로프꼬임기의 웜휠 중심선과 동일 선상에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제3결합부재의 상측에 상호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로프꼬임기의 웜휠 양단부에 인출로프의 꼬임상태가 원만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8. 제 6항에 있어서,
    제1고정수단의 내측부는 헤드튜브를 밀착되게 감싸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채, 상기 평면체의 외측면에는 고정홀이 복 수개 형성되는 것과;
    헤드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고정수단의 고정홀과 결합되는 결합구가 복 수개 형성되어 제1고정수단의 고정홀과 관통된채, 헤드튜브의 외주면과 제1고정수단의 내측부는 접착제로 고정되게 부착되며, 또한 헤드튜브 내측에서 제1고정수단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특징으로 제1고정수단이 헤드튜브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의 평면체 외측면에는 소정의 각도(A2)로 경사지도록 구성된채, 상기 고정홀이 복 수개 형성되는 특징으로 헤드튜브 내측에서 외측으로 제1고정수단의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가 헤드튜브의 중심선에서 소정의 각도(A3)로 결함됨과 아울러 고정너트가 상기 외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제1고정수단이 헤드튜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고정수단은; 상기 평면체의 하측에 전방벽체 및 후방벽체가 구성된채, 후방벽체는 전방벽체의 높이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4고정수단의 평면체는 보텀브라켓쉘의 외주면에서 소정의 각도로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평면체의 상측 수직으로 상기 고정체가 돌출되게 구성된채, 상기 고정체와 전방벽체 사이의 가장자리 평면체에는 복 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보텀브라켓쉘 내측에서 외주면으로 고정볼트가 관통된채, 상기 평면체의 고정홀을 관통하여 고정너트로 체결되는 특징으로 제4고정수단은 보텀브라켓쉘 외주면에 전방 상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텀브라켓쉘 양단부에 제공되는 각각의 축수부재에는 베어링이 수용되는 베어링안착부 외측으로 결합체가 구성된채, 단차지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보텀브라켓쉘 외주면에는; 축수부재의 결합체 단부와 연통되는 슬로트가 형성된채, 슬로트 각각으로 상기 헤드부재가 삽입되어 헤드부재의 링크구 각각으로 상기 원통부재가 밀착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또한 원통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축수부재의 결합부가 결합되어 체인스테이의 헤드부재는 보텀브라켓쉘의 원통부재에 링크결합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텀브라켓쉘에 형성되는 상기 슬로트의 폭은 체인스테이의 헤드부재가 밀착 슬라이딩되게 출입되는 크기(T/T')로 형성되며, 또한 슬로트 폭의 길이(W1)는 보텀브라켓쉘의 원주상으로 체인스테이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는 범위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체인스테이가 보텀브라켓쉘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로 회동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헤드부재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채,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어 각각의 헤드부재는 한 몸체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제1고정부재의 길이보다 크게 구성되어 헤드부재 꼬리부 폭이 더 크게 확장되는 것과;
    상기 헤드부재에는;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수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수용부재 내측에는 만곡지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제2고정부재가 수용부재의 수용홈에 회동되게 구성되며, 또한 헤드부재의 꼬리부는 소정의 간격(D1)으로 마주보며 이격된채, 소정의 각도(A1)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특징으로 각각의 체인스테이 내측에 자전거 후륜휠이 배치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4. 제 6항에 있어서,
    제1결합부재의 원통벽체 내측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디스크 링형상의 로프 결합부재가 배치된채, 상기 고정체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며, 또한 로프 결합부재에 복 수개의 로프결합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제1결합부재에 복 수개의 인출로프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5. 제 5항에 있어서,
    제1원통결합부재 및 제2원통결합부재 각각에는 입구측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경사내경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제3결합부재 각각에 형성되는 원통결합체의 입구측으로 외경이 감소되는 경사외경부가 구성되는 특징으로 제1원통결합부재의 경사내경부와 제1결합부재의 경사외경부가 상호 경사지게 밀착 결합되고, 또한 제2원통결합부재의 경사내경부와 제3결합부재의 경사외경부가 상호 경사지게 밀착 결합되어 톱튜브 내측이 밀폐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6. 제 4항에 있어서,
    톱튜브의 일단부에는 제1원통결합부재가, 톱튜브의 타단부에는 제2a원통결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제1원통결합부재는; 상기 제1결합수단의 제1결합부재 외주면에 밀착된채, 고정되게 결합되며, 제2a원통결합부재는; 상기 제3결합수단에 구성되는 제3고정수단의 클램프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톱튜브를 통하여 헤드튜브와 시트튜브는 상호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는 원통형상의 원통체가 구성되어 상기 톱튜브의 일단부 내측에 밀착된채, 접착제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제1원통결합부재의 원통체의 일측에는; 다 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채, 톱튜브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고정부재가 밀착되게 관통됨과 아울러 제1원통결합재의 체결홀에 고정되게 체결되는 것과;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의 원통체 타측에는; 외주면이 단차지게 확장되는 단차 부가 구성됨과 아울러 다 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의 원통벽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홀과 결합된채,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특징으로 상기 제1원통결합부재가 포함된 톱튜브의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수단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a원통결합부재는; 입구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원통체로 구성된채, 원통체의 외주면 일측에는 다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 타측에는 직경이 단차지게 확장되는 단차부를 갖는 원통벽체가 구성되어 상기 원통벽체의 외측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체가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원통벽체에는 인출로프가 결합되는 복 수개의 로프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과;
    톱튜브의 타단부 내측에는 상기 제2a원통결합부재의 원통체 외주면이 밀착된채, 접착제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톱튜브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고정부재가 밀착되게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a원통결합부재의 원통체에 형성되는 체결홀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a원통결합부재의 고정체가 상기 제3고정수단의 클램프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1020190024406A 2019-02-28 2019-02-28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10220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06A KR102209043B1 (ko) 2019-02-28 2019-02-28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06A KR102209043B1 (ko) 2019-02-28 2019-02-28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46A true KR20200105346A (ko) 2020-09-07
KR102209043B1 KR102209043B1 (ko) 2021-01-28

Family

ID=7247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06A KR102209043B1 (ko) 2019-02-28 2019-02-28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0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449A1 (ko) 2020-08-21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음극의 전리튬화 장치 및 음극의 전리튬화 방법
KR20220169455A (ko) * 2021-06-19 2022-12-27 김원봉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5000A (ko) * 1981-02-20 1983-07-23 원본미기재 분해 가능한 자전차 프레임
CN2167934Y (zh) * 1993-08-11 1994-06-08 纪国昌 自行车车管与接头的连接结构
JPH0739921A (ja) * 1993-07-30 1995-02-10 Fuji Dies Kk フレー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15861A (ja) * 1997-10-21 1999-04-27 Tookado:Kk 自転車の軸間調整装置
KR20070095071A (ko) * 2006-03-20 2007-09-28 강재규 자전거 프레임
KR100938175B1 (ko) * 2009-07-06 2010-01-21 제너럴로터(주) 자전거의 프레임 결합구조
KR20180138509A (ko) * 2017-06-21 2018-12-31 김원봉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5000A (ko) * 1981-02-20 1983-07-23 원본미기재 분해 가능한 자전차 프레임
JPH0739921A (ja) * 1993-07-30 1995-02-10 Fuji Dies Kk フレー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67934Y (zh) * 1993-08-11 1994-06-08 纪国昌 自行车车管与接头的连接结构
JPH11115861A (ja) * 1997-10-21 1999-04-27 Tookado:Kk 自転車の軸間調整装置
KR20070095071A (ko) * 2006-03-20 2007-09-28 강재규 자전거 프레임
KR100938175B1 (ko) * 2009-07-06 2010-01-21 제너럴로터(주) 자전거의 프레임 결합구조
KR20180138509A (ko) * 2017-06-21 2018-12-31 김원봉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449A1 (ko) 2020-08-21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음극의 전리튬화 장치 및 음극의 전리튬화 방법
KR20220169455A (ko) * 2021-06-19 2022-12-27 김원봉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043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043B1 (ko)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US9550547B2 (en) Assembly of toothed wheels for a bicycle
US9259777B2 (en) Unitary crank spindle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050046143A1 (en) Frame assembly for a bicycle
EP1595749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latine de support d'un absorbeur d'énergie d'un pare-chocs et platine de support obtenue par un tel procédé
EP260341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bicycle control cables
US20090236817A1 (en) Bicycle Fork and Steering Tube
US20070257548A1 (en) Connecting system for tensile elements
US5080384A (en) Bicycle frame
US9533731B2 (en) Bicycle handlebars with portion with doubled section
CN107253510A (zh) 前拨链器
US20090197718A1 (en) Bicycle rear derailleur
CN104512520A (zh) 拨链器
CN101346560A (zh) 无声链及其制造方法
US20170305189A1 (en) Hub and wheel
KR102161357B1 (ko)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GB2471041A (en) Bicycle frame having clamps at head and seat tubes
CN107107949A (zh) 用于车辆转向器的齿条滚珠螺母组件及其相关部件
US20110272999A1 (en) Wheel
KR102387330B1 (ko)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102281551B1 (ko)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102039253B1 (ko)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KR101942231B1 (ko) 자전거 조립식 프레임
JP4494034B2 (ja) 変速用ケーブル配設構造
CN114750867B (zh) 用于自行车的前叉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