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710A - 악기용 송신기 및 그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악기용 송신기 및 그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710A
KR20200103710A KR1020207019740A KR20207019740A KR20200103710A KR 20200103710 A KR20200103710 A KR 20200103710A KR 1020207019740 A KR1020207019740 A KR 1020207019740A KR 20207019740 A KR20207019740 A KR 20207019740A KR 20200103710 A KR20200103710 A KR 2020010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cceleration
transmitter
value
threshol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111B1 (ko
Inventor
히로시 야마테
신지 아사카와
마사토 우에노
료 스사미
Original Assignee
로란도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란도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로란도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6Means for processing the signal picked up from the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8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e.g. radio, light,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95Acceleration sensing or accelerometer use, e.g. 3D movement computation by integration of accelerometer data, angle sens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i.e. gravity sen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25Computing or signal processing architecture features
    • G10H2230/035Power management, i.e. specific power supply solution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auto power shut-off, energy saving designs, power conditioning, connector design, avoiding inconvenient wi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과제] 트랜스미터가 장착된 전자 악기의 미사용 상태를 적확하게 검출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악기용 송신기 및 그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전기 기타(20)에 장착된 악기용 송신기(1)는, 3축 가속도 센서(13)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Ax~Az)의 제곱합(S)이 절전 문턱값보다 작은 지속 시간이 절전 이행 시간보다 길어진 경우에, 전기 기타(20)의 미사용 상태라고 판단하여, 송신기(1)는 통상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따라서, 적확하게 절전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 중의 가속도(Ax~Az)가, 해제 문턱값(R)보다 작은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상이 된 경우 혹은 해제 문턱값(R)보다 큰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하가 된 경우에,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해제 문턱값(R)은 절전절전 이행하기 직전의 가속도(A1~A3)에 기초하여 산출되므로, 통상 모드로의 복귀를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기용 송신기 및 그 모드 전환 방법
본 발명은, 악기용 송신기 및 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악기용 송신기(트랜스미터)(15)는, 예를 들어 전기 기타(14)나 어깨걸이식 전자 키보드, 전자 색소폰 등의 휴대형 전자 악기에 장착되고, 이 전자 악기에서 발생된 음성 신호를 리시버(16)로 송신하는 것이다. 리시버(16)는, 트랜스미터(15)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앰프에 의해 증폭하고, 스피커(12)로부터 소리 출력한다. 이에 의해 휴대형 전자 악기의 연주를 즐길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5-052653호 공보
트랜스미터는, 주로 전지(배터리)로 구동되므로, 전자 악기의 미사용시에는, 전지 소비를 절약하기 위해 절전 모드로 전환된다. 그러나, 전자 악기의 미사용 상태는 음성 신호로 판단하였으므로, 전자 악기의 볼륨을 줄인 경우에는 미사용 상태의 판단이 곤란하였다. 또한, 전기 기타의 경우, 픽업 출력은 하이 임피던스이므로, 전원 험이나 형광등 잡음을 받기 쉽고, 개방현의 공명 등에 의해, 무조작시이어도 음성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음성 신호에 의한 미사용 상태의 판단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된 전자 악기의 미사용 상태를 적확하게 검출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악기용 송신기 및 그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악기용 송신기는, 악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본체 내부에 구비한 전지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것으로, 제1 모드와, 그 제1 모드보다 상기 전지의 소비 전력이 작은 제2 모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값이 일정 시간 일정 범위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로 이행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기용 송신기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값이 해제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제1 모드로 이행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해제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로서는, 상기 검출값이 해제 문턱값보다 작은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 이상이 된 경우 혹은 해제 문턱값보다 큰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 이하가 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혹은 둘 다의 경우를 말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모드 전환 방법은, 악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본체 내부에 구비한 전지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악기용 송신기에 있어서, 제1 모드에서 그 제1 모드보다 상기 전지의 소비 전력이 작은 제2 모드로 전환을 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본체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그 검출 공정에 의한 검출값이 일정 시간 일정 범위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로 이행하는 전환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드 전환 방법은, 제2 모드에서 그 제2 모드보다 상기 전지의 소비 전력이 큰 제1 모드로 전환을 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본체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그 검출 공정의 검출값이 해제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제1 모드로 이행하는 해제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해제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로서는, 상기 검출값이 해제 문턱값보다 작은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 이상이 된 경우 혹은 해제 문턱값보다 큰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 이하가 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혹은 둘 다의 경우를 말한다.
도 1의 (a)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악기용 송신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악기용 송신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악기용 송신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메인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해제 문턱값 설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의 (a)는 3축의 가속도 사이의 편차가 큰 경우의 해제 문턱값의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3축의 가속도 사이의 편차가 작은 경우의 해제 문턱값의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악기용 송신기(트랜스미터)(이하 「송신기」라고 함)(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b)는 송신기(1)의 사시도이다. 송신기(1)는, 휴대형 전자 악기, 예를 들어 어깨걸이식 전기 기타(20) 등에 장착되고, 그 전기 기타(20)로부터 입력한 음성 신호를, 악음을 출력하는 증폭 장치(30)에 무선 통신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1)에는, 송신기(1)의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전원 버튼(1a)과, 전기 기타(20) 등의 외부 장치와 접속하여, 그 외부 장치로부터의 음성 신호 등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단자(1b)가 배치된다.
전기 기타(20)는, 복수의 현과, 그 현에 접속된 전자 픽업(도시생략)을 가지며, 현의 진동을 전자 픽업에 의해 전기 신호(음성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송신기(1)와 전기 기타(20)는, 송신기(1)의 입력 단자(1b)와, 전기 기타(20)의 잭(도시생략)으로 접속된다. 전기 기타(20)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는, 송신기(1)의 입력 단자(1b)를 통해 송신기(1)에 입력되고, 그 음성 신호는 무선 통신으로 증폭 장치(30)로 송신되어, 증폭 장치(30)에 의해 악음이 출력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H)는 연주를 즐길 수 있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송신기(1)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송신기(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송신기(1)는, 충전식 전지(배터리)(B)로 구동된다. 즉, 전지(B)로부터 CPU(10)를 비롯한 송신기(1)의 각 부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어 송신기(1)가 구동된다. CPU(10)는 각 부의 제어를 행하는 연산 장치(제어부)로서, 3축 가속도 센서(예를 들어, STMicroelectronics사 제품 LIS2DH12)(13)가 접속되어 있다. 3축 가속도 센서(13)는, X축, Y축, Z축의 3방향의 가속도(Ax~Az), 중력, 진동, 움직임 및 충격을 검지 가능한 가속도 센서로서, 해제 문턱값 레지스터(13a)를 가지고 있다.
해제 문턱값 레지스터(13a)는, 송신기(1)의 절전 모드(CPU(10)의 슬립 상태인 제2 모드)를 해제하여, 통상 모드(제1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해제 문턱값(R)을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3축 가속도 센서(13)에 의해 검지된 가속도(Ax~Az) 중 어느 하나가, 해제 문턱값(R)보다 작은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상이 된 경우 혹은 해제 문턱값(R)보다 큰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하가 된 경우에, 3축 가속도 센서(13)에서 CPU(10)로 인터럽트 신호가 출력된다. CPU(10)는, 이러한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하면,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하여 메인 처리(도 3)의 실행을 개시한다. 즉 절전 모드를 해제한다.
플래시 ROM(11)은, 재기입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메인 처리(도 3) 등의 제어 프로그램(11a)을 기억함과 아울러, 절전 문턱값 메모리(11b)와, 절전 이행 시간 메모리(11c)를 가지고 있다. 절전 문턱값 메모리(11b)는, 통상 모드에서 송신기(1)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3축 가속도 센서(13)의 출력값인 가속도(Ax~Az) 각각의 샘플링한 값의, 전회 값과 이번 값의 차분값의 제곱합(S)(이하 「가속도(Ax~Az)의 차분값의 제곱합(S)」이라고 함)과 비교되는 절전 문턱값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절전 문턱값은, 송신기(1)의 정지 상태에서 검출되는 가속도(Ax~Az)의 차분값의 제곱합(S)에 따라 설정된다. 즉 정지 상태에서는, 송신기(1)에서 검지되는 가속도(Ax~Az)는, 중력 가속도 이외의 가속도는 검지되지 않으므로, 중력 가속도가 X축~Z축 방향으로 각각 분해된 가속도 벡터의 크기가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정지 상태에서 검출되는 가속도(Ax~Az)에 기초하여 「20」이 절전 문턱값으로서 설정된다.
절전 이행 시간 메모리(11c)는,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시간 조건인 절전 이행 시간이 기억되는 메모리이다. 3축 가속도 센서(13)의 출력값인 가속도(Ax~Az)의 차분값의 제곱합(S)이 절전 문턱값보다 작은 지속 시간이 절전 이행 시간보다 길어진 경우에, 송신기(1)는 통상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전 이행 시간의 초기값으로서 「3분」이 설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폭 장치(3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그 초기값을 「3분~30분」의 범위에서 설정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RAM(12)은, CPU(10)가 제어 프로그램(11a) 등의 프로그램 실행시에 각종 워크 데이터나 플래그 등을 재기입 가능하게 기억하는 메모리로서, 가속도 메모리(12a)와, 제곱합 메모리(12b)와, 차분값 메모리(12c)와, 문턱값 계수 메모리(12d)를 가지고 있다. 가속도 메모리(12a)는, 3축 가속도 센서(13)로부터 출력된 가속도(Ax~Az)를 각각 구별 가능하게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또한, 제곱합 메모리(12b)는, 가속도(Ax~Az)의 차분값의 제곱합(S)의 산출 결과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차분값 메모리(12c)는, 가속도(Ax~Az)의 3개의 가속도의 절대값 중 2번째로 큰 가속도와 3번째로 큰 가속도의 차분값(d)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이하, 가속도(Ax~Az)의 절대값 중 가속도가 큰 순으로 「가속도(A1), 가속도(A2), 가속도(A3)」라고 부른다. 문턱값 계수 메모리(12d)는, 해제 문턱값(R)을 산출할 때에, 가속도(A1~A3)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가산되는 계수인 문턱값 계수(α)가 기억되는 메모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속도(A1~A3)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에 따라 설정된 문턱값 계수(α)를 가산함으로써 해제 문턱값(R)이 산출된다.
입력부(14)는, 입력 단자(1b)(도 1의 (b))와 접속되어, 전기 기타(20)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음성 신호 등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 단자(1b)에 전기 기타(20)가 접속된 경우, 전기 기타(20)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 단자(1b)를 통해 입력부(14)에 입력된다. 또한, 입력부(14)는, 증폭 장치(30)의 출력부(30d)와도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들이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술한 절전 문턱값 메모리(11b)에 기억되는 절전 문턱값이나, 절전 이행 시간 메모리(11c)에 기억되는 절전 이행 시간 등을 증폭 장치(3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재기입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는 무선 통신에 의해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선 통신부(15)는 증폭 장치(30)의 리시버(30a)와 무선 접속되어, 송신기(1)에서 증폭 장치(30)로 음성 신호가 송신된다. 이상 설명한 CPU(10)와, 플래시 ROM(11)과, RAM(12)과, 입력부(14)와, 무선 통신부(15)는, 버스 라인(16)을 통해 각각 접속된다.
증폭 장치(30)는, 입력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송신기(1) 등과 무선 접속된다. 증폭 장치(30)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시버(30a)와, 수신한 음성 신호로부터 생성된 아날로그 악음을 증폭하기 위한 앰프(30b)와, 앰프(30b)에 의해 증폭된 아날로그 악음 신호를 악음으로서 발음(출력)하기 위한 스피커(30c)와, 송신기(1) 등의 외부 장치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출력부(30d)가 설치된다. 또, 송신기(1)의 입력부(14)(입력 단자(1b))와 증폭 장치(30)의 출력부(30d)가 접속된 경우는, 출력부(30d)에서 입력부(14)로 신호의 송신이 행해짐과 아울러, 입력 단자(1b)를 통해 송신기(1)로 전력이 공급되어, 송신기(1)의 전지(B)가 충전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송신기(1)의 CPU(10)에서 실행되는 메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처리는, 송신기(1)의 전원 투입시에 실행됨과 아울러, 3축 가속도 센서(13)에서 CPU(10)로 인터럽트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도 실행된다.
메인 처리에서는, 우선 타이밍 카운터(i)를 0으로 초기화한다(S1). 타이밍 카운터(i)는, 후술하는 S5~S7의 처리에서, 가속도(Ax~Az)의 차분값의 제곱합(S)이 절전 문턱값보다 작은 지속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한 결과를 절전 이행 시간과 비교하기 위한 카운터 변수이다. S1의 처리 후, 전기 기타(20)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부(14)에 입력되어 있으면, 이러한 음성 신호를 무선 통신부(15)에 의해 증폭 장치(30)로 송신한다(S2). 이에 의해, 전기 기타(20)의 연주에 기초한 음성 신호가 증폭 장치(30)로 송신되고, 증폭 장치(30)에 의해, 이러한 음성 신호가 증폭되어 출력된다.
S2의 처리 후, 3축 가속도 센서(13)로부터 가속도(Ax~Az)를 취득하고, 각각 구별 가능하게 가속도 메모리(12a)에 저장한다(S3). 그리고, 가속도 메모리(12a)의 가속도(Ax~Az) 각각의 이전 값과 이번 값의 차분값의 제곱합(S)의 산출 결과를 제곱합 메모리(12b)에 저장하고(S4), 그 제곱합(S)이 절전 문턱값 메모리(11b)에 기억되는 절전 문턱값보다 작은지를 확인한다(S5).
절전 문턱값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력 가속도에 기초한 값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곱합(S)이 절전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는, 3축 가속도 센서(13)는 중력 가속도 이외의 가속도(Ax~Az)를 검지하지 않는다. 즉, 송신기(1)는 정지 상태(전기 기타(20)의 미사용 상태, 연주 정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H)에 의한 전기 기타(20)의 연주 조작은, 사용자(H)가 전기 기타(20)를 흔들어 움직이거나 현을 켜는 등의 비교적 진동이 큰 조작부터, 프렛을 바꿔 잡는다는 비교적 진동이 작은 조작까지 폭넓은 것이 있다. 진동이 작은 조작의 경우에서도, 3축 가속도 센서(13)는, 중력 가속도와, 진동이 작은 조작에 기초한 가속도를 검지하므로, 가속도(Ax~Az)로서 중력 가속도보다 큰 가속도가 검지된다. 그러면, 가속도(Ax~Az)의 차분값의 제곱합(S)은 절전 문턱값 이상이 되므로, 송신기(1)는 정지 상태가 아닌, 즉 전기 기타(20)의 연주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기(1)의 정지 상태(연주 정지 상태)의 판단을, 가속도(Ax~Az)와, 중력 가속도에 기초한 절전 문턱값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S5의 처리에서, 제곱합(S)이 절전 문턱값 메모리(11b)에 기억되는 절전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는(S5: Yes), 타이밍 카운터(i)에 1을 가산한다(S6). 그 후, 타이밍 카운터(i)가 절전 이행 시간보다 커졌는지를 확인하여(S7), 타이밍 카운터(i)가 절전 이행 시간보다 커진 경우, 즉 제곱합(S)이 절전 문턱값보다 작은 상태가 3분(절전 이행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는(S7: Yes), 해제 문턱값 설정 처리(S8)를 행하고, 그 후 CPU(10)를 슬립시켜(S9), 송신기(1)를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절전 모드에서는, 메인 처리의 실행이 정지된다.
한편, S7의 처리에서, 타이밍 카운터(i)가 절전 이행 시간 이하이면(S7: No), 제곱합(S)이 절전 문턱값보다 작은 지속 시간은 잠시이고, 이 경우에는 전기 기타(20)가 미사용 상태에 있다고는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처리를 S2로 이행하여, S2 이하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S5의 처리에서, 제곱합(S)이 절전 문턱값 메모리(11b)에 기억되는 절전 문턱값 이상이면(S5: No), 송신기(1) 및 전기 기타(20)에 어떠한 진동이 가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전기 기타(20)가 연주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처리를 S1로 이행하여, 타이밍 카운터(i)의 값을 0 클리어하고, S1 이하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 3의 해제 문턱값 설정 처리(S8)에 대해 설명한다. 해제 문턱값 설정 처리(S8)는, 절전 모드로 이행(도 3의 S9)하기 전에, 그 절전 모드의 해제 조건인 해제 문턱값(R)을 산출하고, 그 해제 문턱값(R)을 3축 가속도 센서(13)에 설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해제 문턱값 설정 처리(S8)에서는, 우선 가속도 메모리(12a)에 기억된 가속도(Ax~Az)의 절대값을 산출하여, 이들의 내림차순인 가속도(A1~A3)를 취득한다(S20). 다음에, 2번째로 가속도가 큰 가속도(A2)와 3번째로 가속도가 큰 가속도(A3)의 차분인 차분값(d)을 산출하여, 차분값 메모리(12c)에 저장한다(S21). 그 후, 가속도 A1과 A2의 차가 차분값(d)의 2배보다 큰지를 확인한다(S22). 여기서, 도 5의 (a)를 참조하여, S22의 처리와 이어지는 S23, S24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는,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가 큰 경우의 해제 문턱값(R)의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에서는, 가속도(Ax)가 가속도(A1)를 취하고, 가속도(Az)가 가속도(A2)를 취하며, 가속도(Ay)가 가속도(A3)를 취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우선, S21의 처리에서 가속도 A2와 A3의 차분값(d)이 산출된다. 그리고, 가속도 A1과 A2의 차가 차분값(d)의 2배보다 큰지 판단된다(S22). 즉 S22의 처리에서는,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가 큰지가 판단됨과 아울러, 가속도(A1)가 가속도(A2) 및 가속도(A3)와 비교하여 유난히 큰지 어떤지가 판단된다.
그리고, 가속도(A1)가 유난히 큰 경우는(S22: Yes), 차분값(d)이 문턱값 계수(α)가 되고(S23), 가속도(A2)에 문턱값 계수(α)를 가산한 것이 해제 문턱값(R)으로서 3축 가속도 센서(13)에 설정된다(S24). 즉, CPU(10)에 의해, 3축 가속도 센서(13)의 해제 문턱값 레지스터(13a)에 해제 문턱값(R)이 기억된다.
여기서, 해제 문턱값 설정 처리(S8)가 실행되는 것은, S5~S7의 처리(도 3)에 의해 송신기(1)가 계속해서 정지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이므로, 3축 가속도 센서(13)에서 검출하는 가속도는 중력 가속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a)의 경우, 가속도(A1)가 되는 X축 방향은, 중력 가속도가 걸리는 연직 방향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중력 가속도의 영향을 크게 받은 가속도(A1)에 기초하여 해제 문턱값(R)을 설정하면, 전기 기타(20)가 수직으로 들어올려졌다고 해도, 상당히 힘차게 들어올려지지 않으면 가속도(Ax)가 해제 문턱값(R)을 초과하는 일은 없다. 마찬가지로, 전기 기타(20)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렸다고 해도, 가속도(Ay, Az)가 해제 문턱값(R)을 초과하는 것은, 전기 기타(20)가 크게 흔들린 경우에 한정된다. 즉, 유난히 큰 가속도(A1)에 기초하여 해제 문턱값(R)을 설정해 버리면,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 복귀하는 「감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2번째로 큰 가속도(A2)에 대해 문턱값 계수(α)를 가산함으로써 해제 문턱값(R)을 산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기 기타(20)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린 경우는, 가속도(Ay, Az)가 해제 문턱값(R)을 초과한다. 또한, 전기 기타(20)가 수직으로 들어올려진 경우는, 중력 가속도와는 반대 방향으로 가속도가 걸리므로, 가속도(Ax)는, 가속도(A1)에서 가속도 0을 거쳐 마이너스의 가속도로 추이한다. 이 때, 가속도(Ax)는 해제 문턱값(R)을 초과한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하로 추이한다. 따라서, 가속도(Ax)가 해제 문턱값(R)을 초과한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하가 된 타이밍에 3축 가속도 센서(13)에서 CPU(10)로 인터럽트 신호가 출력되고, CPU(10)를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전기 기타(20)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린 경우에서도, 전기 기타(20)가 수직으로 들어올려진 경우에서도,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 확실히 복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문턱값 계수(α)는, 가속도(A2)와 가속도(A3)의 차분값(d)이므로,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를 고려한 해제 문턱값(R)이 된다. 따라서, 가속도(A1)가 유난히 큰 경우에서도,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의 복귀 감도가 양호한 해제 문턱값(R)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로 되돌아간다. S22의 처리에서, 가속도 A1과 A2의 차분이 차분값(d)의 2배 이하인 경우는(S22: No),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가 작고, 가속도(A1)가 돌출된 값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3축 모든 가속도(A1~A3)에 기초하여 문턱값 계수(α)가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가속도(A1)의 5%의 값을 문턱값 계수(α)로 하여, 문턱값 계수 메모리(12d)에 기억한다(S25). 여기서, S25의 처리와 이어지는 S26~S30의 처리에 대해, 도 5의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의 (b)는,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가 작은 경우의 해제 문턱값(R)의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b)에서는, 가속도(Ax)가 가속도(A1)를 취하고, 가속도(Ay)가 가속도(A2)를 취하며, 가속도(Az)가 가속도(A3)를 취한다. 그리고, 도 4의 S22의 처리에서, 가속도 A1과 A2의 차가 차분값(d)의 2배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로서,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는 작다. 따라서,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가 작으므로, 도 5의 (a)에서 상술한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가 큰 경우와 달리, 가속도(A1~A3) 전부에 기초하여 해제 문턱값(R)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가속도(A1)의 5%의 값이 문턱값 계수(α)로서 설정된다(도 4의 S25).
여기서, 문턱값 계수(α)는 가속도(A1)의 5%의 값이며, 해제 문턱값(R)은 가속도(A1)와 문턱값 계수(α)를 가산한 값이므로, 해제 문턱값(R)이 너무 크게 설정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는,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의 복귀 감도가 나빠진다. 반대로 해제 문턱값(R)이 너무 작게 설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복귀 감도는 나빠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제 문턱값(R)이 너무 크게 설정되는 것이나 너무 작게 설정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해제 문턱값(R)의 상한을 X축, Y축 또는 Z축 중 어느 1축에 중력 가속도가 걸린 경우의 가속도인 최대 중력 가속도(Am)로 하고, 한편, 해제 문턱값(R)의 하한을 X축, Y축 및 Z축에 평균적으로 중력 가속도가 걸린 경우의 가속도인 3축 평균 중력 가속도(Ac)로 한다. 이에 의해, 적어도 해제 문턱값(R)으로서 3축 평균 중력 가속도(Ac)가 설정되므로,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의 복귀 감도를 양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대 중력 가속도(Am)로서, X축, Y축 또는 Z축 중 어느 1축에 중력 가속도가 걸린 경우의 가속도인 「9.8m/s2」이 설정되고, 또한 3축 평균 중력 가속도(Ac)로서는, X축, Y축 및 Z축에 중력 가속도가 평균적으로 3분할된 경우의 가속도인 「3.3m/s2」이 설정된다.
도 4에서, S25의 처리 후, 가속도(A1)와 문턱값 계수(α)를 가산한 결과가 최대 중력 가속도(Am)보다 작은지를 확인한다(S26). 가속도(A1)와 문턱값 계수(α)의 가산 결과가 최대 중력 가속도(Am) 이상이면(S26: No), 이는 해제 문턱값(R)으로서는 너무 크다. 따라서, 그 경우에는, 문턱값 계수(α)에서 문턱값 계수(α)의 10%의 값을 감산하고(S29), S26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S26의 처리에서, 가속도(A1)와 문턱값 계수(α)를 가산한 결과가 최대 중력 가속도(Am)보다 작으면(S26: Yes), 나아가 그 가산 결과가 3축 평균 중력 가속도(Ac)보다 큰지를 확인한다(S27). 가속도(A1)와 문턱값 계수(α)의 가산 결과가 3축 평균 중력 가속도(Ac) 이하이면(S27: No), 이는 해제 문턱값(R)으로서는 너무 작다. 따라서, 그 경우에는, 문턱값 계수(α)에 문턱값 계수(α)의 10%의 값을 가산하고(S30), S27의 처리를 반복한다.
S27의 처리에서, 가속도(A1)와 문턱값 계수(α)의 가산 결과가 3축 평균 중력 가속도(Ac)보다 크면(S27: Yes), 해제 문턱값(R)이 되는 가속도(A1)와 문턱값 계수(α)의 가산 결과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축 평균 중력 가속도(Ac)와 최대 중력 가속도(Am)의 사이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산 결과를 해제 문턱값(R)으로서 3축 가속도 센서(13)에 설정한다(S28). 3축 가속도 센서(13)는, CPU(10)로부터 설정된 해제 문턱값(R)을 해제 문턱값 레지스터(13a)에 기억한다. 이와 같이,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가 작은 경우에서도, 가속도(A1)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의 복귀 감도가 양호한 해제 문턱값(R)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S24 및 S28의 처리 후는, 해제 문턱값 설정 처리(S8)를 종료하고, 도 3의 메인 처리로 되돌아가, CPU(10)를 슬립하여(S9),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절전 모드 중, 3축 가속도 센서(13)에 의해 검지된 가속도(Ax~Az) 중 어느 하나가, 해제 문턱값(R)보다 작은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상이 된 경우 혹은 해제 문턱값(R)보다 큰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하가 된 경우에, 3축 가속도 센서(13)에서 CPU(10)로 인터럽트 신호가 출력된다. CPU(10)는, 이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하면, 슬립 상태(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 복귀하여, 메인 처리(도 3)를 S1의 처리부터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제 문턱값(R)은,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직전의, 송신기(1)의 정지 상태의 가속도(A1~A3)와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에 기초하여 산출되므로, 절전 모드로 이행 후의 가속도의 변화에 따라, 송신기(1)를 적확하게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송신기(1)는, 송신기(1)의 통상 모드에서, 3축 가속도 센서(13)로부터 검출되는 가속도(Ax~Az)의 차분값의 제곱합(S)이, 중력 가속도에 기초한 절전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 정지 상태라고 판단하고, 그 정지 상태가 절전 이행 시간을 초과한 경우는, 전기 기타(20)의 미사용 상태라고 판단하여, 송신기(1)를 절전 모드로 이행시킨다. 이와 같이, 가속도(Ax~Az)에 기초하여 송신기(1)의 정지 상태 및 전기 기타(20)의 미사용 상태를 적확하게 검출하여, 절전 모드로의 이행을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 중에 검지되는 가속도(Ax~Az)가, 해제 문턱값(R)보다 작은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상이 된 경우 혹은 해제 문턱값(R)보다 큰 상태에서 해제 문턱값(R) 이하가 된 경우에,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여기서, 해제 문턱값(R)은,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직전의, 송신기(1)의 정지 상태의 가속도(A1~A3)와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에 기초하여 산출되므로, 절전 모드로 이행 후의 가속도의 변화에 따라, 송신기(1)를 적확하게 절전 모드에서 통상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개량 변경이 가능한 것은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악기의 예로서 휴대형의 어깨걸이식 전기 기타(20)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형 전자 악기, 예를 들어 어깨걸이식 전기 베이스나 어깨걸이식 전자 키보드나 전자 색소폰(전자 취주 악기) 등의 사용자(H)가 보유하여 연주하는 것으로, 증폭 장치(30)와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전자 악기이면 적절히 적용해도 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의 예로서는, 3축의 가속도 센서(13)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1축의 가속도 센서나 2축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S5의 처리(도 3)에서, 절전 문턱값과 가속도(Ax~Az)의 차분값의 제곱합(S)을 비교함으로써 송신기(1)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였지만, 그 대신에 절전 문턱값과 가속도(Ax~Az)의 합을 비교하여 송신기(1)의 정지 상태를 판단해도 되고, 이들의 곱이나 평균값과 비교하여 송신기(1)의 정지 상태를 판단해도 된다. 또, 이들 경우에는, 가속도(Ax~Az)의 합, 곱 또는 평균값에 따른 절전 문턱값이 설정된다.
S21, S22의 처리(도 4)에서,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를 판단하는 값으로서 가속도 A2와 A3의 차분값(d)을 이용하고, S23의 처리에서, 문턱값 계수(α)로서 이 차분값(d)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 차분값(d) 대신에, 실제 전기 기타(20)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산출한 상수를 플래시 ROM(11) 등에 기억해 두고, 이 상수에 의해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를 판단하거나, 이 상수를 문턱값 계수(α)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가속도 A1과 A2의 차분값의 절반값에 의해,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를 판단하거나, 이러한 값을 문턱값 계수(α)로서 이용해도 된다. 나아가 실제 전기 기타(20)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산출된 가속도(A1)와 가속도(A2)의 차에 해당하는 상수를 플래시 ROM(11) 등에 기억해 두고, 이 상수에 의해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를 판단하거나, 이 상수를 문턱값 계수(α)로서 이용해도 된다.
S21~S25의 처리(도 4)에서, 가속도(A1~A3) 사이의 편차가 작은 경우, 가속도(A1)의 5%를 문턱값 계수(α)로서 설정하였지만, 그 대신에 가속도(A2) 또는 가속도(A3)의 5%를 문턱값 계수(α)로서 설정해도 되고, 가속도(A1~A3)의 평균값의 5%를 문턱값 계수(α)로서 설정해도 된다. 나아가 미리 실제 전자 악기(예를 들어 전기 기타(20))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산출된 값을 플래시 ROM(11) 등에 기억해 두고, 이 값을 문턱값 계수(α)로서 이용해도 된다.
절전 모드로의 이행이나 통상 모드로의 복귀는, 송신기(1)에서만 행해졌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신기(1)의 절전 모드로의 이행시 혹은 통상 모드로의 복귀시에, 그 이행 신호 혹은 복귀 신호를, 증폭 장치(30)나 송신기(1)가 장착되는 전자 악기(예를 들어 전기 기타(20))로 송신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증폭 장치(30) 등에서 절전 모드로의 이행이나 통상 모드로의 복귀를 실행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든 수치는 일례로서, 다른 수치를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1 악기용 송신기
13 3축 가속도 센서(검출 수단, 3축의 가속도 센서)
20 전기 기타(전자 악기)
B 전지
R 해제 문턱값
S 제곱합
S3 검출 공정
S8 해제 문턱값 설정 처리(해제 문턱값 설정 수단)
S9 전환 수단, 전환 공정

Claims (9)

  1. 악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본체 내부에 구비한 전지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악기용 송신기로서,
    제1 모드와, 그 제1 모드보다 상기 전지의 소비 전력이 작은 제2 모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값이 일정 시간 일정 범위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로 이행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송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3축의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3축의 가속도 센서의 검출값의 제곱합이 일정 시간 일정 범위의 값인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로 이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송신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값이 해제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제1 모드로 이행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송신기.
  4. 악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본체 내부에 구비한 전지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악기용 송신기로서,
    제1 모드와, 그 제1 모드보다 상기 전지의 소비 전력이 작은 제2 모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값이 해제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제1 모드로 이행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송신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의 이행시에,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해제 문턱값을 설정하는 해제 문턱값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송신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3축의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해제 문턱값 설정 수단은, 상기 3축의 가속도 센서의 검출값 중 2번째와 3번째로 큰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해제 문턱값을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송신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3축의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해제 문턱값 설정 수단은, 상기 3축의 가속도 센서의 모든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해제 문턱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그 해제 문턱값은, 중력 가속도가 3축에 평균적으로 걸린 경우의 평균 중력 가속도 이상이며, 중력 가속도가 3축 중 어느 1축에 걸린 경우의 최대 중력 가속도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송신기.
  8. 악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본체 내부에 구비한 전지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악기용 송신기에 있어서, 제1 모드에서 그 제1 모드보다 상기 전지의 소비 전력이 작은 제2 모드로 전환을 행하는 모드 전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본체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그 검출 공정에 의한 검출값이 일정 시간 일정 범위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로 이행하는 전환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9. 악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본체 내부에 구비한 전지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악기용 송신기에 있어서, 제2 모드에서 그 제2 모드보다 상기 전지의 소비 전력이 큰 제1 모드로 전환을 행하는 모드 전환 방법으로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본체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그 검출 공정의 검출값이 해제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제1 모드로 이행하는 해제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KR1020207019740A 2018-01-08 2018-01-08 악기용 송신기 및 그 모드 전환 방법 KR102415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0138 WO2019135291A1 (ja) 2018-01-08 2018-01-08 楽器用送信機およ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710A true KR20200103710A (ko) 2020-09-02
KR102415111B1 KR102415111B1 (ko) 2022-06-30

Family

ID=6714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740A KR102415111B1 (ko) 2018-01-08 2018-01-08 악기용 송신기 및 그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42066B2 (ko)
EP (1) EP3739568B1 (ko)
JP (1) JPWO2019135291A1 (ko)
KR (1) KR102415111B1 (ko)
CN (1) CN111566725B (ko)
WO (1) WO2019135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7225B2 (ja) * 2018-04-19 2021-12-22 ローランド株式会社 電気楽器システム
WO2024089198A1 (de) * 2022-10-26 2024-05-02 Stefan Thiel Elektrisches musikinstrument energiespeicher für elektrisches musikinstru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7070A (ja) * 1995-10-02 1997-04-08 Yamaha Corp 演奏制御装置
JPH09269786A (ja) * 1996-04-02 1997-10-14 Yamaha Corp 電気弦楽器
US8237041B1 (en) * 2008-10-29 2012-08-07 Mccauley Jack J Systems and methods for a voice activated music controller with integrated controls for audio effects
JP2015052653A (ja) 2013-09-05 2015-03-19 ヤマハ株式会社 音波形データ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980A (ja) * 1999-06-14 2000-12-19 Audio Technica Corp 電気楽器
JP4375800B2 (ja) * 2005-09-22 2009-12-02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携帯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そ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学習方法
JP5331999B2 (ja) * 2007-08-10 2013-10-30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加速度検出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機器
CN101727164A (zh) * 2008-10-16 2010-06-09 达方电子股份有限公司 发光键盘模块及其省电方法
TW201118662A (en) * 2009-11-30 2011-06-01 Yin-Chen Chang Trace-generating systems and methods thereof
JP2013122669A (ja) * 2011-12-09 2013-06-20 Sony Corp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CN105247887A (zh) * 2013-06-07 2016-01-13 索尼公司 输入装置和传送方法、主机装置和接收方法以及信号处理系统和收发方法
WO2015085092A1 (en) * 2013-12-04 2015-06-11 Bean Robert Warren Protection system for individual mobile objects
CN204482003U (zh) * 2015-02-13 2015-07-15 广东新涛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无线话筒
JP6444288B2 (ja) * 2015-10-30 2018-12-26 株式会社ズーム コントローラ、音源モジュール及び電子楽器
US10568034B2 (en) * 2016-01-23 2020-02-18 Blustream Corporation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for monitoring a movable object
CN107181990A (zh) * 2016-03-11 2017-09-19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播音系统及其传声装置与电子装置的控制方法
WO2017195343A1 (ja) * 2016-05-13 2017-11-16 株式会社阪神メタリックス 楽音発生システム
JP6176372B2 (ja) * 2016-07-12 2017-08-09 ヤマハ株式会社 楽器および信号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7070A (ja) * 1995-10-02 1997-04-08 Yamaha Corp 演奏制御装置
JPH09269786A (ja) * 1996-04-02 1997-10-14 Yamaha Corp 電気弦楽器
US8237041B1 (en) * 2008-10-29 2012-08-07 Mccauley Jack J Systems and methods for a voice activated music controller with integrated controls for audio effects
JP2015052653A (ja) 2013-09-05 2015-03-19 ヤマハ株式会社 音波形データ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66725A (zh) 2020-08-21
CN111566725B (zh) 2024-03-19
EP3739568A4 (en) 2021-08-11
US20210056942A1 (en) 2021-02-25
KR102415111B1 (ko) 2022-06-30
JPWO2019135291A1 (ja) 2020-12-17
WO2019135291A1 (ja) 2019-07-11
EP3739568B1 (en) 2022-08-31
US11942066B2 (en) 2024-03-26
EP3739568A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3313B2 (ja) 運動検知装置および運動検知方法
US7216053B2 (en) Low power motion detector
KR102415111B1 (ko) 악기용 송신기 및 그 모드 전환 방법
US9093059B2 (e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musical sound gen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2346198B (zh) 感测装置以及电子设备
US20130243220A1 (en) Sound generation device, sound gen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sound generation program
US7985916B2 (en) Electronic wind instrument and zero point compensation method therefor
US8525006B2 (en)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recorded therein
JP2021107843A (ja) 電子楽器システムおよび楽器用コントローラ
US20010029783A1 (en) Acceleration detection device, method of detecting acceleration,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2007336513A (ja) 叩き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及び、携帯機器の操作システム、並びに、携帯機器
EP3783600B1 (en) Electric musical instrument system
US10796677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automatic power-off method
CN104981682A (zh) 电子设备
JP2019152563A (ja) 衝撃検出装置
KR20060130808A (ko) 움직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
TWI639343B (zh) 播音系統及其傳聲裝置與電子裝置之控制方法
US20080184797A1 (en) Hit command processing system, operation system for electronic instrument,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240007954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 Power Control Method for a Mobile Device
JP3674567B2 (ja) ヘッド装置及び電子打楽器
KR20050001756A (ko) 가속도 감지에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게임 기구 및 그방법
KR200300134Y1 (ko) 눕히면 우는 인형
KR2007006570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17173654A (ja) 電子管楽器、キー操作確定装置、電子楽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楽器のプログラム
JP2014204158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