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676A - 구내 촬영 장치, 의료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구내 촬영 장치, 의료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676A
KR20200103676A KR1020207018105A KR20207018105A KR20200103676A KR 20200103676 A KR20200103676 A KR 20200103676A KR 1020207018105 A KR1020207018105 A KR 1020207018105A KR 20207018105 A KR20207018105 A KR 20207018105A KR 20200103676 A KR20200103676 A KR 20200103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mises
photographing
image
imaging device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 오키야마
Original Assignee
아이리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리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리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61B1/00009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5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3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providing two or more waveleng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68Endoscop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92Stomach; Gas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68Image quality insp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구내(口內)의 소견에 차이가 나는 질환에 관한 판단의 보조 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구내 촬영 장치, 의료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며, 구내의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撮像) 디바이스와, 상기 촬상 디바이스의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소정의 질환의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구내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화상 및 상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질환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처리와, 상기 판정 처리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내 촬영 장치, 의료 장치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구내(口內)를 촬영하기 위한 구내 촬영 장치, 그 구내 촬영 장치와 구내 촬영 보조구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및 촬영된 구내 화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질환을 판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비특허 문헌 1은, 인두(咽頭)의 최심부(最深部)에 출현하는 림프 여포에는 인플루엔자에 특유의 패턴이 있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을 가지는 림프 여포를 인플루엔자 여포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인플루엔자 여포는, 인플루엔자에 특징적인 사인이며, 발증(發症) 후 2시간 정도에서 출현한다고 여겨진다.
미야모토·와타나베 저 「인두의 진찰 소견(인플루엔자 여포)의 의미와 가치의 고찰」 니치다이의지(日大醫誌) 72(1):11-18(2013)
인플루엔자 여포의 적확(的確)한 판별은, 진단의 정확성의 비약적인 향상에 연결된다고 기대된다. 그렇지만, 인플루엔자 여포의 적절한 확정은, 많은 증례를 통한 집중적인 훈련을 필요로 하고, 일반 의사에게 있어서 결코 용이하지 않다. 유감스럽게, 상기의 연구 성과는, 한정된 범위의 의사의 사이에서 활용되는 것에 그쳐 있다.
여기서, 인두 소견에 차이가 나는 질환은, 인플루엔자 이외에도 다수 존재한다. 이와 같은 질환의 진단에 관하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지적이 들어맞을 수 있다.
나아가서는, 구강의 소견에 차이가 나는 질환에 대하여도 화상 진단은 유용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구내의 소견에 차이가 나는 질환에 관한 판단의 보조 재료를 제공할 수 있는 구내 촬영 장치, 의료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은, 구내의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撮像) 디바이스와, 상기 촬상 디바이스의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소정의 질환의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화상 및 상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질환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처리와, 상기 판정 처리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구내」는, 사람은 물론 동물 전반의 구강 내 및 인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인두」는, 인두 후벽의 림프 여포를 포함하는 「발다이어 인두륜(咽頭輪)」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환자」는 사람뿐만이 아니라 동물 전반을 포함한다.
또한, 광원은, 촬영이라고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넓게 포함하며, 가시광을 조사하여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근적외선이나 적외선과 같은 비가시광을 조사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구내 촬영 장치에서는, 상기 촬상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으로서 동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연산 장치가, 상기 동화상에 포함되는 복수 매의 정지 화상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1매의 정지 화상을 추출하는 추출 처리를 더 실행하고, 상기 추출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 처리를 실행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동화상의 취득이란, 촬상 디바이스에 의한 촬영을 의미하며, 촬영된 화상의 기록 매체로의 기록을 수반하여도 무방하고, 수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소정의 조건이란, 화상의 내용에 관한 조건이어도 무방하고, 화상 추출의 타이밍에 관련되는 조건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구내 촬영 장치는, 환자 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장치가, 한층 더 상기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 처리를 실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구내 촬영 장치는,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 의하여 취득된 화상 및 상기 추출 처리의 결과 중 적어도 일방(一方)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구내 촬영 장치에서는, 상기 촬상 디바이스가, 상기 구내에 장착되는 통상(筒狀)의 구내 촬영 보조구 내에서 상기 구내의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기억 장치가, 사용이 끝난 구내 촬영 보조구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연산 장치가, 새로운 판정에 사용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상기 새로운 판정에 사용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기억 장치의 기록의 유무를 조사하는 검색 처리와, 상기 검색 처리의 결과에 따라 상기 새로운 판정을 제한하는 제한 처리를 더 실행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내 촬영 장치와, 구내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통상의 구내 촬영 보조구를 포함하고, 상기 구내 촬영 보조구는, 개구(開口)를 가지는 제1 단부(端部)와, 상기 제1 단부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내 촬영 보조구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구내 촬영 보조구의 외측으로의 시야를 주는 창부(窓部)를 가지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치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질환의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기억한 기억 장치와,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 대하여,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 의하여 취득된 구내 화상 및 상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질환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처리와, 상기 판정 처리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내의 소견에 차이가 나는 질환에 관한 판단의 보조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구내 촬영 장치(5) 및 구내 촬영 보조구(3)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내 촬영 보조구(3)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내 촬영 보조구(3)를 구강(71) 내에 삽입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13)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내 촬영 보조구(13)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구내 촬영 보조구(13)를 구강(71) 내에 삽입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변형예 2에 관련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23)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43)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구내 촬영 보조구(43)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포장된 구내 촬영 보조구(3)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의 구내 촬영 장치(5)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구내 촬영 장치(5)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9의 구내 촬영 장치(5)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9의 구내 촬영 장치(5)의 동작예 1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도 9의 구내 촬영 장치(5)의 동작예 2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판정 알고리즘의 생성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화상 추출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도 9의 구내 촬영 장치(5)의 동작예 3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구내 촬영 장치(5)의 촬영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1은 사람(7)의 두부(頭部)의 단면 형상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구강(71) 내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구내 촬영 장치 및 구내 촬영 보조구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 형태 및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해 용이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치수, 비(比) 또는 수를 과장 또는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하의 개시는, 의료 장치를 인플루엔자의 판정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련균 감염증,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증, EB 바이러스 감염증, 미코플라스마 감염증 등과 같이, 인두 소견에 차이가 나는 질환은 다수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질환에서도, 구강 내에 중요한 소견이 나타나는 일이 있다. 나아가서는, 이러한 질환 이외의 질환에서도, 구강 내에 소견이 나타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인두 및 구강 내에 소견이 나타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의 판정을 위하여 의료 장치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구내 촬영 보조구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 단말과 같은 다른 장치와의 조합으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1 의료 장치의 개요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의료 장치(1)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시와 같이, 의료 장치(1)는, 구내 촬영 장치(5) 및 구내 촬영 보조구(3)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내 촬영 장치(5)는, 구내 촬영 보조구(3)와의 조합으로 사용되는 것이 호적(好適)하지만, 단독으로 또는 다른 보조구와의 조합으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구내 촬영 장치(5)는,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디바이스(57)를 포함하고, 또한, 이 장치(5)에는 미리 전용의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되어 있다. 유저(예를 들어 의사)는, 인플루엔자의 의심이 있는 판정 대상자(7)(예를 들어 환자)에게 구내 촬영 보조구(3)를 물게 하고, 촬영을 위한 시야를 확보한다. 그 후에, 유저는, 촬상 디바이스(57)를 구내 촬영 보조구(3)에 삽입하고, 그 대상자(7)의 인두(72)를 촬영한다. 또한, 유저는,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삽입 깊이 및 삽입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대상자(7)의 구강(71) 내를 촬영할 수도 있다. 혹은, 유저는, 촬상 디바이스(57)를 내부에 수납한 구내 촬영 보조구(3)를 판정 대상자(7)의 구내에 삽입하여도 무방하고, 판정 대상자(7)에게 구내 촬영 보조구(3)를 구내에 삽입시켜도 무방하다.
촬영된 화상은, 사전에 생성된 판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처리된다. 이와 같은 처리는, 구내 촬영 장치(5)에서 행하여지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다른 컴퓨터로 행하여져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판정이 인플루엔자일 가능성에 관한 경우, 인플루엔자 여포 등의 인플루엔자 고유의 인두 증상(패턴)을 판정 알고리즘이 검출하고, 인플루엔자일 것 같음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경험이 부족한 의사나 연수의이어도, 정확하고 또한 조기(早期)부터의 인플루엔자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게 있어서도, 유용한 판단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인플루엔자의 정진률(正診率)이 오르는 것으로, 환자는 한 번의 수진(受診)으로 통원을 끝낼 수 있는 것과 함께, 적절한 치료를 보다 조기부터 받을 수 있다.
2-1 구내 촬영 보조구
도 2 -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내 촬영 보조구(3)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내 촬영 보조구(3)는, 사람(7)의 구내(구강(71) 내 및 인두(72))의 촬영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조적인 도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내 촬영 보조구(3)는, 구내의 촬영 시에 구강(71) 내에 삽입되고, 구강(71) 내 또는 인두(72)를 포함하는 촬영 영역의 양호한 시야를 얻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양호한 시야를 얻는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구내 촬영 보조구(3)는 투광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일례로서 마우스피스를 상정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내 촬영 보조구(3)는, 본체(31), 테두리부(34) 및 규제부(35)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구내 촬영 보조구(3)는, 본체(31)를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고, 테두리부(34) 및 규제부(35)의 양방(兩方) 또는 일방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내 촬영 보조구(3)로서, 일체 성형된 수지 제품을 상정하고 있지만, 구내 촬영 보조구(3)는, 종이나 천, 금속 등의 다른 소재로 제작되어도 무방하고, 복수의 소재로 제작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구내 촬영 보조구(3)는, 일회용 타입인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재이용 가능한 타입이어도 무방하다.
본체(31)는, 전체적으로 통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31)는, 구강(71) 내에 깊게 삽입되면, 예를 들어 도 1과 도 21과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혀(73)를 하방(下方)으로 밀어 내는 것과 함께, 연구개(74)를 상방(上方)으로 밀어 낸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도 4와 도 22와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내 촬영 보조구(3)(본체(31))의 내측으로부터 인두(72)의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체(31)는 실질적으로 대략 직선상(直線狀)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본체(31)의 내경(內徑) 및 외경(外徑)은 긴쪽 방향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다만, 본체(31)는, 그 내주면(內周面)에 있어서의 촬상 디바이스(57)의 슬라이드를 방해하지 않는 한, 일부 또는 전체가 만곡(彎曲)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본체(31)의 내경 또는 외경이 변하여도 무방하다.
본체(31)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여기에서는 진원상(眞圓狀)을 상정하고 있다. 다만, 단면 형상은, 타원상이어도 무방하고,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상의 단면이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대략 D자 형상과 같은 비대칭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본체(31)가 타원상, 다각형상 또는 비대칭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본체(31)의 형상에 대응한 촬상 디바이스(57)는, 본체(31) 내에서의 슬라이드 시, 본체(31)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의 이동(즉 회전)이 규제 또는 억제되기 때문에, 판정에 적합한, 방향이 가지런한 구내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체(31)가 진원상의 단면 형상의 경우, 도 6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상 디바이스(57)의 외면(外面) 및 본체(31)의 내주면에 서로 계합(係合)하는 레일 및 돌기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촬상 디바이스(57)의 본체(31) 내에서의 회전을 규제하여도 무방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31)는,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는 단부(32, 33)를 포함한다. 구내 촬영 보조구(3)가 구강(71)에 장착될 때, 단부(32)는 외부에 노출하고, 단부(33)는 구강(7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부(32)는 제1 단부에, 단부(33)는 제2 단부에 상당한다.
본체(31)의 외주면(外周面)은 매끄럽고, 본체(31)와 단부(33)도 접속면(36)을 통하여 매끄럽게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즉, 본체(31)의 외면은, 구강(71)을 손상시키지 않게 매끄럽게 가공되어 있다.
본체(31)는, 눈금(37)을 가진다. 눈금(37)은, 본체(31)의 긴쪽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본체(31)가 구강(71) 내에 어느 정도 깊게 삽입되어 있는지의 기준으로서 기능한다. 눈금(37)은, 본체(31)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면 된다. 눈금(37)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입술 및 상전치(上前齒)(75)가 접촉하는 측, 즉 상측에 설치되면 된다. 눈금(37)은,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1cm씩)으로 배치되면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눈금(37)은 본체(3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반주(半周) 가까이의 길이를 가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짧아도 무방하고 길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눈금(37)의 일례로서, 본체(31)의 긴쪽 방향을 따라 정렬하는 복수의 융기부를 상정하고 있다. 이 융기부의 표면은, 판정 대상자(7)의 구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매끄럽게 가공되어 있으면 된다. 무엇보다, 눈금(37)은, 예를 들어, 본체(31)의 외주면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선상의 볼록부여도 무방하고, 또한, 본체(3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 인쇄 또는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32)는 개구(32A)를 가지고, 개구(32A)에는 촬상 디바이스(57)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촬상 디바이스(57)는, 개구(32A)로부터 본체(31) 내에 삽입되고, 개구(32A)로부터 본체(31)의 밖으로 꺼내지게 된다.
단부(32)에는 테두리부(34)가 설치되어 있다. 테두리부(34)는, 단부(32)로부터 본체(31)의 경(徑)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테두리부(34)는, 본체(31)가 구강(71)의 깊숙한 곳에 비집고 들어가면 판정 대상자(7)의 입술 또는 앞니에 접촉하고, 그 판정 대상자(7)가 구내 촬영 보조구(3)를 오음(誤飮)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테두리부(34)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완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두리부(34)는, 단부(3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단부(32)에 있어서 윗입술과 아랫입술에 대응하는 개소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테두리부(34)의 바깥 가장자리는, 도 2와 같이 진원상이어도 무방하고, 타원상이어도 무방하고, 나아가서는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상이어도 무방하다.
테두리부(34)에는, 예를 들어 판정 대상자(7)가 기침하였을 때에, 판정 대상자(7)의 입으로부터의 비말(飛沫)이 닿는다. 즉, 테두리부(34)는, 의사가 판정 대상자(7)로부터의 비말을 회피하는 것에도 도움이 된다. 이 비말 회피 기능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는, 예를 들어, 사용 연령이나 체격 등에 따라, 테두리부(34)의 형상 및 치수를 적의(適宜) 선택하면 된다.
단부(33)도 또한 개구하고, 창부(33A)를 형성하고 있다. 이 창부(33A)는, 본체(31)의 내측으로부터 본체(31)의 외측으로 시야를 주기 위한 것이고, 여기에서는, 본체(31) 내의 촬상 디바이스(57)의 렌즈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있다. 다만, 창부(33A)는, 예를 들어 투명한 부재로 덮여 있어도 무방하다.
단부(33)는 본체(3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규제부(35)를 형성하고 있다. 규제부(35)는, 본체(31) 내의 촬상 디바이스(57)가 접촉하여, 단부(33)를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무엇보다, 규제부(35)는, 단부(33)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추후에 도 6과의 관계에서 서술할 안내부(141)(오목부 또는 홈)은, 그 종단부에 있어서 촬상 디바이스(57)의 계합 돌기(57A)와 접촉하고, 촬상 디바이스(57)의 가장 안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규제부(35)로서의 역할도 완수한다.
상술한 구내 촬영 보조구(3)를 사용하여 인두(72)를 촬영하는 경우, 유저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정 대상자(7)의 구강(71) 내에 구내 촬영 보조구(3)를 삽입한다. 이 때, 본체(31)는, 혀(73)를 하방으로, 연구개(74)를 상방으로 밀어 낸다. 그 후에 또는 동시에, 유저는, 촬상 디바이스(57)를 본체(31) 내에 삽입한다. 이 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디바이스(57)의 시야에는 혀(73)도 연구개(74)도 들어가지 않거나, 들어간다고 하여도 약간의 범위를 차지하는 것에 그친다. 따라서, 인두(72)의 양호한 시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34)에 의하여, 판정 대상자(7)에 의한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오음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테두리부(34)는, 판정 대상자(7)의 입으로부터 유저로의 비말의 비산을 억제하고, 유저로의 인플루엔자 등의 감염증의 2차 감염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눈금(37)은, 구내 촬영 보조구(3)를, 판정 대상자(7)의 체격이나 촬영 부위에 따라 적절한 구강 깊이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의도하는 부위의 선명한 화상의 촬영에 기여하는 것과 함께, 본체(31)를 필요 이상으로 깊게 삽입하는 것에 의한 판정 대상자(7)의 불쾌감 및 숨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2-2 구내 촬영 보조구의 변형예 1
도 5 -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13)를 설명한다.
구내 촬영 보조구(13)는, 상술한 구내 촬영 보조구(3)와 동종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한층 더 대략 직선상의 안내부(141)를 포함한다. 한편, 촬상 디바이스(57)는, 안내부(141)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57A)를 포함한다. 따라서, 안내부(141)는, 촬상 디바이스(57)가 본체(131)에 대하여 회전하는 일 없이, 본체(131)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 1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부(141)의 일례는, 촬상 디바이스(57)의 외주면 상의 계합 돌기(57A)와 대응하도록 단부(132)로부터 단부(133)를 향하여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홈이다. 혹은, 안내부(141)는,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레일이어도 무방하다.
선택적으로, 본체(131)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상, 다각형상, 또는 예를 들어 대략 D자 형상과 같은 비대칭 형상이고, 또한, 촬상 디바이스(57)가 본체(13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외형인 경우에는, 촬상 디바이스(57)가 본체(131)에 대하여 회전하는 일 없이 본체(131)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의 본체(131)의 내주면은 안내부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31) 및 테두리부(134)의 외면 상에는, 판정 대상자(7)의 입술에 대한 본체(131)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시 표시(142)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시 표시(142)는 예를 들어, 판정 대상자(7)의 윗입술의 중앙부 또는 상전치(75)에 대응하는 위치, 즉 상부의 중앙에 배치되면 된다. 유저가, 예를 들어 지시 표시(142)를 판정 대상자(7)의 윗입술의 중앙에 가지런히 한 상태로 구내 촬영 보조구(13)를 구강(71)에 장착하는 것으로, 촬상 디바이스(57)에 의하여 촬영되는 화상의 방향이 거의 같은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화상을 이용한 기계 학습 및 특정의 질환(예를 들어 인플루엔자)의 판정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2-3 구내 촬영 보조구의 변형예 2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 관련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23)를 설명한다.
구내 촬영 보조구(23)는, 상술한 구내 촬영 보조구(3)와 동종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한층 더, 본체(231)에 적어도 1개의 구멍(243)을 가진다. 구멍(243)은, 본체(231)의 내측과 외측과의 사이를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멍(243)에 의하여, 구내 촬영 보조구(23)를 문 판정 대상자(7)가 호흡을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그 판정 대상자(7)에게 안심감을 초래할 수 있다. 덧붙여, 구멍(243)의 크기, 수 및 배치는, 판정 대상자(7)의 타액이 들어가기 어렵게 적의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변형예 2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안내부는, 상기 실시 형태나 변형예 1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4 구내 촬영 보조구의 변형예 3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43)를 설명한다. 구내 촬영 보조구(43)는, 상술한 구내 촬영 보조구(3)와 동종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구내 촬영 보조구(43)의 본체(431)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성형품이다. 따라서, 구내 촬영 장치(5)의 촬영 영역은, 창부(433A)로부터 보이는 범위보다도 한층 더 넓어져, 보다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431)의 내경은, 단부(432)로부터 단부(433)를 향하여 약간 작아지고 있고, 이것에 의하여, 구내 촬영 보조구(43)의 수지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눈금(437)은 본체(43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이것에 의하여 본체(431)의 외주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눈금(437)은, 본체(43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여도 무방하고, 내주면에 표시 또는 도포된 마크여도 무방하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부(434)의 바깥 가장자리는 상하 방향으로 긴 타원상을 이루고, 이것에 의하여 구내 촬영 보조구(43)를 판정 대상자(7)의 입술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434)의 바깥 가장자리는, 단부(433)를 향하여 돌출하거나 또는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테두리부(434)의 재료의 양 및 코스트를 줄이면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2-5 구내 촬영 보조구의 다른 변형예
본체(31)는, 단부(32)로부터 단부(33)에 걸쳐 실질적으로 같은 내경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본체(31)는, 단부(32)를 향하는 것에 따라 내경이 확대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나팔 형상의 본체(31)에 의하여, 복수의 구내 촬영 보조구(3)를 겹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수송이나 보관을 위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디바이스(57)로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가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카메라와 구내 촬영 보조구(3)(개구(32A))와의 위치 관계를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31) 또는 테두리부(34)에 틀이나 클립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구내 촬영 보조구(3)는, 스마트폰을 위 가장자리 또는 옆 가장자리로부터 끼워 넣기 위한 클립이나, 스마트폰의 모서리부에 꽉 누르기 위한 L자 형상의 틀을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2-6 구내 촬영 보조구의 포장예
구내 촬영 보조구(3)는, 멸균되어, 도 11과 같이, 식별자(91)가 표시된 봉투(9)로 개별로 포장되어도 무방하고, 이것에 의하여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식별자(91)는, 구내 촬영 보조구(3) 상에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식별자(91)는, 예를 들어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제품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식별자(91)로서는 예를 들어 바코드 및 RF 태그를 들 수 있지만, 구내 촬영 장치(5)에 의한 읽기 및 의료 장치(1)의 의료 기관에서의 사용을 고려하면, 바코드가 바람직하다. 바코드로서는, 일차원 바코드, 이차원 바코드의 어느 것도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내의 촬영 전에, 촬상 디바이스(57)로 식별자(91)를 촬영하고, 봉투(9) 내의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식별 정보를 구내 촬영 장치(5)에 읽어들이는 것으로, 해당하는 구내 촬영 보조구(3)의 로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구강에 닿는 것에 의한 환자로의 유해 사상(事象)이 생겼을 경우여도 트레이서빌리티(traceability)를 담보할 수 있고, 또한,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재이용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그것에 의한 오염 및 2차 감염을 방지하고, 위생면에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3-1 구내 촬영 장치
도 12 - 도 20을 참조하여, 구내 촬영 장치(5)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내 촬영 장치(5)는, 촬상 디바이스, 연산 장치 및 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이다. 여기에서는, 구내 촬영 장치(5)가 1대의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복수 대의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원격 화상 진단에서는, 촬영 기능과 판정 기능이 별개의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어도 무방하다. 구내 촬영 장치(5)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디바이스(57), 연산 장치의 일례로서의 중앙 처리장치(CPU)(51), 기억 장치의 일례로서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52) 및 읽기 전용 메모리(ROM)(53), 통신 인터페이스(54), 입력 디바이스(55), 출력 디바이스(56) 및 광원(58)을 구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4)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모듈이고,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판정 알고리즘의 취득 및 갱신, 및, 촬영된 화상의 회수(송신)를 위하여 이용된다.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Wi-Fi와 같은 무선 LAN 규격, BLUETOOTH(상표)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 제3 세대·제4 세대 이동 통신 규격 중 어느 하나를 충족하는 기기가 상정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디바이스(55)는, 유저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장치의 일례이고,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각종의 조작 버튼 및 조작 키이다. 혹은, 입력 디바이스(55)는, 터치 패널이나 마이크로폰, 조작 다이얼, 스타일러스 등의 다른 입력 수단이어도 무방하다. 입력 디바이스(55)는 구내 촬영 장치(5)의 본체(케이스)에 배치되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촬상 디바이스(57)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출력 디바이스(56)는,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의 일례이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이다.
촬상 디바이스(57)는 화상을 취득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디바이스(57)에 있어서 취득하는 화상으로서 동화상을 상정하고 있다. 취득되는 화상 사이즈는 예를 들어 640X480 픽셀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는 예를 들어 30fps로 충분하다. 다만, 화상 사이즈 및 프레임 레이트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촬상 디바이스(57)는 정지 화상을 촬영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 촬상 디바이스(57)는 연사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디바이스(57)는, 구내 촬영 장치(5)의 본체(케이스)와는 분리되어, 단독으로 구내 촬영 보조구(3) 내에 삽입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촬상 디바이스(57)는 또한, 구내 촬영 보조구(3)의 본체(31)의 내주면에 대응한 외형(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촬상 디바이스(57)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과 같이, 구내 촬영 장치(5)의 본체에 짜 넣어져도 무방하다.
촬상 디바이스(57)는, 도시하지 않는 오토 포커스 기구를 가지고 있고, 예를 들어, 렌즈의 정면에 초점이 특정 부위에 맞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촬상 디바이스(57)는 또한, 자동으로 특정 부위(예를 들어 인두 후벽)를 인식하여 그곳에 포커스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촬상 디바이스(57)는 한층 더, 줌 기능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어, 인두 후벽 또는 여포의 치수에 따라 적절한 배율로 촬영하도록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촬상 디바이스(57)의 작동 중에는, 광원(58)으로부터 피사체를 향하여 광이 조사되어도 무방하고, 이것에 의하여 양질인 화상의 확보를 도모하고 있다. 여기서, 광원(58)이 조사하는 광은, 가시광이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근적외선이나 적외선과 같은 비가시광이어도 무방한 것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1개의 광원이 가시광을 조사하고, 다른 광원이 근적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복수의 광원(58)이 각각 특정의 범위의 파장의 광의 조사를 담당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대하여, 촬상 디바이스(57)는, 광원(58)이 발하는 광을 적절히 수광할 수 있는 종류 및 수의 수광 소자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광원(58)이 가시광을 발하는 경우에는, 촬상 디바이스(57)는, 가시광을 수광하는데 적합한 수광 소자를 가지고, 광원(58)이 비가시광을 발하는 경우에는, 촬상 디바이스(57)는, 비가시광을 수광하는데 적합한 수광 소자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광원(58)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OEL)이면 된다.
선택적으로, 촬상 디바이스(57)의 작동 중에, 출력 디바이스(56)로서의 디스플레이에, 촬영 중의 화상과 반투명의 일러스트가 겹쳐 표시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유저가, 일러스트와 그것에 대응하는 부위(예를 들어 구개수나 구개 편도)의 화상이 겹치도록 촬상 디바이스(57)를 움직이면, 판정을 위하여 적절한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ROM(53)은, 구내 촬영 장치(5)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특정의 질환의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기억하고 있다. ROM(53)은 또한, 촬상 디바이스(57)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 및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식별 정보, 입력 디바이스(55)로부터 입력된 각종 정보(예를 들어 판정 대상자(7)의 정보), 판정 결과를 기억하여도 무방하다. ROM(53)은, 내장 타입이어도, 예를 들어 USB 메모리 또는 MicroSD 카드와 같은 착탈 가능한 타입이어도 무방하고, 나아가서는, 외부 서버 등의 외부 컴퓨터의 기억 장치의 기억 영역도 포함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CPU(51)는, ROM(53)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52)에 읽어내고, 다음의 처리 (a) ~ (d)를 포함하는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덧붙여, 촬상 디바이스(57)가 취득한 화상이 1매의 정지 화상인 경우에는, 추출 처리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3-2 CPU가 실행하는 주된 처리
(a) 추출 처리
CPU(51)는, 촬상 디바이스(57)로부터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1매의 정지 화상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촬상 디바이스(57)가 동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CPU(51)는, 동화상에 포함되는 복수 매의 정지 화상 중에서 적어도 1매의 정지 화상을 추출한다. 동화상의 촬영 시에는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정지 화상이 기록된다. 그 중에는 촬영 조건이 좋은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포함될 것이다. 다음의 판정 처리에서 이용하기 위한 화상으로서, 촬영 조건이 좋은 것 수매(數枚)를 골라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리 많은 마찬가지의 화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의 촬영 각도, 특정의 라이트의 조사 상태, 특정의 시야의 넓이, 특정 부위(예를 들어 인두 등)의 묘출(描出) 위치, 특정 부위로의 포커스의 정도(程度)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충족하면 특정 질환(예를 들어 인플루엔자)의 진단 판정의 정도(精度)가 높다고 하는, 조건을 찾아내어 두고, 이것을 촬영 조건의 좋음과 나쁨의 판단 기준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기준이 채용되는 경우에는, 추출 처리는, 예를 들어 도 18과 같이, 촬영 대상의 묘출 위치에 기초하여 화상을 순위 매김하고(스텝 S31), 특정 부위로의 포커스의 정도에 기초하여 화상을 순위 매김하고(스텝 S32), 광의 조사 상태에 기초하여 화상을 순위 매김하고(스텝 S33), 마지막으로, 종합 순위에 있어서 상위인 수매의 화상을 골라낸다(스텝 S34)고 하는 수순을 거치게 된다. 추가적으로, 종합 순위의 산출 전에, 시야의 넓이 또는 촬영 각도의 기준에 따라 화상을 순위 매김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추출 처리에는, 딥 러닝(심층 학습) 기능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b) 판정 처리
CPU(51)는, 촬상 디바이스(57)로부터 취득한 화상(예를 들어 추출 처리로 얻은 적어도 1매의 정지 화상) 및 ROM(53)에 기억된 판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특정의 질환의 가능성을 판정한다. 특정의 질환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플루엔자이다. 판정을 위하여, 유저가 입력 디바이스(55)를 통하여 입력한 판정 대상자(7)의 정보(이하, 환자 정보라고 한다)가 병용되어도 무방하다. 환자 정보는, 예를 들어, 연령, 성별, 발증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인플루엔자의 제증상(기침, 콧물, 한기 외)의 유무, 및, 다른 인플루엔자 환자와의 접촉력을 포함한다. 환자 정보는, 인종이나 유전자 정보, 일자나 계절, 위치 정보(수진지의 위도 경도) 및 기상 정보(예를 들어 날씨, 기온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판정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하는 수순으로 생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의 경우에서는, 우선, 의료 기관에 있어서 환자의 인두 화상과, 그것에 부속되는, 인플루엔자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해(正解) 라벨을 수집한다(스텝 S21). 정해 라벨은, 예를 들어, 환자에게 받은, 스왑(swab)에 의한 인플루엔자 신속 검사, PCR 검사, 바이러스 분리 배양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부여된다. PCR 검사 및 바이러스 분리 배양 검사는, 결과의 판명까지 수주간(數週間)을 필요로 하지만, 극히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결과는 정해 라벨로서 호적하다. 또한, 정해 라벨은,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의 환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그 다음에, 상기의 PCR 검사 또는 바이러스 분리 배양 검사의 판정 결과를 정해로서 라벨 붙임한 교사 데이터(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22). 이 교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을 행하고, 판정 알고리즘을 생성한다(스텝 S23). 이 판정 알고리즘은, 화상을 주면 그 화상이 인플루엔자일 것 같은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이것에 의하여, 인플루엔자일 가능성을 수치화하여, 예를 들어 「98.5%」라고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판정: 인플루엔자 양성」 및 「판정: 인플루엔자 음성」과 같이, 양성 또는 음성을 판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양성 또는 음성의 판정에 더하여, 판정의 신뢰성을 수치화하거나, 고중저 등의 단계 평가로 나타내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인플루엔자인 확증(確證) 정도를, 고중저 등의 단계 평가로 나타내도 무방하다.
(c) 출력 처리
CPU(51)는, 판정 처리의 결과를 출력한다. 출력 방법의 일례는, 디스플레이로의 표시, 다른 컴퓨터로의 송신이다.
(d) 구내 촬영 보조구의 식별 정보의 취득
선택적으로, CPU(51)는, 새로운 판정에 앞서, 그 판정에 사용하기 위한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식별 정보의 입력을 유저에게 요구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유저가 촬상 디바이스(57)로 식별자(91)를 촬영하면, CPU(51)는, 식별자(91)의 화상으로부터, 대응하는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그 다음에, CPU(51)는, ROM(53) 내의 기록을 검색하고, 해당하는 구내 촬영 보조구(3)와 일치하는 기록의 유무를 조사한다. 혹은, CPU(51)는, 외부 서버 상의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사용 기록을 조사시켜도 무방하다.
일치하는 기록이 없는 경우, CPU(51)는, 새로운 판정을 허용한다. 일치하는 기록이 있는 경우, CPU(51)는, 해당하는 구내 촬영 보조구(3)는 사용이 끝났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CPU(51)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시키거나, 일련의 처리를 종료시키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즉, CPU(51)는, 검색 결과에 따라 새로운 판정을 제한할 수 있다.
3-3 구내 촬영 장치의 기능 구성
도 14는, 구내 촬영 장치(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다. 구내 촬영 장치(5)는, 촬상부(61), 추출부(62), 판정부(63), 카메라 제어(64), 기억부(65), 입력부(66), 출력부(67) 및 통신부(68)를 포함하고 있다. 구내 촬영 장치(5)의 하드웨어 구성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면, 촬상부(61)는 촬상 디바이스(57)에, 추출부(62), 판정부(63) 및 카메라 제어(64)는 CPU(51)에, 기억부(65)는 ROM(53)에, 입력부(66)는 입력 디바이스(55)에, 출력부(67)는 출력 디바이스(56)에, 통신부(68)는 통신 인터페이스(54)에, 각각 대응한다. 여기서, 카메라 제어(64)는, 촬상 디바이스(57)를 제어하여,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줌 기능 등의 제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 외의 기능으로서, 구내 촬영 장치(5)는, 촬영이 행하여진 시각을 취득하는 계시(計時) 기능, 촬영이 행하여진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 기능, 당해 위치에 있어서의 기상 정보를 취득하는 기상 정보 취득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계시 기능은 내장의 시계로서 실현되어도 무방하고, 외부의 시각 서버에 액세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 기능이어도 무방하다. 위치 정보 취득 기능은 예를 들어 전지구 측위 시스템(GPS)으로서 실현되어도 무방하다. 기상 정보 취득 기능은, 외부의 기상 서버에 액세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 기능이어도 무방하다.
3-4 구내 촬영 장치의 동작예 1
도 15를 참조하여, 구내 촬영 장치(5)의 동작예 1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구내 촬영 장치(5)가 동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의 동작을 예로서 든다. 다만, 구내 촬영 장치(5)는 정지 화상을 촬영하여도 무방하고, 이 경우에도 구내 촬영 장치(5)는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전원이 투입되면, 구내 촬영 장치(5)는, 촬상 디바이스(57)에 의한 촬영을 개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스텝 S1에 있어서, 녹화 버튼(입력 디바이스(55)의 하나)이 압하(押下)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녹화 버튼의 압하를 확인하지 않을 때에는, 구내 촬영 장치(5)는, 스텝 S1을 반복한다.
녹화 버튼의 압하를 확인하면, 구내 촬영 장치(5)는, 스텝 S2에 있어서, 녹화를 개시한다. 아울러, 구내 촬영 장치(5)는, 광원(58)을 점등시킨다. 유저는, 판정 대상자(7)의 구강(71)에 구내 촬영 보조구(3)를 장착하고, 그 후에 구내 촬영 보조구(3)에 촬상 디바이스(57)를 삽입한다(도 1 참조). 촬상 디바이스(57)는, 구내 촬영 보조구(3) 내의 슬라이드 중에도 판정 대상자(7)의 구내(구강(71) 내 또는 인두(72))를 촬영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구내 촬영 장치(5)는, 취득한 동화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지 화상 중에서, 판정을 위하여 적절한 정지 화상을 추출한다. 이 때, 추출된 정지 화상이 추출 결과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구내 촬영 장치(5)는, 스텝 S4에 있어서, 추출된 정지 화상 및 판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특정의 질환일 것 같음을 판정하고, 스텝 S5에 있어서 판정 결과를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일련의 동작이 종료한다.
이와 같이, 기계 학습에 의하여 생성된 판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특정의 질환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도(高精度)의 판정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촬영 조건이 좋은 화상이 판정을 위하여 선택되기 때문에, 판정의 정도가 향상한다.
구내 촬영 장치(5)가 구내 촬영 보조구(3)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시야가 넓고,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판정 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3-5 구내 촬영 장치의 동작예 2
도 16을 참조하여, 구내 촬영 장치(5)의 동작예 2를 설명한다. 이 동작예 2는, 먼저 서술한 동작예 1과 동종의 스텝을 포함하고, 한층 더 유저에 의한 추출 화상의 확인 스텝(S14), 환자 정보의 입력 스텝(S16), 및 종합 판정(S17)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내 촬영 장치(5)는, 전원이 투입되면, 녹화 버튼의 압하를 확인하고(스텝 S11), 녹화를 개시하고(스텝 S12), 판정을 위한 화상을 추출한다(스텝 S13). 그리고, 구내 촬영 장치(5)는, 추출한 화상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유저에 대하여, 당해 화상을 판정을 위하여 사용할지 여부의 확인을 요구한다(스텝 S14). 만약 유저가 「NO」를 선택하면, 재차 스텝 S12, S13을 실행하고, 새로운 판정용의 화상을 유저에게 제시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유저가 「YES」를 선택하면, 구내 촬영 장치(5)는, 추출된 화상에 기초하여 특정의 질환일 것 같음을 판정한다(스텝 S15).
그 다음에, 구내 촬영 장치(5)는, 유저에 대하여 환자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스텝 S16). 여기서, 환자 정보는, 예를 들어 수진 시의 체온이나 백신 접종의 유무라고 한, 정형화된 심플한 정보이다. 이와 같은 환자 정보는, 도 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를 일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풀다운 메뉴나, 반각 숫자 이외를 거부하는 것과 같은 입력 폼 설정이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혹은, 구내 촬영 장치(5)는, 유선 또는 무선 회선을 통하여, 외부 컴퓨터(예를 들어 전자 카르테 시스템)로부터 환자 정보를 취득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스텝 S16는, 스텝 S11에 앞서 실행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의 환자 정보와, 화상에 기초하는 특정의 질환일 것 같음의 평가의 양방을 통합하여, 전체적으로 그 질환일 것 같음을 계산한다(스텝 S17). 계산 결과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스텝 S18), 일련의 수순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구내 촬영 장치(5)가, 유저에 의한 확인이 끝난 화상에 기초하여 특정의 질병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판정의 정도 및 신뢰성이 향상한다.
나아가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하면, 판정의 정도 및 신뢰성이 한층 더 향상하는 것이 기대된다.
3-6 구내 촬영 장치의 동작예 3
도 19를 참조하여, 구내 촬영 장치(5)의 동작예 3을 설명한다. 이 동작예 3은,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수순(스텝 S41)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내 촬영 장치(5)는,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41에 있어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로의 표시를 통하여, 유저에 대하여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식별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촬상 디바이스(57)로 봉투(9) 상의 식별자(91)를 촬영하거나, 입력 디바이스(55)를 통하여 식별 정보를 입력하거나 하면, 구내 촬영 장치(5)는,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구내 촬영 장치(5)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의 구내 촬영 보조구(3)의 로트 정보를 조사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구내 촬영 장치(5)는, ROM(53) 내의 기록에 당해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제품 ID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색하여도 무방하고, 외부 컴퓨터에 당해 제품 ID의 유무를 조사시켜도 무방하다.
해당하는 제품 ID가 내부 또는 외부의 기록에 있는 경우에는, 구내 촬영 장치(5)는, 알람을 출력하거나, 일련의 처리를 종료시키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알람으로서는, 예를 들어 당해의 구내 촬영 보조구(3)가 사용이 끝난 취지의 디스플레이로의 표시를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재이용을 제한하고, 2차 감염의 예방을 포함하는 구내 촬영 보조구(3)의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구내 촬영 보조구(3)와 그것을 이용한 판정 대상자(7)를 1대 1로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장래에 있어서의 추적 조사가 용이하게 된다.
그 후, 구내 촬영 장치(5)는, 스텝 S42에 있어서 구내의 촬영을 행한다. 여기서, 구내의 촬영 처리는, 상술한 동작예 1, 2와 같아도 무방하고, 추후에 서술하는 수순으로 행하여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구내 촬영 장치(5)는, 스텝 S43에 있어서 특정의 질환일 것 같음을 판정하고, 스텝 S44에 있어서 판정 결과를 출력하여,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3-7 구내 촬영의 다른 예
도 20을 참조하여, 구내 촬영의 다른 수순을 설명한다. 여기서 서술하는 수순은, 상술한 동작예 1 ~ 3에 있어서의 화상 취득 수순으로 대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순은, 기계 학습용의 훈련 데이터의 수집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스텝 S51에 있어서, 구내 촬영 장치(5)는 환자 등록을 행한다. 환자 등록은, 예를 들어 유저가 구내 촬영 장치(5)에 입력하거나 또는 촬영한 환자 ID를 기록하는 것으로 행하여진다.
그 다음에, 스텝 S52에 있어서, 구내 촬영 장치(5)는 화상을 취득한다. 여기서 말하는 화상은 정지 화상이고, 예를 들어, 촬상 디바이스(57)에 있어서 촬영된 화상 중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초마다)으로 뽑아내진 1조의 정지 화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스텝 S53에 있어서, 구내 촬영 장치(5)는, 취득한 화상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유저에게 확인을 요구한다. 스텝 S54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승인이 얻어지면, 구내 촬영 장치(5)는, 스텝 S55에 있어서 승인된 화상을 보존하고, 일련의 촬영 처리를 종료한다. 유저의 승인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52로 되돌아와 다시 화상을 취득한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그것들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용련균 감염증,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증, EB 바이러스 감염증, 미코플라스마 감염증 등, 인두 또는 구강 내의 소견에 차이가 나는 질환의 판정을 위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1: 의료 장치
3, 13, 23, 43: 구내 촬영 보조구
5: 구내 촬영 장치
31, 131, 231, 431: 본체
34, 134, 234, 434: 테두리부
35, 135, 235, 435: 규제부
37, 137, 237, 437: 눈금
55: 입력 디바이스
56: 출력 디바이스
57: 촬상 디바이스
58: 광원

Claims (7)

  1. 구내(口內)의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撮像) 디바이스와,
    상기 촬상 디바이스의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소정의 질환의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구내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화상 및 상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질환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처리와,
    상기 판정 처리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처리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으로서 동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동화상에 포함되는 복수 매의 정지 화상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1매의 정지 화상을 추출하는 추출 처리를 더 실행하고,
    상기 추출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촬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자 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장치는, 한층 더 상기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촬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 의하여 취득된 화상 및 상기 추출 처리의 결과 중 적어도 일방(一方)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촬영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는, 상기 구내에 장착되는 통상(筒狀)의 구내 촬영 보조구 내에서 상기 구내의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기억 장치는, 사용이 끝난 구내 촬영 보조구의 식별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연산 장치는,
    새로운 판정에 사용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상기 새로운 판정에 사용되는 구내 촬영 보조구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기억 장치의 기록의 유무를 조사하는 검색 처리와,
    상기 검색 처리의 결과에 따라 상기 새로운 판정을 제한하는 제한 처리
    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촬영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내 촬영 장치와,
    구내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통상의 구내 촬영 보조구를 포함하고,
    상기 구내 촬영 보조구는,
    개구(開口)를 가지는 제1 단부(端部)와,
    상기 제1 단부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내 촬영 보조구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구내 촬영 보조구의 외측으로의 시야를 주는 창부(窓部)를 가지는 제2 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치.
  7. 소정의 질환의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기억한 기억 장치와, 연산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 대하여,
    촬상 디바이스에 의하여 취득된 구내 화상 및 상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질환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처리와,
    상기 판정 처리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처리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07018105A 2017-12-28 2018-12-18 구내 촬영 장치, 의료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103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4164 2017-12-28
JP2017254164 2017-12-28
PCT/JP2018/046559 WO2019131327A1 (ja) 2017-12-28 2018-12-18 口内撮影装置、医療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676A true KR20200103676A (ko) 2020-09-02

Family

ID=6706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105A KR20200103676A (ko) 2017-12-28 2018-12-18 구내 촬영 장치, 의료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523741B2 (ko)
EP (1) EP3714764A4 (ko)
JP (2) JP7267608B2 (ko)
KR (1) KR20200103676A (ko)
CN (1) CN111526778A (ko)
SG (1) SG11202006040YA (ko)
WO (1) WO2019131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6032B (zh) * 2018-04-13 2024-03-26 富士胶片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内窥镜系统及图像处理方法
WO2021002355A1 (ja) * 2019-07-03 2021-01-07 アイリス株式会社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感染症を治療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
JPWO2021020187A1 (ko) * 2019-07-26 2021-02-04
JPWO2021085443A1 (ko) * 2019-10-31 2021-05-06
JP2022087967A (ja) * 2020-12-02 2022-06-14 正男 山本 カメラ、呼吸器感染症に関する学習済みモデルの生成方法、呼吸器感染症に関する学習済モデル、呼吸器感染症に関する自動診断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R3119762B1 (fr) 2021-02-17 2023-06-16 Dental Monitoring KIT d’acquisition
FR3119755B1 (fr) * 2021-02-17 2023-10-13 Dental Monitoring KIT d’acquisition
FR3119761B1 (fr) 2021-02-17 2023-06-30 Dental Monitoring KIT d’acquisition
FR3119757B1 (fr) * 2021-02-17 2023-10-06 Dental Monitoring KIT d’acquisition
FR3119756B1 (fr) 2021-02-17 2023-05-19 Dental Monitoring KIT d’acquisition
CN113077446A (zh) * 2021-04-02 2021-07-06 重庆金山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交互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WO2022230084A1 (ko) * 2021-04-28 2022-11-03
US11382727B1 (en) * 2021-05-19 2022-07-12 Thamer Marghalani Three-dimensional oral imaging system and method
WO2023286199A1 (ja) * 2021-07-14 2023-01-19 アイリス株式会社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WO2023073844A1 (ja) * 2021-10-27 2023-05-04 アイリス株式会社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及び処理方法
WO2023170788A1 (ja) * 2022-03-08 2023-09-14 アイリス株式会社 補助具、撮影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197U (ko) 1999-06-05 1999-09-06 박운식 내시경용마우스피스
JP2005000631A (ja) * 2002-07-03 2005-01-06 Shiyoufuu:Kk 歯科口腔測色写真システム
JP3959644B2 (ja) * 2003-09-30 2007-08-15 英宏 藤江 歯科診療装置
US7303528B2 (en) 2004-05-18 2007-12-04 Scimed Life Systems, Inc. Serialization of single use endoscopes
KR200395743Y1 (ko) 2005-06-22 2005-09-13 김동선 마우스피스
JP5250251B2 (ja) * 2007-12-17 2013-07-31 イマグノーシス株式会社 医用撮影用マーカーおよびその活用プログラム
CA2791624A1 (en) * 2010-02-26 2011-09-01 Myskin, Inc. Analytic methods of tissue evaluation
WO2012002564A1 (ja) * 2010-06-29 2012-01-05 株式会社アドバンス 口腔内撮影システム
WO2015053313A1 (ja) 2013-10-10 2015-04-1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検査用マウスピースおよび脱気防止弁装置
WO2015077684A1 (en) * 2013-11-22 2015-05-28 Duke University Colposcopes having light emitters and image capture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15145424A1 (en) 2014-03-23 2015-10-01 Doc@Home Ltd A system for conducting a remote physical examination
WO2016181781A1 (ja) * 2015-05-14 2016-11-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EP3297517B1 (en) * 2015-05-19 2021-02-17 Tyto Car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hroat imaging
CN106491068A (zh) * 2015-09-06 2017-03-15 孟立 一种基于移动终端的口腔摄影系统及方法
US10405754B2 (en) 2015-12-01 2019-09-10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tandardized oral health assessment and scoring using digital imaging
WO2019092723A1 (en) 2017-11-12 2019-05-16 Ofek Eshkolot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thological status of a laryngopharyngeal area in a pati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야모토·와타나베 저 「인두의 진찰 소견(인플루엔자 여포)의 의미와 가치의 고찰」 니치다이의지(日大醫誌) 72(1):11-18(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59534A1 (en) 2021-03-04
JP7267608B2 (ja) 2023-05-02
EP3714764A1 (en) 2020-09-30
US20230047709A1 (en) 2023-02-16
US11523741B2 (en) 2022-12-13
EP3714764A4 (en) 2021-06-30
WO2019131327A1 (ja) 2019-07-04
CN111526778A (zh) 2020-08-11
JP2023089157A (ja) 2023-06-27
SG11202006040YA (en) 2020-07-29
JPWO2019131327A1 (ja)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7608B2 (ja) 口内撮影装置、医療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250944B2 (en) Uniquely coded color boards for analyzing images
De Greef et al. Bilicam: using mobile phones to monitor newborn jaundice
US10146909B2 (en) Image-based disease diagnostics using a mobile device
US110874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rinalysis using a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US20220108439A1 (en) Image-based disease diagnostics using a mobile device
US20170303844A1 (en) Skin Feature Imaging System
US11471095B2 (en) Tongue-image-based diagnostic system and diagnostic method
US9355309B2 (en) Generation of medical image series including a patient photograph
WO2012111664A1 (ja) 認証装置、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認証方法
US20070127781A1 (en) Animal eye biometrics
JP627468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身元確認システム
US20190261960A1 (en) Image processing and analyzing system for ovulation dete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9131328A1 (ja) 口内撮影補助具、及びその口内撮影補助具を含む医療装置
KR100874186B1 (ko) 피검사자의 설진 영상을 스스로 촬영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장치
US1159999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image, and program
US20190294901A1 (en) Individual identification apparatus
JP5753986B2 (ja) 身元確認支援システム
JP7104913B2 (ja) 撮像装置と撮像プログラムと画像判定装置と画像判定プログラムと画像処理システム
WO2023073844A1 (ja)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及び処理方法
WO2023286199A1 (ja)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US20240130604A1 (en)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Program,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Balbin et al. Caries lesion detection tool using near infrared image processing and decision tree learning
KR100931396B1 (ko) 개인식별에 적합한 재현성 있는 치아 영상 획득 및 처리시스템
KR20220034130A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