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405A - 부스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부스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405A
KR20200103405A KR1020190021857A KR20190021857A KR20200103405A KR 20200103405 A KR20200103405 A KR 20200103405A KR 1020190021857 A KR1020190021857 A KR 1020190021857A KR 20190021857 A KR20190021857 A KR 20190021857A KR 20200103405 A KR20200103405 A KR 20200103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disposed
connector
finger
fi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096B1 (ko
Inventor
진승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2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096B1/ko
Priority to US17/433,282 priority patent/US11699887B2/en
Priority to PCT/KR2019/008554 priority patent/WO2020175750A1/ko
Priority to CN201980092936.2A priority patent/CN113474949B/zh
Publication of KR2020010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5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wire spring
    • H01R4/4863Coil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단부와, 상기 중앙부와 한 쌍의 단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로서 구획되는 바 형상의 핑거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되어 일측부를 형성하고,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되어 상기 일측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타측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핑거;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되 상기 핑거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및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부스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스바용 커넥터{CONNECTOR FOR BUS BAR}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부스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부스바(bus bar)는 전기적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컨덕터로서, 다수의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의 일 태양 중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는 이상 전류 발생시 공기를 소호 매질로 하여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산업용 전력기기이며, 이러한 기중차단기에도 부스바가 포함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6931호(발명의 명칭: 기중 차단기용 절연접촉장치)는 이러한 부스바가 포함된 기중차단기를 게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 특허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중차단기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에 통전 가능하게 착탈되는 차단기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래들과 차단기본체의 통전을 위해, 상기 크래들에는 절연접촉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절연접촉장치는 크래들에 배치되어 전방은 상기 차단기본체의 터미널과 연결되고 후방은 외부의 터미널과 연결된다고 게재되고 있다.
즉, 종래기술의 절연접촉장치는 양 방향에 접속단자인 부스바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일단, 종래의 커넥터에서 부스바가 삽입되는 구조는 다수 개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핑거로써 구현되고 있으나, 이러한 핑거의 형상은 외측에 판스프링을 배치해야 하는 형상을 고려하여 제조되어야 하므로 제조비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판스프링은 개개의 핑거에 대한 개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조를 고려하여 제조되어야 하므로 제조비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정격전압이나 정격전류를 고려하여 상기 핑거는 상황에 맞게 두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핑거의 갯수가 변하면 그 변화된 폭에 맞는 판스프링을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핑거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인 홀더의 형상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 개개의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커넥터를 제조시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생산성이 감소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 단가 감소,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부스바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단부와, 상기 중앙부와 한 쌍의 단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로서 구획되는 바 형상의 핑거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되어 일측부를 형성하고,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되어 상기 일측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타측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핑거;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되 상기 핑거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및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부스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은 상기 핑거의 한 쌍의 연결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은 상기 핑거의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의 한 쌍의 연결부의 측면에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인접한 핑거의 요입홈과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은 각각의 양단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 각각의 양단은 절곡되어 후크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부의 외측면 또는 타측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의 후크부가 거치되는 거치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에는 상기 거치핀의 일부가 안치될 수 있는 제1 안치홈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상호 대향하는 상기 핑거의 한 쌍의 단부는 각각 라운드 또는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에는 각각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각각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는 중앙부에 상기 중앙 플레이트가 안치될 수 있는 제2 안치홈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에는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삽입되는 부스바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가진 핑거와 코일스프링을 거치핀으로써 고정하기 때문에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정격전압 또는 정격전류를 고려하여 핑거의 갯수를 증감하더라도 용이한 조립성과 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크래들과 같은 상위 부품에 대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 양측에 부스바와 터미널이 각각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에서 브라켓을 제거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 양측에 부스바와 터미널이 각각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에서 브라켓을 제거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100)는 핑거(110), 코일스프링(120) 및 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거치핀(140) 또는 고정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핑거(110)는 복수 개가 적층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100)의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핑거(110)는 바 형상으로서, 중앙부(111)와, 상기 중앙부(111)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단부(112)와, 상기 중앙부(111)와 한 쌍의 단부(112) 사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113)로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바 형상의 상기 핑거(110)는 길이 방향(d1)과, 이러한 길이 방향(d1)과 수직한 방향인 두께 방향(d2)을 가지며, 상기한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를 형성할 때 상호 대향되는 면을 내측면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내측면의 반대 면을 외측면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면을 측면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핑거(110)는 길이 방향(d1)과 수직한 방향인 두께 방향(d2)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되어 일측부(110a)를 형성하고, 두께 방향(d2)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되어 상기 일측부(110a)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타측부(110b)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는 단일 부재로써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핑거(110)를 적층하여 구현함으로써 장치에서 요구하는 정격전압 또는 정격 전류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이한 조립성을 고려한 핑거(110)와 탄성부재의 형상 및 체결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를 형성하는 개개의 상기 핑거(110)는 한 쌍의 연결부(113)의 측면에 요입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114)은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에서 인접한 핑거(110)의 요입홈(114)과 체결홀(110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110c)은 후술할 코일스프링(120)이 체결되는 구조로써 활용된다.
또한, 상기 핑거(110)에는 후술할 거치핀(140)의 일부가 안치될 수 있는 제1 안치홈(115)이 두께 방향(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안치홈(115)은 상기 핑거(1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핑거(110)의 제1 안치홈(115)과 연결되어 후술할 거치핀(140)의 체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110)는 중앙부(111)에 후술할 브라켓(130)의 중앙 플레이트(131)가 안치될 수 있는 제2 안치홈(116)이 두께 방향(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안치홈(116)은 상기 핑거(1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핑거(110)의 제2 안치홈(116)과 연결되어 후술할 중앙 플레이트(131)의 체결 용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에서 상호 대향하는 상기 핑거(110)의 한 쌍의 단부(112)의 내측면은 각각 라운드 또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100)가 크래들(미도시)과 같은 상위 부품에 조립될 때 단차가 생겨도 정확한 부스바의 체결을 꾀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120)은 한 쌍으로서,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되 상기 핑거(110)의 중앙부(111)를 기준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코일스프링(120)은 상기 핑거(110)의 중앙부(111)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100)와 양 측에 체결될 부스바의 체결력을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120)은 상기 핑거(110)의 한 쌍의 연결부(11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120)은 각각의 양단이 상기 체결홀(110c)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110c)은 상기 일측부(110a) 또는 타측부(110b)에 상기 핑거(110)의 두께 방향(d2)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120)은 상기 핑거(110)의 두께 방향(d2)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10c)에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120)이 각각 고정되는 구조는 공지된 여러 수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120) 각각의 양단은 절곡되어 후크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일측부(110a)의 외측면 또는 타측부(110b)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120)의 후크부(121)가 거치되는 거치핀(1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플레이트(131)와, 상기 중앙 플레이트(131)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플레이트(131)는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배치되며, 상기 핑거(110)의 중앙부(111)에 형성된 제2 안치홈(116)에 양 측면이 각각 안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플레이트(131)는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 사이의 거리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120)은 상기 거치핀(140)에 의해 고정되는 인장력을 부여받을 수 있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132)는 상기 중앙 플레이트(131)의 양단을 대략 90°절곡하여 한 쌍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2)는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각각 고정홀(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32a)은 상기 핑거(110)의 중앙부(111)의 외측면 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100)는 상기 고정홀(132a)을 관통하여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 각각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고정핀(150)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 각각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2)에는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 사이에 삽입되는 부스바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홀(13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100)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단, 복수 개의 핑거(110)를 두께 방향(d2)으로 적층하여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를 형성한다.
이 후, 상기 중앙 플레이트(131)를 상기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일측부(110a)에 형성된 체결홀(110c)에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120)을 삽입한 후, 각각의 후크부(121)를 거치핀(140)으로써 고정시킨다.
이 후, 상기 타측부(110b)에 형성된 체결홀(110c)에 후크부(121)를 삽입하고 거치핀(140)으로써 고정시키고, 고정핀(150)을 삽입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커넥터(100)는 대칭 형상을 가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핑거(110)와 코일스프링(120)의 체결구조에 의해 부스바용 커넥터(100)의 크기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가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부스바용 커넥터 110: 핑거
110a: 일측부 110b: 타측부
110c: 체결홀 111: 중앙부
112: 한 쌍의 단부 113: 한 쌍의 연결부
114: 요입홈 115: 제1 안치홈
116: 제2 안치홈 120: 한 쌍의 코일스프링
121: 후크부 130: 브라켓
131: 중앙 플레이트 132: 측면 플레이트
132a: 고정홀 132b: 체결홀

Claims (11)

  1.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단부와, 상기 중앙부와 한 쌍의 단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로서 구획되는 바 형상의 핑거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되어 일측부를 형성하고,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되어 상기 일측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타측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핑거;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되 상기 핑거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및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부스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은 상기 핑거의 한 쌍의 연결부에 각각 배치되는 부스바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은 상기 핑거의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되는 부스바용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한 쌍의 연결부의 측면에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인접한 핑거의 요입홈과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은 각각의 양단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스바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 각각의 양단은 절곡되어 후크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부의 외측면 또는 타측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코일스프링의 후크부가 거치되는 거치핀을 더 포함하는 부스바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에는 상기 거치핀의 일부가 안치될 수 있는 제1 안치홈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스바용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상호 대향하는 상기 핑거의 한 쌍의 단부는 각각 라운드 또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부스바용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부스바용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에는 각각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각각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부스바용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중앙부에 상기 중앙 플레이트가 안치될 수 있는 제2 안치홈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스바용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에는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삽입되는 부스바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부스바용 커넥터.
KR1020190021857A 2019-02-25 2019-02-25 부스바용 커넥터 KR10230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57A KR102302096B1 (ko) 2019-02-25 2019-02-25 부스바용 커넥터
US17/433,282 US11699887B2 (en) 2019-02-25 2019-07-11 Connector for bus bar
PCT/KR2019/008554 WO2020175750A1 (ko) 2019-02-25 2019-07-11 부스바용 커넥터
CN201980092936.2A CN113474949B (zh) 2019-02-25 2019-07-11 汇流条用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57A KR102302096B1 (ko) 2019-02-25 2019-02-25 부스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05A true KR20200103405A (ko) 2020-09-02
KR102302096B1 KR102302096B1 (ko) 2021-09-13

Family

ID=7223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857A KR102302096B1 (ko) 2019-02-25 2019-02-25 부스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99887B2 (ko)
KR (1) KR102302096B1 (ko)
CN (1) CN113474949B (ko)
WO (1) WO20201757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225B1 (ko) * 2022-04-04 2022-12-05 주식회사 아이일렉 탈착이 용이한 부스바 결합키트
WO2023049072A1 (en) * 2021-09-22 2023-03-30 Interplex Industries, Inc. Canted coil coup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7213A1 (en) * 2009-02-27 2010-12-16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KR20170033720A (ko) *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피닉스 부스바용 포크형 커넥터 및 이와 결합된 절연결합체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0924A (en) * 1963-06-28 1965-04-27 Gen Electric Busway connector
US3427419A (en) * 1966-03-31 1969-02-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Disconnecting contact assembly for electrical apparatus
US3723940A (en) * 1971-11-18 1973-03-27 Square D Co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U557055B2 (en) * 1981-03-30 1986-12-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erminal connecting device
US4445732A (en) * 1982-02-11 1984-05-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stab connecting means utilizing eddy current electromagnetic repulsion
FR2583217B1 (fr) * 1985-06-05 1989-03-03 Merlin Gerin Chassis a pinces d'embrochage encliquetables pour un disjoncteur multipolaire debrochable
US4983132A (en) * 1989-12-15 1991-01-08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ting bus bars
CA2037999A1 (en) * 1990-04-10 1991-10-11 Ernst Suter Electrical contact arrangement
IT1283461B1 (it) * 1996-07-19 1998-04-21 Sace Spa Interruttore munito di contatti scomponibili
JP2005346940A (ja) * 2004-05-31 2005-12-15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構造
KR200407500Y1 (ko) * 2005-11-03 2006-01-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인출형 기중 차단기의 단로 접점
JP2008103328A (ja) * 2006-10-17 2008-05-01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気中遮断機のコンダクタベース及びフィンガーモジュール
US7795551B2 (en) * 2008-04-15 2010-09-14 General Electric Company Racking of 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s
WO2010125184A1 (en) * 2009-05-01 2010-11-04 United Luminous International (Holdings) Limited Lighting connector devices and uses thereof
JP4938148B1 (ja) * 2011-06-27 2012-05-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US8672717B2 (en) * 2011-10-13 2014-03-18 Alwyn Ted Li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179780B2 (ja) * 2011-10-24 2017-08-16 アーデント コンセプ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被制御インピーダンスケーブル終端部アセンブリ
JP5258990B1 (ja) * 2012-02-10 2013-08-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コネクタ、および接続装置
JP5548850B2 (ja) * 2012-07-13 2014-07-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コネクタ、および接続装置
WO2014142788A1 (en) * 2013-03-11 2014-09-18 Schneider Electric USA, Inc. Self-aligning power connection system with positive-latch connection
DE202014101541U1 (de) * 2013-04-05 2014-05-22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orrichtung für einen Federkraftanschluss
DE202013103444U1 (de) * 2013-07-31 2014-11-0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Kontaktelement für eine Steckanordnung eines insbesondere außen geführten Bussystems
CN103474852A (zh) * 2013-09-17 2013-12-25 博耳(无锡)电力成套有限公司 用于电力开关柜抽屉的转接插座
EP3104466B1 (en) * 2015-06-08 2019-10-09 ABB Schweiz AG Electrical device
CN105514647B (zh) * 2016-01-22 2019-02-22 慈溪市铄博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开关电器用插头
CN109524822A (zh) * 2017-09-20 2019-03-2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端子和连接器
PL3624153T3 (pl) * 2018-09-17 2023-05-08 Microelettrica Scientifica S.P.A. Grupa uchwytowa do wyłącznika mającego zwartą konstrukcję wewnętrzn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7213A1 (en) * 2009-02-27 2010-12-16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KR20170033720A (ko) *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피닉스 부스바용 포크형 커넥터 및 이와 결합된 절연결합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9072A1 (en) * 2021-09-22 2023-03-30 Interplex Industries, Inc. Canted coil coupler
KR102474225B1 (ko) * 2022-04-04 2022-12-05 주식회사 아이일렉 탈착이 용이한 부스바 결합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096B1 (ko) 2021-09-13
US20220140551A1 (en) 2022-05-05
CN113474949A (zh) 2021-10-01
US11699887B2 (en) 2023-07-11
WO2020175750A1 (ko) 2020-09-03
CN113474949B (zh)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604B2 (en) Distributor block
US10109933B2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of a plug-in connection terminal
US6359770B1 (en) Power distribution circuit board with bullet connectors
KR20130123911A (ko)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WO2017187996A1 (ja) 接続モジュール
CN113474949B (zh) 汇流条用连接器
CN112020782A (zh) 电池组
WO2017187959A1 (ja) 接続モジュール
MX2008009904A (es) Centro de medidores, y conjunto de clavija y conjunto de quijada para el mismo.
US11167631B2 (en) Assembly of electric accumulators
US20060209499A1 (en) Horizontally mounted power circuit breaker bus assembly
US6358099B1 (en) Telecommunications power distribution panel
CN109844988B (zh) 电池、载体板以及具有卡锁元件的载体板元件
US20220094122A1 (en) Connector
US1172191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cked conductive sheet terminals
JP7098472B2 (ja) 端子接続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396695B2 (ja) クリップ状端子
EP1396917A1 (en) Busbar connecting terminal
JP7133780B2 (ja) 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CN111384614A (zh) 端子组件和电源连接器
WO2019202974A1 (ja) コネクタ
EP3474382A1 (en) Socket
CN218385843U (zh) 降低开模成本的叠层转接端子和相应连接器组件
CN210897665U (zh) 一种接线端子
CN220306639U (zh) 一种耦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