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43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434A
KR20200102434A KR1020207016791A KR20207016791A KR20200102434A KR 20200102434 A KR20200102434 A KR 20200102434A KR 1020207016791 A KR1020207016791 A KR 1020207016791A KR 20207016791 A KR20207016791 A KR 20207016791A KR 20200102434 A KR20200102434 A KR 20200102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ell
polymer particles
super absorbent
absorbent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335B1 (ko
Inventor
사다나오 마나베
료이치 오치이
토모츠구 마츠이
홍 얀 리우
시아오 시아 왕
시앙 쿠이안 리우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0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regions, e.g.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5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embedded in the absorbent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63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544Permeability
    • A61F2013/1556Wate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6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particle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8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 A61F2013/53059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in granules or particles
    • A61F2013/5306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in granules or particles in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 A61F2013/53087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 A61F2013/539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with water-soluble bi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thermoplastic agent, i.e. softened by h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셀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서의 흡수 속도를 개선한다.
[해결수단] 상기 과제는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접합부(54)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이며, 또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셀(55)과, 이 셀(55) 내에 포함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포함하는 분립체를 갖는 흡수체(50)을 구비하고, 셀(55)에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 중 적어도 한쪽이 전개 상태에서 셀(55)의 외측으로 패이는 오목부(50c)로 되어 있고,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사이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중 시트(80)가 개재되며, 중 시트(80)는 접합부(54)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셀(55)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오목부(50c) 내까지 부풀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와, 이 흡수체의 겉측을 피복하는 액 투과성 탑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오줌이나 경혈 등의 배설액은 탑 시트를 투과하여 흡수체에 의해 흡수되고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흡수체로서는, 분쇄 펄프 등의 친수성 단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SAP)를 혼합하여 면상으로 적섬한 것이 널리 채택되고 있지만, 충분한 흡수 가능량을 확보하면서, 한층 더 박형화, 경량화, 저비용화 등의 요청에 응하는 것으로서, 액 투과성을 갖는 상 시트 및 하 시트의 접합부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이며, 또한, 상 시트 및 하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셀(세포)과, 이 셀 내에 포함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분립체를 갖는 흡수체(이하, 셀 흡수체라고도 함)가 각종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6 참조).
이들 셀 흡수체에서는, 각 셀의 용적보다 셀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포화 흡수 시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흡수 시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셀 내에 충만하여, 팽창 저해 및 이른바 겔 블로킹에 의해 흡수량·흡수 속도가 저하될 우려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팽창압에 의해 셀이 딱딱해져서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나, 상 시트 및 하 시트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섬유 간극으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새어나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셀 흡수체에서는, 셀에서 상 시트 및 하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을 셀의 외측으로 패이는 오목부로 하여, 셀의 용적을 크게 확보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5, 6 참조). 또한, 개개의 셀 용적 이상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팽창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접합부가 흡수 시에 박리되어, 인접하는 셀끼리의 합체에 의해 셀 용적이 확대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6 참조).
그렇지만, 셀 흡수체의 흡수 속도는 분쇄 펄프 등의 친수성 단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혼합하여 면상으로 적섬한 것과 비교하면, 추가 개선이 요구된다.
일본 특허공보 특표평 09-504207호 일본 특허공보 특표 2014-500736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 2011-189067호 일본 특허공보 특개평 10-13729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 2017-17650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 2010-522595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셀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서의 흡수 속도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흡수성 물품은 이하와 같다.
<제1 양태>
상 시트와, 그 이측에 배치된 하 시트와, 상 시트 및 하 시트의 접합부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이며, 또한, 상 시트 및 하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셀과, 이 셀 내에 포함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분립체를 갖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셀에서 상기 상 시트 및 하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이 전개 상태에서 셀의 외측으로 패이는 오목부로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상 시트 및 하 시트의 사이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중 시트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중 시트는 상기 접합부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셀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오목부 내까지 부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셀 흡수체에서는, 셀에서 상 시트 및 하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을 셀의 외측으로 패이는 오목부로 하여, 셀의 용적을 크게 확보하려고 해도, 제품의 포장 상태에서 가해지는 압력이나 장착 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오목부가 무너지면, 오목부의 형상이 회복되기 어려워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팽창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이 팽창 저해는 흡수 초기에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흡수 속도에의 영향이 크다.
이에 대하여, 본 양태에서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중 시트가 접합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셀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오목부 내까지 부풀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포장 상태에서 가해지는 압력이나 장착 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오목부가 무너지기 어렵고, 또 무너졌다 해도, 중 시트의 탄력성에 의해 적어도 중 시트가 들어가 있던 부분 또는 그에 가까운 용적까지 오목부의 형상 복원이 촉진된다. 그리고, 배설액의 흡수 시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섬유 간극을 확대하여 그 사이로 들어가면서, 혹은 중 시트를 용이하게 압축하면서, 혹은 그 양쪽에 의해 팽창할 수 있기 때문에, 중 시트의 존재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팽창을 저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상승 작용에 의해, 본 양태의 셀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흡수 속도(특히, 흡수 초기)가 개선된 것이 된다.
<제2 양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상기 상 시트, 중 시트 및 하 시트 중 어느 것에도 접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상기 중 시트에서 상기 오목부와 대향하는 면이 접하고 있는,
제1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특허문헌 6에 기재된 것과 같이, 셀 내에 중공 부분을 가지면, 사용 시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셀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소리가 나거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셀 내에서 편재하는 것에 따른 흡수 저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6에 기재된 것과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용성 접착제로 고정시키면, 흡수 초기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팽창이 저해되기 때문에, 흡수 속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양태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접착하지 않고, 중 시트에서 오목부와 대향하는 면을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시키는, 즉,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를 포함하는 셀 내의 거의 전체에 걸친 중 시트의 섬유를 충만시키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중 시트의 섬유에 의해 포착되거나, 또는 상 시트 혹은 하 시트에 눌리거나 또는 그 양쪽이 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이동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팽창 저해를 방지하면서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이동에 의한 소리 발생이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셀 내에서 편재하는 것에 따른 흡수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양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셀을 둘러싸는 방향을 따라 점선형으로 마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양태에서는, 중 시트의 섬유군이 이웃하는 접합부의 사이를 통과하여 다수의 셀간에 걸쳐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접합부의 사이에는 액 확산 통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셀간에 걸친 액 확산성 향상에 의해, 흡수 속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4 양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상기 중 시트의 상면 상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감소하고 있는,
제1∼3 중 어느 한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셀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분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양태의 분포로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의 외면을 손으로 만졌을 때에 중 시트의 개재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지금거리는 촉감(위화감)이 손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특히, 중 시트가 공극율이 높고 부피가 큰 부직포의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배설액의 흡수 전 및 배설액의 흡수 시에 중 시트의 섬유 간극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흡수 속도가 한층 더 향상한다. 즉, 흡수 초기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많이 분포하는 중 시트 상면에서의 흡수가 진행되지만, 그 속도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흡수 초기에는, 배설액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적은 중 시트 내로도 많이 들어가, 중 시트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에 의해 흡수되거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에 의해 흡수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류되거나, 또는 주위의 셀로 확산된다. 주위로 확산된 배설액은 그곳에 존재하는 중 시트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에 의해 흡수되거나, 그 위쪽에 많이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에 의해 빨려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각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배설액을 흡수해가는 과정에서, 고흡수성 폴리머가 섬유 간극을 확대하여 그 사이로 들어가면서, 혹은 중 시트를 압축하면서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흡수 메커니즘에 의해, 배설액은 빠르게 셀 흡수체의 넓은 범위로 확산되며, 또한, 셀 흡수체의 내부로 받아들여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흡수 속도의 향상은 물론, 역행 방지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제5 양태>
상기 접합부는 인접하는 셀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팽창력에 의해 박리 가능한 약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접합부는 상 시트와 중 시트와의 대향면 및 중 시트와 하 시트와의 대향면은 어느 한쪽의 박리 강도가 다른쪽의 박리 강도보다 낮은,
제1∼4 중 어느 한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개개의 셀 용적 이상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팽창에도 대응하기 위해서는, 접합부가 흡수 시에 박리되어, 인접하는 셀끼리의 합체에 의해 셀 용적이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 시트 및 하 시트의 사이에 중 시트를 가질 경우, 접합부에서, 상 시트와 중 시트가 먼저 박리되는 약접합부나, 중 시트와 하 시트가 먼저 박리되는 약접합부가 있거나 하면, 셀 흡수체의 팽창 형상이 불규칙해져, 팽창 저해나 장착감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양태와 같이, 약접합부에서, 상 시트와 중 시트와의 대향면 및 중 시트와 하 시트와의 대향면 중 어느 한쪽의 박리가 우선적으로 발생하도록 되어 있으면, 셀 흡수체의 팽창이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6 양태>
상기 중 시트는 섬도 1.6∼7.0tex, 공극율 80∼98%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5 중 어느 한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중 시트의 섬도 및 공극율이 상기 범위이면, 중 시트의 탄력성을 가능한 한 확보하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배설액의 흡수 전 및 배설액의 흡수 시에 중 시트의 섬유 간극에 용이하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흡수 시에는 오목부 내로 퍼지는 중 시트의 섬유가 개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의 통액로를 확보하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팽창을 개시한 후에도 확산성 저하가 억제되어, 겔 블로킹이 발생하기 어렵다.
<제7 양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50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이고, 500㎛ 이하 그리고 18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이고, 106㎛ 초과 그리고 180㎛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며, 또한, 106㎛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인,
제1∼6 중 어느 한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양태의 입도 분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서의 흡수 속도가 개선되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6-6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7-7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8-8 단면도, (b)는 도 1의 9-9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5-5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흡수체의 주요부 파단 평면도, (b)는 그 1-1 단면도이다.
도 8은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2-2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과 동일한 접합부를 간략적으로 나타낸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접합부를 간략적으로 나타낸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접합부를 간략적으로 나타낸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접합부를 간략적으로 나타낸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접합부를 간략적으로 나타낸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3-3 단면도이다.
도 17은 접합부를 간략적으로 나타낸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접합부를 간략적으로 나타낸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셀의 각종 배치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0은 각종 셀 흡수체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각종 셀 흡수체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셀 흡수체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박리 강도 측정 시험의 시험편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박리 강도 측정 시험의 설명도이다.
이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6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 중의 부호 X는 패스닝 테이프를 제외한 기저귀의 전폭을 나타내고 있고, 부호 L은 기저귀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각 구성 부재는 이하에 서술하는 고정 또는 접합 부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기저귀와 마찬가지로 고정 또는 접합된다. 이들 고정 또는 접합을 위한 수단으로서는, 핫멜트 접착제나 용착(가열 용착, 초음파 용착)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방식은 베타, 비드, 커튼, 작은 소용돌이형 혹은 스파이럴 도포 등의 도포 방식 외에, 콤 건이나 슈어랩 도포 등 탄성 부재의 외주면에의 도포 방식을 적절히 채택할 수 있다.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액 투과성을 갖는 탑 시트와 이측에 위치하는 액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흡수체(50)가 개재된 기본 구조를 갖고 있고, 흡수체(50)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부분이며, 또한, 흡수체(50)를 갖지 않는 부분인 엔드 플랩부(EF)를 가짐과 동시에, 흡수체(50)의 측연보다 옆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SF)를 갖고 있다. 등쪽 부분(B)에서 사이드 플랩부(SF)에는 패스닝 테이프(13)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기저귀의 장착 시에는, 등쪽 부분(B)의 사이드 플랩부(SF)를 배쪽 부분(F)의 사이드 플랩부(SF)의 외측에 겹친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13)를 배쪽 부분(F) 외면의 적당한 곳에 계지한다.
또한,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패스닝 테이프(13) 이외의 외면 전체가 외장 시트(1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특히, 흡수체(50)를 포함하는 영역에서는, 외장 시트(12)의 내면 측에 액 불투과성 시트(11)가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이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내면 측에 흡수체(50), 중간 시트(40) 및 탑 시트(30)가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탑 시트(30) 및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도시한 예에서는 직사각형이며, 흡수체(50)보다 전후 방향(LD) 및 폭 방향(WD)에서 약간 큰 치수를 갖고 있고, 탑 시트(30)에서 흡수체(50)의 측연보다 비어져 나오는 주연부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에서 흡수체(50)의 측연보다 비어져 나오는 주연부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탑 시트(30)보다 약간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흡수성 본체부(10)의 양측에는 장착자의 피부 측으로 일어서는 입체 개더(60)가 마련되어 있고, 이 입체 개더(60)를 형성하는 개더 시트(62)가 탑 시트(30)의 양측부 위부터 각 사이드 플랩부(SF)의 내면까지의 범위에 고착되어 있다.
이하, 각 부의 상세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외장 시트)
외장 시트(12)는 제품 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이다. 외장 시트(12)는 양측부에서 전후 방향(LD)의 중앙부가 잘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곳이 착용자의 다리를 둘러싸는 부위가 된다. 외장 시트(12)로서는 부직포가 적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직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소재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가공법으로서는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써멀 본드법, 에어 스루법, 니들펀치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촉감 및 강도를 양립할 수 있는 점에서 스펀본드 부직포나 SMS 부직포, SMMS 부직포 등 장섬유 부직포가 적합하다. 부직포는 1매로 사용하는 것 외에, 복수 매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부직포 서로를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그 섬유 평량은 10∼50g/㎡, 특히 15∼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시트(12)는 생략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액 불투과성 시트(11)를 외장 시트(12)와 동일 형상으로 하여 제품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방수 필름을 개재시켜 실질적으로 액 불투과성을 확보한 부직포(이 경우,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액 불투과성 시트가 구성된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이 밖에도, 최근,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 액 불투과성이면서 투습성을 갖는 소재도 예시할 수 있다. 이 액 불투과성이면서 투습성을 갖는 소재의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다공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데니어 섬유를 사용한 부직포,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섬유의 공극을 작게 하는 것에 따른 방루성 강화, 고흡수성 수지 또는 소수성 수지나 발수제의 도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방수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액 불투과성으로 한 시트도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 사용할 수 있다.
(탑 시트)
탑 시트(30)는 액 투과성을 갖는 유공 또는 무공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것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좋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써멀 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에어 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요구한다면 스펀레이스법이, 고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한다면 써멀 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 방법이 된다.
(중간 시트)
중간 시트(40)는 탑 시트(30)를 투과한 배설액을 흡수체(50) 측으로 빠르게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역행을 막기 위해, 탑 시트(30)의 이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중간 시트(40) 및 탑 시트(30)간의 접합은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 외에, 히트 엠보싱이나 초음파 용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 외에, 다수의 투과 구멍을 갖는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로서는, 탑 시트(30)의 항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탑 시트(30)보다 친수성이 높은 것이나, 섬유 밀도가 높은 것이 탑 시트(30)로부터 중간 시트(40)로의 액의 이동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0)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폭에 걸쳐 마련할 수 있다. 중간 시트(40)의 전후 방향(LD)의 길이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와 동일해도 좋고, 흡수체(50)의 길이와 동일해도 좋고,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라도 좋다.
(입체 개더)
탑 시트(30) 상에서 배설물의 가로 방향 이동을 저지하여,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폭 방향(WD)에서 제품의 양측 내면으로부터 돌출(기립)하는 입체 개더(60)를 마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입체 개더(60)는 개더 시트(62)와, 이 개더 시트(62)에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 상태에서 고정된 세장형의 개더 탄성 부재(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개더 시트(62)로서는 발수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탄성 부재(63)로서는 실모양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복수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1개 마련할 수 있다.
개더 시트(62)의 내면은 탑 시트(30)의 측부 상에 폭 방향(WD)의 고착 시단을 갖고, 이 고착 시단으로부터 폭 방향(WD)의 외측 부분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측부 및 해당 부분에 위치하는 외장 시트(12)의 측부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다리 둘레에서는, 입체 개더(60)의 고착 시단으로부터 폭 방향(WD)의 내측은 제품 전후 방향(LD)의 양단부에서는 탑 시트(30) 상에 고정되어 있지만, 그 사이 부분은 비고정 자유 부분이며, 이 자유 부분이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하게 된다. 기저귀의 장착 시에는, 기저귀가 배 형태로 몸에 장착되기 때문에, 그리고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이 작용하므로,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에 의해 입체 개더(60)가 기립하여 다리 둘레에 밀착된다. 그 결과, 다리 둘레로부터의 이른바 옆으로 새는 것이 방지된다.
도시한 예와 달리, 개더 시트(62)의 폭 방향(WD)의 내측 부분에서의 전후 방향(LD)의 양단부를, 폭 방향(WD)의 외측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재하는 기단 측 부분과, 이 기단 측 부분의 폭 방향(WD)의 중앙 측 끝 테두리로부터 신체 측으로 되접혀, 폭 방향(WD)의 외측으로 연재하는 선단 측 부분을 갖는 2개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켜서, 그 사이의 부분을 비고정 자유 부분으로 할 수도 있다.
(평면 개더)
각 사이드 플랩부(SF)에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더 시트(62)의 고착 부분 중 고착 시단 근방의 폭 방향(WD)의 외측에서, 개더 시트(62)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실모양 고무 등의 세장형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가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각 사이드 플랩부(SF)의 다리 둘레 부분이 평면 개더로서 구성되어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는 사이드 플랩부(SF)에서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외장 시트(12)의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는 도시한 예와 같이, 각 측에서 복수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측에 1개만 마련할 수도 있다.
(패스닝 테이프)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13)는 기저귀의 측부에 고정된 테이프 설치부(13C) 및 이 테이프 설치부(13C)로부터 돌출하는 테이프 본체부(13B)를 이루는 시트 기재와, 이 시트 기재에서 테이프 본체부(13B)의 폭 방향(WD)의 중간부에 마련된, 배쪽에 대한 계지부(13A)를 갖고, 이 계지부(13A)로부터 선단 측이 손잡이부로 된 것이다. 패스닝 테이프(13)의 테이프 설치부(13C)는 사이드 플랩부에서 내측층을 이루는 개더 시트(62) 및 외측층을 이루는 외장 시트(12) 사이에 끼워지며, 또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양 시트(62, 12)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13A)는 시트 기재에 접착제에 의해 박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계지부(13A)로서는, 메커니컬 파스너(면 파스너)의 후크재(수재)가 적합하다. 후크재는 그 외면 측에 다수의 계합 돌기를 갖는다. 계합 돌기의 형상으로서는, L자형, J자형, 버섯형, T자형, 더블J자형(J자형인 것을 등을 맞대어 결합한 형상인 것) 등이 존재하지만, 어느 형상이어도 좋다. 물론,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부로서 점착재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테이프 설치부로부터 테이프 본체부까지를 형성하는 시트 기재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 각종 부직포 외에, 플라스틱 필름, 폴리라미 부직포, 종이나 이들 복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타겟 시트)
배쪽 부분(F)에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에는, 계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겟을 갖는 타겟 시트(12T)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겟 시트(12T)는 계지부(13A)가 후크재인 경우, 후크재의 계합 돌기가 얽히는 루프사가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다수 마련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점착재층인 경우에는 점착성이 풍부한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쪽 부분(F)에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가 부직포로 이루어질 경우, 예를 들면, 도시한 예의 외장 시트(12)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부(13A)가 후크재인 경우에는, 타겟 시트(12T)를 생략하고, 후크재를 외장 시트(12)의 부직포에 얽히게 하여 계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겟 시트(12T)를 외장 시트(12)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마련할 수도 있다.
(흡수체)
흡수체(50)는 배설물의 액분을 흡수 유지하는 부분이다. 흡수체(50)는 그 표리 중 적어도 한쪽의 부재에 대하여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접착할 수 있다.
도 7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0)는 상 시트(51)와, 그 이측에 배치된 하 시트(52)와,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접합부(54)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이며, 또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셀(세포)(55)과, 이 셀(55) 내에 포함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갖는 셀 흡수체이다. 이와 같이, 접합부(54)에 의해 주위 전체를 둘러싸인 다수의 셀(55)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분배 유지시킴으로써, 흡수체(50)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편재를 방지할 수 있다.
제조 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흡수 팽창 후의 용적 확보를 위해, 셀(55)에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 중 적어도 한쪽이 전개 상태에서 셀(55)의 외측으로 패이는 오목부(50c)로 되어 있다. 오목부(50c)는 상 시트(51)에서 각 셀(55)을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지만, 이와 함께 또는 이것 대신, 도 20의 (c)에 나타내는 예 및 도 21의 (c)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하 시트(52)에서 각 셀(55)을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해도 된다. 오목부(50c)의 깊이(50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10㎜, 특히 8∼1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50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의 (b) 및 도 2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사이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중 시트(80)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접합부(54)에서는 상 시트(51), 중 시트(80) 및 하 시트(52)의 3층이 접합된다. 또한, 중 시트(80)는 접합부(54)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셀(55)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오목부(50c) 내까지 부풀어 있다(바꾸어 말하면, 섬유 밀도가 접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저하된다). 이로써, 제품의 포장 상태에서 가해지는 압력이나 장착 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오목부(50c)가 무너지기 어렵고, 또 무너졌다 해도, 중 시트(80)의 탄력성에 의해 적어도 중 시트(80)이 들어가 있던 부분 또는 그곳에 가까운 용적까지 오목부(50c)의 형상 복원이 촉진된다. 그리고, 배설액의 흡수 시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섬유 간극을 확대하여 그 사이로 들어가면서, 혹은 중 시트(80)를 용이하게 압축하면서, 혹은 그 양쪽에 의해 팽창할 수 있기 때문에, 중 시트(80)의 존재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을 저해하기 어렵다. 또한, 오목부(50c) 내로 퍼지는 중 시트(80)의 섬유가 개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의 통액로를 확보하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팽창을 개시한 후에도 확산성 저하가 억제되어, 겔 블로킹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들 상승 작용에 의해, 본 셀(55) 흡수체(50)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 속도(특히, 흡수 초기)가 개선된다.
상 시트(51)는 액 투과성 소재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 시트(51)는 탑 시트(30)와 마찬가지로, 유공 또는 무공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 시트(51)에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그 구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단성분 섬유 외에, 복합 섬유도 포함함)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펄프 등의 천연 섬유 등, 특별히 한정 없이 선택할 수 있지만, 열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열 가소성 수지 섬유가 적합하다. 부직포의 섬유 적층 방법은 습식, 건식에 상관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 시트(51)는 흡수 속도에 대하여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친수성 섬유, 특히, 면·펄프 등의 천연 섬유를 원료로 하는 건식 부직포, 그 중에서 펄프 70중량% 이상(100중량% 미만인 경우에서의 잔량은 적절히 합성 섬유로 할 수 있다)의 에어레이드 펄프 부직포는 상 시트(51)에 특히 적합한 것 중 하나이다. 부직포의 섬유 결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과 같이 섬유 밀도가 높아지는 결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의 섬도, 평량 및 두께는 각각 2.0∼7.0dtex 정도, 18∼50g/㎡ 정도, 0.10∼0.60㎜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경우, 그 개공 지름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외형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 시트(51)의 소재가 소수성인 경우에는, 친수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하 시트(52)로서는, 상 시트(51)와 같은 소재로 할 수도 있지만, 액 불투과성 소재를 채택할 수도 있다. 하 시트(52)에 사용할 수 있는 액 불투과성 소재로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항에서 서술한 소재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는 1매의 소재가 2개로 겹쳐서 포개진 한쪽 층 및 다른쪽 층으로 할 수도 있다.
중 시트(80)로서는 부직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구성 섬유의 섬도는 1.6∼7.0dtex 정도가 바람직하고, 5.6∼6.6dtex이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중 시트(80)의 부직포의 공극율은 80∼98%이면 바람직하고, 90∼95%이면 더 바람직하다. 중 시트(80)의 섬도 및 공극율이 이 범위이면, 중 시트(80)의 탄력성을 가능한 확보하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배설액의 흡수 전 및 배설액의 흡수 시에 중 시트(80)의 섬유 간극에 용이하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흡수 시에는 오목부(50c) 내로 퍼지는 중 시트(80)의 섬유가 개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의 통액로를 확보하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팽창을 개시한 후에도 확산성 저하가 억제되어, 겔 블로킹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중 시트(80)의 두께는 오목부(50c)의 깊이(50d)나 오목부(50c) 내로 들어가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두께가 오목부(50c) 깊이(50d)의 10%∼90%이면 바람직하고, 70%∼90%이면 더 바람직하다. 중 시트(80)의 평량도 같은 이유에서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상기 두께 범위에서는 25∼4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 시트(80)에 사용하는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단성분 섬유 외에, 심초 등의 복합 섬유도 포함함)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 특별히 한정 없이 선택할 수 있고, 이것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중 시트(80)의 부직포의 공극율을 높게(섬유 간극을 넓게) 하기 위해서는, 구성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 시트(80)의 부직포의 구성 섬유가 친수성 섬유(친수화제에 의해 친수성이 된 소수성 섬유를 포함함)이면 보수성이 높아지고, 소수성 섬유이면 확산성이 향상한다. 부직포의 섬유 결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극율을 높게(섬유 간극을 넓게) 하면서, 충분히 섬유를 결합하여 탄력성을 확보하기 위해, 열풍 가열에 의해 섬유를 결합한 에어 스루 부직포가 중 시트(80)에는 바람직하다.
중 시트(80)에서 오목부(50c)와 대향하는 면은 오목부(50c) 내로 들어가 있는 한, 도 20의 (a), (c) 및 도 21의 (a)∼(c)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50c)의 내면에 접해 있으면 바람직하지만, 도 2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중 시트(80)에서 오목부(50c)와 대향하는 면과 오목부(50c)의 내면을 이간시킬 경우, 그 이간 거리(80s)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오목부(50c) 깊이(50d)의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 시트(80)는 도 20의 (a)∼(c) 및 도 21의 (a), (b)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55) 내 및 접합부(54) 양쪽에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핫멜트 접착제(80h)에 의해 접착되어 있어도 좋고, 도 2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양쪽에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는 그 거의 전부(예를 들면, 95% 이상)를 상 시트(51), 하 시트(52) 및 중 시트(80)에 대하여 비고정으로 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일부 또는 거의 전부(예를 들면, 95% 이상)를 상 시트(51), 하 시트(52) 및 중 시트(8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 또는 점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는 어느 정도 덩어리 모양화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셀(55)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경우, 셀(55) 내에 중공 부분을 가지면, 사용 시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셀(55)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소리가 나거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셀(55) 내에서 편재하는 것에 따른 흡수 저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중 시트(80)에서 오목부(50c)와 대향하는 면을 오목부(50c)의 내면에 접촉시키는, 즉,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50c)를 포함하는 셀(55) 내의 거의 전체에 걸쳐 높은 공극율의 중 시트(80)의 섬유를 충만시키는 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로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는 중 시트(80)의 섬유에 의해 포착되거나, 또는 상 시트(51) 혹은 하 시트(52)에 눌리거나 또는 그 양쪽이 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이동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 저해를 방지하면서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이동에 의한 소리 발생이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셀(55) 내에서 편재하는 것에 따른 흡수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의 (a), (b), 도 21의 (c)에 각각 나타내는 예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중 시트(80)의 상면 상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감소하면, 사용자가 기저귀의 외면을 손으로 만졌을 때에 중 시트(80)의 개재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지금거리는 촉감(위화감)이 손에 전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중 시트(80)가 공극율이 높고 부피가 큰 부직포인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는 배설액의 흡수 전 및 배설액의 흡수 시에 중 시트(80)의 섬유 간극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흡수 속도가 한층 더 향상한다. 즉, 흡수 초기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많이 분포하는 중 시트(80) 상면에서의 흡수가 진행되지만, 그 속도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흡수 초기에는, 배설액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적은 중 시트(80) 내로도 많이 들어가, 중 시트(80)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에 의해 흡수되거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에 의해 흡수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류되거나, 또는 주위의 셀(55)로 확산된다. 주위로 확산된 배설액은 그곳에 존재하는 중 시트(80)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에 의해 흡수되거나, 그 위쪽에 많이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에 의해 빨려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각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배설액을 흡수해가는 과정에서, 고흡수성 폴리머가 섬유 간극을 확대하여 그 사이로 들어가면서, 혹은 중 시트(80)를 압축하면서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흡수 메커니즘에 의해, 배설액은 빠르게 셀(55) 흡수체(50)의 넓은 범위로 확산하며, 또한, 셀(55) 흡수체(50)의 내부로 받아들여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흡수 속도의 향상은 물론, 역행 방지성에도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이러한 흡수 메커니즘을 양호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오목부(50c)는 적어도 상 시트(51)에서 각 셀(55)을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셀(55)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분포 정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중 시트(80)의 상면 상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중량 비율은 전량의 50%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중 시트(80) 내에 유지된(즉, 하 시트(52) 위가 아님) 고흡수성 폴리머의 중량 비율은 전량의 45%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물론, 셀(55)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분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2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하 시트(52)의 상면 상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감소하고 있는 분포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 시트(80)의 상면 위 및 하 시트(52)의 상면 위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양이 그들 사이의 부분보다 많은 분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중 시트(80)의 두께 방향 중간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을 향해서 감소하고 있는 분포로 할 수도 있다. 이 형태는 중 시트(80)를 2층의 부직포로 하여, 층간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끼움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서는,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자 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이고, 500㎛ 이하 그리고 18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이고, 106㎛ 초과 그리고 180㎛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며, 또한, 106㎛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입자 지름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실시한다. 즉, 500㎛, 180㎛, 106㎛의 표준 체(JIS Z8801-1: 2006) 및 받침 접시를 위로부터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하여, 최상단의 500㎛의 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시료를 10g 투입하여, 체질(5분간 진탕)을 실시한 후, 각 체 위에 남는 입자의 중량을 계측한다. 이 체질의 결과, 500㎛, 180㎛, 106㎛의 각 체 위에 남은 시료 및 받침 접시 상에 남은 시료의 투입량에 대한 중량 비율을 각각 500㎛ 초과인 입자의 비율, 500㎛ 이하 그리고 180㎛ 초과인 입자의 비율, 106㎛ 초과 그리고 180㎛ 이하인 입자의 비율, 106㎛ 이하인 입자의 비율로 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인 것이 있으며,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형인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서는, 흡수 속도가 7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너무 느리면, 흡수체(50)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0) 밖으로 돌아나와버리는 이른바 역행을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부피가 큰 흡수체(50)로 한 경우라도,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평량은 해당 흡수체(50)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평량이 50g/㎡ 미만에서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35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한다.
셀(55)의 평면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도 8, 도 12, 도 1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각형, 마름모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할 수 있지만, 보다 조밀한 배치로 하기 위해 다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한 예와 같이 간극 없이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55)은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의 것을 배열하는 것 외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상 및 치수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복수 종의 셀(55)을 조합하여 배열할 수도 있다.
셀(55)(즉,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집합부도 마찬가지)의 평면 배열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평면 배열이 바람직하고,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방 격자형이나,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육각 격자형(이것들은 지그재그형이라고도 함),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방 격자형, 도 1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 격자형, 도 19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행체 격자형(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평행인 비스듬한 방향의 열의 군이 서로 교차하도록 2군 마련되는 형태) 등(이것들이 신축 방향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포함함)과 같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외에, 셀(55)의 군(군 단위의 배열은 규칙적이어도 불규칙해도 되며, 모양이나 문자형 등이어도 좋다)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각 셀(55)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후 방향(LD)의 길이(55L)는 8∼30㎜ 정도로 할 수 있고, 또한, 폭 방향(WD)의 길이(55W)는 10∼50㎜ 정도로 할 수 있다. 각 셀(55)의 면적은 65∼1650m㎡ 정도로 할 수 있다.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를 접합하는 접합부(54)는 초음파 용착이나 히트 실링과 같이,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접합부(54)는 각 셀(55)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인접하는 셀간의 경계가 되는 한, 도시한 예와 같이 점선형(각 셀(55)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하는 것 외에, 연속선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접합부(54)를 단속적으로 형성할 경우, 셀(55)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접합부(54)의 사이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한다 해도 셀(55) 내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접합부가 점선형(단속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중 시트의 섬유군이 이웃하는 접합부의 사이를 통과하여 다수의 셀간에 걸쳐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접합부의 사이에는 액 확산 통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셀간에 걸친 액 확산성 향상에 의해, 흡수 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0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부(54)는 인접하는 셀(55)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력에 의해 박리 가능한 약접합부(54b)라도, 또한, 인접하는 셀(55)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력에 의해 기본적으로 박리하지 않는 강접합부(54a)라도 좋다. 개개의 셀(55) 용적 이상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에도 대응하기 위해서는, 접합부(54)의 일부 또는 전부는 약접합부(54b)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접합부(54b)를 가짐으로써, 약접합부(54b)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셀(55)끼리는, 해당 셀(55)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흡수 팽창압에 의해 박리되어 합체하여 하나의 큰 셀(55)이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약접합부(54b)에서 상 시트(51)와 중 시트(80)와의 대향면 및 중 시트(80)와 하 시트(52)와의 대향면의 박리 강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0.800N/4㎝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강접합부(54a)에서 상 시트(51)와 중 시트(80)와의 대향면 및 중 시트(80)와 하 시트(52)와의 대향면의 박리 강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약접합부(54b)에서 상 시트(51)와 중 시트(80)와의 대향면 및 중 시트(80)와 하 시트(52)와의 대향면의 박리 강도 중 높은 쪽의 1.1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셀(55) 흡수체(50)와 같이,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사이에 중 시트(80)를 가질 경우, 접합부(54)에서, 상 시트(51)와 중 시트(80)가 먼저 박리되는 약접합부(54b)나, 중 시트(80)와 하 시트(52)가 먼저 박리되는 약접합부(54b)가 있거나 하면, 셀(55) 흡수체(50)의 팽창 형상이 불규칙해져, 팽창 저해나 장착감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약접합부(54b)는 상 시트(51)와 중 시트(80)와의 대향면 및 중 시트(80)와 하 시트(52)와의 대향면 중 어느 한쪽의 박리 강도가 다른쪽의 박리 강도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로써, 박리 강도가 약한 쪽의 박리가 우선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셀(55) 흡수체(50)의 팽창이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면, 셀(55) 내 및 접합부(54)의 양쪽에서, 상 시트(51)와 중 시트(80)와의 대향면만을 접착하거나, 또는 중 시트(80)와 하 시트(52)와의 대향면만을 접착함으로써, 약접합부(54b)에서 상 시트(51)와 중 시트(80)와의 대향면 및 중 시트(80)와 하 시트(52)와의 대향면 중,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쪽의 박리 강도를, 접착이 이루어져 있는 쪽의 박리 강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구축할 수 있다. 약접합부(54b)에서 상 시트(51)와 중 시트(80)와의 대향면 및 중 시트(80)와 하 시트(52)와의 대향면의 박리 강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높은 쪽의 박리 강도는 0.040∼0.800N/4㎝ 정도가 바람직하고, 낮은 쪽의 박리 강도는 높은 쪽의 박리 강도의 0.5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특히, 도 20의 (a), (b), 도 21의 (c)에 각각 나타내는 예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중 시트(80)의 상면 상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곳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감소하고 있는 형태로, 그 흡수 메커니즘을 양호하게 발휘시키는 것도 고려하면, 상 시트(51)와 중 시트(80)와의 대향면의 박리 강도가 중 시트(80)와 하 시트(52)와의 대향면의 박리 강도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강접합부(54a)는 그 양측의 셀(55)이 흡수 팽창해도 기본적으로 박리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것이 특정 방향으로 계속됨으로써 확산성을 향상시키거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겔화물의 유동을 방지하거나, 표면 측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키거나 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것을 약접합부와 조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종 특징을 갖는 셀 흡수체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WD)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접합부(54)는 이것이 박리하면 흡수체(50)의 옆쪽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 또는 그 겔화물이 새어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강접합부(54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관점에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는 셀(55) 형성 영역보다 폭 방향(WD)의 외측으로 어느 정도 연재시켜, 이 연재 부분에 보강을 위해 테두리부 접합부(54c)를 마련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강도의 차이는 접합부(54)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간단하고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접합부(54)를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형성할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의 종류를 부위에 따라 달리 하는 수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특히,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를 용착함으로써 접합부(54)를 형성할 경우, 약접합부(54b)는 접합부(54)를 점선형으로 하여 점 간격(54D)을 넓게 하는 것만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접합부(54)는 인접하는 셀(55)끼리의 경계가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점 간격(54D)이 너무 넓어지면 인접하는 셀(55)끼리의 경계에 간극이 많아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이동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접합부(54)의 선 폭(54W)의 넓이와, 점 간격(54D)의 넓이를 조합하여 점선형 약접합부(54b)를 형성하면, 그 약접합부(54b) 부분은 간극이 적은 것치고는 박리하기 쉬운 것이 된다.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를 접합하는 접합부(54)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선 폭(셀(55)을 둘러싸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54W)은 0.6∼8.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점선형(셀(55)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접합부(54)를 형성할 경우, 셀(55)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접합부(54)의 길이(54L)는 0.6∼8.0㎜ 정도, 점 간격(54D)은 0.8∼1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강접합부(54a)의 경우에는, 선 폭(54W)은 1.0∼4.0㎜ 정도, 접합부(54)의 길이(54L)는 1.5∼4.0㎜ 정도, 점 간격(54D)은 0.8∼2.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접합부(54b)의 경우에는, 선 폭(54W)은 0.6∼3.5㎜ 정도, 접합부(54)의 길이(54L)는 0.6∼2.5㎜ 정도, 점 간격(54D)은 1.0∼4.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접합부(54b)를 박리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약접합부(54b)에 인접하는 셀(55)의 용적보다 해당 셀(55)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포화 흡수 시의 부피가 충분히 커지도록, 각 셀(55) 내에 배치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종류 및 양을 정할 수 있다. 또한, 강접합부(54a)를 기본적으로 박리하지 않는 것으로 하기 위해, 약접합부(54b)의 박리에 의해 합체 가능한 셀(55)의 합체 후의 용적보다, 해당 합체 가능한 셀(55)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포화 흡수 시의 부피가 작아지도록, 각 셀(55) 내에 배치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종류 및 양을 정할 수 있다.
접합부(54)를 연속선상에 형성할 경우에 접합부(54)의 폭 및 접합부(54)를 점선형으로 형성할 경우의 선 폭(54W)은 셀(55)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하는 것 외에,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접합부(54)를 점선형으로 형성할 경우의 각 접합부(54)의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하게 하는 것 외에, 부위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특히, 각 셀(55)의 형상을 다각형으로 할 경우에는, 각 변의 중간 위치 및 각 정점 위치 중 적어도 한쪽에는 접합부(5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접합부(54a)의 경우, 각 정점 위치에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약접합부(54b)의 경우, 각 정점 위치에는 마련하지 않는 편이 약접합부(54b)가 박리하기 쉬워져, 셀(55)의 합체가 원활히 진행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각 정점 위치에 접합부(54)를 마련할 경우, 그 형상은 각 변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사상(별 모양)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도 11∼도 15,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0)의 폭 방향(WD)의 중간 영역에 강접합부(54a)가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세로 강접합선(58) 및 그 양 옆에 인접하는 저팽창 셀(55s)로 이루어지는 확산성 향상부(57)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확산성 향상부(57)의 저팽창 셀(55s)은 확산성 향상부(57)의 양 옆에 인접하는 셀(55)보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단위면적당 내포량이 적으며, 또한, 해당 확산성 향상부(57)의 양 옆에 인접하는 셀(55)과의 사이의 접합부(54)가 약접합부(54b)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액의 흡수 당초, 확산성 향상부(57)와 그 주위 부분과의 팽창량 차이에 의해, 확산성 향상부(57)를 바닥부로 하는 폭이 넓은 홈이 형성되며, 그 홈에 의해 액 확산이 촉진된다. 이 상태는 확산성 향상부(57) 주위의 셀(55)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력에 의해, 확산성 향상부(57)의 저팽창 셀(55s)과 그 양 옆 셀(55)과의 사이의 약접합부(54b)가 어긋날 때까지 계속되며, 해당 약접합부(54b)가 어긋난 후에도 강접합부(54a)는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홈의 폭은 좁아지지만, 강접합부(54a)를 바닥부로 하는 홈이 남아 확산성은 유지된다. 즉, 다량의 배설액 확산이 중요시되는 흡수 초기에는 홈의 폭이 넓고, 그 후에는, 겔 블로킹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확산성 향상부(57)의 저팽창 셀(55s)도 주위의 셀(55)과 합체하지만, 강접합부(54a)에 의해 홈이 남아, 확산성 향상 작용이 유지된다.
저팽창 셀(55s)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내포량은 중량비로 인접하는 셀(55)의 1/3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혀 내포하지 않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산성 향상부(57)의 저팽창 셀(55s)과, 확산성 향상부(57)의 양 옆에 인접하는 셀(55)과의 사이의 약접합부(54e)는 다른 약접합부(54f)보다 접합 강도가 높고, 또한, 강접합부(54a)보다 접합 강도가 낮은 것이면, 확산성 향상부(57)의 저팽창 셀(55s)과, 확산성 향상부(57)의 양 옆에 인접하는 셀(55)과의 사이의 약접합부(54e)가 어긋나기 어려워져, 보다 긴 시간, 확산성 향상부(57)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 넓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도 11∼도 15, 도 17 및 도 18에서는, 강접합부(54a) 및 상대적으로 접합 강도가 높은 약접합부(54e)가 굵은 점선으로 표현되고, 다른 약접합부(54b, 54f)는 가는 점선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함유하는 셀(55)(즉, 저팽창 셀(55s) 및 후술하는 빈 셀(56)을 제외한 셀(55))에는 사선 모양이 붙어 있다.
확산성 향상부(57)는 도 8, 도 11∼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LD)의 중간 부분(특히, 고간부를 포함하고, 그 전후 양측에 걸친 범위)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확산성 향상부(57)는 도 8, 도 11∼도 15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WD) 중앙의 한곳에 마련하는 것 외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곳에 마련할 수도 있다.
확산성 향상부(57)의 폭을 확대하기 위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LD)으로 나열되는 셀(55)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한 쌍의 세로 강접합선(58)을 마련하고, 이 세로 강접합선(58)의 사이 및 그 폭 방향(WD) 양측에 인접하는 셀(55)을 저팽창 셀(55s)로 할 수도 있다. 세로 강접합선(58)의 수 및 저팽창 셀(55s)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더욱 확산성 향상부(57)의 폭을 확대할 수도 있다.
흡수체(50)의 전후 방향(LD) 전체에 걸쳐 셀(55)끼리가 합체 가능하면, 흡수 시에 팽창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겔화물이 합체한 셀(55) 내를 전후 방향(LD)으로 크게 이동 가능해져, 해당 겔화물이 고간부 등의 낮은 곳에 집합하여 장착감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8, 도 11, 도 14∼도 16,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접합부(54a)가 폭 방향(WD)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계속되는 부분인 가로 강접합선(59)이 전후 방향(LD)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로써, 흡수 시에 기본적으로 박리하지 않는 강접합부(54a)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겔화물의 전후 방향(LD) 이동을 저지할 수 있어, 흡수체(50)의 형상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12, 도 13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가로 강접합선(59)을 갖지 않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강접합선(59)의 전후 양 옆에 인접하는 셀(55)을 저팽창 셀(55s)로 하여, 가로 방향의 확산성 향상부(57)를 마련할 수도 있다.
특히, 도 8, 도 11, 도 14, 도 15 및 도 18에 나타내는 형태와 같이, 강접합부(54a)가 흡수체(50)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부분인 세로 강접합선(58)이 폭 방향(WD)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셀(55)의 측연을 따라 폭 방향(WD)의 양측에 각각 마련됨과 동시에, 이들 폭 방향(WD)의 중간에도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가로 강접합선(59)이 폭 방향(WD)으로 이웃하는 세로 강접합선(58) 사이에 걸치도록 폭 방향(WD)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계속되는 부분이면, 강접합부(54a)에 의해 둘러싸이는 최확대 구획(55G) 이상으로는 셀(55)이 합체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 시에 팽창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겔화물은 최확대 구획(55G) 밖으로는 이동하지 않아, 흡수 시에 흡수체(50)의 형상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접합부(54a)가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부분인 세로 강접합선(58)에 의해 세로 방향의 액 확산성이 향상되어, 강접합부(54a)가 폭 방향(WD)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계속되는 부분인 가로 강접합선(59)에 의해 가로 방향의 액 확산성이 향상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형태에서, 부호 Z의 위치에 오줌이 배설되었다고 가정하면, 그곳을 중심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줌이 주위로 확산되면서, 그 오줌을 각 위치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흡수해간다. 이 때,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압이 높아진 셀(55)에 대하여는, 그 주위의 약접합부(54b)가 팽창압에 저항하지 못하고 박리되어, 인접하는 셀(55)과 합체한다. 이 합체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흡수 팽창이 약접합부(54b)를 박리할 수 있는 한 계속되며, 주위에 강접합부(54a)를 갖는 셀(55)까지 진행 가능해진다.
최확대 구획(55G)의 크기나 형상, 배치(즉, 강접합부(54a)의 배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최확대 구획(55G)을 너무 작게 하면, 강접합부(54a)를 마련하는 의의가 없어지고, 또한, 셀(55)수가 많아도 가늘고 길게 형성하였을 때에는 셀(55) 합체 후의 형상이 부풀기 어려운 형상이 된다. 예를 들면, 도시한 예와 같이, 셀(55)이 정육각형인 경우에는, 도 11, 도 14, 도 15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확대 구획(55G)은 7이상 수의 셀이 두 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나열되고, 또한, 주연 형상이 주연을 따르는 셀(55)에서 하나의 셀(55)당 연속하는 2∼4의 변을 이어서 형성되는 닫힌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셀(55)이 차례로 합체하여 최확대 구획(55G)까지 원활하게 확대하기 쉽고, 최확대 구획(55G)은 부풀기 쉬운 형상이 되며, 또한, 최확대 구획(55G)까지 확대하였을 때의 셀(55) 합체수에 대한 셀(55) 용적 증가량이 우수해진다. 또한, 용어 「정육각형」은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가 제조 시에 신축하는 영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5%까지 신축 변형한 것도 포함한다.
최확대 구획(55G)의 주연에서, 하나의 셀(55)당 연속하는 2개의 변을 이은 부분은 직선형 부분이 될 수 있는 것이고, 하나의 셀(55)당 연속하는 3개의 변을 이은 부분은 직선형 부분 또는 내각 120도의 모서리 부분(방향 전환 부분)이 될 수 있는 것이며, 하나의 셀(55)당 연속하는 4개의 변을 이은 부분은 내각 60도 또는 180도의 방향 전환 부분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직선형 부분과 모서리 부분을 조합함으로써, 최확대 구획(55G)의 주연 형상(강접합부(54a)의 배열)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거의 정삼각 형상으로 하거나,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평행사변 형상으로 하거나,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사각 형상으로 하거나 할 수 있게 된다.
도 8∼도 11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세로 강접합선(58)이 흡수체(50)의 폭 방향(WD) 중앙부 및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가로 강접합선(59)은 상기 중앙의 세로 강접합선(58) 및 양측부의 세로 강접합선(58) 사이의 각각에, 좌우로 반복하여 꺽이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형을 이루고 있다. 이 결과, 중앙의 세로 강접합선(58)의 위치에 정점을 갖는 거의 삼각 형상의 최확대 구획(55G)과, 양측부의 세로 강접합선(58)의 위치에 정점을 갖는 거의 삼각 형상의 최확대 구획(55G)이 전후 방향으로 번갈아 반복 형성되어 있다. 가로 강접합선(59)이 이렇게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은 가로 강접합선(59)의 개수로 효율적으로 가로 방향의 액 확산을 촉진할 수 있으며, 또한, 최확대 구획(55G)은 부풀기 쉬운 거의 삼각형이 되고, 셀(55) 합체수에 대한 셀(55) 용적 증가량도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저팽창 셀(55s)을 마련하지 않고 세로 강접합선(58)만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설액의 흡수 시에 강접합부(54a)는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강접합부(54a)를 바닥부로 하는 홈이 남는 것에 따른 확산성 향상은 도모된다.
한편,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단위면적당 내포량이 다른 셀보다 적은 빈 셀(56)을 마련할 수도 있다. 도 8, 도 11∼도 15, 도 17 및 도 18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함유하는 셀(55)(즉, 저팽창 셀(55s) 및 후술하는 빈 셀(56)을 제외한 셀(55))에는 사선 모양이 붙어 있다. 이 중, 도 8에서 사선 모양을 붙인 영역은 제조 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산포 영역(53A)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주연의 셀(55)에는 사선 모양이 없는 부분이 있지만, 셀(55)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제품에서는 셀(55)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존재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도면의 것과 마찬가지로, 셀(55) 내의 전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분포할 수 있는 것이다. 빈 셀(56)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내포량은 중량비로 다른 셀의 1/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혀 내포하지 않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흡수체(50)의 전단 및 후단은 제조 시에 개개의 흡수체(50)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이 위치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함유하면 절단 장치의 칼날 수명이 짧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적어도 흡수체(50)의 전후단이 통과하는 위치의 셀(55)은 빈 셀(5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쇄 펄프 등의 친수성 단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혼합하여 면상으로 적섬한 흡수체(50)에서는, 다리 둘레를 따르도록 전후 방향(LD)의 중간부를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셀(55) 흡수체(50)에서도, 전후 방향(LD) 중간에서 양측부의 셀(55)을 빈 셀(56)로 함으로써, 해당 부분은 흡수 후에도 팽창이 적어지며, 따라서, 흡수 후에도 흡수체(50)가 다리 둘레에 피트되는 형상이 된다.
셀(55) 흡수체(50)를 제조할 경우, 개개의 셀(55)에 정확하게 소정량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분배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상 시트(51) 또는 하 시트(52) 상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 함유 영역(빈 셀(56)이 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 전체에 걸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골고루 산포한 후, 접합부(54)를 형성하여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를 일체화함과 동시에, 셀(55)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가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히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 함유 영역의 주연에 위치하는 셀(55)에 대하여서는, 셀(55)의 주연과 일치하는 정확한 형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산포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도 8에 사선으로 나타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산포 영역(53A)의 형상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산포 영역(53A)의 주연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 함유 영역의 주연에 위치하는 셀(55)의 중간을 통과하도록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 함유 영역의 주연에 위치하는 셀(55)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내포량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 함유 영역의 주연에 위치하는 셀(55)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셀(55)보다 적어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 함유 영역의 주연에 위치하는 셀(55)의 외측에 셀(55)을 가질 경우에는, 이 외측 셀(55)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빈 셀(56)이 된다.
상기 예는 셀(55)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만 내포시키고 있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와 함께 소취제 입자 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이외의 분립체를 내포시킬 수도 있다.
흡수체(50)는 도시하지 않은 포장 시트로 포장할 수 있다. 이 경우, 1매의 포장 시트를 흡수체(50)의 표리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통 모양으로 감는 것 외에, 2매의 포장 시트로 표리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하여 포장할 수 있다. 포장 시트로서는, 티슈 페이퍼,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시트에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친수성 SMS 부직포(SMS, SSMMS 등)가 특히 적합하고,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복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포장 시트에 사용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시트로 흡수체(50)를 포장할 경우, 셀 흡수체의 표리 어느 한쪽에 펄프 섬유를 적섬시켜, 이것들을 하나로 모아서 포장 시트로 포장할 수도 있다.
<흡수체 제조>
상술한 흡수체(50)는 연속 띠형의 제1 시트를 연속 방향을 따라 반송하고, 이 반송 과정의 제1 시트에 CD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홈을 차례로 형성하ㄱ고, 이 홈 형성 위치보다 하류 측에서, 제1 시트의 홈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분립체를 공급하며, 이 분립체의 공급 위치보다 하류 측에서, 제1 시트 상에 MD 방향으로 연속하는 띠형의 제2 시트를 서로 겹쳐서, 제2 시트를 서로 겹치는 위치보다 하류 측에서, 제1 시트의 홈간의 부분과 제2 시트를 접합하여, 분립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셀이 배열된 흡수체의 연속체를 차례로 형성하며, 이 흡수체의 연속체를 MD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개의 흡수체로 절단함과 동시에, 분립체를 공급하기 전의 제2 시트에 MD 방향으로 연속하는 띠형의 제3 시트를 접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제1 시트를 상술한 흡수체(50)에서 상 시트(51)로 하고, 제2 시트를 하 시트(5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제3 시트는 상술한 중 시트(80)가 되는 것으로, 분립체를 공급하기 전의 제2 시트에 접착하는 것 외에, 이와 함께 또는 이것 대신 분립체를 공급하기 전의 제1 시트에 접착할 수도 있다.
도 22는 셀 흡수체의 제조 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조 장치는 가로향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는 앤빌 롤(70)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며, 앤빌 롤(70)의 위 반의 회전 방향 범위 내에는, 회전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도시하지 않은 제1 시트 공급 수단과 홈 형성 수단(90)과, 도시하지 않은 분립체 공급 장치와, 제2·제3 시트 공급 수단(1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제3 시트 공급 수단(150)의 회전 방향 하류 측에 용착 수단(160)을 구비하고 있다.
앤빌 롤(70)은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오목부(71) 및 오목부(71) 사이의 부분에 각 오목부(71)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돌기(72)를 갖고 있다. 앤빌 롤(70) 외주면의 오목부(71)는 회전 방향으로 흡기 구획(73)과 비흡기 구획(74)으로 나누어진 내공(內空)으로 통하고 있고, 이 앤빌 롤(70) 내공에서 흡기 구획(73)에 도시하지 않은 흡인 팬 등의 흡기 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며, 오목부(71) 내를 흡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앤빌 롤(70) 외주면의 오목부(71) 사이의 부분에는 흡기구나 분기구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1 시트 공급 수단은 앤빌 롤(70)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액 투과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연속 띠형의 제1 시트(201)를 앤빌 롤(70)의 회전 방향으로 공급하는 것이며, 도시하지 않은 제1 시트(201)의 원반 롤부터 앤빌 롤(70) 외주면까지의 경로에서 가이드 롤, 구동 롤 등의 각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시한 예의 홈 형성 수단(90)은 앤빌 롤(70)에 대향하여, 앤빌 롤(70)의 각 오목부(71)에 들어가는 압입 핀(91)을 갖고, 앤빌 롤(70)과의 사이에 앤빌 롤(70)의 회전 방향으로 연속 띠형의 제1 시트(201)를 통과하여, 압입 핀(91)으로 제1 시트(201)를 오목부(71) 내에 압입함으로써 제1 시트(201)에 오목부(201c)를 형성하는 압입 롤로 되어 있지만, 다른 종류의 엠보싱 가공을 응용한 것이어도 좋다.
분립체 공급 장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포함하는 분립체(203)를 낙하 공급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낙하 공급에는 자체 무게에 의한 자유 낙하뿐만 아니라, 자유 낙하 이상의 힘으로 낙하하는 것도 포함한다. 분립체 공급 장치(100)는 낙하 위치의 CD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분립체를 배출하는 것 및 낙하구의 CD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간헐 공급 가능한 것의 양쪽을 이용할 수 있다.
분립체(203)의 공급 위치의 회전 방향 하류 측에는, 제2·제3 시트 공급 수단(150)이 배치되어 있다. 제2·제3 시트 공급 수단(150)은 액 투과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연속 띠형의 제2 시트(202)에서 제1 시트(201) 측이 되는 면에 공극율이 높은 제3 시트(280)(상술한 중 시트(80)를 참조)를 접착한 후, 이것을 앤빌 롤(70)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앤빌 롤(70)의 회전 방향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제2·제3 시트 공급 수단(150)은 도시하지 않은 제2 시트(202)의 원반 롤 및 제3 시트(280)의 원반 롤부터 앤빌 롤(70) 외주면까지의 경로에서 가이드 롤, 구동 롤 등의 각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시한 예의 제2·제3 시트 공급 수단(150)에서는, 먼저, 제3 시트(280)의 접착면에 노즐(153)로부터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3 시트(280) 및 제2 시트(202)를 첩합 롤(152)로 서로 겹쳐서 접착한다. 핫멜트 접착제는 제3 시트(280)가 아니라, 제2 시트(202)에 도포해도 된다. 이어서, 이 접착에 의해 일체화된 제2 시트(202) 및 제3 시트(280)를 앤빌 롤(70)에 공급한다. 여기서, 앤빌 롤(70)의 외주면 근방까지 접선 방향을 따라 가까워지는 가이드판(151)이 배치되어 있고, 제2 시트(202) 및 제3 시트(280)는 이 가이드판(151)의 상측을 통과하여, 그 선단에서 되접어 꺾인 후에, 앤빌 롤(70)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회전 방향으로 공급된다. 이 때문에, 가이드판(151)의 선단은 제2 시트(202) 및 제3 시트(280)의 안내 방향을 따르는 곡면의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용착 수단(160)은 제1 시트(201), 제2 시트(202) 및 제3 시트(280)를 용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한 예와 같이, 초음파 용착 장치의 초음파 혼을 사용하는 것 외에, 도시하지 않은 가열 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조 시에는, 제1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제1 시트(201)를 앤빌 롤(70)에 공급하고, 홈 형성 수단(90)에 의해 제1 시트(201)에 오목부(201c)를 차례로 형성한다. 압입 롤에 의한 오목부(201c) 형성 가공의 정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압입 핀(91)에 의한 제1 시트(201)의 압입 깊이(91d)를 2∼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201c)가 형성된 제1 시트(201)는 앤빌 롤(70)에 감긴 채로 다음의 분립체 공급 장치(100)의 공급 위치까지 회전해간다. 이 때, 오목부(201c)의 형성 단계부터 오목부(71)가 흡기 구획(73)에 위치하고, 오목부(71)의 흡기가 유지되기 때문에, 오목부(201c)는 형성 시인 채로 확실하게 오목부(71) 내에 유지된다. 이 흡기는 적어도 나중의 제2 시트(202) 공급 위치까지, 바람직하게는 용착 위치까지 유지된다. 분립체 공급 장치(100)로부터는, 제1 시트(201)의 오목부(201c)에 분립체(203)가 낙하 공급된다. 분립체(203)는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도, 또한, CD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서 단속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오목부(201c)에 분립체(203)가 공급된 제1 시트(201)에 대하여, 바로 제2·제3 시트 공급 수단(150)에 의해 제1 시트(201)의 외측에 제3 시트(280) 및 제2 시트(202)가 감겨서, 제1 시트(201) 중 적어도 오목부(201c)를 갖는 CD 방향 범위가 제2 시트(202)로 피복됨과 동시에, 제1 시트(201)와 제2 시트(202)의 사이에 제3 시트(280)가 끼워진다. 이들 제1 시트(201), 제2 시트(202) 및 제3 시트(280)는 앤빌 롤(70)에 감긴 채로, 바로 용착 수단(160)에 의해, 제1 시트(201)의 오목부(201c) 사이의 부분과 제2 시트(202)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시트(280)가 앤빌 롤(70)의 도트형 돌기(72)의 부위에서 용착 접합되어, 분립체(203)를 포함하는 다수의 셀(55)이 배열된 흡수체(50)의 연속체(200)가 차례로 형성된다. 이 흡수체(50)의 연속체(200)는 앤빌 롤(70)로부터 내보내진 후, 도시하지 않은 커터 장치에 의해 MD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개의 흡수체(50)로 절단된다.
<명세서 중의 용어 설명>
명세서 중에서 이하의 용어가 사용될 경우, 명세서 중에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MD 방향」 및 「CD 방향」이란, 제조 설비에서의 흐름 방향(MD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가로 방향(CD 방향)을 의미하며, 어느 한쪽이 제품의 전후 방향이 되는 것이고, 다른쪽이 제품의 폭 방향이 되는 것이다. 부직포의 MD 방향은 부직포의 섬유 배향의 방향이다. 섬유 배향이란, 부직포의 섬유를 따르는 방향이며, 예를 들면, TAPPI 표준법 T481의 영거리 인장 강도에 의한 섬유 배향성 시험법에 준한 측정 방법이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인장 강도비로부터 섬유 배향 방향을 결정하는 간이적 측정 방법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전개 상태」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상태를 의미한다.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인공뇨」는 요소: 2wt%, 염화나트륨: 0.8wt%, 염화칼슘 이수화물: 0.03wt%, 황산마그네슘 칠수화물: 0.08wt% 및 이온 교환수: 97.09wt%를 혼합한 것으로,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온도 37도에서 사용된다.
「겔 강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인공뇨 49.0g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1.0g 더해서 교반기로 교반시킨다. 생성한 겔을 40℃×60%RH의 항온항습조 내에 3시간 방치한 뒤 상온으로 되돌려서, 커드 미터(I. techno Engineering사제: Curdmeter-MAX ME-500)로 겔 강도를 측정한다.
「평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예비 건조한 후,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 방치하여, 항량이 된 상태로 한다. 예비 건조는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온도 100℃의 환경에서 항량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정 수분율이 0.0%인 섬유에 대하여는, 예비 건조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항량이 된 상태의 시험편으로부터, 시료 채취용 형판(100㎜×100㎜)을 사용하여, 100㎜×100㎜의 치수 시료를 잘라낸다.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100배하여 1평방미터당 무게를 산출하여, 평량으로 한다.
「두께」는 자동 두께 측정기(KES-G5 핸디 압축 시험기)를 이용하여 하중: 0.098N/㎠ 및 가압 면적: 2㎠의 조건 하에서 자동 측정한다.
「공극율」이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계측하는 것이다. 즉, 중 시트에서 접합부 이외의 부분을 직사각형으로 잘라내서 시료로 한다. 시료의 길이, 폭, 두께, 중량을 측정한다. 부직포의 원료 밀도를 이용하여, 시료와 같은 부피로 공극율이 0%인 경우의 가상 중량을 산출한다. 시료 중량 및 가상 중량을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공극율을 구한다.
공극율=〔(가상 중량-시료 중량)/가상 중량〕×100
「흡수량」은 JIS K7223-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 시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한다.
「흡수 속도」는 2g의 고흡수성 폴리머 및 50g의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JIS K7224-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 시험법」을 실시하였을 때의 「종점까지의 시간」으로 한다.
「박리 강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즉, 흡수체(50)로부터,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D 방향 350㎜×CD 방향 40㎜의 시험편(500)을 잘라낸다. 그리고, 시험편(500)의 MD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에 100㎜의 부분에서 대상 시트(상술한 상 시트(51)와 중 시트(80), 또는 중 시트(80)와 하 시트(52))를 박리하여 파지대(501)를 형성하고, 각 파지대(501)를 인장 시험기의 상하 파지구로 각각 파지하여, 파지구 간격 40㎜, 인장 속도 300㎜/min의 조건에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머지 측정 부분(502)을 박리하여, 그 박리에 요하는 인장력(cN/25㎜)을 측정한다. 측정 부분의 박리 상태를 관찰하여, 계면 파괴(계면 박리) 및 응집 파괴 시에는, 세로 축을 인장력으로 하는 측정 곡선 중, 박리 개시 이후(곡선이 다 올라온 후)의 파형 부분으로부터 최초의 5개 정점 및 최초의 5개 저점을 선택하여, 각 점의 인장력의 평균치를 측정치로 한다. 또한, 재료 파괴(기재 파괴) 시에는, 인장력의 최대치를 측정치로 한다. 이상의 측정을 3회 실시하여, 그 평균치를 박리 강도로 한다. 또한, 시험 대상 부위의 치수가 작아, 시험편의 CD 방향의 치수가 40㎜ 미만이 될 경우에는,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박리 강도를 40㎜당으로 환산한다.
시험이나 측정에서의 환경 조건에 대한 기재가 없을 경우, 그 시험이나 측정은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각 부의 치수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자연 길이 상태가 아니라 전개 상태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11: 액 불투과성 시트
12: 외장 시트
12T: 타겟 시트
13: 패스닝 테이프
13A: 계지부
13B: 테이프 본체부
13C: 테이프 설치부
30: 탑 시트
40: 중간 시트
60: 입체 개더
62: 개더 시트
50: 흡수체
51: 상 시트
50c: 오목부
50d: 깊이
52: 하 시트
53: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54: 접합부
54a: 강접합부
54b: 약접합부
54c: 테두리부 접합부
55: 셀
55s: 저팽창 셀
55G: 최확대 구획
56: 빈 셀
57: 확산성 향상부
58: 세로 강접합선
59: 가로 강접합선
80: 중 시트
LD: 전후 방향
WD: 폭 방향

Claims (7)

  1. 상 시트와, 그 이측에 배치된 하 시트와, 상 시트 및 하 시트의 접합부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이며, 또한, 상 시트 및 하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셀과, 이 셀 내에 포함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분립체를 갖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셀에서 상기 상 시트 및 하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이, 전개 상태에서 셀의 외측으로 패이는 오목부로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상 시트 및 하 시트의 사이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중 시트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중 시트는, 상기 접합부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셀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오목부 내까지 부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상기 상 시트, 중 시트 및 하 시트 중 어느 것에도 접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상기 중 시트에서 상기 오목부와 대향하는 면이 접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셀을 둘러싸는 방향을 따라 점선형으로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상기 중 시트의 상면 상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감소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인접하는 셀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팽창력에 의해 박리 가능한 약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접합부는, 상 시트와 중 시트와의 대향면 및 중 시트와 하 시트와의 대향면이, 어느 한쪽의 박리 강도가 다른쪽의 박리 강도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 시트는, 섬도 1.6∼7.0tex, 공극율 80∼98%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50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이고, 500㎛ 이하 그리고 18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이고, 106㎛ 초과 그리고 180㎛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며, 또한, 106㎛ 이하인 입자 비율이 10중량% 이하인,
    흡수성 물품.
KR1020207016791A 2017-12-26 2018-01-18 흡수성 물품 KR102451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431157.X 2017-12-26
CN201711431157.XA CN109953853B (zh) 2017-12-26 2017-12-26 吸收性物品
PCT/JP2018/001388 WO2019130601A1 (ja) 2017-12-26 2018-01-18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434A true KR20200102434A (ko) 2020-08-31
KR102451335B1 KR102451335B1 (ko) 2022-10-06

Family

ID=6702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791A KR102451335B1 (ko) 2017-12-26 2018-01-1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93489A1 (ko)
EP (1) EP3733143A4 (ko)
JP (1) JP7094304B2 (ko)
KR (1) KR102451335B1 (ko)
CN (1) CN109953853B (ko)
RU (1) RU2754248C1 (ko)
WO (1) WO2019130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0696B2 (en) * 2017-02-21 2021-11-02 Clarence Wheeler Liquid and solid porous-absorbent article
JP6492145B1 (ja) * 2017-09-29 2019-03-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210161731A1 (en) * 2018-05-14 2021-06-03 Drylock Technologies Nv Absorbent article with spacer element
JP2020081339A (ja) * 2018-11-22 2020-06-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低体重児用吸収パッド
JP7159144B2 (ja) * 2019-09-27 2022-10-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1052897A (ja) * 2019-09-27 2021-04-0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42771B2 (ja) * 2019-09-27 2021-09-2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91053B2 (ja) * 2019-09-27 2023-06-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475918B2 (ja) * 2020-03-25 2024-04-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1603315A (zh) * 2020-05-18 2020-09-01 上海护理佳实业有限公司 吸收芯体及制造方法、制造装置
JP7499661B2 (ja) 2020-09-16 2024-06-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0003A (ja) * 1992-12-25 1994-07-12 Sekisui Plastics Co Ltd 吸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504207A (ja) 1993-10-29 1997-04-28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水感応性及び水非感応性構造を有する区分状ポケット内に配置された超吸収材料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0137291B1 (en) 1996-11-21 199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of connecting drawing unit to printed circuit board vcr
JP2010522595A (ja) 2007-03-26 2010-07-08 ファメッカニカ.データ エス.ピー.エー. 超吸収性材料を含有する拡大可能な凹部を備える衛生物品用の吸収体および製造方法
JP2011189067A (ja) 2010-03-16 2011-09-29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12010980A (ja) * 2010-06-30 2012-01-19 Unicharm Corp 薄型吸収性物品
JP2014500736A (ja) 2010-10-20 2014-01-16 フィンカ ベーフェーベーアー 環境に優しい吸収性構造体
WO2014170859A1 (en) * 2013-04-18 2014-10-23 Gdm S.P.A. Absorbent sanitary article and machine for making the article
JP2017176507A (ja) 2016-03-30 2017-10-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566B2 (ja) * 1992-12-25 2003-05-1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吸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15501A (ja) * 1993-05-07 1994-11-15 Sekisui Plastics Co Ltd 吸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1272480B (it) * 1993-07-21 1997-06-23 Korma S R L Ora Korma S P A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fabbricare prodotti assorbenti intermedi, prodotti cosi' ottenuti, e articoli assorbenti finiti che impiegano questi prodotti.
JP3675601B2 (ja) 1996-09-12 2005-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
JP3196933B2 (ja) * 1999-09-29 2001-08-0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繊維状化ホットメルトにより表面被覆加工された吸水性複合体、その製造法及び吸収体物品
US7938813B2 (en) * 2004-06-30 2011-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shaped absorbent core formed on a substrate
US20110172507A1 (en) * 2009-08-25 2011-07-14 Sns Nano Fiber Technology, Llc Textile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Nanofiber Nonwoven
MX347251B (es) * 2012-04-13 2017-04-20 Libeltex Estructuras unitarias absorbentes que comprenden un nucleo absorbente y/o una capa de adquisicion y de dispersion para articulos absorbentes.
EP2679210B1 (en) * 2012-06-28 2015-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
US9517169B2 (en) * 2012-07-04 2016-12-13 Zuiko Corporation Ultrasonic bonding method for absorbent article, ultrasonic bonding device for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US9566198B2 (en) *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KR20240093857A (ko) * 2013-07-03 2024-06-24 디에스지 테크놀러지 홀딩스 리미티드 흡수성 복합체, 흡수성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흡수성 물품
JP6310941B2 (ja) * 2013-11-14 2018-04-11 株式会社瑞光 吸収体及びその製造装置
JP5957566B1 (ja) * 2015-03-27 2016-07-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66565B2 (ja) * 2015-12-09 2018-08-0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05494179U (zh) * 2016-03-25 2016-08-24 黄山富田精工制造有限公司 一种吸收体
CN106137555A (zh) * 2016-07-29 2016-11-23 杭州珂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全包超薄吸液芯体及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0003A (ja) * 1992-12-25 1994-07-12 Sekisui Plastics Co Ltd 吸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504207A (ja) 1993-10-29 1997-04-28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水感応性及び水非感応性構造を有する区分状ポケット内に配置された超吸収材料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0137291B1 (en) 1996-11-21 199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of connecting drawing unit to printed circuit board vcr
JP2010522595A (ja) 2007-03-26 2010-07-08 ファメッカニカ.データ エス.ピー.エー. 超吸収性材料を含有する拡大可能な凹部を備える衛生物品用の吸収体および製造方法
JP2011189067A (ja) 2010-03-16 2011-09-29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12010980A (ja) * 2010-06-30 2012-01-19 Unicharm Corp 薄型吸収性物品
JP2014500736A (ja) 2010-10-20 2014-01-16 フィンカ ベーフェーベーアー 環境に優しい吸収性構造体
WO2014170859A1 (en) * 2013-04-18 2014-10-23 Gdm S.P.A. Absorbent sanitary article and machine for making the article
JP2016515458A (ja) * 2013-04-18 2016-05-30 ジーディーエム エス.ピー.エー.Gdm S.P.A. 吸収性衛生用品およびその用品の製造用機械
JP2017176507A (ja) 2016-03-30 2017-10-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3143A1 (en) 2020-11-04
WO2019130601A1 (ja) 2019-07-04
CN109953853B (zh) 2021-10-22
RU2754248C1 (ru) 2021-08-31
KR102451335B1 (ko) 2022-10-06
BR112020011080A2 (pt) 2020-11-17
EP3733143A4 (en) 2021-10-20
US20210093489A1 (en) 2021-04-01
CN109953853A (zh) 2019-07-02
JPWO2019130601A1 (ja) 2020-12-10
JP7094304B2 (ja)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2434A (ko) 흡수성 물품
CN114206289B (zh) 吸收性物品
TWI849302B (zh) 吸收性物品
CN114206288B (zh) 吸收性物品
JP7475918B2 (ja) 吸収性物品
CN114206291B (zh) 吸收性物品
WO2021059959A1 (ja) 吸収性物品
WO2021060134A1 (ja) 吸収性物品
CN114206287B (zh) 吸收性物品
JP7499661B2 (ja) 吸収性物品
JP2021052897A5 (ko)
JP2021052901A5 (ko)
JP2021052898A5 (ko)
JP202115371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