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288A - 위치결정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결정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288A
KR20200101288A KR1020200015393A KR20200015393A KR20200101288A KR 20200101288 A KR20200101288 A KR 20200101288A KR 1020200015393 A KR1020200015393 A KR 1020200015393A KR 20200015393 A KR20200015393 A KR 20200015393A KR 20200101288 A KR20200101288 A KR 2020010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arm
cartridge tray
engaged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야 사와시마
다케오 가와나미
슌스케 히지카타
šœ스케 히지카타
고헤이 고구치
요이치로 이이즈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27866A external-priority patent/JP73217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27865A external-priority patent/JP7309378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9Cartridge holders, e.g. intermediate frames for placing cartridge par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위치결정 장치는, 장치 본체, 인출부, 및 상기 인출부를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장착 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위치결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기구는 상기 장치 본체 및 상기 인출부 중 하나에 제공되는 제1 계합부와, 상기 장치 본체 및 상기 인출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됨으로써 상기 인출부의 장착 방향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피계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계합부는, 상기 장착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피계합부가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부의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인출부에 대하여 상기 장착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결정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POSITIO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출부를 장치 본체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또는 다기능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 드럼 및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유닛을 카트리지로서 일체화하고, 이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에 대해 장착가능 및 장착해제 가능하게 하는 카트리지 시스템이 채용된다.
종래,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78657호에는, 드럼 유닛, 및 드럼 유닛을 장착가능 및 장착해제 가능한 본체 케이싱을 포함하는 컬러 레이저 프린터가 제안되어 있다. 드럼 유닛은 4개의 드럼 서브유닛이 한 쌍의 측판에 의해 지지되는 카트리지이다. 본체 케이싱은, 드럼 유닛의 절결부가 맞닿아서 드럼 유닛을 장착 상태로 위치결정하는 기준축을 포함한다. 또한, 드럼 유닛의 절결부는 압박 기구부에 의해 장치의 후방측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기준축에 대해 압박된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78657호에 기재된 드럼 유닛의 절결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위 에지 및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위 에지인 2개의 부분에서 기준축에 맞닿는다. 그러므로, 절결부에는 드럼 유닛을 장착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드럼 유닛은 압박 기구부에 의해서만 장착 방향으로 압박되고, 크기의 증가 및 압박 기구부의 비용의 상승이 초래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위치결정 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인출 및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인출부, 및 상기 인출부를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장착 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위치결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기구는, 상기 장치 본체 및 상기 인출부 중 하나에 제공되는 제1 계합부와, 상기 장치 본체 및 상기 인출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됨으로써 상기 인출부의 장착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피계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계합부는, 상기 장착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피계합부가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부의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인출부에 대하여 상기 장착 방향의 힘이 작용되게 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프린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프린터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3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a는 카트리지 트레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b는 카트리지 트레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a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카트리지 트레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5b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카트리지 트레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린터 본체의 프레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카트리지 트레이의 위치결정 축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a는 장치 본체 측의 위치결정 축이 위치결정 홈에 계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카트리지 트레이가 장착 상태로부터 약간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위치결정 축 및 위치결정 홈을 도시하는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카트리지 트레이가 도 8b의 상태로부터 더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위치결정 축 및 위치결정 홈을 도시하는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8d는 카트리지 트레이 측의 위치결정 축이 위치결정 홈에 계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8e는 카트리지 트레이가 장착 상태로부터 약간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위치결정 축 및 위치결정 홈을 도시하는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8f는 카트리지 트레이가 도 8e의 상태로부터 더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위치결정 축 및 위치결정 홈을 도시하는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카트리지 트레이에 제공된 리브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 선을 따라 취한 카트리지 트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11a은 전방 도어가 폐쇄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트레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1b는 전방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트레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전방 도어가 폐쇄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트레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b는 전방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트레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3a는 전방 도어가 폐쇄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13b는 전방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13c는 전방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6b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c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아암 및 잠금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각각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각각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4는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5는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6은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의 상면도이다.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
전체 구성
먼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100)는 전자사진 시스템의 풀컬러 레이저빔 프린터이다. 프린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A), 및 장치 본체(100A)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방 도어(31)를 포함한다. 프린터(100)의 설명에 관해서, 방향은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즉, 프린터(100)의 전방 도어(31)가 제공되어 있는 측을 전방측이라 지칭하고, 그 반대측을 후방측이라 지칭하며,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거나 또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지칭한다.
또한, 프린터(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을 규정한다. 좌측 및 우측을 또한 각각 비구동측 및 구동측이라 지칭한다. 또한,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거나 또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지칭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거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지칭한다.
프린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10), 시트 급송부(18), 정착 유닛(23), 배출 롤러 쌍(24),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프린터(100)는, 외부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출력되고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서 제어부(200)에 입력되는 전기적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이하 시트(S)라 지칭되는 시트 형상 기록 매체 상에 풀컬러 화상 또는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호스트 장치(40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이미지 리더 또는 팩시밀리기이다.
제어부(200)는, 프린터(100)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외부 호스트 장치(400)와 각종 전기적 정보를 통신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각종 프로세스 기기 및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정보의 처리, 각종 프로세스 기기로의 명령 신호의 처리, 미리결정된 초기 시퀀스 제어, 미리결정된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시퀀스 제어 등을 행한다.
시트 급송부(18)는, 프린터(100)의 하부에 제공되고, 시트(S)를 수용하는 카세트(19), 시트(S)를 지지하고 승강시킬 수 있는 내판(21), 픽업 롤러(20a), 및 분리 롤러 쌍(20b)을 포함한다. 카세트(19)는, 장치 본체(100A)에서 전방측으로부터 인출되고 및 장치 본체(100A)에 전방측으로부터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판(21) 상에 지지된 시트(S)는 픽업 롤러(20a)에 의해 급송된다. 한 번에 복수의 시트(S)가 급송되는 경우, 1매의 시트(S)가 분리 롤러 쌍(20b)에 의해 분리되어 급송된다. 분리 롤러 쌍(20b)에는 토크 제한기 시스템 또는 지연 롤러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으며, 분리 롤러 쌍(20b) 중 하나 대신에 분리 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정착 유닛(23)은,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정착 필름(23a), 및 정착 필름(23a)에 압접하는 압박 롤러(23b)를 포함하고, 정착 필름(23a) 및 압박 롤러(23b)에 의해 정착 닙(Q)이 형성된다. 배출 롤러 쌍(24)은, 배출 구동 롤러(24a) 및 배출 구동 롤러(24a)에 따라 회전 종동되는 배출 종동 롤러(24b)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로서의 화상 형성 유닛(10)은, 카트리지 트레이(40),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 스캐너 유닛(11), 전사 유닛(12), 및 클리닝 유닛(26)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는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PP)로 통칭될 것이다. 전사 유닛(12)은, 구동 롤러(14), 보조 롤러(15), 텐션 롤러(16), 및 중간 전사 벨트(13)를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13)는, 구동 롤러(14), 보조 롤러(15) 및 텐션 롤러(16)에 걸쳐 당겨지고, 유전체로부터 형성되며, 가요성이다.
중간 전사 벨트(1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의 감광 드럼에 각각 대향하는 1차 전사 롤러(17Y, 17M, 17C, 및 17K)가 제공된다. 중간 전사 벨트(13)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구동 롤러(14)의 반대 측에는 2차 전사 롤러(27)가 제공된다. 중간 전사 벨트(13) 및 2차 전사 롤러(27)에 의해 2차 전사 닙(T2)이 형성된다.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4개의 색의 토너상을 형성한다. Y, M, C 및 K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을 나타낸다.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는 형성되는 화상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PPY)의 구성 및 화상 형성 프로세스만을 설명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PPM, PPC, 및 PPK)의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PPY)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 유닛(OP)과 현상 유닛(DP)이 일체화되어 있는 유닛이다. 유닛으로서의 드럼 유닛(OP)은 토너상을 담지할 수 있는 감광체로서의 감광 드럼(1)을 포함한다. 유닛으로서의 현상 유닛(DP)은,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롤러(3), 및 현상제를 수납하는 수납부(3b)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1) 및 현상 롤러(3)의 길이 방향의 구동측, 즉 우측에는 각각 드럼 커플링(1c) 및 현상 커플링(3c)이 제공되어 있고, 장치 본체(100A)의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구동이 전달된다. 또한, 현상 롤러(3)의 길이 방향의 비구동측, 즉 좌측에는 접점(2)이 제공되어 있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2)에는 장치 본체(100A)에 제공된 접점(38)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감광 드럼(1)의 길이 방향의 비구동측에는 접지 전위에 접속하기 위한 접점(1b)이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는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유저는 전방 도어(31)를 개방함으로써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전방측으로 인출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를 교환할 수 있다.
화상 형성 동작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100)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린터(100)의 제어부(200)가 인터페이스부(300)로부터 작업 신호를 수취하면, 장치 본체(100A)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현상 이격 기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현상 이격 기구에 의해 현상 롤러(3)가 감광 드럼(1)과 맞닿는다.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하는 작업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PPK)의 감광 드럼만이 현상 롤러와 맞닿고,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작업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의 감광 드럼이 각 현상 롤러에 맞닿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리고, 감광 드럼, 현상 롤러, 및 중간 전사 벨트(13)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스캐너 유닛(11)은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레이저광을 프로세스 카트리지(PPY)의 감광 드럼(1) 위에 조사한다. 이 경우, 감광 드럼(1)의 표면은 대전 롤러(5)에 의해 미리결정된 극성 및 미리결정된 전위로 미리 균일하게 대전되며, 스캐너 유닛(11)으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결과로서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롤러(3)에 의해 현상되어, 감광 드럼(1) 위에 옐로우 토너상이 형성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0)에는 전노광부로서의 도 5b에 도시된 라이트 가이드(57)가 제공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라이트 가이드(57)는, 예를 들어 투명한 아크릴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대전 롤러(5)에 의한 감광 드럼(1)의 표면의 대전 전에, 도시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 광이 발해지고, 이 광이 라이트 가이드(57)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에서 감광 드럼(1)의 표면에 조사된다. 이 결과로서, 감광 드럼(1)의 표면의 전위가 안정화되고, 따라서 양호한 토너상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PPM, PPC, 및 PPK)의 감광 드럼에도 스캐너 유닛(11)으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되며, 각 감광 드럼에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각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은, 1차 전사 롤러(17Y, 17M, 17C, 및 17K)에 인가되는 1차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3)에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13)에 전사된 풀컬러 토너상은, 구동 롤러(14)에 의해 회전되는 중간 전사 벨트(13)에 의해 2차 전사 닙(T2)까지 반송된다. 각 색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각 토너상이 1차 전사를 통해 중간 전사 벨트(13) 위에 이미 전사된 상류의 토너상에 중첩되는 타이밍에 행해진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병행하여, 시트 급송부(18)에 의해 송출된 시트(S)의 사행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2)에 의해 보정된다. 또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2)은, 중간 전사 벨트(13) 상의 토너상의 반송에 매칭되는 타이밍에 시트(S)를 2차 전사 롤러(27)를 향해서 반송한다. 중간 전사 벨트(13) 상의 풀컬러의 토너상은, 2차 전사 롤러(27)에 인가된 2차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2차 전사 닙(T2)에서 시트(S)에 전사된다. 또한, 토너상의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13)의 표면에 남아 있는 토너는 클리닝 유닛(26)에 의해 제거되고, 도시되지 않은 폐 토너 회수 용기에 회수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S)는, 정착 유닛(23)의 정착 닙(Q)에서 미리결정된 열 및 압력을 받고, 따라서 토너가 용융하고, 그후 시트(S)에 고착됨으로써, 시트(S)에 화상이 정착된다. 정착 유닛(23)을 통과한 시트(S)는 배출 롤러 쌍(24)에 의해 배출 트레이(25)에 배출된다.
카트리지 트레이
이어서, 인출부로서의 카트리지 트레이(4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트레이(4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트레이 측판(41L 및 41R), 트레이 측판(41L 및 41R)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42, 43, 44, 45, 및 46), 및 가이드 부재(47L 및 47R)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부재는 참조 부호의 말미에 "L" 또는 "R"을 부기함으로써 구별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연결 부재(42 내지 46)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며,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까지 이 순서로 배열된다. 연결 부재(42 내지 45)의 각각에는 상술한 라이트 가이드(57)가 제공된다. 트레이 측판(41L, 41R)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47L)는 트레이 측판(41L)에 의해 지지되며, 가이드 부재(47R)는 트레이 측판(41R)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 부재(47L 및 47R)는,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홀더(52L 및 52R)에 각각 제공된 복수의 롤러(56L 및 56R) 상에서 각각 미끄럼 이동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부재(47L 및 47R)에는 각각 가이드 홈(47aL 및 47aR)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홈은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100A)에 대하여 인출 방향 및 장착 방향으로 안내한다. 또한, 가이드 홈(47aL 및 47aR)은, 장치 본체(100A)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계합됨으로써, 카트리지 트레이(40)가 미리결정된 위치를 넘어 인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연결 부재(42)는 수용부(42b) 및 파지부(42d)를 포함하며, 유저는 파지부(42d)를 파지함으로써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100A)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42b)는, 전방 도어(31)가 폐쇄된 상태에서 프린터(100)에 전방측을 향하는 충격이 가해질 때에, 전방 도어(31)에 맞닿고 따라서 프린터(100)의 내부 부품에 대한 파손을 억제한다. 마찬가지로, 연결 부재(46)는 수용부(46a)를 포함하며, 수용부(46a)는, 프린터(100)에 후방측을 향하는 충격이 가해질 때에, 도 6에 도시된 정착 스테이(35)에 맞닿고 따라서 프린터(100)의 내부의 부품에 대한 파손을 억제한다.
트레이 측판(41L 및 41R)은, 그 상부가 그 하부에 비하여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트레이 측판(41L 및 41R)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는 하부보다 상부에서 좁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의 삽입성/인출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좌우 방향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프린터(100)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트레이 측판(41L 및 41R)의 하측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L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트레이 측판(41L 및 41R) 및 연결 부재(42 내지 46)는 스크류에 의해 각각 체결되지만,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 코킹(thermal caulkin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42 및 46)만을 트레이 측판(41L, 41R)에 체결하고, 연결 부재(43 내지 45)는 트레이 측판(41L 및 41R)에 체결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측판(41R)에는 카트리지 계합부(41gR, 41hR, 41iR, 및 41jR)가 제공되어 있고, 카트리지 계합부(41gR, 41hR, 41iR, 및 41jR)는 각각 대략 V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계합부(41gR, 41hR, 41iR, 및 41jR)는, 인출 방향의 전방측의 그 경사면이 65°의 각도를 갖고, 후방측의 그 경사면이 45°의 각도를 갖도록 각각 형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의 드럼 플랜지(1a)는 카트리지 계합부(41gR, 41hR, 41iR, 및 41jR)에 각각 계합된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는, 그 중량에 의해 또는 도 11a에 도시된 압박 유닛(33 및 34)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제2 압박 유닛으로서의 압박 유닛(33 및 34)은, 화상 형성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하방으로 압박하고,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일체화된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장치 본체(100A)에 대해 위치결정된다. 트레이 측판(41L)에도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카트리지 계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는 트레이 측판(41L)에 대해서도 위치결정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연결 부재(42, 43, 44, 및 45)의 좌측 단부에는 보스부(42aL, 43aL, 44aL, 및 45aL)가 각각 형성되며, 연결 부재(42, 43, 44, 및 45)의 우측 단부에는 보스부(42aR, 43aR, 44aR, 및 45aR)가 각각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우 단부에 홈부(1d)가 형성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의 홈부(1d)는, 좌측 단부측에서 보스부(42aL, 43aL, 44aL, 및 45aL)에 그리고 우측 단부측에서 보스부(42aR, 43aR, 44aR, 및 45aR)에 각각 계합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는,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장착되고, 가이드 부재(47L)에 제공된 드럼 접지 와이어로서의 와이어 재료(48)를 통해서 접지된다.
카트리지 트레이의 위치결정 구성
이어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위치결정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 본체(100A) 및 카트리지 트레이(40)는 도 2에 도시된 위치결정 장치(140)를 구성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장치 본체(100A)는, 각각 좌측 및 우측의 한 쌍의 본체 측판(36L 및 36R), 및 본체 측판(36L 및 36R)을 서로 연결하며 프로세스 영역과 정착 영역을 형성하는 정착 스테이(35)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영역은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가 수용되는 영역이며, 정착 영역은 정착 유닛(23)이 수용되는 영역이다. 본체 측판(36L 및 36R) 및 정착 스테이(35)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각각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로서의 본체 측판(36L 및 36R)은, 장치의 후방측에 각각 축지지부(50aL 및 50aR)를 포함하며, 축지지부(50aL 및 50aR)는 제1 계합부 및 축으로서의 위치결정 축(50)을 지지하고 있다. 위치결정 축(50)은 축지지부(50aL 및 50aR)에 대하여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있지만, 위치결정 축(50)은 위치결정 축(50)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한 한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본체 측판(36L 및 36R)은 장치 전방측에 각각 위치결정 홈(36aL 및 36aR)을 갖고 있다. 위치결정 홈(36aL 및 36aR)은 또한 본체 위치결정부(36a)라 통칭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트레이 측판(41L 및 41R)의 전방측에는 각각 축지지부(41dL 및 41dR)가 형성된다. 축지지부(41dL 및 41dR)는 제2 피계합부로서의 위치결정 축(49)을 지지하고 있다. 위치결정 축(49)은 트레이 측판(41L 및 41R)을 관통하며, 위치결정 축(49)의 도시되지 않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49a)가 트레이 측판(41L 및 41R)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위치결정 축(49)은 축지지부(41dL 및 41dR)에 대하여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지만, 위치결정 축(49)은 위치결정 축(49)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한 한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위치결정 축(49 및 5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둥근 막대 축으로서 형성되지만,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 부재(42)에는 위치결정 축(49)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축 접촉부(42c)가 형성되어 있고, 축 접촉부(42c)는 위치결정 축(49)의 하방 휨을 규제한다. 축 접촉부(42c)는, 위치결정 축(49)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한하지 않고, 위치결정 축(49)의 다른 위치를 아래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위치결정 축(49)의 중앙부에서 위치결정 축(49)의 하방 휨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 접촉부(42c)는 축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 측판(36R)의 제2 계합부로서의 위치결정 홈(36aR)은,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장착 방향(Y1)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후방측에 형성되는 끼워맞춤 홈(37aR) 및 전방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7bR)을 포함한다.
끼워맞춤 홈(37aR)은, 위치결정 축(49)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은 폭을 갖고 있으며, 위치결정 축(49)의 단부(49a)는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착 위치에 위치결정될 때에 끼워맞춤 홈(37aR)에 끼워맞춰진다. 가이드 홈(37bR)은, 위치결정 축(49)의 외경보다도 큰 폭을 갖고 있으며,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할 때에 위치결정 축(49)의 단부(49a)를 끼워맞춤 홈(37aR)에 안내한다. 가이드 홈 및 끼워맞춤 홈은 본체 측판(36L)에도 마찬가지로 형성되며, 위치결정 축(49)의 좌측 단부를 안내 또는 계합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 측판(41L 및 41R)의 후방측에는 각각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은, 위치결정 축(50)의 축 방향에서 트레이 측판(41L 및 41R) 사이에 제공되고, 위치결정 축(49)에 계합됨으로써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위치결정한다.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은 또한 트레이 위치결정부(41b)로서 통칭될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위치결정 홈(41bL)의 확대도이다.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은 마찬가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위치결정 홈(41bR)만을 설명하고 제3 피계합부로서의 위치결정 홈(41bL)의 설명은 생략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위치결정 홈(41bL)은, 위치결정 축(50)의 축 방향에서 위치결정 홈(41bR)과는 다른 위치에 제공된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피계합부로서의 위치결정 홈(41bR)은 경사면(41f), 및 경사면(41f)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는 위치결정면(41e)을 포함한다. 위치결정면(41e)은,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장착 방향(Y1)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위치결정 축(50)에 맞닿음으로써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착 방향으로 위치결정한다. 경사면(41f)은 장착 방향(Y1)에서의 하류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연결 부재(46)에는, 도 5b에 도시된 미끄럼 이동면(46d)이 경사면(41f)으로부터 전방측에 연속하도록, 미끄럼 이동면(46d)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면(46d)은 장착 방향(Y1)으로 하류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착될 때에, 카트리지 트레이(40)에는 그 중량에 의해 그리고 도 11a에 도시된 압박 유닛(33 및 34)에 의해 하방 힘이 가해지고, 따라서 경사면(41f)은 위치결정 축(50)으로부터의 반력(F1)을 받는다. 반력(F1)은 장착 방향(Y1)의 분력(F2)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 분력(F2)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장착 방향(Y1)으로 인입된다. 이에 의해, 위치결정면(41e)은 위치결정 축(50)에 대하여 압박되며, 따라서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장치 본체(100A)에 대하여 정밀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41f)은, 카트리지 트레이(40)에 대하여 장착 방향(Y1)의 힘인 분력(F2)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위치결정 축(5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지지부(50aL 및 50aR)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은 축지지부(50aL 및 50aR)보다 축 방향으로 더 내측에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위치결정 축(50)의 중앙부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중량에 의해 그리고 도 11a에 도시된 압박 유닛(33 및 34)에 의해 가해지는 하방 힘을 받고, 하방, 즉 도 9에서 중공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휠 수 있다. 위치결정 축(50)이 변형되는 경우,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저하된다. 상술한 관련 기술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78657호에 기재된 기준축은, 드럼 유닛의 절결부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힘을 받고, 하방으로 휠 수 있다. 기준축이 휘는 경우, 드럼 유닛 자체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46)의 축 방향, 즉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접촉부로서의 리브(46b)가 형성된다. 즉, 리브(46b)는, 위치결정 축(50)의 축 방향에서, 본체 측판(36L 및 36R) 사이 및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 사이의 위치에 제공된다. 리브(46b)는, 위치결정 축(50)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맞닿아서 위치결정 축(50)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며, 따라서 위치결정 축(50)의 하방 휨을 규제한다. 리브(46b)는, 위치결정 축(50)의 축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 한하지 않고, 위치결정 축(50)의 다른 위치를 아래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위치결정 축(50)의 하방 휨을 위치결정 축(50)의 중앙부에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브(46b)는 축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리브(46b)가 축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축(50)이 중력 방향의 힘을 받기 때문에 위치결정 축(50)의 하방 휨은 리브(46b)에 의해 규제되지만, 리브(46b)는 부재가 휨 방향의 힘을 받음으로써 위치결정 축(50)의 휨을 규제하는 한은 위치결정 축(50)의 하부에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6)에는 정착 스테이(35)에 잠길 수 있는 잠금부(46c)가 형성된다. 잠금부(46c)는, 정착 스테이(35)에 잠김으로써, 연결 부재(4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하방 휨을 규제할 수 있다.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하방 휨을 저감시킴으로써,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에서의 변형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위치결정 축(50)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될 수 있다. 잠금부(46c)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장착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 그 수는 오직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축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긴 1개의 잠금부(46c)가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트레이의 인출 동작 및 장착 동작
이어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인출 동작 및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를 구입한 유저를 만족시키는 품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없는 정도까지 현상제가 소비되었을 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품 가치는 상실된다.
따라서,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제 잔량을 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검지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검지된 현상제 잔량은 제어부(20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카트리지 수명 통지 또는 수명 경고를 위한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검지된 현상제 잔량이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 수명 통지 또는 수명 경고를 표시하여 유저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환하도록 촉구한다. 그리고, 유저는 프린터(100)의 전방 도어(31)를 개방하고,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의 외부로 인출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환한다. 이하에서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인출 동작 및 장착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어 부재로서의 전방 도어(31)는,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A)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방 도어(31)를 장치 본체(100A)에 연결하는 도어 링크(32L 및 32R)에 의해 개방 상태에서 보유지지될 수 있다.
유저가 전방 도어(31)를 개방하면, 복수의 도시되지 않은 링크 부재가 도어 링크(32L 및 32R)를 통해서 연동되고, 전사 유닛(12)이 구동 롤러(14)를 중심으로 약 1° 회전한다. 이에 의해,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감광 드럼(1)이 중간 전사 벨트(13)로부터 이격된다.
이어서, 도 1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A)의 좌측, 즉 비구동측에 제공된 접점(38) 각각이 도 3b에 도시된 각 현상 롤러(3)의 접점(2)으로부터 이격되며, 압박 유닛(33 및 34)에 의한 압박이 해제된다. 이어서,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동측의 도 3a에 도시된 드럼 커플링(1c) 및 현상 커플링(3c)과의 계합이 해제되며, 도 11b 및 도 1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 압박 유닛(51)에 의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압박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100A)의 외부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압박 유닛으로서의 트레이 압박 유닛(51)은, 본체 측판(36L 및 36R)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홀더(52L 및 52R)에 각각 제공되고, 화상 형성 동안에 카트리지 트레이(40)를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압박한다. 트레이 압박 유닛(51)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 압박 레버(53), 트레이 압박 링크(54), 및 가압 스프링(55)을 각각 포함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압박 레버(53)는, 전방 도어(31)가 폐쇄된 상태에서, 가압 스프링(55)에 의해 가압되는 트레이 압박 링크(54)에 의해 압박된다. 이에 의해, 트레이 압박 레버(53)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트레이 측판(41R)에 형성되는 피압박부(41c)를 후방측으로 압박한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도어(31)가 개방되면, 트레이 압박 레버(53)는 도어 링크(32L 및 32R) 및 도시되지 않은 링크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퇴피된다. 이에 의해, 트레이 압박 레버(53)에 의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후방측으로의 압박이 해제되며,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100A)의 외부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8a 내지 도 8f를 참고하여 위치결정 축(49, 50)의 주변 움직임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위치결정 구성은 위치결정 축(49 및 50)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장치의 우측만을 설명하고, 장치의 좌측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내지 도 8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인출되기 시작하면, 경사면(41f)이 위치결정 축(50)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며, 따라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후방측이 약간 상승된다. 그리고,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연결 부재(46)에 제공된 미끄럼 이동면(46d)이 위치결정 축(50)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인출 방향(Y2)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위치결정 축(49)의 단부(49a)는 위치결정 홈(36aR)의 끼워맞춤 홈(37aR)으로부터 해방되고, 가이드 홈(37bR) 상으로 이동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위치결정 축(49)의 단부(49a)가 가이드 홈(37bR)에 의해 안내되면서, 인출 방향(Y2)으로 인출된다. 도 8a 및 도 8d는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8b 및 도 8e는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착 위치로부터 약 3 mm 인출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8c 및 도 8f는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착 위치로부터 약 10 mm 인출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어느 정도까지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인출되면, 카트리지 트레이(40)의 가이드 부재(47L 및 47R)는 도 11b 및 도 1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롤러(56L 및 56R) 상에서 안내된다. 그리고,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장치 본체(100A)의 외부로 인출된다. 화상 형성 시에는, 카트리지 트레이(40)는 롤러(56L 및 56R)와 접촉하지 않고, 약 0.5 mm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인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교환되면,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은 인출 동작의 반대이다. 이때, 먼저, 미끄럼 이동면(46d)이 위치결정 축(50)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기 시작하고, 도 8b 및 도 8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 축(50)이 미끄럼 이동면(46d)을 지나간 후에, 위치결정 축(49)의 단부(49a)가 가이드 홈(37bR)으로부터 끼워맞춤 홈(37aR)으로 간다.
가이드 홈(37bR)과 끼워맞춤 홈(37aR) 사이의 경계 부분은 오름 경사를 갖고 위치결정 축(49)의 단부(49a)는 끼워맞춤 홈(37aR)에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착할 때의 유저의 조작력이 커진다. 그러나, 위치결정 축(49)은 위치결정 축(50)이 미끄럼 이동면(46d)을 통과한 후에 끼워맞춤 홈(37aR)에 진입하기 때문에, 유저의 조작력이 증가하는 타이밍이 집중되지 않고, 따라서 조작력이 저감될 수 있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전방측에서 장착 위치로부터 미리결정된 거리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후술하는 인입 장치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자동적으로 장착 위치까지 인입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착 위치까지 삽입되고 전방 도어(31)가 폐쇄되면, 도 11a, 도 12a 및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 압박 유닛(51)이 카트리지 트레이(40)를 후방측으로 압박한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동측의 드럼 커플링(1c) 및 현상 커플링(3c)이 장치 본체(100A)의 구동원에 접속되고, 압박 유닛(33 및 34)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방으로부터 압박한다. 또한, 접점(38)이 도 3b에 도시된 각 현상 롤러(3)의 접점(2)에 접촉하고, 전사 유닛(12)이 구동 롤러(14)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감광 드럼(1)이 중간 전사 벨트(13)에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도어(31)가 폐쇄되고 프린터(100)가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위치결정 축(50)은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전방측에서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에 계합된다. 이때,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에는 경사면(41f)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중량 및 압박 유닛(33 및 34)으로부터의 하방 힘에 기초하여 장착 방향(Y1)으로 인입된다. 이에 의해, 위치결정면(41e)이 위치결정 축(50)에 압박되고, 따라서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장착 방향(Y1)에서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후방측에서는 위치결정 축(49)이 위치결정 홈(36aL 및 36aR)에 계합된다. 이때, 위치결정 축(49)의 단부(49a)가 위치결정 홈(36aL 및 36aR)의 끼워맞춤 홈에 끼워맞춰지므로, 장착 방향(Y1)에 직교하는 방향의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회전, 즉 위치결정 축(50)을 중심으로 하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장치 본체(100A)에 제공되는 위치결정 축(50) 및 위치결정 홈(36aL 및 36aR) 및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제공되는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 및 위치결정 축(49)은 도 8a 및 도 8d에 도시된 위치결정 기구(60)를 구성한다. 위치결정 기구(60)는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100A)에 대해 위치결정한다.
또한, 위치결정 축(50)은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연결 부재(46)에 제공된 리브(46b)에 의해 아래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위치결정 축(50)의 하방 휨, 즉 변형이 규제된다. 또한, 연결 부재(46)에 제공된 잠금부(46c)는 카트리지 트레이(40) 자체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후방측의 위치결정 축(49)도 축 접촉부(42c)에 의해 아래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위치결정 축(49)의 하방 휨이 규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위치결정 축(49 및 50)의 축 직경이 감소될 수 있고, 위치결정 축(49 및 50)은 더 저렴한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용 및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들에 따르면,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장착 위치에서 고정밀도로 장치 본체(100A)에 대해 위치결정될 수 있고,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화상 형성 동안에는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의해 보유지지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압박 유닛(33 및 34)에 의해 위로부터 압박되지만, 이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위치결정 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결정 정밀도, 구체적으로는 감광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13) 사이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향상되고, 따라서 고품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전방측의 경사면(41f) 및 후방측의 트레이 압박 유닛(51)에 의한 압박의 효과에 의해 장착 위치에서 전방측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시의 진동 등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의 변위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압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압박력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트레이 압박 유닛(51)의 가압 스프링(55)은 작은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트레이 압박 유닛(51)의 크기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위치결정 기구(60)에 포함되는 위치결정 축(50) 및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은, 위치결정 축(50)이 장치 본체(100A) 및 카트리지 트레이(40) 중 하나에 제공되고 위치결정 홈(41bL 및 41bR)이 다른 것에 제공되는 한 교체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위치결정 기구(60)에 포함되는 위치결정 축(49) 및 위치결정 홈(36aL 및 36aR)은, 위치결정 축(49)이 장치 본체(100A) 및 카트리지 트레이(40) 중 하나에 제공되고 위치결정 홈(36aL 및 36aR)이 다른 것에 제공되는 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축(49)은,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좌우 방향의 전체에서 연장되는 통과 축이 아니어도 되며,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 어떠한 형태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드럼 유닛(OP) 및 현상 유닛(DP)을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이들은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카트리지 트레이(40)가 드럼 유닛(OP)만을 보유지지하는 구성 및 카트리지 트레이(40)가 현상 유닛(DP)만을 보유지지하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인입 장치
이하,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인입 장치(9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입 장치(90)는,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유닛의 예인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의 미리결정된 위치에 인입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의 장착 위치가 미리결정된 위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4는, 인입 장치(90)가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인입하기 전의 상태를, 위에서 본 것을 도시한다. 인입 장치(90)는, 홀더(91), 아암(92), 아암 스프링(93), 후술하는 잠금 부재(94), 및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제공되는 제1 작동부(46s1) 및 제2 작동부(46s2)를 포함한다. 아암(92)은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아암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잠금 부재(94)는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규제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며, 아암 스프링(93)은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가압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작동부(46s1)는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제1 맞닿음부로서의 역할을 하며, 제2 작동부(46s2)는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제2 맞닿음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홀더(91)는 장치 본체의 정착 스테이(35)에 고정되어 있고, 피봇 지지부(91o)에서 아암(92)을 피봇가능하게 보유지지한다. 아암(92)은 아암 스프링(93)에 의해 도 14에서 시계 방향으로 항상 가압된다. 아암(92)은 이 가압력에 의해 제1 작동부(46s1)를 인입해서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의 후방측을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도 15에 도시되는 인입 상태가 달성된다. 인입 상태에서는, 상술한 트레이 위치결정부(41b)가 위치결정 축(50)과 계합되고, 위치결정 축(49)이 본체 위치결정부(36a)에 계합되며, 따라서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위치결정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PP)의 장착/장착해제가 행해지는 위치까지 인출되는, 도 14에 도시되는 대기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잠금 기구에 의해 아암(92)의 피봇이 규제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아암 스프링(93)이 아암(92)에 가하는 가압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PP)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전체 중량에 따라서 조정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적용한 구성예에서는, 아암(92)의 가압력이 2 kgf로 설정되는 경우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질 수 있다. 이 값은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착 방향으로 인입하는 힘의 면에서 약 1 kgf 내지 1.5 kgf이다. 이것은, 상술한 트레이 압박 유닛(51)에 의해 그리고 경사면(41f)과 위치결정 축(50) 사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동일 방향의 힘에 비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 크기는, 상술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미끄럼 이동면(46d)과 위치결정 축(50) 사이의 마찰 항력에 저항하여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착 위치까지 인입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각각 상방, 수평 방향, 및 하방으로부터 본 장치 본체 측의 인입 장치(9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좌우 방향은 X축 방향으로서 설정되고, 전후 방향, 즉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장착 방향은 Y축 방향으로서 설정되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수직한 연직 방향(즉, 중력 방향)은 Z축 방향으로서 설정된다.
아암(92)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지지부(91o)를 중심으로 도 14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대기 상태의 위치와 도 15에 도시된 인입 상태의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즉,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아암(92)의 피봇축(즉, 아암 부재의 회전축)의 방향은 연직 방향에 대략 일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대기 상태에서의 아암(92)의 위치를 "대기 위치"라 지칭할 것이며, 인입 상태의 아암(92)의 위치를 "인입 위치"라 지칭할 것이다. 또한, 대기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서의 아암(92)의 피봇 방향을 "인입 방향"이라 지칭할 것이며, 인입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를 향하는 제2 방향으로서의 아암(92)의 피봇 방향을 "복귀 방향"이라 지칭할 것이다.
대기 위치에서, 아암(92)은 정착 스테이(35)의 전방측 벽면(35a)에 제공된 도 14에 도시된 개구부(35o)를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을 향해서 돌출한다. 아암(92)이 인입 위치로 이동하면, 아암(92)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동부(46s1) 및 제2 작동부(46s2)와 함께 개구부(35o)에 대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후방측을 향해 퇴피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아암 스프링(93)은, 대기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까지의 전체 영역에서 아암(92)을 인입 방향(R1)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암(92)에는 제1 작동부(46s1)에 맞닿는 제1 계합면(92s) 및 제2 계합면(92d)이 제공된다. 제1 계합면(92s)은, 잠금 기구에 의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인입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제1 작동부(46s1)에 맞닿는 부분이다. 제2 계합면(92d)은,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에 의해 피봇되는 아암(92)으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인입하는 힘을 수취하기 위해서, 잠금 기구에 의한 잠금이 해제된 후에 제1 작동부(46s1)에 맞닿는 부분이다.
도 17은 아암(92) 및 잠금 부재(94)의 분해도이다. 아암(92)은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제1 부분인 아암 상부(92a)와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제2 부분인 아암 하부(92b)를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그리고 탄성 갈고리부(92m)와 구멍부(92n) 사이의 계합에 의해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된다. 잠금 부재(94)는 아암 상부(92a)와 아암 하부(92b) 사이에 보유지지된다. 또한, 잠금 부재(94)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삽입 시에 제2 작동부(46s2)에 의해 압박되는 압박부(94s), 및 홀더(91)에 제공되는, 즉 장치 본체에 대해 고정되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피맞닿음부(911)에 맞닿는 맞닿음부(941)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94) 및 잠금 스프링(95)은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인출 상태에서 아암(92)을 대기 위치에 잠그는 잠금 기구를 구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맞닿음부(941)가 피맞닿음부(911)에 대면해서 아암(92)의 피봇을 규제하는 잠금 부재(94)의 위치를 "잠금 위치"라 지칭할 것이고, 맞닿음부(941)가 피맞닿음부(911)로부터 이격되어 아암(92)의 피봇을 허용하는 잠금 부재(94)의 위치를 "잠금-해방 위치"라 지칭할 것이다.
잠금 부재(94)는, 아암(92)에 의해 피봇점(92o)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잠금 스프링(95)에 의해 항상 도 17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잠금 스프링(95)의 가압력은 아암(92)에 대한 잠금 부재(94)의 자유로운 피봇이 규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가압력은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보다 작은 하중으로 설정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구성예에서는,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을 50 gf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상 부재인 잠금 부재(94)는, Z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는 자세로, 2매의 판상 부재인 아암 상부(92a)와 아암 하부(92b) 사이에 끼워진다. 즉, 잠금 부재(94)의 두께는, Z축 방향에서의 아암 상부(92a)와 아암 하부(92b) 사이의 간격(z1)보다 작다. 간격(z1)은, 인간의 손끝이 아암 상부(92a)와 아암 하부(92b) 사이에 들어가지 않는 값, 예를 들어 5 mm 이하의 값으로 설정된다.
카트리지 트레이에서 제2 작동부(46s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형상으로서, 대기 위치에서의 아암(92)의 장착 방향(Y1)의 상류 단부에는, 아암 상부(92a) 및 아암 하부(92b)의 경사면(92a1 및 92b1)이 제공된다. 경사면(92a1 및 92b1)은, Z축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며, 장착 방향(Y1)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Z축 방향의 그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각각 X-Y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경사면(92a1 및 92b1)은, 제2 작동부(46s2)가 잠금 부재(94)에 최초에 맞닿는 X축 방향의 위치(p1)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된다.
도 14 및 도 1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작동부(46s1) 및 제2 작동부(46s2)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가장 후방측에 위치되는 연결 부재(46)에 제공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제1 작동부(46s1) 및 제2 작동부(46s2)는, 각각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로 성형된 수지 성형품(46s)이며, 연결 부재(46)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장착 방향(Y1)의 하류측을 향해 돌출한다. 제1 작동부(46s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제2 작동부(46s2)는 Z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판상 형상을 갖는다. 제2 작동부(46s2)의 두께는, 전술한 아암 상부(92a)와 아암 하부(92b) 사이의 간격(z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인입 장치의 동작
이하, 인입 장치(9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8a 내지 도 21b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된 대기 상태에 대응하고, 도 19a 및 도 19b는 잠금 해제 동작의 제1 단계에 대응하고, 도 20a 및 도 20b는 잠금 해제 동작의 제2 단계에 대응하며, 도 21a 및 도 21b는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착 위치까지 인입된 인입 상태에 대응한다. 또한, 도 18a, 도 19a, 도 20a, 및 도 21a는 상방으로부터 본 인입 장치(90)를 도시하고, 도 18b, 도 19b, 도 20b 및 도 21b는 아암 상부(92a)의 일부를 비가시화한 인입 장치(90)의 사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대기 상태에서, 제1 작동부(46s1) 및 제2 작동부(46s2)는 아암(9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아암(92)은 대기 위치에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서는 설명을 위해서 카트리지 트레이(40)를 도시하고 있지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장착해제를 행하는 경우,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아암(92)에 대해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대기 상태에서,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94)는 홀더(91)에 계합되며, 아암(92)은 인입 방향(R1)의 피봇이 규제되는 잠금 상태에 있다. 즉, 도 18a 및 도 18b의 시계 방향의 가압력이 아암(92)으로부터 아암 스프링(93)에 가해지지만, 아암(92)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 부재(94)는 맞닿음부(941)에서 홀더(91)의 피맞닿음부(911)에 맞닿아 있다. 그러므로, 잠금 부재(94)의 피봇점(92o)은 아암(92)의 피봇 지지부(91o)에 대하여 인입 방향(R1)으로 이동할 수 없고, 따라서 아암(92)은 인입 방향(R1)으로 피봇되지 않는다.
또한, 대기 상태에서는, 잠금 부재(94)는 피맞닿음부(911)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도 18a 및 도 18b에서 반시계 방향(r1)으로 압박되지만, 잠금 부재(94)는 피맞닿음부(911)에 인접하는 도 20b에 도시된 벽면(912)에 맞닿는다. 그러므로, 대기 상태에서의 잠금 부재(94)의 반시계 방향의 피봇이 규제되며, 잠금 부재(94)는 잠금 위치에 유지된다.
도 19a 및 도 19b는,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아암(92)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동작의 제1 단계를 도시한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트레이의 장착 방향(Y1)으로 이동해서 아암(92)에 접근하면, 먼저 제1 작동부(46s1)가 아암(92)의 제1 계합면(92s)에 맞닿는다. 아암(92)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계합면(92s)은, 장착 방향(Y1)의 하류측을 향해서 X축 방향에서의 제1 작동부(46s1)의 범위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데, 즉 도 19a 및 도 19b에서 상방을 향해서 좌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제1 작동부(46s1)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삽입에 따라 제1 계합면(92s)을 도 19a 및 도 19b에서 좌측으로 압박하고, 따라서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아암(92)을 복귀 방향(R2)으로 피봇시킨다.
그후, 도 1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94)의 맞닿음부(941)는 홀더(91)의 피맞닿음부(911)로부터 이격되어, 간극(g)이 생성되고, 잠금 부재(94)를 아암(92)에 대하여 이동, 즉 잠금 부재(94)를 도 19b에서 시계 방향으로 피봇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이 상태에서도, 잠금 부재(94)는 잠금 스프링(95)의 가압력에 의해 도 19b에서 시계 방향(r1)으로 가압되며, 홀더(91)의 벽면(912)에 맞닿는다. 그러므로, 잠금 부재(94)는 잠금 위치에 머무르고, 아암(92)의 잠금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즉,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이동시키지 않고 아암(92)을 인입 방향(R1)으로 수동적으로 피봇시키려고 시도하는 경우에도, 잠금 부재(94)의 맞닿음부(941)는 홀더(91)의 피맞닿음부(911)에 다시 맞닿아서 아암(92)의 피봇을 규제한다.
도 20a 및 도 20b는,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치 본체 안으로 더 삽입됨으로써 잠금 해제 동작이 제2 단계로 진행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단계에서는,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제1 작동부(46s1)가 아암(92)을 대기 위치로부터 복귀 방향(R2)으로 피봇시킨 상태에서, 제2 작동부(46s2)가 잠금 부재(94)의 가압부(94s)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잠금 부재(94)가 잠금 스프링(95)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도 20a 및 도 20b에서 시계 방향(r2)으로 피봇되고, 잠금 부재(94)는 맞닿음부(941)가 홀더(91)의 피맞닿음부(911)에 대면하지 않는 잠금 해제 위치까지 퇴피된다.
잠금 부재(94)가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까지 피봇되는 동안, 아암(92)은 아암(92)이 복귀 방향(R2)으로 피봇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1 계합면(92s)의 형상은, 잠금 부재(94)가 피맞닿음부(911)와 간섭하지 않고 잠금 해제 위치까지 피봇될 수 있는 아암(92)의 피봇량을 확보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이는, 제2 작동부(46s2)가 잠금 부재(94)에 맞닿는 시간으로부터 맞닿음부(941)가 피맞닿음부(911)로부터 이격되는 시간까지의 기간 동안 잠금 부재(94)의 피봇점(92o)으로부터 피맞닿음부(911)까지의 최소 거리가 피봇점(92o)에 대한 맞닿음부(941)의 피봇 반경보다 작은 경우에 충족된다.
제2 작동부(46s2)가 잠금 부재(94)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암(92)의 인입 방향(R1)으로의 피봇이 잠금 부재(94)에 의해 방해될 수 없는 상태, 즉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즉, 도 20a 및 도 20b의 아암(92) 및 잠금 부재(94)의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소실되는 경우,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에 의해 아암(92)은 인입 방향(R1)으로 피봇된다.
아암(92)의 제2 계합면(92d)은, 제2 작동부(46s2)에 의해 아암(92)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 작동부(46s1)에 계합된다. 제2 계합면(92d)이 제1 작동부(46s1)에 계합될 때,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에 의해 아암(92)으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0)에 대하여 장착 방향(Y1)의 인입력이 작용하기 시작한다. 즉, 제2 계합면(92d)은, 제1 작동부(46s1)에 맞닿는 아암(92)의 표면 영역에서 그리고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법선 벡터가 Y축 방향의 정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에서 제1 작동부(46s1)에 맞닿기 시작한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암(92)이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착 방향(Y1)으로 인입하면서 대기 위치로부터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약 45°인 미리결정된 각도만큼 피봇되면, 아암(92)은 인입 위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는 장치 본체의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할 때는, 인입 장치(90)는 상술한 인입 동작을 반대로 추적함으로써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인입 상태로부터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되는 대기 상태로 변화한다. 즉, 유저 등이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착 방향(Y1)과는 반대인 인출 방향으로 당기고, 따라서 제1 작동부(46s1)가 인출 방향으로 아암(92)의 제2 계합면(92d)을 압박한다. 이에 의해, 아암(92)이 복귀 방향(R2)으로 피봇되고, 도 21a 및 도 21b의 상태가 도 20a 및 도 20b의 상태로 천이된다. 잠금 부재(94)는, 잠금 스프링(95)의 가압력에 의해, 압박부(94s)가 제2 작동부(46s2)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 20a 및 도 20b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고, 도 1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잠금 위치로 복귀한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더 인출되면, 제2 작동부(46s2)는 잠금 부재(94)의 압박부(94s)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제1 작동부(46s1)는 아암(92)을 복귀 방향(R2)으로 대기 위치를 초과하는 위치까지 피봇시킨다. 그후, 아암(92)이 제1 계합면(92s)에서 제1 작동부(46s1)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면서 대기 위치까지 인입 방향(R1)으로 피봇되고, 따라서 잠금 부재(94)의 맞닿음부(941)가 홀더(91)의 피맞닿음부(911)에 맞닿으며, 인입 장치(90)는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대기 상태로 된다.
인입 장치의 요약
대기 상태에서 아암(92)의 피봇이 잠기는 구성을 갖는,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인입 장치(90)는, (1) 아암(92)의 복귀 방향(R2)으로의 피봇 및 (2) 잠금 부재(94)의 피봇의 2개의 작용을 필요로 한다. 즉, 위에서 설명되는 (1) 및 (2)가 인입 장치(90)에 대하여 이 순서로 작용하지 않는 경우, 기본적으로는 아암(92)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이 해제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인입 장치(90)의 높은 안정성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높은 안정성은, 예를 들어 유저가 손가락이 대기 상태의 인입 장치(90)에 접촉하는 경우에 유발될 수 있는, 아암(92)의 잠금이 우발적으로 해제되고 아암(92)이 마음대로 피봇되는 상황의 발생의 어려움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잠금 부재(94)는 아암(92)의 2개의 부분 사이의 간극에 보유지지되며, 이 간극은 잠금 부재(94)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접근될 필요가 있다. 아암(92)이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잠금 부재(94)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1개의 작용에 의해 잠금을 해제하고자 하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94)는 도 22의 화살표 방향으로 강하게 압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기 상태에서는,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에 의해 잠금 부재(94)가 홀더(91)의 피맞닿음부(911)에 압박되고, 잠금 부재(94)를 도 22에서 시계 방향으로 피봇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힘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도 16b에 도시된 아암 상부와 아암 하부 사이의 간격(z1)보다 얇고 강성이 있는 룰러(ruler)와 같은 물체를 아암(92)의 간극에 삽입해서 압박하는 동작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상황이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한편, 아암(92)을 복귀 방향(R2)으로 피봇시킨 후 룰러와 같은 물체를 아암(92)의 간극에 삽입하여 잠금 부재(94)를 피봇시키는 2 단계의 동작이 우발적으로 행해지는 것도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잠금 부재(94)가 아암(92)에 둘러싸이고 보호되는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인입 장치(90)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맞닿음부로서 제2 작동부(46s2)가 사용되고, 제2 작동부(46s2)의 두께를 아암(92)의 간격(z1)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아암(92)의 간극 안으로 제2 작동부(46s2) 이외의 물체가 들어갈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것 대신에 판상 형상을 갖지 않는 제2 맞닿음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아암 부재의 복수의 부분 사이에 제2 맞닿음부를 배치함으로써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인입 장치(90)에서, 적어도 아암 스프링(93) 및 아암(92)의 피봇 지지부(91o)는 도 14에 도시된 정착 스테이(35)의 전방측 벽면(35a)보다 더 후방측에 배치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향해 돌출하는 부재의 수가 대기 상태에서 적은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인입 장치(90)에의 우발적인 접촉이 저감될 수 있고, 따라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 상태에서 Y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잠금 스프링(95)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92k)를 아암(92)에 제공하고, 대기 상태에서 연직 방향에서 볼 때 잠금 부재(94)에 겹치는 덮개부(91k)를 홀더(91)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들 요소는 잠금 스프링(95) 또는 잠금 부재(94)와의 의도되지 않은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인입 장치(90)의 안정성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또한, 정착 스테이(35) 이외에 다른 판금 프레임 또는 홀더(91)를 사용해서 아암(92) 이외의 가동부를 덮는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아암 스프링(93)이 대기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까지의 영역 전체에서 아암(92)을 인입 방향(R1)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대기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까지의 범위 내에서 스프링 부재에 의한 아암의 가압 방향이 변화하는, 소위 토글식의 인입 장치에 사용되는 구성에 비하여, 아암(92)이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인입 가능한 거리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토글식의 인입 장치의 경우, 아암이 중간 위치를 지나간 후에 인입 작용이 발생한다. 중간 위치의 부근에서는 인입 작용이 약하고, 중간 위치를 지나기 전에는 오히려 카트리지 트레이를 역으로 가압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대조적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인입 작용이 발생하기 시작하기 전에 도 20a 및 도 20b의 단계에서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이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착 방향(Y1)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서 효율적으로 전해진다. 결과로서, 토글식의 인입 장치에 비하여, 인입 장치의 크기의 증가를 피하면서, 충분한 인입력이 가해질 수 있는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양호한 공간 절약 특성도 갖는다. 인입 장치(90)가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착 위치까지 인입한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상태에서, 인입 장치(90)가 차지하는 장착 방향(Y1)의 범위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대기 상태의 것의 대략 절반이다. 또한, 인입 상태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아암(92)이 점유하고 있던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존재한다. 이들 특징은 화상 형성 장치의 케이싱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수용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인입 장치(90)는, 잠금 해제 동작 및 인입 동작의 과정에서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아암(92)으로부터 받는 힘이, 도 20a 및 도 20b의 좌측인 X축 방향의 일 측을 향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구성을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시된 구성은 X축 방향에 대해서 반전된 상태로 인입 장치(90)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의 힘의 성분이 우측판(37)으로부터 좌측판(36)을 향하는 방향이 되는 배치가 채용된다.
여기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에 장착한 후에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하는 경우의 감광 드럼의 길이 방향의 위치결정은 감광 드럼을 좌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에 제공된 구동 커플링이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제공된 도 3a에 도시된 드럼 커플링(1c)을 좌측으로 압박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인입 장치(90)는, 인입 동작의 과정에서 카트리지 트레이(40)에 대하여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해지는 분력의 방향이, 트레이가 장착된 후의 상태에서 감광 드럼이 길이 방향으로 압박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제공된다. 이들이 서로 반대인 경우,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삽입 시에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형상과, 장착된 후에 감광 드럼을 통해서 카트리지 트레이(40)가 받는 힘을 받아 들이며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위치를 규제하는 다른 가이드 형상이 별개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형상은 카트리지 트레이(40)의 가이드 부재(47L)에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는 측벽이다. 대조적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힘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며, 따라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삽입 시의 위치 규제 기능과 장착 후의 위치 규제 기능이 동일한 가이드 형상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트레이(40)에는 감광 드럼을 접지 전위에 접속하기 위한 접점(t1)이 제공되고, 장치 본체에는 접지 전위에 접속된 와이어 스프링(t2)이 제공된다. 접점(t1)은,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장착된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재료(48)를 통해서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장착된 도 3b에 도시된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PP)의 접점(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장치 본체의 장착 위치에 장착되면, 와이어 스프링(t2)이 접점(t1)에 압접되고, 따라서 감광 드럼이 접지된다.
접점(t1) 및 와이어 스프링(t2)은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좌측 단부에 제공되고, 그 우측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장착 상태에서 아암(92)이 제1 작동부(46s1)를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장착 방향으로 압박하는 위치는, X축 방향에서의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중앙 위치에 대하여 좌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따라서, 접점(t1)을 통해서 카트리지 트레이(40)를 가압하는 와이어 스프링(t2)의 힘 및 인입 장치(90)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0)가 받는 힘이 서로 상쇄되어, 카트리지 트레이(40)의 경사가 억제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PPY, PPM, PPC, 및 PPK)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가 아니고 카트리지 트레이(40)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경우, 유저가 삽입 조작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최종 위치결정을 행하게 하면, 위치결정의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카트리지 트레이(40)의 본체에 대한 위치결정 정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감광 드럼(1)의 표면에의 레이저광 조사 위치가 이상적인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시트 상의 화상 위치의 변위를 초래한다. 대조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아암 스프링(93) 등의 가압력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의 본체에 대한 위치결정이 행해지므로, 그러한 문제가 억제될 수 있다.
변형예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인입 장치(9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 작동부(46s1)가 아암(92)의 제1 계합면(92s)에 마찰 접촉한다. 그러므로, 제1 작동부(46s1) 및 제1 계합면(92s)의 재료 및 습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삽입하는 조작 부하가 커지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제1 작동부(46s1)를 대신하여, 제1 작동부(46s1)와 동일하게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작동부(46s1)가 잠금 해제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아암(92)에 작용하는 부분과, 잠금 해제 후에 아암(92)으로부터 인입력을 받는 부분을 겸하고 있지만, 이들 부분을 별도의 부재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암(92)의 제1 계합면(92s)은,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인입이 개시되는 위치까지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삽입하는 조작 부하 변동을 감소시키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계합면(92s)은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아암(92)의 피봇 지지부(91o)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93 및 95) 이외의 모든 부품을 수지 재료로 형성하고 있지만, 아암(92) 등의 강한 힘을 받는 부품을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에는 인장 스프링 대신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아암(92) 및 잠금 부재(94)가 카트리지 트레이(40)에 배치되고, 제1 작동부(46s1) 및 제2 작동부(46s2)가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의 인입 동작이 실현될 수 있다. 즉, 아암 부재 및 규제 부재는 장치 본체 및 유닛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맞닿음부 및 제2 맞닿음부는 장치 본체 및 유닛의 다른 것에 배치될 수 있다. 단,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가동 부재인 아암(92) 및 잠금 부재(94)를 장치 본체에 배치하는 것이,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중량 및 크기를 감소시키고 부재에 대한 파손을 억제하는데 유리하다.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오직 1개의 아암(92)이 제공되기 때문에,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에 삽입할 때에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아암(92)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압박되며, 이는 장치 본체와 카트리지 트레이(4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는 원인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아암(92L 및 92R)이 좌우 방향에서 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아암(92L 및 92R)에 대응하여,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잠금 부재(94L 및 94R)를 포함하는 잠금 기구가 좌우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3 방향인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인입할 때의 우측의 아암(92R)의 피봇 방향(R3)은, 좌측의 아암(92L)의 인입 방향(R1)과는 반대인 회전 방향이 된다. 또한, 아암(92L 및 92R)은 각각 공통의 가압부인 아암 스프링(93)의 양 단부에 접속되어서 가압력을 받는다. 좌측의 아암(92L) 및 잠금 부재(94L)가 제1 아암 부재 및 제1 규제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 우측의 아암(92R) 및 잠금 부재(94R)는 제2 아암 부재 및 제2 규제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아암(92L 및 92R) 및 잠금 부재(94L 및 94R)의 상세한 구성 및 카트리지 트레이 삽입 시의 아암(92L 및 92R) 및 잠금 부재(94L 및 94R)의 동작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아암(92) 및 잠금 부재(94)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라서도, 잠금의 잘못된 해제를 억제할 수 있는 인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2개의 아암(92L 및 92R)이 2개의 제1 작동부(46s1)에 부여하는 힘 중,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장착 방향에 수직인 X축 방향의 성분이 서로 상쇄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트레이(40)와 장치 본체 사이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고, 따라서 조작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인입 장치(90)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삽입 동작의 도중에 상방으로부터 볼 때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암 스프링(93)으로서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동일한 스프링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아암 스프링(93)의 장력이 아암 스프링(93)의 양 단부에 각각 접속된 아암(92L 및 92R)을 통해서 카트리지 트레이(40)에 작용하기 때문에, 트레이가 받는 장착 방향의 힘은 대략 2배가 된다. 결과로서,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보다 약한 스프링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필요한 인입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아암 스프링(93)의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아암(92)이 잠금 부재(94)를 보유지지하고 있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94A)가 홀더(91)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규제 부재는 아암 부재와는 별도로 장치 본체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
대기 상태에서는, 아암(92)의 계합부(92e)가 잠금 부재(94A)에 맞닿음으로써, 아암(92)의 인입 방향(R1)의 피봇이 규제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삽입되면, 도 2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에 제공된 제1 작동부(46s1)가 아암(92)의 제1 계합면(92s)을 압박하여, 아암 스프링(93)에 저항해서 아암(92)을 대기 위치로부터 복귀 방향(R2)으로 피봇시킨다. 이에 의해, 아암(92)의 계합부(92e)가 잠금 부재(94A)로부터 해제되기 때문에, 잠금 부재(94A)를 도 24에서 시계 방향으로 피봇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잠금 스프링(95)의 가압력에 의해 잠금 부재(94A)의 자세가 유지되기 때문에, 아암(92)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다.
카트리지 트레이(40)가 더 삽입되면,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작동부(46s2)가 잠금 부재(94A)에 맞닿아, 잠금 스프링(95)에 저항해서 잠금 부재(94A)를 도 25에서 시계 방향으로 피봇시킨다. 이에 의해, 잠금 부재(94A)에 의한 아암(92)의 잠금이 해제된다. 그리고, 아암(92)의 제2 계합면(92d)이 제1 작동부(46s1)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아암(92)이 아암 스프링(93)의 가압력에 따라서 인입 방향(R1)으로 피봇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카트리지 트레이(40)는 도 26의 위치까지 인입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도, 아암(92)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1) 아암(92)의 복귀 방향(R2)으로의 피봇 및 (2) 잠금 부재(94A)의 피봇의 2개의 작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라서도, 잠금의 잘못된 해제를 억제할 수 있는 인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제1 내지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 트레이(40)를 장치 본체로 인입하는 인입 장치(90)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인입 장치(90)는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유닛을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는 시트를 수납하는 시트 수납부의 예인 도 2에 도시된 카세트(19)를 장치 본체에 인입하는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0)의 위치결정 기구는 카세트(19) 등의 다른 인출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장착가능 및 장착해제 가능한 시트 처리 장치 또는 옵션 피더가 장치 본체에 인입되는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시트 처리 장치는 시트에 대해 철 등의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며, 옵션 피더는 장치 본체에 시트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인입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한하지 않고, 인입 장치는 예를 들어 오피스용 데스크의 서랍 또는 수납 가구의 서랍이 장치 본체, 즉 케이싱에 인입되는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모든 실시형태에서 전자사진 시스템의 프린터(100)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노즐을 통해 잉크 액을 토출함으로써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위치결정 장치이며,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인출 및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인출부; 및
    상기 인출부를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장착 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위치결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기구는,
    상기 장치 본체 및 상기 인출부 중 하나에 제공되는 제1 계합부; 및
    상기 장치 본체 및 상기 인출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됨으로써 상기 인출부의 장착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피계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계합부는, 상기 장착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피계합부가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부의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인출부에 대하여 상기 장착 방향의 힘이 작용되게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계합부는, 상기 경사면에 의해 안내된 상기 제1 계합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인출부를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위치결정면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계합부는, 상기 장착 방향의 하류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인출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때에 상기 제1 계합부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면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면 및 상기 미끄럼 이동면은 상기 경사면에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위치결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기구는,
    상기 장치 본체 및 상기 인출부 중 하나에 제공되는 제2 계합부; 및
    상기 장치 본체 및 상기 인출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제2 계합부와 계합됨으로써 상기 인출부를 상기 장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피계합부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는 단면이 원형 형상을 갖는 축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장치 본체에 제공되며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피계합부는 상기 인출부에 제공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축의 하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축의 중력 방향의 변형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제1 피계합부와는 다른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됨으로써 상기 인출부의 상기 장착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피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축 방향으로 그 사이에 간격을 두어서 배치되고 상기 축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계합부 및 상기 제3 피계합부는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제1 피계합부와 상기 제3 피계합부 사이에 제공되는 위치결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제1 피계합부와 상기 제3 피계합부 사이의 중앙부에 제공되는 위치결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개방 및 폐쇄 가능하게 제공되는 도어 부재; 및
    상기 도어 부재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결정되는 상기 인출부를 상기 장착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압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위치결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부재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출부를 하방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압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위치결정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토너상을 담지하도록 구성되는 감광체를 포함하는 유닛을 보유지지하는 위치결정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유닛을 보유지지하는 위치결정 장치.
  14. 화상 형성 장치이며,
    제1항에 따른 위치결정 장치; 및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0015393A 2019-02-19 2020-02-10 위치결정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200101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7866 2019-02-19
JP2019027866A JP7321720B2 (ja) 2019-02-19 2019-02-19 位置決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9-027865 2019-02-19
JP2019027865A JP7309378B2 (ja) 2019-02-19 2019-02-19 位置決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288A true KR20200101288A (ko) 2020-08-27

Family

ID=6940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393A KR20200101288A (ko) 2019-02-19 2020-02-10 위치결정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48204B2 (ko)
EP (1) EP3699693B1 (ko)
KR (1) KR20200101288A (ko)
CN (1) CN1115803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1664B2 (ja) 2018-12-04 202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GB2611224B (en) * 2020-08-12 2023-08-23 Canon Kk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085402A (ja) * 2020-11-27 2022-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735B1 (ko) * 2002-09-03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4340997A (ja) * 2003-05-13 2004-12-02 Fuji Xerox Co Ltd 定着ユニットの脱着機構
JP4250555B2 (ja) * 2004-03-0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間部材
JP4329041B2 (ja) 2005-12-27 2009-09-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デム型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05157B2 (ja) * 2007-01-30 2012-03-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72214B1 (ja) * 2008-09-29 2009-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2003167A (ja) * 2010-06-21 2012-01-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760642B2 (ja) * 2011-04-22 2015-08-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41534B2 (ja) * 2012-05-28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21611B2 (ja) * 2012-11-28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91691B2 (ja) 2013-12-11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373065B2 (ja) * 2014-05-29 2018-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55905B2 (ja) * 2015-03-05 2019-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80051940A (ko) * 2016-11-09 2018-05-17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6961471B2 (ja) 2017-11-24 202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9693A1 (en) 2020-08-26
CN111580361A (zh) 2020-08-25
US11048204B2 (en) 2021-06-29
US20200264554A1 (en) 2020-08-20
CN111580361B (zh) 2023-09-19
EP3699693B1 (en)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603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792805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RU2419121C2 (ru)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KR20200101288A (ko) 위치결정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8355650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40099140A1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053404A1 (en) Pull-i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 accommodating apparatus, and draw-out unit
US95943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locking cartridge tray
US85144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119445B2 (ja) 画像形成装置
US93107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feeling when opening cover
JP7309378B2 (ja) 位置決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321720B2 (ja) 位置決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615494B (zh) 图像形成装置
US115261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mountability of a cartridge while conserving space
US20230391566A1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sheet support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0324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324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3244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