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735B1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735B1
KR100438735B1 KR10-2002-0052923A KR20020052923A KR100438735B1 KR 100438735 B1 KR100438735 B1 KR 100438735B1 KR 20020052923 A KR20020052923 A KR 20020052923A KR 100438735 B1 KR100438735 B1 KR 10043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photosensitive drum
guide rail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315A (ko
Inventor
최삼석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73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Abstract

개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프레임과, 선단측에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고 프레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현상롤러가 감광드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와, 가이드레일 중 그 경사부가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현상기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현상기의 자중에 의해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과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기를 자중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현상갭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화상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unit of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t}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그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식 칼라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이를 분말상의 토너로 현상하고, 그 현상된 화상을 소정 전사매체를 경유하여 용지에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하며, 정전잠상을 현상시키기 위해 감광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현상기를 포함하는 현상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의 4가지 색상의 토너가 수용된 현상기(40Y)(40M)(40C)(40K)가 스프링(20)에 의해 감광드럼(10)쪽으로탄성바이어스되어, 그 선단에 마련된 현상롤러(42)를 감광드럼(10)에 액세스시키게 된다.
현상기(40Y)(40M)(40C)(40K)는 프레임(30)의 가이드레일(31)(32)(33)(3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저장된 토너를 묻혀서 현상갭(g)을 두고 감광드럼(10) 표면으로 공급하는 현상롤러(42)와, 상기 현상갭(g)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현상롤러(42)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감광드럼(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갭유지롤러(41) 등을 구비한다.
가이드레일(31)(32)(33)(34)의 선단측은 현상롤러(42)가 감광드럼(10)의 외주면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액세스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감광드럼(10)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31)(32)의 선단측은 감광드럼(1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져 있으며, 가이드레일(33)(34)의 선단측은 감광드럼(10)의 중심을 향하여 상향 경사져 있다. 이는, 각 현상기(40Y)(40M)(40C)(40K)가 감광드럼(10)에 대해 균일한 가압력을 가지고 액세스되어 일정한 현상갭(g)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현상유닛은 현상기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면서 현상갭(g)이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선단측이 하향경사진 가이드레일(31)(32)에 장착된 현상기(40C)(40K)는 자중에 의해 처지더라도 갭유지롤러(41)가 감광드럼(10)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감광드럼(10)이 자중에 의한 처짐을 막아주는 지지부재의 역할을 하여 현상갭(g)의 유지에 문제가 없지만, 선단측이 상향경사진 가이드레일(33)(34)에 장착된 현상기(40M)(40Y)는 자중에 의해 갭유지롤러(41)가 감광드럼(10)으로부터 이탈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되므로 현상갭(g)이 벌어지는 문제가 있다. 현상갭(g)은 매우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할 현상 파라메타(paremeter)로서 화상의 품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서는 비록 스프링(20)이 각 현상기를 감광드럼(10)쪽으로 가압하고 있다하더라도 현상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자중의 영향에 의해 현상갭(g)이 각 현상기마다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현상기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구비한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현상유닛에 의한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감광드럼 130......현상유닛
131......현상롤러 132......갭유지롤러
133......베어링부재 134......가이드보스
150......판스프링 160......돌출부
170......탄성아암 180......지지부재
181......안착부 190......프레임
191,192,193,194......가이드레일
191a,192a,193a,194a......직선부
191b,192b,193b,194b......경사부
200......스프링 210......도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시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프레임; 선단측에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드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 상기 가이드레일 중 그 경사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현상기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현상기의 자중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드럼과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시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을 대전하는대전기와, 상기 대전된 감광드럼을 노광시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과, 상기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현상유닛은, 프레임; 선단측에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드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 상기 가이드레일 중 그 경사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현상기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현상기의 자중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드럼과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현상기에 자중에 의한 힘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현상기의 선단부에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기를 자중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현상갭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화상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현상유닛에 의한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보면, 화상형성장치에는, 감광체인 감광드럼(100)과, 감광드럼(100)을 대전시키는 대전기(110)와, 대전된 감광드럼(100)에 광을 주사하여 원하는 화상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으로서 LSU(laser scanning unit;120)와, 정전잠상을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의 4가지 색상의 분말상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기(130M)(130C)(130Y)(130K)와, 상기 감광드럼(100)에 현상된 4가지 색상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되게 전사받아서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벨트(140)를 포함한 전사유닛과, 용지를 가열 압착하여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150) 등이 구비된다. 참조부호 160은 용지카세트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70은 감광드럼 클리닝유닛을, 참조부호 180은 제전기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각 색상별 현상기(130M)(130C)(130Y)(130K)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90)의 가이드레일(191)(192)(193)(19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현상기 본체(130a)와, 본체(130a)에 저장된 토너를 묻혀서 감광드럼(100) 외주면에 비접촉상태로 공급하는 현상롤러(131)와, 현상롤러(131)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감광드럼(100)에 밀착됨으로써 감광드럼(100)과 현상롤러(131)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해주는 갭유지롤러(132)를 포함하며, 현상기 본체(130a)는 스프링(200)에 의해 가이드레일(191)(192)(193)(194)을 따라 감광드럼(100)에 접근되는 방향 즉, 갭유지롤러(132)가 감광드럼(10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스프링(200)은 화상형성장치의 개폐용 도어(210)에 설치되어 있어서, 도어(210)를 닫으면 현상기 본체(130a)를 감광드럼(100) 쪽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91)(192)(193)(194)은 현상기 본체(130a)에 마련된 가이드보스(134)와 현상롤러(131)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재(13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곳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직선부(191a)(192a)(193a)(194a)와 감광드럼(100)의 중심축(101)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부(191b)(192b)(193b)(194b)를 구비한다. 직선부(191a)(192a)(193a)(194a)는 가이드보스(134)를 수평으로 움직이게 가이드하는 부분이고, 경사부(191b)(192b)(193b)(194b)는 현상기(130a)의 선단측에 위치된 현상롤러(131) 회전축 상의 베어링부재(133)를 감광드럼(100)의 반경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베어링부재(133)는 현상롤러(131)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경사부(191b)(192b)(193b)(194b)를 타고 감광드럼(100)의 반경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규제된다. 그리고, 베어링부재(133)와 동축상에 갭유지롤러(13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갭유지롤러(132)도 감광드럼(100)의 반경방향 즉, 그 중심축(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감광드럼(100)에 밀착된다. 결국, 베어링부재(133)에 의해 이동하는 현상롤러(131)는 감광드럼(10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갭유지롤러(132)가 감광드럼(100)에 밀착되며 가하는 압력은 감광드럼(100)의 반경방향으로만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갭유지롤러(132)의 압력이 접선방향으로는 전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접선방향으로 갭유지롤러(132)가 미끄러지지 않는다.
아래쪽에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레일(193)(194)의 경사부(193b)(194b)는 감광드럼(100)의 중심축(101)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193b)(194b) 또는 여기에 인접하여 판스프링(150)이 설치되어 있다. 판스프링(150)은 아래쪽에 장착되는 두 개의 현상기(130C)(130M)의 자중의 작용방향과 반대방향, 즉 자중에 의한 힘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베어링부재(133)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도 4를 보면, 위쪽에 위치된 두 개의 현상기(130K)(130Y)는 베어링부재(133)가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91b)(192b)에 삽입되어 가이드되어 있으므로, 현상기(130K)(130Y)의 자중에 의해 힘이 감광드럼(10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며, 갭유지롤러(132)가 감광드럼(10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현상갭(g)이 변동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아래쪽에 위치된 두 개의 현상기(130C)(130M)는 베어링부재(133)가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93b)(194b)에 삽입되어 가이드되어 있으므로, 현상기(130C)(130M)의 자중에 의해 힘이 감광드럼(1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되어 현상갭(g)이 벌어지려는 경향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에 의하면, 베어링부재(133)에 판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력(F)이 가해져서 자중의 영향을 상쇄시키므로 갭유지롤러(132)와 감광드럼(100)에 이격되지 않고 현상갭(g)을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현상기(130C)(130M)를 판스프링(150)으로 지지함으로써 현상기(130K)(130Y)(130C)(130M)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현상갭(g)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칼라화상을 형성할 때에 현상갭(g)의 차이로 인한 각 색상간의 현상편차를 제거하여 균일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30C)(130M)의 측면에는 가이드보스(134)와 같이 프레임(190)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60)가 형성되어 있고, 판스프링(150)은 이 돌출부(16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돌출부(160)는 가급적 현상기(130C)(130M)의 선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급적 가이드레일(193)(194)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이드레일(193)(194)과 무관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현상기(130C)(130M)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는 반드시 판스프링(150)일 필요는 없으며, 도 2에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93)(194)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아암(170)으로도 가능하다. 가이드레일(191)(192)(193)(194)은 프레임(19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플라스틱재료로 제작된 후 프레임(190)에 결합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가이드레일(193)(194)에 스프링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일체로 탄성아암(1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탄성아암(160)이 베어링부재(133) 또는 돌출부(160)를 지지함으로써 현상기(130C)(130M)의 자중에 의해 현상갭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를 가이드레일과 일체로 형성하면 부품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보면, 현상기(130C)(130M)의 측면에 가이드보스(134)와 같이 프레임(190)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60)는 가이드레일(193)(19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급적 현상기(130C)(130M)의 선단부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60)는 지지부재(18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재(180)는 돌출부(1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부(181)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프레임(190)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지지부재(180)는 그 회전중심(182)이 갭유지롤러(132)가 감광드럼(100)과 접촉되었을 때 돌출부(160)가 위치되는 곳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기(130C)(130M)가 가이드레일(193)(194)을 장착될 때, 돌출부(160)가 지지부재(180)와 접촉되어 이 지지부재(180)를 회전시키면서 슬라이딩된다. 그러다가 갭유지롤러(132)가 감광드럼(100)과 접촉되면 돌출부(160)는 다수의 안착부(181) 중 한 곳에 안착된다. 따라서, 아래쪽에 설치되는 현상기(130C)(130M)가 자중에 의해 현상갭(g)이 벌어지려는 경향을 가지더라도 지지부재(180)가 돌출부(160)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현상갭(g)이 벌어지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현상기가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현상갭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현상기의 설치위치에 무관하게일정한 현상갭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다수의 현상기를 사용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현상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현상갭의 차이로 인한 각 색상간 현상편차를 제거할 수 있어 화상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2)

  1. 프레임;
    선단측에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드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
    상기 가이드레일 중 그 경사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현상기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현상기의 자중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드럼과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현상기에 자중에 의한 힘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선단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가이드보스와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축 단부에 끼워진 베어링부재가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이 베어링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선단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9. 감광드럼을 대전하는 대전기와, 상기 대전된 감광드럼을 노광시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과, 상기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프레임;
    선단측에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드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
    상기 가이드레일 중 그 경사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중심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현상기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현상기의 자중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드럼과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현상기에 자중에 위한 힘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선단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선단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2-0052923A 2002-09-03 2002-09-03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43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923A KR100438735B1 (ko) 2002-09-03 2002-09-03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923A KR100438735B1 (ko) 2002-09-03 2002-09-03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315A KR20040021315A (ko) 2004-03-10
KR100438735B1 true KR100438735B1 (ko) 2004-07-05

Family

ID=3732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923A KR100438735B1 (ko) 2002-09-03 2002-09-03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093B1 (ko) 2004-11-22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94139B1 (ko) * 2005-07-13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 장치 및 방법
JP7309378B2 (ja) * 2019-02-19 2023-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決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3699693B1 (en) * 2019-02-19 2022-09-21 Canon Kabushiki Kaisha Positio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315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764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94128B1 (ko)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EP2290461A2 (en) Detachable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0221048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29822A (ja)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現像ユニット及びそれを採用した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KR100561424B1 (ko)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KR100691718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43873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N100529990C (zh) 转印单元固定机构和具有该转印单元固定机构的成像装置
US77832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hotosensitive drum unit equipped with mounting mechanism of exposure means
US104092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cartridge with mounting interval regulation
US2017030802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77554A (ja) 画像形成装置
US101914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801011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123721B1 (ko) 화상형성장치
JPH04147274A (ja)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539971Y2 (ja) 電子写真装置
JP2002214908A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49488U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기의 마찰대전공간 확보장치
JPH03260661A (ja) 電子写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