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62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623A
KR20200100623A KR1020207015023A KR20207015023A KR20200100623A KR 20200100623 A KR20200100623 A KR 20200100623A KR 1020207015023 A KR1020207015023 A KR 1020207015023A KR 20207015023 A KR20207015023 A KR 20207015023A KR 20200100623 A KR20200100623 A KR 20200100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ell
vibrators
sound
sound diffus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마에시바
다이스케 야마오카
신페이 곤도
히로키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08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separated by air or other flu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1Acoustic transducers using travelling bending waves to generate or detect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 표시 셀과, 표시 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진기와, 공극을 사이에 두고 표시 셀과 대향 배치된 대향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표시 장치는, 추가로, 표시 셀과 복수의 가진기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가진기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확산을 제어하는 소리 확산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박형 경량화가 급격한 신장을 이루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스피커에 대해서도 박형 경량화가 진행되어, 콘형 스피커 대신, 플랫 패널 스피커(FPS)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추가로, 플랫 패널 스피커에 있어서의 진동판으로서,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플랫 패널 스피커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로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430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91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10182호 공보
플랫 패널 스피커 분야에서는, 음질의 한층 더한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음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 표시 셀과, 표시 셀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진기와, 공극을 사이에 두고 표시 셀과 대향 배치된 대향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표시 장치는, 추가로, 표시 셀과 복수의 가진기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가진기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확산을 제어하는 소리 확산 조정층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리어 커버를 벗겼을 때의, 표시 장치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회로 기판을 벗겼을 때의, 표시 장치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진동 전달 부재의, 표시 셀에 접하는 개소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제진 부재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제진 부재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제진 부재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제진 부재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제진 부재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제진 부재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접착층 또는 점착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5의 접착층 또는 점착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4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진 부재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제진 부재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의 제진 부재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의 패널부의, 도 4의 A-A선에 상당하는 개소에서의 단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19의 제진 부재 및 소리 확산 조정층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19의 제진 부재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5의 표시 셀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5의 표시 셀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1의 패널부의, 도 4의 A-A선에 상당하는 개소에서의 단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패널부에 마련한 밀봉막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지지부가 생략되었을 때의 표시 장치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의 일 구체예이며,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실시 형태>
[구성]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 장치(1)는 영상 표시면(10A)에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영상 표시면(10A)으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 장치(1)는 플랫 패널 스피커를 영상 표시면(10A)에 내장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진동판으로서도 기능하는 패널부(10)와, 패널부(10)의 이면에 배치되고, 패널부(10)를 진동시키는 가진부(2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1)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가진부(20)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30)와, 패널부(10)를 회동부(50)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지지부(40)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부(50)는 지지부(40)에 의해 패널부(10)의 이면을 지지할 때의 패널부(10)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패널부(10) 및 지지부(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로 구성되어 있다.
가진부(20) 및 신호 처리부(30)는 패널부(10)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패널부(10)는 패널부(10)의 이면측에, 패널부(10), 가진부(20) 및 신호 처리부(30)를 보호하는 리어 커버(10R)를 가지고 있다. 리어 커버(10R)는, 예를 들어 판형 금속판 또는 수지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어 커버(10R)가, 회동부(50)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리어 커버(10R)를 벗겼을 때의, 표시 장치(1)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패널부(10)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30A)을 벗겼을 때의, 표시 장치(1)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회로 기판(30A)은, 신호 처리부(30)의 일 구체예에 상당한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는, 후술하는 가진기(21a)(액추에이터)의 단면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 단면 구성은, 다른 가진기(예를 들어 가진기(21b, 21c)(액추에이터))의 단면 구성과 마찬가지의 단면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패널부(10)는,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 표시 셀(11)과, 공극(15)을 사이에 두고 표시 셀(11)과 대향 배치된 이너 플레이트(12)(대향 플레이트)와, 백 섀시(13)를 가지고 있다. 이너 플레이트(12) 및 백 섀시(13)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 셀(11)의 표면(가진부(20)와는 반대측의 표면)이 영상 표시면(10A)으로 되어 있다. 패널부(10)는, 추가로, 예를 들어 표시 셀(11)과 이너 플레이트(12) 사이에 고정 부재(14)를 가지고 있다.
고정 부재(14)는 표시 셀(11)과 이너 플레이트(12)를 서로 고정시키는 기능과, 공극(15)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고정 부재(14)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14)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이 진동하고 있을 때에 표시 셀(11)의 단부 테두리가 자유단부로서 동작할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도 된다. 고정 부재(14)는, 예를 들어 양면에 접착층을 가지는 스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 플레이트(12)는 가진기(21)(21a, 21b, 21c)를 지지하는 기판이다. 이너 플레이트(12)는, 예를 들어 가진기(21a, 21b, 21c)를 설치하는 개소에 개구(이하, 「가진기용 개구」라고 칭함)를 가지고 있다. 이너 플레이트(12)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가진기용 개구와는 별도로,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이하, 「공기 구멍(14A)」이라고 칭함)를 가지고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은, 가진기(21a, 21b, 21c)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11)을 진동시켰을 때에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공기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은, 고정 부재(14) 및 후술하는 제진 부재(16)와 겹치지 않도록, 고정 부재(14) 및 제진 부재(16)를 피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은,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은, 예를 들어 각통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의 내경은, 예를 들어 수 c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공기 구멍(14A)이, 공기 구멍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한에 있어서, 다수의 소경의 관통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가, 표시 셀(1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 중 제1 단변(예를 들어 상단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0)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 중 제1 단변(예를 들어 상단변)과는 다른 제2 단변(예를 들어 하단변)과,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표시 셀(11)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이 마련된 개소가 진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유저는, 표시 셀(11)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이 마련된 영역으로부터, 소리가 출력되고 있는 듯이 느낀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은, 표시 셀(11)의 이면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표시 셀(11)로부터의 소리의 출력이 좌우 균등해진다.
백 섀시(13)는 이너 플레이트(12)보다도 높은 강성을 가지며, 이너 플레이트(12)의 휨 또는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갖는다. 백 섀시(13)는, 예를 들어 이너 플레이트(12)의 개구(예를 들어, 가진기용 개구나, 공기 구멍(14A))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를 가지고 있다. 백 섀시(13)에 형성된 개구 중, 가진기용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는, 가진기(21a, 21b, 21c)를 삽입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백 섀시(13)에 형성된 개구 중, 공기 구멍(14A)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는, 가진기(21a, 21b, 21c)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11)을 진동시켰을 때에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공기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백 섀시(13)에, 공기 구멍으로서 기능하도록 개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백 섀시(13)에 있어서, 이너 플레이트(12)의 공기 구멍(14A)과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개소에, 공기 구멍으로서 기능하도록 개구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도, 이너 플레이트(12)와, 백 섀시(13) 사이에 공극이 존재할 때에는, 그 공극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12)의 공기 구멍(14A)의 기능이 유지된다. 백 섀시(13)는, 예를 들어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백 섀시(13) 대신에 백 섀시(13)와 동등한 강성을 가지는 금속 기판 또는 수지 기판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가진부(20)는, 예를 들어 세 가진기(21a, 21b, 21c)를 가지고 있다. 가진기(21a, 21b, 21c)는, 서로 공통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진기(21a)는 표시 셀(1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1b)는, 표시 셀(1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1c)는 표시 셀(1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1a, 21b, 21c)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1a, 21b, 21c)는, 예를 들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앙보다도 약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1a, 21b, 21c)는, 각각,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과, 보이스 코일을 감는 보빈과, 자기 회로를 가지고, 진동원으로 되는 스피커용 액추에이터이다. 가진기(21a, 21b, 21c)는, 각각, 보이스 코일에 전기 신호의 음성 전류가 흐르면, 전자 작용의 원리를 따라서 보이스 코일에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구동력이 후술하는 진동 전달 부재(24)를 통하여 표시 셀(11)에 전달되어, 표시 셀(11)에 음성 전류의 변화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켜, 공기가 진동되어 음압이 변화된다.
가진부(20)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가진기(21a, 21b, 21c)별로, 고정부(23) 및 진동 전달 부재(24)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23)는, 예를 들어 가진기(21a, 21b, 21c)를 삽입 관통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개구(23a)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23)는, 추가로, 예를 들어 고정부(23)를 볼록부(12A)에 고정할 때에 사용하는 나사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23b)을 가지고 있다. 각 가진기(21a, 21b, 21c)는, 예를 들어 고정부(23)를 개재하여, 이너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23)는, 예를 들어 가진기(21a, 21b, 21c)를 이너 플레이트(12)에 고정시키는 것 외에, 가진기(21a, 21b, 21c)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산시키는 히트 싱크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
도 6은, 진동 전달 부재(24)의, 표시 셀(11)에 접하는 개소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진동 전달 부재(24)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이면과, 가진기(21a, 21b, 21c)의 보빈에 접해 있으며, 표시 셀(11)의 이면과, 가진기(21a, 21b, 21c)의 보빈에 고정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4)는 적어도,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는 반발하는 특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4)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에 접하는 면 내에 있어서, 경도가 서로 다른 두 층(중앙층(24a), 주위층(24b))을 가지고 있다. 중앙층(24a)은 진동 전달 부재(24)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중앙층(24a)은 주위층(24b)보다도 낮은 경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층(24a)은, 예를 들어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주위층(24b)은 중앙층(24a)의 주연에 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주위층(24b)은 중앙층(24a)보다도 높은 경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주위층(24b)은 중앙층(24a)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원환 형상, 타원환 형상 또는, 다각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양면 테이프에서는, 양면 테이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양면 테이프의 유연함에 따라서 가진기(21a, 21b, 21c)의 진동이 흡수되기 쉬워지고 또한 표시 셀(11)에 전해지는 진동과, 가진기(21a, 21b, 21c)의 진동의 위상이 어긋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양면 테이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음질이 열화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그 관점에서는, 양면 테이프의 두께는 얇을수록 좋아진다. 그러나, 양면 테이프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양면 테이프의 두께를 얇게 했을 경우에는, 가진기(21a, 21b, 21c)가 진동했을 때에, 진동 전달 부재(24)가 표시 셀(11)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접착력을 주위층(24b)이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주위층(24b)이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위층(24b)은 진동 전달 부재(24)가 표시 셀(11)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접착력을 갖고 있다.
주위층(24b)이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인 경우, 주위층(24b)은,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보이스 코일에 열을 발생시켜, 그 열로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등것에 의해 형성된다. 중앙층(24a)이 양면 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중앙층(24a)은,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에 일정한 펄스 신호를 입력하여, 양면 테이프를 보이스 코일로 강하게 가압하거나 함으로써, 표시 셀(11)의 이면과, 가진기(21a, 21b, 21c)의 보빈에 고정된다.
패널부(1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셀(11)과 이너 플레이트(12) 사이에 제진 부재(16)를 가지고 있다. 제진 부재(16)는 각 가진기(21a, 21b, 21c)에 의해 표시 셀(11)에 발생되는 진동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갖는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가진기(21a, 21b, 21c)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한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의 반사를 제어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가진기(21a, 21b, 21c)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또는 잔향을 흡수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진 부재(16)는 표시 셀(11)과 이너 플레이트(12)의 간극, 즉, 공극(15) 안에 배치되어 있다. 제진 부재(16)는 표시 셀(11)의 이면 및 이너 플레이트(12)의 표면 중 적어도에 표시 셀(11)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이너 플레이트(12)의 표면에 접하고 있다.
도 7은, 제진 부재(16)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접착층(161)(또는 점착층(166)), 스펀지층(162), 기재층(163), 스펀지층(164) 및 접착층(165)(또는 점착층(167))이 표시 셀(11)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로 되어 있다. 접착층(161)은 표시 셀(11)의 이면에 접하고 있으며, 제진 부재(16)를 표시 셀(11)의 이면에 고정시키고 있다. 스펀지층(162, 164)은, 상술한 작용을 초래하는 층이다. 스펀지층(162, 164)은, 예를 들어 자립성이 부족한 유연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진 부재(16)는 자립성이 부족한 유연 부재로서 스펀지를 가지고, 추가로, 그 스펀지를 표시 셀(11)의 이면에 고정시키는 점착층(166) 또는 접착층(161)을 가지고 있다.
스펀지층(162, 164)의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스펀지층(162, 164)에서의 음파의 반사가 강해지므로, 정재파의 면내 분포가 편평하게 되지는 않지만, 음압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스펀지층(162, 164)의 경도가 낮은 경우에는, 스펀지층(162, 164)에서의 음파의 반사가 약해지므로, 정재파의 면내 분포가 편평에 가깝게 되지만, 음압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제진 부재(16)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표시 셀(11)의 이면에 있어서, 가진기(21a)와 대향하는 위치를 가진점(17a)이라고 하고, 가진기(21b)와 대향하는 위치를 가진점(17b)이라고 하고, 가진기(21c)와 대향하는 위치를 가진점(17c)이라고 하자. 이때, 제진 부재(16)는 표시 셀(11)의 이면을, 가진점(17a)을 포함하는 구획 영역(15a)와, 가진점(17b)을 포함하는 구획 영역(15b)과, 가진점(17c)을 포함하는 구획 영역(15c)으로 구획된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15a, 15b, 15c)을 형성하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구획 영역(15a, 15b, 15c)별로 분리하여 형성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구획 영역(15a, 15b, 15c)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구획 영역을 형성하는 부재와는 분리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15a)을 형성하는 부재가, 구획 영역(15b, 15c)을 형성하는 부재와는 분리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도 8,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이 사각 형상의 공간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1)가 두 트위터(고음역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트위터와 대향하는 가진점(17d)을 포함하는 작은 구획 영역(15d)이 구획 영역(15a, 15c)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각 구획 영역(15d)은 각 구획 영역(15a, 15b, 15c)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진점(17a, 17b, 17c)(또는 가진기(21a, 21b, 21c))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6A)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진 부재(16) 중, 구획 영역(15a)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가진점(17a)(또는 가진기(21a))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진 부재(16) 중, 구획 영역(15b)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가진점(17b)(또는 가진기(21b))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진 부재(16) 중, 구획 영역(15c)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가진점(17c)(또는 가진기(21c))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6A)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 셀(11)에 정재파가 발생된 경우, 그 정재파의 영향에 의해, 소리에 잡음이 발생되거나, 특정한 주파수대의 소리가 나기 어려워지거나 하는 등, 음성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셀(11)의 정재파를 억제하는 것이 음성 품질이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진 부재(16)에 복수의 볼록부(16A)가 마련되어 있을 경우, 제진 부재(16)에는, 가진점(17a, 17b, 17c)(또는 가진기(21a, 21b, 21c))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하, 「외측 돌출부」라고 칭함)이 형성되게 된다. 이 외측 돌출부는, 예를 들어 조종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끝이 좁아지는 수렴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외측 돌출부에 소리의 파가 진행된 경우, 소리의 파가 외측 돌출부에서 반복해 반사되어, 소리의 파의 진동 에너지가 감쇠된다. 그 결과, 정재파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정재파의 억제 관점에서는, 제진 부재(16)에는, 다수의 볼록부(16A)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진점(17a, 17b, 17c)(또는 가진기(21a, 21b, 21c))이 구획 영역(15a, 15b, 15c)의 중심으로부터 빗나간 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정재파의 억제의 관점에서는, 가진점(17a, 17b, 17c)(또는 가진기(21a, 21b, 21c))이 구획 영역(15a, 15b, 15c)의 중심으로부터 빗나간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 영역(15a, 15b, 15c)의 중심」이란, 구획 영역(15a, 15b, 15c)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모 형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의, 상하 좌우의 중심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 「구획 영역(15a, 15b, 15c)의 중심」이란, 구획 영역(15a, 15b, 15c)이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볼록부(16A)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의, 상하 최단 거리의 중심선과, 좌우 최단 거리의 중심선의 교점을 가리키고 있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셀(11)의 이면에 있어서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이 폐쇄 영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이면에 있어서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이 서로 연통됨과 함께 구획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도 8, 도 10,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옆의 구획 영역(15a, 15b)의 크기가 중앙의 구획 영역(15c)의 크기보다도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 좌우 양옆의 구획 영역(15a, 15b)의 크기가 중앙의 구획 영역(15c)의 크기보다도 작게 되어 있을 경우에는, 가진기(21c)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1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저음역이 나오기 쉬워지고, 고음역이 나오기 어려워진다. 추가로, 가진기(21a, 21b)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11)의 좌우 양옆의 부분으로부터, 고음역이 나오기 쉬워지고, 저음역이 나오기 어려워진다.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옆의 구획 영역(15a, 15b)의 크기가 중앙의 구획 영역(15b)의 크기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도 된다. 좌우 양옆의 구획 영역(15a, 15b)의 크기가 중앙의 구획 영역(15c)의 크기보다도 크게 되어 있을 경우에는, 가진기(21c)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1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고음역이 나오기 쉬워지고, 저음역이 나오기 어려워진다. 추가로, 가진기(21a, 21b)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11)의 좌우 양옆의 부분으로부터, 저음역이 나오기 쉬워지고, 고음역이 나오기 어려워진다.
패널부(10)는, 추가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플레이트(12)와 백 섀시(13)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을 가지고 있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이너 플레이트(12)와 백 섀시(13)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층이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가진기(21a, 21b)에 의해 표시 셀(11)에 발생되는 진동끼리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갖는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추가로, 서로 인접하는 두 가진기(21b, 21c)에 의해 표시 셀(11)에 발생되는 진동끼리가 서로 간섭하는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갖는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예를 들어 가진기(21a, 21b, 21c)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한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의 반사를 제어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예를 들어 가진기(21a, 21b, 21c)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또는 잔향을 흡수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3, 도 14는,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이너 플레이트(12)의 이면을, 구획 영역(15a)과 대향하는 구획 영역(18a(19a)), 구획 영역(15b)과 대향하는 구획 영역(18b(19b))과, 구획 영역(15c)와 대향하는 구획 영역(18c(19c))으로 구획된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예를 들어 구획 영역(18a(19a), 18b(19b), 18c(19c))을 형성하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예를 들어 구획 영역(18a(19a), 18b(19b), 18c(19c))별로 분리하여 형성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예를 들어 구획 영역(18a(19a), 18b(19b), 18c(19c))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구획 영역을 형성하는 부재와는 분리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18a(19a))을 형성하는 부재가, 구획 영역(18b(19b), 18c(19c))을 형성하는 부재와는 분리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예를 들어 각 구획 영역(18a(19a), 18b(19b), 18c(19c))이 사각 형상의 공간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진점(17a, 17b, 17c)(또는 가진기(21a, 21b, 21c))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8A(19A))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 중, 구획 영역(18a(19a))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가진점(17a)(가진기(21a))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8A(19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 중, 구획 영역(18b(19b))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가진점(17b)(가진기(21b))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8A(19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 중, 구획 영역(18c(19c))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가진점(17c)(가진기(21c))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8A(19A))가 마련되어 있다. 정재파의 억제 관점에서는,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다수의 볼록부(18A(19A))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셀(11)에 발생되는 정재파의 영향에 의해, 소리에 잡음이 발생되거나, 특정한 주파수대의 소리가 나기 어려워지거나 하는 등, 음성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셀(11)의 정재파를 억제하는 것이 음성 품질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에는, 복수의 볼록부(18A(19A))의 형성에 의해, 가진점(17a, 17b, 17c)(가진기(21a, 21b, 21c))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하, 「외측 돌출부」라고 칭함)이 형성되게 된다. 이 외측 돌출부는, 예를 들어 조종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끝이 좁아지는 수렴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정재파의 억제의 관점에서는, 이 외측 돌출부는, 끝이 좁아지는 수렴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정재파의 억제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진 부재(16)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진 부재(16)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볼록부(16A)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볼록부(18A(19A))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제진 부재(16)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효과]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의 박형 경량화가 급격한 신장을 이루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스피커에 대해서도 박형 경량화가 진행되어, 콘형 스피커 대신, 플랫 패널 스피커(FPS)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추가로, 플랫 패널 스피커에 있어서의 진동판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플랫 패널 스피커의 분야에서는, 음질의 한층 더한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에서는, 공극(15)을 사이에 두고 표시 셀(11)과 대향 배치된 이너 플레이트(12)에는,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11)을 진동시켰을 때에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가 진동했을 때에, 그 진동에 응답하여, 공극(15)의 공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을 통하여 공극(15)으로 유입되거나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너 플레이트(12)에 공기 구멍(14A)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이 억제된다. 그 결과, 표시 셀(11)의 진동판으로서의 진동이,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역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가 표시 셀(1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 중 제1 단변(예를 들어 상단변)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이 한 쌍의 단변 중 제1 단변과는 다른 제2 단변(예를 들어 하단변)과,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셀(11)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이 마련된 개소가 진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유저는, 표시 셀(11)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이 마련된 개소로부터, 소리가 출력되고 있듯이 느낀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4A)에 의해, 소리가 출력되고 있다고 유저가 느끼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가진기(21a, 21b, 21c)의 위치의 제약에 의존하지 않는, 원하는 음상을 형성할 수 있다.
<2. 변형예>
이어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A]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에 있어서, 패널부(10)는,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15a, 15b, 15c)별로 복수개씩, 가진기(21)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패널부(10)는, 예를 들어 구획 영역(15a)에 복수개(예를 들어 2개)의 가진기(21a)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에 있어서, 패널부(10)는 구획 영역(15b)에 복수개(예를 들어 2개)의 가진기(21b)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에 있어서, 패널부(10)는 구획 영역(15c)에 복수개(예를 들어 2개)의 가진기(21c)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때, 복수개의 가진기(21)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가진점(17)은, 예를 들어 도 16, 도 17,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가진점(17)은,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가진점(17)은,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개의 가진점(17)은,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됨과 함께, 구획 영역(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개의 가진점(17)이 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가진점(17)의 배열 방향(표시 셀(11)의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소리가 확산되기 쉬워진다. 또한, 복수개의 가진점(17)이 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가진점(17)의 배열 방향(표시 셀(11)의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소리가 확산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가진기(21)(또는 복수개의 가진점(17))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크게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변형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가진기(21)(또는 복수개의 가진점(17))가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상단변 근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가진기(21)(또는 복수개의 가진점(17))가 제진 부재(16) 중, 표시 셀(11)의 상단변 근처의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가진점(17)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는, 표시 셀(11)의 상측으로 확산되지 않고, 표시 셀(11)의 하측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가진기(21)(또는 복수개의 가진점(17))이 제진 부재(16) 중, 표시 셀(11)의 상단변 근처의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유저는, 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에서 소리가 울리고 있는 듯이 느낄 수 있다.
[변형예 B]
상기 변형예 A에 따른 표시 장치(1)에 있어서, 패널부(10)는,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셀(11)과, 진동 전달 부재(24) 사이에, 소리 확산 조정층(25)(소리 확산량 조정 부재)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표시 셀(11)의 이면 중, 각 가진점(17)을 포함하는 영역을 덮고 있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표시 셀(11)에 소리 확산 조정층(25)을 접합함으로써, 표시 셀(11) 중 각 가진점(17)을 포함하는 부분의 강성을 국소적으로 높이기 위한 것이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표시 셀(11) 중 각 가진점(17)을 포함하는 부분의 강성을 국소적으로 높임으로써, 표시 셀(11)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확산을 제어한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시트형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표시 셀(11)과 시트형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을 서로 접착 또는 점착하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시트형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표시 셀(11)과 시트형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을 서로 접착 또는 점착하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5mm 정도로 되어 있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형상은, 띠형 형상(직사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단의 치수차가 있는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어 타원 형상이나 마름모형 등이어도 된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형상이, 직사각 형상이나 마름모형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 각이 뾰족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개의 가진점(17(17a, 17b, 17c))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가진점(17(17a, 17b, 17c))의 배열 방향(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각 가진기(21a, 21b, 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가진점(17(17a, 17b, 17c))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가진점(17(17a, 17b, 17c))의 배열 방향(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각 가진기(21a, 21b, 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복수개의 가진점(17(17a, 17b, 17c))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가진점(17(17a, 17b, 17c))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각 가진기(21a, 21b, 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복수개의 가진점(17(17a, 17b, 17c))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가진점(17(17a, 17b, 17c))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각 가진기(21a, 21b, 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복수개의 가진점(17(17a, 17b, 17c))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 영역(15a), 15b에 있어서, 가진점(17)의 배열 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획 영역(15a)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상단변 중앙 부근으로부터, 표시 셀(11)의 하단변 좌측 단부 부근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구획 영역(15a)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가진기(21a)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획 영역(15b)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상단변 중앙 부근으로부터, 표시 셀(11)의 하단변 우측 단부 부근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구획 영역(15b)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가진기(21b)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획 영역(15c)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가진점(17(17a, 17b, 17c))의 배열 방향(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구획 영역(15c)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가진기(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복수개의 가진점(17(17a, 17b))이 각 구획 영역(15a, 15b)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추가로, 복수개의 가진점(17(17c))이 구획 영역(15c)에 있어서, 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구획 영역(15a, 15b)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진점(17(17a, 17b))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구획 영역(15a, 15b)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가진기(21a, 21b)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획 영역(15c)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진점(17(17c))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표시 셀(1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구획 영역(15c)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가진기(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연장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소리의 확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을 설치함으로써,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연장 방향으로 소리의 확산이 커진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연장 방향과, 각 가진기(21a, 21b, 21c)의 배열 방향을 직교시켰을 경우에는,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연장 방향으로의 소리의 확산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소리 확산 조정층(25)에 의한 소리의 확산 방향과, 각 가진기(21a, 21b, 21c)의 배열 방향을 일치시킨 경우에는, 소리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크게 확산시킬 수 있다.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연장 방향과, 각 가진기(21a, 21b, 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을 일치시킨 경우에는, 그 방향으로의 소리의 확산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연장 방향과, 각 가진기(21a, 21b, 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을 교차(직교)시킨 경우에는, 소리를 확산시키는 각도 범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소리 확산 조정층(25)의 연장 방향, 각 가진기(21a, 21b, 21c)의 배열 방향 및 각 가진기(21a, 21b, 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음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C]
상기 변형예 B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30)는 복수개의 가진기(21(21a, 21b, 21c))를 구획 영역(15a, 15b, 15c)별로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신호 처리부(30)는, 예를 들어 구획 영역(15a)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진기(21a)에 대하여 공통의 음성 신호(예를 들어, L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30)는, 예를 들어 구획 영역(15b)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진기(21b)에 대하여 공통의 음성 신호(예를 들어, R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30)는, 예를 들어 구획 영역(15c)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진기(21c)에 대하여 공통의 음성 신호(예를 들어, C 신호)를 출력한다.
[변형예 D]
상기 변형예 C에 있어서, 각 소리 확산 조정층(25)은 정사각 형상으로 되어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복수의 가진기(21(21a, 21b, 21c))는 소리 확산 조정층(25)과 대향하는 영역 내에 있어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구획 영역(15a)에 있어서, 복수의 가진기(21a)는,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 확산 조정층(25)과 대향하는 영역 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소리 확산 조정층(25)을 생략한 경우에 비하여, 음상을 왼쪽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구획 영역(15b)에 있어서, 복수의 가진기(21b)는,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 확산 조정층(25)과 대향하는 영역 내에 있어서 좌측 하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소리 확산 조정층(25)을 생략한 경우에 비하여, 음상을 우측 상단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구획 영역(15c)에 있어서, 복수의 가진기(21c)는,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 확산 조정층(25)과 대향하는 영역 내에 있어서 위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소리 확산 조정층(25)을 생략한 경우에 비하여, 음상을 아래로 확산시킬 수 있다.
[변형예 E]
상기 변형예 C에 있어서,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복수의 구획 영역(115)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구획 영역(115(15a, 15b, 15c))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소리 확산 조정층(25)을 구획 영역(15) 별로 따로따로 마련한 경우에 비하여, 구획 영역(115) 별로 발생된 음상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
[변형예 F]
상기 변형예 C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30)는 각 구획 영역(115)에 있어서, 복수개의 가진기(21)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의 그룹별로 제어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 구획 영역(115)에 있어서, 각 그룹 공통의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신호 처리부(30)는,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15a)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진기(21a)를 두 그룹(g1, g2)으로 나누었을 때의 그룹별로, 공통의 음성 신호를 출력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구획 영역(15a)에 있어서, 두 그룹(g1, g2)에 공통인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그룹(g1)과 그룹(g2)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30)는,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15b)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진기(21b)를 두 그룹(g3, g4)으로 나누었을 때의 그룹별로, 공통의 음성 신호를 출력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구획 영역(15b)에 있어서, 두 그룹(g3, g4)에 공통인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그룹(g3)과 그룹(g4)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30)는,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15c)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진기(21c)를 두 그룹(g5, g6)으로 나누었을 때의 그룹별로, 공통의 음성 신호를 출력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구획 영역(15c)에 있어서, 두 그룹(g5, g6)에 공통인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그룹(g5)와 그룹(g6)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각 구획 영역(115)에 있어서, 소리 분리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각 그룹(g1 내지 g6)에 있어서, 가진기(21)가,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구획 영역(115)에 있어서, 복수의 그룹이, 예를 들어 도 28,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도 30,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그룹이,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예를 들어 도 28,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각 구획 영역(115)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소리 분리를 개선할 수 있다. 복수의 그룹이,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예를 들어 도 30,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각 구획 영역(115)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소리 분리를 개선할 수 있다.
[변형예 G]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 A 내지 F에 있어서, 제진 부재(16)는,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빠져 나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6H)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6H)은, 공기 구멍(10C) 대신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공기 구멍(10C)과 함께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가 진동했을 때에, 그 진동에 응답하여, 공극(15)의 공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6H)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6H)을 통하여 공극(15)으로 유입되거나 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제진 부재(16)에 공기 구멍(16H)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이 억제된다. 그 결과, 표시 셀(11)의 진동판으로서의 진동이,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역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H]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 A 내지 G에 있어서, 표시 셀(11)이,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표시 셀(11A)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셀(11)은 서로 인접하는 두 표시 셀(11A) 사이에, 공기가 빠져 나가는 간극(11B)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때, 간극(11B)은, 공기 구멍(10C)이나 공기 구멍(16H) 대신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공기 구멍(10C)이나 공기 구멍(16H)과 함께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가 진동했을 때에, 그 진동에 응답하여, 공극(15)의 공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간극(11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간극(11B)을 통하여 공극(15)으로 유입되거나 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표시 셀(11)에 간극(11B)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이 억제된다. 그 결과, 표시 셀(11)의 진동판으로서의 진동이,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역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I]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 A 내지 G에 있어서, 표시 셀(11)이,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1C)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때, 공기 구멍(11C)은, 공기 구멍(10C)이나 공기 구멍(16H) 대신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공기 구멍(10C)이나 공기 구멍(16H)과 함께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가 진동했을 때에, 그 진동에 응답하여, 공극(15)의 공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1C)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1C)을 통하여 공극(15)으로 유입되거나 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표시 셀(11)에 공기 구멍(11C)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이 억제된다. 그 결과, 표시 셀(11)의 진동판으로서의 진동이, 공극(15)으로 발생되는 공기압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역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J]
상기 변형예 B 내지 I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 확산 조정층(25) 대신에 표시 셀(11)의 이면 중, 소리 확산 조정층(25)이 마련되어 있는 개소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한 소리 확산 조정부(26)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소리 확산 조정부(26)는 표시 셀(11) 중, 표시 셀(11)의 이면에 있어서 이너 플레이트(12)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가리키고 있다. 소리 확산 조정부(26)는 소리 확산 조정층(25)과 마찬가지로, 표시 셀(11) 중 각 가진점(17)을 포함하는 부분의 강성을 국소적으로 높이기 위한 것이다. 소리 확산 조정부(26)는 표시 셀(11) 중 각 가진점(17)을 포함하는 부분의 강성을 국소적으로 높임으로써, 표시 셀(11)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확산을 제어한다.
소리 확산 조정부(26)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이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 셀(11)의 이면이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소리 확산 조정부(26)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이면과 동일한 재료(즉 금속)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표시 셀(11)의 이면 및 소리 확산 조정부(26)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셀(11)의 이면이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소리 확산 조정부(26)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이면과 동일한 재료(즉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소리 확산 조정부(26)는, 예를 들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소리 확산 조정부(26)는, 예를 들어 각 구획 영역(15a, 15b, 15c)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소리 확산 조정부(26)의 형상은, 띠형 형상(직사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단의 치수차가 있는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어 타원 형상이나 마름모형 등이어도 된다. 소리 확산 조정부(26)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나 마름모형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 각이 뾰족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소리 확산 조정층(25)과 마찬가지로, 소리 확산 조정부(26)의 연장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소리의 확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소리 확산 조정부(26)를 마련함으로써, 소리 확산 조정부(26)의 연장 방향으로 소리의 확산이 커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소리 확산 조정부(26)의 연장 방향, 각 가진기(21a, 21b, 21c)의 배열 방향 및 각 가진기(21a, 21b, 21c)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의 설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음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K]
상기 변형예 C 내지 J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10C)이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도, 본 변형예에서는, 소리 확산 조정층(25) 또는 소리 확산 조정부(26)의 연장 방향 및 각 가진기(21a, 21b, 21c)의 배열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음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L]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 A 내지 K에 있어서, 패널부(10)는, 예를 들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구멍(14A), 공기 구멍(14C), 공기 구멍(16H), 간극(11B) 및 공기 구멍(11C) 중 적어도 하나를 막는 가요성의 밀봉막(10D)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밀봉막(10D)은, 복수의 가진기(21a, 21b, 21c)가 진동했을 때에, 그 진동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공극(15)의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공극(15)의 공기압 변동에 응답해서 변위되는 얇은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공기 구멍(14A), 공기 구멍(14C), 공기 구멍(16H), 간극(11B) 및 공기 구멍(11C)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이 억제된다. 그 결과, 표시 셀(11)의 진동판으로서의 진동이, 공극(15)에 발생되는 공기압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역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밀봉막(10D)에 의해 외부로부터 티끌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M]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 A 내지 K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37,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 및 회동부(50)가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이 경우에는,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벽 등에 마련된 훅에 걸기 위한 오목부(32)가 리어 커버(10R)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블톱 스탠드에,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두는 경우에는, 상술한 오목부(32)가 없어도 상관없다.
이상,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본 개시의 효과는,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가,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이외의 효과를 가져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 표시 셀과,
상기 표시 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가진기와,
공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셀과 대향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진기를 지지하는 대향 플레이트와,
상기 표시 셀과 상기 복수의 가진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진기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확산을 제어하는 소리 확산 조정 부재
를 구비한
표시 장치.
(2)
상기 복수의 가진기는, 상기 표시 셀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가진기의 배열 방향, 상기 복수의 가진기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상기 복수의 가진기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정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진기는,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와 대향하는 영역 내에 있어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복수의 가진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의 그룹별로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각 상기 그룹에 공통으로 마련되어 있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대향 플레이트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진기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을 진동시켰을 때에 공극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공기 구멍을 가지고,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각 상기 가진기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제1 공기 구멍의 설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 직교하는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표시 셀과 상기 대향 플레이트를 서로 고정함과 함께, 상기 표시 셀과 상기 대향 플레이트 사이의 공극을 유지하는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진기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을 진동시켰을 때에 공극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공기 구멍을 갖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표시 셀은, 하나 또는 복수의 가진기의 진동에 의해 상기 표시 셀을 진동시켰을 때에 상기 표시 셀과 상기 대향 플레이트의 공극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간극 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3 공기 구멍을 갖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셀과 복수의 가진기 사이에, 복수의 가진기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확산을 제어하는 소리 확산 조정층을 설치하였으므로, 소리의 확산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효과는, 여기에 기재된 효과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이어도 된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있어서 2017년 1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7-254118호 및 2018년 8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8-161266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당업자라면 설계상의 요건이나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수정, 콤비네이션, 서브 콤비네이션 및 변경을 상도할 수 있지만, 그것들은 첨부의 청구범위나 그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8)

  1.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 표시 셀과,
    상기 표시 셀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가진기와,
    공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셀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가진기를 지지하는 대향 플레이트와,
    상기 표시 셀과 상기 복수의 가진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가진기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확산을 제어하는 소리 확산 조정 부재
    를 구비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진기는, 상기 표시 셀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가진기의 배열 방향, 상기 복수의 가진기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상기 복수의 가진기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정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진기는,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와 대향하는 영역 내에 있어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진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의 그룹별로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각 상기 그룹에 공통으로 마련되어 있는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플레이트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진기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을 진동시켰을 때에 공극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을 가지고,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각 상기 가진기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공기 구멍의 설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 직교하는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셀과 상기 대향 플레이트를 서로 고정함과 함께, 상기 표시 셀과 상기 대향 플레이트 사이의 공극을 유지하는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진기의 진동에 의해 표시 셀을 진동시켰을 때에 공극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셀은, 하나 또는 복수의 가진기의 진동에 의해 상기 표시 셀을 진동시켰을 때에 상기 표시 셀과 상기 대향 플레이트의 공극에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간극 혹은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구멍을 갖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확산 조정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207015023A 2017-12-28 2018-12-06 표시 장치 KR20200100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4118 2017-12-28
JP2017254118 2017-12-28
JPJP-P-2018-161266 2018-08-30
JP2018161266 2018-08-30
PCT/JP2018/044875 WO2019131041A1 (ja) 2017-12-28 2018-12-06 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623A true KR20200100623A (ko) 2020-08-26

Family

ID=6706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023A KR20200100623A (ko) 2017-12-28 2018-12-0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6425B2 (ko)
EP (1) EP3734996B1 (ko)
JP (1) JP7322712B2 (ko)
KR (1) KR20200100623A (ko)
CN (1) CN111492670B (ko)
WO (1) WO2019131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6946B (en) * 2018-02-13 2023-08-16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0913319B (zh) 2018-09-18 2021-10-01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US11200021B2 (en) * 2018-11-23 2021-12-14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utomotive apparatus
JPWO2020137978A1 (ja) * 2018-12-27 2021-11-11 Agc株式会社 振動装置
CN114879398A (zh) * 2018-12-31 2022-08-09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JP7446842B2 (ja) 2020-02-10 2024-03-11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電子装置
KR20220002008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220182744A1 (en) * 2020-12-09 2022-06-09 Lg Display Co., Ltd.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0182A (ja) 1998-01-20 2002-04-02 ニュー トランスデューサーズ リミテッド パネル部材を備えた能動音響機器
JP2007143010A (ja) 2005-11-22 2007-06-07 Sony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9159104A (ja)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表示装置設置用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5770B1 (en) * 1995-09-02 2001-09-04 New Transducers Limited Noticeboards incorporating loudspeakers
KR100443204B1 (ko) * 1995-09-02 2004-10-26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관성진동트랜스듀서
US20010040976A1 (en) 1999-12-02 2001-11-15 Andreas Buos Panel-form loudspeakers with hidden exciters
CN1788525A (zh) * 2003-05-12 2006-06-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声学板的扬声器单元
US20040240687A1 (en) * 2003-05-30 2004-12-02 Graetz Michael L. Flat panel speaker
GB0405475D0 (en) * 2004-03-11 2004-04-21 New Transducers Ltd Loudspeakers
JP2006197047A (ja) * 2005-01-12 2006-07-27 Nec Corp 携帯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警告画面表示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7565949B2 (en) * 2005-09-27 2009-07-28 Casio Computer Co., Ltd. Flat panel display module having speaker function
DE102008011302A1 (de) * 2008-02-27 2009-09-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Flächenlautsprecher
JP4655243B2 (ja) * 2008-09-09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駆動方法
EP2673944B1 (en) * 2011-03-21 2017-11-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JP5968061B2 (ja) * 2012-05-01 2016-08-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788121B2 (en) 2013-05-08 2017-10-10 Goertek Inc. Flat plate-type bass loudspeaker
KR102229137B1 (ko)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4183200A (zh) * 2014-07-31 2014-12-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五研究所 提高液晶屏抗振和耐冲击性能的方法及产品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US10142738B2 (en) * 2016-03-28 2018-11-27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JP2017194223A (ja) * 2016-04-20 2017-10-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装置
JP6942499B2 (ja) 2017-03-24 2021-09-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KR102433745B1 (ko) * 2017-11-13 2022-08-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0182A (ja) 1998-01-20 2002-04-02 ニュー トランスデューサーズ リミテッド パネル部材を備えた能動音響機器
JP2007143010A (ja) 2005-11-22 2007-06-07 Sony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9159104A (ja)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表示装置設置用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16425B2 (en) 2022-11-29
WO2019131041A1 (ja) 2019-07-04
EP3734996A4 (en) 2021-02-17
CN111492670B (zh) 2022-06-03
US20210014449A1 (en) 2021-01-14
JPWO2019131041A1 (ja) 2021-01-14
CN111492670A (zh) 2020-08-04
EP3734996A1 (en) 2020-11-04
EP3734996B1 (en) 2023-06-28
JP7322712B2 (ja)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1737B2 (ja)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および表示装置
KR20200100623A (ko) 표시 장치
JP6563248B2 (ja) 表示装置
CN111383563A (zh) 显示装置
KR20070084055A (ko) 패널 음향 트랜듀서, 및 투명 패널 음향 트랜듀서를 포함한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2435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magnetic actuator
WO2014024528A1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7103765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及び電気音響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2011029800A (ja) スピーカー装置およびスピーカー装置形成方法
JP7205495B2 (ja) 表示装置および信号生成装置
JP4830933B2 (ja) 静電型スピーカ
JP5909169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034182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229322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JP3168484U (ja) 圧電型平面スピーカー構造
JP2004180256A (ja) スピーカ
TW201220856A (en) A suspension of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and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using the same
JP2012217018A (ja) 発振装置及び電子機器
JPH11346399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