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224A -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224A
KR20200100224A KR1020190017685A KR20190017685A KR20200100224A KR 20200100224 A KR20200100224 A KR 20200100224A KR 1020190017685 A KR1020190017685 A KR 1020190017685A KR 20190017685 A KR20190017685 A KR 20190017685A KR 20200100224 A KR20200100224 A KR 20200100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ormwork
bracket
corner bracket
slab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942B1 (ko
Inventor
김귀환
임남기
백희정
Original Assignee
백희정
주식회사 일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희정, 주식회사 일로시스템 filed Critical 백희정
Priority to KR102019001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9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의 전길이에 걸쳐 벽 패널 상단에 장착되는 소피트 랭스(1000)와, 상기 소피트 랭스(10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코너 브라켓(1300)과, 상기 코너 브라켓(1300)과 힌지핀을 통해 결합되어 슬라브 빔(2000)의 단부를 지지하는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빔 고정용 브라켓에 작용하는 슬라브 빔의 대부분의 하중이 힌지핀이 아닌 소피트 랭스에 작용함으로써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에 힌지핀의 돌출 단부에 대한 단순한 타격만으로도 힌지핀의 탈거되어 빔 고정용 브라켓이 일거에 분리되어 슬라브 거푸집의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BEAM OF FORM}
본 발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거푸집을 이용한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과정을 거쳐 거푸집 해체에 이르는 슬라브 시공에서 벽체 거푸집 패널 상단의 소피트 랭스(sofit length)에 결합되어 슬라브 빔의 단부를 지지하는 빔 고정용 브라켓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다층(多層) 구조의 콘트리트 건축물 시공시에는 벽체 및 슬라브 구축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해체하고 거푸집 자재를 상부층으로 인양하여 설치, 콘크리트 타설 및 해체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건축용 거푸집은 주로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는바, 벽체 거푸집은 시공될 벽체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하 길이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단위 벽패널을 해당 벽체의 면적을 커버하도록 연속적으로 결합함에 의해 조립되며, 슬라브 거푸집은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서포터와 상기 벽체 거푸집의 상단에 지지되는 빔들 사이에 사각형의 단위 슬라브 패널들이 단일 평면상에 연속되게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 바닥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거푸집 내로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건축물에서는 바닥면과 천정 사이의 높이(층고)는 작업자의 키를 훨씬 넘기 때문에 슬라브 패널의 해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연결 조립된 판넬을 분리해서 해체하는 과정에서 분리된 슬라브 패널이 자중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져 내리게 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금속재로 이루어진 패널의 손상과 안전사고의 위험 불가피하게 됨은 물론 바닥면과의 충돌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의 발생으로 인해 공사장은 물론 그 주변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기존의 건축물 공사에서 적용되는 거푸집 시공 방식에서 제기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4512호에는 거푸집을 통한 벽체와 슬라브 형성용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이 완료된 후에 거푸집을 해체함에 있어서 슬라브 패널이 천정으로부터 바닥으로 곧바로 떨어지지 않고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할 필요가 없을 정도의 높이만큼 하강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슬라브 패널 지지용 빔 구조를 개선해서 작업자로 하여금 패널을 직접 바닥으로 들어 내릴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식의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특허의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은 기존의 거푸집에서 지적되어 왔던 제반 문제점이 일거에 해소되고 또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특별한 숙련도를 필요로 함이 없이도 손쉽고도 신속하게 패널의 손상이 최소화된 가운데 안정적인 해체작업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에 기인하여 관련 업계에서는 소위 "드롭 시공 공법"으로 명명된 가운데 친환경적인 거푸집 시공법으로서 아파트를 비롯한 고층 건축물의 건축시에 이를 이용한 시공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드롭 시공 공법'의 활성화 경향에 따라서 동 공법과 관련한 기술의 개발도 병행해서 이루어지고 있는바, 그러한 몇가지 예로서 특허등록 제10-1127008호에는 벽 패널 상단의 슬라브 코너 브라켓 상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슬라브 패널 지지빔이 타이로드를 따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슬라브 패널도 함께 하강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며, 특허등록 제10-1491074호에는 슬라브 패널이 지지되는 멍에를 슬라브 코너 브라켓으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슬라브 패널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가운데 서포터를 따라 하향 이동하도록 거푸집 해체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슬라브 패널을 포함한 슬라브 빔의 수평하강 방식의 드롭 시공 방법에서 슬라브 빔의 벽체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공개특허 제10-2018-0107396호에 개시되고 있는바, 상기 발명에서는 소피트 랭스의 저면과 상단 벽체 패널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통해서 코너 브라켓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브 빔 측으로 연장된 지지편에 의해서 슬라브 빔의 외측 단부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핀이 중공 사각 단면의 소피트 랭스 저면과 코너 브라켓 및 상단 벽체 패널을 수직 하향으로 관통하여 체결됨에 따라 사각 단면으로 둘로싸인 협소한 소피트 랭스 공간 내부에서의 상기 고정핀 체결 작업을 비롯한 슬라브 콘크리트의 시공 후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에 상기 고정핀을 분리해 내어 슬라브 빔과 슬라브 패널의 수직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해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 패널 상단의 소피트 랭스에 장착되어 슬라브 빔의 하중을 지지하는 빔 고정용 브라켓이 소피트 랭스의 사각 단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코너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소피트 랭스의 외부에서 수평방향의 힌지핀 삽입공을 통한 힌지핀의 체결 및 분리를 통해서 소피트 랭스와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축 및 해체 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빔 고정용 브라켓에 작용하는 슬라브 빔의 하중의 대부분이 힌지핀이 아닌 소피트 랭스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에 힌지핀의 돌출 단부에 대한 한 번의 타격만으로도 힌지핀이 탈거되어 소피트 랭스로부터 빔 고정용 브라켓이 일거에 분리되도록 한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벽체 거푸집 패널의 상단에 장착되는 소피트 랭스와 상기 소피트 랭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코너 브라켓과, 힌지핀을 통해 상기 코너 브라켓과 결합되어 슬라브 빔의 단부를 지지하는 빔 고정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소피트 랭스는 벽체 외측을 향한 일측 하부가 트여진 대략 중공 사각단면의 압출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너 브라켓은 상기 소피트 랭스와 형합하여 그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연결용 부재로서, 일측 하부로는 한 쌍의 핀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피트 랭스와 형합하여 삽입되는 일측 수직 외벽부는 걸림턱이 형성된 자유단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핀 삽입부와 걸림턱 사이에는 트임부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빔 고정용 브라켓은 상기 코너 브라켓의 핀 삽입부와 힌지핀의 공통 삽입을 위한 핀홀이 구비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수평방향 일외측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에 빔에 체결되는 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절곡편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반대편의 체결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상기 코너 브라켓의 걸림턱에 걸어물리도록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빔 고정용 브라켓은 체결부의 핀홀을 상기 코너 브라켓의 핀 삽입부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힌지핀을 공통삽입함에 의해 상기 후크가 코너 브라켓의 걸림턱에 맞물리게 되어 소피트 랭스 및 코너 브라켓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슬라브 빔의 하중을 지지하는 빔 고정용 브라켓이 코너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소피트 랭스의 외부에서 수평방향의 힌지핀 삽입공을 통한 힌지핀의 체결 및 분리를 통해서 소피트 랭스와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축 및 해체 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빔 고정용 브라켓에 작용하는 슬라브 빔의 대부분의 하중이 힌지핀이 아닌 소피트 랭스에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에 핀의 돌출 단부에 대한 단순한 타격만으로도 핀이 탈거되어 빔 고정용 브라켓이 분리되므로 슬라브 거푸집의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피트 랭스와 빔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빔 고정용 브라켓에 작용하는 하중과 그 지지상태를 보인 개념도.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과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비롯한 동 장치를 이용한 구체적인 슬라브 시공 방법은 아래의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자세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피트 랭스와 빔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 장치는, 벽체 거푸집 패널(도면 미도시)의 상단에 장착되는 소피트 랭스(1000)와 상기 소피트 랭스(10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코너 브라켓(1300)과, 상기 코너 브라켓(1300)과 힌지핀(P1)을 통해 결합되어 슬라브 빔(2000)의 단부를 지지하는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피트 랭스(1000)는 슬라브 빔(2000)과의 결합부측 일측 하부가 트여진 대략 중공 사각 단면 형태로서 벽 패널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며, 그 내부로 대략 동일한 외주 단면 형태를 지닌 코너 브라킷(13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코너 브래킷(1300)은 일측 하부로는 한 쌍의 핀 삽입부(1310)가 형성되고, 상기 소피트 랭스(1000)와 형합하여 삽입되는 일측 수직외벽부는 걸림턱(1320)이 형성된 자유단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핀 삽입부(1310)와 걸림턱(1320) 사이에는 트여진 공간을 이룬다.
한편, 소피트 랭스(10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코너 브라킷(1300)의 걸림턱(1320)은 소피트 랭스의 외측 수직벽부 자유단부상에 내향 돌출된 단턱부(1150)에 접촉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소피트 랭스(1000)와 빔(2000) 사이에는 코너 브래킷(1300)을 매개로 하여 이들 두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이 코너 브라켓(1300)에 결합된다.
상기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은 핀홀(1511)이 형성된 체결부(1510)와 상기 체결부의 수평방향 일외측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에 슬라브 빔(2000)에 체결되는 핀(P2)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절곡편(1521)을 포함하는 몸체부(1520)와 상기 체결부(15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상기 코너 브라켓(1300)의 걸림턱(1320)에 걸어물리도록 형성된 후크(15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은 체결부(1510)의 핀홀(1511)을 상기 코너 브라켓(1300)의 핀 삽입부(1310)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힌지핀(P1)을 수평으로 공통삽입함에 의해 상기 후크(1512)가 코너 브라켓(1500)의 걸림턱(1320)에 맞물리게 되어 소피트 랭스(1000) 및 코너 브라켓(1300)에 고정된다. 미설명 부호 3000는 슬라브 빔(2000)을 지면으로부터 떠받치는 서포터이고, F는 힌지핀(P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편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코너 브라켓(1300)과 슬라브 빔(2000) 사이의 결합은 도3에서와 같이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의 체결부(1510)에 형성된 핀홀(1511)과 코너 브라켓(1300)의 핀 삽입부(131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힌지핀(P1)을 공통삽입하여 소피트 랭스(1000)에 고정된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의 몸체부(1520)상에 슬라브 빔(2000)의 단부가 얹혀져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설치가 완료된 상기 슬라브 형성용 패널로 이루어진 평탄면 위에 배근을 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트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이 이루어진 때에 거푸집의 해체 작업을 행하게 되는 바, 이때에는 코너 브라켓(1300)과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을 결합하고 있는 힌지핀(P1)을 빼내어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을 제거해 냄으로써 빔(2000)과 소피트 랭스(1000)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도4는 본 발명의 빔 고정용 브라켓(1500)에 작용하는 하중과 그 지지상태를 보인 개념도로서, 슬라브 빔(2000)을 가로질러 삽입된 핀(P2)을 통해서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의 수평 연장부측, 즉 몸체부(1520)에 가해진 슬라브 빔과 이에 결합된 슬라브 패널(도면 미도시)의 하중(F1)에 의해서 회전모멘트(M1)가 발생되고, 이러한 회전모멘트는 힌지핀(P)을 중심으로 해서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의 수직부의 회전모멘트(M2)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모멘트(M2)는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의 후크(1512)와 코너 브라켓(1500)의 걸림턱(1320)의 접촉부 상에서 작용하는 반력(F2)에 의해서 상쇄되어진다. 이때 상기 하중(F1)과 반력(F2)는 거의 같은 수준을 지니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힌지핀(P1)에 걸리게 되는 하중은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힌지핀(P1)의 결합상태는 상대적으로 헐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너 브라켓(1300)과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을 결합하고 있는 힌지핀(P1)이 상대적으로 헐거운 결합상태에 있음에 따라 힌지핀(P1)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결합 상태에 있는 힌지핀(P1)의 돌출부에 끼워져 있던 멈춤편(F)을 제거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햄머 등의 타격 공구를 이용하여 힌지핀(P1)의 돌출단부를 타격하게 되면 핀이 반대편으로 이동되어 핀홀(1511)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진다.
이와 같이 힌지핀(P1)의 제거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의 수평부 몸체 외측단에 타격을 가하여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을 소피트 랭스(1000)측으로 약간 이동시키게 되면 서로 맞물려 있던 상기 후크(1512)가 걸림턱(1320)을 벗어나게 되어 자연스럽게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른 슬라브 빔 해체 공정 단계를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1000 : 소피트 랭스 1150 : 단턱부
1300 : 코너 브라켓 1310 : 핀 삽입부
1320 : 걸림턱 1500 : 빔 고정용 브라켓
1510 : 체결부 1511 : 핀홀
1512 : 후크 1520 : 몸체부
2000 : 슬라브 빔 3000 : 서포터
P1 : 힌지핀

Claims (6)

  1. 벽체 거푸집 패널의 상단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소피트 랭스(1000)와, 상기 소피트 랭스(10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코너 브라켓(1300)과, 힌지핀(P1)을 통해 상기 코너 브라켓(1300)과 결합되어 슬라브 빔(2000)의 단부를 지지하는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피트 랭스(1000)는 슬라브 빔(2000)과의 결합부측 일측 하부가 트여진 중공 사각 단면 형태로서 외측 수직벽부 자유단부상에 내향 돌출된 단턱부(1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브라켓(1300)은 상기 소피트 랭스(1000)에 형합하여 삽입되는 외주면을 구비하며, 일측 수직외벽 하단에는 상기 단턱부(1150)상에 저면이 접촉지지되는 걸림턱(13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브래킷(1300)은 일측 하부로는 한 쌍의 핀 삽입부(1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은 핀홀(1511)이 형성된 체결부(1510)와 상기 체결부의 수평방향 일외측으로 연장되는 몸체부(1520) 및 상기 체결부(15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상기 코너 브라켓(1300)의 걸림턱(1320)에 걸어물리도록 형성된 후크(15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빔 고정용 브라켓(1500)의 몸체부(1520)의 외측 단부에는 걸림절곡편(15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KR1020190017685A 2019-02-15 2019-02-15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KR10225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85A KR102259942B1 (ko) 2019-02-15 2019-02-15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85A KR102259942B1 (ko) 2019-02-15 2019-02-15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24A true KR20200100224A (ko) 2020-08-26
KR102259942B1 KR102259942B1 (ko) 2021-06-04

Family

ID=7224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685A KR102259942B1 (ko) 2019-02-15 2019-02-15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9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418A (ko) * 2010-05-24 2011-11-30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조립체, 이에 사용되는 필러패널, 슬라브패널 지지빔 및 드롭어셈블리
KR101711757B1 (ko) * 2015-10-22 2017-03-13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체결핀 고정용 탄성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체결핀 고정구조
KR20180107396A (ko) * 2017-03-20 2018-10-02 백희정 빔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KR20180107394A (ko) * 2017-03-20 2018-10-02 백희정 슬라브패널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418A (ko) * 2010-05-24 2011-11-30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조립체, 이에 사용되는 필러패널, 슬라브패널 지지빔 및 드롭어셈블리
KR101711757B1 (ko) * 2015-10-22 2017-03-13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체결핀 고정용 탄성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체결핀 고정구조
KR20180107396A (ko) * 2017-03-20 2018-10-02 백희정 빔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KR20180107394A (ko) * 2017-03-20 2018-10-02 백희정 슬라브패널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942B1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274B1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US9371666B2 (en) Fall protection guardrail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US20100032235A1 (en) Safety arrangement for use in constructing a wood frame building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WO2019190078A1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KR20200100224A (ko)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KR102344853B1 (ko) 건축용 슬라브 패널 빔 지지가이드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210013804A (ko)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KR101260272B1 (ko)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KR102446381B1 (ko) 슬라브 시공용 소핏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의 해체방법
KR102614750B1 (ko) 건축용 슬라브 패널 빔 지지가이드
KR102636240B1 (ko) 테이블폼 시스템 및 그 해체방법
KR20240077575A (ko) 알폼 슬라브 해체용 공구
KR101636407B1 (ko) 벽돌 현가 시공용 매립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
KR20230152504A (ko) 건축용 슬라브 패널 하강 지지가이드
JP3448739B2 (ja) 建築に於ける外壁の水平作業施工法
KR102643245B1 (ko) 알폼 슬라브 해체용 공구
KR100931532B1 (ko) 갱폼시스템의 고정장치
KR200209598Y1 (ko) 건축물용 거푸집
KR20240008519A (ko) 건축용 슬래브 패널 조립체
JP7310502B2 (ja) 開口部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