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804A -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804A
KR20210013804A KR1020190091461A KR20190091461A KR20210013804A KR 20210013804 A KR20210013804 A KR 20210013804A KR 1020190091461 A KR1020190091461 A KR 1020190091461A KR 20190091461 A KR20190091461 A KR 20190091461A KR 20210013804 A KR20210013804 A KR 20210013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demolition
fixing
separ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945B1 (ko
Inventor
김광준
Original Assignee
탄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탄탄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탄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9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일단이 돌출 설치되는 이격부와, 건물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격부를 고정부 연결하여 고정지지하는 연결부와, 이격부의 일단에 상하로 설치되어 철거물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도록 외벽에 이격부와 고정부을 설치함으로써, 차단판의 설치공간과 철거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FASTENING APPARATUS FOR REMOVING BUILDING AND DEM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물이 노후화됨에 따라 기존의 건물을 해체한 후 다시 새로운 건물을 짓거나 고층건물의 일정 부분만을 해체하여 보수하는 작업이 많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존의 건물을 해체하는 공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하나로, 중장비를 건물의 옥상에 올려 윗층부터 차례로 해체하는 기계식 해체공법과, 기둥이나 내력벽, 창 사이의 벽(Pier)과 같은 구조물에 소량의 폭약을 이용하여 파괴 시켜 해체하는 발파해체공법이 있다.
기계식 해체공법은, 중기 인양, 중기하중에 대한 위험요소 등으로 안전성에 검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종종 노후 된 건물이 흔들림에 따라 중장비나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파해체공법은, 고층건물의 안정성과 강성을 저하시켜 불안정한 상태로 만들어 구조물 자체의 하중으로 붕괴하도록 유도하여 해체하는 방법으로서, 고층건물의 해체작업 시, 화약의 폭발에 의해 대부분의 공정에서 필연적으로 소음을 유발하고 분진 등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해체 대상이 되는 건물들이 도심지나 주택가 등에 위치하는 경우 고층건물의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으로 인하여 주변 건물에 피해를 주며, 이에 대한 민원이 발생하여 공기지연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축구조물의 철거방법으로는 먼저 별도의 흙막이를 설치하고 강재를 사용하여 흙막이를 지지하도록 후에,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내려가면서 기존 건축구조물을 철거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건물의 철거방법은, 인접한 건축구조물의 철거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어 민원이 발생할 소지가 있고, 진동이나 소음이 그대로 인접 건축구조물에 전달되어 소음공해나 진동공해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7873호 (2006년09월2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0478호 (2018년01월0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0050호 (2015년05월1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단판의 설치공간과 철거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물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철거물의 배출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공간과 철거작업공간에 대한 구조적인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정부와 이격부 사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물의 낙하하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배출물의 적재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수 있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로서,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일단이 돌출 설치되는 이격부(10); 건물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0); 상기 이격부(10)를 상기 고정부(20)에 연결하여 고정지지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이격부(10)의 일단에 상하로 설치되어 철거물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부(40)의 하부에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철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50)는, 건물의 외벽과 상기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차단부(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격부(10)는, 건물의 외벽 둘레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이격바; 상기 이격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40)와 결합되는 결합편; 및 상기 이격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와 연결되는 이격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격바는, 건물의 외벽과 상기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거리가 0.5∼1m로 유지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격바는, 건물의 외벽에서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연결부재를 재개해서 일자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20)는, 건물 내부의 바닥에 입설되어 고정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일단에 설치되어, 고정바를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부(10)와 연결되는 고정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바는, 건물 내부의 바닥을 통과해서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으로서, 건물 내부의 바닥에 고정홀을 형성하는 단계;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이격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홀에 고정바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이격홀에 이격바를 삽입하여 고정바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이격바의 일단에 차단판을 연결하여 건물 외벽을 차단하는 단계; 건물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층별로 철거하는 단계; 및 상기 철거된 철거물을 건물의 외벽과 차단판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배출된 철거물을 이격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도록 외벽에 이격부와 고정부을 설치함으로써, 차단판의 설치공간과 철거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차단부의 하부에 배출부를 형성하여 배출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철거물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철거물의 배출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격부로서 외벽에 이격바와 결합편과 이격연결편을 구비하고 소정거리 이격하도록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이격공간과 철거작업공간에 대한 구조적인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로서 바닥판에 고정바와 고정편과 고정연결편을 구비함으로써, 고정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정부와 이격부 사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출부에 의해 철거물을 하층에 창문을 통해 배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출물의 낙하하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배출물의 적재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의 이격부와 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계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의 이격부와 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는, 이격부(10), 고정부(20), 연결부(30), 차단부(40) 및 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철거용 건물의 외벽(100)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이다.
이격부(10)는, 건물의 외벽(100)의 둘레에 차단부(40)의 설치를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하고 비계 등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단이 수평으로 돌출 설치되는 이격부재로서, 이격바(11), 결합편(12) 및 이격연결편(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격바(11)는, 건물의 외벽(100) 둘레에 형성된 이격홀(120)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된 봉부재로서, 이러한 이격바(11)로는 강관이나 철재관 등과 같은 고정빔(rigid beam)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이격바(11)는, 건물의 외벽(100)과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거리(d1)가 0.5∼1m로 유지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복수개의 이격바(11)가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차단부(4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므로, 이러한 이격공간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이나 통로공간을 제공하도록 비계 등과 같은 임시가설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이격바(1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100)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제1 이격바(11a)와 제2 이격바(11b) 등과 같이 복수개의 이격바가 연결부재(33)를 재개해서 수평방향에 일자로 연결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결합편(12)은, 이격바(11)의 일단에 형성되며 차단부(4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로서, 이러한 결합편(12)으로는 이격바(11)의 일단에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격연결편(13)은, 이격바(11)의 타단에 형성되며 고정부(2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로서, 이러한 이격연결편(13)으로는 이격바(11)의 타단에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고정부(20)는, 건물의 내부의 각층의 바닥판(200)에 형성된 고정홀(2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서, 고정바(21), 고정편(22) 및 고정연결편(23)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바(21)는, 건물의 내부의 바닥판(200)에 형성된 고정홀(210)에 입설되어 고정되며 바닥판(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봉부재로서, 이러한 고정바(21)는, 건물 내부의 바닥판(200)에 형성된 고정홀(210)을 통과해서 바닥판(200)의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22)은, 고정바(21)의 일단에 설치되어 고정바(21)를 바닥판(2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이러한 고정편(22)으로는 피스못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고정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고정연결편(23)은, 고정바(21)의 타단에 설치되어 이격부(10)와 연결되는 연결수단으로서, 이러한 고정연결편(23)으로는 고정바(21)의 타단에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결부(3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격부(10)의 타단을 고정부(20)의 일단에 연결하여 이격부(10)와 고정부(20)를 서로 고정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제1 연결편(31) 및 제2 연결편(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결편(31)은, 철거용 건물의 동일 층에 설치된 이격부(10)와 고정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이러한 제1 연결편(31)으로는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연결편(32)은, 철거용 건물의 하층에 설치된 이격부(10)와 상층에 설치된 고정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이러한 제2 연결편(32)으로는 고리형상이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클립이나 아이볼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차단부(40)는, 이격부(10)의 일단에 상하로 설치되어 철거물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로서, 방음판이나 방진판이나 천막이나 메쉬망 등과 같은 차단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차단부(40)는, 철거용 건물의 외벽(100)에서 이격부(10)를 개재해서 소정거리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철거용 건물의 각각의 층별로 배출되거나 각층의 창문(110)을 통해서 배출되는 철거물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낙하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배출부(50)는, 차단부(40)의 하부에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각층에서 배출된 철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으로서, 개폐판(51), 잠금편(52) 및 지지편(53)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폐판(51)은, 건물의 외벽(100)과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공간을 개폐하도록 차단부(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수단으로서, 외벽(100)과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공간의 하부를 개폐하여 하방으로 낙하된 철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창문을 통해서 건물의 하층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잠금편(52)은, 개폐판(51)의 일단에 설치되어 개폐판(51)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잠금수단으로서, 개폐판(51)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유지하여 개폐판(51)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게 된다.
지지편(53)은, 차단부(40)의 하부 일단에 설치되어 개폐판(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회전축을 개재해서 개폐판(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은, 고정홀 형성단계(S10), 이격홀 형성단계(S20), 고정바 고정단계(S30), 이격바 연결단계(S40), 차단판 연결단계(S50), 층별 철거단계(S60) 및 배출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이다.
고정홀 형성단계(S10)는, 철거용 건물의 내부의 바닥판(200)에 고정홀(21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바닥판(200)의 외곽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고정홀(210)을 천공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격홀 형성단계(S20)는, 철거용 건물의 외벽(100) 둘레에 이격홀(12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외벽(100)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이격홀(120)을 천공하여 형성하게 된다.
고정바 고정단계(S30)는, 고정홀(210)에 고정바(21)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로서, 복수개의 고정홀(210)에 고정바(21)를 삽입하고 고정편(22)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이격바 연결단계(S40)는, 이격홀(120)에 이격바(11)를 삽입하여 고정바(21)에 연결하는 단계로서, 복수개의 이격홀(120)에 이격바(11)를 삽입하고 연결부(30)에 의해 이격바(11)와 고정바(21)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디.
차단판 연결단계(S50)는, 이격바(11)의 일단에 차단판을 연결하여 건물 외벽(100)을 차단하는 단계로서, 철거용 건물의 외벽(100)에서 이격바(11)를 개재해서 소정거리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차단판을 설치하여 철거용 건물의 각각의 층별로 배출되거나 각층의 창문(110)을 통해서 배출되는 철거물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낙하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층별 철거단계(S60)는, 철거용 건물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층별로 철거하는 단계로서, 상층에서 철거된 철거물을 외벽(100)과 차단판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서 하층으로 배출하고, 이러한 철거와 배출을 상층에서 최하층으로 층별로 반복해서 진행하게 된다.
배출단계(S70)는, 각각의 층별로 철거된 철거물을 건물의 외벽(100)과 차단판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배출하는 단계로서, 이격공간으로 배출된 철거물을 이격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도록 외벽에 이격부와 고정부을 설치함으로써, 차단판의 설치공간과 철거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차단부의 하부에 배출부를 형성하여 배출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철거물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철거물의 배출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격부로서 외벽에 이격바와 결합편과 이격연결편을 구비하고 소정거리 이격하도록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이격공간과 철거작업공간에 대한 구조적인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로서 바닥판에 고정바와 고정편과 고정연결편을 구비함으로써, 고정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정부와 이격부 사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출부에 의해 철거물을 하층에 창문을 통해 배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출물의 낙하하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배출물의 적재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이격부 20: 고정부
30: 연결부 40: 차단부
50: 배출부

Claims (10)

  1.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로서,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일단이 돌출 설치되는 이격부(10);
    건물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0);
    상기 이격부(10)를 상기 고정부(20)에 연결하여 고정지지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이격부(10)의 일단에 상하로 설치되어 철거물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40)의 하부에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철거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50)는,
    건물의 외벽과 상기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차단부(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10)는,
    건물의 외벽 둘레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이격바;
    상기 이격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40)와 결합되는 결합편; 및
    상기 이격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와 연결되는 이격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바는, 건물의 외벽과 상기 차단부(40) 사이의 이격거리가 0.5∼1m로 유지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바는, 건물의 외벽에서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연결부재를 재개해서 일자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건물 내부의 바닥에 입설되어 고정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일단에 설치되어, 고정바를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부(10)와 연결되는 고정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건물 내부의 바닥을 통과해서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9. 철거용 건물의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으로서,
    건물 내부의 바닥에 고정홀을 형성하는 단계;
    건물의 외벽 둘레에 이격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홀에 고정바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이격홀에 이격바를 삽입하여 고정바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이격바의 일단에 차단판을 연결하여 건물 외벽을 차단하는 단계;
    건물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층별로 철거하는 단계; 및
    상기 철거된 철거물을 건물의 외벽과 차단판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배출된 철거물을 이격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거공법.
KR1020190091461A 2019-07-29 2019-07-29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KR102312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461A KR102312945B1 (ko) 2019-07-29 2019-07-29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461A KR102312945B1 (ko) 2019-07-29 2019-07-29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804A true KR20210013804A (ko) 2021-02-08
KR102312945B1 KR102312945B1 (ko) 2021-10-14

Family

ID=7456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461A KR102312945B1 (ko) 2019-07-29 2019-07-29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191B1 (ko) * 2023-08-11 2024-05-03 수성건설 주식회사 건축물 철거용 외장재 낙하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137A (ko) 2022-10-06 2024-04-15 (주)터미널산업건설 안전성이 강화된 고층건물 철거 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73B1 (ko) 2005-05-25 2006-09-25 (주) 한강건설환경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
KR101520050B1 (ko) 2014-09-24 2015-05-13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버블 샤워를 이용한 건물의 철거 공법
JP2016145448A (ja) * 2015-02-06 2016-08-12 大成建設株式会社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101668948B1 (ko) * 2015-04-14 2016-10-24 강민오 외벽탈부착 경량조립비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공법
KR20180000478A (ko)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한솔기업 구조물 해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73B1 (ko) 2005-05-25 2006-09-25 (주) 한강건설환경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
KR101520050B1 (ko) 2014-09-24 2015-05-13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버블 샤워를 이용한 건물의 철거 공법
JP2016145448A (ja) * 2015-02-06 2016-08-12 大成建設株式会社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101668948B1 (ko) * 2015-04-14 2016-10-24 강민오 외벽탈부착 경량조립비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공법
KR20180000478A (ko)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한솔기업 구조물 해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191B1 (ko) * 2023-08-11 2024-05-03 수성건설 주식회사 건축물 철거용 외장재 낙하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945B1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1434B2 (ja) 解体養生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超高層建物の解体工法
JP3728654B2 (ja) 建物の解体・構築方法
KR102312945B1 (ko)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KR101027860B1 (ko)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공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
JP6603824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JP2023101028A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KR20220063797A (ko) 인장 응력이 적용된 h형강을 이용한 지하옹벽 철거 공법
KR101566528B1 (ko)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JP6783482B1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KR100999176B1 (ko) 갱폼 어셈블리
JP7369090B2 (ja) シャフト壁ユニット
JP4228308B2 (ja) 既存床の補強工法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KR100877596B1 (ko)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방법
KR101668948B1 (ko) 외벽탈부착 경량조립비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공법
KR101017894B1 (ko) 가설방음벽용 지주
KR101053994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물
KR101085324B1 (ko) 안전난간 지주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난간 공법
JP4227570B2 (ja) 筒状構造物解体における内設物防護構造
JP2018178385A (ja) 地下躯体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築物の建替工法
KR102425363B1 (ko) 클라이밍 시스템 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259942B1 (ko)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KR102108622B1 (ko) 공기단축형 가설 스트럿 지지 구조
KR20090009353U (ko) 가설식 방음커튼
JP6774209B2 (ja) 連層足場
KR100683506B1 (ko) 계단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