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873B1 -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873B1
KR100627873B1 KR1020050044258A KR20050044258A KR100627873B1 KR 100627873 B1 KR100627873 B1 KR 100627873B1 KR 1020050044258 A KR1020050044258 A KR 1020050044258A KR 20050044258 A KR20050044258 A KR 20050044258A KR 100627873 B1 KR100627873 B1 KR 10062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all
dismantling
dus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관석
Original Assignee
(주) 한강건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강건설환경 filed Critical (주) 한강건설환경
Priority to KR102005004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물 철거장치는 비계; 분진망; 살수기; 저수공간; 차단망; 및 차단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차단막 내부의 공기가 팽창되는 경우 상기 팽창된 공기가 상기 저수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건물 철거방법은, 비계설치 및 분진망 설치단계; 저수공간 형성단계; 차단망 및 차단막 설치단계; 해체 및 살수단계; 1차 폐기물 반출단계; 바닥해체단계; 2차 폐기물 반출단계; 및 현장주변 정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저층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외벽의 하단부분까지 차단망을 씌워 낙하물이 건물 외벽을 타고 상기 차단망의 안쪽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속칭 자연사라 일컬어지는 다른 건물의 외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고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망의 외부에 차단막을 씌워 밀폐된 상태에서 건물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과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비계, 분진망, 압쇄기, 저수공간, 차단망, 차단막, 해체, 살수, 폐기물.

Description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buildin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및 분진망이 건물 둘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및 분진망이 건물 둘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망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망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의 상단부는 건물 옥상에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차단막의 하단부는 저수공간의 불투수성(不透水性) 도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철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건물 12 : 외벽
14 : 옥상 16 : 고리
20 : 비계 22 : 비계다리
24 : 발판 30 : 분진망
40 : 저수공간 50 : 불투수성(不透水性) 도관
52 : 고정구 54 : 개구부
60 : 저장탱크 70 : 살수기
80 : 차단망 90 : 차단막
S1 : 비계설치 및 분진망 설치단계 S2 : 저수공간 형성단계
S3 : 차단망 및 차단막 설치단계 S4 : 해체 및 살수단계
S5 : 1차 폐기물 반출단계 S6 : 바닥해체단계
S7 : 2차 폐기물 반출단계 S8 : 현장주변 정리단계
본 발명은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3~4층 정도의 저층 건물 외벽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비계(飛階)에 소정의 분진망을 설치하여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과 소음을 차단하고, 상기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외벽의 하단부분까지 차단망을 씌워 낙하물이 건물 외벽을 타고 상기 차단망의 안쪽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속칭 자연사라 일컬어지는 다른 건물의 외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고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망의 외부에 차단막을 씌워 밀폐된 상태에서 건물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과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건물들은 반영구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건설되었지만 사회적 변화와 경제발전에 의해 건물의 수명이 구조적 수명보다 줄어들게 되었고, 건물의 기능적 측면이나 설비의 보완, 지진이나 화재 등에 의한 자연재해의 발생, 도시 재개발 등 공공적인 요소들로 인해 건물의 철거작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후건물의 해체를 위하여 기계화 장비 및 인력을 동원한 건물 철거공법에는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diamond wire saw), 핸드 브레이커(hand breaker), 스틸 볼(steel ball), 워터 제트(water jet), 대형 브레이커 또는 압쇄기 등을 이용한 공법들이 있는데, 이중에서 압쇄기를 이용한 공법은 건물 해체시 능률이 좋고 콘크리트와 철근 해체에 적합하며 다른 공법들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도심지역 철거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압쇄기를 이용한 공법으로 건물을 철거하는 경우 분진이 많이 발생하여 비산됨으로써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에 많은 양의 물을 뿌려야 되기 때문에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 철거시에 건물 파편이 주변 건물로 날아가서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입히게 되는 등 사고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 해체시 발생되는 낙하물이 속칭 자연사라 일컬어지는 다른 건물의 외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고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된 공간내에서 건물 해체작업을 하는 경우 공기가 팽창함으로써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과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는, 건물의 외벽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비계(飛階); 상기 비계에 설치되어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비산과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분진망; 및 소정의 기계적인 방법으로 해체되는 건물에 집중 살수(撒水)하여 건물 해체시 발생되는 분진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살수기를 포함하는 건물 철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계와 건물의 외벽 사이에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형성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수공간; 상기 건물의 옥상 및 외벽에 설치되는 고리에 끼워져 상기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외벽의 하단부분까지 씌워지는 차단망; 및 상기 차단망의 외부에 씌워지며 그 상단부는 건물 옥상에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저수공간에 고정되어 그 내부를 밀폐시키며,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밀폐된 상태에서 건물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비산 및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차단막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이 상기 저수공간에 의해 여과되어 차단막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수공간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물이 지면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불투수성(不透水性) 도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불투수성 도관에는 상기 차단막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불투수성 도관의 일측에는, 필터가 구비된 저장탱크가 상기 불투수성 도관과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불투성 도관내의 분진이 걸러진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해체되는 건물에 집중적으로 살수하도록 하기 위한 살수기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철거방법은, 건물의 외벽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비계(飛階)에 소정의 분진망을 설치하여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비산과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비계설치 및 분진망 설치단계; 상기 비계와 건물의 외벽 사이에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는 저수(貯水)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저수공간내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수공간 형성단계; 상기 건물의 옥상으로 부터 외벽의 하단부분까지 차단망을 씌워 낙하물이 건물 외벽을 타고 상기 차단망의 안쪽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다른 건물의 외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차단망의 외부에 차단막을 씌우고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를 건물 옥상에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차단막의 하단부를 상기 저수공간에 고정하여 상기 차단막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차단망 및 차단막 설치단계; 건물을 소정의 기계적인 방법으로 해체하고, 상기 해체되는 건물에 집중 살수(撒水)하여 해체시 발생되는 분진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체 및 살수단계; 상기와 같이 지상에서 해체된 건물 콘크리트 및 철근 등과 같은 폐기물을 소정 장소로 반출하기 위한 1차 폐기물 반출단계; 상기 건물의 바닥 및 지하실의 콘크리트 및 철근 등을 소정의 기계적인 방법으로 해체하기 위한 바닥해체단계; 상기 바닥해체단계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및 철근 등과 같은 폐기물을 소정 장소로 반출하기 위한 2차 폐기물 반출단계; 및 상기 비계 및 분진망을 해체하고 건물의 잔해 등을 청소하기 위한 현장주변 정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물을 해체하기 위한 상기 기계적인 방법은, 압쇄공법으로서, 상기 압쇄공법은, 유압에 의해 압쇄(crush)작용을 하는 압쇄기(crusher), 굴삭기, 및 철골 절단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건물을 해체하기 위한 상기 기계적인 방법은, 압쇄공법과 대형 브레이커(breaker) 공법을 병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쇄공법은 유압에 의해 압쇄작용을 하는 압쇄기(crusher)를 이용하여 건물의 슬라브, 보, 및 내벽 등이 해체되도록 하고, 상기 대형 브레이커 공법은 대형 브레이커(breaker)를 셔블 로더(shovel loader)에 설치하여 건물의 기둥이 해체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및 분진망이 건물 둘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및 분진망이 건물 둘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망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망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의 상단부는 건물 옥상에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차단막의 하단부는 저수공간의 불투수성 도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는 비계(飛階); 분진망; 살수기; 저수공간; 차단망; 및 차단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계(20)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서,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도록 사용상 편리하고 견고하게 만든다.
비계(20)에는 재료면에서 통나무비계, 파이프비계, 용도면에서 외부비계, 내 부비계, 수평비계, 달비계, 간이비계, 사다리비계 등이 있으며, 공법면에서 외줄비계, 겹비계, 쌍줄비계가 있고, 그 밖에 발돋움비계, 특수비계가 있다.
비계다리(22)는 나비가 90cm 이상, 물매(slope) 3/10(경사도 약 17°)을 표준으로 하여 설치하고, 발판(24)은 나비 25cm 이상, 두께 4cm 이상, 길이 2.5~3.5m인 옹이가 없는 널재나 구멍철판을 사용한다.
발판(24) 설치에는 장선에서 20cm 이하로 내밀어 걸치고, 30cm 이상 겹치게 하며, 그 사이는 3cm 이하로 하여 비계장선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분진망(30)은 도1 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비계(20)에 설치되어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비산과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비계(20)에 설치되는 분진망(30)에 대해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33119호의 '공사장용 분진 차단망'에 개시된 바가 있고,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살수기(미도시)는 해체되는 건물에 집중 살수(撒水) 하여 건물 해체시 발생되는 분진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저수공간(40)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비계와 건물(10)의 외벽(12) 사이에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형성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할 차단막(90) 내부의 공기가 팽창되는 경우 상기 팽창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수공간(40)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불투수성 도관(5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불투수성 도관(50)에는 후술할 차 단막(9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52)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구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불투수성 도관(50)의 일측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가 구비된 저장탱크(60)가 상기 불투수성 도관(50)과 연통되도록 하나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불투수성 도관(50)내의 분진이 걸러진 물이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60)의 일측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6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해체되는 건물(10)에 집중적으로 살수하도록 하기 위한 살수기(70)가 하나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단망(80)은 도3 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건물(10)의 옥상(14)으로부터 외벽(12)의 하단부분까지 씌워짐으로써 낙하물이 건물 외벽(12)을 타고 낙하하도록 하여 다른 건물의 외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차광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차광망은 가격이 저렴하고 넓은 부위를 감쌀 수 있으며 가볍기 때문에 옥상에서 작업하는 경우 매우 편리하다.
이때, 상기 건물(10)의 외벽(12)에 고리(16)를 설치하여 상기 건물(10)의 옥상(14)으로부터 외벽(12)의 하단부분까지 상기 차단망(80)이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고리(16)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10)의 옥상(14) 스라브 난간 안쪽 50cm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12)에 설치되는 앵커 프레임(anchor frame)을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차단막(90)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망(80)의 외부 에 씌워지고 그 상단부는 건물(10)의 옥상(14)에 설치된 지지대(18)에 의해 지지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저수공간(40)에 고정되어 그 내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압쇄기(미도시)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밀폐된 상태에서 건물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비산 및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차단막(90)은 매우 가볍고 질긴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물(10)의 옥상(14)에 설치된 지지대(18)를 제거하여 상기 차단망(80)과 같이 건물(10)의 옥상(14)으로부터 외벽(12)까지 씌우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물 철거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 철거방법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계설치 및 분진망 설치단계(S1); 저수공간 형성단계(S2); 차단망 및 차단막 설치단계(S3); 해체 및 살수단계(S4); 1차 폐기물 반출단계(S5); 바닥해체단계(S6); 2차 폐기물 반출단계(S7); 및 현장주변 정리단계(S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계설치 및 분진망 설치단계(S1)는 도1 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10)의 외벽(12)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건물(10)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비계(飛階)(20)에 소정의 분진망(30)을 설치하여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 비산과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비계설치 및 분진망 설치단계(S1)에서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10)의 외벽(12)에 고리(16)를 설치하여 상기 건물(10)의 옥상(14)으로부터 외벽(12)의 하단부분까지 상기 차단망(80)이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고리(16)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10)의 옥상(14) 스라브 난간 안쪽 50cm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12)에 설치되는 앵커 프레임(anchor frame)으로서, 상기 앵커 프레임은 기초 볼트 등의 설정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는 강제(鋼製) 틀을 말한다.
다음 단계로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공간 형성단계(S2)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저수공간 형성단계(S2)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비계와 건물(10)의 외벽(12) 사이에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는 저수공간(40)을 형성하여 상기 저수공간(40)내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저수공간(40)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불투수성 도관(50)을 더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불투수성 도관(50)에는 차단막(9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52)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구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불투수성 도관(50)의 일측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가 구비된 저장탱크(60)가 상기 불투수성 도관(50)과 연통되도록 하나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불투수성 도관(50)내의 분진이 걸러진 물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탱크(60)의 일측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6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해체되는 건물(10)에 집중적으로 살수하도록 하기 위해 살수기(70)를 하나이상으로 구비한다.
다음 단계로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망 및 차단막 설치단계(S3)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차단망 및 차단막 설치단계(S3)는 도3 또는 도4에 나타낸 바 와 같이, 건물(10)의 옥상(14)으로부터 외벽(12)의 하단부분까지 차단망(80)을 씌워 낙하물이 건물(10)의 외벽(12)을 타고 상기 차단망(80)의 안쪽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다른 건물의 외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차단망(80)의 외부에 차단막(90)을 씌우고 상기 차단막(90)의 상단부를 건물 옥상(14)에 설치된 지지대(18)로 지지하고 상기 차단막(90)의 하단부를 상기 저수공간(40)에 고정하여 상기 차단막(90)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한편, 대부분의 건물(10)의 외벽(12)은 벽돌 시공시 보온재로 스티로폼(styrofoam)을 사용하는데 건물(10)의 외벽(12)에 내설된 보온재가 두꺼우면 상기 차단망(80)을 건물(10)의 외벽(12)에 두겹 이상으로 씌움으로써 낙하물이 건물(10)의 외벽(12)을 타고 상기 차단망(80)의 안쪽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다른 건물의 외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고위험을 최소화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 단계로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체 및 살수단계(S4)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해체 및 살수단계(S4)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10)에 차단망(80)이 씌어진 상태에서 건물(10)의 콘크리트와 철근 등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해체하고, 상기 해체되는 건물(10)에 집중적으로 살수(撒水)하여 해체시 발생되는 분진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건물(10)을 해체하기 위한 기계적인 방법으로서 압쇄공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압쇄공법은 유압에 의해 압쇄(crush)작용을 하는 압쇄기(crusher), 굴삭기, 및 철골 절단기 등을 이용하는 공법이다.
또한, 상기 압쇄공법으로 건물을 해체함에 있어서, 건물(10)의 슬라브, 보, 벽체, 기둥의 순서로 해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건물(10)을 해체하기 위한 기계적인 방법으로서, 압쇄공법과 대형 브레이커(breaker) 공법을 병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유압에 의해 압쇄작용을 하는 압쇄기를 이용하는 압쇄공법으로 건물(10)의 슬라브, 보, 및 내벽 등을 해체하고, 대형 브레이커를 셔블 로더(shovel loader)에 설치하여 이용하는 대형 브레이커 공법으로 건물의 기둥을 해체한다.
상기와 같이 건물을 해체하기 위한 공법으로 압쇄공법 및 대형 브레이커 공법 이외에도 해체될 건물에 따라 기타 다른 공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일일 것이다.
다음 단계로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 폐기물 반출단계(S5)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1차 폐기물 반출단계(S5)는 지상에서 해체된 건물(10)의 콘크리트 및 철근 등과 같은 폐기물을 소정 장소로 반출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의 폐기물들은 재활용되어 건축자재로 다시 제조되기도 하며, 폐기물 관리법에 의거하여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폐기처리된다.
다음 단계로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해체단계(S6)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바닥해체단계(S6)는 건물(10)의 바닥 및 지하실의 콘크리트 및 철근 등을 소정의 기계적인 방법으로 해체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기계적인 방법으로 지하구조물 해체에 유리한 대형 브레이커 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 단계로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폐기물 반출단계(S7)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2차 폐기물 반출단계(S7)는 상기 바닥해체단계(S6)에서 발생되는 콘 크리트 및 철근 등과 같은 폐기물을 소정 장소로 반출하기 위한 단계이다.
마지막 단계로서, 상기 비계 및 분진망을 해체하고 건물(10)의 잔해 등을 청소하기 위한 현장주변 정리단계(S8)를 거치게 됨으로써 건물(10)의 철거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저층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외벽의 하단부분까지 차단망을 씌워 낙하물이 건물 외벽을 타고 상기 차단망의 안쪽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속칭 자연사라 일컬어지는 다른 건물의 외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고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계와 건물의 외벽 사이에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저수공간을 형성하여 차단막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팽창된 공기가 상기 저수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차단망의 외부에 출입구가 형성된 차단막을 씌움으로써, 밀폐된 상태에서 건물을 해체할 수 있으며 건물 해체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과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건물의 외벽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비계(飛階); 상기 비계에 설치되어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비산과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분진망; 및 소정의 기계적인 방법으로 해체되는 건물에 집중 살수(撒水)하여 건물 해체시 발생되는 분진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살수기를 포함하는 건물 철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계와 건물의 외벽 사이에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형성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수공간;
    상기 건물의 옥상 및 외벽에 설치되는 고리에 끼워져 상기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외벽의 하단부분까지 씌워지는 차단망; 및
    상기 차단망의 외부에 씌워지며 그 상단부는 건물 옥상에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저수공간에 고정되어 그 내부를 밀폐시키며,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밀폐된 상태에서 건물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비산 및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차단막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이 상기 저수공간에 의해 여과되어 차단막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철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물이 지면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불투수성(不透水性) 도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불투수성 도관에는 상기 차단막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철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수성 도관의 일측에는,
    필터가 구비된 저장탱크가 상기 불투수성 도관과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불투성 도관내의 분진이 걸러진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철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해체되는 건물에 집중적으로 살수하도록 하기 위한 살수기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철거장치.
  5. 건물의 외벽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비계(飛階)에 소정의 분진망을 설치하여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분진비산과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비계설치 및 분진망 설치단계;
    상기 비계와 건물의 외벽 사이에 상기 건물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는 저수(貯水)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저수공간내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수공간 형성단계;
    상기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외벽의 하단부분까지 차단망을 씌워 낙하물이 건물 외벽을 타고 상기 차단망의 안쪽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다른 건물의 외벽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차단망의 외부에 차단막을 씌우고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를 건물 옥상에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차단막의 하단부를 상기 저수공간에 고정하여 상기 차단막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차단망 및 차단막 설치단계;
    건물을 소정의 기계적인 방법으로 해체하고, 상기 해체되는 건물에 집중 살수(撒水)하여 해체시 발생되는 분진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체 및 살수단계;
    상기와 같이 지상에서 해체된 건물 콘크리트 및 철근 등과 같은 폐기물을 소 정 장소로 반출하기 위한 1차 폐기물 반출단계;
    상기 건물의 바닥 및 지하실의 콘크리트 및 철근 등을 소정의 기계적인 방법으로 해체하기 위한 바닥해체단계;
    상기 바닥해체단계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및 철근 등과 같은 폐기물을 소정 장소로 반출하기 위한 2차 폐기물 반출단계; 및
    상기 비계 및 분진망을 해체하고 건물의 잔해 등을 청소하기 위한 현장주변 정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철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건물을 해체하기 위한 상기 기계적인 방법은,
    압쇄공법으로서,
    상기 압쇄공법은,
    유압에 의해 압쇄(crush)작용을 하는 압쇄기(crusher), 굴삭기, 및 철골 절단기 등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철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건물을 해체하기 위한 상기 기계적인 방법은,
    압쇄공법과 대형 브레이커(breaker) 공법을 병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쇄공법은 유압에 의해 압쇄작용을 하는 압쇄기(crusher)를 이용하여 건물의 슬라브, 보, 및 내벽 등이 해체되도록 하고,
    상기 대형 브레이커 공법은 대형 브레이커(breaker)를 셔블 로더(shovel loader)에 설치하여 건물의 기둥이 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철거방법.
KR1020050044258A 2005-05-25 2005-05-25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 KR10062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58A KR100627873B1 (ko) 2005-05-25 2005-05-25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58A KR100627873B1 (ko) 2005-05-25 2005-05-25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873B1 true KR100627873B1 (ko) 2006-09-25

Family

ID=3762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258A KR100627873B1 (ko) 2005-05-25 2005-05-25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87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50B1 (ko) * 2014-09-24 2015-05-13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버블 샤워를 이용한 건물의 철거 공법
CN105297610A (zh) * 2015-10-23 2016-02-03 西南交通大学 一种高架桥系统
KR101668948B1 (ko) * 2015-04-14 2016-10-24 강민오 외벽탈부착 경량조립비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공법
CN110106796A (zh) * 2019-05-06 2019-08-09 中铁七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刚构桥梁拆除用临时支撑装置
CN110259183A (zh) * 2019-05-31 2019-09-20 武汉市武昌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拆除施工降尘方法
CN111519933A (zh) * 2020-04-29 2020-08-11 绍兴文理学院 一种利用高压水静压破拆混凝土支撑的方法
KR102156106B1 (ko) * 2020-05-11 2020-09-15 정원모 건축물 철거 환경 개선 기능이 탑재된 철거용 외형 구조물 유닛
KR20210013804A (ko) 2019-07-29 2021-02-08 탄탄건설 주식회사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KR102678536B1 (ko) * 2023-12-01 2024-06-26 주식회사 오엘에스 센서 기반의 구조물 안전 해체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50B1 (ko) * 2014-09-24 2015-05-13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버블 샤워를 이용한 건물의 철거 공법
KR101668948B1 (ko) * 2015-04-14 2016-10-24 강민오 외벽탈부착 경량조립비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공법
CN105297610A (zh) * 2015-10-23 2016-02-03 西南交通大学 一种高架桥系统
CN105297610B (zh) * 2015-10-23 2017-04-12 西南交通大学 一种高架桥系统
CN110106796A (zh) * 2019-05-06 2019-08-09 中铁七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刚构桥梁拆除用临时支撑装置
CN110106796B (zh) * 2019-05-06 2023-11-07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一种刚构桥梁拆除用临时支撑装置
CN110259183A (zh) * 2019-05-31 2019-09-20 武汉市武昌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拆除施工降尘方法
KR20210013804A (ko) 2019-07-29 2021-02-08 탄탄건설 주식회사 건물의 철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공법
CN111519933A (zh) * 2020-04-29 2020-08-11 绍兴文理学院 一种利用高压水静压破拆混凝土支撑的方法
KR102156106B1 (ko) * 2020-05-11 2020-09-15 정원모 건축물 철거 환경 개선 기능이 탑재된 철거용 외형 구조물 유닛
KR102678536B1 (ko) * 2023-12-01 2024-06-26 주식회사 오엘에스 센서 기반의 구조물 안전 해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873B1 (ko) 건물 철거장치 및 방법
JP5234360B2 (ja) 既設ブロック塀の防護装置
CN103015744B (zh) 一种钢筋混凝土烟囱拆除方法
JP4461434B2 (ja) 解体養生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超高層建物の解体工法
CN111648628B (zh) 地铁停车库上盖建筑施工方法
CN102852344A (zh) 一种高层现浇混凝土建筑拆除施工方法
JP7333681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JP6603824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KR101520050B1 (ko) 버블 샤워를 이용한 건물의 철거 공법
CN111119904A (zh) 软弱围岩岩溶段隧道施工方法
CN110685459A (zh) 一种启闭机排架从下部拆除的破碎锤拆除施工方法
CN202248958U (zh) 砖混结构建筑物的抗震加固结构
JP201018985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
CN111663536A (zh) 一种绿色装配式垂直防护的方法
JP7506983B2 (ja) 建物の解体方法
JP7503393B2 (ja) 建物の解体方法
JP7503392B2 (ja) 建物の解体方法
CN104963344A (zh) 砼支撑拆除和结构同步进行的深基坑地下施工方法
KR101668948B1 (ko) 외벽탈부착 경량조립비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공법
TWI807881B (zh) 地下室開挖及結構體施作過程之中間樁、構台柱或預留開口之阻隔板體組件之結構及其工法
CN111926829A (zh) 一种高边坡治理方法
JP2002070360A (ja) 津波と火災の避難壕
CN109083155A (zh) 一种基坑内支撑结构及其爆破拆除方法
Taher General Recommendations for Improved Building Practices in Earthquake and Hurricane Prone Areas
JP6404508B1 (ja) 建て替え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