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893A - 녹지용 경계지지대 - Google Patents

녹지용 경계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893A
KR20200099893A KR1020190018092A KR20190018092A KR20200099893A KR 20200099893 A KR20200099893 A KR 20200099893A KR 1020190018092 A KR1020190018092 A KR 1020190018092A KR 20190018092 A KR20190018092 A KR 20190018092A KR 20200099893 A KR20200099893 A KR 20200099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undary
drip tray
gree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556B1 (ko
Inventor
김희환
Original Assignee
김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환 filed Critical 김희환
Priority to KR102019001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5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는, 녹지의 측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경계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경계석과 함께 상기 녹지를 지지하며,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물받이통; 및 상기 물받이통에 인접배치되는 경계석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물받이통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돌출된 경계석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녹지용 경계지지대{BOUNDARY SUPPORT FIXTURE FOR GREEN ZONE}
본 발명은 녹지용 경계지지대로서, 녹지를 지지하는 녹지용 경계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와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를 구분하고, 도로와 인도의 미관을 높이기 위하여 도로와 인도 사이에 나무와 꽃 등 각종 식물을 심은 녹지를 조성하여, 도로와 인도의 경계면이 명확해지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도로의 중앙분리대에도 각종 식물이 형성된 녹지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가 명확하게 도로 주행구간을 구별할 수 있고, 전체적인 도시환경의 미관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녹지의 테두리에는 녹지를 지지하는 경계석이 구성되는데, 이때 녹지의 토사 높이와 경계석의 높이 차이가 낙옆과 화초 뿌리 등으로 인하여, 동일한 높이가 되는 경우 또는 녹지의 토사 높이가 경계석의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우, 우천 시 우수의 유실이 발생하여 녹지로 수분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구조이며, 또한 녹지에 심어진 수목 및 식물의 뿌리가 자라면서 경계석을 밀어올림에 따라, 인접한 경계석 또는 보도블럭과 단차(높낮이차)가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경계석과 인접한 경계석 또는 경계석과 인접한 보도블럭과 단차가 생김에 따라, 우천 시 녹지 내에 우수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보행자가 경계석의 단차에 걸려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며, 나아가 보도블럭과 테두리틀의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인하여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02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경계석과 경계석 또는 경계석과 보도블럭의 단차발생을 방지하며, 녹지 내에 수분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녹지용 경계지지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는, 녹지의 측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경계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경계석과 함께 상기 녹지를 지지하며,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물받이통; 및 상기 물받이통에 인접배치되는 경계석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물받이통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돌출된 경계석받침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물받이통은 상부에 복수 개의 물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녹지 측의 측부 또는 하부에 복수 개의 물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이 상기 경계석의 단부 끝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경계석받침부가 상기 경계석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경계석받침부는 상기 물받이통과 인접배치된 상기 경계석 측으로 상기 물받이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물받이통과 수직되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받이통은 조립식 구조로서, 상기 물유입구가 형성된 덮개와, 상부에 상기 덮개가 조립되며 상기 물배출구가 형성된 물저장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통은 인접배치되는 보도블럭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물받이통의 측부에는 상기 보도블럭 측으로 돌출된 블럭받침턱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받이통이 상기 보도블럭의 측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블럭받침턱이 상기 보도블럭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블럭받침턱은 상기 물받이통과 인접배치된 상기 보도블럭 측으로 상기 물받이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물받이통의 측면과 수직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는, 녹지의 측부를 지지하면서 두 개의 경계석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경계석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와 동시에 빗물과 같은 빗물과 같은 강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을 녹지에 오랜 시간동안 천천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는 인접배치되는 경계석을 받침지지하도록 경계석받침부가 구성됨으로써, 녹지에 심어진 수목의 뿌리 또는 외력에 의해 상승 시 인접한 경계석도 함께 상승됨에 따라, 경계석과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행자의 넘어지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고, 나아가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는 인접배치되는 보도블럭을 받침지지하도록 블럭받침턱이 구성됨으로써, 녹지에 심어진 수목의 뿌리 또는 외력에 의해 상승 시 인접한 보도블럭도 함께 상승됨에 따라, 보도블럭과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차에 의해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가 녹지 둘레에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로 측에 배치된 녹지용 경계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녹지용 경계지지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보도블럭 측에 배치된 녹지용 경계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가 녹지 둘레에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로 측에 배치된 녹지용 경계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녹지용 경계지지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꽃과 수목이 심어진 녹지(9)를 보호하기 위해, 녹지(9)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녹지(9)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녹지(9)와 인도(2)를 구분짓는 경계석(2b), 또는 도로(1)와 인도(2)를 구분짓는 경계석(2b)을 대신하여 배치되는 것으로서, 경계석(2b)과 외형이 유사하게 긴 직육면체 형상을 취하여, 경계석(2b)과 같은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빗물과 같은 강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을 녹지(9)에 오랜 시간동안 천천히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물받이통(310)과 경계석받침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통(310)은 녹지(9)의 측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경계석(2b) 사이에 배치되어 녹지(9)를 지지하며,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물받이통(310)은 상부에 복수 개의 물유입구(311a)가 형성되고,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공간(100a) 측 측부 또는 하부에 복수 개의 물배출구(3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받이통(310)은 조립식 구조로서, 물유입구(311a)가 형성된 덮개(311)와, 상부에 덮개(311)가 조립되며 물배출구(312a)가 형성된 물저장부재(3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석받침부(320)는 물받이통(310)에 인접배치되는 경계석(2b)을 받침지지하도록, 물받이통(31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돌출된다.
상기 경계석받침부(320)는 물받이통(31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물받이통(310)에 인접배치되는 경계석(2b)을 받침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계석받침부(320)는 물받이통(310)과 인접배치된 경계석(2b) 측으로 물받이통(310)의 하단으로부터 물받이통(310)과 수직되게 연장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물받이통(310)이 경계석(2b)의 단부 끝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경계석받침부(320)가 경계석(2b)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함으로써, 경계석(2b)을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받침지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이웃하여 인접한 경계석(2b)을 받침지지하도록 경계석받침부(320)가 구성됨으로써, 녹지(9)에 심어진 수목의 뿌리가 자라면서 물받이통(310)을 밀어올리거나 외력에 의해 물받이통(310)이 상승하는 경우 이웃의 경계석(2b)도 경계석받침부(320)에 의해 함께 올라옴에 따라, 경계석(2b)과 녹지용 경계지지대(300)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경계석받침부(320)에 의하여 경계석(2b)과 녹지용 경계지지대(300)가 서로 단차가 생기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경계석(2b)과 녹지용 경계지지대(300)의 단차로 인하여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경계석(2b)과 녹지용 경계지지대(300)의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인하여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보도블럭 측에 배치된 녹지용 경계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보도블럭(2a) 측에 배치되는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보도블럭(2a)을 받침지지할 수 있도록 블럭받침턱(3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물받이통(310)의 측부에 보도블럭(2a) 측으로 돌출연장된 블럭받침턱(330)이 구성됨으로써, 물받이통(310)에 인접배치되는 보도블럭(2a)을 받침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럭받침턱(330)은 물받이통(310)과 인접배치된 보도블럭(2a) 측으로 물받이통(310)의 하단으로부터 물받이통(310)의 측면과 수직되게 연장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물받이통(310)이 보도블럭(2a)의 측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블럭받침턱(330)이 상기 보도블럭(2a)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함으로써, 보도블럭(2a)을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받침지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녹지(9)의 측부를 지지하면서 두 개의 경계석(2b)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경계석(2b)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와 동시에 빗물과 같은 빗물과 같은 강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을 녹지(9)에 오랜 시간동안 천천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인접배치되는 경계석(2b)을 받침지지하도록 경계석받침부(320)가 구성됨으로써, 녹지(9)에 심어진 수목의 뿌리 또는 외력에 의해 상승 시 인접한 경계석(2b)도 함께 상승됨에 따라, 경계석(2b)과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행자의 넘어지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고, 나아가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녹지용 경계지지대(300)는 인접배치되는 보도블럭(2a)을 받침지지하도록 블럭받침턱(330)이 구성됨으로써, 녹지(9)에 심어진 수목의 뿌리 또는 외력에 의해 상승 시 인접한 보도블럭(2a)도 함께 상승됨에 따라, 보도블럭(2a)과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차에 의해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도로 2 : 인도
2a : 보도블럭 2b : 경계석
300 : 녹지용 경계지지대 310 : 물받이통
311 : 덮개 311a : 물유입구
312 : 물저장부재 312a : 물배출구
320 : 경계석받침부 330 : 블록받침턱

Claims (5)

  1. 녹지의 측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경계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경계석과 함께 상기 녹지를 지지하며,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물받이통; 및
    상기 물받이통에 인접배치되는 경계석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물받이통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돌출된 경계석받침부;
    를 포함하는 녹지용 경계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은 상부에 복수 개의 물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녹지 측의 측부 또는 하부에 복수 개의 물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이 상기 경계석의 단부 끝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경계석받침부가 상기 경계석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경계석받침부는 상기 물받이통과 인접배치된 상기 경계석 측으로 상기 물받이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물받이통과 수직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용 경계지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은 조립식 구조로서, 상기 물유입구가 형성된 덮개와, 상부에 상기 덮개가 조립되며 상기 물배출구가 형성된 물저장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용 경계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은 인접배치되는 보도블럭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물받이통의 측부에는 상기 보도블럭 측으로 돌출된 블럭받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용 경계지지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이 상기 보도블럭의 측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블럭받침턱이 상기 보도블럭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블럭받침턱은 상기 물받이통과 인접배치된 상기 보도블럭 측으로 상기 물받이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물받이통의 측면과 수직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용 경계지지대.
KR1020190018092A 2019-02-15 2019-02-15 녹지용 경계지지대 KR102608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92A KR102608556B1 (ko) 2019-02-15 2019-02-15 녹지용 경계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92A KR102608556B1 (ko) 2019-02-15 2019-02-15 녹지용 경계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93A true KR20200099893A (ko) 2020-08-25
KR102608556B1 KR102608556B1 (ko) 2023-12-01

Family

ID=7229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92A KR102608556B1 (ko) 2019-02-15 2019-02-15 녹지용 경계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5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219Y1 (ko) * 2006-09-05 2006-11-30 전봉호 물저장공간을 갖는 보도블록
KR20100000835U (ko) * 2008-07-16 2010-01-26 이상윤 배수 기능을 갖는 도로 경계석
KR100950283B1 (ko) 2009-06-12 2010-03-3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공원 녹지 조경용 연속 경계석
KR20120088083A (ko) * 2011-01-31 2012-08-08 최강진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KR20160100582A (ko) * 2015-02-16 2016-08-24 김효수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219Y1 (ko) * 2006-09-05 2006-11-30 전봉호 물저장공간을 갖는 보도블록
KR20100000835U (ko) * 2008-07-16 2010-01-26 이상윤 배수 기능을 갖는 도로 경계석
KR100950283B1 (ko) 2009-06-12 2010-03-3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공원 녹지 조경용 연속 경계석
KR20120088083A (ko) * 2011-01-31 2012-08-08 최강진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KR20160100582A (ko) * 2015-02-16 2016-08-24 김효수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556B1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235B1 (ko) 띠녹지 수벽
KR101173895B1 (ko) 수경재배용 휀스
KR102233633B1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0983707B1 (ko) 잔디블록 조립체
JP2012077467A (ja) 緑化駐車場、植栽ユニット保護材および緑化駐車場構成材ユニット
KR100822057B1 (ko)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KR100791894B1 (ko) 가로수 보호판 및 제작방법
KR102103940B1 (ko) 가로수 보호장치
KR20200099893A (ko) 녹지용 경계지지대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20070087942A (ko) 가로수 아래의 식물식재와 비산 먼지 방지 가로수 보호대
KR100736388B1 (ko) 다기능 도로 경계석
KR101797588B1 (ko) 수목 보호 블럭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100889794B1 (ko) 인공식물을 이용한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KR20190123903A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KR101127630B1 (ko)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KR200429634Y1 (ko)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KR200435930Y1 (ko) 식재용 보차도 경계블럭
KR102500334B1 (ko)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