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940B1 - 가로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940B1
KR102103940B1 KR1020190018091A KR20190018091A KR102103940B1 KR 102103940 B1 KR102103940 B1 KR 102103940B1 KR 1020190018091 A KR1020190018091 A KR 1020190018091A KR 20190018091 A KR20190018091 A KR 20190018091A KR 102103940 B1 KR102103940 B1 KR 10210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block
boundary
boundary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환
Original Assignee
김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환 filed Critical 김희환
Priority to KR102019001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테두리틀은, 가로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가로수보호판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인접배치되는 보도블럭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블럭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로수 보호장치{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로수 보호장치로서, 가로수의 둘레에 설치되는 가로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는 도로의 환경미화와 공해방지 및 소음방지효과를 제공할 목적으로 도로 주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식재된다.
이와 같이 식재된 가로수 주변의 지면 위에는 가로수 보호대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가로수 보호대는 가로수의 나무뿌리가 심어진 주변의 지면이 보행자들에게 밟혀서 다져지는 것을 방지하고, 성장발육에 필요한 수분이 가로수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가로수의 뿌리가 자라면서 땅속에서 가로수 보호대를 밀어올림에 따라, 인접한 보도블럭과 단차(높낮이차)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보도블럭과 가로수 보호대의 단차로 인하여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며, 나아가 보도블럭과 테두리틀의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인하여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04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도블럭과 가로수 보호장치의 단차발생을 방지하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는, 가로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인접배치되는 보도블럭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블럭받침부를 구비하는 테두리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가로수보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틀이 상승 시 인접배치된 상기 보도블럭도 상기 블럭받침부에 의해 함께 상승되어 상기 보도블럭과 테두리틀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은 상기 보도블럭의 측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블럭받침부는 상기 단위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단위프레임의 측면과 수직되게 연장되어 상기 보도블럭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하며, 복수 개의 상기 단위프레임에서 도로 측에 배치되는 상기 단위프레임은, 상기 내부공간의 반대측에 상기 블럭받침부가 비배치되고 경계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경계지지대는 물받이통을 구비하며, 상기 물받이통은 상부에 복수 개의 물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물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은 조립식 구조로서, 상기 물유입구가 형성된 덮개와, 상부에 상기 덮개가 조립되며 상기 물배출구가 형성된 물저장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물받이통에 인접배치되는 경계석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물받이통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경계석받침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이 상승 시 인접배치된 상기 경계석도 상기 경계석받침부에 의해 함께 상승되어 상기 경계석과 경계지지대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물받이통은 상기 경계석의 단부 끝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경계석받침부는 상기 물받이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물받이통과 수직되게 연장되어 상기 경계석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하며, 상기 가로수보호판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지주목용 홀이 형성된 베이스판넬; 및 상기 지주목용 홀에 착탈되는 막음판;을 구비하며, 상기 막음판의 테두리에는 키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목용 홀의 테두리에는 상기 키가 통과되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넬의 하부에는 상기 키가 받침지지되는 키받침이 형성되어,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지주목용 홀을 막으면서 상기 베이스판넬과 상면이 이어지는 배치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지주목용 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키받침에 의해 지지된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가로수보호판이 안착지지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보호판받침턱이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단위프레임이 연결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연결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인접한 다른 단위프레임의 연결브라켓과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테두리틀은 베이스프레임에 보도블럭을 받침지지하도록 형성된 블럭받침부가 구성됨으로써, 가로수의 뿌리에 의해 테두리틀이 상승 시 보도블럭도 함께 상승됨에 따라, 보도블럭과 테두리틀이 서로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차에 의해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는 베이스프레임에 착탈되는 경계지지대가 구성됨으로써, 빗물과 같은 강수를 경계지지대에 저장하여 가로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지지대는 경계석 대신에 활용 시 인접배치된 경계석을 받침지지하는 경계석받침부가 구성됨으로써, 가로수의 뿌리 또는 외력에 의해 상승 시 인접한 경계석도 함께 상승됨에 따라, 경계석과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차에 의해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는 가로수보호판에 있어서 베이스판넬에 착탈되는 막음판이 구성됨으로써, 가로수가 추후 일정정도 성장하여 지주목을 제거하는 경우 지주목용 홀을 막음에 따라,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미관상으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가 가로수 둘레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로수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가로수 보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가로수 보호장치의 테두리틀에 설치된 경계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가로수 보호장치에서 가로수보호판의 코너부 및 막음판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가 가로수 둘레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가로수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가로수 보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1000)는 테두리틀(F)과, 가로수보호판(P)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테두리틀(F)은 베이스프레임(100)과, 블럭받침부(200)를 구비하는데, 상기 가로수보호판(P)은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공간(100a)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가로수(8)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11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일례로서, 상기 단위프레임(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가 마련되어, 각각 사각형 구조의 한 변을 담당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이 평면상으로 사각형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이 사각형 구조를 취함에 따라, 내부에 가로수보호판(P)이 배치되는 내부공간(100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가로수보호판(P)이 안착지지되도록, 단위프레임(110)으로부터 내부공간(100a)으로 돌출된 보호판받침턱(120)이 형성된다.
즉, 각각의 상기 단위프레임(110)은 내부공간(100a) 측의 측면에 보호판받침턱(120)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보호판받침턱(120)은 네 개의 단위프레임(110)에 구비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가로수보호판(P)이 상측으로부터 내려지면서 인입 시, 가로수보호판(P)이 안착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공간(100a)에 배치되도록 가로수보호판(P)을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두 개의 상기 단위프레임(110)이 연결되도록, 단위프레임(110)에는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돌출된 연결브라켓(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브라켓(130)은 인접한 다른 단위프레임(110)의 연결브라켓(130)과 체결부재(190)에 의해 서로 체결됨으로써, 두 개의 단위프레임(110)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130)은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서로 적층되어 겹쳐지도록, 하나의 단위프레임(110)의 단부와 인접한 다른 단위프레임(110)의 단부가 인접 시, 하나의 단위프레임(110)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브라켓(130)과 인접한 다른 단위프레임(110)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브라켓(130)이 서로 적층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190)는 서로 적층된 두 개의 연결브라켓(130)을 체결하도록, 두 개의 연결브라켓(130)에 형성된 나사홀에 삽입되는 체결볼트가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브라켓(130)과 체결부재(190)는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가, 두 개의 연결브라켓(130)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면,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연결형상 및 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블럭받침부(200)는 베이스프레임(100)에서 내부공간(100a)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블럭받침부(20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인접배치되는 보도블럭(2a)을 받침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럭받침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단위프레임(110)의 측면과 수직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단위프레임(110)의 측면이 보도블럭(2a)의 측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블럭받침부(200)가 보도블럭(2a)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함으로써, 보도블럭(2a)을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받침지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1000)의 테두리틀(F)은, 둘레에 인접한 보도블럭(2a)을 받침지지하도록 블럭받침부(200)가 구성됨으로써, 가로수(8)의 뿌리가 자라면서 땅속에서 테두리틀(F)을 밀어올릴 때 보도블럭(2a)도 블럭받침부(200)에 의해 함께 올라옴에 따라, 보도블럭(2a)과 테두리틀(F)이 서로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1000)의 테두리틀(F)은 블럭받침부(200)에 의하여 보도블럭(2a)과 테두리틀(F)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보도블럭(2a)과 테두리틀(F)의 단차로 인하여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보도블럭(2a)과 테두리틀(F)의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인하여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가로수 보호장치의 테두리틀에 설치된 경계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110)에서 도로(1) 측에 배치되는 단위프레임(110)에는 경계지지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프레임(110)은 내부공간(100a)의 반대측에 블럭받침부(200)가 비배치되고 경계지지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경계지지대(300)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위프레임(100)의 측부에 볼트와 같은 부재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계지지대(300)는 가로수 보호장치(1000)의 테두리틀(F)에서 보도블럭(2a)이 인접배치되지 않는 도로(1) 측의 단위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도로(1) 측의 단위프레임(110)에는 블럭받침부(200)가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공간(100a) 반대측이 아닌 내부공간(100a) 측에 형성됨으로써 경계지지대(300)가 설치될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단위프레임(110)에서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공간(100a) 측에 형성된 블럭받침부(200)는 실질적으로 블럭을 받침지지하지 않으며 베이스프레임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을 가진다.
이와 같은 경계지지대(300)는 도로(1)와 인도(2)를 구분짓는 경계석(2b)을 대신하여 배치되는 것으로서, 경계석(2b)과 외형이 유사하게 긴 직육면체 형상을 취하여, 경계석(2b)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아울러 빗물을 저장하여 추후 가로수(8)에 빗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계지지대(300)는 물받이통(3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물받이통(310)은 상부에 복수 개의 물유입구(311a)가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물배출구(3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받이통(310)은 조립식 구조로서, 물유입구(311a)가 형성된 덮개(311)와, 상부에 덮개(311)가 조립되며 물배출구(312a)가 형성된 물저장부재(312)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계지지대(300)는 경계석받침부(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석받침부(320)는 물받이통(31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물받이통(310)에 인접배치되는 경계석(2b)을 받침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계석받침부(320)는 물받이통(310)과 인접배치된 경계석(2b) 측으로 물받이통(310)의 하단으로부터 물받이통(310)과 수직되게 연장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물받이통(310)이 경계석(2b)의 단부 끝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경계석받침부(320)가 경계석(2b)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함으로써, 경계석(2b)을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받침지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1000)의 경계지지대(300)는, 이웃하여 인접한 경계석(2b)을 받침지지하도록 경계석받침부(320)가 구성됨으로써, 가로수(8)의 뿌리가 자라면서 땅속에서 물받이통(310)을 밀어올리거나 외력에 의해 물받이통(310)이 상승하는 경우 이웃의 경계석(2b)도 경계석받침부(320)에 의해 함께 올라옴에 따라, 경계석(2b)과 경계지지대(300)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1000)의 경계지지대(300)는 경계석받침부(320)에 의하여 경계석(2b)과 경계지지대(300)가 서로 단차가 생기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경계석(2b)과 경계지지대(300)의 단차로 인하여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경계석(2b)과 경계지지대(300)의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인하여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가로수 보호장치에서 가로수보호판의 코너부 및 막음판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로수보호판(P)은 베이스판넬(400)과, 막음판(50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판넬(40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공간(100a)에 배치되는데, 가로수(8)의 뿌리가 묻힌 땅을 덮어서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베이스판넬(400)은 코너부에 지주목(8a)이 땅속에 꽂아지도록 통과되는 지주목용 홀(40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막음판(500)은 지주목용 홀(400a)에 착탈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막음판(500)은 가로수(8)가 추후 일정정도 성장하여 지주목(8a)을 제거하는 경우 지주목용 홀(400a)을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미관상으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막음판(500)의 테두리에는 키(501)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목용 홀(400a)의 테두리에는 막음판(500)의 키(501)가 통과되는 키홈(400b)이 형성되고, 베이스판넬(400)의 하부에는 키(501)가 받침지지되는 키받침(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막음판(500)이 베이스판넬(400)의 지주목용 홀(400a)에 장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막음판(500)이 베이스판넬(400)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하여 키(501)가 지주목용 홀(400a)의 테두리에 형성된 키홈(400b)을 통과되어 베이스판넬(400)의 하측으로 이동한 후, 베이스판넬(400)의 하부에 형성된 키받침(410)까지 막음판(500)이 축회전하여 키받침(410)의 상면에 안착되어 키받침(410)에 의해 받침지지됨으로써, 막음판(500)이 베이스판넬(400)의 지주목용 홀(400a)을 막으면서 키받침(410)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는 배치구조를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테두리틀은 베이스프레임에 보도블럭을 받침지지하도록 형성된 블럭받침부(200)가 구성됨으로써, 가로수(8)의 뿌리에 의해 테두리틀(F)이 상승 시 보도블럭(2a)도 함께 상승됨에 따라, 보도블럭(2a)과 테두리틀(F)이 서로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차에 의해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0)에 착탈되는 경계지지대(300)가 구성됨으로써, 빗물과 같은 강수를 경계지지대(300)에 저장하여 가로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지지대(300)는 경계석(2b) 대신에 활용 시 인접배치된 경계석(2b)을 받침지지하는 경계석받침부(320)가 구성됨으로써, 가로수(8)의 뿌리 또는 외력에 의해 상승 시 인접한 경계석(2b)도 함께 상승됨에 따라, 경계석(2b)과 단차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차에 의해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단차로 인한 시각적 부조화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는 가로수보호판(P)에 있어서 베이스판넬(400)에 착탈되는 막음판(500)이 구성됨으로써, 가로수(8)가 추후 일정정도 성장하여 지주목(8a)을 제거하는 경우 지주목용 홀(400a)을 막음에 따라, 보행자가 넘어져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미관상으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도로 2 : 인도
2a : 보도블럭 2b : 경계석
8 : 가로수 8a : 지주목
F : 테두리틀 100 : 베이스프레임
100a : 내부공간 110 : 단위프레임
120 : 보호판받침턱 130 : 연결브라켓
130a : 나사홀 190 : 체결부재
200 : 블럭받침부 300 : 경계지지대
310 : 물받이통 311 : 덮개
311a : 물유입구 312 : 물저장부재
312a : 물배출구 320 : 경계석받침부
P : 가로수보호판 400 : 베이스판넬
400a : 지주목용 홀 400b : 키홈
410 : 키받침 500 : 막음판
501 : 키 1000 : 가로수 보호장치

Claims (8)

  1. 가로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인접배치되는 보도블럭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블럭받침부를 구비하는 테두리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가로수보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틀이 상승 시 인접배치된 상기 보도블럭도 상기 블럭받침부에 의해 함께 상승되어 상기 보도블럭과 테두리틀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은 상기 보도블럭의 측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블럭받침부는 상기 단위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단위프레임의 측면과 수직되게 연장되어 상기 보도블럭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하며,
    복수 개의 상기 단위프레임에서 도로 측에 배치되는 상기 단위프레임은, 상기 내부공간의 반대측에 상기 블럭받침부가 비배치되고 경계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경계지지대는 물받이통을 구비하며, 상기 물받이통은 상부에 복수 개의 물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물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은 조립식 구조로서, 상기 물유입구가 형성된 덮개와, 상부에 상기 덮개가 조립되며 상기 물배출구가 형성된 물저장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물받이통에 인접배치되는 경계석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물받이통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경계석받침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이 상승 시 인접배치된 상기 경계석도 상기 경계석받침부에 의해 함께 상승되어 상기 경계석과 경계지지대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물받이통은 상기 경계석의 단부 끝면을 면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경계석받침부는 상기 물받이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물받이통과 수직되게 연장되어 상기 경계석의 하면을 면접하여 지지하며,
    상기 가로수보호판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지주목용 홀이 형성된 베이스판넬; 및 상기 지주목용 홀에 착탈되는 막음판;을 구비하며,
    상기 막음판의 테두리에는 키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목용 홀의 테두리에는 상기 키가 통과되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넬의 하부에는 상기 키가 받침지지되는 키받침이 형성되어,
    상기 막음판은, 상기 지주목용 홀을 막으면서 상기 베이스판넬과 상면이 이어지는 배치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지주목용 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키받침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가로수보호판이 안착지지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보호판받침턱이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단위프레임이 연결되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연결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인접한 다른 단위프레임의 연결브라켓과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18091A 2019-02-15 2019-02-15 가로수 보호장치 KR10210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91A KR102103940B1 (ko) 2019-02-15 2019-02-15 가로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91A KR102103940B1 (ko) 2019-02-15 2019-02-15 가로수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940B1 true KR102103940B1 (ko) 2020-04-24

Family

ID=7046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91A KR102103940B1 (ko) 2019-02-15 2019-02-15 가로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515A (ko) * 2021-03-11 2022-09-21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가로수 보호판 지주대 홀 커버 및 이를 구비한 가로수 보호판
KR20230149593A (ko) 2022-04-20 2023-10-27 권승근 친환경 수목 보호용 덮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68Y1 (ko) * 2005-08-13 2005-11-15 권주홍 가로수 보호판
KR101186676B1 (ko) * 2011-11-14 2012-09-28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가로수 보호덮개의 도난방지용 절첩식 이탈방지 구조
KR101820467B1 (ko) 2015-12-10 2018-01-19 주식회사 에코스톤코리아 내경 조절기능을 갖는 내부식성 가로수 보호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68Y1 (ko) * 2005-08-13 2005-11-15 권주홍 가로수 보호판
KR101186676B1 (ko) * 2011-11-14 2012-09-28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가로수 보호덮개의 도난방지용 절첩식 이탈방지 구조
KR101820467B1 (ko) 2015-12-10 2018-01-19 주식회사 에코스톤코리아 내경 조절기능을 갖는 내부식성 가로수 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515A (ko) * 2021-03-11 2022-09-21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가로수 보호판 지주대 홀 커버 및 이를 구비한 가로수 보호판
KR102620498B1 (ko) * 2021-03-11 2024-01-04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가로수 보호판 지주대 홀 커버 및 이를 구비한 가로수 보호판
KR20230149593A (ko) 2022-04-20 2023-10-27 권승근 친환경 수목 보호용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940B1 (ko) 가로수 보호장치
KR101164224B1 (ko) 가로수 보호기구
ES2434842B2 (es) Sistema de ajardinamiento vertical
KR100644148B1 (ko) 수목 뿌리 유도판
KR20090033984A (ko) 지지대가 구비된 가로수 보호 덮개
KR20070029885A (ko) 가로수 보호판용 가변형 받침대
KR20150055370A (ko) 가로수용 수목 보호판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KR100525748B1 (ko) 도로의 가로수보호장치
KR102620498B1 (ko) 가로수 보호판 지주대 홀 커버 및 이를 구비한 가로수 보호판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KR100889794B1 (ko) 인공식물을 이용한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KR102008734B1 (ko) 가로수 보호 그레이팅 받침 알루미늄 프레임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KR102608556B1 (ko) 녹지용 경계지지대
KR101112771B1 (ko)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99947B1 (ko) 가로수 보호 덮개
KR101028778B1 (ko) 수목용 보호블럭틀 조립체
KR100791403B1 (ko) 사각 테두리의 화분 및 조형물 거치용 행거 고정구
KR20080000754U (ko) 가로수보호판
KR200371817Y1 (ko) 파고라형 수목보호구조물
KR102181285B1 (ko) 잔디 생육 지역용 받침 매트
KR101476269B1 (ko) 수직 기둥의 녹화장치
KR102500334B1 (ko)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KR102389261B1 (ko) 수목보호판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