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698A - 용암해수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암해수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698A
KR20200099698A KR1020190017600A KR20190017600A KR20200099698A KR 20200099698 A KR20200099698 A KR 20200099698A KR 1020190017600 A KR1020190017600 A KR 1020190017600A KR 20190017600 A KR20190017600 A KR 20190017600A KR 20200099698 A KR20200099698 A KR 2020009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ar
food
raw material
extract
cul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436B1 (ko
Inventor
윤원종
윤선아
함영민
오대주
한상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9001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4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암해수에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표성분이 큰 편차없이 일정한 양으로 검출될 뿐만 아니라 중금속 함유량이 낮은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암해수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 Raw Material of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Gelidium amansii Cultured with Magma Seawater}
본 발명은 용암해수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를 개별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식약처 고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및 기준·규격 인정에 관한 규정」제4조에 따라 기능성와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입증과 더불어 지표성분이나 기능성분을 통한 원료의 표준화가 요구된다.
지표성분 또는 기능성분은 건강기능식품의 원료 표준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서, 특히 '기능성'을 관리하기 위한 지표이다. 기능성분은 성분자체가 기능성을 나타내어 이 성분이 일정수준 이상 함유된 원료가 해당 기능성을 나타냄을 보여주는 성분을 말하고, 지표성분은 기능성분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원재료를 대표하고 제조공정을 특징지을 수 있는 단일물질로서 기능성분과 마찬가지로 원료의 기능성을 보증하기 위한 성분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성분이나 지표성분은 기능성 원료에 일정한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해조류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때, 수온이나 서식지에 기능성분이나 지표성분의 함량 편차가 심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를 개별적으로 인정받는 데 문제가 되어 왔다. 또 해조류는 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중금속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육상에서 연안수역으로 유입되는 폐수에 함유된 중금속 등에 의하여 오염되어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규격 조건을 만족해야 하므로, 이러한 중금속 오염도 기능성 원료의 개발에 장애가 된다.
한편 제주에서도 동부지역(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에만 분포하는 용암해수는 청정하고 수온이 연중 일정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일반 염지하수나 해수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데, 일반해수와 용암해수의 미네랄 함량 비교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로부터 용암해수는 염분, 마그네슘, 칼슘, 브롬 등의 항목에서는 일반해수와 유사한 점을 나타내지만, 게르마늄, 바나듐, 셀레늄 등의 미량원소 항목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용암해수 원수에 우뭇가사리를 순치(馴致) 배양할 경우 그 추출물에서 지표성분이 큰 편차없이 일정한 양으로 검출될 뿐만 아니라 중금속 함유량이 낮아지는 것을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암해수에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용암해수에 우뭇가사리를 순치 배양하고 얻은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 추출물이 순치 배양 전 우뭇가사리에 비하여 지표성분인 콜레스테롤의 검출량이 많아지고, 그 편차가 작아지며, 중금속 함량이 낮아짐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은 (a) 우뭇가사리를 그 뿌리가 활착되어 있는 석괴(石塊) 채로 채취하는 단계, (b) 채취한 우뭇가사리를 용암해수 원수가 채워진 배양 수조에 옮겨 순치 배양하는 단계, 및 (c)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a) 단계의 우뭇가사리는 제주도 연안 특히 제주도 구좌읍 연안에서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일정 정도 성장한 후인 5월 내지 8월 사이에 채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a) 단계의 우뭇가사리는 그것이 용암해수 원수에서 배양하기 위해서는 뿌리가 활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채취하여야 한다. 따라서 우뭇가사리는 석괴에 그 뿌리가 활착되어 성장하므로 뿌리가 활착되어 있는 석취 채로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b) 단계의 용암해수를 이용한 순치 배양은 우뭇가사리를 그 뿌리가 활착되어 있는 석괴(石塊) 채취하여 용암해수 원수가 채워진 배양 수조에 넣고 특별히 인위적으로 배양을 촉진하기 위한 성분 등의 첨가없이 일정 기간 방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배양시의 수온을 우뭇가시리의 성장에 적합하게 우뭇가사리가 성장하는 시기인 3월 내지 8월 사이의 해수온과 같이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수온은 5℃ 내지 25℃ 사이가 될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17℃ 내지 18℃의 일정 수온을 유지하여 순치 배양하였다. 배양 기간은 10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45일 이하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 용암해수 원수는 채취한 그대로의 원수 또는 부유물질을 제거한 정제 원수일 수 있다. 여기서 용암해수는 또 본 명세서에서, "용암해수"는 발명의 명칭이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미네랄 조성물"인 한국 특허 제0853244호(출원번호: 제10-2008-0027861호)에서 정의되고 설명된 바의 "제주도 동부지역에 부존하고 있는 염지하수"와 같은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제주도 동부지역"은 행정구역상 제주도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을 의미하며, "염지하수"는 일정량 이상 염분이 함유된 지하수를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고기원 등의 논문(고기원 등,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Ⅱ), 2003, 경원대학교;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에서 사용한 염분 농도에 의거 제주도 지하수를 분류한 기준에 따라 저염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00㎲/cm ~17,350㎲/cm)와 염수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350㎲/cm 이상)를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기전도도가 17,350 ㎲/cm 이상 또는 염의 농도가 30‰(permilliage) 이상(통상 해수의 염분 농도가 32 내지 35‰임)인 염수지하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c) 단계의 추출물의 제조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는 혼합용매를 사용할 경우 70% 에탄올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이 수율이 가장 높고 지표성분이 가장 많게 검출되며, 지표성분의 표준편차도 작은 나타났기 때문에 상기 혼합용매는 70% 에탄올 또는 80%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식약처 고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및 기준·규격 인정에 관한 규정」제14조 제5호 가목이 기능성분 또는 지표성분의 규격을, 의도한 검출 표시량의 하한치와 상한치가 표시량의 80~120% 범위로 규정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그러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지표성분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7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c) 단계의 추출물의 제조시 추출용매에 시료인 우뭇가사리를 방치하여 침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그 제조시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원료인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시럽, 겔, 젤리, 바, 필름 등의 제형으로 여러 식품 첨가물과 혼합되어 항비만 건강기능식품으로 제품화 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로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법률에 따른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암해수에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지표성분이 큰 편차없이 일정한 양으로 검출될 뿐만 아니라 중금속 함유량이 낮은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가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세포실험에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 70% 에탄올 추출물이 지방 축적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2는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동물실험에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 70% 에탄올 추출물이 체중 증가를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용암해수에 순치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2018년 5월 제주도 구좌읍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우뭇가사리를, 그 서식지를 달리하여 그 뿌리가 활착되어 있는 석괴(石塊) 채로 3번에 걸쳐 채취하여, 곧바로 용암해수가 채워진 배양 수조에 옮겨 17~18℃의 온도에서 15일 동안 순치하였다. 15일 동안 순치 후 그 우뭇가시리를 수거하고 건조하여 얻은 분말에 30% 내지 80% 에탄올을 가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 동결건조하여 30% 내지 8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 용매의 각 에탄올 함량에 추출 수율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추출 용매의 에탄올 함량에 추출 수율
시료 추출수율(%)
30% 에탄올 추출물 7.26
40% 에탄올 추출물 4.88
50% 에탄올 추출물 8.43
60% 에탄올 추출물 9.72
70% 에탄올 추출물 10.74
80% 에탄올 추출물 10.24
상기 표 2의 결과는 70% 에탄올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이 뚜럿하게 수율이 높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2> 우뭇가사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의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우뭇가사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은 성분 함량이 높고 분석과 검출이 용이한 콜레스테롤로 설정하였고, 지표성분 함량을 위한 시료로서, 우뭇가사리 추출물의 경우 추출 분말을 70% 에탄올에 녹여 10,000ppm으로 희석하고 0.45um 실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검량선 작성을 위한 표준품의 경우는 콜레스테롤(sigma, C8667)를 메탄올에 소량 녹여 30분간 초음파추출 후 각각 메탄올에 200, 100, 50, 25, 12.5ppm으로 희석하고 0.45um 실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분석 실시하였다. 기기 분석 조건은 아래와 같다.
- 분석기기 : Waters Alliance HPLC system
- 검 출 기 : PDA(205nm)
- 컬 럼 : Cadenza CD-C18 3um, 4.6 x 150mm (40℃)
- 유 속 : 1ml/min
- 주 입 량 : 10ul
- 용매 조건 : 아래 표 3
A : H2O B : ACN
용매 조건
Time(min) A(%) B(%)
50 50
10 0 100
40 0 100
41 50 50
55 50 50
각 추출물에 대해 지표성분 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아래 표 4에서 순치 배양하지 아니한 우뭇가사리 30% 내지 80%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아래 표 4의 결과는 제주도 구좌읍 연안에서 서식지를 달리하여 채취한 3개 시료의 우뭇가사리의 순치 배양 전후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 것이다.
지표성분 분석 결과(mg/g)
용매 지표성분(cholesterol) 함량(mg/g)
순치 전 순치 후
30% EtOH N.D. N.D.
40% EtOH 0.14±0.07 0.28±0.09
50% EtOH 0.56±0.24 0.56±0.12
60% EtOH 2.39±0.84 2.53±0.67
70% EtOH 4.21±1.58 4.93±0.57
80% EtOH 4.49±1.62 4.93±0.84
상기 표 4에서 확인되듯이 30% 에탄올 추출물은 지표성분이 검출되지 않았고 70% 에탄올 추출물 및 80% 추출물이 지표성분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순치 배양하지 아니한 우뭇가사리에서 얻은 추출물도 지표성분이 검출되었으나,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에서 얻은 추출물보다 지표성분이 대체로 낮게 나왔으며, 또한 그 지표성분 표준편차도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 얻은 추출물의 경우 순치 배양하지 않은 경우보다 대체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 얻은 추출물이 지표성분을 이용한 원료 표준화에서 매우 유리하고 특히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 7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3> 중금속 함량 측정
중금속 함량은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에 의뢰하여 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정해진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는 수율이 가장 높고, 지표성분이 검출되는 70%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로서는 상기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연안에서 채취한(순치 배양하지 아니한), 순치 전 우뭇가사리 70%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중금속 함량(mg/kg)
중금속 순치 전 순치 후
0.07 0.07
카드뮴 1.59 1.05
비소 5.10 1.95
수은 0.17 0.07
상기 표 5의 결과는 납은 순치 유무에 따라 변하지 않았으나 나머지 중금속은 순치한 경우가 뚜렷하게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4> 항비만 활성 평가
<실시예 4-1> 세포실험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인 3T3-L1(ATCC CL-173)은 10 % BCS DMEM 배지를 넣고 37℃, 5% CO2 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전구지방세포를 24 well plate에 5×104/well의 세포수로 분주한 후 100% confluency 시점이 되면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전구지방세포는 MDI(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Calbiochem 410957), 1 uM dexamethasone (Calbiochem 265005), 1 ug/ml insulin(Sigma I9278))를 포함하는 10% FBS DMEM 배지로 지방세포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배양 48 시간 후, 1 ug/ml insulin이 함유된 10% FBS DMEM으로 이틀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일 마다 4일 동안 10% FBS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유도 동안 실시예의 추출물을 50, 100 ㎍/ml의 농도로 각 배양액에 처리하였고,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정도는 Oil Red O 염색을 통해 1차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지방세포 염색 정도는 510 nm 흡광도에서 ELISA Reader (SPECTRAmax 340PC,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세포의 분화된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지방 축적량에 대해 농도별 2번 반복실험을 통하여 산출하였으며 시료 무처리군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여기서는 원표 표준화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에서 얻은 70% 에탄올 추출물만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2> 동물실험
(1) 실험동물
수컷 5주령의 C57BL/6 mice는 중앙실험동물 (Central Lab. Ani. Inc, Korea)에서 공급받았고, 동물은 실험 당일까지 고형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온도 22±2℃, 습도 55±15%, 12 시간 light-dark cycle의 환경을 유지하며 1 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그룹별 5마리로 나누었고 정상대조군 (ND), 유발대조군 (60% HFD), 양성대조군 (Orilstat ; 30mg/kg), 우뭇가사리 추출물(70%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GaL 100 and 500 mg/kg)으로 총 5그룹이며,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동물실험의 윤리적, 과학적 타당성 검토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제주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Jeju National University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승인을 받았다.
(2) 고지방식이 비만 (DIO) 동물모델 제작 및 시험물질 투여
마우스를 1주간 기본사료로 적응시킨 후 고지방식이 (HFD; 60% kcal fat diet, Research Diets, Inc. USA)를 2주간 섭취하여 평균체중이 26g 이상일 될 때 7주간 양성대조군과 시험물질을 경구투여용 금속제 존대 (Zonde)를 이용하여 위내로 강제 경구투여 하였다. 식이섭취량 및 체중은 매주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여 기록하였으며, 최종 실험 종료 후 심장천자법으로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blood chemistry와 ELISA 분석을 실시하고 간과 지방조직에서 항비만관련 유전자를 Real-time PCR과 Western bol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험 종류 후 간 조직을 적출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에 보관하여 조직염색에 사용하였다.
(3) 고지방식이 비만 동물모델의 체중 및 식이섭취량
- 체중 및 식이섭취량은 매주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 체중 (body weight)
- 체중변화 : 매주 금요일 9시에 측정/기록
- 총 체중 증가량 : Final body wt - initial body wt
- 1일 평균 체중 증가량 = Total body wt gain / days
○ 식이섭취량 (food intake)
- 1일 평균 식이 섭취량 - Total food intake / days
○ 식이효율 (food efficiency ratio, FER)
- FER = [Total weight gain / Total food intake ] x 100
(4) 실험 결과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우뭇가사리 추출물 투여에 따라 체중이 뚜렷하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a) 우뭇가사리를 그 뿌리가 활착되어 있는 석괴(石塊) 채로 채취하는 단계,
    (b) 채취한 우뭇가사리를 용암해수 원수가 채워진 배양 수조에 옮겨 순치 배양하는 단계, 및
    (c)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우뭇가사리의 채취 장소는 제주도 연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10일 내지 45일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추출물의 제조는 70% 내지 80% 에탄올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0017600A 2019-02-15 2019-02-15 용암해수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KR10219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00A KR102193436B1 (ko) 2019-02-15 2019-02-15 용암해수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00A KR102193436B1 (ko) 2019-02-15 2019-02-15 용암해수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698A true KR20200099698A (ko) 2020-08-25
KR102193436B1 KR102193436B1 (ko) 2020-12-21

Family

ID=7224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600A KR102193436B1 (ko) 2019-02-15 2019-02-15 용암해수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4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021A (ko) * 2002-12-24 2004-07-01 김재범 우뭇가사리로부터 얻은 지방세포 (NIH3T3-L1 cell) 분화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
JP2008148621A (ja) * 2006-12-18 2008-07-03 Hamashoku:Kk モズクを陸上で養殖する養殖方法と、モズクの胞子の培養方法。
KR20140029842A (ko) * 2012-08-30 2014-03-11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180071158A (ko) * 2016-12-19 2018-06-27 (주)뉴트리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021A (ko) * 2002-12-24 2004-07-01 김재범 우뭇가사리로부터 얻은 지방세포 (NIH3T3-L1 cell) 분화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
JP2008148621A (ja) * 2006-12-18 2008-07-03 Hamashoku:Kk モズクを陸上で養殖する養殖方法と、モズクの胞子の培養方法。
KR20140029842A (ko) * 2012-08-30 2014-03-11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180071158A (ko) * 2016-12-19 2018-06-27 (주)뉴트리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436B1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98168B (zh) 一种透明质酸复合多肽饮品及其制备方法
KR101811122B1 (ko) 떫은맛이 저감된 아로니아원액과 l-아르기닌을 주원료로하는 젤리 또는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
JP6534443B2 (ja) 竹発酵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免疫賦活用食品組成物又は免疫賦活剤の製造方法
US20210113939A1 (en) Nipa palm extract preparation method and nipa palm extract prepared by means of same
KR102193436B1 (ko) 용암해수로 순치 배양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KR101413328B1 (ko) 미역귀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CN111296782A (zh) 一种火龙果全果粉及其制备方法
US20110196133A1 (en) Grifola-derived low-molecular-weight substance having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nd antitumor activity
KR101351187B1 (ko) 미역귀를 이용한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기능성 화장품
CN104605347A (zh) 一种钙吸收促进剂及含有该促进剂的钙补充剂
KR20180045595A (ko) 흑무 추출물을 이용한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40072418A (ko) 비만 개선용 조성물
KR101814257B1 (ko) 큰천남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257329B1 (ko)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29980B1 (ko) 항비만 활성 및 항고지혈증 활성을 가진 지충이 발효물의 제조방법
CN110669579A (zh) 一种高品质油茶籽油制备方法
KR101067335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e-4 및 이의 발효대사물을 함유하는 칼슘 보충용 조성물
KR20160143938A (ko) 개똥쑥 열수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20150030385A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40145666A (ko) 갈조소, 유근피 및 저분자 알긴산의 천연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824899B1 (en)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hibitor
KR101885949B1 (ko) 광대나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