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502A -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502A
KR20200099502A KR1020200084174A KR20200084174A KR20200099502A KR 20200099502 A KR20200099502 A KR 20200099502A KR 1020200084174 A KR1020200084174 A KR 1020200084174A KR 20200084174 A KR20200084174 A KR 20200084174A KR 20200099502 A KR20200099502 A KR 20200099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power
power supply
control unit
pow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739B1 (ko
Inventor
노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1735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464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7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기기의 전원 온/오프 제어 용도로 구비되는 전원스위치를 이용하여 배터리와 제어부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를 단속하는 제1스위칭소자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스위칭소자는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가 제2모드로 작동되면, 제어부는 제1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키고,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제2경로를 통해 제1스위칭소자가 온되어 제3경로를 통해 배터리의 전원이 제어부로 공급된다.

Description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POWER SUPPLY REGULATOR AND PORTABLE DEVICE THEREWITH}
본 발명은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기는 현대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서,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 냄새입자, 유해가스 등의 화학물질,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체를 걸러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정화기는, 도시화, 산업화, 및 국제화 등의 영향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필수 불가결한 기기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증가, 알레르기 환자의 증가, 및 생활 수준의 향상 등의 영향으로 그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다.
공기정화기가 일반 가정과 같이 100㎡ 이상을 넘어서는 환경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기기의 크기가 크게 되어도 된다. 이러한 기기에는, 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에 대응하는 필터, 가스 등의 화학물질에 대응하는 필터,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에 대응하는 필터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넓은 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필터를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원룸, 차량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이나 공공 도서관 등과 같이 매우 넓은 공간 또는 실외에서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를 사용하는 것은, 공간 활용성, 이동성, 에너지 소모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동이 잦은 사용자에게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보다는 크기가 작으면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가 더 적합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용 기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원하는 장소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휴대용 기기는, 집과 같은 한 장소에서 오래 머물기보다는 외출이 잦거나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생활 패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코드리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용 기기에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터리는 충전 및 방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휴대용 기기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용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은, 이처럼 휴대용 기기의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기기는, 휴대가 쉽고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바탕으로, 단순한 공기 정화 가능 외에도 다른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에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근거리통신모듈이나 LTE 모듈, 와이파이 모듈과 같은 이동통신모듈을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휴대용 기기와 외부 기기 간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용 기기의 상태가 외부 기기를 통해 모니터링될 수도 있고,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무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서는, 휴대용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통신모듈의 동작은 적어도 일부분이라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통신모듈, LTE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과 같은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기기의 경우, 외부 기기에 의해 휴대용 기기의 전원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근거리통신모듈 또는 이동통신모듈이 동작이 지속되고 있어야 한다.
이때 근거리통신모듈 또는 이동통신모듈의 상태는 근거리통신모듈 또는 이동통신모듈이 외부 기기에서 발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만 유지되어도 되므로, 이러한 근거리통신모듈 또는 이동통신모듈의 동작으로 인해 많은 양의 전력이 소비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휴대용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력 소모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용 기기의 실제 작동 가능한 시간이 그만큼 감소될 수 밖에 없다.
더욱이 휴대용 기기가 미사용 상태로 장시간 방치될 경우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원하는 때에 사용하지 못하고 장시간 충전 후에야 사용할 수 있는 불편함이 발생될 뿐 아니라, 배터리가 리튬이온 배터리인 경우 배터리의 수명이 급격하게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가 구입 후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 완료 후 배터리가 충전된 상태로 출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구입 후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품 출하 후 소정 기간 내에는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휴대용 기기의 전력 소모량이 최소 수준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는 배터리가 완전 충전된 상태로 출하된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배터리의 잔량이 60% 이상이 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휴대용 기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근거리통신모듈 또는 이동통신모듈과 같은 구성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물론, 휴대용 기기에 착탈 방식의 배터리가 채용된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와 배터리 간의 접점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겠지만, 배터리가 일체로 장착된 휴대용 기기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어렵다.
선행기술문헌에는,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 보호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의 배터리 보호 회로는, 2차 전지의 과방전 상태 또는 과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수단과, 방전 전류 또는 충전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제1 및 제2 스위치 수단과, 상태 감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수단 도통 및 비도통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태 감지 수단에 공급하는 전원 및 기준 전압원을 차단하기 위한 파워다운 스위치 수단과, 상태 감지 수단에 의해 과방전 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파워다운 스위치 수단을 비도통 상태로 하는 파워다운 수단, 및 과방전 상태에서 다시 충전이 시작된 경우에 파워다운 스위치 수단을 비도통 상태에서 도통 상태로 복귀시키는 파워다운 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배터리 보호 회로는,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가 감지될 때 배터리의 방전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열화가 방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의 배터리 보호 회로는,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가 감지될 때에만 배터리의 방전이 차단되도록 할 뿐 배터리 방전을 임의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선행기술문헌의 배터리 보호 회로는, 제품 출하 후 소정 기간 내에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의 배터리 보호 회로에 따르면, 과방전을 막기 위해 배터리 방전이 차단된 상태에서 다시 배터리 방전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되기 위해서는, 외부에 노출된 접속단자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선행기술문헌의 배터리 보호 회로는,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만 배터리 방전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외부로 노출된 접속단자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선행기술문헌의 배터리 보호 회로는, 충전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사용에 어려움이 있고,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휴대용 기기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한편, 휴대용 기기에 전원스위치와 별개로 마련된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 소모량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 여부만을 별도로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가 전원스위치와 별개로 휴대용 기기에 마련되고, 이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휴대용 기기의 전력 소모량이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원스위치 조작으로는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근거리통신모듈 또는 이동통신모듈을 제외한 휴대용 기기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고, 별도의 스위치 조작으로는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이 단속됨으로써 근거리통신모듈 또는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한 기기 전체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 여부만을 별도로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된 구성은, 배터리 방전을 임의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충전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휴대용 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되는 휴대용 기기의 특성 상, 휴대용 기기에 별도의 스위치가 추가되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크기가 작은 휴대용 기기의 특성 상 별도의 스위치를 추가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좁은 공간에 여러 개의 스위치가 배치되면 스위치들 간의 간격이 좁아져 오조작의 위험성 또한 커지게 된다.
또한 휴대용 기기의 외부에 여러 개의 스위치가 노출됨으로 인해 휴대용 기기의 외관을 심플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을 완전히 차단하는 빈도가 그리 높지 않음을 고려하면, 사용빈도가 낮은 별도의 스위치를 추가하는 것은 그리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일본공개특허 제1002-274945호
본 발명은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기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원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전원차단 상태에서 전원공급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을 위한 별도의 접속단자나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 여부만을 별도로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추가함 없이도 전원차단 상태와 전원공급 상태 간의 전환이 가능한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방전을 임의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품 출하 후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에도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는, 기기의 전원 온/오프 제어 용도로 구비되는 전원스위치를 이용하여 배터리와 제어부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를 단속하는 제1스위칭소자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와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스위칭소자는 제2경로를 통해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가 제2모드로 작동되면, 제어부는 전원스위치와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경로를 통해 전원스위치가 제2모드로 작동되었음을 인식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키고,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제2경로를 통해 제1스위칭소자가 온되어 제3경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제어부로 공급된다.
이를 통해,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기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원차단 기능이 휴대용 기기에 제공될 수 있고,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휴대용 기기가 전원차단 상태에서 전원공급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공급조절장치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은, 기기의 전원 온/오프 제어 용도로 구비되는 전원스위치를 이용하여 기기에 대한 온/오프 제어 외에도 제1스위칭소자에 대한 온/오프 제어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원스위치는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가 제1모드로 작동되면, 제어부는 제1경로를 통해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1모드로 작동되었음을 인식하여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고,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가 제2모드로 작동되면, 제어부는 제1경로를 통해 전원스위치가 제2모드로 작동되었음을 인식하여 제1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킨다.
이를 통해, 기기의 전원 온/오프 제어 용도로 마련된 전원스위치가 제1스위칭소자에 대한 온/오프 제어를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충전을 위한 별도의 접속단자나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 여부만을 별도로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추가함 없이도 전원차단 상태와 전원공급 상태 간의 전환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조절장치는,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원스위치와;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와;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 및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는, 상기 제3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3경로의 단락을 제어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1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1모드로 작동되었음을 인식하여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되었음을 인식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되어 제3경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제어부로 공급된다.
상기 제1스위칭소자는, 게이트가 상기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MOS-FET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스위치의 타측은 제1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게이트의 타측이 상기 전원스위치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조절장치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2경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경로와 제2접지 사이를 연결하는 제4경로를 단속하는 제2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스위칭소자를 오프시켜 상기 제2경로가 상기 제2접지와 분리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스위칭소자를 온시켜 상기 제2경로가 상기 제2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칭소자가 오프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의 게이트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칭소자가 온되면, 상기 제1스위칭소자의 게이트가 상기 제2경로 및 상기 제4경로를 통해 상기 제2접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타측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연결되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1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타측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저항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항체에 전압이 걸리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타측 간의 연결시간을 판단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상기 전원공급조절장치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조절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외부전원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전원감지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로의 전원 공급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되어도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전원감지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로의 전원 공급이 감지되면,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경유하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조절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직류 형태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는, 상기 전원공급조절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1기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는, 외부 기기와 상기 휴대용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해 마련되는 제2기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기능부와 제2기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에서,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1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기능부를 제외한 상기 제1기능부만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기능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LTE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G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기능부는 상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필터모듈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능부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모듈은 공기 질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따르면,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기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원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전원차단 상태에서 전원공급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한 별도의 접속단자나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 여부만을 별도로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추가함 없이도 전원차단 상태(슬립모드)와 전원공급 상태(작동 가능상태) 간의 전환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의 증가로 인해 제품 사이즈가 증가하고 스위치의 오조작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갖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방전을 임의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품 출하 후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에도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감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4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배면 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원공급조절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로 구성 중 제1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회로 구성 중 제2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시된 회로 구성 중 제3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시된 회로 구성 중 제4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진입 관련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전원오프모드 동작시의 제어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전원오프모드 동작시의 회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진입 동작시의 제어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진입 동작시의 회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해제 관련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해제 동작시의 제어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해제 동작시의 회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해제 동작시의 제어 동작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휴대용 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배면 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기기(5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5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50)는, 전면패널(510)과 케이스(520)와 팬커버(530)와 팬 어셈블리(540,545)와 필터모듈(550)과 배터리(560)와 후면패널(570) 및 후면커버(580)를 포함한다.
케이스(520)는, 휴대용 기기(5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520)에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된다.
전면패널(510)은, 케이스(520)의 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패널(510)은, 휴대용 기기(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후면패널(570)은, 케이스(520)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후면패널(570)은, 휴대용 기기(5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휴대용 기기(50)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세워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50)를 세워서 사용하거나 또는 눕혀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와 같이 흔들림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휴대용 기기(50)가 눕혀진 상태로 사용되더라도, 휴대용 기기(50)가 구르지 않고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전방"이라 함은 상기 케이스(520)로부터 상기 전면패널(510)이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으로서 상기 케이스(520)로부터 상기 후면패널(520)이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전면패널(510)은, 휴대용 기기(50)의 최전방에 배치되어 휴대용 기기(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휴대용 기기(5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전면패널(51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를 위해, 전면패널(510)에는 복수개의 토출구(510a)가 마련된다.
케이스(520)는, 휴대용 기기(5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휴대용 기기(50)의 상면, 측면, 저면 외관이 케이스(520)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5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에는, 팬커버(530), 팬 어셈블리(540,545), 배터리(550), 필터모듈(560) 등과 같이 휴대용 기기(5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케이스(520)는, 이와 같이 수용된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팬커버(530)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540,545)의 전방에 배치된다. 즉 팬커버(530)는, 케이스(520) 내부에서 전면패널(510)과 팬 어셈블리(540,545)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팬커버(530)는, 팬 어셈블리(540,545)를 케이스(52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또한 팬커버(530)는, 팬 어셈블리(540,545)에 의해 불어나가는 공기가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전방을 향해 직진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팬 어셈블리(540,545)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커버(530)와 필터모듈(55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팬 어셈블리(540,545)는, 팬커버(530)의 후방 및 필터모듈(55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540,545)는, 휴대용 기기(50)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540,545)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제1영역(S1)에 배치된다. 따라서 팬 어셈블리(540,545)는, 팬커버(530)의 상부커버부(531)와 하부커버부(535) 중 상부커버부(531)의 후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기기(50)에 두 개의 팬 어셈블리(540,545)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50)에는,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가 마련된다.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는, 동일 수직선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팬 어셈블리(530)와 하부팬 어셈블리(535)는, 팬커버(530)에 형성된 공기토출부(532,533)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패널(570)을 통해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로 흡입된 공기는, 상부 공기토출부(532)와 하부 공기토출부(533)를 각각 통과한 후, 전면패널(510)을 통해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상기 하부팬 어셈블리(545)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는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팬 어셈블리(540) 및 하부팬 어셈블리(545)는, 송풍팬(541,546) 및 모터(미도시)을 각각 포함한다.
송풍팬(541,546)은,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일례로서, 송풍팬(541,546)은, 축류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패널(570)을 통해 케이스(5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541,546)의 축방향으로 흡입된 후 송풍팬(541,546)의 축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모터는, 송풍팬(541,546)과 연결되어 송풍팬(541,546)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모터는,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한 BLDC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모듈(550)은,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540,545)와 후면패널(57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필터모듈(550)은, 팬 어셈블리(540,545)의 후방 및 후면패널(57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모듈(550)은, 휴대용 기기(50)의 후방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모듈(550)을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는, 팬 어셈블리(540,545), 팬커버(530), 전면패널(510)을 통과하여 휴대용 기기(50)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배터리(560)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터리(560)는, 휴대용 기기(5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560)는, 팬 어셈블리(540,545), 서브 피씨비(590), 상기 메인 피씨비(595) 및 필터모듈(5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560)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제1영역(S2)에 배치된다. 제1영역(S2)은, 팬 어셈블리(540,545)와 필터모듈(550)이 배치된 제1영역(S1)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제1영역(S2)의 상부 경계면은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제1영역(S2)의 하부 및 측부 경계면은 케이스(520)의 저면부(527)와 측면부(52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영역(S2)에 위치한 배터리(560)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배터리(560)는, 팬커버(530)와 후면커버(58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배터리(560)의 상부에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이 배치되고, 배터리(560)의 전방에는 팬커버(530)의 하부커버부(535)가 배치되며, 배터리(56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580)가 배치된다.
후면패널(570)은, 후면커버(580)와 함께 케이스(520)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휴대용 기기(5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후면패널(570)은, 필터모듈(560)의 후방에 배치된다. 외부의 공기는, 후면패널(570)을 통해 휴대용 기기(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를 위해, 후면패널(570)에는 복수개의 제1흡입구(570a)가 마련된다.
그리고 후면커버(580)는, 후면패널(570)과 함께 케이스(520)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휴대용 기기(5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후면커버(580)는, 배터리(560)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모듈(550)의 배후 영역은 후면패널(570)에 의해 커버된다. 그리고 배터리(560)의 배후 영역은 후면커버(580)에 의해 커버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520)의 상부, 즉 케이스(520)의 상면부(523)에는, 전원버튼(592)이 제공될 수 있다. 전원버튼(592)은, 휴대용 기기(5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조작버튼으로 마련된다.
또한 케이스(520)의 상부에는, 풍량조절버튼(593)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풍량조절버튼(593)은, 휴대용 기기(50)의 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풍량조절버튼(593)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전원버튼(59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은, 제1영역(S1)과 제1영역(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용공간을 상하방향으로 구분했을 때, 상부의 영역이 제1영역(S1)이 되고, 그 하부의 영역이 제1영역(S2)이 된다. 제1영역(S1)과 제1영역(S2)은 물리적으로 구획된 영역은 아니며, 단지 개념적으로만 구분된 영역이라는 것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에 수용된 구성 중,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은 제1영역(S1)에 배치되고, 배터리(550)는 제1영역(S2)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서브 피씨비(590) 및 메인 피씨비(5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피씨비(590)에는, 서브 기판(591)과, 서브 기판(591)에 설치되는 전원버튼(592) 및 풍량조절버튼(593)이 포함된다. 이러한 서브 피씨비(590)는, 메인 피씨비(5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피씨비(590)는, 케이스(520) 내부의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브 피씨비(590)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서브 피씨비(590)에 설치되는 전원버튼(592) 및 풍량조절버튼(593)은, 케이스(520)의 상면부(523)를 관통하여 케이스(5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노출된 버튼들을 조작하여, 휴대용 기기(50)를 온/오프하거나, 휴대용 기기(5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50)는, 휴대용 기기(50)의 하드웨어 모듈 전체를 관리하는 메인 피씨비(5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피씨비(595)는 휴대용 기기(50)의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메인 피씨비(595)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팬 어셈블리(540,545)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메인 피씨비(595)는, 케이스(520) 내부의 제1영역(S2)에 수용되며, 팬커버(530)의 하부커버부(535)와 배터리(5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메인 피씨비(595)는 하부커버부(535)와 나란하게 세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피씨비(595)는, 하부커버부(535)와 배터리(560) 사이에서 하부커버부(535)와 배터리(560)에 의해 전후방향 양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메인 피씨비(595)는, 메인 기판(596)과, 메인 기판(591)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자(59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기판(591)은, 팬 어셈블리(540,545), 배터리(560)와 서브 피씨비(590) 및 센서모듈(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피씨비(595)는, 전원버튼(592) 및 풍량조절버튼(593)을 통해 입력된 명령 또는 센서모듈(600)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부팬 어셈블리(530) 및 상기 하부팬 어셈블리(53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피씨비(595)는, 필터모듈(5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필터(559)가 이오나이저를 포함하는 경우, 메인 피씨비(595)는 이오나이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오나이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필터(529)는 배터리(5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560)로부터 직접 전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센서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600)은,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제1영역(S2)에 배치된다. 이러한 센서모듈(600)은, 배터리(560)와 후면커버(58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센서모듈(600)의 전방에는 배터리(560)가 배치되며, 센서모듈(60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580)가 배치된다.
센서모듈(600)은, 휴대용 기기(50)의 주변 또는 휴대용 기기(50)가 배치된 실내공간의 공기 질을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600)은, 공기 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휴대용 기기(50)의 하드웨어 모듈 전체를 관리하는 메인 피씨비(595)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기기의 통신 및 제어 관련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50)는, 이동 단말기(40) 등과 같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의 수행에 따라, 휴대용 기기(50)는 이동 단말기(40)와 각종 정보나 데이터, 명령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모듈(600)은, 휴대용 기기(50)의 주변 또는 휴대용 기기(50)가 배치된 실내공간의 공기 질을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들은 먼지 센서, 가스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600)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공기 질을 감지하고, 감지데이터를 제어부(680) 또는 이동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기기(50)는 센서모듈(60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 질이 저하됨을 판단하고, 이 경우 자동으로 온 되어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휴대용 기기(50)는 센서모듈(60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 질이 향상됨을 판단하고, 자동으로 오프되어 공기정화 기능을 중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50)의 온/오프는 공기정화 동작의 온/오프를 의미할 수 있고, 통신 동작은 휴대용 기기(50)의 온/오프와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센서모듈(60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 질을 확인하고, 확인된 공기 질에 기초하여 휴대용 기기(50)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기기(50)는 휴대용 기기(50)의 동작 및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이동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기기(50)는 송풍팬의 풍량이나 구동 시간, 필터모듈(550)의 상태, 배터리(560)의 잔량 등의 각종 정보를 이동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따라 휴대용 기기(50)의 온/오프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휴대용 기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휴대용 기기(50)는 센서모듈(600) 또는 이동 단말기(40)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나 명령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50)는 센서모듈(600), 무선 통신부(650), 출력부(660), 메모리부(670), 및 제어부(6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650), 센서모듈(600), 메모리부(670), 및 제어부(680)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피씨비(595; 도 3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650), 메모리부(670), 및 제어부(680)는,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통합 칩(Chip) 형태로 구현되거나, 각각 별도의 칩 또는 회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650)는, 휴대용 기기(50)와 센서모듈(600), 또는 휴대용 기기(50)와 이동 단말기(4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650)는 근거리통신모듈(651), 이동통신모듈(653), 및 위치정보모듈(655)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651)은 센서모듈(600) 또는 이동 단말기(4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통신모듈(651)은 저전력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통신 기능의 수행 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밖에도, 근거리통신모듈(651)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모듈(653)은, 이동 단말기(40) 또는 서버(미도시) 등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모듈(653)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655)은, 휴대용 기기(5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다양한 위성 항법 시스템에 따라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680)는 위치정보모듈(655)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모듈(653)을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5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출력부(660)는, 휴대용 기기(5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나 알림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660)는 정보나 알림을 시각적 형태로 출력하는 광원이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거나, 정보나 알림을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670)는 휴대용 기기(5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나 알고리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부(670)는 센서모듈(600)로부터 획득된 감지데이터로부터 운송수단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비교 데이터(이하, 학습 데이터라 함)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데이터는 탑승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탑승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데이터는 운송수단의 시동이 온 되어 정차 중일 때의 진동 패턴들 또는 가속도 패턴들, 및 운송수단이 주행 중일 때의 진동 패턴들 또는 가속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데이터는, 제품의 출고시 기저장된 형태로 제공되거나, 이동 단말기(40)나 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40)나 서버 등에 의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어부(680)는, 휴대용 기기(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80)는, 공기 정화 동작을 위해 송풍팬,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1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132)는 구동 시 송풍팬에 회전력을 부여하고,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특히 모터(132)가 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BLDC 모터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680)는 풍량 조절 버튼(185)의 조작이나 이동 단말기(40)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되는 풍량 조절 요청, 또는 센서모듈(60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모터(132)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전원공급조절장치(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조절장치(800)는, 배터리와 휴대용 기기(50) 간의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다. 전원공급조절장치(800)는 휴대용 기기(50)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공급조절장치(8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원공급조절장치의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원공급조절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로 구성 중 제1경로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회로 구성 중 제2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시된 회로 구성 중 제3경로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시된 회로 구성 중 제4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800)는, 전원스위치(810)와 제어부(680)와 제1스위칭소자(820)와 제2스위칭소자(830)와 전원공급부(840) 및 외부전원감지부(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스위치(810)는, 휴대용 기기(50)의 전원 온/오프, 휴대용 기기(50)와 배터리(560) 간의 연결 단속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스위치(810)가 전원버튼(592)을 누르는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푸시 스위치(Pusn switch)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원스위치(810)의 일측은 제1접지(815)와 연결되며, 전원스위치(810)의 타측은 후술할 제1경로(a) 및 제2경로(b)와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스위치(810)는, 그 일측과 타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 상태, 그리고 그 일측과 타측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는 오프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810)의 조작은, 전원버튼(59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누르면 전원스위치(810)가 온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전원버튼(592)에서 손을 때면 전원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된다.
상기 전원스위치(810)는,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전원스위치(810)는,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누르는 방식에 따라 다른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누르는 시간에 따라 전원스위치(810)의 작동 모드가 달라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전원스위치(810)의 일측과 타측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연결되면, 즉 전원스위치(810)의 온 상태가 설정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면, 전원스위치(810)가 제1모드로 작동된다. 그리고 전원스위치(810)의 일측과 타측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연결되면, 전원스위치(810)의 온 상태가 설정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전원스위치(810)가 제2모드로 작동된다.
일례로서, 상기 설정시간은 5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5초 미만의 시간동안 누르면 전원스위치(810)는 제1모드로 작동되고,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5초 이상의 시간동안 누르면 전원스위치(810)는 제2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연속으로 누르는 횟수에 따라 전원스위치(810)의 작동 모드가 달라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누르는 힘에 따라 전원스위치(810)의 작동 모드가 달라질 수도 있는 등, 전원스위치(810)의 작동 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다양한 변형례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휴대용 기기(50)의 하드웨어 모듈 전체를 관리하는 메인 피씨비(595;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피씨비(595)는 휴대용 기기(50)의 제어부(68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피씨비(595)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680)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80)에 포함되는 콘트롤러에는, 각각의 경로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핀(A,B,C,D)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핀(1)은 제4경로(d)와 연결되고, 제2핀(2)은 제3경로(c)와 연결되며, 제3핀(3)은 제5경로(e)와 연결되고, 제4핀(4)은 제1경로(a)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조절장치(800)를 이루는 각 구성들은 복수개의 경로(a,b,c,d,e)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스위치(810)의 일측과 제어부(680)의 제4핀(4)은 제1경로(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도 7 참조), 전원스위치(810)의 일측과 제1스위칭소자(820)는 제2경로(b)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배터리(560)와 제어부(680)는 제3경로(c)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도 9 참조), 제2경로(b)와 제2접지(835) 사이는 제4경로(d)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후술할 전원공급부(840) 및 외부전원감지부(850)는, 제5경로(e)를 통해 제어부(68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중, 배터리(560)와 연결되는 제3경로(c)와 전원공급부(840)와 연결되는 제5경로(d)가 도 5에 도시된 전원부(P)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부(P)는 배터리(560)를 통해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 전원공급부(84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이 제어부(680)로 공급되기 위한 통로인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3경로(c)에는, 배터리(560)의 전압을 감지하는 배터리 전압감지부(845)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전압감지부(845)는, 제3경로(c)와 연결된 배터리(560)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해 제3경로(c) 상에 구성된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680)는, 배터리 전압감지부(845)를 통해 감지된 배터리(560)의 전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56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원스위치(810)가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어느 모드로 작동되는지는 제어부(680)에 의해 판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스위치(810)의 온 상태 지속시간에 따라 전원스위치(810)의 작동 모드가 구별될 수 있는데, 제어부(680)는 전원스위치(810)의 온 상태 지속시간을 감지함으로써 전원스위치(810)의 작동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조절장치(800)는, 저항체(8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저항체(860)는, 전원스위치(810)의 일측과 제어부(68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항체(860)가 제1경로(a)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어부(680)는, 상기 저항체(860)에 전압이 걸리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여 전원스위치(810)의 일측과 타측 간의 연결시간, 즉 전원스위치(810)의 온 상태 지속시간을 판단한다.
이에 따르면, 전원스위치(810)가 온 상태일 때에는 제어부(680)의 제4핀(4)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고, 전원스위치(810)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저항체(860)에 전압이 걸림에 따라 제어부(680)의 제4핀(4)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680)는, 제4핀(4)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의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 제4핀(4)에 설정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전원스위치(810)가 제2모드로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측정 결과가 설정시간 미만이라면, 제어부(680)는 전원스위치(810)가 제1모드로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제1스위칭소자(820)는, 제3경로(c) 상에 배치되어 제3경로(c)의 단락을 제어한다. 제1스위칭소자(820)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제3경로(c)의 단락이 제어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560)로부터 제어부(680)로의 전원 공급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스위칭소자(820)는 MOS-FET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스위칭소자(820)는, 게이트(G)가 제2경로(b)를 통해 전원스위치(81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S1)가 제3경로(c)를 통해 배터리(5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D)이 제3경로(c)를 통해 제어부(6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스위칭소자(820)는 P채널 MOS-FET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스위칭소자(820)는, 게이트(G)에 로우(Low)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온 상태가 되고 게이트(G)에 하이(Hihg)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오프 상태가 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배터리(560)는, 제3경로(c)를 통해 제어부(6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경로(c)는 배터리(560)와 제어부(680)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적인 통로이며, 제3경로(c)의 일측은 배터리(560)와 연결되고, 제3경로(c)의 타측은 제어부(680)와 연결되며, 제1스위칭소자(820)는 이러한 제3경로(c) 상에 배치된다.
제2스위칭소자(830)는, 제4경로(d), 즉 제2경로(b)와 제2접지(8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로 상에 배치되어 제4경로(d)의 단락을 제어한다. 제2스위칭소자(830)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제4경로(d)의 단락이 제어되고, 이에 따라 제2경로(b)와 제2접지(835) 간의 연결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스위칭소자(830)는 BJT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스위칭소자(830)는, 베이스(B)가 제어부(680)의 제1핀(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컬렉터(C)가 제4경로(d)를 통해 제2경로(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미터(E)가 제4경로(d)를 통해 제2접지(8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제2스위칭소자(830)는, 베이스(B)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온 상태가 되고 베이스(B)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오프 상태가 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경로(b)와 제4경로(d)가 연결된 접점(5)은, 제2스위칭소자(830)가 온 상태이냐 오프 상태이냐에 따라 그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조절장치(800)는, 연결부(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870)는, 배터리(560)와 제2경로(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870)의 일측이 제3경로(c)의 배터리(560)와 제1스위칭소자(820) 사이 부분과 연결되고, 연결부(870)의 타측이 제2경로(b)의 제1스위칭소자(820)와 접점(5) 사이의 부분과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경로(b)와 제4경로(d) 간의 접점(5)의 상태는, 연결부(870)와 제2스위칭소자(830)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제2스위칭소자(830)가 온 상태일 때에는, 접점(5)이 제2접지(835)와 연결됨에 따라 로우 상태가 되고, 제2스위칭소자(830)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연결부(870)를 통해 배터리(560)와 연결된 상태에서 접점(5)과 제2접지(835) 간의 연결이 끊어짐에 따라 접점(5)은 하이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스위칭소자(830)의 온/오프 동작은, 제어부(6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칭소자(820)가 온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810)가 제2모드로 작동되면, 제어부(680)는 제2스위칭소자(830)를 오프시키고, 이에 따라 제2경로(b)가 제2접지(835)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위칭소자(820)가 오프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810)가 작동되면, 제어부(680)는 제2스위칭소자(830)를 온시키고, 이에 따라 제2경로(b)가 제2접지(8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원공급부(840)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840)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전선과 접속 가능하게 마련된 커넥터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전원공급부(840)는, 제5경로(e)를 통해 제어부(6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840)는, 제3경로(c)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제3경로(c)를 통해 배터리(5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840)는,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배터리(560)와 제어부(6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제어부(680)는, 제3경로(c)를 통해 전원공급부(8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경로(c)를 통해 전원공급부(8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560)는, 제3경로(c)를 통해 제1스위칭소자(820)를 경유하여 전원공급부(8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경로(c)를 통해 전원공급부(8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560)의 충전은, 제1스위칭소자(820)가 온인 상태에서 가능하다.
전원공급부(840)와 제어부(680) 사이에는, 외부전원감지부(850)가 마련될 수 있다. 외부전원감지부(850)는 제5경로(e) 상에 배치되며, 전원공급부(840) 및 제어부(6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외부전원감지부(850)는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제어부(680)는 이러한 외부전원감지부(85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원공급부(840)가 외부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1스위칭소자(820)가 온인 상태에서 외부전원감지부(850)에서 전원공급부(840)로의 전원 공급이 감지되면, 전원스위치(810)가 제2모드로 작동되어도, 제어부(680)는 제1스위칭소자(820)를 오프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1스위칭소자(820)가 오프된 상태에서 외부전원감지부(850)에서 전원공급부(840)로의 전원 공급이 감지되면, 제어부(680)는 오프되어 있던 제1스위칭소자(820)를 온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원공급부(840)와 배터리(560) 사이에는 제1스위칭소자(820)가 배치되며, 전원공급부(84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제1스위칭소자(820)를 경유하여 배터리(56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840)와 제1스위칭소자(820) 사이에는, 컨버터(880)가 구비될 수 있다. 교류 형태로 전원공급부(840)에 입력된 전원은, 컨버터(880)에 의해 직류 형태로 변환된 후 배터리(560) 및 제어부(680)에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560)가 5V 전압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에 따라 컨버터(880)는 교류 형태로 전원공급부(840)에 입력된 전원을 5V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경로(c) 및 제5경로(e) 상에는, 노이즈필터(890)가 설치될 수 있다. 노이즈필터(890)는, 전원공급부(840) 또는 배터리(56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저항과 컨덴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작용, 효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진입 관련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전원오프모드 동작시의 제어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전원오프모드 동작시의 회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진입 동작시의 제어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진입 동작시의 회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해제 관련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해제 동작시의 제어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해제 동작시의 회로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조절장치의 슬립모드 해제 동작시의 제어 동작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기기(50)는, 제1기능부(F1)와 제2기능부(F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제1기능부(F1)는, 전원공급조절장치(8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기기(5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인 것으로 예시되며, 이에 따라 제1기능부(F1)는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능부(F1)는, 휴대용 기기(50)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 공기 질을 감지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모듈(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5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나 알림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660)도 제1기능부(F1)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출력부(660)는, 정보나 알림을 시각적 형태로 출력하는 광원이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거나, 정보나 알림을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기능부(F2)는, 외부 기기와 휴대용 기기(50) 간의 통신을 위해 마련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기능부(F2)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와 외부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해 마련되는 무선통신부(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기능부(F1)는 제어부(68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기능부(F1)는, 제어부(68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2기능부(F2)와 별도로 제어부(68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2기능부(F2)는, 제어부(680)에 의해 직접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구성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기능부(F2)는 휴대용 기기(50)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오프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제어부(680)에 의해 휴대용 기기(50)에 대한 전원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제2기능부(F2)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지 않고, 제어부(680)를 포함한 휴대용 기기(50)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에만 제2기능부(F2)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하, 제어부(680)에 의해 제1기능부(F1)의 온/오프가 제어되어 제1기능부(F1)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상태를 전원오프모드, 제어부(680)와 제2기능부(F2)를 포함한 휴대용 기기(50)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상태를 슬립모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누르면(S110), 전원스위치(810)가 온 상태가 되고(S120), 제어부(680)는 전원스위치(810)의 온 상태가 최소시간(예를 들어 0.05초) 이상 지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최소시간보다 짧게 눌렀다면, 제어부(680)는 이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스위치(81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무시한다(S131).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최소시간보다 길게 눌렀다면, 제어부(680)는 먼저 휴대용 기기(50)가 운전 중인지, 즉 휴대용 기기(50)의 제1기능부(F1)가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휴대용 기기(50)의 제1기능부(F1)가 작동 중이 아닌 상태라면, 즉 휴대용 기기(50)가 전원오프모드 상태라면, 제어부(680)는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1).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어부(680)는 제1기능부(F1)에 대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1기능부(F1)에 대한 전원 온/오프 제어를 실시한다(S142).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1기능부(F1)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전원이 휴대용 기기(50)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휴대용 기기(50)의 전원오프모드가 해제되고, 휴대용 기기(50)는 제1기능, 즉 공기정화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제어부(680)는 배터리(560)의 잔량을 확인하고(S143), 배터리(560)의 잔량이 제1기능부(F1)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어부(680)는 전원스위치(8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무시한다(S144).
만약 배터리(560)의 잔량이 제1기능부(F1)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680)는 제1기능부(F1)에 대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1기능부(F1)에 대한 전원 온/오프 제어를 실시한다(S145). 이로써 휴대용 기기(50)의 전원오프모드가 해제되고, 휴대용 기기(50)는 제1기능, 즉 공기정화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휴대용 기기(50)의 제1기능부(F1)가 작동 중인 상태라면, 즉 휴대용 기기(50)가 전원오프모드에서 해제된 상태라면, 제어부(680)는 전원스위치(810)의 온 상태가 설정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 지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전원스위치(810)가 온된 상태, 즉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을 누른 상태에서는, 제1경로(a)와 연결된 전원스위치(810)의 일측이 제1접지(815)와 연결되고, 이에 따라 로우 신호, 즉 0V 전압 신호가 제어부(680)의 제4핀(4)으로 입력된다.
반면에 전원스위치(810)가 오프된 상태, 즉 전원버튼(592)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경로(a) 상에 구비된 저항체(860)에 전압이 걸림에 따라 하이 신호, 즉 5V의 전압 신호가 제어부(680)의 제4핀(4)으로 입력된다.
제어부(680)는, 로우 신호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제4핀(4)에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제어부(680)는, 로우 신호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제4핀(4)에 입력되면 전원스위치(810)가 제2모드로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로우 신호가 설정시간 미만으로 제4핀(4)에 입력되면 전원스위치(810)가 제1모드로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전원스위치(810)가 제1모드로 작동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680)는 제1기능부(F1)에 대한 전원 온/오프 제어를 실시하고, 이에 따라 제1기능부(F1)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S151). 그 결과 휴대용 기기(50)는 전원오프모드 상태가 된다. 이때 제1기능부(F1)는 오프 상태가 되고, 제2기능부(F2)는 온 상태를 유지하며, 제1스위칭소자(820)도 온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680)로의 전원 공급도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다르게 전원스위치(810)가 제2모드로 작동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680)는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어부(680)는 전원스위치(8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무시한다(S161). 이에 따라 휴대용 기기(50)는 제1기능부(F1)가 작동 중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전원스위치(810)의 제2모드 작동은, 전원공급조절장치(800) 및 휴대용 기기(50)의 상태를 슬립모드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휴대용 기기(50)가 슬립모드 상태가 되면, 제1스위칭소자(820)가 오프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840)와 배터리(560) 간의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이처럼 전원공급부(840)를 통해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1스위칭소자(820)가 오프 상태가 되면, 외부전원에 의해 제어부(680)의 작동 및 그 제어에 의한 제1기능부(F1)의 작동은 계속될 수 있으면서도 배터리(560)의 충전만이 이루어질 수 없는 매우 비효율적인 상태가 되어버린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스위치(810)의 제2모드로 작동되면, 제어부(680)는 이러한 제2모드 신호를 무시하고, 휴대용 기기(50)가 제1기능부(F1)가 작동 중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상태라면, 도 11과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80)는 제1스위칭소자(820) 및 제2스위칭소자(830)를 오프하고(S170), 전원공급조절장치(800) 및 휴대용 기기(50)의 상태가 슬립모드로 변화되도록 전원공급조절장치(800)의 동작을 제어한다(S180). 이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지면, 전원공급조절장치(800) 및 휴대용 기기(50)의 상태가 슬립모드로 변화되어 제1기능부(F1)와 제2기능부(F2), 그리고 제어부(680) 전체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고, 이에 따라 제1기능부(F1)와 제2기능부(F2), 그리고 제어부(680)를 포함한 휴대용 기기(50) 전체가 오프 상태가 된다.
슬립모드 진입과 관련되어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조절장치(8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전원스위치(810)를 통해 송신된 로우 신호가 제어부(680)의 제4핀(4)으로 설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수신되면, 제어부(680)는 이를 통해 전원스위치(810)가 제2모드로 작동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680)가 전원스위치(810)의 제2모드 작동을 인식하면, 제어부(680)의 전원은 오프된다. 제어부(680)의 전원이 오프되면, 제어부(680)의 제1핀(1)을 통해 로우 신호가 송신되고, 이에 따라 제2스위칭소자(830)가 오프된다.
제2스위칭소자(830)가 오프되면, 제2경로(b)와 제2접지(835)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진다. 이때 제2경로(b)는 연결부(870)에 의해 배터리(560)와 연결된 상태이고, 제2경로(b)는 어느 접지와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2경로(b) 상의 접점(5)은 하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2경로(b) 상의 접점(5)이 하이 상태가 됨에 따라, 게이드(G)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고, 이에 따라 제1스위칭소자(820)는 오프된다. 제1스위칭소자(820)가 오프됨에 따라, 제1기능부(F1)와 제2기능부(F2), 그리고 제어부(680)를 포함한 휴대용 기기(50)의 전체 구성과 배터리(56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이로써 제1기능부(F1)와 제2기능부(F2), 그리고 제어부(680)를 포함한 휴대용 기기(50) 전체의 전원이 오프되고, 휴대용 기기(50)의 상태는 슬립모드로 변화된다.
이러한 슬립모드 상태에서는, 휴대용 기기(50)를 구성하는 제1기능부(F1)와 제2기능부(F2) 같은 구성들과 배터리(56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배터리(560)로부터 휴대용 기기(50)로 누설되는 전류의 양이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휴대용 기기(50)의 상태를 슬립모드 상태로 변화시키면, 배터리(560)의 잔량을 효과적으로 오래 유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휴대용 기기(50)의 전원을 켜더라도 그 즉시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휴대용 기기(50)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휴대용 기기(50)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휴대용 기기(50)를 슬립모드 상태로 설정해 놓으면,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전원을 켜는 즉시 휴대용 기기(50)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품 출하시에 휴대용 기기(50)를 슬립모드 상태로 설정해 놓으면, 오랜 시간 후에 제품의 구매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전원을 켜는 즉시 휴대용 기기(50)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조절장치(800)에 따르면, 슬립모드 설정을 위해 배터리(560)를 휴대용 기기(50)로부터 탈거하거나 슬립모드 설정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추가할 필요 없이, 전원 온/오프 조작을 위한 전원스위치(810) 조작만으로 슬립모드 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원공급조절장치(800)는, 배터리(560)가 내장된 휴대용 기기(50)에 적용이 가능하고, 휴대용 기기(50)에 여러 개의 스위치가 배치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 즉 별도 스위치 추가에 필요한 공간 확보 문제, 스위치들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인한 오조작의 위험성, 여러 개의 스위치가 노출됨으로 인해 휴대용 기기(50)의 외관을 심플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기기(50)의 상태가 슬립모드인 상태에서, 슬립모드를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6과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버튼(592)을 눌러(S210), 전원스위치(810)를 온시켜 주면 된다(S220).
전원스위치(810)가 온되면, 제2경로(b)와 제1접지(815)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제2경로(b)와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820)의 게이트(G)에 로우 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제1스위칭소자(820)가 온되어 제3경로(c)를 통한 배터리(560)와 제어부(68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고(S230), 이로써 제어부(68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원스위치(810)가 온되면, 제1스위칭소자(820)가 온되어 배터리(560)의 전원이 제어부(680)로 공급되고, 제어부(680)는 배터리(56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구동이 시작된 제어부(680)는,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제어부(680)는 배터리(560)의 잔량을 확인하고(S250), 배터리(560)의 잔량이 제1기능부(F1) 및 제2기능부(F2)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어부(680)는 전원공급조절장치(800) 및 휴대용 기기(50)를 다시 슬립모드로 복귀시킨다.
슬립모드로의 복귀는 제어부(680)의 전원이 다시 오프됨에 의해 시작될 수 있으며, 제어부(680)의 전원 오프가 이루어진 이후의 과정은, 슬립모드 진입시의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만약 배터리(560)의 잔량이 제1기능부(F1) 및 제2기능부(F2)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80)는 제1핀(1)을 통해 하이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제2스위칭소자(830)가 온된다(S260).
이처럼 제2스위칭소자(830)가 온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에서 손을 떼어 전원스위치(810)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제1스위칭소자(820)의 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S270).
구체적으로, 제2스위칭소자(830)가 온 상태를 유지하면, 제2경로(b)는 제2접지(835)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경로(b) 상의 접점(5)은, 로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스위칭소자(820)는, 게이트(G)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전원버튼(592)에서 손을 떼어 전원스위치(810)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제1스위칭소자(820)의 온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단 한 번의 전원버튼(592) 조작만으로도 슬립모드가 해제되고, 휴대용 기기(50)를 구성하는 모든 기능부(F1,F2)에 배터리(560)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S280).
상기와 같은 슬립모드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공급조절장치(800)의 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조절장치(800)의 회로 구성에 따르면, 제어부(680)의 전원이 오프되고 제어부(680)와 배터리(56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완전히 끊긴 상태에서도, 전원버튼(592)의 조작만으로 제어부(680)의 구동이 재개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배터리 방전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되기 위해서는, 외부에 노출된 접속단자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배터리와의 전기적인 연결도 끊긴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제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 여부만을 별도로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가 전원스위치와 별개로 휴대용 기기에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이러한 별도의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서만 배터리와 제어부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제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조절장치(800)의 회로 구성에 따르면, 전원버튼(592)의 조작만으로 제어부(680)의 구동이 재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능부들(F1,F2)이 다시 배터리(5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560)에 충전이 가능한 상태, 작동 가능상태로 휴대용 기기(50)의 상태가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조절장치(80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슬립모드에서 작동 가능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도 없고,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도 없을 뿐 아니라,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 여부만을 별도로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할 필요도 없다.
즉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오직 전원 온/오프 제어를 위해 마련된 전원버튼(592)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쉽고 빠르게 슬립모드 상태가 되거나 다시 작동 가능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배터리(560)가 내장된 휴대용 기기(50)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원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전원차단 상태에서 전원공급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충전을 위한 별도의 접속단자나 배터리와 기기 간의 연결 여부만을 별도로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추가함 없이도 전원차단 상태(슬립모드)와 전원공급 상태(작동 가능상태) 간의 전환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위치의 증가로 인해 제품 사이즈가 증가하고 스위치의 오조작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배터리 방전을 임의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품 출하 후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에도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감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조절장치(800) 및 휴대용 기기(50)가 슬립모드인 상태에서,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면, 외부전원이 제어부(680)로 공급되어 제어부(680)의 구동이 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구동이 시작된 제어부(680)는, 전원공급부(84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음을 감지하고, 제1스위칭소자(820)를 온시킨다.
이때 제1스위칭소자(820)의 온/오프 제어는, 제어부(680)의 제2스위칭소자(830)에 대한 온/오프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칭소자(820)의 온 상태가 유지되면, 전원공급부(840)와 연결된 외부전원에 의해, 배터리(56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680)는, 배터리(560)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터리(560)의 충전량을 적절한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0 : 이동 단말기
50 : 휴대용 기기
510 : 전면패널
520 : 케이스
530 : 팬커버
540 : 상부팬 어셈블리
545 : 하부팬 어셈블리
550 : 필터모듈
560 : 배터리
570 : 후면패널
580 : 후면커버
590 : 서브 피씨비
592 : 전원버튼
593 : 풍향조절버튼
595 : 메인 피씨비
596 : 메인 기판
597 : 소자
600 : 센서모듈
650 : 무선통신부
651 : 근거리통신모듈
653 : 이동통신모듈
655 : 위치정보모듈
660 : 출력부
670 : 메모리부
680 : 제어부
800 : 전원공급조절장치
810 : 전원스위치
815 : 제1접지
820 : 제1스위칭소자
830 : 제2스위칭소자
835 : 제2접지
840 : 전원공급부
845 : 배터리 전압감지부
850 : 외부전원감지부
860 : 저항체
870 : 연결부
880 : 컨버터
890 : 노이즈필터

Claims (21)

  1.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원스위치;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 및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는, 상기 제3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3경로의 단락을 제어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1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1모드로 작동되었음을 인식하여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되었음을 인식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키는 전원공급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소자는, 게이트가 상기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MOS-FET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되어 제3경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의 타측은 제1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게이트의 타측이 상기 전원스위치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2경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경로와 제2접지 사이를 연결하는 제4경로를 단속하는 제2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스위칭소자를 오프시켜 상기 제2경로가 상기 제2접지와 분리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스위칭소자를 온시켜 상기 제2경로가 상기 제2접지와 연결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소자가 오프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의 게이트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스위칭소자가 온되면, 상기 제1스위칭소자의 게이트가 상기 제2경로 및 상기 제4경로를 통해 상기 제2접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된 상태가 유지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타측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연결되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1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타측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저항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항체에 전압이 걸리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타측 간의 연결시간을 판단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외부전원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전원감지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로의 전원 공급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2모드로 작동되어도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키지 않는 전원공급조절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전원감지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로의 전원 공급이 감지되면,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온시키는 전원공급조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경유하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직류 형태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16. 전원스위치;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 및
    제3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는, 상기 제3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3경로의 단락을 제어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가 작동되었음을 인식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오프인 상태에서 전원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2경로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되어 제3경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공급조절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조절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1기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상기 휴대용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해 마련되는 제2기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가 온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상기 제1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기능부를 제외한 상기 제1기능부만을 온/오프 제어하는 휴대용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LTE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G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능부는, 상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필터모듈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부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은, 공기 질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기기.
KR1020200084174A 2019-02-14 2020-07-08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KR10250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174A KR102507739B1 (ko) 2019-02-14 2020-07-08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54A KR102134644B1 (ko) 2019-02-14 2019-02-14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KR1020200084174A KR102507739B1 (ko) 2019-02-14 2020-07-08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354A Division KR102134644B1 (ko) 2019-02-14 2019-02-14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502A true KR20200099502A (ko) 2020-08-24
KR102507739B1 KR102507739B1 (ko) 2023-03-07

Family

ID=8551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174A KR102507739B1 (ko) 2019-02-14 2020-07-08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26A (ko) 2021-06-22 2022-12-29 노하영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조명 스위치 오프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945A (ja) 2001-03-21 2002-09-25 Ngk Insulators Ltd 高速回転体用円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63900A (ko) *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팬택 전원 제어 장치
KR20120077424A (ko) * 2010-12-30 2012-07-10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모니터링 콘센트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20150036380A (ko) * 2013-05-02 2015-04-07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저전력소모 대기 회로장치, 에어컨 및 에어컨의 제어방법
KR20150122477A (ko) * 2014-04-23 2015-11-0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대기전력 제어 방법
KR20160140275A (ko) * 2015-05-29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전원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945A (ja) 2001-03-21 2002-09-25 Ngk Insulators Ltd 高速回転体用円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63900A (ko) *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팬택 전원 제어 장치
KR20120077424A (ko) * 2010-12-30 2012-07-10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모니터링 콘센트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20150036380A (ko) * 2013-05-02 2015-04-07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저전력소모 대기 회로장치, 에어컨 및 에어컨의 제어방법
KR20150122477A (ko) * 2014-04-23 2015-11-0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대기전력 제어 방법
KR20160140275A (ko) * 2015-05-29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전원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26A (ko) 2021-06-22 2022-12-29 노하영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조명 스위치 오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739B1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084B1 (ko)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JP5160213B2 (ja) スイッチ装置
US5877684A (en) Sensor equipped portable alarm device which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alarm device
EP1528652A3 (en) Portable independent electric power source
CN204268628U (zh) 带蓝牙音响的空气净化器
KR20180063031A (ko)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JP4463131B2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移動体通信端末
KR20200099502A (ko)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EP3376173B1 (en) Environmental sensor
KR102134644B1 (ko)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JP2015175552A (ja) 空気調整システム、及び空気調整装置並びに空気調整方法
KR102016255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102206099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6969804B2 (ja) スマート表示マット
CA2769874C (en) Wireless remote control
TWI730645B (zh) 結合wifi功能的遙控裝置
CN216620203U (zh) 温控装置
CN221149461U (zh) 一款具有辅助照明功能的无线控制开关
KR101715108B1 (ko) 절전형 콘센트
KR100478402B1 (ko) 배터리 충전상태 표시회로
JP2002369394A (ja) 充電システム
JP3019586U (ja) 地震時自動点灯機能付き携帯用ライト
TWM485964U (zh) 吊扇節能控制裝置
JPH11122842A (ja) リモコン装置付き電気機器の待機電力制御回路
KR200363292Y1 (ko) 휴대폰 탈착형 음이온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