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298A -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및 효소 억제제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및 효소 억제제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298A
KR20200098298A KR1020190016249A KR20190016249A KR20200098298A KR 20200098298 A KR20200098298 A KR 20200098298A KR 1020190016249 A KR1020190016249 A KR 1020190016249A KR 20190016249 A KR20190016249 A KR 20190016249A KR 20200098298 A KR20200098298 A KR 20200098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omen
substitute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benzylideneamino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염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8298A/ko
Publication of KR2020009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0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311/0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 C07D311/1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substituted otherwise than in position 3 or 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활성 산소를 억제, 탄산탈수소 효소 활성 저해에 우수한 효과를 통해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Description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및 효소 억제제로서의 용도{NOVEL (E)-4-(SUBSTITUTED-BENZYLIDENEAMINO)-2H-CHROMEN-2-ONE DERIVATIVES COMPOUND AND USE AS ENZYME INHIBITORS}
본 발명은 탄산탈수소 효소 II를 저해하는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탄산탈수소 효소 (Carbonic anhydrase, CA)는 활성 부위에 아연 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효소로, 탄산수소염 및 플로톤으로의 탄산의 가역적 수화를 촉매하여 생체 내의 pH 항상성의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 패밀리에 속하는 효소이다. 탄산탈수소 효소 II는 많은 이소형이 존재하며, 녹내장, 비만, 암, 간질, 고도병 및 골다공증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있어 중요한 치료 표적이다. 이처럼 탄산탈수소 효소가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므로 탄산탈수소 효소의 잠재적 저해제로서의 작은 유기 분자의 가능성을 살피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비치환된 설폰아마이드는 탄산탈수소 효소의 억제를 위한 약물을 고안하는 데에 있어 가장 유망하다.
2H-1-벤조피란-2-온으로도 알려진 쿠마린은 산소 함유 헤테로사이클의 한 종류로서, 1820년에 Tonka 콩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쿠마린은 항응고제, 피부 감광제, 혈관 확장제, 항균제, 항염증제, 살충제, 진정제 및 최면제, 진통제 등에 이용되며, 식품, 화장품 및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쿠마린 유도체는 N-메틸-N-니트로소요소(N-methyl-N-nitrosourea), 아플라톡신 B1 및 쥐에서의 7,12-디메틸벤젠(a)안트라센-유발 유방암 발병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쿠마린과 그 유사체는 생물학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3-아미노쿠마린 모티프는 novobiocin, chlorobiocin, coumermycin과 같은 많은 항생제의 구조에서 발견되며, 4-아미노쿠마린 유도체는 멜라닌-집중 호르몬 수용체 길항제로서 강하게 작용하는 반면, 4-아미노-3-(2-메틸벤질)쿠마린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진다.
시프 염기(이민)은 아민과 알데하이드의 축합 생성물로서 1864년 Hugo Schiff가 발견하였다. 헤테로사이클릭 잔기를 함유하는 시프 염기는 약리학적으로 다양하게 응용되며, 항박테리아, 항경련제, 항산화제, 진정 작용 및 항암 작용 때문에 약물 개발 및 연구에서 중요하다.
미국 특허등록공보 US9,791,463호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2/0142682호
J.Pharm.Sci.,(1992),vol.81,no.9,pp 964-066
본 발명의 목적은 탄산탈수소 효소 (Carbonic anhydrase, CA) 억제제로서의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화학식 1의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비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할로겐, -OH, -C1-C4알킬, -NO2, 페녹시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아릴이다.
상기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이다.
상기 -C1-C4알킬은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또는 sec-부틸이다.
상기 -C1-C4알콕시는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또는 sec-부톡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이다.
상기 R은 바람직하게 비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F, -Cl, -Br, -NO2, 메틸, 페녹시 또는 메톡시로 치환된 페닐이다.
상기 R은 바람직하게 비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톡시 또는 -OH로 치환된 나프틸이다.
구체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및
Figure pat00011
.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 구조 실시예 구조
1
Figure pat00012
2
Figure pat00013
3
Figure pat00014
4
Figure pat00015
5
Figure pat00016
6
Figure pat00017
7
Figure pat00018
8
Figure pat00019
9
Figure pat00020
10
Figure pat00021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의약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칼슘, 포타슘, 소듐 및 마그네슘 등으로 제조된 무기이온염, 염산, 질산, 인산, 브롬산, 요오드산, 과염소산 및 황산 등으로 제조된 무기산염;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젖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글루쿠론산,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하이드로 아이오딕산 등으로 제조된 유기산염;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나프탈렌설폰산 등으로 제조된 설폰산염; 글리신, 아르기닌, 라이신 등으로 제조된 아미노산염; 및 트리메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암모니아, 피리딘, 피콜린 등으로 제조된 아민염 등이 있으나, 열거된 이들 염에 의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염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는 하기 반응식 1의 반응 경로를 통해 순차적 또는 수렴적 합성 경로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22
반응 1에서 (1)의 4-하이드록시쿠마린을 암모늄 아세테이트와 반응시켜 (2)의 4-아미노쿠마린을 합성하고, 이에 앞서 언급된 R기로 적절하게 치환된 알데히드(3)를 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 (2)의 4-아미노쿠마린 및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의 합성경로는 상기 반응식에 기재된 순서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시되는 방법 또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하기 반응식의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출발 물질은 시판되거나, 하기 제시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중간체의 단리 및 정제는, 제약업계에서 사용되는 적합한 분리 또는 정제 절차, 예를 들어 여과, 추출, 결정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후막 크로마토그래피, 분취용 저압 또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 절차의 조합으로 달성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비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할로겐, -OH, -C1-C4알킬, -NO2, 페녹시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아릴이다.
상기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이다.
상기 -C1-C4알킬은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또는 sec-부틸이다.
상기 -C1-C4알콕시는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또는 sec-부톡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이다.
상기 R은 바람직하게 비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F, -Cl, -Br, -NO2, 메틸, 페녹시 또는 메톡시로 치환된 페닐이다.
상기 R은 바람직하게 비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톡시 또는 -OH로 치환된 나프틸이다.
구체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R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gure pat00024
,
Figure pat00025
,
Figure pat00026
,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
Figure pat00029
,
Figure pat00030
,
Figure pat00031
,
Figure pat00032
, 및
Figure pat00033
.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탄산탈수소 효소 II는 활성 부위에 아연 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효소로, 탄산수소염 및 플로톤으로의 탄산의 가역적 수화를 촉매하여 생체 내의 pH 항상성의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 패밀리에 속하는 효소이다.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이란 탄산탈수소 효소의 비정상적 활성에 따른 질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안질환, 특히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질환의 비제한적으로 관절염, 골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낭창, 염증성 장 질병 등뿐만 아니라 염증성 기도 질병, 예컨대 특발성 폐 섬유증(IPF),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또는 만성 기관지 천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호흡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호흡계 질환은 비제한적으로 상이한 병인의 다른 미만성 조직질실성 폐 질병, 예컨대 의원성 약물-유도 섬유증, 직업적 및/또는 환경적 유도된 섬유증, 전신병 및 혈관염, 육아종성 질병(유육종증, 과민성 폐렴), 콜라겐 혈관 질병, 폐포 단백질증, 랑게르한스 세포 육아종증, 림프관평활근종증, 유전병(헤르만스키-푸드락(Hermansky-Pudlak) 증후군, 결절성 경화증, 신경섬유종증, 대사 축적병, 가족성 간질성 폐 질병), 방사선 유발 섬유증, 규폐증, 석면 유도된 폐 섬유증 또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의 비제한적인 예는 유방암, 난소암, 폐암, 전립선암, 중피종, 신경교종, 위장관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활성 산소를 억제,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저해 등을 통해 질환의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패치제, 액제, 환약, 캡슐, 과립, 정제, 좌제 등일 수 있다. 이들 제제는 당 분야에서 제제화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다양한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0.01 내지 10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외에 동일 또는 유사한 약효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라는 용어는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의 치료에 유효한 상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의 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징후의 발현 전에 질병 그 자체를 다룰 뿐만 아니라, 이의 징후를 저해하거나 피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질환의 관리에 있어서, 특정 활성 성분의 예방적 또는 치료학적 용량은 질병 또는 상태의 본성(nature)과 심각도, 그리고 활성 성분이 투여되는 경로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용량 및 용량의 빈도는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적합한 용량 용법은 이러한 인자를 당연히 고려하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함께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추가적인 활성 제제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투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활성제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함께 시너지 효과 또는 보조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음료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허용되는 보조제, 희석제, 담체 등을 혼합할 수 있으며, 기타 활성제제와 함께 복합 제제로 제조되어 활성 성분들의 상승 작용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용도, 치료방법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활성 산소를 억제, 탄산탈수소 효소 활성 저해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따라서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들의 탄산탈수소 효소에 대한 도킹 에너지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실시예 3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도킹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위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4-히드록시쿠마린, 아세트산 암모늄, 방향족 알데히드, 무수에틸알코올, 아세트산, 모든 합성 출발물질, 시약은 분석 시약 등급을 가지거나 상업적으로 살 수 있는 것들 중에 가장 좋은 품질이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Sigma Aldrich Chemical Co and Merck Germany로부터 구입하였고,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에탄올은 700℃에서 900℃로 예열된 산화칼슘에서 건조되고 증류하였으며, Rf 값은 Merck (독일)의 사전 코팅 된 실리카겔 알루미늄 플레이트 60F254를 사용하여 결정하였고, 녹는 점은 열린 유리 모세관에서 Gallenkamp 융점 장치 (MP-D)를 사용하여 결정하였고 보정하지 않았다. IR spectra는 순수한 화합물로서 Bio-Rad-Excalibur Series 모델 번호 FTS 300 MX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였고, 1H-NMR 스펙트럼은 Bruker 300 MHz 또는 400 MHz 분광기를 사용하였으며, 13C-NMR 스펙트럼은 내부 기준 표준으로 테트라메틸실란 (TMS)을 쓰는 100MHz NMR 분광기를 사용하였고, 원소 분석은 LECO-183 CHNS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
이의 구체적 반응은 반응식 1에서 설명으로 나타내었다.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을 합성하기에 앞서 4-아미노쿠마린 합성을 수행하였다. 4-하이드록시쿠마린 (0.53 g)과 암모늄 아세테이트 (3.85 g)를 반응이 적은 용매를 이용하여 오일배스 내, 130℃에서 5시간동안 반응시켜 4-아미노쿠마린을 합성하였다. 반응을 TLC로 모니터하고, 완료 후, 생성된 액체를 실온에서 냉각시킨 다음 물을 첨가하였다. 조생성물을 여과 수집하고 에탄올 용매로부터 재결정시켜 아래와 같은 4-아미노쿠마린을 얻었다.
옅은 노란색 고체, 수율 : 77 %; m.p: 236℃; Rf = 0.68 (chloroform: methanol (4:2), IR (Pure) cm - 1: 3245 (N-H), 3043 (Csp2-H), 1713 (C = O), 1567, 1498 (C = C Ar).
1HNMR (300 MHz, DMSO-d6): δ (ppm) 7.6 (s, 2H, NH2), 8.00 (d, 1H, J = 8.0 Hz, H-5), 7.68 (m, 1H, H-7), 7.34-7.54 (m, 2H, H-6, H-8), 5.20 (s, 1H, C-H, H-3).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은 시프 염기 또는 상기 4-아미노쿠마린의 아조메틴 유도체이다. 1-2 방울의 아세트산 촉매의 존재 하에, 건조 증류된 에탄올 (20 mL)에서 적절하게 치환된 알데히드 (3)(1.0 mol)와 상기 (2)의 4-아미노쿠마린 (1.0 mol)의 화학양론적 양의 축합 반응 혼합물을 12-17시간 동안 환류하여 제조하였으며, 반응의 진행은 TLC로 모니터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물을 분쇄된 얼음 상에 붓고 침전물을 여과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진공으로 농축시켜 부피가 큰 아릴기를 가진 알데히드와 쿠마린 모티프 사이의 입체 장애가 가장 적어 가장 안정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최고의 수율로 원하는 실시예 1 내지 10의 화합물을 얻었다.
1. (E)-4-(4-클로로-3-니트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Chloro-3-nitrobenzylideneamino)-2H-chromen-2-one]
노란색 고체, 수율 : 67 %; m.p: 180℃; Rf: 0.80 (n-Hexane: Ethyl acetate 1:1); IR (pure, cm - 1): 3197 (Csp2-H), 1716 (C = O), 1598 (C = N), 1612, 1523 (C = C Ar), 751 (C-Cl).
1HNMR (300 MHz, DMSO-d6): δ (ppm) 8.38 (s, 1H, -N = CH-), 8.11 (d, 1H, J = 8.1 Hz, H-5), 7.59 (m, 1H, H-7), 7.32-7.45 (m, 2H, H-6, H-8), 8.6 (s, 1H, Ar-H), 7.92 (d, 1H, J = 7.6 Hz, Ar-H), 7.59 (d, 1H, J = 7.6 Hz, Ar-H), 6.21 (s, 1H, C-H, H-3).
13CNMR (75 MHz, DMSO-d6): 164.3 (HC = N), 161.4 (C = O), 153.1, 151.4, 148.7, 137.6, 133.8, 131.7, 130.2, 130.5, 126.6, 122.7, 121.8, 118.4, 115.1 (Ar-Cs), 104.9 (C-3) Anal. Calcd. for C16H9ClN2O4: C, 58.46; H, 2.76; N, 10.79 found: C, 58.44; H, 2.73; N, 10.76.
2. (E)-4-(4-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Chlorobenzylideneamino)-2H-chromen-2-one]
하얀색 고체, 수율: 50 %; m.p: 251℃; Rf: 0.61 (n-Hexane: Ethyl acetate 1:1), IR(pure, cm - 1): 3201 (Csp2-H),1724 (C = O), 1635 (C = N), 1612, 1596 (C = C Ar), 743 (C-Cl).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8.22 (s, 1H, -N = CH-), 8.05 (d, 1H, J = 8.0 Hz, H-5), 7.66 (m, 1H, H-7), 7.30-7.50 (m, 2H, H-6, H-8), 7.75 (d, 2H, J = 7.4 Hz, ArH), 7.54 (d, 2H, J = 7.4 Hz, Ar-H), 6.12 (s, 1H, C-H, H-3).
13C NMR (75 MHz, DMSO-d6): 165.2 (HC = N), 163.2 (C = O), 154.3, 150.7, 136.8, 133.4, 132.2, 130.6, 129.8, 123.7, 123.4, 117.8, 114.1 (Ar-Cs), 103.2 (C-3) Anal. Calcd. for C16H10ClNO2: C, 67.74; H, 3.55; N, 4.94 found: C, 67.71; H, 3.51; N, 4.91.
3. (E)-4-(4-벤질옥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Benzyloxybenzylideneamino)-2H-chromen-2-one]
주황색 고체, 수율: 52 %; m.p: 190℃; Rf: 0.62 (n-Hexane: Ethyl acetate 1:1), IR(pure, cm - 1): 3112 (Csp2-H), 2843 (Csp3-H), 1714 (C = O), 1612 (C = N), 1596, 1483 (C = C Ar), 1212 (C-O-C)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8.57 (s, 1H, -N = CH-), 8.2 (d, 1H, J = 8.2 Hz, H-5), 7.62 (m, 1H, H-7), 7.39-7.54 (m, 2H, H-6, H-8), 7.56 (d, 2H, J = 7.9 Hz, Ar-H), 6.89 (d, 2H, J = 7.9 Hz, Ar-H), 7.12- 7.19 (m, 5H, Ar-H), 6.32 (s, 1H, C-H, H-3), 4.93 (s, 2H, OCH2).
13C NMR (75 MHz, DMSO-d6): 167.9 (HC = N), 164.2 (C = O), 160.1, 155.7, 153.6, 140.2, 132.7, 130.6, 129.3, 128.7, 127.7, 126.3, 124.6, 123.8, 118.7, 116.4, 114.3 (Ar-Cs), 101.2 (C-3), 71.7 Anal. Calcd. for C23H17NO3: C, 77.73; H, 4.82; N, 3.94 found: C, 77.70; H, 4.80; N, 3.91.
4. (E)-4-(4-메틸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Methylbenzylideneamino)-2H-chromen-2-one]
옅은 주황색 고체, 수율: 59 %; m.p: 241℃; Rf: 0.41 (n-Hexane: Ethyl acetate 1:1), IR (pure, cm - 1): 3157 (Csp2-H), 2922 (Csp3-H), 1648 (C = O), 1600 (C = N), 1533, 1408 (C = C A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7.90 (s, 1H, -N = CH-), 7.87 (d, 1H, J = 8.1 Hz, H-5), 7.56 (m, 1H, H-7), 7.34-7.45 (m, 2H, H-6, H-8), 7.28-7.32 (m, 4H, Ar-H), 6.30 (s, 1H, C-H, H-3), 2.27 (s, 3H,CH3).
13C NMR (100 MHz, DMSO-d6): 167.3 (HC = N), 165.1 (C = O), 152.8, 142.1, 138.9, 132.6, 131.6, 129.6, 127.0, 123.7, 123.5, 119.8, 116.0 (Ar-Cs), 104.2 (C-3), 20.9 (CH3) Anal. Calcd. for C17H13NO2: C, 77.73; H, 4.82; N, 3.94 found: C, 77.70; H, 4.80; N, 3.91.
5. (E)-4-((2,3,6,7-테트라메톡시나프탈렌-1-일)메틸렌아미노)-2H-크로멘-2-온 [(E)-4-((2,3,6,7-tetramethoxynaphthalen-1-yl) methyleneamino)-2H-chromen-2-one]
노란색 고체, 수율: 78 %; m.p: 218℃; Rf: 0.78 (n-Hexane: Ethyl acetate 1:1), IR (pure, cm - 1): 3288 (Csp2-H), 1715 (C = O), 1612 (C = N), 1652, 1513 (C = C Ar), 1167 (C-O-C).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8.99 (s, 1H, -N = CH-), 8.10 (d, 1H, J = 8.0 Hz, H-5), 7.98 (m, 1H, H-7), 7.56-7.74 (m, 2H, H-6, H-8), 7.06 (s, 1H, Ar-H), 6.19 (s, 2H, Ar-H), 6.12 (s, 1H, C-H, H-3), 3.71 (s, 12H, OCH3).
13C NMR (75 MHz, DMSO-d6): 168.1 (HC = N), 162.3 (C = O), 151.6, 150.7, 150.1, 150.0, 149.4, 148.5, 132.1, 128.9, 128.6, 127.4, 127.2, 117.8, 114.6, 108.8, 106.5, 105.0 (Ar-Cs), 107.3 (C-3), 56.5 (OCH3) Anal. Calcd. for C24H21NO6: C, 68.73; H, 5.05; N, 3.34 found: C, 68.71; H, 5.01; N, 3.31.
6. (E)-4-(4-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Methoxybenzylideneamino)-2H-chromen-2-one]
하얀색 고체, 수율: 49 %; m.p: 238℃; Rf: 0.61 (n-Hexane: Ethyl acetate 1:1), IR (pure, cm - 1): 3212 (Csp2-H), 2841 (Csp3-H), 1710 (C = O), 1567 (C = N), 1698, 1523 (C = C Ar), 1270 (C-O-C).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8.87 (s, 1H, -N = CH-), 8.2 (d, 1H, J = 8.1 Hz, H-5), 7.71 (m, 1H, H-7), 7.34-7.61 (m, 2H, H-6, H-8), 7.61 (m, 2H, Ar-H), 6.91 (m, 2H, Ar-H), 6.13 (s, 1H, C-H, H-3), 3.79 (s, 3H, OCH3).
13C NMR (75 MHz, DMSO-d6): 166.1 (HC = N), 163.3 (C = O), 162.1, 151.6, 149.3, 133.6, 131.5, 127.1, 124.6, 123.9, 117.3, 115.2, 114.9 (Ar-Cs), 101.2 (C-3), 56.2 Anal. Calcd. for C17H13NO3: C, 73.11; H, 4.69; N, 5.02 found: C, 73.10; H, 4.66; N, 5.00.
7. (E)-4-(2,4-디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2,4-Dichlorobenzylideneamino)-2H-chromen-2-one]
연한 갈색 고체, 수율: 65 %; m.p: 210℃; Rf: 0.51 (n-Hexane: Ethyl acetate 1:1), IR (pure, cm - 1): 3218 (Csp2-H), 1715 (C = O), 1599 (C = N), 1623, 1597 (C = C Ar), 676 (C-Cl).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8.76 (s, 1H, -N = CH-),8.12 (d, 1H, J = 8.0 Hz, H-5), 7.65 (m, 1H, H-7), 7.38-7.49 (m, 2H, H-6, H-8), 7.63 (d, 1H, J = 8.3 Hz, Ar-H), 7.35 (s, 1H, Ar-H), 7.23 (d, 1H, J = 8.3 Hz, Ar-H), 6.11 (s, 1H, C-H, H-3).
13C NMR (75 MHz, DMSO-d6): 169.2 (HC = N), 166.3 (C = O), 155.6, 154.2, 139.7, 136.4, 133.8, 133, 132.6, 131.5, 128.1, 125.6, 122.1, 118.2, 144.9 (Ar-Cs), 104.3 (C-3) Anal. Calcd. for C16H9Cl2NO2: C, 60.40; H, 2.85; N, 4.40 found: C, 60.38; H, 2.81; N, 4.38.
8. (E)-4-(4-벤질옥시-3-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Benzyloxy-3-methoxybenzylideneamino)-2H-chromen-2-one]
황백색 고체, 수율: 96 %; m.p: 227℃; Rf: 0.31 (n-Hexane: Ethyl acetate 2:1), IR (pure, cm - 1): 3273 (Csp2-H),2852 (Csp3-H), 1713 (C = O), 1598 (C = N), 1632, 1563 (C = C Ar), 1235 (C-O-C).
1HNMR (300 MHz, DMSO-d6): δ (ppm) 8.98 (s, 1H, -N = CH-), 8.31 (d, 1H, J = 8.1 Hz, H-5), 7.76 (m, 1H, H-7), 7.37-7.45 (m, 2H, H-6, H-8), 7.4 (d, 1H, J = 7.8 Hz, Ar-H), 7.19-7.29 (m, 5H, Ar-H), 7.20 (s, 1H, Ar-H), 6.8 (d, 1H, J = 7.8 Hz, Ar-H), 6.21(s, 1H, C-H, H-3), 4.93 (s, 2H, OCH2), 3.81 (s, 3H, OCH3).
13CNMR (75 MHz, DMSO-d6): 168.2 (HC = N), 164.3 (C = O), 153.1, 152.3, 150.5, 150.2, 142.3, 135.3, 130.2, 128.9, 128.6, 127.9, 124.6, 123.5, 122.1, 118.3, 116.2, 114.5, 114.1 (Ar-Cs), 103.2 (C-3), 71.5, 55.3Anal. Calcd. for C24H19NO4: C, 74.79; H, 4.97; N, 3.63 found: C, 74.74; H, 4.92; N, 3.60.
9. (E)-4-(2-브로모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2-Bromobenzylideneamino)-2H-chromen-2-one]
황백색 고체, 수율: 36 %; m.p: 195℃; Rf: 0.67 (n-Hexane: Ethyl acetate 1:1), IR (pure, cm - 1): 3224 (Csp2-H), 1719 (C = O), 1612 (C = N), 1667, 1534 (C = C Ar), 798 (C-Br).
1HNMR (300 MHz, DMSOd6): δ (ppm) 8.99 (s, 1H, -N = CH-), 8.31 (d, 1H, J = 8.0 Hz, H-5), 7.71 (m, 1H, H-7), 7.40-7.55 (m, 2H, H-6, H-8), 7.35-7.67 (m, 4H, ArH), 6.01 (s, 1H, C-H, H-3).
13CNMR (75 MHz, DMSO-d6): 170.2 (HC = N), 164.3 (C = O), 156.1, 153.2, 136.4, 134.6, 132.8, 132.4, 132, 128.9, 126.2, 125.3, 120.9, 119.2, 115.1 (Ar-Cs), 105.1 (C-3) Anal. Calcd. for C16H10BrNO2: C, 58.56; H, 3.07; N, 4.27 found: C, 58.54; H, 3.04; N, 4.25.
10. (E)-4-((2-히드록시나프탈렌-1-일)메틸렌아미노)-2H-크로멘-2-온 [(E)-4-((2-Hydroxynaphthalen-1-yl)methyleneamino)-2H-chromen-2-one]
패럿 그린(parrot green) 고체, 수율; yield: 40 %; m.p: 256℃; Rf: 0.71(n-Hexane: Ethyl acetate 1:1), IR (pure, cm - 1): 3430 (O-H broad), 3218 (Csp2-H), 1702 (C = O), 1622(C = N), 1598, 1455 (C = C Ar), 1205 (C-O-C).
1HNMR (300 MHz, DMSO-d6): δ (ppm) 10.78 (s, 1H, OH), 9.11 (s, 1H, -N = CH-), 8.63 (d, 1H, J = 8.1 Hz, H-5), 8.11 (m, 1H, H-7), 7.39-7.51 (m, 2H, H-6, H-8), 7.21-7.77 (m, 6H, Ar-H), 6.96 (s, 1H, C-H, H-3).
13CNMR (75 MHz, DMSO-d6): 166.2 (HC = N), 161.9 (C = O), 158.7, 157.2, 155.3, 136.1, 133.5, 132.4, 130.2, 129.1, 127.7, 126.3, 124.7, 124.1, 123.9, 118.4, 117.5, 115.3, 110.6 (Ar-Cs), 106.1 (C-3) Anal. Calcd. for C20H13NO3: C, 76.18; H, 4.16; N, 4.44 found: C, 76.16; H, 4.14; N, 4.42.
실시예 11. 탄산탈수효소 검정
시프 염기를 함유한 크로멘을 생체 외 (in vitro) 활성에서의 탄산탈수소 효소 II 저해에 대해 평가하였다. 상기 방법은 p-니트로페닐 아세테이트가 탄산 탈수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을 때, 황색의 p-니트로페놀을 형성하는 원리에 기초한다. 반응 혼합물은 웰당 120 μL의 50 mM Tris-sulfate 완충액 (pH 7.6, 0.1 mM ZnCl2를 함유), 20 μL의 억제제 및 20 μL (50 U)의 Bovine 효소를 함유하였다. 내용물을 잘 혼합하고 25℃에서 10분간 미리 배양하였다. 기질 p-니트로페닐 아세테이트 (완충제 중 5 % 미만의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6 mM 축적액을 매회 사용함)를 준비하고 웰당 40 μL를 첨가하여 웰당 0.6 mM 농도를 달성하였다. 총 반응 부피는 200 μL로 만들었다. 25℃에서 30 분간 배양한 후, 내용물을 혼합하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34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세테졸아미드를 기준 저해제로 사용하고 트리스-황산염 완충액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농도는 세가지 독립적인 실험에서 분석하였다.
GraphPad Prism 5.0을 사용하여 비선형 회귀 분석에 의해 IC50 값을 계산하였다.
Inhibition (%) = [(B - S)/B Х 100] (1)
여기서 B와 S는 블랭크와 샘플의 흡광도이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탄산탈수소 효소 II IC 50 (μM)
1 0.3407 ± 0.020
2 0.1335 ± 0.0078
3 0.0928 ± 0.00545
4 0.2865 ± 0.0168
5 0.4065 ± 0.0238
7 0.4208 ± 0.0247
9 0.4777 ± 0.0280
10 0.1496 ± 0.0087
아세테졸아미드 0.997 ± 0.0586
위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합성된 화합물들은 모두 탄산탈수소 효소 II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실시예 3의 화합물이 가장 강력한 효능을 갖는 유도체로, 아세테졸아미드보다 10배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이민 모이어티는 탄산탈수소 효소 II 억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크로멘의 락톤 고리도 탄산탈수소 효소 II 억제를 도왔다. 실시예 1 내지 10의 화합물은 페닐 고리상의 다양한 전자 교란기를 갖는다. 모노 및 디클로로 치환된 유도체인 실시예 2와 실시예 7를 비교하면, 모노 치환된 실시예 2의 화합물의 효능이 더 우수하였다. 모노 브롬의 실시예 9의 화합물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까지는 모노 클로린의 실시예 2의 화합물이 더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메틸 함유 화합물인 실시예 4의 화합물은 탄산탈수소 효소 II에 대한 하여 유의한 효능을 보였고, 실시예 1의 화합물 유도체는 2개의 전자 구인성 그룹을 보유하여 3개의 전자 공여성 메톡시 그룹을 갖는 실시예 5의 화합물에 비해 고무적인 억제 효능을 보였다.
실시예 12. 자유라디칼 소거 검정
2,2-디페닐-1-피크릴히드라질(DPPH) 분석법을 수정하여 라디칼 소거(Radical scavenging) 활성을 측정하였다. 분석 용액은 (150 mM) 2,2-디페닐-1-피크릴히드라질 (DPPH) 100 mL, 시험 화합물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20 μL로 구성되었으며 부피는 각각 200 μL로 조정하였다. 그리고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C)을 기준 저해제로 사용하였다. 측정은 517 nm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OPTIMax, 튜너블)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응 속도를 비교하였고, 시험된 억제제의 존재로 인한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각 농도는 세 가지 독립적인 실험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라디칼 % 소거(μg/mL)
1 11.623 ± 0.288
2 34.110 ± 0.845
3 59.054 ± 0.447
4 37.315 ± 0.925
5 35.134 ± 0.870
6 32.494 ± 0.805
7 8.138 ± 0.201
8 4.129 ± 0.102
9 29.175 ± 0.723
10 13.752 ± 0.340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C) 96.623 ± 2.395
실시예 13. 합성된 리간드 및 Lipinski 규칙 검증의 in-silico 설계
실시예 1 내지 10의 화합물의 LogP, HBD, HBA, 몰 부피, 극성 표면적 (PSA) 및 약물 유사성의 화학 정보 특성을 예측하였다. 모든 실시예 화합물 분자를 ACD/ChemSketch 도면에서 스케치하고 소프트웨어 UCSF Chimera 1.10.1을 시각화함으로써 추가로 최소화시켰다. Molinspiration (http://www.molinspiration.com/) 및 Molsoft (http://www.molsoft.com/)와 같은 다양한 온라인 약물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고안된 분자의 약물 유사성 및 생물학적 특성을 예측하였다. 회전 가능한 결합, 수소 결합 수용체 (HBA) 및 수소 결합 공여체 (HBD)의 수는 PubChem (https://pubchem.ncbi.nlm.nih.gov/)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Molsoft와 Molinspiraion 도구를 사용하여 Lipinski의 5가지 규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34
이전 연구 결과에서 분자의 표준값 몰질량 (MW)과 극성 표면적 (PSA)은 각각 160에서 480 g/mol 및 (<89 Å2)이다. 합성된 화합물들은 모두 표준값에 필적하는 우수한 MW 및 PSA 값을 나타냈다. RO5 역시 합성된 화합물 모두에서 치료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HBA와 HBD가 각각 10과 5를 초과하면 침투가 잘 안되는데, 분석 결과 모든 합성된 화합물이 <10 HBA 및 <5 HBD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몰부피와 몰분배계수 값도 각각 표준값 <500 g/mol 및 <5으로 필적하였다.
실시예 14. 분자 도킹 및 결합 에너지 분석
탄산탈수소 효소 II에 대한 모든 합성된 화합물의 도킹 복합체를 최소 에너지값 및 리간드 상호 작용 패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5, 8 및 10의 화합물이 각각 -8.0, -9.0, -8.3 및 -8.4 kcal/mol의 우수한 결합 에너지를 나타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Autodock의 표준 오차는 2.5 kcal/mol로 증명되었는데, 모든 도킹 복합체에서 예측된 에너지 값의 차이는 표준 에너지 값보다 작았다. 모든 합성된 화합물의 기본 핵이 유사하여 대부분 좋은 에너지 값을 가지며 큰 에너지 변동이 없다. 비교 도킹 분석 및 억제 상수 (IC50) 값 (0.0928 ± 0.00545 μM)으로 실시예 3의 화합물이 모든 다른 실시예 화합물에 비해 우수한 치료 잠재력을 갖는다는 것을 정당화했다.
실시예 15. 탄산탈수소 효소 II에 대한 합성 화합물의 결합 분석
리간드 - 단백질 결합 분석 결과, 실시예 3의 화합물은 표적 단백질의 활성 결합 포켓에 갇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산탈수소 효소 II는 활성 부위 틈새 (직경 15 Å, 깊이 15 Å)를 가지고 있으며, 3개의 히스티딘 잔기 (His94, His96 및 His119) 및 물 분자/수산화물 이온을 갖는 사면체 기하 구조에서 배위 된 Zn2+ 이온을 함유한다. 실시예 3의 화합물 - 수용체 도킹 복합체는 수용체 결합 포켓 내에서 수소 결합 상호 작용을 갖는 양호한 구조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3의 화합물 - 수용체 도킹 복합체의 도킹 결과, Asn66 및 Gln91 잔기 각각에서 2개의 수소 결합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의 화합물 작용기의 산소 부분은 결합 거리 2.51 Å 인 Asn66과 상호 작용하고, 벤질 산소기는 결합 길이 2.91 Å의 Gln91에 대해 또 다른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 단일 π-π 스태킹 상호 작용은 리간드의 고리 구조와 결합 길이가 4.66 Å 인 Trp4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35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비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할로겐, -OH, -C1-C4알킬, -NO2, 페녹시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아릴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인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은 비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F, -Cl, -Br, -NO2, 메틸, 페녹시 또는 메톡시로 치환된 페닐인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은 비치환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톡시 또는 -OH로 치환된 나프틸인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R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at00036
    ,
    Figure pat00037
    ,
    Figure pat00038
    ,
    Figure pat00039
    ,
    Figure pat00040
    ,
    Figure pat00041
    ,
    Figure pat00042
    ,
    Figure pat00043
    ,
    Figure pat00044
    , 및
    Figure pat00045
    .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E)-4-(4-클로로-3-니트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벤질옥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메틸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2,3,6,7-테트라메톡시나프탈렌-1-일)메틸렌아미노)-2H-크로멘-2-온;
    (E)-4-(4-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2,4-디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4-벤질옥시-3-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E)-4-(2-브로모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2-온; 및
    (E)-4-((2-히드록시나프탈렌-1-일)메틸렌아미노)-2H-크로멘-2-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 탈수소 효소 Ⅱ 활성 관련 질환은 안질환, 염증성질환, 호흡계 질환 또는 암인 탄산 탈수소 효소 Ⅱ 활성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1의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탄산탈수소 효소 II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90016249A 2019-02-12 2019-02-12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및 효소 억제제로서의 용도 KR20200098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49A KR20200098298A (ko) 2019-02-12 2019-02-12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및 효소 억제제로서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49A KR20200098298A (ko) 2019-02-12 2019-02-12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및 효소 억제제로서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298A true KR20200098298A (ko) 2020-08-20

Family

ID=7229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249A KR20200098298A (ko) 2019-02-12 2019-02-12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및 효소 억제제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829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2682A1 (en) 2010-12-02 2012-06-07 University Of Guelph Antivirulence compounds inhibiting bacterial mono-adp-ribosyltransferase toxins
US9791463B2 (en) 2013-03-15 2017-10-17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Methods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alkyne-presenting molecule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2682A1 (en) 2010-12-02 2012-06-07 University Of Guelph Antivirulence compounds inhibiting bacterial mono-adp-ribosyltransferase toxins
US9791463B2 (en) 2013-03-15 2017-10-17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Methods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alkyne-presenting molecule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system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harm.Sci.,(1992),vol.81,no.9,pp 964-06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cini et al. Synthesi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benzo [d] isothiazole hydrazones
KR101444489B1 (ko) 심혈관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
US4680299A (en) 2-phenyl-4-quinolinecarboxylic aci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JP5897566B2 (ja) 環式n,n’−ジアリールチオ尿素及びn,n’−ジアリール尿素−アンドロゲン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抗癌剤、その調製のための方法及び使用
EP2196460B1 (en) Sulfonic acid salt compound of 4-carbamoyl-5-hydroxy-imidazole derivative
JP6581193B2 (ja) 置換2−チオキソ−イミダゾリジン−4−オン及びそのスピロ類似体、抗癌有効成分、医薬組成物、医薬製剤、並びに前立腺癌の治療法
EP2640718B1 (de) Substituiertes natrium-1h-pyrazol-5-olat
JP5649652B2 (ja) 置換ヒドラジド類化合物及びその応用
JP7181565B2 (ja) Yap-tead結合を阻害する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癌の予防または治療用医薬組成物
EP2382189A1 (en) Toluidine sulfonamides and their use
WO2010085968A1 (en) Toluidine sulfonamides and their use as hif-inhibitors
Song et al. Discovery of bazedoxifene analogues targeting glycoprotein 130
JP2012504588A (ja) ピリミド誘導体およびその製薬学的用途
EP3388419A1 (en) Gli1 inhibitors and uses thereof
KR101208956B1 (ko) 엘로티닙 다이클로로아세트산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JPH0358987A (ja) 新規化合物、その製法及びそれを含む医薬組成物
CN115477608B (zh) 一种微管蛋白抑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00098298A (ko) 신규 (e)-4-(치환된 벤질리덴아미노)-2h-크로멘-온 유도체 화합물 및 효소 억제제로서의 용도
JPS6160656A (ja) ロイコトリエン拮抗剤
JP4604147B2 (ja) クマリン誘導体
WO2020113816A1 (zh) 4位芳杂环取代的吲唑类化合物及其作为ido/tdo双重抑制剂的用途
US20130164218A1 (en) Hypoxia inducible factor-1 pathway inhibitors and uses as anticancer and imaging agents
KR101656394B1 (ko)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9718770B2 (en) Substituted thioureas as heat shock protein 70 inhibitors
US5032597A (en) Method of using phenylquinoline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for lymthoid leukemia treatment in a mam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