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394B1 -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394B1
KR101656394B1 KR1020140193586A KR20140193586A KR101656394B1 KR 101656394 B1 KR101656394 B1 KR 101656394B1 KR 1020140193586 A KR1020140193586 A KR 1020140193586A KR 20140193586 A KR20140193586 A KR 20140193586A KR 101656394 B1 KR101656394 B1 KR 101656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at5
formula
oxo
derivativ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427A (ko
Inventor
조희영
임희종
이계형
박우규
김현영
정대영
김완욱
조철수
박수정
한은진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US15/029,075 priority Critical patent/US9650389B2/en
Priority to PCT/KR2014/013059 priority patent/WO2015102380A1/ko
Publication of KR2015008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1/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1/1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153Ortho-condensed systems the condensed system containing two rings with oxygen as ring hetero atom and one ring with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8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745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 system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henantr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물성 개선으로 경구 흡수율이 기존의 프로토베르베린보다 현저히 증가되었고, 직접적으로 NFAT5의 전사를 억제시켜 NFAT5 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에서 NFAT5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Novel 8-oxoprotoberberine derivative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induced by activation of NFAT5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가면역은 몸에서 자신의 기관이나 조직을 외부에서 유래한 항원으로 인식,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증상을 말한다. 원래의 면역 반응은 병원균 같은 외부의 항원에 대비해서 만들어진 체계이다. 하지만 자가면역으로 인해 스스로의 기관이나 조직을 공격하여 여러가지 질병들이 유발된다. 류머티스성 관절염, 전신성 경피증, 홍반성 낭창, 아토피 피부염, 베체씨병,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그레이브씨 갑상선 항진증 등이 자가면역질환에 속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으로 많은 조직과 장기에 만성적인 전신적 염증을 일으키나, 주로 유연한 활막(synovial)이 공격을 당하여 통증을 느끼고 변형되게 되며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기능과 운동성을 상실하게 되는 질환이다. 또한 병의 진행에 따라 다량의 활막액으로 관절이 붓고 활막안의 섬유조직(pannus)이 발달하며 관절연골의 파괴와 관절의 강직(ankylosis), 폐, 심막(pericardium), 늑막(pleura), 눈의 공막(sclera) 등으로의 염증 확산이 일어나지만 아직 류마티스관절염을 유발하는 자가면역의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대략 0.6%의 미국 성인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고, 여성이 남성보다 2-3배 더 많다(비특허문헌 1).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는 비약리적인 물리치료, 정형술(orthoses), 작업요법(occupational therapy) 및 영양치료와 진통제, 항염증제 등의 약리치료가 있고, 약리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또는 항류마티스약물(disease-modified anti-rheumatic drug, DMARD)을 사용할 수 있다. 항염증약물로는 주로 염증의 중요한 매개자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COX)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항염증 약물, 예를 들어 디클로페낙(diclofenac), 피록시캄(piroxicam),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멜록시캄(meloxicam), 쎄리콕시브(celecoxib), 로페콕시브(rofecoxib), 루미라콕시브(lumiracoxib)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관절의 손상진행을 멈추게 할 수는 없다. 질병의 진행을 느리게 하거나 멈추게 할 수 있는 항류마티스약물로는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레플루노마이드(leflunomide), (hydroxychloroquine),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사이클로스포린 A(cyclosporine A) 등의 약물과 TNF-α에 대한 항체치료제가 있고 2012년에 JAK3 저해제인 Xeljanz (Tofacitinib, Pfizer)가 저분자 치료제로서는 처음으로 시장에 진출하였으나 아직도 종래의 약물로 치료되지 않는 무반응 환자들이 많으므로 의료적 미충족 수요가 높고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NFAT(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은 세포질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Ca 2+ 이동(mobilization)과 커플된 세포 표면의 수용체의 자극에 의해서 활성화 된다. NFAT 단백질은 Ca 2+ 에 의해 활성화되는 포스파타제(phosphatase) 즉, 칼시네우린(calcineurin)에 의해서 탈인산화되며, 탈인산화된 NFAT는 핵으로 이동하여 T 세포의 활성화에 필요한 IL-2 유전자를 포함한 여러 사이토카인(cytokine)유전자의 전사를 유도한다.
특히, NFAT5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5)는 TonEBP (tonicity enhancer binding protein), OREBP, NFATL1, NFATz 등으로 불리우며 Rel family 중 가장 길이가 긴 전사조절인자로서 다른 NFAT 전사인자들{NFAT1 (NFATp, NFATc2), NFAT2 (NFATc, NFATc1), NFAT3 (NFATc4), NFAT4 (NFATx, NFATc3)}과는 구조적, 기능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비특허문헌 2 및 3). NFAT5는 약 1,500개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고 거의 모든 조직에서 발현되며 특히 대사와 증식이 활발한 태아의 신장, 폐, 뇌하수체, 태반, 고환, 흉선 등에서 높은 발현을 보인다(비특허문헌 4). 구조적으로 NFAT5는 calcineurin 도메인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칼슘농도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며 삼투압이 증가된 고장액에서 osmostress에 의해 활성화되어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T세포에서 활성화된 NFAT5는 CD24의 promoter에 결합하여 CD24의 전사를 증가시키며 이에 의해 T세포의 증폭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FAT5의 상위단계에서 관련된 인자로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 및 p38 MAPK가 있고, ROS는 TLR(Toll-like receptor)로 유도된 NFAT5 활성에 관련되어 있다는 내용이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5). ROS의 일종인 NO(nitric oxide)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해 생성된다. iNOS에 의해 유도된 NO는 여러 질환, 특히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NOS의 발현은 여저 질환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6).
최근에 NFAT5는 자가면역 질환인 류마티스 환자의 관절활액에서 많이 발현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TNF-α 등의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7). 또한 siRNA를 주입하여 NFAT5를 knockdown 시킨 활액세포나 혈관세포인 HUVEC 등에서 세포의 증식이나 혈관신생, 세포이동 등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며 NFAT5(+/-)인 실험쥐에서는 관절의 염증이 현저히 줄어들었으므로 NFAT5의 활성을 저해하는 화합물은 류마티스관절염을 개선시키는 새로운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베르베린은 이소퀴놀린 알카로이드의 4차 암모늄염으로서 황련에 함유된 생약제제로 잘 알려져 있고 항암작용, 항비만 및 당뇨치료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베르베린은 시판되는 천연물 정장제인 정로환의 주성분으로 장내 세균에 대한 억제작용, 진정진경작용, 동맥경화 예방작용, 소염작용, 이담작용, 췌장액분비촉진작용 등을 가지고 있다.
기존에 베르베린의 13위치(프로토베르베린 고리)에 다양한 치환기가 도입된 유도체로서 베르베린보다 월등히 향상된 NFAT5 저해효능과 COX 효소 저해효과를 보이는 프로토베르베린이 관절염동물모델에서 우수한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진 바 있으나, 상기 프로토베르베린은 용해도가 낮아서 경구투여시 흡수가 되지않아 경구투여제로서의 개발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관절염이나 자가면역질환은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으로 약제내성에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기전의 약물이 요구되며 주사제보다는 경구제제의 개발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NFAT5 저해제의 효과를 나타내며 경구투여제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을 개발하던 중,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가 NFAT5 저해 효과가 우수하고, 약동력 연구를 통해 물성을 개선하고 경구흡수율을 높여 경구투여 형태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Handout on Health: Rheumatoid Arthritis. National Institute of Arthritis and Musculoskeletal and Skin Diseases, April 2013; Biochem. Pharm. 72 (2006) 1597-1604; Nucleic Acids Res. 33 (2005) 3845-3854; J. Immunol. 165 (2000) 4884-4894; Eur J Immunol. 44 (2014) 2721-2736. Semin Cancer Biol. 15 (2005) 277-289. Arthritis and Rheumatism. 63 (2011) 1843-1852.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억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NFTA5 관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FTA5 관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2790944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1 - 6알킬렌, -C(=O)- 또는 -NHC(=O)-이고;
R은 하이드록시, 아미노,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콕시, C6 - 12아릴 또는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헤테로 원자를 1종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 단일 고리 또는 8 내지 11 원자 이중 고리의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비치환 또는 할로겐 및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또는 C1 - 6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으로 치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항의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4127909445-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A 및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1 및 X2 할로겐이다.
본 발명은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억제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NFTA5 관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물성 개선으로 경구 흡수율이 기존의 프로토베르베린보다 현저히 증가되었고, 또한 NFAT5 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에서 NFAT5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의 NFAT5 전사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NFAT 전사인자 이외의 전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구체적으로 A는 NF-κB, B는 NFATc, C는 CREB(CHO-K1), D는 CREB(HEK293), E는 ELK에 대한 전사활성의 억제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의 p38 단백질과 활성 상태 p38 단백질(인산화)의 발현 웨스턴 블롯의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전사단계 및 핵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염화나트륨에 의해 증가되는 NFAT5의 전사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구체적으로 A는 BGT1, B는 AR의 전사체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구체적으로 A는 GM-CSF2, B는 MCP-1 및 C는 IL-6를 나타내고; 및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의 마우스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마우스 다리의 관절 부위의 대조군 및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를 주입한 후의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화합물에 의해 콜라겐으로 유도된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6)의 발현 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화합물에 의해 콜라겐으로 유도된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에서 LPS로 유도된 NFAT의 발현 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a 도 10b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화합물에 의한 간마이크로좀에서 대사안정성 및 약물동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인간 단핵혈액세포에서 실시예 1의 화합물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화합물에 의한 Th17 세포로의 분화 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4127909445-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1 - 6알킬렌, -C(=O)- 또는 -NHC(=O)-이고;
R은 하이드록시, 아미노,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콕시, C6 - 12아릴 또는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헤테로 원자를 1종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 단일 고리 또는 8 내지 11 원자 이중 고리의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비치환 또는 할로겐 및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또는 C1 - 6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으로 치환된다.
또한, 상기 A는 바람직하게는 C1 - 4알킬렌, -C(=O)- 또는 -NHC(=O)-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1 - 2알킬렌, -C(=O)- 또는 -NHC(=O)-이다.
상기 R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아미노,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콕시, C6-10아릴 또는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헤테로 원자를 1종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 단일 고리 또는 8 내지 11 원자 이중 고리의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비치환 또는 할로겐 및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또는 C1 - 6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으로 치환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아미노, 직쇄 또는 측쇄의 C1-2알콕시, 페닐, 피리디닐, 티아졸릴 및 벤조이미다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고, 여기서, 상기 페닐, 피리디닐, 티아졸릴 또는 벤조이미다졸릴은 비치환 또는 할로겐 및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 또는 C1 - 4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으로 치환된다.
나아가, 상기 A가 C1 - 4알킬렌인 경우, R은 비치환 또는 할로겐, 메틸 및 메톡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 피리디닐, 티아졸릴 및 벤조이미다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고;
상기 A가 -C(=O)-인 경우, R은 하이드록시, 아미노, 직쇄 또는 측쇄의 C1 - 2알콕시 또는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하나 이상 치환된 페닐이고; 및
상기 A가 -NHC(=O)-인 경우, R은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하나 이상 치환된 페닐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1) 13-(2-플루오로벤질)-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8(6H)-온;
2) 13-(2,4-디플루오로벤질)-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8(6H)-온;
3) 13-(2,6-디플루오로벤질)-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8(6H)-온;
4) 9,10-디메톡시-13-(2-메틸벤질)-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5) 9,10-디메톡시-13-(2-메톡시벤질)-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6) 9,10-디메톡시-13-(피리딘-2-일메틸)-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7) 13-((1H-벤조[d]이미다졸-2-일)메틸)-9,10-디메톡시-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 [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8(6H)-온;
8) 13-((2-클로로티아졸-5-일)메틸)-9,10-디메톡시-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8(6H)-온;
9) 13-(2-플루오로벤조일)-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8(6H)-온;
10) 13-에틸-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실레이트;
11) 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실산;
12) 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사마이드; 및
13) N-(2-플루오로페닐)-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사마이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의 바람직한 구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 실시예 구조
1
Figure 112014127909445-pat00004
2
Figure 112014127909445-pat00005
3
Figure 112014127909445-pat00006
4
Figure 112014127909445-pat00007
5
Figure 112014127909445-pat00008
6
Figure 112014127909445-pat00009
7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0
8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1
9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2
10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3
11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4
12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5
13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6
- -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다이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나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다이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다이클로로메탄, 아세토나이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는 NFAT5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실시예 1, 3, 6 및 10의 유도체가 NFAT5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2 및 3 참조). 또한, 동물실험에서 마우스 다리의 관절 부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관절염의 증상이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직학적 염색을 통해서도 관절염 증상이 월등히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실험예 10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7
상기 반응식 1에서, A 및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1 및 X2 할로겐이다.
이하, 상기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2 내지 2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과 같은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요오드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1에서 사용가능한 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 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디메톡시에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세토나이트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염기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염기이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스트로튬 등의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수용액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2는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 및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를 포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8
(상기 반응식 2에서, A 및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2 할로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A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가능한 환원제는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소듐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피리딘 보로착제, 징크 보로하이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소듐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기를 촉매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염기이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스트로튬 등의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수용액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사용가능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디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가능한 산화제로는 이산화망간, 과산화수소수, 중크롬산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산화망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가능한 용매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디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을 수행한 후, 유기용매로 추출, 건조, 여과 및 감압 증류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은 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등일 수 있다.
상기 관절염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전신성 경피증, 홍반성 낭창, 아토피 피부염, 베체씨병,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및 그레이브씨 갑상선 항진증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는 NFAT5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실시예 1, 3, 6 및 10의 유도체가 NFAT5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2 및 3 참조). 또한, 동물실험에서 마우스 다리의 관절 부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관절염의 증상이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직학적 염색을 통해서도 관절염 증상이 월등히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실험예 1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PS로 유도된 iNOS 유전자 발현증가를 억제하였고(표 2 참조), NFAT5 전사활성을 억제하였으며(표 3, 및 도 1 참조), 다른 전사인자인 NF-kB, NFATc, CREB, ELK의 전사활성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2참조).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OS 유도, p38의 활성, 및 COX1과 COX2에 대해 저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도 3 및 도 6, 표 4 및 표 5 참조), 세포에는 거의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표 6 및 도 6 참조). 콜라겐으로 유도된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관절염 증상을 회복시켰고(도 7 침조), 염증상 사이토카인(TNF-α, IL-6)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8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화합물은 증가된 경구흡수율을 나타냈고(표 7 참조), 인간 단핵혈액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억제하였으며(도 11 참조), T 세포로부터 Th17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1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물성 개선으로 경구 흡수율이 기존의 프로토베르베린보다 현저히 증가되었고, 또한 NFAT5의 상위(upstream) 단계인 p38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NFAT5의 전사를 억제시켜 NFAT5 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에서 NFAT5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Kg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1-1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mg/일이며, 또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관절염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는 NFAT5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은 관절염 또는 자가면역 질환 등일 수 있다.
상기 관절염은 류마티스 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가면역 질환은 전신성 경피증, 홍반성 낭창, 아토피 피부염, 베체씨병,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및 그레이브씨 갑상선 항진증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물성 개선으로 경구 흡수율이 기존의 프로토베르베린보다 현저히 증가되었고, 또한 NFAT5의 상위(upstream) 단계인 p38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NFAT5의 전사를 억제시켜 NFAT5 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에서 NFAT5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는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나아가,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는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한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또한,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8- 아세토닐디히드로베르베린
Figure 112014127909445-pat00019
공지의 방법으로 염산베르베린(5 g, 13.45 mmol)을 5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3 ㎖)에 가하고 0℃로 냉각 후 아세톤(5 ㎖, 67.23 m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80% 메탄올 40 ㎖로 2회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4.65g, 89%)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04 (s, 3H), 2.37-2.44 (dd, J = 3.0, 15.0 Hz, 1H), 2.76-2.84 (m, 2H), 3.08-3.11 (dd, J = 6.0, 15.0 Hz, 1H), 3.30-3.36 (m, 2H), 3.83 (s, 3H), 3.89 (s, 3H), 5.30-5.34 (dd, J = 3.0, 6.0 Hz, 1H), 5.89(s, 1H), 5.93-5.94 (d, J = 3.0 Hz, 1H), 6.57 (s, 1H), 6.76-6.79 (m, 2H), 7.13 (s, 1H).
< 실시예 1> 13-(2- 플루오로벤질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8(6H)-온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0
단계 1: 13-(2- 플루오로벤질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7- 이움브로마이드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8-아세토닐디히드로베르베린(1g)을 아세토나이트릴 (20 ㎖)에 녹인 용액에 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2당량) 및 요오드 나트륨 (0.54g, 3.55 mmol, 1.2당량)을 가하고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생성물을 여과한 후 염화메틸렌(3 x 20 ㎖)으로 세척하여 제거하고 유기층은 증류수(5 ㎖)로 세척한 다음 황산 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 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칼럼크로마토 그래피로(염화메틸렌: 메탄올 = 20:1 to 10:1) 분리하여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45%)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3.27-3.31 (t, J = 6.0 Hz, 2H), 4.02 (s, 3H), 4.43 (s, 3H), 4.63 (s, 2H), 5.21 (s, 2H), 6.02 (s, 2H), 6.76-6.81 (m, 1H), 6.88-6.89 (m, 2H), 7.02-7.07 (m, 1H), 7.19-7.25 (m, 1H), 7.29-7.34 (m, 1H), 7.54-7.57 (d, J = 9.0 Hz, 1H), 7.69-772 (d, J = 9.0 Hz, 1H), 10.49 (s, 1H).
단계 2: 13-(2- 플루오로벤질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8(6H)-온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13-(2-플루오로벤질)-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를 50%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수용액에 분산시킨 용액에 포타슘 페리시아나이드(10 당량)을 10% 수산화칼륨에 녹인 용액을 8-10℃에서 가하고 30분 동안 교반 후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다음 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감압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플래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목적 화합물(28%)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82-2.86 (t, J = 6.0 Hz, 2H), 3.89 (s, 3H), 4.03 (s, 3H), 4.31 (s, 2H), 5.92 (s, 2H), 6.75 (s, 1H), 6.78 (s, 1H), 6.92-7.03 (m, 2H), 7.11-7.27 (m, 4H).
< 실시예 2> 13-(2,4- 디플루오로벤질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 -8(6H)-온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1
단계 1: 13-(2,4- 디플루오로벤질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7- 이움브로마이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에 2,4-디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55%)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3.27 (s, 2H), 4.03 (s, 3H), 4.42 (s, 3H), 4.58 (s, 2H), 5.28 (s, 2H), 6.03 (s, 2H), 6.72-6.82 (m, 3H), 6.89 (s, 1H), 6.96-7.02 (m, 1H), 7.50-7.53 (d, J = 9.0 Hz, 1H), 7.70-77(d, J = 9.0 Hz, 1H), 10.68 (s, 1H).
단계 2: 13-(2,4- 디플루오로벤질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8(6H)-온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13-(2-플루오로벤질)-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 대신에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얻은 13-(2,4-디플루오로벤질)-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25%)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84 (s, 2H), 3.91 (s, 3H), 4.03 (s, 3H), 4.25 (s, 2H), 5.94 (s, 2H), 6.73-6.76 (m, 3H), 6.86-6.91 (m, 2H), 7.09-7.12 (d, J = 9.0, 1H), 7.20-7.23 (d, J = 9.0,1H).
< 실시예 3> 13-(2,6- 디플루오로벤질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 -8(6H)-온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2
단계 1: 13-(2,6- 디플루오로벤질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7- 이움브로마이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에 2,6-디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27%)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3.24-3.28 (t, J = 6.0 Hz, 2H), 4.02 (s, 3H), 4.37 (s, 3H), 4.74 (s, 2H), 5.21 (s, 2H), 6.07 (s, 2H), 6.83-6.88 (m, 2H), 6.93 (s, 1H), 7.05 (s, 1H), 7.17-7.25 (m, 1H), 7.73 (s, 2H), 10.45 (s, 1H).
단계 2: 13-(2,6- 디플루오로벤질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8(6H)-온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13-(2-플루오로벤질)-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 대신에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얻은 13-(2,6-디플루오로벤질)-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26%)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δ=2.85(s,2H),3.89 (s, 3H), 3.99 (s, 3H), 4.22 (s, 2H), 4.42 (s, 2H), 6.75-6.79 (m, 3H), 6.96 (s, 1H), 7.08-7.13 (m, 1H), 7.21-7.24 (d, J=9.0,1H),7.35-7.38(d,J=9.0,1H)
< 실시예 4> 9,10- 디메톡시 -13-(2- 메틸벤질 )-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3
단계 1: 9,10- 디메톡시 -13-(2- 메틸벤질 )-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4,5-g]이 소퀴놀리 노 [3,2-a]이소퀴놀린-7- 이움브로마이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에 2-메틸벤질 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28%)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2.46 (s, 3H), 3.29-3.33 (t, J = 6.0 Hz, 2H),4.02 (s, 3H), 4.42 (s, 3H), 4.46 (s, 2H), 5.19 (s, 2H), 5.99 (s, 2H), 6.63-6.66 (d, J = 9.0 Hz, 1H), 6.83-6.87 (m, 2H), 7.07-7.10 (d, J = 9.0 Hz, 1H), 7.22-7.27 (m, 1H), 7.36-7.38 (m, 1H), 7.51-7.54 (m, 1H), 7.68-7.71 (m, 1H), 10.44 (s, 1H).
단계 2: 9,10- 디메톡시 -13-(2- 메틸벤질 )-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4,5-g]이 소퀴놀리 노 [3,2-a]이소퀴놀린-8(6H)-온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9,10-디메톡시-13-(2-메틸벤질)-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를 20% 수산화 칼륨 수용액에 가한 후 24 시간 동안 교반환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상기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다음 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감압농축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플래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목적 화합물(12%)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40 (s, 3H), 2.81-2.85 (t, J = 6.0 Hz, 2H), 3.89 (s, 3H), 4.04 (s, 3H), 4.15 (s, 2H), 5.89 (s, 2H), 6.73 (s, 1H), 6.76 (s, 1H), 6.90-6.92 (d, J = 6.0 Hz, 1H),7.04-7.20(m,4H),7.26-7.30(m,1H).
< 실시예 5> 9,10- 디메톡시 -13-(2-메톡시벤질)-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4
단계 1: 9,10- 디메톡시 -13-(2-메톡시벤질)-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 이움브로마이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에 2-메톡시벤질 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89%)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δ 3.26-3.30 (t, J = 6.0 Hz, 2H),3.96 (s, 3H), 4.02 (s, 3H), 4.41 (s, 3H), 4.52 (s, 2H), 5.22 (s, 2H), 5.99 (s, 2H), 6.63-6.68 (m, 2H), 6.78-6.92 (m, 3H), 7.01-7.04 (m, 1H), 7.56-7.71 (m, 2H), 10.43 (s, 1H).
단계 2: 9,10- 디메톡시 -13-(2-메톡시벤질)-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4,5-g]이 소퀴놀리 노 [3,2-a]이소퀴놀린-8(6H)-온
상기 실시예 4에서 9,10-디메톡시-13-(2-메틸벤질)-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9,10-디메톡시-13-(2-메톡시벤질)-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14%)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81-2.85 (t, J = 6.0 Hz, 2H),3.89 (s, 3H), 3.96 (s, 3H), 4.03 (s, 3H), 4.21 (s, 2H), 5.90 (s, 2H), 6.73 (s, 1H), 6.79-6.89 (m, 3H), 6.95-6.98 (d, J = 9.0 Hz, 1H),7.17-7.3 (m, 3H).
< 실시예 6>
9,10- 디메톡시 -13-(피리딘-2- 일메틸 )-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5
단계 1: 9,10- 디메톡시 -13-(피리딘-2- 일메틸 )-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 이움브로마이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에 2-시아노벤질 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7%)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3.27 (s, 1H), 3.99 (s, 3H), 4.30 (s, 3H), 4.86 (s, 2H), 5.24 (s, 2H), 6.01 (s, 2H), 6.89 (s, 1H), 7.23-7.31 (m, 1H), 7.36 (s, 1H), 7.48-7.50 (m, 1H), 7.58-7.61 (d, J = 9.0 Hz, 1H), 7.71-7.74 (d, J = 9.0 Hz, 1H), 7.77-7.82 (m, 1H), 8.48-8.49 (d, J = 3.0 Hz, 1H), 10.47 (s, 1H).
단계 2: 9,10- 디메톡시 -13-(피리딘-2- 일메틸 )-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상기 실시예 4에서 9,10-디메톡시-13-(2-메틸벤질)-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9,10-디메톡시-13-(피리딘-2-일메틸)-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15%)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83-2.87 (t, J = 6.0 Hz, 2H), 3.89 (s, 3H), 4.01 (s, 3H), 4.53 (s, 2H), 5.92 (s, 2H), 6.76 (s, 1H), 7.00 (s, 1H), 7.11-7.20 (m, 4H), 7.59-7.64 (m, 1H), 8.63-8.65 (d, J = 6.0 Hz, 1H).
< 실시예 7> 13-((1H- 벤조[d]이미다졸 -2-일) 메틸 )-9,10- 디메톡시 -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6
단계 1: 13-((1H- 벤조[d]이미다졸 -2-일) 메틸 )-9,10- 디메톡시 -5,6- 디하이드로 -[1,3]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 이움브로마이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에 2-클로로메틸벤조이미다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59%)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3.31 (s, 2H), 3.80 (s, 3H), 4.14 (s, 3H), 4.87 (s, 2H), 5.11 (s, 2H), 5.99 (s, 2H), 6.83 (s, 1H), 7.16-7.19 (m, 2H), 7.46-7.49 (d, J = 9.0 Hz, 1H), 7.60-7.63 (m, 2H), 7.72 (s, 1H), 7.80-7.83 (d, J = 9.0 Hz, 1H), 9.83 (s, 1H).
단계 2: 13-((1H- 벤조[d]이미다졸 -2-일) 메틸 )-9,10- 디메톡시 -5,6- 디하이드로 -[1,3]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상기 실시예 4에서 9,10-디메톡시-13-(2-메틸벤질)-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13-((1H-벤조[d]이미다졸-2-일)메틸)-9,10-디메톡시-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 [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8%)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81-2.85 (t, J = 6.0 Hz, 2H), 3.81 (s, 3H), 3.85 (s, 3H), 3.98 (s, 3H), 4.22-4.24 (m, 2H), 4.45 (s, 2H), 5.90 (s, 2H), 6.77 (s, 1H), 7.09-7.38 (m, 6H), 7.72-7.74 (d, J = 6.0 Hz, 1H).
< 실시예 8> 13-((2- 클로로티아졸 -5-일) 메틸 )-9,10- 디메톡시 -5,6- 디하이드로 -[1,3]디옥솔로[4,5-g] 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7
단계 1: 13-((2- 클로로티아졸 -5-일) 메틸 )-9,10- 디메톡시 -5,6- 디하이드로 -[1,3]디옥솔로[4,5-g] 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 이움브로마이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에 2-클로로-5-클로로메틸티아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51%)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3.31 (s, 1H), 4.06 (s, 3H), 4.40 (s, 3H), 4.71 (s, 2H), 5.12 (s, 2H), 6.07 (s, 2H), 6.91 (s, 1H), 6.98 (s, 1H), 7.09 (s, 1H), 7.71-7.75 (d, J = 9.0 Hz, 1H), 7.80-7.83 (d, J = 9.0 Hz, 1H), 10.39 (s, 1H).
단계 2: 13-((2- 클로로티아졸 -5-일) 메틸 )-9,10- 디메톡시 -5,6- 디하이드로 -[1,3]디옥솔로[4,5-g] 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8(6H)-온
상기 실시예 4에서 9,10-디메톡시-13-(2-메틸벤질)-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13-((2-클로로티아졸-5-일)메틸)-9,10-디메톡시-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5%)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87-2.91 (t, J = 6.0, 2H), 3.95 (s, 3H), 4.01 (s, 3H), 4.27-4.31 (t, J = 6.0 Hz, 2H), 6.01 (s, 2H), 6.70-6.72 (m, 2H), 7.22 (s, 1H), 7.26-7.33 (m, 2H).
< 실시예 9> 13-(2- 플루오로벤조일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8(6H)-온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8
단계 1: 13-(2- 플루오로벤조일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 이움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에 2-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60%)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3.18-3.47 (m, 2H), 4.04(s, 3H), 4.06(s, 3H), 4.40(s, 2H), 6.08 (s, 2H), 6.59(s, 1H), 6.95(s, 1H), 7.03-7.13 (m, 1H), 7.18-7.20(m, 1H), 7.42-7.60(m, 2H), 7.69-7.77 (m, 1H), 7.82-7.87(m, 1H).
단계 2: 13-(2- 플루오로벤조일 )-9,10- 디메톡시 -5H-[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 3,2-a]이소퀴놀린 -8(6H)-온
상기 실시예 4에서 9,10-디메톡시-13-(2-메틸벤질)-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이움브로마이드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13-(2-플루오로벤조일)-9,10-디메톡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이움클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15%)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80 (m, 2H), 3.94 (s, 3H), 4.03 (s, 3H), 4.24(m, 2H), 5.88 (s, 2H), 6.59 (s, 1H), 6.866.92 (m, 1H), 6.97 (s, 1H), 7.02-7.07 (m, 1H), 7.29 (d, J = 9.0 Hz, 1H), 7.34=7.39 (m, 1H), 7.49 (d, J = 9.0 Hz, 1H), 7.63-7.68 (m, 1H)
< 실시예 10> 에틸9 ,10- 디메톡시 -8-옥소-6,8- 디하이드로 -5H-[1,3] 디옥솔로 [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13- 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127909445-pat00029
단계 1: 13-( 에톡시카르보닐 )-9,10- 디메톡시 -5,6-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 이움클로라이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2-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에 에틸 클로로포메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55%)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1 (t, J = 6.9 Hz, 3H), 3.26-3.29 (m, 2H), 4.08(s, 3H), 4.38(s, 3H), 4.47 (q, J = 6.9 Hz, 2H), 5.40 (m, 2H), 6.09 (s, 2H), 6.89 (s, 1H), 7.14 (s, 1H), 7.74 (d, J = 9.3 Hz, 1H), 7.88 (d, J = 9.0 Hz, 1H), 11.01 (s, 1H)
단계 2: 에틸 9,10- 디메톡시 -6,8- 디하이드로 -[1,3] 디옥솔로 [4,5-g] 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13- 카르복실레이트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13-(에톡시카르보닐)-9,10-디메톡시-5,6-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7-이움클로라이드(0.84g, 1.89 mmol)을 메탄올(50 ㎖)에 녹인 용액에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54mg, 1.42 mmol)를 5% 수산화나트륨 5 ㎖에 녹인 수용액을 0℃에서 천천히 적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 후 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농축 후 플래시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 헥산=1:3)로 분리하여 목적 화합물(93%)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1.14 (t, J = 7.2 Hz, 3H), 2.80-2.84 (m, 2H), 3.23-3.26 (m, 2H), 3.81 (s, 3H), 3.84 (s, 3H), 4.14 (q, J = 7.2 Hz, 2H), 4.51 (s, 2H), 5.93 (s, 2H), 6.62 (s, 1H), 6.93 (s, 1H), 6.81 (d, J = 9.0 Hz, 1H), 7.38 (d, J = 8.7 Hz, 1H)
단계 3: 에틸9 ,10- 디메톡시 -8-옥소-6,8- 디하이드로 -5H-[1,3] 디옥솔로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 -13- 카르복실레이트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에틸9,10-디메톡시-6,8-디하이드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실레이트(0.8g, 1.95 mmol)를디클로로메탄(300 ㎖)에 녹인 용액에 이산화망간(2g, 23 mmol)을 가하고 15시간 동안 교반환류하였다. 반응 종료 후 과량의 이산화망간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농축 후 플래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목적화합물(12%)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1.23-1.28 (t, J = 6.0 Hz, 3H), 2.86-2.90 (t, J = 6.0 Hz, 2H),3.95 (s, 3H), 3.99 (s, 3H), 4.20-4.24 (t, J = 6.0 Hz, 2H), 4.30-3.37 (q, J = 6.0 hz, 2H), 6.00 (s, 2H), 6.75 (s, 1H), 7.08 (s, 1H), 7.32-7.35 (d, J = 9.0 Hz, 1H), 7.43-7.46 (d, J = 9.0 Hz, 1H).
< 실시예 11> 9,10- 디메톡시 -8-옥소-6,8- 디하이드로 -5H-[1,3] 디옥솔로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 -13- 카르복실산
Figure 112014127909445-pat00030
상기 실시예 10에서 얻은 에틸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실레이트(0.106g, 0.25 mmol)을 4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을 가하고 80℃에서 3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20 ㎖)를 가하고 1N 염산 수용액으로 pH 4로 조절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하여 농축 후 플래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디클로로메탄: 메탄올=10:1) 목적화합물(61 mg, 61%)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6) δ 2.81 (s, 2H), 3.76 (s, 3H), 3.88 (s, 3H), 4.03 (s, 2H), 6.08 (s, 2H), 6.98 (s, 1H), 7.29 (s, 1H), 7.36-7.39 (d, J = 9.0 Hz, 1H), 7.55-7.58 (d, J = 9.0 Hz, 1H).
< 실시예 12> 9,10- 디메톡시 -8-옥소-6,8- 디하이드로 -5H-[1,3] 디옥솔로 [4,5-g]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 -13- 카르복사마이드
Figure 112014127909445-pat00031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은 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실산(15 mg, 37.9 umol)을 디클로로메탄(10 ㎖)에 녹인 후 옥살산 염화물(48mg, 379 umol)을 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 후 테트라하이드로 퓨란(10 ㎖)에 녹인 후 0℃로 냉각하고 암모니아 수용액(28%, 5 ㎖)을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농축 후 플래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디클로로메탄: 메탄올=20:1) 목적화합물(7 mg, 47%)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79-2.83 (t, J = 6.0 Hz, 2H), 3.92 (s, 3H), 3.95 (s, 3H), 4.15 (s, 2H), 5.89 (s, 1H), 6.01 (s, 2H), 6.07 (s, 1H), 6.72 (s, 1H), 7.30-7.33 (d, J = 9.0 Hz, 1H), 7.56-7.58 (m, 2H).
< 실시예 13> N-(2- 플루오로페닐 )-9,10- 디메톡시 -8-옥소-6,8- 디하이드로 -5H-[1,3]디옥솔로[4,5-g] 이소퀴놀리노 [3,2-a]이소퀴놀린-13- 카르복사마이드
Figure 112014127909445-pat00032
상기 실시예 12에서 얻은 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사마이드(15 mg, 37.9 μ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3 ㎖)에 녹인 용액에 2-플루오르아닐린(5 μL, 45 μmol),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8 mg, 57 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6 μL, 95 μmol), EDC (11 mg, 57 μmol)을 순서대로 가하고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증류수(5 ㎖)를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농축 후 플래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1:1) 목적화합물(5 mg, 27%)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2.96-3.00 (t, J = 6.0 Hz, 2H), 3.99 (s, 3H), 4.04 (s, 3H), 4.28-4.32 (t, J = 6.0 Hz, 2H), 6.13 (s, 2H), 6.85 (s, 1H), 7.08 (s, 1H), 7.32-7.57 (m, 5H), 7.73-7.76 (d, J = 9.0 Hz, 1H), 8.07-8.10 (d, J = 9.0 Hz, 1H).
< 실험예 1> iNOS 유전자 발현증가의 억제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iNOS 유도를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264.7세포를 384 웰플레이트에 3 x 104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고 100 ng/㎖ 농도의 LPS를 처리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지에 증가되는 Nitrate를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활성 저해율은감지된 신호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4127909445-pat00033
실시예 iNOS 유도활성
저해도(%)
10 μM 1 μM
1 134.2 91.0
2 95.2 56.8
3 112.7 74.1
4 97.9 23.2
5 98.3 29.0
6 114.9 7.2
7 100.0 13.4
8 107.7 1.8
9 116.6 65.6
10 99.2 53.9
11 118.4 -17.2
12 107.4 35.4
13 105.9 70.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iNOS 유도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들은 iNOS의 유도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2> NFAT5 전사활성 억제효과 조사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NFAT5 전사활성 억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NFAT5 리포터검색을 실시하였다. pEGFP-N1에 backbone 중에서 CMV promoter sequence 부분을 제거하고 NFAT5의 binding site sequence (TGGAAAATTACCG) 부분을 넣어 제작된 플라스미드 벡터를 형질도입시킨 Raw264.7 대식 세포를 10% FBS-RPMI 배지(500 μg/㎖의 G418 함유)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96-웰플레이트에 3 x 103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고 하루 동안 더 배양한 후에 LPS를 1 μg/㎖의 농도로 48시간 처리한 후 세포를 고정시키고 GFP의 발현정도를 HCS 형광이미지로 측정하였다(Thermo, ArrayScanVI).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의 NFAT5 전사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NFAT5 전사활성
저해도(%)
10 μM 1 μM
1 81.2 11.2
2 24.4 13.6
3 108.8 24.6
4 88.2 7.4
5 77.6 24.2
6 67.9 9.9
7 28.2 18.5
8 67.3 15.7
9 16.4 0.5
10 53.7 -3.8
11 -12.8 -10.4
12 -5.2 -2.9
13 -29.9 -11.1
상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들은 NFAT5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실시예 1, 3, 6 및 10의 유도체가 NFAT5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들은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NF -κB, NFATc , CREB , ELK 전사활성에 대한 영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이 NFAT 전사인자 이외의 NF-κB, NFATc, CREB, ELK 전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NF-κB 전사활성은 THP1-Lucia NF-κB 리포터세포를 10% FBS-RPMI 배지 (100 ug/㎖의 Zeocin 함유)에서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를 96-웰플레이트에 2 x 104 세포/웰의 밀도로 배양하고, LPS 1 μg/㎖과 화합물을 가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상등액 10 μl에 형광 분석 시약 50 μl를 가하여 발광을 측정하였다.
또한, NFAT 전사활성 평가는 THP1-XBlue-MD2-CD14 세포를 10% FBS-RPMI 배지 (200 μg/㎖의 Zeocin, 250 μg/㎖의 G418 함유)에서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세포를 96-웰플레이트에 2 x 104 세포/웰의 밀도로 배양하고, LPS 1 μg/㎖과 화합물을 가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상등액 20 μl에 secreted embryonic alkaline phosphatase (SEAP) detection medium 180 μl를 가하여 2시간 배양한 뒤 65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나아가, CREB 및 ELK1 전사활성 평가는 CHO/CREB-luc, HEK293/CREB-luc, HLR/ELK1 세포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세포는 각각 10% FBS-F12 (100 μg/㎖의 hygromycin 함유), 10% FBS-DMEM (100 μg/㎖의 hygromycin 함유), 10% FBS-DMEM (200 ug/㎖의 G418 함유)에서 배양하여 96-웰플레이트에 1 x 104 세포/웰의 밀도로 배양하고 하루 동안 더 배양한 후, 10 μM의 Forskolin 또는 1 μg/㎖의 PMA를 24시간 처리한 세포를 분쇄시키고 발광검색시약 25 μl를 가하여 발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들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NFAT 전사인자 이외의 전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구체적으로 A는 NF-κB, B는 NFATc, C는 CREB(CHO-K1), D는 CREB(HEK293), E는 ELK에 대한 전사활성의 억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는 NFAT5를 1 μM에서 80%이상 저해하는 것과는 달리 다른 전사인자들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게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3의 유도체는 10 μM에서 NF-κB 및 NFAT 프로모터활성을 약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는 NFAT5의 전사인자 활성에 대하여 선택적인 억제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p38 전사활성에 대한 영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의 p38의 인산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12웰 플레이트에 RAW264.7 (10% FBS-RPMI 1640 배지) 을 1.5 x 105의 밀도로 배양하였다. 실시예 1(1μM)을 한 시간 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뒤, LPS (1μg/㎖)로 자극하여 시간(15, 30, 60분)에 따른 p38 단백질과 활성 상태 p38 단백질(인산화)의 발현 차이를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의 p38 단백질과 활성 상태 p38 단백질(인산화)의 발현 웨스턴 블롯의 이미지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ROS 및 p38 단백질(인산화) 발현 정도의 차이가 없었다.
< 실험예 5> NFAT5 의 전사단계 및 핵 이동 조사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NFAT5의 mRNA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12웰 플레이트에 RAW264.7(10% FBS-RPMI 1640 배지)을 1.5 x 105 세포/웰의 밀도로 배양한 뒤 하루 동안 안정화를 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화합물을 1μM 의 농도로 한 시간 전처리 한 후, LPS로 12시간 동안 세포에 자극 시켰다. 12시간 후 세포에서 m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한 후, 실시간 중합 효소반응을 통해서 NFAT5의 mRNA 발현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사 조절 물질인 NFAT5가 세포질에서 핵으로 이동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6 웰 플레이트에 RAW264.7(10% FBS-RPMI 1640 배지)의 6 x 105 세포/웰의 밀도로 배양한 뒤, 화합물 6(1μM)을 한 시간 전처리 하고, LPS(1μg/㎖)를 24시간 처리하였다. 자극된 세포에서 세포질과 핵의 단백질 분리를 통해서, NFAT5와 NF-κB의 서브유닛(subunit)인 p65의 단백질을 확인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전사단계 및 핵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의 처리로 인해 NFAT5의 발현은 세포질로부터 분리한 단백질에서 보다 핵에서 분리한 단백질에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전처리하였을 경우 LPS 처리로 인해 증가했던 단백질 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LPS에 의해 발현이 증가된 NFAT5을 유효물질이 특이적으로 전사체 단계부터 억제시켜 NFAT5의 단백질 발현의 억제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6> 고장성에서 반응하는 인자들에 대한 효과 조사
고장성 조건에서 NFAT5가 조절하는 인자들이 실시예 1에 의해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6웰 플레이트에 Raw264.7 세포를 (10% FBS-RPMI 1640 배지) 1.5 x 105 세포/웰의 밀도로 배양하여 안정화를 시켰다. 실시예 1의 화합물(1μM)을 한 시간 전 처리한 후, NaCl(45 mM)을 3시간 자극해 준 뒤, 추출한 mRNA에서 cDNA를 합성하여 NFAT5 전사체를 실시간 중합효소 반응으로 확인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염화나트륨에 의해 증가되는 NFAT5의 전사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구체적으로 A는 BGT1, B는 AR의 전사체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NaCl을 처리하였을 때 NFAT5의 전사체인 BGT1 및 AR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렇게 증가된 상기 전사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화합물로 처리한 경우에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실험예 7> COX 효소 저해효과 조사
COX 효소 저해는 대표적인 항염증 기전으로서 선별된 화합물이 COX1 및 COX2 효소에 대한 저해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저해도를 베르베린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Cayman사의 COX assay kit (Cat# 760111)를 사용하였다. 완충액 69 μl와 Heme 5 μl, 효소 5 μl를 실시예 1 μl와 섞은 후 상온에서 5분간 미리 반응시키고 기질 10 μl와 아라키도닉산 10 μl를 넣어 빛이 없는 상태에서 10분간 반응을 시킨 후, 590 nm에서 흡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농도(μM) 인도메타신 베르베린 실시예 1
100 101.7 90.6 53.5 51.5 28.4 23.4
20 93.6 86.6 24.4 31.4 11.4 7.4
4 72.6 71.6 18.4 20.4 -6.7 -10.7
0.8 62.5 66.6 12.4 13.4 -4.7 -2.7
0.16 41.5 39.5 3.3 5.4 -1.7 -7.7
0.032 17.4 15.4 2.3 0 -14.7 -18.7
0.0064 11.4 8.4 - - - -
0.00128 2.3 0 - - - -
IC50(μM) 0.38 96.3 >100
농도(μM) 인도메타신 베르베린 실시예 1
100 104.5 96.9 50.3 53.7 36.7 25.7
20 83.3 84.2 41.0 39.3 12.1 15.5
4 75.7 75.7 28.2 29.9 1.1 -0.6
0.8 63.8 65.5 17.2 19.8 -7.3 -9.9
0.16 54.5 40.1 8.8 7.9 -15.0 -13.3
0.032 26.6 31.6 0 0 -20.1 -22.6
0.0064 9.6 8.8 - - - -
0.00128 0 0 - - - -
IC50 (μM) 0.26 58.4 >100
상기 표 4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COX1과 COX2 효소저해효과가 미미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8> 세포독성조사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의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5종의 세포(VERO: African green monkey kidney cell line, HFL-1: human embryonic lung cell line, L929: NCTC clone 929, mouse fibroblast cell line, NIH 3T3: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line, CHO-K1: Chinese hamster ovary cell line)를 1 x 104개/웰의 밀도로 96-웰플레이트에 분주하여 화합물을 24시간동안 처리하고 수용성의 WST-8이라는 테트라아조늄염을 가한 후 살아있는 세포에 존재하는 탈수소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오렌지색의 포르마잔 염료를 흡광에서 읽은 후 비선형회귀분석(nonlinear regression)을 하고 50% 성장저해농도(Growth Inhibition)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GI50 (μM)
VERO L929 HFL-1 NIN3T3 CHO-K1
1 84.2 40.3 26.1 7.16 12.1
3 84.9 47.7 32.8 10.2 16.7
6 >100 >100 >100 >100 >100
8 >100 >100 >100 >100 >100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는 10 μM 이하에서 세포에 미치는 독성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 실험예 9> 염증성사이토카인의 분비억제효과 조사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NFAT5의 표적 유전자인 GM-CSF2, MCP-1 및 IL-6,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위하여, Real time PCR, ELISA,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Raw264.7 세포를 12-웰플레이트에 1.5 x 106 세포/웰의 밀도로 10% FBS-RPMI 배지에 배양을 하고 다음날 실시예 1의 화합물을 1μM로 한 시간 전처리 후에 LPS (1μg/㎖)를 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6시간 처리 후에 웰의 상층액을 따서 GM-CSF, MCP-1 및 IL-6을 ELISA로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구체적으로 A는 GM-CSF2, B는 MCP-1 및 C는 IL-6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 자극으로 인해 증가된 GM-CSF2, MCP-1 및 IL-6의 단백질 발현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의 처리로 인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10> 콜라겐으로 유도된 류마티스관절염 마우스모델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화합물이 생체 내(in vivo) 상에서 관절염의 유도를 억제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7-8주령의 수컷 DBA/1 마우스(Jackson Laboratories, BarHarbor, ME)를 bovine 타입 II 콜라겐(CII : Chondrex, Redmond, WA)으로 면역반응을 유도한 뒤, 3주 후부터 매일 5주 동안 일주일에 3번 씩 실시예 1(15 mg/kg, 60 mg/kg)을 경구투여 하였다. 다음과 같은 관절염 증상 정도를 기준으로 (0점은 정상, 1점=미약함, 2점=약함, 3점=보통, 4점=심함) 점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을 주입하는 5주 동안 마우스 다리의 관절염 정도를 평가하여 도 7에 나타냈다.
[수학식 2]
Figure 112014127909445-pat00034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처리한 군의 마우스 다리의 관절 부위가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관절염의 증상이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직학적 염색을 통해서도 관절염 증상이 월등히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는 관절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11> 콜라겐으로 유도된 류마티스관절염 마우스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확인
류마티스관절염 마우스에서 염증성사이토카인의 발현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0>에서 사용한 콜라겐으로 관절염이 유도된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상기 마우스의 비장(spleen)에서 세포를 추출한 뒤, 12 웰 플레이트에 비장 세포를 배양하여 안정화를 시켰다. LPS로 12시간 동안 자극을 시켜준 후, 염증성사이토카인(TNF-α, IL-6)의 발현을 ELISA로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절염이 유도된 마우스의 비장 세포를 LPS로 유도하였을 때,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6)이 배지(medium)를 처리한 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다. TNF-α530 (pg/㎖), IL-6는 400 (pg/㎖)를 발현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의 화합물을 각각 15, 60 (mg/kg) 처리했을 때 TNF-α및 IL-6의 발현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12> 콜라겐으로 유도된 류마티스관절염 마우스에서 NFAT5 의 발현 확인
류마티스관절염 마우스에서 NFAT 단백질의 발현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1>의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에 의해서 관절염이 유도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LPS를 자극을 시켜준 후,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NFAT5의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CIA(Collagen Induced Arthristis)에서 LPS로 유도된 군에서 NFAT5의 발현이 증가 되었으나 실시예 1 의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증가되었던 NFAT5의 발현량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13> 간마이크로좀에서의 대사안정성 및 약물동태 조사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화합물의 대사안정성 및 약물동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화합물을 래트(rat)와 인간의 간마이크로좀 분획과 함께 30분 동안 배양한 후에 남아있는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여 표 7을 얻었다. 또한 래트의 정맥(iv) 및 경구(po)로 5 mg/kg투여한 수 약물동태프로파일을 도 10a 및 10b와 같이 얻었다.
그 결과, 표 7, 도 10a 및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8-옥소 유도체의 물성개선으로 경구 흡수율이 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에 비해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합물 래트(Rat) (%) 인간 (%)
실시예 1 35 ± 3 68.2 ± 6.1
실시예 3 18.5 ± 5.2 63.7 ± 2.4
대조약물 (buspirione) 0.82 ± 0.16 3.88 ± 0.24
< 실험예 14> 화합물에 의한 인간 단핵혈액세포의 염증성사이토카인 분비억제효과
인간 단핵혈액세포에서 화합물이 염증성사이토카인 분비를 억제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한 인간의 혈액에서 분리한 단핵세포(PBMC)에 LPS(1 ㎍/㎖)를 처리하여 유도되는 염증성사이토카인의 발현증가를 화합물이 얼마나 잘 억제하는지 화합물을 1 ㎍/㎖로 함께 처리하고 6시간동안 배양한 후 세포의 RNA를 분리하여 IL-6와 TNF-α유전자 전사량을 실시간 PCR로 분석하여 도 11에 표시하였다(NC는 음성대조군, PC는 양성대조군임).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NFAT5 저해제인 실시예 1의 화합물은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15> 마우스 T 세포의 Th17 세포로의 분화 억제능 확인
실시예 1의 화합물이 Th17 세포 분화를 억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형질전환마우스 (Rag2 KO/OVA-TCRtg)의 원천(naive) T세포를 T 헬퍼(helper) 17 세포로의 분화조건(APC세포와 함께 IL-6, IL-1β, TGF-β처리)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Th17 분화 억제제로 알려져 있는 베르베린과 비교하여 NFAT5 저해제가 Th17으로의 분화 억제 정도를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단백질 정량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세포생존율을 CCK-8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화합물은 베르베린과 유사한 수준의 Th17 분화억제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 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500 n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3> 건강음료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500 n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16035409147-pat00051

    상기 화학식 1에서 A가 -C(=O)- 또는 -NHC(=O)-인데,
    A가 -C(=O)-인 경우, R은 하이드록시, 아미노, 직쇄 또는 측쇄의 C1-2알콕시 또는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하나 이상 치한된 페닐이고;
    A가 -NHC(=O)-인 경우, R은 비치환 또는 할로겐으로 하나 이상 치환된 페닐이다.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는:
    10) 13-에틸-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실레이트;
    11) 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실산;
    12) 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사마이드; 및
    13) N-(2-플루오로페닐)-9,10-디메톡시-8-옥소-6,8-디하이드로-5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리노[3,2-a]이소퀴놀린-13-카르복사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10.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7항의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6035409147-pat00036

    (상기 반응식 1에서, A 및 R은 제7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1 및 X2 할로겐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 및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를 포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7항의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2]
    Figure 112016035409147-pat00037

    (상기 반응식 2에서, A 및 R은 제7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2 할로겐이다).
  12. 제7항의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또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류마티스 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또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전신성 경피증, 홍반성 낭창, 아토피 피부염, 베체씨병,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및 그레이브씨 갑상선 항진증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또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6. 제7항의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또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7. 삭제
  18. 제7항의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한 양으로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관절염 또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
  19. 관절염 또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한 제7항의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20. 관절염 또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7항의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KR1020140193586A 2013-12-31 2014-12-30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56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29,075 US9650389B2 (en) 2013-12-31 2014-12-30 8-oxoprotoberberin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associated with activity of NFAT5, contain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PCT/KR2014/013059 WO2015102380A1 (ko) 2013-12-31 2014-12-30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8600 2013-12-31
KR1020130168600 2013-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427A KR20150080427A (ko) 2015-07-09
KR101656394B1 true KR101656394B1 (ko) 2016-09-23

Family

ID=5379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586A KR101656394B1 (ko) 2013-12-31 2014-12-30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50389B2 (ko)
KR (1) KR101656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263A1 (ko) * 2021-11-02 2023-05-11 경상국립대학교병원 백내장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6396A1 (en) * 2009-05-08 2010-11-11 Li Chen Novel isoquinolin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59834B (zh) 2004-09-17 2010-06-23 中国医学科学院医药生物技术研究所 黄连素或其与辛伐他汀联合在制备用于预防或治疗与血脂有关疾病或症状的产品中用途
US20130237556A1 (en) 2012-03-12 2013-09-12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Berberine alkaloid as a medicam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al dise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6396A1 (en) * 2009-05-08 2010-11-11 Li Chen Novel isoquinoli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427A (ko) 2015-07-09
US9650389B2 (en) 2017-05-16
US20160251368A1 (en)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284B1 (ko) 대사증후군 치료 화합물
US20190374536A1 (en) Methods of using fasn inhibitors
KR101789430B1 (ko) Smo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BR112020014584A2 (pt) inibição do canal iônico do receptor de potencial transitório a1
CN110035745B (zh) 小分子ampk活化剂
CN103919778A (zh) 一种含哌啶酮结构的姜黄素类似物s1在制备抗炎药物方面的应用
JP6860677B2 (ja) グローコカリキシンa誘導体、その医薬的に許容できる塩または医薬組成物、およびこれらの乾癬治療用医薬の調製における使用
CN110357858A (zh) 具有穿过血脑屏障能力的5取代二氟哌啶化合物
KR101656394B1 (ko)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73265B1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3279B1 (ko) 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102380A1 (ko) 신규한 8-옥소프로토베르베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nfat5의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09089B1 (ko) 페닐티오우레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글루타미닐 사이클레이즈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9889139B2 (en)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6-aminopyridin-3-ol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subject
EP2303823B1 (en) Novel cinnamaldehyde derivatives having improved solubility in water,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treatment method of cancer using the same
KR20190114299A (ko) RhoA 억제제 및 이의 용도
KR101473965B1 (ko) 소라페닙 및 이미다조피리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8536692A (ja) 新規なジヒドロピラノピリミジノ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Novel dihydropyranopyrimidinone derivatives、and use thereof}
US10568852B2 (en) Combination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methods for treating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orders
KR101591772B1 (ko) 신규한 아민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t-형 또는 n-형 칼슘 채널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1490B1 (ko) 페닐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55554B1 (ko) 택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97062B1 (ko)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개선된 신규 제라닐 프라보노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14300A (ko) RhoA 억제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