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166A -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166A
KR20200097166A KR1020190014601A KR20190014601A KR20200097166A KR 20200097166 A KR20200097166 A KR 20200097166A KR 1020190014601 A KR1020190014601 A KR 1020190014601A KR 20190014601 A KR20190014601 A KR 20190014601A KR 20200097166 A KR20200097166 A KR 2020009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support
vehicl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184B1 (ko
Inventor
황성민
Original Assignee
황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민 filed Critical 황성민
Priority to KR102019001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1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에 결합되는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차량장착 고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조절하며, 조작감 향상부에 회전이 지지되면서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와, 휴대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말기 위치 조절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단말기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의 거치와 거치방향 조작시에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에어벤트의 블레이드 파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고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거치와 거치방향 조작시에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에어벤트의 블레이드 파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고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 중 휴대폰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차량의 센터페시아 또는 변속레버 주변에 휴대폰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을 하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화되어 모바일 환경에서 보다 풍부한 컨텐츠가 보급되게 됨으로써,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기술을 통한 핸즈프리 및 오디오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휴대폰 거치대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휴대폰의 활용과 동시에 배터리 충전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통상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을 가지는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다른 기종의 휴대폰으로 교체하면 기존의 휴대폰 거치대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거치대의 한 쌍의 측부 홀더 중 하나를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거치대의 측부 홀더 간의 간격을 가변시켜 다양한 규격의 휴대폰을 거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의 에어벤트에 고정할 때 과도한 결합력에 에어벤트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이와 같은 거치대의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4233 호(공개일:2018.08.23)에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7-0022469호(공개일:2017.03.02)에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의 거치와 거치방향 조작시에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에어벤트의 블레이드 파손을 방지하면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에 결합되는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조절하며, 조작감 향상부에 회전이 지지되면서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단말기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은, 상기 차량의 에어벤트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에어벤트 걸림브래킷을 구비하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에어벤트 걸림 브래킷과 쌍을 이루어 상기 에어벤트에 선택적으로 밀착 지지되는 밀착 지지부와, 상기 밀착 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본체에 구비되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에어벤트에 밀착되는 상기 밀착 지지부의 지지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탄성 밀착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에어벤트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보조 걸림브래킷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 걸림브래킷은, 상기 에어벤트의 블레이드 위치에 따라 상기 에어벤트 걸림브래킷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밀착 가압부는, 상기 지지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너트부재와, 상기 가이드 너트에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가이드 너트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밀착 지지부를 상기 에어벤트로 이동시키는 이동볼트부재와, 상기 가이드 너트부재를 상기 밀착 지지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본체에 구비되는 균일가압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감 향상부는,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 사이의 마찰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감 향상부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감 향상부는,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고정홈부와,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고정홈부에 결합되며, 마찰력을 통해 조작감을 발생하는 조작감 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작감 향상부을 통해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마찰력이 발생하는 위치조정 회전부재와, 상기 단말기 홀더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위치조정 회전부재에 구비되며, 위치고정 마찰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 홀더를 지지하는 피벗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고정 마찰부는, 상기 피벗 지지부재 또는 상기 단말기 홀더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와, 상기 피벗 지지부재와 상기 단말기 홀더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며, 마찰력을 통해 지지력을 발생하도록 고무 또는 합성고무에 의해 형성되는 마찰력 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말기 홀더는,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위치고정 마찰부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위치 조절부에서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는 단말기 안착본체와, 상기 단말기 안착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양 측면에 밀착 지지하도록 한 쌍의 단말기 탈착 고정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말기 안착본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패드와, 충전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충전패드와 대응하는 부위가 개방되는 신호전달 개구부와, 상기 신호전달 개구부를 커버하는 밀폐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말기 탈착 고정부는, 피니언에 치합되는 제1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안착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과,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는 제2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과 연동하도록 상기 단말기 안착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 만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과,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휴대폰의 거치와 거치방향 조작시에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위치가 조절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에어벤트에 결합될 때 밀착 지지부가 탄성력을 통해 블레이드에 밀착되므로, 에어벤트에 과도한 결합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에어벤트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단말기 위치 조절부와 단말기 홀더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단말기 위치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단말기 위치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고정 마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탈착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단말기 위치 조절부와 단말기 홀더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단말기 위치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단말기 위치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고정 마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이고, 도 13은 도 10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탈착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의 에어벤트(10)에 탈착되며, 휴대 단말기(20)의 핸즈프리 기능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20)가 선택적으로 탈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휴대 단말기(20)는 휴대폰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에어벤트(10)에 탈착되는 차량장착 고정유닛(100)과, 휴대 단말기(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와, 휴대 단말기(20)가 탈착되며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를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2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말기 홀더(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이 균일한 탄성력을 통해 에어벤트(10)의 블레이드(11)에 밀착 고정되므로, 과도한 고정압력에 의해 블레이드(11)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이 2중 고정구조를 통해 블레이드(11)에 결합되므로, 블레이드(11)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종의 블레이드(11)에 안정되게 고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은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본체(110)와, 지지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에어벤트(10)에 밀착되는 밀착 지지부(120)와, 밀착 지지부(120)를 일정한 압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밀착 가압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은 지지본체(110)가 에어벤트(10)의 블레이드(11)에 걸린 상태에서 탄성 밀착 가압부(130)를 작동시키면 밀착 지지부(120)가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블레이드(11)의 전면에 밀착되어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에어벤트(10)에 고정시킨다. 더하여 밀착 지지부(120)가 탄성 밀착 가압부(130)의 탄성력에 의해 에어벤트(10)에 밀착되는 압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밀착 지지부(120)를 통해 에어벤트(10)에 접촉하는 압력 및 힘이 과도하게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에어벤트(1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본체(110)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가이드부(111)와, 에어벤트(10)로 삽입되어 블레이드(11)에 걸리도록 스크루를 통해 회전가이드부(111)에 결합되는 에어벤트 걸림브래킷(113)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본체(110)는 에어벤트 걸림브래킷(113)과 쌍을 이루어 블레이드(11)에 걸리는 보조 걸림브래킷(115)을 더 포함한다.
회전가이드부(111)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며, 일측에 밀착 지지부(120)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가이드부(111)는 에어벤트 걸림브래킷(113)과 보조 걸림브래킷(115)이 고정되는 제1가이드부재(117)와,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가이드부재(117)에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119)를 구비한다. 이때, 제1가이드부재(117)와 제2가이드부재(119)는 볼트 또는 스크루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외면에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가이드부재(117)는 탄성 밀착 가압부(130)를 설치하기 위한 제1관통홀부(117a)가 중앙부에 관통형성되고, 제1관통홀부(117a)를 관통하는 탄성 밀착 가압부(130)가 밀착 지지부(120)에 연결된다.
또한 제1가이드부재(117)는 일면에 보조 걸림브래킷(115)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브래킷 가이드홈부(117b)가 형성되고, 타면에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의 조립을 위한 제1원형부(117c)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원형부(117c)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에 삽입된다.
제2가이드부재(119)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를 지지하도록 제1가이드부재(117)에 결합되어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그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가이드부재(119)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에 삽입되어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2원형부(119a)가 구비되고, 중앙부에 탄성 밀착 가압부(130)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부(119b)가 형성된다.
한편, 회전가이드부(111)는 탄성 밀착 가압부(130)가 밀착 지지부(1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작동 공간부(111a)가 형성된다. 작동 공간부(111a)는 제1관통홀부(117a) 및 제2관통홀부(119b)에서 확장 형성된다.
에어벤트 걸림브래킷(113) 및 보조 걸림브래킷(115)은 끝단부에 훅 모양의 걸리부가 형성된다. 또한 보조 걸림브래킷(115)은 블레이드(11)의 간격 및 위치에 따라 브래킷 가이드홈부(117b)에서 이동되어 에어벤트 걸림브래킷(113)과의 간격이 조절된다.
밀착 지지부(120)는 에어벤트 걸림브래킷(113)과 보조 걸림브래킷(115)이 관통하도록 브래킷 관통부(121)가 형성되며, 탄성 밀착 가압부(130)에 연결된다. 이때, 브래킷 관통부(121)는 에어벤트 걸림브래킷(113)과 보조 걸림브래킷(115)이 각각 조립되도록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걸림브래킷(115)이 관통하는 어느 하나의 브래킷 관통부(121)가 다른 하나의 브래킷 관통부(121)보다 넓게 형성되어 보조 걸림브래킷(115)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밀착 지지부(120)는 일면에 블레이드(11)에 지지되는 밀착돌부(123)가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패드(125)가 접합된다.
이러한 밀착 지지부(120)는 탄성 밀착 가압부(130)의 작동에 의해 에어벤트 걸림브래킷(113)과 보조 걸림브래킷(115)을 따라 이동하면서 에어벤트(10)에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특히, 밀착 지지부(120)는 탄성 밀착 가압부(1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에어벤트(10)에 밀착되므로, 에어벤트(10)에 밀착되는 압력과 힘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를 통해 밀착 지지부(120)가 에어벤트(10)를 과도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을 에어벤트(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에어벤트(10)의 블레이드(11)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의 결합력을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탄성 밀착 가압부(130)는 밀착 지지부(120)를 일정한 압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력을 통해 에어벤트(10)에 밀착되는 밀착 지지부(120)의 지지 압력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밀착 가압부(130)는, 지지본체(110)의 작동 공간부(111a)에 삽입되는 가이드 너트부재(131)와, 밀착 지지부(120)에 연결되도록 가이드 너트부재(131)에 체결되는 이동볼트부재(133)와, 작동 공간부(111a)에 삽입되어 가이드 너트부재(131)를 탄성 지지하는 균일가압 탄성부재(135)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 밀착 가압부(130)는 제2가이드부재(119)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이동볼트부재(133)의 헤드를 커버하도록 제2가이드부재(11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캡(137)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 밀착 가압부(130)는 사용자가 조작캡(137)을 회전시키면 이동볼트부재(133)가 조작캡(137)과 함께 회전되면서 지지본체(110)에서 직선이동하여 밀착 지지부(120)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탄성 밀착 가압부(130)는 밀착 지지부(120)가 에어벤트(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을 고정하는 방향으로 조작캡(137)이 회전되면 이동볼트부재(133)가 에어벤트(1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볼트부재(133)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너트부재(131)가 균일가압 탄성부재(135)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균일가압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이 가이드 너트부재(131) 및 이동볼트부재(133)로 전달되어 밀착 지지부(120)가 균일가압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에어벤트(10)에 밀착된다.
즉, 탄성 밀착 가압부(130)는 균일가압 탄성부재(135)의 탄성력만으로 밀착 지지부(120)를 에어벤트(10)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밀착 지지부(120)가 과도한 압력이나 힘으로 에어벤트(10)에 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을 에어벤트(1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에어벤트(10) 및 블레이드(11)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에어벤트(10)에 걸림 고정되는 에어벤트 걸림브래킷(113) 및 보조 걸림브래킷(115)의 변형과 파손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는 단말기 홀더(300)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지지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는 지지본체(110)에서 작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마모 등에 의해 지지본체(110)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는 차량장착 고정유닛(100)과 단말기 홀더(300)를 연결하도록 지지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정 회전부재(210)를 구비한다. 위치조정 회전부재(210)는 조작감 향상부(220)를 통해 회전가이드부(111)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20)의 위치 조절을 위하여 회전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러한, 위치조정 회전부재(210)는 제1원형부(117c) 및 제2원형부(119a)가 삽입되는 원통부(211)와, 원통부(211)의 외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로드(213)를 구비하며, 연장로드(213)의 끝단부에 단말기 홀더(300)의 결합을 위한 피벗 지지부재(230)가 구비된다.
원통부(211)는 조작감 향상부(220)를 통해 제1원형부(117c) 및 제2원형부(119a)에 결합되며, 조작감 향상부(220)의 마찰력에 의해 제1원형부(117c) 및 제2원형부(119a)에서 회전되는 것이 선택적으로 방지된다.
예를 들어 조작감 향상부(220)의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에 가해지면 위치조정 회전부재(210)가 회전가이드부(111)에서 회전하게 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조작감 향상부(220)의 마찰력에 의해 위치조정 회전부재(210)가 회전가이드부(111)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를 강제로 회전시켜야만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에서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가 회전되어 그 위치가 변경된다.
조작감 향상부(220)는 원통부(211)와 회전가이드부(111)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장착 고정유닛(100)과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 사이의 마찰력을 발생하여 위치조정 회전부재(210)의 회전을 지지하며, 마찰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전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조작감 향상부(220)는 회전가이드부(111)와 원통부(21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홈부(221)와, 고정홈부(221)에 결합되어 회전가이드부(111) 및 원통부(211)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조작감 발생부재(2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홈부(221)는 회전가이드부(111)의 제2원형부(119a) 및 제2원형부(119a)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감 발생부재(223)는 마찰력을 가지도록 고무 또는 합성고무에 의해 링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피벗 지지부재(230)는 단말기 홀더(300)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위치조정 회전부재(210)의 연장로드(213) 끝단부에 형성되며, 위치고정 마찰부(240)에 의해 단말기 홀더(3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피벗 지지부재(230)는 단말기 홀더(300)의 피벗 결합을 위하여 구 형상의 피벗홈부(231)가 형성되며, 단말기 홀더(300)의 용이한 조립을 위하여 커버블록(233)을 구비한다. 피벗홈부(231)와 단말기 홀더(300) 사이에는 단말기 홀더(300)의 위치 고정을 위한 지지력과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발생하기 위한 위치고정 마찰부(240)가 구비된다.
위치고정 마찰부(240)는 피벗 지지부재(230)와 단말기 홀더(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부(241)와, 결합홈부(241)에 결합되어 피벗 지지부재(230)와 단말기 홀더(300)에 마찰력 발생하는 마찰력 발생부재(243)를 포함한다. 이때 마찰력 발생부재(243)는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발생시킴은 물론 마찰력을 통해 위치가 조절된 단말기 홀더(300)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홈부(241)는 단말기 홀더(300)에 형성되며, 마찰력 발생부재(243)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에 의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 홀더(300)는 휴대 단말기(2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휴대 단말기(20)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기 홀더(300)는 피벗 지지부재(230)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말기 안착본체(310)와, 단말기 안착본체(310)에 쌍을 이루도록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말기 안착본체(31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20)를 고정하는 단말기 탈착 고정부(320)를 포함한다.
단말기 안착본체(310)는 단말기 탈착 고정부(320)의 작동을 안정되기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1케이스(311)와 제2케이스(313)를 포함하며, 제1케이스(311)와 제2케이스(313) 사이에 단말기 탈착 고정부(3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단말기 안착본체(310)는 휴대 단말기(20)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부(315)가 제2케이스(313)에 구비된다.
제1케이스(311)는 외면에 피벗홈부(231)에 피벗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벗볼부재(311a)가 구비되고, 내부에 단말기 탈착 고정부(320)의 결합을 위한 제1안착홈부(311b)가 형성된다. 이때, 피벗볼부재(311a)의 외면에는 위치고정 마찰부(240)의 결합홈부(24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케이스(311)는 피벗 지지부재(230)에서 피벗 이동되면서 휴대 단말기(2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며, 마찰력 발생부재(243)의 마찰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발생시키고 조정된 위치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제2케이스(313)는 내부에 단말기 탈착 고정부(320)의 결합 및 작동을 위한 제2안착홈부(313a)가 형성되고, 외면에 무선충전부(315)가 결합된다. 이때, 무선충전부(315)를 제2케이스(313)의 외면에 설치하는 것은 휴대 단말기(20)와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여 충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무선충전부(315)는 휴대 단말기(20)의 무선 충전을 위하여 제2케이스(313)에 고정되는 충전패드(315a)와, 충전패드(315a)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2케이스(313)에 결합되는 패드커버(317)를 포함한다.
패드커버(317)에는 단말기 안착본체(310)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20)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패드커버(317)는 충전패드(315a)의 충전신호가 휴대 단말기(20)에 원활하게 송수신 가능하도록 신호전달 개구부(317a)가 형성된다. 이때, 신호전달 개구부(317a)는 충전패드(315a)와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패드커버(317)는 신호전달 개구부(317a)를 통해 패드커버(317)가 외측으로 개방되므로, 충전신호의 세기가 감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충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드커버(317)는 접촉되는 휴대 단말기(20)의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신호전달 개구부(317a)가 밀폐막부재(317b)에 의해 커버된다. 밀폐막부재(317b)는 충전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박판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 탈착 고정부(320)는 제1케이스(311)와 제2케이스(313)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말기 안착본체(310)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20)의 양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휴대 단말기(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탈착 고정부(320)는, 제1안착홈부(311b) 및 제2안착홈부(313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321)과, 휴대 단말기(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케이스(311)와 제2케이스(313)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323)과,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323)과 연동하여 휴대 단말기(20)를 고정하도록 제1케이스(311)와 제2케이스(313)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325)을 포함한다.
이때,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323)과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325)은 휴대 단말기(20)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며, 지지판이 단말기 안착본체(3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지지판의 내면에 접촉패드가 결합된다. 접촉패드는 휴대 단말기(2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323) 및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323)은 피니언(321)에 의해 연동 가능하도록 제1기어치(323a) 및 제2기어치(325a)가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323)은 제1기어치(323a)에 의해 피니언(321)에 치합되고,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325)은 제2기어치(325a)에 의해 피니언(321)에 치합된다.
더하여,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323) 및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325)은 휴대 단말기(20)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휴대 단말기(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탄성밴드(327)에 의해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한편, 단말기 탈착 고정부(320)는 단말기 안착본체(31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323)과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325)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부재(329)를 더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판부재(329)와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323) 및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325)에는 접촉면적을 줄이면서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하도록 가이드 리브(320a)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20)의 거치와 거치방향 조작시에 조작감 발생부재(223) 및 마찰력 발생부재(243)에 의한 마찰력으로 인하여, 조작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위치가 조절된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와 단말기 홀더(300)의 위치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200)와 단말기 홀더(300)의 조작감 및 지지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조작감 발생부재(223)와 마찰력 발생부재(243)만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그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이 에어벤트(10)에 결합될 때 밀착 지지부(120)가 균일가압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해 에어벤트(10)에 밀착되므로, 사용자의 조작력이 균일가압 탄성부재(135)를 통해 밀착 지지부(120)에 일정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에어벤트(10)에 과도한 결합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장착 고정유닛(100)을 설치할 때 에어벤트(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충전패드(315a)가 신호전달 개구부(317a)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필름 형태의 밀폐막부재(317b)에 의해 커버되므로, 충전패드(315a)에서 휴대 단말기(20)로 전달되는 충전신호가 약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의 충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에어벤트 11 : 블레이드
20 : 휴대 단말기 100 : 차량장착 고정유닛
110 : 지지본체 111 : 회전가이드부
111a : 작동공간부 113 : 에어벤트 걸림브래킷
115 : 보조 걸림브래킷 117 : 제1가이드부재
119 : 제2가이드부재 120 : 밀착 지지부
121 : 브래킷 관통부 123 : 밀착돌부
115 : 고무패드 130 : 탄성 밀착 가압부
131 : 가이드 너트부재 133 : 이동볼트부재
135 : 균일가압 탄성부재 137 : 조작캡
200 : 단말기 위치 조절부 210 : 위치조절 회전부재
211 : 원통부 213 : 연장로드
220 : 조작감 향상부 221 : 고정홈부
223 : 조작감 발생부재 230 : 피벗 지지부재
231 : 피벗홈부 233 : 커버블록
240 : 위치고정 마찰부 241 : 결합홈부
243 : 마찰력 발생부재 300 : 단말기 안착본체
311 : 제1케이스 313 : 제2케이스
315 : 무선충전부 317 : 패드커버
317a : 신호전달 개구부 317b : 밀폐막부재
320 : 단말기 탈착 고정부 321 : 피니언
323 :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 325 :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
327 : 탄성밴드 329 : 가이드판부재

Claims (12)

  1. 차량에 결합되는 차량장착 고정유닛;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조절하며, 조작감 향상부에 회전이 지지되면서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단말기 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은, 상기 차량의 에어벤트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에어벤트 걸림브래킷을 구비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에어벤트 걸림 브래킷과 쌍을 이루어 상기 에어벤트에 선택적으로 밀착 지지되는 밀착 지지부; 및
    상기 밀착 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벤트에 밀착되는 상기 밀착 지지부의 지지력을 유지시키는 탄성 밀착 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에어벤트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보조 걸림브래킷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보조 걸림브래킷은, 상기 에어벤트의 블레이드 위치에 따라 상기 에어벤트 걸림브래킷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밀착 가압부는, 상기 지지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너트부재;
    상기 가이드 너트에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가이드 너트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밀착 지지부를 상기 에어벤트로 이동시키는 이동볼트부재; 및
    상기 가이드 너트부재를 상기 밀착 지지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본체에 구비되는 균일가압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향상부는,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 사이의 마찰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향상부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향상부는,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고정홈부에 결합되며, 마찰력을 통해 조작감을 발생하는 조작감 발생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작감 향상부을 통해 상기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마찰력이 발생하는 위치조정 회전부재; 및
    상기 단말기 홀더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위치조정 회전부재에 구비되며, 위치고정 마찰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 홀더를 지지하는 피벗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마찰부는, 상기 피벗 지지부재 또는 상기 단말기 홀더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피벗 지지부재와 상기 단말기 홀더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며, 마찰력을 통해 지지력을 발생하도록 고무 또는 합성고무에 의해 형성되는 마찰력 발생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홀더는, 상기 단말기 위치 조절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위치고정 마찰부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위치 조절부에서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는 단말기 안착본체; 및
    상기 단말기 안착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양 측면에 밀착 지지하도록 한 쌍의 단말기 탈착 고정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안착본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패드;
    충전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충전패드와 대응하는 부위가 개방되는 신호전달 개구부; 및
    상기 신호전달 개구부를 커버하는 밀폐막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탈착 고정부는, 피니언에 치합되는 제1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안착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는 제2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과 연동하도록 상기 단말기 안착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 만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 및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제1단말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제2단말기 지지 브래킷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20190014601A 2019-02-07 2019-02-07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2146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601A KR102146184B1 (ko) 2019-02-07 2019-02-07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601A KR102146184B1 (ko) 2019-02-07 2019-02-07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66A true KR20200097166A (ko) 2020-08-18
KR102146184B1 KR102146184B1 (ko) 2020-08-19

Family

ID=7226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601A KR102146184B1 (ko) 2019-02-07 2019-02-07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1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107B1 (ko) * 2020-12-03 2021-04-01 최성현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마트폰 충전거치대
KR102267229B1 (ko) * 2020-09-18 2021-06-21 최성호 휴대단말기 거치대 고정장치
KR20220002967U (ko) 2021-06-11 2022-12-20 김형태 거치형 단말 충전 장치
WO2023205200A1 (en) * 2022-04-19 2023-10-26 Peak Design Vehicle mount and mounting system for mobile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008A (ko)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인트비즈 차량용 휴대폰 홀더
KR102448994B1 (ko) * 2020-11-20 2022-09-29 이용기 거치대
KR20220070628A (ko) 2020-11-23 2022-05-3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216A (ja) * 1997-11-12 1999-05-25 Primo Hanbai Kk 車載用機器のホルダー装置
KR101672534B1 (ko) * 2015-05-26 2016-11-03 조규호 차량용 거치대
KR20170022469A (ko) * 2015-08-20 2017-03-02 조규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1924395B1 (ko) * 2018-08-30 2018-12-03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216A (ja) * 1997-11-12 1999-05-25 Primo Hanbai Kk 車載用機器のホルダー装置
KR101672534B1 (ko) * 2015-05-26 2016-11-03 조규호 차량용 거치대
KR20170022469A (ko) * 2015-08-20 2017-03-02 조규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1924395B1 (ko) * 2018-08-30 2018-12-03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229B1 (ko) * 2020-09-18 2021-06-21 최성호 휴대단말기 거치대 고정장치
KR102235107B1 (ko) * 2020-12-03 2021-04-01 최성현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마트폰 충전거치대
KR20220002967U (ko) 2021-06-11 2022-12-20 김형태 거치형 단말 충전 장치
WO2023205200A1 (en) * 2022-04-19 2023-10-26 Peak Design Vehicle mount and mounting system for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184B1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184B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EP1060606B1 (en) Optical switch for headset
US7046799B2 (en) Communication headset and method
AU8912498A (en) Umbrella with side support for tilting and opening
KR101428396B1 (ko) 차량용 페달장치
KR20000005092A (ko) 전화 헤드세트로 변형가능한 전화 핸드세트
CA2541758A1 (en) Rotatable helmet mounting assembly
US7058193B2 (en) Microphone assembly for a vehicle hands-free telephone
US20100154166A1 (en) Hing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hinge
KR200389092Y1 (ko) 차량용 거치대
US20040166890A1 (en) Electronics devices with spring biased hinges and methods therefor
EP2219071A1 (en) Focusing device for beam projector
KR20150064621A (ko) 트렁크 개폐장치
CN213892136U (zh) 天窗装置
GB2235607A (en) Microphone mounting
KR20130006983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0849308B1 (ko)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회전각도 유지장치
KR20080107498A (ko) 회전 가능한 이어피스를 구비하는 무선 헤드셋 및 이의모드 변환 제어 방법
CN110843628A (zh) 用于汽车座椅的可调式扬声装置
CN213906726U (zh) 一种多功能手机运动固定支架
CN218827842U (zh) 一种5g通讯天线
CN221010297U (zh) 耳机主体旋转调节结构
KR200255249Y1 (ko) 핸즈프리의 각도 조절장치
JP4235566B2 (ja) スピーカ取り付け構造
CN211088469U (zh) 一种带有保护结构的wifi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