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994B1 -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994B1
KR102448994B1 KR1020200156138A KR20200156138A KR102448994B1 KR 102448994 B1 KR102448994 B1 KR 102448994B1 KR 1020200156138 A KR1020200156138 A KR 1020200156138A KR 20200156138 A KR20200156138 A KR 20200156138A KR 102448994 B1 KR102448994 B1 KR 102448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hole
bolt connection
air ve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224A (ko
Inventor
이용기
Original Assignee
이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기 filed Critical 이용기
Priority to KR102020015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9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벤트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전면으로는 컵홀더 또는 핸드폰 홀더를 거치하는 거치대로서, 전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태로서, 상기 에어벤트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배면 중앙으로 제1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볼트 연결홀에서 양단부로 진행하며 로드 돌출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중앙으로는 제2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벤트에 대한 고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치대{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에어벤트에 컵홀더 또는 핸드폰 홀더를 거치할 수 있고, 홀더의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전 중인 경우 휴대폰을 차량의 대쉬 보드 상면, 즉 윈드 실드 글래스 아래의 공간에 올려놓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때, 주행 중인 자동차의 진동과 회전으로 휴대폰이 기울어지거나 차량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2018-0094233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가 개시되었다.
상기한 기술을 살펴보면, 차량 에어벤트의 수평날개에 걸리는 후크 고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기술에 따른 거치대를 차량 에어벤트에 배치하면, 공기를 위, 아래 방향으로 보내기 위한 에어벤트의 각도 조정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차량 진동 등에 의해 후크 고리의 걸림이 해제되어 거치대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 운전자가 커피 등의 음료를 음용하기 위하여 음료가 담긴 텀블러를 상기한 선행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은 거치대를 이용하여 차량의 에어벤트에 거치한다.
이 경우에도, 에어벤트의 각도 조정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차량 진동 등에 의해 후크 고리의 걸림이 해제되어 거치대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 로드의 단부가 차량의 에어벤트 내측으로 삽입된 후, 에어벤트의 내주에 걸리며 고정이 이루어지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노브를 회전 조작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고정 로드의 기울기가 변화되며 에어 벤트에 대한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벤트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전면으로는 컵홀더 또는 핸드폰 홀더를 거치하는 거치대로서, 전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태로서, 상기 에어벤트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배면 중앙으로 제1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볼트 연결홀에서 양단부로 진행하며 로드 돌출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중앙으로는 제2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벤트에 대한 고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컵홀더 또는 상기 핸드폰 홀더와 연결되는 보조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으로는 제3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며, 중앙에서 양단으로 진행하며 복수의 제1 조절홀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와의 거리가 가변되게 배치되는 제1 조절 플레이트와,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의 배면으로 배치되며, 중앙으로는 제4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양단으로 진행하며 복수의 제2 조절홀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제4 볼트 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3 조절 볼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볼트와, 일단은 상기 커버의 배면으로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조절홀, 상기 제1 조절홀 및 상기 로드 돌출홀을 통해 상기 에어벤트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벤트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조절 플레이트의 크기와 형태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볼트는, 상기 제1, 2 및 제4 볼트 연결홀 상에서는 공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 볼트 연결홀과는 나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홀의 행과 열의 수는, 상기 제2 조절홀의 행과 열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3 볼트 연결홀에서 상기 제1 조절홀의 제1 행까지의 간격은, 상기 제4 볼트 연결홀에서 상기 제2 조절홀의 제1 행까지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홀들의 간격과 상기 제2 조절홀들의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3 볼트 연결홀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조절홀의 내주 일측은, 상기 제1 조절 플레이트의 단부측으로 진행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거치대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 로드의 단부가 차량의 에어벤트 내측으로 삽입된 후, 에어벤트의 내주에 걸리며 고정이 이루어질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노브를 회전 조작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고정 로드의 기울기가 변화되며 에어 벤트에 대한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상세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본체의 배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조절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A1-A1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2 조절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A2-A2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가 입구가 사각형인 에어벤트에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가 입구가 원형인 에어벤트에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조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거치대의 배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컵홀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상세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본체의 배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는 본체(110), 커버(120) 및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차량 에어벤트의 전방으로 배치된다.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 또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가 직육면체 형태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10)의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조절부(13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본체(110)의 크기는 에어벤트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의 배면, 즉 에어벤트 측으로 배치되는 본체(110)의 일면 중앙으로는 후술하는 조절 볼트(136)가 연결되는 제1 볼트 연결홀(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볼트 연결홀(112)에서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 각각으로는 후술하는 고정 로드(138)의 단부가 돌출되는 로드 돌출홀(114)이 형성된다. 로드 돌출홀(114)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의 전면으로는 후술하는 조절부(130)를 본체(110) 내면으로 배치하는 공간을 이루기 위하여, 커버(120)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다.
커버(12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Plate)로서, 본체(110)의 전방으로 배치된다. 커버(120)의 양단은 절곡되어, 본체(110)의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커버(120)와 본체(110)의 연결에 의해, 커버(120)와 본체(110)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조절부(130)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커버(120)의 중앙으로는 후술하는 조절 볼트(136)가 관통하는 제2 볼트 연결홀(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볼트 연결홀(122)은 제1 볼트 연결홀(112)과 동일한 형태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20)의 전면 하단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컵홀더 또는 핸드폰 홀더가 연결되어 지지되는 보조 홀더(124)를 이룬다.
조절부(130)는 본체(110)과 커버(120)에 의해 설정되어 제공되는 공간 상에 배치된다. 조절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가 에어벤트의 전방으로 배치될 때, 에어벤트에 대한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30)는 제1 조절 플레이트(132), 제2 조절 플레이트(134), 조절 볼트(136), 고정 로드(138)를 포함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조절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1-A1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조절 플레이트(132)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조절 플레이트(132)는 후술하는 조절 볼트(136)의 조작에 의해 본체(110) 내측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조절 플레이트(132)의 크기와 형태는 에어벤트 측으로 배치되는 본체(110) 배면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조절 플레이트(132)의 중앙으로는 후술하는 조절 볼트(136)와 볼트 연결되는 제3 볼트 연결홀(1322)이 형성된다. 제1 조절 플레이트(132)의 중앙의 두께는 제1 조절 플레이트(132)의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조절 볼트(136)와 연결 시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조절 플레이트(132) 상에는 제1 조절홀(1324)이 형성된다.
제1 조절홀(1324)은 제1 조절 플레이트(132) 상에 형성되되, 제3 볼트 연결홀(1322)에서 제1 조절 플레이트(132)의 양단부로 각각 진행하며 복수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조절홀(1324)은 후술하는 고정 로드(138)의 통과가 가능한 크기와 형태로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조절홀(1324)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조절홀(1324)은 2행, 2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3 볼트 연결홀(1322)에 근접한 제1 조절홀(1324)의 행을 제1 행이라 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조절홀(1324)은 제1-1, 제1-2 좌상 단위 조절홀(1324LH1, 1324LH2), 제1-1, 제1-2 우상 단위 조절홀(1324RH1, 1324RH2), 제1-1, 제1-2 좌하 단위 조절홀(1324LU1, 1324LU2), 제1-1, 제1-2 우하 단위 조절홀(1324RU1, 1324RU2)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1 좌상 단위 조절홀(1324LH1)과 제1-1 우상 단위 조절홀(1324RH1)이 제1 조절홀(1324)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1 행을 이루고, 제1-1 좌하 단위 조절홀(1324LU1)과 제1-1 우하 단위 조절홀(1324RU1)이 제1 조절홀(1324)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1 행을 이룬다.
한편, 각각의 제1 조절홀(1324)의 내주 일측 즉,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제1 조절홀(1324)의 내주 중, 제3 볼트 연결홀(1322) 측으로 배치되는 내주는 제1 조절 플레이트(132)의 단부측으로 진행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2 조절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A2-A2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조절 플레이트(134)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조절 플레이트(134)는 커버(120)의 배면 내측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조절 플레이트(134)의 크기와 형태는 제1 조절 플레이트(132)와 동일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조절 플레이트(134)의 중앙으로는 후술하는 조절 볼트(136)의 중간부가 연결되는 제4 볼트 연결홀(1342)이 형성된다. 제4 볼트 연결홀(1342)에 연결되는 조절 볼트(136)는 제4 볼트 연결홀(1342) 상에서 공회전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조절 플레이트(134) 상에는 제2 조절홀(1344)이 형성된다.
제2 조절홀(1344)은 제2 조절 플레이트(134) 상에 형성되되, 제4 볼트 연결홀(1342)에서 제2 조절 플레이트(134)의 양단으로 진행하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조절 플레이트(134)의 전면 양단으로는 본체(110)와 커버(120)의 연결을 위한 연결 볼트에 대응하기 위해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조절홀(1344)은 후술하는 고정 로드(138)의 통과가 가능한 크기로서, 제1 조절홀(1324)과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조절홀(1344)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조절홀(1324)은 2행, 2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조절홀(1344)은 제2-1, 제2-2 좌상 단위 조절홀(1344LH1, 1344LH2), 제2-1, 제2-2 우상 단위 조절홀(1344RH1, 1344RH2), 제2-1, 제2-2 좌하 단위 조절홀(1344LU1, 1344LU2), 제2-1, 제2-2 우하 단위 조절홀(1344RU1, 1344RU2)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조절홀(1344) 간의 간격은 제1 조절홀(1324)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4 볼트 연결홀(1342)에 근접한 제2 조절홀(1344)의 행을 제1 행이라 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1 좌상 단위 조절홀(1344LH1)과 제2-1 우상 단위 조절홀(1344RH1)이 제2 조절홀(1344)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1 행을 이루고, 제2-1 좌하 단위 조절홀(1344LU1)과 제2-1 우하 단위 조절홀(1344RU1)이 제2 조절홀(1344)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1 행을 이룬다.
이때, 제3 볼트 연결홀(1322)에서 제1 조절홀(1324)이 이루는 제1 행까지의 거리는 제4 볼트 연결홀(1342)에서 제2 조절홀(1344)이 이루는 제1 행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제2 조절홀(1344)의 내주 일측 즉, 제4 볼트 연결홀(1342) 측으로 배치되는 내주는 제2 조절 플레이트(134)의 단부측으로 진행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조절 볼트(136)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볼트로서, 조절 볼트(136)의 조작에 의해 제1 조절 플레이트(13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볼트(136)의 단부는 후술하는 제2 고정핀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 볼트(136)는 커버(120)의 제2 볼트 연결홀(122)을 통해 삽입되어, 제4, 제3 및 제1 볼트 연결홀(1342, 1322, 112)에 차례대로 연결된다. 조절 볼트(136)의 헤드는 커버(1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조절 볼트(136)의 헤드에는 소정의 회전 노브(1362)가 연결되어, 조절 볼트(136)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커버(120) 중앙의 배면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양단부보다 두께가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커버(120) 중앙의 배면의 측면으로는 소정의 관통홀(1363)이 형성된다.
관통홀(1363)로는 제1 고정핀(1365), 고정 스프링(1366), 제2 고정핀(1367)이 삽입된다.
우선, 관통홀(1363)로 제2 고정핀(1367)이 삽입되고, 이후 고정 스프링(1366)과 제1 고정핀(1365)이 삽입된다. 제1 고정핀(1365)은 제1 관통홀(1363)에 볼트 결합되거나, 삽입 후 용접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1 관통홀(1363)에 고정된다.
고정 스프링(1366)의 탄성력은 제2 고정핀(1367)으로 인가되며, 제2 고정핀(1367)의 단부가 조절볼트(136)의 단부의 각진 측면을 압박하며, 조절 볼트(136)가 의도치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 노브(1362)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조절 볼트(136)가 회전하며 조절 볼트(136)의 각진면이 제2 고정핀(1367)을 밀어 올릴 수 있다.
조절 볼트(136)는 제1 볼트 연결홀(112), 제2 볼트 연결홀(122) 및 제4 볼트 연결홀(1342) 상에서는 공회전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조절 볼트(136)는 제3 볼트 연결홀(1322)과는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절 볼트(136)를 회전 조작하면, 제1 조절 플레이트(132)는 본체(110) 내측에서 조절 볼트(136)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고정 로드(138)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 로드(138)의 일단은 커버(120)의 배면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 로드(138)의 연결 부위는 제2 볼트 연결홀(122)에서 커버(120)의 양단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이다. 여기서, 고정 로드(138)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 위치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 로드(138)의 일단은 제2 조절홀(1344)에 걸릴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로드(138)의 일단의 절곡 방향은 후술하는 고정 돌기(1382)의 돌출 방향과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 로드(138)의 일단은 커버(12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고정 로드(138)의 타단은 제2 조절홀(1344), 제1 조절홀(1324) 및 로드 돌출홀(114)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본체(110) 후방으로 노출된다.
이후, 고정 로드(138)의 타단은 차량의 에어 벤트 측으로 삽입된 후, 에어벤트의 입구측 내주면에 접하며,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의 고정 상태 유지가 용이하도록, 고정 로드(138)는 복수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로드(138)는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즉, 제1-1, 제1-2 좌상 단위 조절홀(1324LH1, 1324LH2), 제1-1, 제1-2 우상 단위 조절홀(1324RH1, 1324RH2), 제1-1, 제1-2 좌하 단위 조절홀(1324LU1, 1324LU2), 제1-1, 제1-2 우하 단위 조절홀(1324RU1, 1324RU2) 각각은 제2-1, 제2-2 좌상 단위 조절홀(1344LH1, 1344LH2), 제2-1, 제2-2 우상 단위 조절홀(1344RH1, 1344RH2), 제2-1, 제2-2 좌하 단위 조절홀(1344LU1, 1344LU2), 제2-1, 제2-2 우하 단위 조절홀(1344RU1, 1344RU2) 각각에 대응하므로, 제1, 제2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는 제1-1, 제1-2 좌상 단위 조절홀(1324LH1, 1324LH2), 제1-1, 제1-2 우상 단위 조절홀(1324RH1, 1324RH2)을 통해 제2-1, 제2-2 좌상 단위 조절홀(1344LH1, 1344LH2), 제2-1, 제2-2 우상 단위 조절홀(1344RH1, 1344RH2)로 삽입되고, 제3, 제4 단위 고정 로드(138C, 138D)는 제1-1, 제1-2 좌하 단위 조절홀(1324LU1, 1324LU2), 제1-1, 제1-2 우하 단위 조절홀(1324RU1, 1324RU2)을 제2-1, 제2-2 좌하 단위 조절홀(1344LU1, 1344LU2), 제2-1, 제2-2 우하 단위 조절홀(1344RU1, 1344RU2)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로드(138)의 타단과 에어벤트의 입구측 내주면과 접촉 정도를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고정 로드(138)의 타단 일측으로는 에어벤트의 입구측 내주면에 걸리며 고정되는 고정 돌기(1382)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가 입구가 사각형인 에어벤트에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가 차량의 에어벤트에 배치된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10) 내부에서 제1 조절 플레이트(132)는 본체(110)의 내측에서 제2 조절 플레이트(134) 간의 이격거리가 최대가 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 로드(138)의 일단은 제2 조절홀(134)을 통해 커버(120)의 배면으로 배치되고, 고정 로드(132)의 타단은 본체(110) 후방으로 돌출된 후, 에어벤트(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에어벤트(1)는 에어벤트의 입구 내주측으로 배치되는 에어벤트 테두리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과 도 9는 차량의 에어벤트(1)의 입구가 사각형 형상인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가 입구가 원형인 에어벤트에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입구가 원형인 차량의 에어벤트(1)에 거치대(100)가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다양한 형상의 에어벤트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벤트 형상이 사각형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위 고정 로드(138A)의 일단은 제1-1 좌상 단위 조절홀(1324LH1)을 통해 제2-1 좌상 단위 조절홀(1344LH1)로 삽입되고, 제2 단위 고정 로드(138B)의 일단은 제1-1 우상 단위 조절홀(1324RH1)을 통해 제2-1 우상 단위 조절홀(1344RH1)으로 삽입되며, 제3 단위 고정 로드(1387C)의 일단은 제1-1 좌하 단위 조절홀(1324LU1)을 통해 제2-1 좌하 단위 조절홀(1344LU1)로 삽입되고, 제4 단위 고정 로드(138D)의 일단은 제1-1 우하 단위 조절홀(1324RU1)을 통해 제2-1 우하 단위 조절홀(1344RU1)으로 삽입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내측에서 제1 조절 플레이트(132)와 제2 조절 플레이트(134)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 각각은 에어벤트(1)에 대하여 90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에어벤트(1)의 크기가 증가한다면,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는 제1-2 좌상 단위 조절홀(1324LH2), 제1-2 우상 단위 조절홀(1324RH2), 제1-2 좌하 단위 조절홀(1324LU2), 제1-2 우하 단위 조절홀(1324RU2) 각각을 통해 제2-2 좌상 단위 조절홀(1344LH2), 제2-2 우상 단위 조절홀(1344RH2), 제2-2 좌하 단위 조절홀(1344LU2), 제2-2 우하 단위 조절홀(1344RU2)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 각각은 에어벤트(1)에 대하여 90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의 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사용자는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의 타단은 상기한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벤트(1) 측으로 삽입한다.
이후, 사용자는 회전 노브(1362)를 회전 조작하여 제1 조절 플레이트(132)와 제2 조절 플레이트(134) 간의 거리를 조절한다.
회전 노브(1362)의 조작에 의해 조절 볼트(136)가 회전하며, 제1 조절 플레이트(132)는 제2 조절 플레이트(134) 측으로 이동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조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 플레이트(132)의 이동에 의해 제1 조절 플레이트(132)가 제2 조절 플레이트(134)로 이동하면, 제1-1 좌상 단위 조절홀(1324LH1), 제1-1 우상 단위 조절홀(1324RH1), 제1-1 좌하 단위 조절홀(1324LU1), 제1-1 우하 단위 조절홀(1324RU1)의 내주 일측은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의 타단을 에어벤트(1)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와 에어벤트(1)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도가 92도 이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아, 각각의 고정 로드는 에어벤트(1)의 중심축에 대하여 92도의 각도로 경사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로드와 에어벤트(1)의 중심축간의 경사 정도는 상기한 각도로 한정되지 않고 에어벤트의 크기와 회전 노브(1362)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와 에어벤트(1)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의 단부가 에어벤트(1)의 내벽에 밀착되며 거치대(100)가 에어벤트(1)의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거치대(100)의 고정은 에어벤트의 입구가 원형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에어벤트의 입구가 불규칙한 경우에는 거치대(100)는 다음과 같이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거치대의 배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은 입구의 일측변이 소정의 곡률의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에어벤트에 거치대의 고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위 고정 로드(138A)의 일단은 제1-2 좌상 단위 조절홀(1324LH2)을 통해 제2-2 좌상 단위 조절홀(1344LH2)로 삽입되고, 제2 단위 고정 로드(138B)의 일단은 제1-2 우상 단위 조절홀(1324RH2)을 통해 제2-2 우상 단위 조절홀(1344RH2)으로 삽입되며, 제3 단위 고정 로드(1387C)의 일단은 제1-1 좌하 단위 조절홀(1324LU1)을 통해 제2-1 좌하 단위 조절홀(1344LU1)로 삽입되고, 제4 단위 고정 로드(138D)의 일단은 제1-2 우하 단위 조절홀(1324RU2)을 통해 제2-2 우하 단위 조절홀(1344RU2)로 삽입됨을 알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위 고정 로드(138A, 138B, 138C, 138D)의 타단은 에어벤트(1)의 입구를 통해 에어벤트 내측에 걸린다. 이후, 거치대(100)의 고정 상태 유지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치대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컵홀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의 커버 하부에 배치되는 보조 홀더의 전면으로는 컵홀더(10)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10) 상에는 소정의 텀블러(12)가 배치된 상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고정 로드가 에어벤트 내측으로 삽입된 후, 에어벤트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컵홀더의 거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거치대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 로드의 단부가 차량의 에어벤트 내측으로 삽입된 후, 에어벤트의 내주에 걸리며 고정이 이루어질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노브를 회전 조작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고정 로드의 기울기가 변화되며 에어 벤트에 대한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거치대
110: 본체 112: 제1 볼트 연결홀
120: 커버 122: 제2 볼트 연결홀
124: 보조 홀더
130: 조절부 132: 제1 조절 플레이트
134: 제2 조절 플레이트 136: 조절 볼트
138: 고정 로드

Claims (9)

  1. 차량의 에어벤트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전면으로는 컵홀더 또는 핸드폰 홀더를 거치하는 거치대로서,
    전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태로서, 상기 에어벤트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배면 중앙으로 제1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볼트 연결홀에서 양단부로 진행하며 로드 돌출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중앙으로는 제2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벤트에 대한 고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으로는 제3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며, 중앙에서 양단으로 진행하며 복수의 제1 조절홀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와의 거리가 가변되게 배치되는 제1 조절 플레이트와,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의 배면으로 배치되며, 중앙으로는 제4 볼트 연결홀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양단으로 진행하며 복수의 제2 조절홀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볼트 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3 볼트 연결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볼트와,
    일단은 상기 커버의 배면으로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조절홀, 상기 제1 조절홀 및 상기 로드 돌출홀을 통해 상기 에어벤트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벤트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컵홀더 또는 상기 핸드폰 홀더와 연결되는 보조 홀더를 더 포함하는 거치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조절 플레이트의 크기와 형태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태에 대응하는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볼트는,
    상기 제1, 2 및 제4 볼트 연결홀 상에서는 공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 볼트 연결홀과는 나사 연결되는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홀의 행과 열의 수는,
    상기 제2 조절홀의 행과 열의 수와 동일한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볼트 연결홀에서 상기 제1 조절홀의 제1 행까지의 간격은,
    상기 제4 볼트 연결홀에서 상기 제2 조절홀의 제1 행까지의 간격보다 큰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홀들의 간격과 상기 제2 조절홀들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거치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볼트 연결홀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조절홀의 내주 일측은,
    상기 제1 조절 플레이트의 단부측으로 진행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거치대.
KR1020200156138A 2020-11-20 2020-11-20 거치대 KR10244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38A KR102448994B1 (ko) 2020-11-20 2020-11-20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38A KR102448994B1 (ko) 2020-11-20 2020-11-20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24A KR20220069224A (ko) 2022-05-27
KR102448994B1 true KR102448994B1 (ko) 2022-09-29

Family

ID=8179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138A KR102448994B1 (ko) 2020-11-20 2020-11-20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9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922B1 (ko) * 2015-09-30 2016-04-29 송방원 차량용 거치대
KR102146184B1 (ko) 2019-02-07 2020-08-19 황성민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233A (ko) * 2017-02-15 2018-08-23 정석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922B1 (ko) * 2015-09-30 2016-04-29 송방원 차량용 거치대
KR102146184B1 (ko) 2019-02-07 2020-08-19 황성민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24A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040B1 (en) Support unit for a display device
CN100436086C (zh) 旋转式电动剃须刀
US6655563B2 (en) Cup holding device for vehicle
KR101930837B1 (ko) 경동 가능한 체어
US7434888B2 (en) Chair having adjustable weight proportion accepting elements
US7645044B2 (en) Assembly structure of side mirror for automobile
KR102448994B1 (ko) 거치대
CN101641237B (zh) 头枕及包括该头枕的车用座椅
US20140167464A1 (en) Seat with adjustable back profile
US6282297B1 (en) Angle adjustment structure for speaker system
US11369204B2 (en) Armrest, in particular for an office chair
CN106123435B (zh) 冰箱及其搁物架
US6886764B2 (en) Device and process for pulverizing solid materials
CN102440599B (zh) 可高度调整的支撑架组件及幼儿秋千
CN211184015U (zh) 一种手机支架
CN106906622B (zh) 滚筒洗衣机的门体组件和具有其的滚筒洗衣机
US5904399A (en) Rotary table of a seat for automobiles
CN203206299U (zh) 电话机
CN211097431U (zh) 一种体育用品用存储架
CN101600374B (zh) 头枕及包括该头枕的车用座椅
KR102135278B1 (ko) 차량의 조향 컬럼용 틸트장치
CN215605167U (zh) 料理机
KR102506304B1 (ko) 이동식 사물 받침대
KR100833628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20080000856U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