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109A -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109A
KR20200097109A KR1020190014446A KR20190014446A KR20200097109A KR 20200097109 A KR20200097109 A KR 20200097109A KR 1020190014446 A KR1020190014446 A KR 1020190014446A KR 20190014446 A KR20190014446 A KR 20190014446A KR 20200097109 A KR20200097109 A KR 2020009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elastic
pattern image
film
elast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현
신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190014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109A/ko
Publication of KR2020009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도장이나 스탬프 등과 같은 물체의 패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는 도장과 같은 물건의 요철면의 형상(패턴)을 스캔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는 카메라가 평판패널을 직접 촬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광학 구조가 간단하고 패턴 이미지 스캐너를 더욱 얇게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Scanner Scanning Carved Pattern of Stamp By Using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이나 스탬프 등과 같은 물체의 요철 패턴을 스캔하여 패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각종 서류들이 디지털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은행에 제출된 서류의 대부분은 디지털 이미지로 스캔하여 보관되거나 처음부터 디지털 문서로 작성하기도 한다.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는 개인 인증의 수단 중 하나로 도장(또는 인감)을 사용하는데, 그동안 도장은 디지털화의 장애요소로 인식되었다. 도장이나 스탬프는 요철 형상으로 각인된 면에 인주나 잉크를 묻혀, 지면 등에 압인하여 그 요철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종래에 도장이나 스탬프로 날인한 문서를 디지털 이미지로 획득하는 최초의 방법은 도장이 찍힌 종이 문서를 별도의 스캔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스캔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다가, 프리즘을 이용하여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기처럼, 인감을 스캔하는 인감 스캐너가 개발되었다. 해결해야 할 요소에는 (1) 프리즘의 면이 단단한 평면이기 때문에 도장의 압인이 어렵다는 것과, (2) 도장에는 인주나 잉크가 묻어 있기 마련이라 그 인주나 잉크가 프리즘에 자국을 남긴다는 점이었다. 출원인은 이러한 방식의 불편을 개선한 특허를 개발하고 특허등록(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2818호 및 제1594114호)을 마친 바 있다.
특허 등록된 패턴 이미지 획득장치는 광굴절기의 면에 투명 소재의 탄성패드가 부착되고, 탄성패드의 상면에 탄성패드와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탄성막을 배치하였다. 사용자는 탄성막에 도장을 압인하여 도장 이미지를 획득장치에 입력하게 된다. 탄성막이 도장에 의해 압인되면, 그 도장의 요철면의 형상으로 탄성패드를 가압하게 되고, 광굴절기를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 획득장치가 패턴 이미지를 생성한다.
광굴절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깨끗하고 해상도가 좋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매우 우수한 기술이지만, 기본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소형화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관련 기술 문헌]
1. 이중 탄성 입력구조를 구비한 패턴 이미지 스캐너 및 그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28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이나 스탬프 등과 같은 물체의 요철 패턴을 스캔하여 패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이미지 스캐너는 도장과 같은 물체의 요철면의 패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캐너는 탄성막과, 상기 탄성막의 아래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탄성막이 상기 물체에 의해 압입될 때 상기 탄성막에 의해 상기 요철면의 형상으로 압인되는 투명 소재의 평판패널과, 상기 평판패널의 아랫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평판패널의 아래에서 상기 평판패널에 압인된 요철면을 촬영하여 상기 패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광원과 카메라부를 수용하며 개방된 상면을 상기 평판패널이 덮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탄성막 모듈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탄성막은 교체 가능한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스캐너는 상기 탄성막을 평판패널과 이격시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막을 일정한 크기의 장력으로 당김으로써 일정한 크기 범위의 탄성을 가지도록 지지하는 탄성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막 모듈은 탄성막 수용부와 커버를 포함하며, 커버에는 탄성막을 노출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탄성막 모듈은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형, 또는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하우징과 결합하는 덮개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탄성막 수용부는 예를 들어 상기 탄성막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하부-홈이 형성되거나 상기 커버에 상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막이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상기 평판패널에 근접하도록 하기 위해, ① 상기 하우징의 상면 중에서 상기 평판패널을 감싸는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제1 경사면으로 형성되거나, ② 상기 커버에서 상기 관통홀을 감싸는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제2 경사면으로 형성되거나, ③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커버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막
한편, 탄성막 모듈에 포함되는 탄성막은 상기 물체의 요철면이 접촉하는 탄성이 있는 불투명 소재의 중심필름부와, 상기 중심필름부를 일정한 크기의 장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중심필름부가 일정한 크기 범위의 탄성을 가지도록 지지하는 가장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는 도장과 같은 물건의 요철면의 형상(패턴)을 스캔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는 명도가 낮은 색상의 탄성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명하더라도 명도가 높은 흰색의 탄성막은 패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다. 명도가 낮은 색상의 탄성막은 오염이 잘 드러나지 않는 효과가 있어서 상대적으로 더 얇은 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는 구조적으로 광학계가 간단하기 때문에, 패턴 이미지 스캐너를 더욱 얇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 이미지 스캐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물체의 요철면을 압인한 상태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형 탄성막 모듈을 구비한 패턴 이미지 스캐너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의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형 탄성막 모듈을 구비한 패턴 이미지 스캐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100)는 물체(10)의 요철면(10a)에 대한 패턴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물체(10)는 특정 패턴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요철면(10a)을 일단에 가진 것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장 또는 스탬프 등이 본 발명의 물체(10)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100)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상면에 배치된 탄성막(111)을 포함한다.
하우징(101)은 밀폐된 내부 공간(101a)을 형성하며,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101)의 개방된 상면에는 탄성막(111)에 의한 도장(10)의 압인을 입력받기 위한 투명한 소재의 상부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처럼, 상부지지부는 하우징(101)의 개방된 상면에 배치되어 평판패널(103) 전체를 지지하는 투명 소재의 평판패널(103)이 될 수도 있다. 평판패널(103)은 얇고 투명한 아크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평판패널(103)을 상부지지부로 사용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등록특허 제1542818호에서 지적한 것처럼, 평판패널(103)과 같은 상부지지부는 도장(10)과 같은 강체의 압인을 수용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부지지부의 상면에 투명 소재의 탄성패드(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1)의 내부 공간(101a)에는 평판패널(103)로 광을 비추는 광원(121)과, 평판패널(103)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123)가 내장됨으로써, 본체는 하나의 카메라 유닛과 같이 동작한다.
광원(121)은 도시된 것처럼 평판패널(103)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LED), 기타 조명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 이외에도, 광원(121)은 상부의 평판패널(103)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하우징(101)의 내부 공간 어디라도 위치할 수 있다. 다만, 광원(121)에서 출사되는 광이 카메라부(123)로 직접 입사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광원(121)에서 평판패널(103)으로 조사된 광은 평판패널(103)과 탄성막(111) 사이 또는 평판패널(103)과 공간부(113) 사이에서 반사, 굴절 또는 산란되면서 탄성막(111)에 압인된 물체(10)의 요철면(10a)의 패턴으로 영상화되며, 평판패널(103)을 통해 내부 공간(101a)으로 입사되어 카메라부(123)에 결상된다.
카메라부(123)는 평판패널(103)의 아래에 배치되며, 평판패널(103)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이 카메라부(123)에 입사되는 영상의 입사축이 되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카메라부(123)는 평판패널(103)을 바로 마주보고 촬영한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 평판패널(103)과 카메라부(123) 사이에 반사경 또는 렌즈 등이 배치되면서 서로 마주보지 않는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23)는 이미지 센서(125)를 기본으로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렌즈(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5)는 평판패널(103)에서 반사되거나 굴절된 영상(광)을 이용하여 디지털 패턴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센서(125)는 컬러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고 그레이 레벨 또는 흑백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렌즈(127)는 이미지 센서(125)와 평판패널(103) 사이에 마련되어 평판패널(103)에서 출사되는 영상을 이미지 센서(125)로 결상하며, 입사되는 영상의 초점을 맞춘다.
평판패널(103)과 탄성막(111)은 물체(10)의 패턴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탄성막(111)은 평판패널(103)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물체(10)는 탄성막(111)에 압인되고, 평판패널(103)은 물체(10)로부터 직접 요철 패턴을 입력받지 않고 탄성막(111)을 통해 요철 패턴을 입력받는다.
평판패널(103)은 물체(10)의 요철 패턴을 최종적으로 입력받는 패턴입력면이 된다. 실시 예에 따라, 평판패널(103)의 상면에 탄성이 있는 패드를 배치할 수 있다. 탄성 패드는 도장이나 스탬프처럼 단단한 물체(10)의 요철 패턴을 용이하게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10)가 수직방향으로 압인되지 않고 일정한 범위 내에서 기울어져 압인되어도 탄성 패드가 물체의 요철 패턴으로 압인되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패턴 이미지 생성에 문제가 없다. 통상의 인감 스캐너나 지문 인식기처럼 단단하고 평평한 패턴입력면에서는 도장이 조금만 기울어지거나 도장(10)의 요철면(10a)이 평편하지 않아서 요철면(10a)의 일부가 평판패널(103)에 접촉되지 않게 되고, 그래서 해당 일부의 이미지가 획득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단한 물체(10)의 압인 방향이 대충 수직이면 그 요철면(10a)의 요철부분 전체가 탄성패드(미도시)와 완전 접착할 수 있도록, 탄성패드(미도시)는 약한 수준의 탄성을 가지는 투명 소재이면 가능하다. 따라서 여기서의 '탄성'은 변형 가능성으로 해석되어도 좋다.
탄성막(111)은 평판패널(103)로부터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탄성막(111)과 평판패널(103) 사이에 일정한 간격(높이)의 공간부(113)가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탄성막(111)은 물체(10)의 요철면(10a)이 직접 접촉하는 면이다. 잉크나 인주 등에 의해 오염된 요철면(10a)으로 반복적으로 압인할 경우에 탄성막(111)은 오염될 수밖에 없지만, 본 발명에서 평판패널(103)은 탄성막(111)의 오염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탄성막(111)이 이미 오염된 상태이더라도, ① 탄성막(111)이 불투명 소재이기 때문에 오염이 탄성막(111)의 아래에 비취지 않고 ② 물체(10)를 대신하여 탄성막(111)이 물체(10)의 요철 형상으로 평판패널(103)을 압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100)를 반복 사용하는 과정에서 탄성막(111)이 물체(10)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오염 부분이 표시되지 않는 깨끗한 패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탄성막(111)은 불투명의 탄성 소재의 얇은 막이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실리콘,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얇은 막을 이용할 수 있다. 패턴 입력을 위해, 탄성막(1130은 적어도 압인 과정 중에는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짐으로써 요철면(10a)의 형상으로 평판패널(103)을 가압할 수 있어야 한다.
탄성막(111)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카메라부(123)가 생성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최대로 할 수 있는 색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흰색 계열의 탄성막(111)은 불투명한 막이지만 압인된 부분과 압인되지 않은 부분의 구분이 불명확하였다. 명도가 낮은 색상 계열의 탄성막(111)을 사용하면 압인되지 않은 부분의 명도가 높아지면서, 압인된 부분과 압인되지 않은 부분이 상대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된다. 따라서 명도가 낮은 검은색 계열의 탄성막(111)을 사용할 경우에, 최종 패턴 이미지에서 패턴을 인식하기 좋다.
패턴 이미지 생성과정
물체(10)의 요철면(10a)의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물체(10)의 요철면(10a)을 탄성막(111)에 압인하면, 도 2에서처럼 탄성막(111)은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진 상태의 평판패널(103)을 가압한다. 이때, 물체(10)의 요철면(10a)에 걸쳐진 탄성막(111)은 요철면(10a)의 형상이 드러날 정도의 장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탄성막(111)은 요철면(10a)의 형상으로 평판패널(103)을 가압하게 된다. 물체(10)에 의해 압인된 부분에서는 공간부(113)가 사라지고, 압인되지 않은 부분은 여전히 공간부(113)가 존재한다.
물체(10)를 탄성막(111)에 압인하는 중에, 광원(121)에서 조사된 광은 투명한 평판패널(103)을 통과한 다음, 압인된 물체(10)의 요철면(10a)의 패턴으로 영상화되어 다시 평판패널(103)을 통해 본체의 내부 공간(101a)으로 입사된다. 내부 공간(101a)으로 입사된 영상은 카메라부(123)에 의해 결상되어 패턴 이미지가 된다. 카메라부(123)는 평판패널(103)과 탄성막(111)을 직접 촬영하여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물체(10)에 의해 압인된 부분과 압인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패턴 형상의 영상화 과정이 다르다. 물체(10)에 의해 압인된 부분에는 공간부(113)가 사라지면서 공기층이 사라진다. 따라서, 물체에 의해 압인된 부분에서는 광은 탄성막(111)에 의해 흡수되거나 반사된다. 반사되는 광은 탄성막(111)의 색상에 의해 결정된다. 탄성막(111)이 검정색이면 모든 색이 흡수되어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반대로, 압인되지 않은 부분은 공간부(113)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광은 공간부(113)의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반사, 산란, 또는 굴절된다. 동일한 검은색의 탄성막(111)이라도 다시 공간부(113)에서 평판패널(103)로 재입사되는 광이 생기기 때문에, 패턴 이미지에서 압인되지 않은 부분이 완전한 검은색으로 촬영되지 않는다.
정리하면, 탄성막(111)은 카메라부(123)가 생성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최대로 할 수 있는 색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흰색 계열의 탄성막(111)은 불투명한 막이지만 콘트라스트가 낮고, 명도가 낮은 색상 계열의 탄성막(111)은 콘트라스트가 좋은 패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카메라부(123)가 물체(10)의 요철면(10a)의 패턴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후에는 패턴 이미지에서 패턴을 분리하여 패턴을 인식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실시 예 1: 탄성막의 탄성력 유지를 위한 탄성막 모듈
우선, 탄성막의 실제적인 형태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요철면(10a)이 잉크나 인주 등으로 오염된 물체(10)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탄성막은 교환의 필요성이 생긴다. 그것은, (1) 탄성막의 외면에 잉크나 인주 등에 의한 오염 자국이 남게 되는데, 인주나 잉크 등이 탄성막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탄성막의 소재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지만, 인주 등의 기름 성분이 탄성막을 오염시킴으로써 탄성막이 무게에 의해 처지거나 탄성력을 잃을 수 있다. 또한 (2) 탄성막은 물체(10)의 요철면(10a)의 형상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충분히 얇은 막이어야 하는데, 그만큼 반복 사용에 의해 찢어지거나 탄성을 잃을 수 있다. 그러므로 탄성막은 교환의 필요성이 생기고 교체 가능한 상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패턴 이미지 스캐너(300, 600)처럼, 탄성막(330)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고, 탄성막(330)은 교체 가능한 소모품으로 제작한다.
둘째, 앞서 설명한 것처럼 탄성막과 평판패널(103) 사이의 간격은 좁을수록, 사용자가 탄성막과 평판패널(103) 사이의 공간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물체(10)를 쉽게 압인할 수 있다.
셋째, 패턴 이미지 스캐너에 장착된 상태의 탄성막은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범위의 장력으로 살짝 당기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한편, 지나친 장력으로 탄성막이 당겨지면, 탄성막이 물체(10)의 압인과정에서 찢어질 수 있으므로 실험적으로 적정한 장력 범위를 설정해야 한다.
이상의 사항을 종합하면, 결국, 탄성막은 그 가장자리가 기구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평판패널의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물체(10)에 의해 가압될 때 요철면(10a)의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사항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본 발명은 탄성막(111)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탄성막모듈을 포함한다. 탄성막모듈은 탄성막(111)이 장착되는 탄성막 수용부와 탄성막 수용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탄성막 수용부는 하우징(101)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우징(101)으로부터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덮개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그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턴 이미지 스캐너(300)는 고정형 탄성막모듈을 구비한 예이다. 도 3 내지 도 5의 탄성막모듈은 하우징(310)의 상면에 마련된 탄성막 수용부(310)와, 커버(350)를 포함한다. 탄성막 수용부(310)는 하부-홈(310a)과 제1 경사면(310b)을 포함한다. 하부-홈(310a)은 하우징(310)의 상면에 평판패널(103)의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탄성막(330)의 가장자리부(331)를 수용한다. 또한, 하우징(310)의 상면에는 평판패널(103)과 접하는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 면에 제1 경사면(310b)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부-홈(310a)과 평판패널(103) 사이에 제1 경사면(310b)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홈(310a)과 평판패널(103) 사이에 높이 차이를 준다.
커버(350)는 탄성막(330)을 일정한 힘으로 당김으로써 일정한 탄성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막 수용부(310)과 함께 평판패널(103)의 상면에 탄성막(330)을 고정한다. 우선, 커버(350)의 가운데에는 탄성막(330)이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35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351)은 물체(10)을 압인을 위해 탄성막(330)을 노출하는 창(Window)이 된다. 커버(350)에는 탄성막(330)을 일정한 힘으로 당기도록 제1 경사면(310b)과 마주하는 제2 경사면(35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예에는 없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커버(350)의 관통홀(351) 주위에는 하우징 상면의 하부-홈(310a)과 맞물리는 상부-홈(미도시)이 마련되어 탄성막(330)의 가장자리부(331)를 함께 수용할 수도 있다. 반대로, 커버(350)의 관통홀(351) 주위에만 상부-홈(미도시)이 마련되고, 하우징(310)의 상면에는 하부-홈(310a)이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커버(350)를 닫은 상태에서도 커버(350)와 평판패널(103) 사이에는 탄성막(330)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탄성막(330)은 필요에 따라 장착 및 탈착될 수 있으며 소모성이므로 필요한 때에 교환될 수 있다.
덮개형 탄성막 모듈
도 3의 예와 달리, 도 6의 패턴 이미지 스캐너(600)는 하우징(101)의 상면에 고정되지 않는 형태의 덮개형 탄성막 모듈을 포함한다. 덮개형 탄성막 모듈은 탄성막 수용부(610)와, 탄성막 수용부(610)와 결합하는 커버(350)를 포함한다. 탄성막 수용부(610)는 힌지(611)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하우징(10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도 커버(350)는 탄성막 수용부(610)를 덮는 형태가 된다. 다만, 탄성막 수용부(610)는 탄성막(111)을 수용하기 위한 소켓 형태로 마련되며 소켓의 바닥면에는 커버(350)의 관통홀(351)에 대응되는 관통홀(613)이 마련됨으로써 도장(10)을 압인할 때 탄성막(111)이 평판패드(103)를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의 탄성막 수용부(610)는 하우징(101)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평판패드(103)를 관리하기 용이하다.
탄성막
탄성막(330)은 도 1 및 도 2의 탄성막(111)에 대응된다. 탄성막(330)은 프레임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부(331)와, 가장자리부(331)에 의해 지지되는 중심필름부(333)를 포함한다. 중심필름부(333)는 물체(10)가 압인되는 영역으로서, 도 2의 탄성막(111)의 기능을 수행하는 충분히 얇은 필름으로 구현된다.
가장자리부(331)는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중심필름부(333)가 물체(10)의 압인과정에서 늘어나더라도 고정된 형태로 중심필름부(333)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한 소재일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부(331)는 중심필름부(333)와 동일한 소재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을 사용하면서 다만 두께를 다르게 하는 정도로 구현할 수도 있다.
가장자리부(331)는 하우징(310)에 장착될 때에 하부-홈(310a)에 안착됨으로써 하부-홈(310a) 및/또는 커버(350)의 상부-홈(미도시)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압인과정에서 중심필름부(333)가 늘어날 때 중심필름부(333)를 지지한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탄성막(330)이 장착되고 커버(350)가 닫히면, 하우징(310) 상면의 제1 경사면(310b)과 커버(350)의 제2 경사면(353)이 중심필름부(333)를 평판패널(103)로 가깝게 유도하는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중심필름부(333)가 평판패널(103)에 더 근접하도록 눌려져 공간부(113)의 높이를 낮춘다. 동시에, 제1 경사면(310b) 및/또는 제2 경사면(353)은 중심필름부(333)를 일정한 힘으로 당기는 효과가 있어서, 관통홀(351)에 노출된 중심필름부(333)가 일정한 탄성을 가지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중심필름부(333)가 평판패널(103)에 충분히 근접하여 공간부(113)의 높이를 충분히 낮추게 되어, 물체(10)의 압인하는 과정에서의 압인 오류가 방지된다.
도 3 내지 도 5의 예에서는, 평판패널(103)가 하부-홈(310a)에 비해 낮게 위치함으로써 제1 경사면(310b)이 평판패널(103)로 가면서 낮아지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나, 반대로 평판패널(103)이 하부-홈(310a)에 비해 높게 위치하여 제1 경사면이 평판패널(103)로 가면서 높아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1 경사면의 일부가 탄성막의 높이, 즉 공간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0) 상면의 제1 경사면(310b) 또는 커버(350)의 제2 경사면(353)을 대신하여, 중심필름부(333)를 평판패널(103)에 가깝도록 누르는 돌기(미도시)가 하우징(310) 상면 또는 커버(35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장자리부(331)가 단단한 소재로 구현되어 중심필름부(333)를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 탄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가장자리부(331)와 중심필름부(333)가 다른 소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5의 구조를 적용할 경우에 가장자리부(331)는 중심필름부(333)를 단순히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되고, 가장자리부(331)와 중심필름부(333)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가장자리부(331)는 중심필름부(333)로부터 동일한 소재로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300, 600: 패턴 이미지 스캐너
101: 하우징 103: 평판패널
111, 330: 탄성막 113: 공간부
121: 광원 123: 카메라부
125: 이미지 센서 127: 렌즈
310, 610: 탄성막 수용부
310a, 610a: 하부-홈 310b, 610b: 제1 경사면
331: 가장자리부 333: 중심필름부
350: 커버 630; 탄성막모듈

Claims (1)

  1. 물체의 요철면의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에 있어서,
    탄성막;
    상기 탄성막의 아래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탄성막이 상기 물체에 의해 압입될 때 상기 탄성막에 의해 상기 요철면의 형상으로 압인되는 투명 소재의 평판패널;
    상기 평판패널의 아랫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평판패널의 아래에서 상기 평판패널에 압인된 요철면을 촬영하여 상기 패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광원과 카메라부를 수용하며, 개방된 상면을 상기 평판패널이 덮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KR1020190014446A 2019-02-07 2019-02-07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KR20200097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446A KR20200097109A (ko) 2019-02-07 2019-02-07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446A KR20200097109A (ko) 2019-02-07 2019-02-07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09A true KR20200097109A (ko) 2020-08-18

Family

ID=7226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446A KR20200097109A (ko) 2019-02-07 2019-02-07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1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2148B2 (en) Reading device
TWI448973B (zh) A light guide module that improves image contrast
JP6391732B2 (ja) 二重弾性構造を備えた判子スキャナ及びその方法
KR102000942B1 (ko)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ES2246014T3 (es) Elemento de seguridad difractivo.
KR20200097109A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KR102000939B1 (ko) 도장의 요철 패턴을 스캔할 수 있는 패턴 이미지 스캐너
KR102146663B1 (ko) 다기능 스캐너 및 스캐닝 시스템
JPS62280984A (ja) 印影採取方法および印影採取装置
JP2002077539A (ja) 画像読取装置
US6643038B1 (en) Contact type color image sensor
JP4655546B2 (ja) フィルムホルダ及び画像読み取り装置
RU2004103466A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ачества бумаги для растровой полутоновой печати
JP2006184701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US51383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images using diffused light
KR100511026B1 (ko) 매체 고정 구조 및 그 구조를 갖는 화상 입력 장치
JPH01321769A (ja) 画像読取装置
CN106355742B (zh) 透射式原稿读取装置
JPH05165946A (ja) 印鑑照合装置
KR100958174B1 (ko) 스캔 장치
JPH03154563A (ja) 読取装置
KR830000892B1 (ko) 개선된 광학적 주사장치
JP2001042456A (ja) 線状光源
JPS609886Y2 (ja) 光学装置
RU23068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папиллярного узор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