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796A - 유모차용 수용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용 수용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796A
KR20200094796A KR1020207021723A KR20207021723A KR20200094796A KR 20200094796 A KR20200094796 A KR 20200094796A KR 1020207021723 A KR1020207021723 A KR 1020207021723A KR 20207021723 A KR20207021723 A KR 20207021723A KR 20200094796 A KR20200094796 A KR 2020009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ssembly
state
receiving device
seat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펑 판
드콴 장
쇼우빈 후
Original Assignee
도렐 주버나일 (중산) 프로덕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093007.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21182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2228639.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795576U/zh
Application filed by 도렐 주버나일 (중산) 프로덕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렐 주버나일 (중산) 프로덕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7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rotatable as a whole to transform from seating to l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62B7/12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from seat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용 수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유모차를 개시한다. 상기 수용 장치는 적재부 및 상하 서로 대응되는 양단이 모두 개방 단인 가요성의 원주 방향 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의 하측 개방 단은 상기 적재부에 의하여 커버되고 상측 개방 단은 상기 수용 공간이 외부와 통하는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 공간은 수직 평면 상에서 상기 시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누움 상태와 좌립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이 좌립 상태로 회전할 때, 원주 방향 둘레부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는 일측은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의 제1측부이며 상기 제1측부와 서로 대응되는 일 측부는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의 제2측부이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시트 어셈블리 상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시트 어셈블리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부의 적어도 두 개 위치는 가로 방향에서 벤딩될 수 있고, 상기 제1측부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부분, 및 상기 제1측부와 상대적으로 이격된 제2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조절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벨트의 제1단과 상기 시트 어셈블리는 서로 연결되고 제2단은 상기 제1측부의 개구처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 장치가 좌립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조절 벨트는 시트 어셈블리와 제1측부에 의해 인장되고; 상기 수용 공간이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시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이 좌립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부분은 인장된 상기 조절 벨트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부분과 각을 이루는 등받이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용 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를 개시하였다.

Description

유모차용 수용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유모차
본 발명은 영유아용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간단한 조작을 통해 다양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수용 장치를 가지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유아 외출용 유모차는 대부분 그 수용 장치를, 영유아가 앉거나 또는 눕기에 편한 상태로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기술적 방안은 아래와 같은 몇 가지를 포함한다:
첫 번째로,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장치가 좌립 상태에 있을 때, 영유아의 등 부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등받이(3)의 상부는 이에 대응되는 가요성의 직물(32)에 의해서만 들어올려지고, 가요성 직물(32)은 다른 지지부가 없으므로 등받이(3)의 중량 작용 하에서 원래의 폭(이 때의 폭은 상기 수용 장치가 누움 상태에 있을 때 도 1a에 도시된 가요성 부분(32)의 높이)또는 그보다 넓게 완전히 펴지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3)가 수직 평면에 대해 지나치게 큰 경사각을 형성하게 된다. 영유아가 이러한 상태의 수용 장치에 앉아있을 때, 진정한 의미의 좌립 상태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반쯤 누운 상태가 되며; 좌립 상태에서는 가요성의 직물(32)이 흔들리기 쉬워, 영유아의 불편함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두 번째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장치가 좌립 상태에 있을 때, 영유아의 등 부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등받이(48)는 추가적인 벨트(49)에 의해 조여진다. 이러한 방법은 비록 첫 번째 방법 중 좌립 상태에서 등받이의 경사각이 지나치게 크고 및/또는 흔들리기 쉽다는 문제는 해결하였지만,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수용 장치를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조절한 다음, 수용 장치가 견고한 좌립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가 수동으로 벨트를 조절하여야 하며; 반대로, 수용 장치를 좌립 상태로부터 누움 상태로 조절할 때, 사용자가 먼저 수동으로 벨트를 푼 다음 수용 장치를 평평하게 누움 상태로 회전시켜야 한다.
세 번째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장치 중에서 좌립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등받이 프레임(3)은 강성 재질, 또는 적어도 일정한 중량(예를 들면, 영유아의 평균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경질(硬質)의 재료로 제작되어야 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3)과 에지 프레임(2) 사이는 강성 재질로 제작된 지지 부재(4)에 의하여 힌지결합된다. 수용 장치를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조정하는 과정에서, 지지 부재(4)의 양쪽 끝은 각각 등받이 프레임(3), 에지 프레임(2)에 대응되게 회전하며, 좌립 상태에서 등받이 프레임(3)을 비교적 작은 경사 각도로 유지시킨다(이 때 경사 각도는 등받이 프레임(3)과 수직 평면에 의하여 형성된 끼인각이다). 이러한 수용 장치는 추가적인 조작을 통하여 평평하게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의 수용 장치의 전환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좌립 상태에서 지지 부재(4)와 등받이 프레임(3)이 영유아가 기대는 것을 충분히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그렇지 아니하면, 등받이 프레임(3)은 영유아가 기댈 때 지지 부재(4)와 함께 회전하고, 결과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첫 번째의 수용 장치의 반쯤 누움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지지 부재(4)와 등받이 프레임(3) 사이의 이러한 비교적 큰 고정력은 수용 장치의 상태 전환 시 사용자가 매우 큰 힘을 가해야만 극복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수용 장치의 조절에 있어서 어려움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낮으며,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상이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유모차용 수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 수단에 의하여 해결된다: 유모차용 수용 장치는 시트 어셈블리(3)와 수용 공간(1)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1)은 적재부(11), 및 상하 서로 대응되는 양단이 모두 개방 단인 가요성의 원주 방향 둘레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하측 개방 단은 상기 적재부(11)에 의하여 커버되고 상측 개방 단은 상기 수용 공간(1)이 외부와 통하는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 공간(1)은 수직 평면 상에서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누움 상태와 좌립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회전할 때, 원주 방향 둘레부(12)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는 일측은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이고 상기 제1측부(121)와 서로 대응되는 일측은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2측부(122)이며: 상기 적재부(11)는 상기 시트 어셈블리(3) 상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시트 어셈블리(3)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부(11)의 적어도 두 개의 위치는 가로 방향에서 벤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측부(121)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제1측부(111) 및 상기 제1측부(121)와 상대적으로 이격된 제2부분(11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조절 벨트(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 벨트(2)의 제1단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연결되며, 제2단은 상기 제1측부(121)의 개구처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조절 벨트(2)는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제1측부(121)에 의하여 인장되고, 상기 수용 공간(1)이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부분(112)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의하여 지지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시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부분(111)은 인장된 상기 조절 벨트(2)에 지지되어 상기 제2부분(112)과 각을 이루는 등받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연결된 조절 벨트(2)의 단부가 고정 연결될 때, 수용 장치는 누움과 좌립, 두 가지의 상태를 갖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 공간(1)의 개구 주변에는 프레임(13)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3)은 힌지연결된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좌립 상태와 누움 상태에 있을 때 대체적으로 일직선을 이룬다. 본 수용 장치를 사용할 때, 시트 어셈블리(3)를 유모차의 바디 프레임(4)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본 수용 장치를 유모차의 바디 프레임(4) 상에 장착한다. 본 수용 장치를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변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본 수용 장치의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를 점차적으로 상승시켜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기만 하면 된다. 상승 과정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한 수용 공간(1)의 각도가 점차 변하여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가 끌어당겨져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 측부(121)와 시트 어셈블리(3) 사이의 거리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가요성을 가지는 조절 벨트(2)가 점차 직선 형태로 인장되게 된다. 수용 장치가 좌립 상태가 될 때,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은 바로 시트 어셈블리(3)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의해 지지되어 영유아의 시트부를 형성하고; 동시에 가요성의 조절 벨트(2)는 완전히 인장된 상태로서, 조절 벨트(2)의 양단이 각각 시트 어셈블리(3)와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 측부(121)의 개구처에 고정되므로(이하, 상기 개구처를 피크 연결점이라 한다), 상기 조절 벨트(2)는 인장될 때 자동적으로 적재부(11)의 제1부분(111)이 시트 어셈블리(3)와 피크 연결점의 연결 라인에 지지되며 제2부분(112)과 비교적 작은 각(즉 수직평면과 형성하는 경사각도가 비교적 작음)을 이루는 등받이부를 형성하게 한다. 본 수용 장치를 좌립 상태로부터 누움 상태로 변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본 수용 장치(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점차적으로 하강시켜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기만 하면 된다. 하강 과정에서,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 측부와 시트 어셈블리(3) 사이의 거리는 점차 축소되어 느슨해진 상태로 복원되며, 이 때, 지지력을 상실한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는 자체 중력의 작용 하에 아래로 처지게 되고 자동으로 원주 방향 둘레부(12)에 의하여 걸리는 누움 상태로 복원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수용 장치는 조절 벨트를 사용하여 바로 누움 상태와 좌립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별도의 보조적인 구조와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가 단순하고 컴팩트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좌립 상태와 누움 상태 상호 전환되는 과정에서, 본 수용 장치의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가 모두 가요성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에 걸린 상태에서 시트 어셈블리(3) 상에서 이동하게 되면, 많든 적든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본 수용 장치를 들어올리게 될 경우,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가 시트 어셈블리(3)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흔들림 및/또는 이탈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의 바닥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슬리브(114)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114)는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피팅되어 상기 시트 어셈블리(3)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슬리브(114)를 이용하여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한 본 수용 장치의 수용 공간(1)의 이동을 시트 어셈블리(3) 표면에 근접한 세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연결된 조절 벨트(2)의 일단이 상기 시트 어셈블리(3)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연결될 때, 수용 장치는 누움 상태와 좌립 상태인 두 가지의 상태에 기반하여 클로징 기능을 더 갖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의 개구 주변에는 프레임(13)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3)은 힌지연결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좌립 상태와 누움 상태에 있을 때 대략 일직선을 이루고, 상기 조절 벨트(2)의 제1 단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를 따라 상기 조절 벨트(2)의 제2 단과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가 대략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로부터 클로징되어 폴딩 상태를 이룰 때, 상기 조절 벨트(2)는 제2단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당겨진다.
본 수용 장치를 좌립 상태로부터 클로징 상태로 변환하고자 할 때, 시트 어셈블리(3)가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고 수용 공간(1)을 수직 평면 상에서 클로징하기만 하면 수용 공간(1)은 클로징 과정에서 조절 벨트(2)를 당길 수 있다. 조절 벨트(2)가 시트 어셈블리(3)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이 클로징 상태에 있을 때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절 벨트(2)는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으로서, 외력의 작용 하에서 신장 및 변형되는 탄성 벨트와는 달리, 본 발명의 조절 벨트(2)의 길이는 외력의 작용 하에서 변하지 않는다. 조절 벨트(2) 자체의 길이는 엄격하게 수용 장치의 누움 상태와 좌립 상태에 의하여 설계되므로, 조절 벨트(2)가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수 없다면, 그 자체의 길이는 수용 장치가 폴딩될 때의 길이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의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이 클로징 상태에 있을 때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이는 조절 벨트(2)의 길이를 증가시킨 것에 해당한다. 조절 벨트(2) 자체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는 경우에만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수용 공간(1)의 클로징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즉 조절 벨트(2)는 수용 장치의 좌립 상태와 누움 상태의 전환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수용 장치에 좌립과 누움 기능에 기반하여 클로징 기능을 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절 벨트(2) 중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연결된 일단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을 통하여 인장 스프링(22)과 연결되고, 상기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 상에 피팅되어 상기 시트 어셈블리(3)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상기 인장 스프링(22)은 각각 시트 슬라이딩 블럭(21) 및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연결되어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이 위치를 복원하고자 할 때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연결된 조절 벨트(2)의 일단은 슬라이딩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므로 수용 장치의 전체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조절 벨트(2)의 원래 설치 방식을 변경할 필요도 없이, 조절 벨트(2)의 일단의 연결 구조를 간단하게 조절하기만 하면 조절 벨트(2)가 수용 공간(1)의 클로징에 대한 요구를 만족하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좌립 상태 및 누움 상태 상호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능한 한 이러한 종류의 흔들림 및/또는 이탈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의 바닥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슬리브(114)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114)는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피팅되어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114)는 시트 슬라이딩 블럭(21) 및 인장 스프링(22)을 둘러쌀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슬리브(114)를 이용하여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한 본 수용 장치의 수용 공간(1)의 이동을 시트 어셈블리(3) 표면에 근접한 세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절 벨트(2), 시트 어셈블리(3) 및 가이드 슬리브(114) 세 부분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어셈블리(3)는 서로 연결된 시트 바닥 파이프(31)와 시트 상부 파이프(32)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 바닥 파이프(31)는 U자형 파이프이고, 시트 상부 파이프는 U자형 파이프의 개구단과 고정연결되며, 상기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의 양단은 U자형 파이프 양측의 측부 파이프에 맞춰지고, 인장 스프링(22)의 일단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과 고정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U자형 파이프 바닥부의 바닥 파이프와 고정연결되고,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은 외력이 작용하면 시트 바닥 파이프(3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외력이 해제된 후에는 인장 스프링(22)의 인력을 통하여 위치복원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114)는 시트 바닥 파이프(31)를 둘러싸고 시트 바닥 파이프(3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114)는 바닥 파이프(31)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을 둘러싸, 가이딩 슬리브(114)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이 각자 바닥 파이프(31)의 세로 방향을 따로 이동할 때 서로 간섭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이 때, 가이드 슬리브(114)는 가요성을 가지는 가이드 슬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스프링(22)과 U자 파이프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개선될 수 있다: U자 파이프의 바닥부에 있는 바닥 파이프와 서로 연결된 인장 스프링(22)의 일단에는 인장 스프링 고정 베이스(24)가 구비되며, 상기 인장 스프링 고정 베이스(24)는 개구 클램프를 가지고, 조립 시 개구 클램프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U자 파이프 상에 걸리게 되어 조립이 편리하다.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상부 파이프(32)가 시트 바닥 파이프(31)과 교차하는 위치에는 조절 벨트 슬리브(23)가 더 설치되며, 상기 조절 벨트 슬리브(23)에는 조절 벨트(2)가 관통 가능한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 벨트 슬리브(23)는 조절 벨트(2)가 슬라이딩 시 항상 시트 바닥 파이프(31)와 마찰접촉하도록 한다. 추가되는 조절 벨트 슬리브(23)는 조절 벨트(2)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 등 U자 파이프와 상이한, 적절한 재료를 사용하여 지탱할 수 있으며; 동시에 조절 벨트 슬리브(23)가 배치되는 위치는 인장 스프링(22)에 근접하여, 수용 장치가 폴딩될 때 인장 스프링(22)에 대한 조절 벨트(2)의 연장 방향이 인장 스프링(22) 자체의 축 선과 일치되어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는 1층 또는 다층이 되며, 상기 조절 벨트(2)는 상기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최내층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절 벨트(2)는 상기 수용 공간(1)이 누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상기 최내층의 외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최내층의 외부의 어느 한 층의 외표면에 부착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가 1층일 때,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이 누움 상태에 있을 때는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외표면에 밀착되고,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가 좌립 상태일 때 후방으로부터 적재부(11)의 제1부분(111)을 지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수용 공간이 누움 상태에 있을 때 너무 길어서 아래로 늘어지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를 갖게 되며;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가 다층일 때, 조절 벨트(2)가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다층 사이를 지나가는 것이 가장 적절하고, 이 때, 다층의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는 각각 전술한 "가이드 슬리브"의 가이드 작용을 하게 되어, 적재부(11)의 제1부분(111)과 조절 벨트(2) 사이의 상호 이동이 가능한 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수용 공간(1)의 구조 또한 보다 치밀하고 정돈되게 한다.
유아동이 누웠을 때 보다 편안하도록,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는 다층의 가요성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의 가요성 커버는 적어도 두 개의 상호 간 벤딩될 수 있는 경질 플레이트를 둘러 싼다. 이 때, 상기 제1측부(121)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경질 플레이트는 전술한 제1부분(111)을 형성하고, 상기 제1측부(121)와 상대적으로 이격된 경질 플레이트는 전술한 제2부분(112)을 형성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경질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누움 상태의 수용 공간의 적재부가 영유아의 등이 꺼짐으로 인한 불편함을 피하기 위하여 영유아가 비교적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도록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현하였다.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추가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1)의 다층 커버는 경질 플레이트로 형성된 제3부분(113)을 더 둘러싸며, 상기 제3부분(113)은 상기 제2부분(112)과 상기 제2측부(12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부분(112)과 가로 방향에서 벤딩될 수 있고; 상기 제2부분(112)의 가로 방향 크기와 상기 시트 어셈블리(3)의 가로 방향 크기는 서로 매치된다. 사용자가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용 공간을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전환시키고자 할 때, 제2측부(112)는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제3부분(113)을 아래로 끌어당기고, 동시에 제1측부(111)는 위쪽으로 회전하여 제2부분을 가로방향으로 끌어당겨 제2부분(112)과 제3부분(113) 사이에 각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각은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전환될 때 시트 어셈블리(3)와 매치되어, 좌립 상태일 때 제2부분(112)이 시트 어셈블리(3)의 바로 상측에 있는 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제3부분(113)은 상기 제2측부(122)와의 사이에 영유아의 양쪽 다리를 수용할 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추가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112)과 상기 제3부분(113)은 별개이며, 상기 제2부분(112)과 상기 제1부분(111) 사이는 힌지연결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부분(112)과 제1부분(111)의 사이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수용 공간이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전환된 후 제1부분(111)으로 형성된 등받이 부분과 제2부분(112)으로 형성된 시트부 사이가 항상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유지함으로써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이 조절 벨트(2)에 대하여 이동할 때 동기화되지 않은 위치 이동의 발생으로 인해 비교적 큰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발생할 수 있으며; 제2부분(112)과 제3부분(113)은 별개로 형성되어 누움 상태에서 좌립 상태로 이동할 때 그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으며, 제2부분(112)과 제3부분(113)이 누움 상태에서 좌립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각을 형성할 때, 이들 사이의 틈은 커버에 의해서만 연결되고, 상기 커버는 시트 어셈블리(3)에 보다 잘 밀착되어 제2부분(112)가 좌립 상태일 때 시트 어셈블리(3) 상측에 위치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의 개구 주변에 강성의 프레임(13)이 설치되고, 프레임(13)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힌지연결되며, 상기 수용 공간(1)은 상기 프레임(13)을 통하여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 장치가 누움 상태, 좌립 상태 및 클로징 상태의 세 가지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강성의 프레임(13)은 수용 공간(1)의 개구가 변형되지 않고 수용 공간(1)와 시트 어셈블리(3)의 설치에 편리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레임(13)은 별개의 구조이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모두 클램핑 어셈블리(6)에 의하여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힌지연결된다.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프레임(13)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 장치와 상기 프레임(130) 사이에는 적어도 세 개의 잠금 위치가 설치되며, 그 중 제1 잠금 위치는 상기 프레임(13)이 좌립 상태로 회전했을 때의 위치와 대응되고, 제2 잠금 위치는 상기 프레임(13)이 누움 상태로 회전했을 때의 위치와 대응되며, 제3 잠금 장치는 상기 프레임(13)이 클로징 상태로 회전했을 때의 위치와 대응됨으로써; 대응하는 상태에서 본 수용 장치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상술한 바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개선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 벨트(2)는 하나이며, 상기 조절 벨트(2)는 상기 수용 공간(1)의 세로 방향 축 선상에 위치한다. 영유아의 체중은 상대적으로 가벼우므로, 적절한 재료를 사용한 하나의 조절 벨트로 수용 장치가 누움 상태와 좌립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때의 견고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가공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측에 단 하나의 조절 벨트를 설치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발명은 또한 다음과 같은 개선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 벨트(2)는 2개이며, 상기 2개의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의 세로 축 선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조절 벨트(2)가 설치되어, 영유아가 제2부분(112)에 기댈 때의 힘의 평형을 보다 잘 맞출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조절 벨트(2)는 직물 벨트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낮으며,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상이한 상태로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는 수용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 수단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휠 어셈블리(5)를 가지는 프레임(4)을 포함하며, 전술한 수용 장치를 포함하는 유모차로서, 상기 수용 장치의 시트 어셈블리(3)는 상기 프레임(4) 상에 고정 설치되고, 휠 어셈블리(5)는 상기 프레임(4)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어 유모차 전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유모차의 구조도로서, 도 1a의 수용 장치는 누움 상태에 있고, 도 1b의 수용 장치는 좌립 상태에 있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유모차의 구조도로서, 수용 장치는 좌립 상태에 있다.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유모차의 구조도로서, 수용 장치는 좌립 상태에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누움 상태의 수용 장치의 프레임 부재 및 시트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이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누움 상태의 수용 장치의 프레임 부재, 시트 어셈블리 및 조절 벨트의 연결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누움 상태의 수용 장치의 구조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이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누움 상태의 수용 장치의 구조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레일 및 차양 프레임이 설치된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은 도 7의 하부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좌립 상태의 수용 장치의 프레임 부재 및 시트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이 설치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좌립 상태의 수용 장치의 프레임 부재, 시트 어셈블리 및 조절 벨트의 연결 구조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차양 프레임이 설치된다.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 1의 좌립 상태의 수용 장치의 구조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차양 프레임이 설치되며, 원주 방향 둘레부의 제1 측부의 폴딩 상태는 생략된다.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 1의 좌립 상태의 수용 장치의 구조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이 설치되며, 원주 방향 둘레부의 제1측부는 폴딩 상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모차의 구조도로서, 수용 장치는 좌립 상태이며,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차양 프레임이 설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모차의 구조도로서, 수용 장치는 좌립 상태이며,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차양 프레임이 설치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누움 상태의 수용 장치의 전체 구조 사시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 핸들 및 차양이 설치된다.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하부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누움 상태의 수용 장치의 정면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차양 프레임이 설치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누움 상태의 수용 장치의 정면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핸들 및 차양이 설치된다.
도 21은 도 20에서 원주 방향 둘레부와 차양을 제거한 뒤의 구조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누움 상태의 수용 장치의 정면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핸들 및 차양이 설치된다.
도 23은 도 22에서 원주 방향 둘레부와 차양을 제거한 뒤의 구조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클로징 상태의 수용 장치의 전체 구조의 사시도로서,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핸들 및 차양이 설치된다.
도 25는 도 24에서 원주 방향 둘레부와 차양을 제거한 뒤의 구조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수용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 실시예 2에서 시트 어셈블리와 시트 슬라이딩 블럭 및 인장 스프링의 연결 구조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분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수용 장치의 실시예 2에 따른 좌립 상태의 입체 구조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방 프레임 바디와 후방 프레임 바디는 일직선을 이룬다.
도 30은 본 발명의 수용 장치의 실시예 2에 따른 좌립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방 프레임 바디와 후방 프레임 바디는 일직선을 이룬다.
도 31은 본 발명의 수용 장치의 실시예 2에 따른 좌립 상태의 입체 구조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방 프레임 바디와 후방 프레임 바디 사이에 끼인각을 가진다.
도 32는 본 발명의 수용 장치의 실시예 2에 따른 좌립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방 프레임 바디와 후방 프레임 바디 사이에 끼인각을 가진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모차의 구조도로서, 수용 장치는 좌립 상태이며,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차양 프레임이 설치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또 다른 유모차의 구조도로서, 수용 장치는 좌립 상태이며, 프레임 상에는 가드 레일과 차양 프레임이 설치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수용 장치의 실시예 1은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 시트 어셈블리(3), 잠금 장치 및 두 개의 조절 벨트(2)를 포함한다. 조절 벨트(2)로는 직물 벨트가 사용되며, 수용 공간(1)은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누움 상태와 좌립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방향은 모두 수용 공간(1)의 회전 축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수용 공간(1)의 회전 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한다.
이 때, 수용 공간(1)은 적재부(11) 및 양쪽 단이 모두 개방 단인 가요성의 원주 방향 둘레부(12)를 포함하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하측 개방 단은 적재부(11)에 의해 고정커버되고, 상측 개방 단은 수용 공간(1)이 외부와 통하는 개구를 형성한다. 수용 공간(1)의 개구 주변에는 강성의 프레임(13)이 설치되며, 수용 공간(1)은 상기 강성의 프레임(13)을 통하여 시트 어셈블리(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는 가요성 재질로 제작된 단층 구조를 가진다. 수용 공간(1)이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하여 좌립 상태가 될 때, 원주 방향 둘레부(12)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는 일 측은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이며, 상기 제1측부(121)와 서로 대응되는 한 쪽 측부는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2측부(122)이다.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는 이중층의 가요성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층의 가요성 커버는 세 개의 경질 플레이트를 둘러싼다. 그 중, 제1 측부(121)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경질 플레이트가 제1부분(111)을 형성하고, 제1 측부(121)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 경질 플레이트가 제2부분(112)을 형성하며, 제2부분(112)의 가로 방향 크기는 시트 어셈블리(3)의 가로 방향의 크기와 서로 매치된다. 제3부분(113)은 제2부분(112)와 제2측부(122) 사이에 위치하며, 제2부분(112)과 함께 가로 방향에서 벤딩될 수 있다. 제2부분(112)는 제3부분(113)과 별개이며, 제2부분(112)과 제1부분(111)의 사이는 힌지연결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11)는 시트 어셈블리(3) 상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시트 어셈블리(3) 상에 설치되고;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의 바닥면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슬리브(114)가 설치되며, 가이드 슬리브(114)는 직물 재질의 가요성 가이드 슬리브이고, 가이드 슬리브(114)는 시트 어셈블리(3)에 피팅되어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적재부(11)는 가이드 슬리브(114)를 통하여 시트 어셈블리(3)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두 개의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의 세로 축 라인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하게 배치된다. 각 조절 벨트(2)의 연결 방식은 아래와 같다: 각 조절 벨트(2)는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외부에 위치하며, 이중층의 적재부(11) 중간을 통과하고, 각 조절 벨트(2)의 일단은 시트 어셈블리(3) 상에 고정되며, 또 다른 일단은 제1측부(121)에 고정되어 개구처에 근접한다. 각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이 누움 상태일 때 적재부(11) 내층의 외표면 및 원주 방향 둘레부의 외표면에 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명확한 도시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는 조절 벨트(2)가 적재부(11) 외층의 외표면에 밀착한 것이다). 각각의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에 있을 때 시트 어셈블리(3) 및 제1 측부(121)에 의해 인장되고;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전환될 때 제2부분(112)은 시트 어셈블리(3)에 의하여 지지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시트부를 형성하고,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전환될 때 제1부분(111)은 인장된 조절 벨트(2)에 의해 지지되어 제2부분(112)과 각을 이루는 등받이부를 형성한다.
잠금 장치는 프레임(13) 상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 장치와 프레임(13) 사이에는 두 개의 잠금 위치가 배치된다. 이 중 제1 잠금 위치는 프레임(13)이 좌립 상태로 전환될 때의 위치와 대응되며, 제2 잠금 장치는 프레임(13)이 누움 상태로 전환될 때의 위치와 대응된다.
도 14 내지 15에 도시된 유모차는 전술한 수용 장치 및 휠 어셈블리(5)를 포함하는 바디 프레임(4)을 포함하며, 수용 장치의 시트 어셈블리(3)는 바디 프레임(4)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된 방식으로 상기 바디 프레임(4) 상에 설치되고, 휠 어셈블리(5)는 바디 프레임(4)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유모차 전체를 지지한다.
본 수용 장치를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변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본 수용 장치의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를 점차적으로 상승시켜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기만 하면 된다. 상승 과정에서, 시트 어셈블리(3)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한 수용 공간(1)의 각도는 점차적으로 변경되어(->도 4와 도 10 비교),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이 당겨져 시트 어셈블리(3)의 가로 방향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등받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제1부분(111)과 시트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제2부분(112)은 항상 긴밀하게 연결되며,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2측부(121)와 시트 어셈블리(3) 사이의 거리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가요성의 조절 벨트가 점차 직선으로 인장되도록 한다.(도 11 참조) 동시에,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2측부(112)는 아래쪽으로 회전하고 적재부(11)의 제3부분(113)을 아래쪽으로 견인한다.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의 가로 방향 운동과 제3부분의 하향 회전은 동기화되어 제2부분(112)와 제3부분(113) 사이에 각을 형성하며, 상기 각은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전환될 때 시트 어셈블리(3)와 매치된다.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에 도달할 때,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은 시트 어셈블리(3)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의하여 지지되어 영유아의 시트부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3부분(113)은 상기 제2부분(112)과의 사이에 영유아의 두 다리를 수용할 공간을 형성하고; 동시에, 가요성의 조절 벨트(2)는 완전히 인장된 상태가 되며, 조절 벨트(2)의 양단이 각각 시트 어셈블리(3)와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부분(121)의 개구처(이하, 상기 개구처를 피크 연결점이라 한다)에 고정되므로, 상기 조절 벨트(2)는 인장된 상태에서 적재부(11)의 제1부분(111)을 시트 어셈블리(3)와 피크 연결점의 연결 라인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제2부분(112)과 비교적 작은 각(즉 수직평면과 형성하는 경사각도가 비교적 작음)을 이루는 등받이부를 형성하게 한다.
본 수용 장치를 좌립 상태로부터 누움 상태로 변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본 수용 장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를 점차적으로 하강시켜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기만하면 된다. 하강 과정에서,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 측부와 시트 어셈블리(3) 사이의 거리는 점차 축소되어 느슨해진 상태로 복원되며, 이 때, 지지력을 상실한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는 자체 중력의 작용 하에 아래로 처지게 되고 자동으로 원주 방향 둘레부(12)에 걸리는 누움 상태로 복원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수용 장치의 실시예 2는 도 16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 시트 어셈블리(3), 잠금 장치 및 두 개의 조절 벨트(2)를 포함한다. 조절 벨트(2)로는 직물 벨트가 사용되며, 수용 공간(1)은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누움 상태, 좌립 상태 및 클로징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수용 공간(1)은 적재부(11) 및 양쪽 단이 모두 개방 단인 가요성의 원주 방향 둘레부(12)를 포함하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하측 개방 단은 적재부(11)에 의해 커버되고, 상측 개방 단은 수용 공간(1)이 외부와 통하는 개구를 형성한다. 수용 공간(1)의 개구 주변에는 강성의 프레임(13)이 설치되며, 수용 공간(1)은 상기 프레임(13)을 통하여 시트 어셈블리(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프레임(13)은 개별 구조로서, 힌지연결을 구성하는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를 포함하고,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모두 강성 재질이며, 시트 어셈블리(3)와 클램핑 어셈블리(6)는 서로 고정연결되고,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모두 클램핑 어셈블리(6)를 통하여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힌지연결되며, 외력의 작용 하에서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힌지연결 축을 둘러싸고 회전할수 있고,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좌립 상태와 누움 상태에서 대략 일직선을 이룬다. 실시예 1의 프레임(13)은 실시예 2의 프레임(13)과 그 구조가 동일하다.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는 가요성 재질로 제작된 단층 구조를 가진다. 수용 공간(1)이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하여 좌립 상태가 될 때, 원주 방향 둘레부(12)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는 일 측은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이며, 상기 제1측부(121)와 서로 대응되는 한 쪽 측부는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2측부(122)이다.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는 이중층의 가요성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층의 가요성 커버는 세 개의 경질 플레이트를 둘러싼다. 그 중, 제1 측부(121)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경질의 플레이트가 제1부분(111)을 형성하고, 제1 측부(121)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 경질 플레이트가 제2부분(112)을 형성하며, 제2부분(112)의 가로 방향 크기는 시트 어셈블리(3)의 가로 방향의 크기와 서로 매치된다. 제3부분(113)은 제2부분(112)와 제2측부(122) 사이에 위치하며, 제2부분(112)과 가로 방향에서 벤딩될 수 있다. 제2부분(112)은 제3부분(113)과 별개이며, 제2부분(112)과 제1부분(111)의 사이는 힌지연결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11)는 시트 어셈블리(3) 상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시트 어셈블리(3) 상에 설치되고;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의 바닥면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슬리브(114)가 설치되며, 가이드 슬리브(114)는 직물 재질의 가요성 가이드 슬리브이고, 가이드 슬리브(114)는 시트 어셈블리(3)에 피팅되어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적재부(11)는 가이드 슬리브(114)를 통하여 시트 어셈블리(3)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두 개의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의 세로 축 라인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하게 배치된다. 각 조절 벨트(2)의 연결 방식은 다음과 같다: 각 조절 벨트(2)는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외부에 위치하며 이중층의 적재부(11) 중간을 관통하고, 각 조절 벨트(2)의 제1단은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연결되며, 제2단은 제1측부(121)의 개구처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에 있을 때 시트 어셈블리(3)와 제1측부(121)에 의하여 인장된다. 조절 벨트(2)의 제1단은 시트 어셈블리(3)를 따라 조절 벨트(2)의 제2단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이에 근접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이들이 대략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로부터 클로징되어 폴딩 상태를 이룰 때 조절 벨트(2)를 당김으로써 제2단의 방향에 가깝게 이동할 수 있다.
각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이 누움 상태일 때 적재부(11) 내층의 외표면 및 원주 방향 둘레부의 외표면에 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명확한 도시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는 조절 벨트(2)가 적재부(11) 외층의 외표면에 밀착한 것이다). 각각의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에 있을 때 시트 어셈블리(3) 및 제1측부(121)에 의해 인장되고; 제2부분(112)이 클로징 상태에 있을 때, 조절 벨트(2)의 제1단은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조절 벨트(2)의 제2단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절 벨트(2)의 길이가 수직 평면 상에서의 수용 공간(1)의 클로징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게 함으로써 수용 장치가 다양한 상태를 가지게 할 수 있고; 제2부분(112)은 수용 공간(1)이 누움 상태에서 좌립 상태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의하여 지지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시트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1부분은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회전될 때 인장된 조절 벨트(2)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2부분(112)과 각을 이루는 등받이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어셈블리(3)는 서로 연결된 시트 바닥 파이프(31)와 시트 상측 파이프(32)를 가지며, 시트 바닥 파이프(31)는 U자형 파이프이고 시트 상측 파이프(32)는 U자평 파이프의 개구단과 서로 고정연결되고, 시트 어셈블리(3)와 연결된 조절 벨트(2)의 일단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을 통하여 인장 스프링(22)과 연결되며,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의 양쪽 단은 U자형 파이프 양측의 측부 파이프를 감싸고, 인장 스프링(22)의 일단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과 고정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U자형 파이프 바닥부의 바닥 파이프와 고정연결되어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의 위치 복원시 복원력을 제공하고,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은 외력 작용 시 시트 바닥 파이프(3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조절 벨트(2)의 길이를 증가시킨 것에 해당하고, 외력이 해제된 후 인장 스프링(22)의 위치 복원을 통하여, 가이드 슬리브(114)는 시트 바닥 파이프(31)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 및 인장 스프링(22)을 둘러쌀 수 있고, 시트 바닥 파이프(3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가이드 슬리브(114)가 시트 바닥 파이프(31)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을 덮기 때문에, 가이드 슬리브(114)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은 각자 시트 바닥 파이프(3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인장 스프링(22)과 U자 파이프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U자 파이프의 바닥과 서로 연결된 인장 스프링(22)의 일단에는 인장 스프링 고정 베이스(24)가 설치되며, 인장 스프링 고정 베이스(24)는 개구 클램프를 가지고, 조립 시 개구 클램프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U자 파이프 상에 걸리게 되어 조립이 편리하다. 시트 상부 파이프(32)의 시트 바닥 파이프(31)와 교차하는 위치에는 조절 벨트 슬리브(23)가 설치된다. 조절 벨트 슬리브(23)는 두 개로서 좌우가 대칭되게 설치되고, 조절 벨트 슬리브(23)에는 조절 벨트(2)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설치되며, 하나의 조절 벨트(2)는 하나의 조절 벨트 슬리브(23)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조절 벨트 슬리브(23)는 조절 벨트(2)가 슬라이딩할 때 항상 시트 바닥 파이프(31)와 마찰접촉하게 한다. 추가되는 조절 벨트 슬리브(23)는 플라스틱 재료 등 U자 파이프와 상이한, 적절한 재료를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어 조절 벨트(2)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조절 벨트 슬리브(23)가 배치되는 위치는 인장 스프링(22)에 근접하여, 수용 장치가 클로징될 때 인장 스프링(22)에 대한 조절 벨트(2)의 연장 방향이 인장 스프링(22) 자체의 축 선과 일치되어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장치는 프레임(13) 상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장치와 프레임(13) 사이에는 세 개의 잠금위치가 배치된다. 이 중 제1 잠금 위치는 프레임(13)이 좌립 상태로 회전할 때의 위치와 대응되며, 제2 잠금 장치는 프레임(13)이 누움 상태로 회전할 때의 위치와 대응되고, 제3 잠금 장치는 프레임(13)이 클로징된 상태로 회전할 때의 위치와 대응된다.
도 33 내지 34에 도시된 유모차는 전술한 수용 장치 및 휠 어셈블리(5)를 포함하는 바디 프레임(4)을 포함하며, 수용 장치의 시트 어셈블리(3)는 바디 프레임(4)에 고정 설치되고, 휠 어셈블리(5)는 바디 프레임(4)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유모차 전체를 지지한다.
본 수용 장치를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변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본 수용 장치의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가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점차적으로 상승시켜 주기만 하면 된다. 상승 과정에서, 시트 어셈블리(3)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한 컨테이너 공간(1)의 각도는 점차적으로 변경되어,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의 제2부분(122)가 당겨져 시트 어셈블리(3)의 가로 방향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등받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제1부분(111)과 시트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제2부분(112)은 항상 긴밀하게 연결되며,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와 시트 어셈블리(3) 사이의 거리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가요성의 조절 벨트(2)가 점차 직선으로 인장되도록 한다. 동시에,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2측부(112)는 아래쪽으로 회전하고 적재부(11)의 제3부분(113)을 아래쪽으로 견인한다.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의 가로 방향 운동과 제3부분의 하향 회전은 동기화되어 제2부분(112)와 제3부분(113) 사이에 각을 형성하며, 상기 각은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전환될 때 시트 어셈블리(3)와 매치된다.
수용 공간이 좌립 상태에 도달할 때, 적재부(11)의 제2부분(112)는 시트 어셈블리(3)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의하여 지지되어 영유아의 시트부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3부분(113)은 상기 제2부분(112)과의 사이에 영유아의 두 다리를 수용할 공간을 형성하고; 동시에, 가요성의 조절 벨트(2)는 완전히 인장된 상태가 되며, 조절 벨트(2)의 양단이 각각 시트 어셈블리(3)와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부분(121)의 개구처(이하, 상기 개구처를 피크 연결점이라 한다)에 고정되므로, 상기 조절 벨트(2)는 인장된 상태에서 적재부(11)의 제1부분(111)을 시트 어셈블리(3)와 피크 연결점의 연결 라인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제2부분(112)과 비교적 작은 각(즉 수직평면과 형성하는 경사각도가 비교적 작음)을 이루는 등받이부를 형성하게 한다.
본 수용 장치를 좌립 상태로부터 클로징 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때,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시트 어셈블리(3)가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려면, 후방 프레임 바디(132)를 힌지연결축을 둘러싸고 전방 프레임 바디(131)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조절 벨트(2)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과 인장 스프링(22)에 의하여 시트 어셈블리(3)와 연결되기 때문에, 조절 벨트(2)가 완전히 인장된 상태일 때, 조절 벨트(2)는 시트 슬라이딩 블럭(21)과 함께 시트 바닥 파이프(3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조절 벨트(2) 자체의 길이는 엄격하게 수용 장치의 누움 상태와 좌립 상태에 따라 설계되므로, 외력이 작용할 때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절 벨트(2)는 수용 공간(1)이 클로징 상태에 있을 때에는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이는 조절 벨트(2)의 길이를 증가시킨 것에 해당하고, 조절 벨트(2) 자체의 길이가 변하지 않는 상황에서만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수용 공간의 클로징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고 조절 벨트(2)의 길이 제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조절 벨트(2)는 좌립 상태와 누움 상태로의 수용 장치의 전환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용 장치에 좌립과 누움 기능에 기반하여 클로징 기능을 더함으로써, 상기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의 이동 과정에서 인장 스프링(22)이 인장되며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고, 수용 장치의 클로징이 완성된 후에는 잠금 장치에 의하여 잠기도록 할 수 있다. 본 수용 장치를 클로징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변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 후방 프레임 바디(132)를 역회전시켜 후방 프레임 바디(132)를 좌립 상태로 복원시키기만 하면 된다. 조절 벨트(2)는 완전히 인장된 상태에서 느슨한 상태로 복원되고, 인장 스프링(22)은 외력이 해제된 후 탄력적으로 복원되어 시트 슬라이딩 블럭(21)과 조절 벨트(2)를 인장 전의 상태로 복원시킨다.
본 수용 장치를 좌립 상태로부터 누움 상태로 변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본 수용 장치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가 수직 평면 상에서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점차적으로 하강시켜 주기만 하면 된다. 하강 과정에서, 수용 공간(1)의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 측부와 시트 어셈블리(3) 사이의 거리는 점차 축소되어 느슨해진 상태로 복원되며, 이 때, 지지력을 상실한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는 자체 중력의 작용 하에 아래로 처지게 되고 자동으로 원주 방향 둘레부(12)에 의하여 걸리는 누움 상태로 복원한다.

Claims (16)

  1. 시트 어셈블리(3)와 수용 공간(1)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1)은 적재부(11), 및 상하 서로 대응되는 양단이 모두 개방 단인 가요성의 원주 방향 둘레부(12)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 하측의 개방 단은 상기 적재부(11)에 의하여 커버되고 상측의 개방 단은 상기 수용 공간(1)이 외부와 통하는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 공간(1)은 수직 평면 상에서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회전하여 누움 상태에서 좌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전환회전할 때,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는 일 측은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1측부(121)이고, 상기 제1측부(121)와 서로 대응되는 일 측부는 상기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제2측부(122)인 유모차용 수용 장치로서: 상기 적재부(11)는 상기 시트 어셈블리(3) 상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시트 어셈블리(3)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부(11)의 적어도 두 개 위치는 가로 방향에서 벤딩될 수 있고 상기 게1측부(121)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부분(111), 및 상기 제1측부(121)와 상대적으로 이격된 제2부분(112)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조절 벨트(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벨트(2)의 제1단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서로 연결되며, 제2단은 상기 제1측부(121)의 개구처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조절 벨트(2)는 시트 어셈블리(3)와 제1측부(121)에 의해 인장되며; 상기 수용 공간(1)이 누움 상태로부터 좌립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분(112)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의하여 지지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시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1)이 좌립 상태로 회전환될 때 상기 제1부분(111)은 인장된 상기 조절 벨트(2)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부분(112)과 각을 이루는 등받이부를 형성하는, 수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1)의 개구 주변에는 프레임(13)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3)은 힌지연결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좌립 상태와 누움 상태에서 대략 일직선을 이루고, 상기 조절 벨트(2)의 제1단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고정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의 바닥면은 세로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슬리브(114)가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114)는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피팅되며,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1)의 개구 주변에는 프레임(13)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3)은 힌지연결을 구성하는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좌립 상태와 누움 상태에서 대략 일직선을 이루고, 상기 조절 벨트(2)의 제1단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를 따라 상기 조절 벨트(2)의 제2단과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서로 대략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로부터 클로징되어 폴딩 상태를 이룰 때 상기 조절 벨트(2)는 제2단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 벨트(2)의 일단은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을 통하여 인장 스프링(22)과 연결되고, 상기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3) 상에 피팅되어 상기 시트 어셈블리(3)의 세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고, 상기 인장 스프링(22)은 각각 시트 슬라이딩 블럭(21)과 시트 어셈블리(3)와 연결되어,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이 위치를 복원할 때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의 제2부분(112)의 바닥면은 세로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슬리브(114)가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114)는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피팅되며 상기 시트 어셈블리(3)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114)는 상기 시트 슬라이딩 블럭(21)과 인장 스프링(22)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어셈블리(3)는, 서로 연결되는 시트 바닥 파이프(31)와 시트 상부 파이프(32)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 바닥 파이프(31)는 U자형 파이프이고, 시트 상부 파이프(32)는 U자형 파이프의 개구단과 고정연결되며, 상기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의 양단은 U자형 파이프의 양측의 측부 파이프에 끼워지고, 인장 스프링(22)의 일단과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은 고정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U자형 파이프 바닥부의 바닥 파이프와 고정연결되고, 시트 슬라이딩 블럭(21)은 외력이 작용할 때 시트 바닥 파이프(3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조절 벨트(2)의 유효 길이를 증가시키고 외력이 해제된 후에는 인장 스프링(22)의 인력을 통하여 복원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114)는 시트 바닥 파이프(31)를 둘러싸고 시트 바닥 파이프(3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U자 파이프의 바닥부의 바닥 파이프와 연결되는 상기 인장 스프링(22)의 일단은 인장 스프링 고정 베이스(24)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 스프링 고정 베이스(24)는 개구 클램프를 가지고, 조립 시 개구 클램프를 통하여 직접 U자 파이프 상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상측 파이프(32)가 시트 바닥 파이프(31)과 교차하는 위치에는 조절 벨트 슬리브(23)가 더 설치되며, 상기 조절 벨트 슬리브(23)에는 조절 벨트(2)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 벨트 슬리브(23)는 조절 벨트(2)가 슬라이딩 시 항상 시트 바닥 파이프(31)와 마찰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는 한 층 또는 한 층 이상의 다층이며, 상기 조절 벨트(2)는 상기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최내층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절 벨트(2)는 상기 수용 공간(1)이 누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재부(11) 및/또는 원주 방향 둘레부(12)의 상기 최내층의 외표면에 밀착하거나 또는 최내층의 외부의 어느 한 층의 외표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1)의 적재부(11)는 다층의 가요성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다층의 커버는 상호 간 벤딩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경질(硬質) 플레이트를 둘러싸고, 상기 제1측부(121)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경질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부분(111)을 형성하며, 상기 제1측부(121)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 경질 플레이트는 상기 제2부분(1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1)의 다층의 커버 는 제3 경질 플레이트를 둘러싸고, 상기 제3 경질 플레이트는 상기 제2부분(112)과 상기 제2측부(12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부분(112)과 가로 방향에서 벤딩될 수 있고; 상기 제2부분(112)의 가로 방향의 크기는 상기 시트 어셈블리(3)의 가로 방향의 크기와 서로 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112)과 상기 제3부분은 별개이며, 상기 제2부분(112)과 상기 제1부분(111)의 사이는 힌지연결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4.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모두 강성의 프레임 바디이며, 상기 전방 프레임 바디(131)와 후방 프레임 바디(132)는 모두 클램핑 어셈블리(6)를 통하여 상기 시트 어셈블리(3)와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프레임(13)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 장치와 상기 프레임(13) 사이에는 적어도 세 개의 잠금 위치가 설치되고, 제1 잠금 위치는 상기 프레임(13)이 좌립 상태로 회전했을 때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며, 제2 잠금 위치는 상기 프레임(13)이 누움 상태로 회전했을 때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고, 제3 잠금 위치는 상기 프레임(13)이 클로징 상태로 회전했을 때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6. 휠 어셈블리(5)를 포함하는 바디 프레임(4)을 구비한 유모차로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용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 장치의 시트 어셈블리(3)는 상기 바디 프레임(4) 상에 고정 설치되고, 휠 어셈블리(5)는 상기 바디 프레임(4) 바닥부에 설치되어 유모차 전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207021723A 2018-01-19 2019-01-10 유모차용 수용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유모차 KR202000947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093007.6U CN208211827U (zh) 2018-01-19 2018-01-19 一种用于推车的容置装置以及具有该容置装置的推车
CN201820093007.6 2018-01-19
CN201822228639.1U CN209795576U (zh) 2018-12-27 2018-12-27 用于推车的多功能容置装置以及具有该容置装置的推车
CN201822228639.1 2018-12-27
PCT/CN2019/071125 WO2019141127A1 (zh) 2018-01-19 2019-01-10 一种用于推车的容置装置以及具有该容置装置的推车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796A true KR20200094796A (ko) 2020-08-07

Family

ID=6730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723A KR20200094796A (ko) 2018-01-19 2019-01-10 유모차용 수용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유모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92500B2 (ko)
KR (1) KR20200094796A (ko)
WO (1) WO20191411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4763B2 (en) * 2016-07-27 2021-05-04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with removeable seats and related methods
US11641952B2 (en) 2019-06-21 2023-05-09 Kids2, Inc. Modular cradle
CN110371173A (zh) * 2019-08-29 2019-10-25 安徽酷豆丁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坐蔸以及婴儿推车
NL2032195B1 (en) * 2020-12-18 2023-07-17 Royalty Bugaboo Gmbh Foldable stroller, foldable bassinet, foldable seat, stroller and stroller and luggage system
CN113247075A (zh) * 2021-06-24 2021-08-13 东莞育童幼儿用品有限公司 婴儿车车架
CN114104075B (zh) * 2021-11-09 2023-03-0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用品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0575A (en) * 1965-08-19 1967-07-11 Hedstrom Union Company Convertible and foldable baby vehicles
FR2327129A1 (fr) * 1975-10-09 1977-05-06 Eurolando Support tel que siege ou nacelle adaptable sur poussette ou voiture d'enfant
JPS59149868A (ja) * 1983-02-14 1984-08-27 葛西株式会社 乳母車用ベツド
US4836573A (en) * 1988-01-29 1989-06-06 Gerico, Inc. Combination infant stroller and baby bassinet
FR2693162B1 (fr) * 1992-07-02 1994-09-16 Ampafrance Poussette pliante pour enfant à pliage compact.
DE9310512U1 (de) * 1993-07-14 1993-09-23 Hsiao, Patty, Nei-Hu, Taipeh Kinderwagen
US6286844B1 (en) * 1997-06-24 2001-09-11 Cosco Management, Inc. Stroller with removable seat
US7367581B2 (en) * 2005-08-26 2008-05-06 Link Treasure Limited Baby stroller frame with seat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CN102273854B (zh) * 2010-06-09 2013-07-3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有多向使用状态的婴幼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US8408580B2 (en) 2011-01-26 2013-04-02 Unique Product & Design Co., Ltd. Baby stroller folding device
CN202557593U (zh) * 2011-04-26 2012-11-28 克斯克管理公司 儿童运送设备
US9399477B2 (en) * 2012-12-27 2016-07-26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s with removable child supports and related methods
CN203172688U (zh) * 2013-01-24 2013-09-04 欧仕儿童用品(福建)有限公司 可变座位的婴儿车
US9221487B2 (en) * 2013-04-30 2015-12-29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onvertible stroller seat
CN203318477U (zh) * 2013-05-17 2013-12-04 欧仕儿童用品(福建)有限公司 方便拆装的座身结构
CA2917624A1 (en) * 2013-07-12 2015-01-15 The University Of Sydney Combination child carrier and stroller
CN105564489B (zh) * 2014-10-10 2018-04-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及婴儿推车
CN206086840U (zh) * 2016-10-16 2017-04-12 宁波爱贝丽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可调节坐兜
CN206719297U (zh) * 2016-11-30 2017-12-0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206374786U (zh) * 2016-12-02 2017-08-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座兜及儿童推车
CN107161202B (zh) * 2017-06-06 2023-05-2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座兜及儿童推车
CN208211827U (zh) * 2018-01-19 2018-12-11 中山市乐瑞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推车的容置装置以及具有该容置装置的推车
KR101894460B1 (ko) * 2018-04-10 2018-09-04 김미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1127A1 (zh) 2019-07-25
US20210362765A1 (en) 2021-11-25
US11292500B2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4796A (ko) 유모차용 수용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유모차
US9693639B2 (en) Child sleeping and rocking apparatuses
US7950734B2 (en) Recliner with locking mechanism
TWI540068B (zh) Foldable baby carriage
US8348340B2 (en) Seat structure
CA3020679C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TWI680073B (zh) 折疊式嬰兒車
KR20030074029A (ko) 접이식 의자 겸용 침대
US20060064816A1 (en) Convertible seat for a baby buggy
EP3831247B1 (en) Collapsible carry cot
US10667620B2 (en) Futon frames including a fixed pivot point
US8991929B2 (en) Stroller seat with articulating calf support
WO2013180014A1 (ja) 乳母車およびシートユニット
WO2013104150A1 (zh) 坐卧式家具的家具底架
US20180194384A1 (en) Child Support Apparatus
CN208211827U (zh) 一种用于推车的容置装置以及具有该容置装置的推车
KR101943476B1 (ko) 유아용 차량 시트
KR102001741B1 (ko) 어린이 지지 장치
US20160037941A1 (en) Childcare chair
CN209795576U (zh) 用于推车的多功能容置装置以及具有该容置装置的推车
KR101584046B1 (ko) 의자용 록킹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의자 및 좌식의자
JP6684660B2 (ja) 肘掛け、及び、椅子
JP4036253B2 (ja) 折り畳みいす
JP2004097348A (ja) 肘掛け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
CN100589737C (zh)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