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495A - 울타리용 지주 - Google Patents

울타리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495A
KR20200094495A KR1020190012049A KR20190012049A KR20200094495A KR 20200094495 A KR20200094495 A KR 20200094495A KR 1020190012049 A KR1020190012049 A KR 1020190012049A KR 20190012049 A KR20190012049 A KR 20190012049A KR 20200094495 A KR20200094495 A KR 20200094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main body
coupled
pos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232B1 (ko
Inventor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이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준 filed Critical 이경준
Priority to KR102019001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2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E04H2017/00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타리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울타리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가로대가 결합되는 울타리용 지주로서, 지중에 매립되어 파이프가 지면에 직립하게 세워지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와, 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삽입홀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재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사각 기둥형상의 메인몸체와, 메인몸체의 측면의 각 모서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서브몸체를 포함하고, 판재부는 한 쌍의 서브몸체 사이마다 끼움 결합되어, 일측면이 메인몸체와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울타리용 지주{STURDY POST FOR FENCE}
본 발명은 울타리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울타리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울타리는 실내외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 부지의 경계선을 구분하는 기능,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 또는 외부침입을 억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때, 울타리는 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둘 이상의 지주와, 한 쌍의 지주를 상호 연결하는 가로대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울타리의 지주는 금속재 또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금속재의 지주는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부환경으로 인한 부식이 발생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재의 지주는 자연 친화적인 미관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이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무가 팽창/수축, 뒤틀림,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금속재의 지주 및 목재의 지주의 장점을 동시에 이용하기 위해, 금속재의 강도와 목재의 외관을 동시에 이용하기 위해 금속재의 심재에 목재를 결합하는 지주도 개발되었으나, 이는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심재에 목재를 결합해야 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하며, 금속재 지주 및 목재 지주의 장점을 동시에 갖는 울타리용 지주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49848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이 용이하며, 금속재 지주 및 목재 지주의 장점을 동시에 갖는 울타리용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중에 매립되어 파이프가 지면에 직립하게 세워지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와, 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삽입홀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재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사각 기둥형상의 메인몸체와, 메인몸체의 측면의 각 모서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서브몸체를 포함하고, 판재부는 한 쌍의 서브몸체 사이마다 끼움 결합되어, 일측면이 메인몸체와 대면하는 울타리용 지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몸체는 메인몸체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사각 기둥형상의 결합부재와, 결합부재의 모서리와 메인몸체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메인몸체와 결합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결합부재는 연결부재가 결합된 모서리와 인접한 한 쌍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판재부는 일측면과 인접한 한 쌍의 측면에 돌출부재가 삽입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는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꼭지가 잘린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형틀부재와, 형틀부재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일면이 내부공간의 하면과 대면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 기둥 형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베이스부재의 일면 및 내부공간의 하면은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고정홈에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내부공간에서 베이스부재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캡을 더 포함하고, 상부캡은 본체부의 상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본체부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상부캡 하우징부와, 상부캡 하우징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상부캡 발광부와, 상부캡 발광부와 연결되며,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와, 상부캡 발광부와 연결되며, 상부캡 발광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와, 배터리부와 연결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 가능한 발전부를 포함하고, 진동 감지부는 진동 감지에 따라 구동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와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캡을 더 포함하고, 하부캡은 본체부의 하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본체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파이프가 관통 결합되는 하부캡 하우징부와, 하부캡 하우징부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하부캡 발광부를 포함하고, 하부캡 발광부는 배터리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금속재의 파이프로 중심을 세우고, 목재의 판재부가 외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금속재 지주와 목재 지주의 장점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본체부의 탄성력에 의해 판재부가 본체부에 끼움 결합되어 별도의 체결구를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 조립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용 지주가 적용된 울타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용 지주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용 지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부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용 지주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용 지주(1)가 적용된 울타리(A)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울타리(A)는 둘 이상의 울타리용 지주(1) 및 한 쌍의 울타리용 지주(1) 사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대(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용 지주(1)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이때, 도 2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본체부(30), 상부캡(50) 및 하부캡(60)의 내부에 위치한 공간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울타리용 지주(1)는 파이프(10), 고정부(20), 본체부(30) 및 판재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10)는 본체부(30)의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부(30)에 강성을 부여하는 구성요소로서,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10)는 고정부(20)에 의해 지면에 직립하게 세워지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이프(10)가 삽입된 본체부(30)도 지면에 직립하게 세워질 수 있다.
고정부(20)는 파이프(10)를 지중에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지중에 매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20)는 형틀부재(21), 베이스부재(22) 및 지지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형틀부재(21)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거푸집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211)을 갖는 꼭지가 잘린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개구된 상단을 통해 내부공간(211)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형틀부재(21)가 꼭지가 잘린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꼭지가 잘린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부재(22)는 지지부재(23)를 받치는 구성요소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틀부재(21)의 내부공간(211)으로 삽입 가능하다. 이때, 형틀부재(21)의 내부공간(211)으로 삽입된 베이스부재(22)의 일면은 내부공간(211)의 하면과 대면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재(22)가 형틀부재의 내부공간에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베이스부재(22)는 형틀부재(21)의 상단 개구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3)는 파이프(10)가 직립하게 세워지도록 파이프(1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부재(22)의 타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3)는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파이프(10)의 하단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231)은 상면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조의 고정부(20)로 인해,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즉, 파이프(1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초블록을 현장에서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공간(211)의 하면에는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재(22)는 고정돌기(2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212)가 삽입 가능한 고정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212) 및 고정홈(221)이 형성됨으로 인해, 본 발명은 내부공간(211)에서 베이스부재(2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형틀부재(21)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콘크리트의 흐름에 의해 지지부재(23)가 초기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내부공간(211)의 하면에 고정돌기(212)가 형성되고 베이스부재(22)에 고정홈(221)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공간(211)의 하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베이스부재(22)의 하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부(30)는 판재부(40)를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파이프(10)가 삽입 가능한 삽입홀(3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본체부(30)는 탄성력에 의해 판재부(40)가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물체와의 충돌 시의 충격을 흡수해 파이프(10)와 외부 물체를 어느 정도 보호해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30)는 삽입홀(311)이 관통 형성된 사각 기둥형상의 메인몸체(31) 및 메인몸체(31)의 측면의 각 모서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서브몸체(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판재부(40)는 한 쌍의 서브몸체(32) 사이마다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메인몸체(31)의 네 측면에는 각각 판재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몸체(32)는 메인몸체(31)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사각 기둥형상의 결합부재(321) 및 결합부재(321)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와 메인몸체(31)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결합부재(321)와 메인몸체(3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321)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는 메인몸체(31)의 모서리와 가장 근접한 모서리일 수 있다.
결합부재(321)는 어느 하나의 모서리와 인접한 한 쌍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부재(3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판재부(40)는 메인몸체(31)와 대면한 일측면과 인접한 한 쌍의 측면에 돌출부재(323)가 삽입 가능한 결합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재(323)와 결합홈(41)이 형성됨으로 인해, 본체부(30)와 판재부(40)는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321)는 돌출부재(323)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한 쌍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부재(321)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보강부재(3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판재부(40)는 울타리용 지주(1)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목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판재부(40)는 한 쌍의 서브몸체(32) 사이마다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일측면이 메인몸체(31)와 대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판재부(40)는 결합홈(41)이 형성된 측면에 서브몸체(32)와 판재부(40) 사이를 밀착시키는 패킹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판재부(4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존의 판재부(40)를 외측으로 당겨 서브몸체(32)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새로운 판재부(40)를 메인몸체(31)와 마주보게 위치시킨 후, 일정 기준 이상의 외력을 가해 서브몸체(32)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울타리용 지주(1)는 상부캡(50) 및 하부캡(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캡(50)은 본체부(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삽입홀(3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본체부(30)의 상단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캡(50)은 상부캡 하우징부(51), 상부캡 발광부(52), 진동 감지부(53), 배터리부(54) 및 발전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캡 하우징부(51)는 상부캡(5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상단을 포함한 일영역이 하단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넓이가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캡 하우징부(51)는 하단에 본체부(30)의 상단부가 삽입 가능한 홈(511)이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 발광부(52)는 빛을 발산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캡 하우징부(5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캡 발광부(52)는 배터리부(54)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진동 감지부(53)는 진동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진동 감지 여부에 따라 배터리부(54)의 구동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진동 감지부(53)는 일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배터리부(54)가 상부캡 발광부(52)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 감지부(53)는 진동뿐만 아니라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진동 감지부(53)는 일정 발기 이상의 조도가 감지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배터리부(54)가 상부캡 발광부(52)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부(54)는 상부캡 발광부(52)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진동 감지부(5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부캡 발광부(52)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부(54)는 상부캡 발광부(52)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진동 감지부(53)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구동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발전부(55)는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배터리부(54)와 연결되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부(54)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부(54), 진동 감지부(53)는 외부 환경에 의한 고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부캡 하우징부(51)의 홈(511)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캡(60)은 본체부(30)와 고정부(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부(30)의 하단에 결합되어 본체부(3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본체부(30)의 하단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캡(60)은 하부캡 하우징부(61) 및 하부캡 발광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캡 하우징부(61)는 하부캡(6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상단을 포함한 일영역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넓이가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캡 하우징부(61)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파이프(10)가 삽입 가능한 중공(6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 본체부(30)의 하단부가 삽입 가능한 홈(612)이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캡 하우징부(61)는 홈(612)의 하면 체결구(미도시)가 삽입 가능한 체결홈(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구는 체결홈을 관통하여 내부공간(211)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하여, 하부캡 하우징부(61)을 콘크리트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캡 발광부(62)는 빛을 발산하는 구성요소로서, 하부캡 하우징부(61)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캡 발광부(62)는 배터리부(54)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즉, 배터리부(54)는 진동 감지부(5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부캡 발광부(52) 및 하부캡 발광부(62)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는 울타리용 지주(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지면에 구덩이를 형성한 후, 구덩이에 형틀부재(21)를 위치시키고, 형틀부재(21)의 내부공간(211)에 지지부재(23)가 결합된 베이스부재(22)를 위치시키며, 지지부재(23)에 파이프(10)를 삽입하고, 내부공간(211)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후, 사용자는 하부캡(60)을 파이프(10)에 끼우며, 체결홈에 체결구를 삽입하여 체결구와 콘크리트를 결합하고, 판재부(40)와 결합된 본체부(30)를 파이프(10)에 끼우며, 하부캡(60)의 홈(612)에 본체부(30)를 삽입하고, 상부캡(50)의 홈(511)에 본체부(3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부캡(50)을 본체부(30)에 결합하여, 울타리용 지주(1)를 지면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10), 본체부(30), 판재부(40), 상부캡(50), 하부캡(60) 등이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구성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면 됨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울타리용 지주
10 : 파이프
20 : 고정부
30 : 본체부
40 : 판재부

Claims (5)

  1. 하나 이상의 가로대가 결합되는 울타리용 지주에 있어서,
    지중에 매립되어 파이프가 지면에 직립하게 세워지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삽입홀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사각 기둥형상의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측면의 각 모서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서브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부는, 한 쌍의 서브몸체 사이마다 끼움 결합되어, 일측면이 상기 메인몸체와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사각 기둥형상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모서리와 상기 메인몸체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결합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모서리와 인접한 한 쌍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판재부는, 상기 일측면과 인접한 한 쌍의 측면에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지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꼭지가 잘린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형틀부재와,
    상기 형틀부재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일면이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과 대면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 기둥 형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은,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지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캡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상부캡 하우징부와,
    상기 상부캡 하우징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상부캡 발광부와,
    상기 상부캡 발광부와 연결되며,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와,
    상기 상부캡 발광부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캡 발광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 가능한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감지부는, 상기 진동 감지에 따라 구동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지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 결합되는 하부캡 하우징부와,
    상기 하부캡 하우징부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하부캡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 발광부는,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지주.
KR1020190012049A 2019-01-30 2019-01-30 울타리용 지주 KR102143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49A KR102143232B1 (ko) 2019-01-30 2019-01-30 울타리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49A KR102143232B1 (ko) 2019-01-30 2019-01-30 울타리용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495A true KR20200094495A (ko) 2020-08-07
KR102143232B1 KR102143232B1 (ko) 2020-08-10

Family

ID=7204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049A KR102143232B1 (ko) 2019-01-30 2019-01-30 울타리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220B1 (ko) * 2021-02-24 2021-10-22 황수성 돈사용 바닥지주의 성형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490U (ja) * 1997-12-04 1998-06-09 株式会社カミタ 垣、柵、外構用等の構成材
KR200350282Y1 (ko) * 2004-02-05 2004-05-13 동천종합조경 주식회사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JP2006307438A (ja) * 2005-04-26 2006-11-09 Usk:Kk センサーフェンス及びセンサーフェンスを用いた監視装置
KR101498485B1 (ko) 2014-04-08 2015-03-05 나린건설(주) 펜스용 지주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614129B1 (ko) * 2015-10-13 2016-04-20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울타리용 조립식 기초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521B1 (ko) * 1996-07-19 1999-06-15 구본준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490U (ja) * 1997-12-04 1998-06-09 株式会社カミタ 垣、柵、外構用等の構成材
KR200350282Y1 (ko) * 2004-02-05 2004-05-13 동천종합조경 주식회사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JP2006307438A (ja) * 2005-04-26 2006-11-09 Usk:Kk センサーフェンス及びセンサーフェンスを用いた監視装置
KR101498485B1 (ko) 2014-04-08 2015-03-05 나린건설(주) 펜스용 지주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614129B1 (ko) * 2015-10-13 2016-04-20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울타리용 조립식 기초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220B1 (ko) * 2021-02-24 2021-10-22 황수성 돈사용 바닥지주의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232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5770B1 (en) Steel frame building structure
US6141927A (en) Knockdown garden deck
KR102143232B1 (ko) 울타리용 지주
US20060112657A1 (en) Construction system
CN111305644A (zh) 装配式轻钢结构围墙及施工方法
KR101850327B1 (ko)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JP6948800B2 (ja) 建物及び建物の構築方法
JP6951192B2 (ja) 支柱の支持構造
JPH07150638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横架材との連結構造
KR101006388B1 (ko) 펜스고정장치
CN212154367U (zh) 装配式轻钢结构围墙
KR100482263B1 (ko) 건축물 부대 시설용 방음벽 설치구조
KR101925221B1 (ko) 조류 충돌방지 기능이 구비된 투명 홍수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7096606B2 (ja) 壁面構造体、木造建物、及び、木造建物の建築方法
JP4861882B2 (ja) 耐力壁
JP2019039180A (ja) 門型架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262169B1 (ko)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JP2019065656A (ja) 高床パネル構造及び高床パネルを用いた立体構造物
KR101474720B1 (ko)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KR200470602Y1 (ko)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JP6855052B2 (ja) 板材ホルダ及び板材補助ホルダ
KR100355308B1 (ko) 울타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기둥없는 울타리의 설치방법
CN210685039U (zh) 一种古建筑的木柱抗震结构
JP2010077645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構造
KR20160095871A (ko) 이동식 리조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