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602Y1 -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 Google Patents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602Y1
KR200470602Y1 KR2020110002230U KR20110002230U KR200470602Y1 KR 200470602 Y1 KR200470602 Y1 KR 200470602Y1 KR 2020110002230 U KR2020110002230 U KR 2020110002230U KR 20110002230 U KR20110002230 U KR 20110002230U KR 200470602 Y1 KR200470602 Y1 KR 200470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rame body
frame
exterior membe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625U (ko
Inventor
이병렬
Original Assignee
비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2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60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6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 장착된 외장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의 뒷면인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있고, 데크 안착부를 갖는 데크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과 직각을 이루며, 데크가 놓이는 놓임부, 상기 놓임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놓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시공간에 자연스러운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과 설치가 간편하고, 데크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데크 프레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외장 부재를 프레임 본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DECK FRAME FOR STRUCTURES}
본 고안은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친화적인 외장 부재가 장착된 데크 프레임으로 간이 구조물을 건축하여 간이 구조물이 자연 친화적이고 그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는 데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놀이터, 옥상 등 햇빛이 직사되는 장소에는 햇빛을 차단하고 그늘을 형성하여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정자 따위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또한, 실내 놀이 공간, 실외 놀이터 등에는 다양한 놀이 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구조물은 흔들 통나무 건너기, 미로들, 터널, 미끄럼틀, 특수놀이시설인 망, 줄타기 등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이루어진 조합놀이대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의 놀이시설물을 조합하여 연계시킨 조합놀이대는 하나의 놀이시설물에서 다른 놀이시설물로 이동하면서 여러 가지의 놀이시설을 즐길 수 있도록 각 구간을 연결하는 이동통로나 대기장소로 데크가 설치된다.
데크는 지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된 기둥들, 기둥들을 서로 연결하는 틀 프레임들, 그리고 틀 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틀 프레임의 경우,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 따위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틀 프레임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구조물은 금속이 갖는 투박함과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구조물에 반감이 발생하였다.
또한, 틀 프레임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유체에 취약한 특성이 있어 연결부분들이 쉽게 부식되었다. 이러한 부식으로 인하여 구조물이 작은 충격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거나 쉽게 파손되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하였다.
한편, 틀 프레임은 데크의 끝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데크를 지지하는 틀 프레임이 부분이 단순히 평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데크의 지지력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도시공간에 자연스러운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과 설치가 간편한 데크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간이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데크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데크 프레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외장 부재를 프레임 본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데크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은,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 장착된 외장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의 뒷면인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있고, 데크 안착부를 갖는 데크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과 직각을 이루며, 데크가 놓이는 놓임부 및 상기 놓임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와 놓임부 하부 끝을 연결하게 되면서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으로 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놓임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놓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서 상기 외장 부재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상기 외장 부재를 고정하는 체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장 부재의 일면과 상기 프레임 본체가 접하는 부분에서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외장 부재의 일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외장 부재가 상기 프레임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장 부재의 타면과 상기 프레임 본체가 접하는 부분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단차부에 의한 공간 부분에 돌기를 갖는 패널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끝에 연결되어 있는 모서리 부재 및 상기 모서리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은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한쪽 끝이 상기 패널 결합 홈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을 따라 배치되고 다른쪽 끝은 하부 측에 위치한 데크 플레이트의 외부 둘레 면에 고정되는 패널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데크 지지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외장 부재는 목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이 구조물을 외장 부재가 장착된 데크 프레임으로 만들어지게 되면서 간이 구조물의 외관을 미려하고 자연 친화적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의 끝을 지지하고, 체결 수단이 결합되는 놓임부가 중공을 갖는 지지부에 의해 보강되어 데크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놓임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장 부재와 프레임 본체가 결합 돌기와 결합홈에 의하여 1차 고정되고, 프레임 본체를 관통한 체결 수단이 외장 부재에 삽입되면 2차 고정하여 외장 부재를 프레임 본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데크 프레임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데크 프레임을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데크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데크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틀을 형성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틀에 데크를 결합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데크 플레이트에 기둥을 결합하여 간이 구조물을 형성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간이 구조물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Ⅸ-Ⅸ 선을 따라 간이 구조물을 자른 단면도.
도 10는 도 9에 도시한 간이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프레임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데크 프레임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데크 프레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프레임(1)은 강도를 갖는 금속부와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외장 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금속부는 알루미늄 따위로 이루어져 압출 방법으로 생산된다. 금속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금속부는 적용되는 구조물의 규격에 따라 적적히 절단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금속부는 프레임 본체(10)와 데크 지지 부재(20)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10)의 일면은 개방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0)의 개방된 일면의 기설정된 위치에는 결합 돌기(11)가 돌출되어 있다. 결합 돌기(11)는 프레임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은 단차부(12)를 갖는다.
그리고 프레임 본체(10)의 저면에는 상기 단차부(12)에 의한 공간 부분에 패널 결합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 결합 홈(13)에는 전기 절연성, 치수 안정성이 좋고, 소화성(消火性), 내산성이 있으며, 내후성(耐候性), 내충격성이 크며, 단속적으로 강한 충격에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s), 또는 무색 투명하며 빛, 특히 자외선이 보통유리보다도 잘 투과되며, 옥외에 노출되어도 변색하지 않고, 내약품성도 좋으며, 전기절연성, 수성이 모두 양호한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는 패널 격벽(90)의 한쪽 끝이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패널 결합 홈(13)에는 패널 격벽(90)이 빠지지 않도록 돌기(도시하지 않음) 들이 형성되어 있다.
데크 지지 부재(20)는 상기 프레임 본체(10)의 개방된 일면의 뒷면인 프레임 본체(10)의 타면 가운데 부분에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데크 지지 부재(20)는 놓임부(21) 및 지지부(22)를 포함한다.
놓임부(21)는 프레임 본체(1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며 프레임 본체(10)의 타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본체(10)의 타면과 놓임부(21)의 상면은 직각 상태를 이루며, 직각 된 부분에는 데크(40)가 안착 되는 데크 안착부(21a)가 형성된다.
지지부(22)는 놓임부(21)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측이 프레임 본체(10)의 타 면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22)의 타측은 놓임부(21)의 끝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22)가 놓임부(21)를 받치게 되면서 놓임부(21)가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하부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지지부(22)가 프레임 본체(10)와 놓임부(21)의 하부 끝을 연결하게 되면서 지지부(22)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22a)이 형성된다. 공간(22a)으로 보강재(도시하지 않음) 따위를 삽입하여 데크 지지 부재(20)를 보강할 수 있다.
외장 부재(30)는 프레임 본체(10)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결합 돌기(11)가 접하는 외장 부재(30)에는 결합 돌기(11)가 결합되는 결합 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돌기(11)가 결합 홈(31)에 삽입되면서 외장 부재(30)는 프레임 본체(10)의 개방된 일면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그리고 단차부(12)와 접하는 부분 또한 단차부(12)와 동일한 형태로 단차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0)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된 외장 부재(30)를 프레임 본체(10)에 더욱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프레임 본체(10)의 타면에서 외장 부재(30)로 체결 장치(32)가 삽입된다. 체결 장치(32)에 의하여 외장 부재(30)가 프레임 본체(10)에 고정되면 외장 부재(30)는 프레임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체결 장치(32)를 분리하면 외장 부재(30)는 프레임 본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체결 장치(32)는 볼트, 리벳 또는 못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 고안은 체결 장치를 볼트, 리벳 또는 못 따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외장 부재(30)의 외측면에는 다양한 문양(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외장 부재(30)의 문양은 데크 프레임(1)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외장 부재(30)의 문양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데크 프레임(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배열되는 데크 프레임(1)은 간이 구조물(100, 도 10 참조)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데크 프레임(1)들이 배열될 때 데크 지지 부재(2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배열된 데크 프레임(1)의 사이에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진 모서리 부재(50)가 위치한다. 모서리 부재(50)를 평면에서 본 모양은 원호 모양이다. 그러나 모서리 부재(50)의 일면은 다각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 부재(50)의 기설정된 위치에는 결합 수단(52, 도 7 참조)이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공(51)이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 부재(50)의 타면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모서리 부재(50)의 타면은 데크 프레임(1)의 끝이 접해 있다. 이때 모서리 부재(50)의 관통 공(51) 부분은 지지부(22, 도 7 참조)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데크 프레임(1)의 끝과 겹치지 않는다.
모서리 부재(50)와 데크 프레임(1)이 접한 부분은 용접되고 데크 지지 부재(20)의 이웃하는 지지부(22) 상호 간에 일부 용접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서리 부재(50)에 의하여 데크 프레임(1)들이 기설정된 모양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모서리 부재(50)와 데크 프레임(1)은 리벳, 볼트 따위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결합 될 수도 있다. 본원 고안은 모서리 부재(50)와 데크 프레임(1)의 결합 방식에 있어 한정하지 않는다.
모서리 부재(50)에 의하여 이웃하는 데크 프레임(1)들이 연결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틀(60)을 형성할 수 있다.
틀(60)이 형성되면 틀(60) 내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데크(40)를 설치할 수 있다. 데크(40)는 금속, 목재,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데크(40)의 끝은 데크 지지 부재(20)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40)와 데크 지지 부재(20)를 리벳, 볼트 따위의 체결 수단이 삽입되어 데크(40)를 데크 지지 부재(20)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데크(40)가 틀(60)에 고정되면 하나의 데크 플레이트(7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데크(40)의 표면에는 데크 플레이트(70)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무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무늬부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70)의 모서리 부재(50)에 기둥(80)이 결합 된다. 이때 기둥(80)은 모서리 부재(50)의 일면 모양에 따라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 고안은 기둥(80)의 모양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기둥(80)은 금속, 목재,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기둥(80)의 표면에는 다양한 무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둥(80)은 데크 지지 부재(20)의 하부인 데크 플레이트(70)의 내부 즉 모서리 부재(50)의 타면 방향에서 관통 공(51)을 관통하는 결합 수단(52)에 의하여 모서리 부재(50)에 고정된다. 이때, 결합 수단(52)이 데크 플레이트(70)의 내측에서 모서리 부재(50)를 관통하게 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간이 구조물의 외관은 더욱 미려해 진다.
한편, 틀(60)과 데크(40)를 결합하기 전에 틀(60)과 기둥(80)을 결합한 다음 틀(60)에 데크(40)를 설치할 수 있다. 틀(60), 데크(40), 그리고 기둥(80)의 설치 순서는 설치 환경,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70)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할 수 있다. 기둥(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70)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70)의 사이에 패널 격벽(9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밀폐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데크 플레이트(70)의 한쪽에는 패널 격벽(90)이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격벽(90)의 한쪽은 상부측에 위치한 데크 플레이트(70)의 패널 결합 홈(13)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패널 격벽(90)의 다른 쪽은 하부측에 위치한 데크 플레이트(70)의 외부 둘레 면에 고정한다. 이때 패널 격벽(90)의 다른 쪽은 데크 플레이트(70)의 측면에 볼트, 리벳 따위의 체결 수단으로 고정된다. 데크 플레이트(70)가 설치되면 하나의 간이 구조물(100)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격벽(90)은 구조물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패널 격벽(90)은 불투명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간이 구조물(100)을 외장 부재(30)가 장착된 데크 프레임(1)으로 만들어지게 되면서 간이 구조물(100)의 외관을 미려하고 자연 친화적일 수 있다.
또한, 데크(40)의 끝이 놓이고 체결 수단이 결합되는 놓임부(21)가 중공을 갖는 지지부(22)에 의해 지지되어 놓임부(21)의 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서는 틀을 사각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 실시예로서 그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데크 프레임(1)이 간이 구조물(100)을 이루는데 적용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 실시예로서 데크(40)를 사용하는 분야라면 그 어디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데크 프레임 10: 프레임 본체
11: 결합 돌기 12: 단차부
13: 패널 결합 홈 20: 데크 지지 부재
21: 놓임부 21a: 데크 안착부
22: 지지부 22a: 공간
30: 외장 부재 31: 결합 홈
32: 체결 장치 33: 단차부
40: 데크 50: 모서리 부재
51: 관통 공 52: 결합 수단
60: 틀 70: 데크 플레이트
80: 기둥 90: 패널 격벽
100: 간이 구조물

Claims (6)

  1.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 장착된 외장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의 뒷면인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있고, 데크가 결합되는 데크 지지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데크가 놓이는 놓임부 및
    상기 놓임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와 놓임부 하부 끝을 연결하게 되면서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으로 보강재를 삽입하여 상기 놓임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놓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서 상기 외장 부재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상기 외장 부재를 고정하는 체결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장 부재의 일면과 상기 프레임 본체가 접하는 부분에서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외장 부재의 일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외장 부재가 상기 프레임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외장 부재의 타면과 상기 프레임 본체가 접하는 부분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단차부에 의한 공간 부분에 돌기를 갖는 패널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끝에 연결되어 있는 모서리 부재 및 상기 모서리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둥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한쪽 끝이 상기 패널 결합 홈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을 따라 배치되고 다른쪽 끝은 하부 측에 위치한 데크 플레이트의 외부 둘레 면에 고정되는 패널 격벽을 포함하는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데크 지지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외장 부재는 목재로 만들어진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KR2020110002230U 2011-03-17 2011-03-17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KR200470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30U KR200470602Y1 (ko) 2011-03-17 2011-03-17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30U KR200470602Y1 (ko) 2011-03-17 2011-03-17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25U KR20120006625U (ko) 2012-09-26
KR200470602Y1 true KR200470602Y1 (ko) 2013-12-31

Family

ID=4750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230U KR200470602Y1 (ko) 2011-03-17 2011-03-17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6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711B1 (ko) 2013-10-22 201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6922U (ko) * 1987-11-12 1989-05-24
KR200437290Y1 (ko) * 2007-01-29 2007-11-21 장석조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KR200438908Y1 (ko) * 2007-05-23 2008-03-27 비엔지 주식회사 놀이시설물용 데크 프레임
KR200448669Y1 (ko) 2008-05-22 2010-05-06 박융배 마루판재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6922U (ko) * 1987-11-12 1989-05-24
KR200437290Y1 (ko) * 2007-01-29 2007-11-21 장석조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KR200438908Y1 (ko) * 2007-05-23 2008-03-27 비엔지 주식회사 놀이시설물용 데크 프레임
KR200448669Y1 (ko) 2008-05-22 2010-05-06 박융배 마루판재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711B1 (ko) 2013-10-22 201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25U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0440B (zh) 隔板的抗震安装装置及其形成的隔板
JP3137760U (ja) 軽量間仕切壁の構造
KR101754188B1 (ko) 조립식 지붕용 연결체와 이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지붕 시스템 그리고 지붕 시공방법
KR20120052068A (ko)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내진구조 커튼월
KR101393218B1 (ko) 조립식 주택용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주택의 조립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KR200470602Y1 (ko)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KR100766421B1 (ko) 조립식 정자
KR20090088479A (ko)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벽체
KR200469714Y1 (ko)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CN100368639C (zh) 将建筑标准组件固定在一起的机构及相应方法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KR20180005986A (ko) 기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돔 하우스
KR100435045B1 (ko) 조립식 건축벽체
KR20070080802A (ko) 조립식월칸막이 시공방법
US20070186497A1 (en) In-fill wall system
KR100978784B1 (ko) 투시 겸용 조립식 방음판
JP5613924B1 (ja) ウッドデッキ
KR200386274Y1 (ko) 펜스
JP6038732B2 (ja) 屋外設置物の留付方法
KR101474720B1 (ko)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KR101177825B1 (ko) 흡음형 유지 보수 방음판
KR101889426B1 (ko) 기와형 방음벽 모듈 및 이에 의한 기와형 방음벽
KR200175890Y1 (ko) 조립식 방음판넬
JP4861882B2 (ja) 耐力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