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90Y1 -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 Google Patents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90Y1
KR200437290Y1 KR2020070001589U KR20070001589U KR200437290Y1 KR 200437290 Y1 KR200437290 Y1 KR 200437290Y1 KR 2020070001589 U KR2020070001589 U KR 2020070001589U KR 20070001589 U KR20070001589 U KR 20070001589U KR 200437290 Y1 KR200437290 Y1 KR 200437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railings
wooden window
guide portion
window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조
Original Assignee
장석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조 filed Critical 장석조
Priority to KR2020070001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8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fitted in grooves of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nc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외 휀스, 난간 목재창호에 시공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휀스 및 난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외부로 체결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바와 고정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의 구성은 실내외 휀스, 난간 및 벽면에 시공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상측면과 하측면 및 상기 양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구성된 'I'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상기 상측면의 양단부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 가이드부와 수직이 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측면의 양단부를 하측으로 1차 절곡하여 1차 절곡부를 형성하고,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2차 절곡하여 2차 절곡부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3차 절곡하여 3차 절곡부를 형성하고, 2차 절곡부의 외측 모서리에는 가이드부와 수직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3차 절곡부의 양끝단에 고정부와 수평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바와, 긴 막대의 형상으로 양측면 하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걸림구를 구비하는 고정바로 이루어진다
난간, 휀스, 목재창호

Description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structure of fence, handrail and window}
도 1은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의 사시도,
도 2a는 고정바의 단면도,
도 2b는 프레임바의 단면도,
도 2c는 고정바와 프레임바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고정바와 프레임바의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고정바와 프레임바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이 바닥면에 시공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이 다수개 장설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이 벽면에 시공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이 볼트로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트 20 : 바닥면
30 : 벽면 40 : 구조체
100 : 프레임바 110 : 가이드부
120 : 걸림부 130 : 1차 절곡부
140 : 2차 절곡부 150 : 3차 절곡부
160 : 고정부 170 : 돌기부
180 : 공간부 200 : 고정바
210 : 걸림구 300 : 끼움부재
본 발명은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외 휀스, 난간 및 벽면에 시공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외부로 체결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바와 고정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 난간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에 가로방향으로 다단의 횡대가 연결·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주 또는 상기 횡대를 이루기 위한 파이프에 나사홈을 가공하고, 상기 나사홈에 의해 상기 지주 및 횡대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양단으로 상기 파이프를 각각 나사식으로 조립하여 휀스, 난간을 시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양단부가 안쪽으로 말리어져 굴곡부를 형성한 수평막대가 형성하고 다수개의 상기 수평막대의 상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다수개의 양단부가 안쪽으로 말리어져 굴곡부를 형성한 수직막대가 형성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막대와 상기 수직막대가 교차 되어진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내측면에 나사머리부가 용접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지주와, 상기 지주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어진 상측과 하측에 삽입되어지고 양면에 형성된 나사공에 다수개의 나사로 고정되는 상,하부덮개로 구성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의 휀스 및 난간의 구조물이 공지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은 휀스 또느 난간의 사용 방법에 그 용도가 제한되어져 있었고,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시공하는데 전문 인력이 필요하였으며,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관리 및 보수가 빈번히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재질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에 국한되어 자연경관과는 어울리지 않을 뿐더러 사용자의 미적 심미감을 충족시키는데에는 부족함이 있었고, 그 구성상 시공방법에는 고정바에 못이나 나사못을 직접적으로 시공하도록 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도중 못이나 나사 등의 삽입구에 이물질이나 물기가 그 틈 사이로 스며들어 고정바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정바의 사용 후, 산업 폐기물로 처리하여야 했으며, 이에 따라 간단히 시 공 및 분리할 수 있고 모든 자재가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목적에도 부합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의 제공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외 휀스, 난간 및 벽면에 시공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을 보다 신속,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정서적으로 안정된 질감을 주고, 친환경적이며, 프레임바와 고정바의 체결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도록 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외 휀스, 난간 및 벽면에 시공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상측면과 하측면 및 상기 양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구성된 'I'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상기 상측면의 양단부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 가이드부와 수직이 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측면의 양단부를 하측으로 1차 절곡하여 1차 절곡부를 형성하고,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2차 절곡하여 2차 절곡부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3차 절곡하여 3차 절곡부를 형성하고, 2차 절곡부의 외측 모서리에는 가이드부와 수직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3차 절곡부의 양끝단에 고정부와 수평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알루미늄바와, 긴 막대의 형상으로 양측면 하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걸림구를 구비하는 고정바로 구성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바의 돌기부와 가이드부의 외측 절곡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넓은 판상의 끼움부재가 구비되어 끼워지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고정바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프레임바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고정바와 프레임바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는 고정바와 프레임바의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고정바와 프레임바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이 바닥면에 시공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이 다수개 장설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이 벽면에 시공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고안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이 볼트로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상측면과 하측면 및 상기 양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구성된 'I'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상기 상측면의 양단부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가이드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 드부(110)의 내측면에 가이드부(110)와 수직이 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부(120)를 형성하며, 상기 하측면의 양단부를 하측으로 1차 절곡하여 1차 절곡부(130)를 형성하고,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2차 절곡하여 2차 절곡부(140)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3차 절곡하여 3차 절곡부(150)를 형성하고, 2차 절곡부(140)의 외측 모서리에는 가이드부(110)와 수직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고정부(160)를 구비하며, 상기 3차 절곡부(150)의 양끝단에 고정부(160)와 수평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170)를 구비하는 프레임바(100)와, 긴 막대의 형상으로 양측면 하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걸림구(210)를 구비하는 고정바(20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고정바(200)는 긴 막대의 형상으로 양측면 하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걸림구(2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걸림구(210)는 고정바(200)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프레임바(100)의 걸림부(120)가 끼워지도록 하는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바(200)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이나 장방형과 같이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을 원칙으로 하고, 표면은 마감처리를 시행할 수 있으며, 방수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바(100)는 전체적으로 상측면과 하측면 및 상기 양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구성된 'I'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상기 상측면의 양단부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가이드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에 가이드부(110)와 수직이 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부(120)를 형성하며, 상기 하측면의 양단부를 하측으로 1차 절곡하여 1차 절곡부(130)를 형성하고,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2차 절곡하여 2차 절곡부(140)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3차 절곡하여 3차 절곡부(150)를 형성하고, 2차 절곡부(140)의 외측 모서리에는 가이드부(110)와 수직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고정부(160)를 구비하며, 상기 3차 절곡부(150)의 양끝단에 고정부(160)와 수평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1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가이드부(110)는 상기 고정바(200)의 걸림구(210)가 형성된 면이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가이드부(110)의 내부 폭의 길이는 고정바(200)의 외부 폭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고, 길이 역시 고정바(200)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120)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에 가이드부(110)와 수직이 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바(200)의 걸림구(210)에 끼워져서 가이드부(110)에 끼워진 고정바(200)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바(100)는 바닥면(20)에 고정될 때, 콘크리트와 같은 바닥면(20)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체(40)에 볼트(10)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그 일 실시예는 도 4a에 도시하였고, 다수개의 프레임바(100)와 고정바(200)를 연결하고 공간부(180)에 끼움부재(300)를 끼워서 장설하는 모습을 도 4b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프레임바(100)는 벽면(30)에 콘크리트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에 제2 절곡부와 제3 절곡부 사이면에 못질을 시행할 수 있다.
고정부(160)는 프레임바(100)를 별도의 볼트(10)결합구가 구비된 구조체(40)에 고정시킬 때에 별도의 타공작업 없이 볼트(1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구성이다.
돌기부(170)는 가이드부(110)와 돌기부(170) 사이 공간부(180)에 목재 판넬이나 아크릴, 유리 등으로 형성된 끼움부재(300)를 끼울 때, 돌기부(170)에 의해 부드럽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끼움부재(300)를 끼울 때에는 상,하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프레임바(100)와 고정바(200)를 바닥면(20) 또는 벽면(30) 등지에 고정하여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을 구비하게된다.
끼움부재(300)는 프레임바(100)의 공간부(180)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바(100)와 고정바(200)가 바닥면(20) 및 벽면(30)에 고정되고 난 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0)의 절곡부와 돌기부(170) 사이의 공간부(180)에 끼워지고, 끼움부재(300)는 그림이나 입체적인 형성 무늬 등이 골조로 짜여지거나 일체로 형성하여 실내외 장식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끼움부재(300)는 목재 창호, 유리, 폴리카본에이트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형상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골조로 짜여진 형태나, 일체형으로 구비된 판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프레임바(100)는 압출형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소재는 알루미늄과 같이 적절한 강도를 구비하면서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압출형재의 경우에는 단면의 형상이 일정하므로 압출공정에 의해 성형할 수 있으며, 압출공정 외에 기존의 다양한 방법을 제작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고,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길이재인 압출형재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프레임바(100)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압출형재의 소재로 사용되는 알루미늄(aluminium)은 주기율표 3B족에 속하는 금속원소로서, 원소기호는 Al, 원자번호는 13, 원자량은 26.9815, 녹는점은 660.4℃, 끓는점은 2467℃, 비중은 2.70(20℃)이고, 주조가 용이하며 다른 금속과 잘 합금되고, 상온 및 고온가공이 용이한 특징이 있고, 대기중에서 내식력이 강하고 전기 및 열의 양전도체(300)이며, 사용되는 용도는 송전선이 최대의 용도이다. 알루미늄판은 자동차, 항공기, 가정용기, 화학 공업용 용기 등에 사용되고, 알루미늄박(箔)은 약품, 과자류의 상자포장으로 이용되며, 알루미늄봉과 파이프는 전기재료나 콘덴서 등에 사용되며, 알루미늄분말은 녹의 방지, 도료, 폭약제조 등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실내외 바닥면 및 벽면에 시공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을 보다 신속,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그 구성이 목재로 구성됨에 따라 정서적으로 안정된 질감을 주며, 친환경적이고, 그 사용이 난간, 휀스, 벽면 마감용 등 방대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프레임바를 비롯한 고정바의 체결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미려하도록 하며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의 시공 및 분리가 용이하고, 목재에 파손이 적어 고정바의 수명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 후 남은 자재가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목적에도 부합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실내외 휀스, 난간 및 벽면에 시공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상측면과 하측면 및 상기 양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구성된 'I'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상기 상측면의 양단부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가이드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에 가이드부(110)와 수직이 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부(120)를 형성하며, 상기 하측면의 양단부를 하측으로 1차 절곡하여 1차 절곡부(130)를 형성하고,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2차 절곡하여 2차 절곡부(140)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3차 절곡하여 3차 절곡부(150)를 형성하고, 2차 절곡부(140)의 외측 모서리에는 가이드부(110)와 수직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고정부(160)를 구비하며, 상기 3차 절곡부(150)의 양끝단에 고정부(160)와 수평이 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170)를 구비하는 프레임바(100)와;
    긴 막대의 형상으로 양측면 하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걸림구(210)를 구비하는 고정바(2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100)의 돌기부(170)와 가이드부(110)의 외측 절곡부 사이에는 공간부(18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80)에는 넓은 판상의 끼움부재(300)가 구비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KR2020070001589U 2007-01-29 2007-01-29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KR200437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589U KR200437290Y1 (ko) 2007-01-29 2007-01-29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589U KR200437290Y1 (ko) 2007-01-29 2007-01-29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90Y1 true KR200437290Y1 (ko) 2007-11-21

Family

ID=4163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589U KR200437290Y1 (ko) 2007-01-29 2007-01-29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74Y1 (ko) * 2009-11-30 2012-08-28 장석조 조립식 목재창호
KR200470602Y1 (ko) * 2011-03-17 2013-12-31 비엔지 주식회사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KR20180097366A (ko) * 2017-02-23 2018-08-31 주식회사 지매트 동해 방지용 펜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74Y1 (ko) * 2009-11-30 2012-08-28 장석조 조립식 목재창호
KR200470602Y1 (ko) * 2011-03-17 2013-12-31 비엔지 주식회사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
KR20180097366A (ko) * 2017-02-23 2018-08-31 주식회사 지매트 동해 방지용 펜스
KR101986207B1 (ko) 2017-02-23 2019-06-12 주식회사 지매트 동해 방지용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30672B1 (en) A Panel
US20150376891A1 (en) Set of profile sec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walls, panels and angle sections in thermoplastic
US8353500B2 (en) Pre-manufactured fence system
KR200437290Y1 (ko)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KR100777900B1 (ko) 목재 데크 구조물 및 목재 데크의 시공방법
US84027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buildings
KR101147011B1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EP2510169B1 (en) Tread module
EA015475B1 (ru) Алюминиевая фасад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внешним видом кирпича или керамики
CN203834838U (zh) 护栏
JP2008082028A (ja) 縦桟の取付け構造
CN203834834U (zh) 护栏
CN105839566A (zh) 玻璃钢防护栏的立柱以及防护栏
KR20060108481A (ko) 건축물의 장식패널 시공장치
CN214220198U (zh) 一种模块式吊顶用耐高温轻钢龙骨安装结构
JP6648983B2 (ja) 手摺装置
KR101863849B1 (ko)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
KR20110005685U (ko)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US8347568B2 (en) Building panel mounting system and method
CN215670704U (zh) 一种模块化木包铝合金饰面安装系统
CN112360047A (zh) 一种模块式吊顶用耐高温轻钢龙骨安装结构
CN213806319U (zh) 一种墙面装饰板快速安装结构
CN211736114U (zh) 可拆卸的装配式阳台屋顶护栏
CN216381149U (zh) 一种建筑一体化铝合金栏杆窗结构
TWI842653B (zh) 具多向光源與模組化應用之鋁合金欄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