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849B1 -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849B1
KR101863849B1 KR1020180015543A KR20180015543A KR101863849B1 KR 101863849 B1 KR101863849 B1 KR 101863849B1 KR 1020180015543 A KR1020180015543 A KR 1020180015543A KR 20180015543 A KR20180015543 A KR 20180015543A KR 101863849 B1 KR101863849 B1 KR 10186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alcony
impact
coil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형석
Original Assignee
손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형석 filed Critical 손형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 설치 단계, 코일부 설치 단계, 거푸집 설치 단계, 콘크리트 및 충격 완화구 혼합 단계, 콘크리트 타설 단계, 자력 부여 단계, 거푸집 및 코일 제거 단계, 발포형 경화제 주입 단계를 포함하는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 방향으로 이동된 충격 완화구로 인해 충격에 의한 내성이 높아지고, 상세하게, 지진 등에 의해 철근이 휘어지거나 유동적인 경우 충격 완화구가 충격을 흡수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코일홈 및 코일홈에 주입된 발포형 경화제를 통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OMITTED}
본 발명은 아파트 확장 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형태의 아파트나 빌라 등에는 발코니가 형성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키거나 실외정원 등의 용 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발코니에 알루미늄 샷시 등을 설치하여 기존의 용도는 물론 거실, 침실, 놀이방, 창고 등의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한 발코니는 건축법상 폭 길이가 1.5M까지 확장이 가능하였으나 근래에는 건축법규가 완화되면서 발코니의 폭이 2.2M까지 확장이 가능하게 되어 신축되는 건축물의 대부분은 상기와 같이 확장된 폭길이 범위내에서 건축 이 되고 있으며, 기존의 건축물 거주자들도 리모델링을 통해 발코니의 폭을 제한된 범위까지 확장하여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발코니의 공간이 대폭 확장됨에 따라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데,근례 들어 발코니 공간을 정원 가꾸기나 텃밭 가꾸기에 활용하는 예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기존 건축물의 발코니를 확장하는 방법으로는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거나, 일 부의 경우 P.C판넬이라고 하는 철근콘크리트 판을 현장 또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건물에 접합시키는 습식(濕式)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이러한 기술은 유니트화된 경량철골 구조의 발코니 확장구조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신축은 물론 기존 건축물 의 리모델링시에 발코니의 영역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시공비 및 공사기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 는 건축물의 발코니 확장구조체 및 이 구조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건축물의 발코니 확장구조체 는,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의 최하층 발코니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지지체와, 이 하부지지체의 상측에서 적재되 는 형태로 설치되어 건축물의 각 층별로 형성되는 발코니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확장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한 하부지지체는, 수평프레임과, 이 수평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확장유니트는, 바닥프레임과, 이 바닥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수직형태로 결합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한 바닥프레 임의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구조상 기 건축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조적 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 고, 또한,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미관상 보기 좋지 않고, 이웃하는 세대와의 부조화를 이루게 되며, 이로 인해 건물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외부로 돌출된 발코니 구조는 실내공간과의 연계성이 떨어져 정원을 가꾸거나 실내 텃밭 등으로 가꾸어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거실이나 실내에 자연 채광을 들이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한 층에 확장형 발코니와 다락형 발코니가 교차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확장형 발코니 공간을 이용해 미니정원이나 텃밭 등의 조경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실내 공기의 자연정화 친환경적 공간을 꾸밀 수 있는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확장형 발코니를 통해 넒은 면적의 자연채광을 실내로 끌어들여 자연조명 및 가온작용으 로 에너지를 절감하게 되는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아파트 발코니를 확장하는 시공을 하더라도 지진이나 충격등에 견고한 아파트 발코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근(510) 설치 단계, 코일부 설치 단계, 거푸집 설치 단계, 콘크리트(500) 타설 단계, 자력 부여 단계, 거푸집 및 코일 제거 단계, 발포형 경화제 주입 단계를 포함하는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한 층에 확장형 발코니와 다락형 발코니가 교차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확장형 발코니 공간을 이용해 미니정원이나 텃밭 등의 조경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실내공 기의 자연정화 친환경적 공간을 꾸밀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형 발코니를 통해 넒은 면적의 자연채광을 실내로 끌어들여 자연조명 및 가온작용으로 에 너지를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락형 발코니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복층구조물의 분위기를 갖는 어린이 전용 침실이나 다용 도실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500)는 철근(510) 방향으로 이동된 금속 재질로 인해 충격에 의한 내성이 높아지고, 콘크리트(500)는 충격 이나 진동 발생 시 코일홈과 발포형 경화제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코니는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0평형대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를 도시한 부분입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0평형대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2c,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나란히 형성되는 발코니 공간 중 어느 일측의 발코니 공간의 천장을 높여 윗층의 바닥보다 높아지도록 하는 확장형 발코니(110)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형 발코니(110)가 형성된 위층은 바닥이 높아진 다락형 발코니(120)를 형성한다. 이러한 확장형 발코니(110)와 다락형 발코니(120)는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층마다 좌우를 바꿔 교차 형성된다.
본 발명은 확장형 발코니(110)와 거실(130)이 연결되고, 다락형 발코니(120) 와 침실(140)이 상호 연결되는 배치구조를 갖는다. 즉, 도 2c와 도 2d는 아래층과 위층의 각각 도시한 평면도로서, 확장형 발코니(110)와 다락형 발코니(120)의 배 치가 층마다 서로 반대 쪽에 배치되고, 상기 확장형 발코니(110)와 다락형 발코니(120)의 배치에 따라 거실 (130)과 침실(140)의 위치가 각 층마다 좌우를 바꿔 교차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확장형 발코니(110)는 천장이 높이기 때문에 발코니의 탁트인 시야를 제공함은 물 론 자연채광을 실내로 유입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갖게 된다. 예컨대, 상기 확장형 발코니(110)는 미니 정원이나 텃밭 등과 같은 조경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다양한 식물류를 식재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실내공기를 자연 정화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 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확장형 발코니(110)를 통해 거실이나 침실공간으로 많은 양의 자연채광을 끌어들일 수 있어, 실내를 밝게 할 수 있고, 자연채광에 의한 살균작용 은 물론, 태양광에 의한 가온(加溫) 작용으로 실내공기를 덥혀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확장형 발코니(110)의 높이(H)는 한 층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다락형 발코니(120)의 높이를 H2라고 할 때, H=(2*H1)-H2이 된다. 이때, 상기 다락형 발코니(120)의 높이(H2)를 1.5~1.8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락형 발코니(120)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주로 어린이용 침실이나 다용도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실내 바닥과 다락형 발코니(120)의 바닥까지 계단을 설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복층 구조물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에 따르게 되면, 최하층의 다락형 발코니 (120) 바닥은 실내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할 수 있고, 최상층의 확장형 발코니(110) 천장은 옥상공간으로 확 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은 입면도 상태에서 바라보았을 때, 확장형 발코니(110), 다락형 발코니(120), 거실(130), 침실(140)의 폭을 같게 형성함으로써, 확장형 발코니(110)와 다락형 발코니(120), 거실(130)과 침실(140)의 위 치가각층마다좌우를바꿔교차형성되도록할수있다. 이때, 확장형 발코니(110)와 다락형 발코니(120)의 바닥면적을 같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전용면적 65m²(20평형대)일 때, 발코니 전체면적이 26.34m²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발코니의 창문 및 난간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확장형 발코니용 창문 및 난간구조는, 좌,우측 상,하부수직프레임(1a,1b)(2a,2b)에 수평으로 결합 된 상부프레임(3), 중간프레임(4), 하부프레임(5) 을 포함하여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되, 상기 상부프레임(3)과 중간프레임(4) 사이에서 좌우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는 상부개폐창문(A)이 구성되고, 상기 중간프레임(4)과 하부프레임(5) 사이에 고정 조립된 하부고정창문(B)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 상,하부수직프레임(1a,1b)(2a,2b)과 중간프레임(4)의 좌우단은 연결구(6)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구(6)는 상기 상부프레임(3) 및 하부프레임(5)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좌, 우측 상,하부수직프레 임(1a,1b)(2a,2b)과 중간프레임(4)들이 갖는 각각의 단면구조가 상이함으로 상기 연결구(6)는 상기 좌,우측 상,하부수직프레임과 중간프레임의 단면에 끼움 조립되는 상, 하 및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간(6a)을 구성하여 조립된다.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3)과 중간프레임(4)사이에는 제1 외측3중창문(20),제2 외측3중창문(21), 및 제1,2 내측강화유 리창문(22a,22b)으로 구성된 상부개폐창문(A)이 슬라이드 개폐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1 외측3중창문(20) 및 제2 외측3중창문(21)과 제1 내측강화유리창문(22a)과 제2 내측강화유리창문(22b)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간략한 설명을 위해 동일 도면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
즉, 상기 상부프레임(3)은 제1 외측3중창문(20)과 제2 외측3중창문(21)을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레일(2 5)이 일정간격 이격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외측3중창문(20)(21)의 내측에 단일의 제1,2 내측강화유리 창문(22a,22b)이 일정간격 이격 형성된 가이드레일(26)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개폐가능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3)의 가이드레일(25,26)에 대응하여 중간프레임(4)은 상기 상부프레임(3)을 향한 측에 는 가이드레일(43,44)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프레임(3)의 가이드레일(25,26)과 중간프레임(4)의 가이드 레일(43,44)에 각각 제1 외측3중창문(20),제2외측3중창문(21), 제1,2 내측강화유리창문(22a,22b)이 슬라이드 개폐되게 조립되어 상부개폐창문(A)이 구성된다. ?
도 4는 발코니에 연결되는 다용도 난간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수평난간대(11)와 수직대(12)로 이루어지는 난간(10)에 적용하고, 한쌍의 수직대(12)에 수평으로 다용도봉(20)을 고정하고, 다용도봉(20)에 다 수개의 고정구(30)를 설치하며, 고정구(30)에 고정판체(50)가 일측에 형성된 다양한 기능성부재 즉 화분받침대 (60), 빨래걸이대(70), 선반(8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다용도봉(20)은 대략 ㄷ 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절곡된 양쪽 절곡고정부(21)가 난간의 수직대(12)에 각각 고정 되고, 절곡고정부(21)의 사이에 다수개의 다각봉부(23)와 원형봉부(22)가 교차되어 형성된다.
다용도봉(20)은 원형봉부(22)와 다각봉부(23)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는 데, 각각 3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각봉부(23)는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나 육각이나 오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용도봉(20)의 양단에는 고정을 위한 클램프(미도시)가 형성되어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용도봉(20)에는 다수개의 고정구(30)는 각각 고정되는데, 고정구(30)는 고정부(31)와 설치봉부(32)로 이루어 지고, 다용도봉(20)의 다각봉부(23)와 동일한 형상의 다각홀(33)이 좌우 측면을 관통되어 형성된다. 다각홀(33) 또한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육각형이나 오각형 등 다른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설치봉부(32)의 내측으로 이동홀(34)이 형성되되 설치봉부(32) 단부에서 개방되고, 이동홀(34)의 일측에 후방의 직경이 넓게 단턱(34-1)이 형성되며, 설치봉부(32)의 단부에서 이동홀(34)의 양측으로 홈(35)이 형성된다.
고정부(31)에 설치봉부(32)가 돌출 형성되는데, 설치봉부(32)와 고정부(31)는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봉 부(32)에 형성된 이동홀(34)의 후단을 통해 고정봉(4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분리되는 구성은 쉽게 유 추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고정봉(40)의 걸림손잡이(43)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원형봉 (41)에서 분리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원형봉(41)의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걸림손잡이(43)에 볼트부가 형 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프링(45)을 끼우기 위해 걸림손잡이(43)를 분리할 수 있게 구 성하거나 걸림부(42)를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고정구(30)의 다각홀(33)에 다용도봉(20)이 끼워져 수평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원형봉부(22)의 직경이 다 각봉부(23)의 마주보는 면간길이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므로 원형봉부(22)에서 고정구(30)가 회전가능하고, 다각봉부(23)에서는 회전이 불가능하다. 즉 다각봉부(23)에서는 수평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고정봉(40)은 원형봉(41)의 일단에 걸림부(42)가 고정되고, 원형봉(41)의 타단에 사각모양의 걸림손잡이(43)가 형성된다.
원형봉(41)은 고정구(30)의 이동홀(34)에 삽입되고, 원형봉(41)에 스프링(45)이 삽입되어 걸림부(42)와 이동홀 (34)의 단턱(34-1) 사이에 탄력지지된다.
고정판체(50)는 고정구(30)에 기능성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기능성부재의 일부로 형성된다.
고정판체(50)는 판체부(51)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홀(5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고정홀(52)의 둘레에 180도 간격으로 걸림손잡이홀(53)이 형성되며, 걸림손잡이홀(53)과 90도의 각도로 걸림손잡이의 안착홈(54)이 형성된다. [0031] 고정판체(50)에 화분받침대(60), 빨래걸이대(70), 선반(80)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구 (3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0032] 기능성부재중 화분받침대(60)는 도 5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고정판체(50)의 하단에 받침부(61)가 수평으로 고정되고, 받침부(61)의 상면 둘레에 가드부(6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빨래걸이대(70)는 도 6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걸이봉(71)의 양단이 고정판체 (50)에 고정되고, 걸이봉(71)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빨래봉이 고정되며, 걸이봉(71)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모자신 발걸이(72)가 상향돌출되어 형성된다.
선반(80)은 도 4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체(50)의 크기가 넓게 형성되어 그 둘레에 가드(81)가 형성 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반(80)의 일측은 난간(10)의 수평난간대(11)에 올려져 지지될 수 있다.
기능성부재는 고정판체(50)만 일측에 구비하면 다른 어떠한 형상과 기능을 가진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은 발코니 시공 위치의 바닥면에 뼈대가 되는 금속 재질의 원형 바(bar) 형상의 철근(51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510)을 감싸도록 3차원 나선 형상의 코일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510)을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콘크리트(500) 내에 금속 재질의 구형 충격 완화구(520)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500)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500)가 경화되는 동안 상기 코일부의 일단 및 타단에 외부 전력을 연결해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코일부가 상기 철근(510)에 자력을 부여하고, 상기 자력에 의해 콘크리트(500)에 포함된 충격 완화구(520)가 상기 철근(510) 방향으로 근접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코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코일부가 제거되어 3차원 나선 형상으로 개구된 코일홈에 발포형 경화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코니 시공 위치의 바닥면에 뼈대가 되는 금속 재질의 원형 바(bar) 형상의 철근(510)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철근(510)은 막대 형상인 것을 기초로, 막대 형상의 철근(510)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막대 형상의 철근(510)은 일반적인 시공에서 사용되는 메쉬 형상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철근(510)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근(510)을 감싸도록 3차원 나선 형상의 코일부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코일부는 3차원 나선 형상으로 철근(510)을 감싸도록 형성하되 철근(51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근(510)에 코일부가 접하지 않도록 추가적인 비 금속 또는 비 전도체 재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는 후술하는 과정에서 외부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부의 일단 및 타단은 외부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코일부는 후술하는 콘크리트(500) 타설 단계 이후 외부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코일부의 일단 및 타단은 타설된 콘크리트(500)나 거푸집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측 또는 측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과정에서 코일부는 경화된 콘크리트(500)로부터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도록 3차원의 나선 형상을 갖되 정 나선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정 나선 형상이라 함은 한 회전 당 높이가 동일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뜻한다.
철근(510)을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는 일반적인 콘크리트(500) 타설과 마찬가지로 진행된다. 상세하게, 철근(510)에 콘크리트(500)를 타설하기 위해 콘크리트(500)가 배양될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500)가 타설될 수 있도록 상면 또는 상면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500) 내에 금속 재질의 구형 충격 완화구(520)를 혼합하는 단계는, 시멘트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금속 재질을 갖는 구 형상의 충격 완화구(520)를 함께 혼합시키는 과정이다. 충격 완화구(5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 완화구(520)는 후술하는 과정에서 철근(510)에 부여된 자력에 의해 철근(510) 방향으로 이동된 채 콘크리트(500) 경화가 이루어진다.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500)를 타설하는 단계는 거푸집의 콘크리트(500)가 타설될 수 있도록 상면 또는 상면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부분에 경화제를 혼합한 콘크리트(500)를 주입하는 과정이다.
콘크리트(500)가 경화되는 동안 코일부의 일단 및 타단에 외부 전력을 연결해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코일부가 철근(510)에 자력을 부여하고, 자력에 의해 콘크리트(500)에 혼합된 충격 완화구(520)가 철근(510) 방향으로 근접하는 단계는, 코일부에 외부 전력을 연결하고 전류를 가함으로써 아직 경화되지 않은 콘크리트(500) 내부에 포함된 충격 완화구(520)를 철근(5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다. 상세하게, 코일부에 외부 전력을 연결시켜 전류를 가하는 경우 코일부는 유도 전류에 의해 철근(510)에 자력을 부여한다. 유도 전류에 의해 자력이 부여된 철근(510)은 콘크리트(500) 내에 포함된 충격 완화구(520)를 철근(5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충격 완화구(520)와 함께 콘크리트(500) 내부에 포함된 금속 재질의 불순물도 철근(510) 방향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철근(510) 방향으로 이동되어 밀집된 충격 완화구(520)는 철근(510) 부분의 콘크리트(500) 강도를 높여준다. 상세하게, 지진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철근(510)이 요동칠 때 철근(510)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복수의 충격 완화구(520)가 흡수함으로써 콘크리트(5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는, 일반적인 콘크리트(500) 타설의 거푸집 제거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코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콘크리트(500) 내부에 위치된 코일부를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3차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를 나선 운동을 통해 콘크리트(5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다. 정 나선 형상을 갖는 코일부의 경우 나사선 운동과 같이 나선 운동을 통해 콘크리트(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500)는 코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콘크리트(500) 내부에는 코일부가 위치되었던 3차원 나선 형상의 코일홈이 형성된다.
코일부가 제거되어 3차원 나선 형상으로 개구된 코일홈에 발포형 경화제를 주입하는 단계는 코일부가 제거됨으로써 형성된 3차원 나선 형상의 코일홈에 발포형 경화제를 주입하는 과정이다. 코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코일홈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한 코일홈은 콘크리트(500)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분층이 발생할 수 있고, 수분이 얼어붙어 팽창하는 경우 콘크리트(500)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코일홈에 발포형 경화제를 주입한다. 여기서, 발포형 경화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포제, 경화제 또는 실리콘 등 다양한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500)는 상기 철근(510)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완화구로 인해 충격에 의한 내성이 높아지고, 상기 콘크리트(500)는 충격 이나 진동 발생 시 상기 코일홈과 상기 발포형 경화제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발코니 시공 위치의 바닥면에 뼈대가 되는 금속 재질의 원형 바(bar) 형상의 철근(51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510)을 감싸도록 3차원 나선 형상의 코일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510)을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콘크리트(500) 내에 금속 재질의 구형의 충격 완화구(520)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500)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500)가 경화되는 동안 상기 코일부의 일단 및 타단에 외부 전력을 연결해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코일부가 상기 철근(510)에 자력을 부여하고,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충격 완화구(520)가 상기 철근(510) 방향으로 근접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코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코일부가 제거되어 3차원 나선 형상으로 개구된 코일홈에 발포형 경화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500)는 상기 철근(510)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충격 완화구(520)로 인해 충격에 의한 내성이 높아지고, 상기 콘크리트(500)는 충격 이나 진동 발생 시 상기 코일홈과 상기 발포형 경화제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
KR1020180015543A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 KR101863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6287 2017-04-10
KR1020170046287 2017-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849B1 true KR101863849B1 (ko) 2018-06-01

Family

ID=6263507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24A KR101863832B1 (ko)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
KR1020180015534A KR101869825B1 (ko)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
KR1020180015526A KR101863836B1 (ko)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
KR1020180015543A KR101863849B1 (ko)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
KR1020180015530A KR101863841B1 (ko)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24A KR101863832B1 (ko)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
KR1020180015534A KR101869825B1 (ko)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
KR1020180015526A KR101863836B1 (ko)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30A KR101863841B1 (ko) 2017-04-10 2018-02-08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1863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090B1 (ko) * 2019-01-24 2019-06-19 (주)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286A (ja) * 1993-11-01 1995-05-16 Kajima Corp 鉄筋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解体工法
JPH09165839A (ja) * 1995-12-19 1997-06-24 Okumura Corp 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ひび割れ発生装置及びひび割れ発生方法
JP2009249984A (ja) * 2008-04-10 2009-10-29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ひび割れ誘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286A (ja) * 1993-11-01 1995-05-16 Kajima Corp 鉄筋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解体工法
JPH09165839A (ja) * 1995-12-19 1997-06-24 Okumura Corp 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ひび割れ発生装置及びひび割れ発生方法
JP2009249984A (ja) * 2008-04-10 2009-10-29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ひび割れ誘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825B1 (ko) 2018-06-21
KR101863841B1 (ko) 2018-07-04
KR101863832B1 (ko) 2018-07-04
KR101863836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320B2 (ja) プレハブ式自立建築要素
CA2733310C (en) Composite building module with a thermal mass radiator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WO2006096997A1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US4586299A (en) Building system of interconnected block elements
US20130055653A1 (en) House constructed from finished product component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RU2557269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облицовки фасада и теплоизоляции с плиты межэтаж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KR101863849B1 (ko) 아파트 발코니 확장 공사의 시공 방법
CN109386056B (zh) 透明屋
CN205134527U (zh) 三维建筑模块
CN105040815A (zh) 三维建筑模块及其工厂建造和现场安装方法
CN207004059U (zh) 一种组合式支撑架及墙板支撑结构
CN205742854U (zh) 一种预制挂板安装结构
CN216340631U (zh) 一种模块化过门石结构
KR101179549B1 (ko)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
CN208884706U (zh) 用于钢结构低层建筑的支撑结构
RU1318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маяка
CN205421797U (zh) 一种墙体保温装饰结构
KR20180114473A (ko) 베란다 공간을 발코니 공간으로 확장하는 아파트의 설계 및 설치 방법
JP5880968B2 (ja) 建物
KR20060030184A (ko) 외측면에 패널고정철물을 구비한 건축물의 벽체 마감 패널
KR20120079790A (ko) 대리석 판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107047A (ko) 조립식 주택
RU136469U1 (ru) Навесная фасадная сборная панель
CN205348472U (zh) 可水平移动的全铝建筑墙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