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090B1 -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090B1
KR101991090B1 KR1020190009090A KR20190009090A KR101991090B1 KR 101991090 B1 KR101991090 B1 KR 101991090B1 KR 1020190009090 A KR1020190009090 A KR 1020190009090A KR 20190009090 A KR20190009090 A KR 20190009090A KR 101991090 B1 KR101991090 B1 KR 10199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escape
pipe
escaping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해영
Original Assignee
(주)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09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은 연결부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시공하는 슬라브 시공단계; 및 상층에서 하층으로 배수 가능한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브에 접촉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탈출 슬라브를 시공하는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탈출 슬라브는 높이 방향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일부가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상기 탈출 슬라브에 매립되어 상기 슬라브와 상기 탈출 슬라브 간을 고정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관을 포위하도록 상기 배관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를 포위하며 상기 전도체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어 고체에서 액체로 상태 변화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 상기 탈출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탈출 슬라브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 및 상기 슬라브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 방향으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관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는 상기 탈출 슬라브 상에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홀에 상기 배관을 배치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상기 배관으로 물을 배출하는 유도관을 설치하는 배관 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FLOOR FOR SELF-ESCAPE}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아래 층으로 탈출이 가능한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화재 발생 시 출입구를 제외한 곳으로 화재가 발생한 곳으로 진입 또는 탈출하기 어려움이 있다.
특히, 화재로 인해 연기 등이 발생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아파트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건물 구조를 알지 못하는 경우 화재 발생 장소로의 진입 또는 안전한 곳으로의 탈출이 어렵다.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안전한 곳으로 대피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출입구나 입구 등의 건물 구조를 알지 못해 인명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3832호(2018.05.28. 등록)에서는 벽면에 균열 유도부(520)를 시공하여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장소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구현하기 위해 코일부를 설치하고, 전력을 인가한 후, 다시 코일부를 제거하고, 그 공간에 발포 경화제를 주입하는 등의 시공의 복잡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공성이 극대화된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은 연결부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시공하는 슬라브 시공단계; 및 상층에서 하층으로 배수 가능한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브에 접촉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탈출 슬라브를 시공하는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탈출 슬라브는 높이 방향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일부가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상기 탈출 슬라브에 매립되어 상기 슬라브와 상기 탈출 슬라브 간을 고정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관을 포위하도록 상기 배관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를 포위하며 상기 전도체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어 고체에서 액체로 상태 변화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 상기 탈출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탈출 슬라브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 및 상기 슬라브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 방향으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관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는 상기 탈출 슬라브 상에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홀에 상기 배관을 배치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상기 배관으로 물을 배출하는 유도관을 설치하는 배관 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은 화재 발생 시 사람의 탈출이 쉽고, 시공성이 극대화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바닥의 개략 투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연결부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바닥의 개략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관 주위의 바닥의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은 연결부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시공하는 슬라브 시공단계; 및 상층에서 하층으로 배수 가능한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브에 접촉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탈출 슬라브를 시공하는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탈출 슬라브는 높이 방향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일부가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상기 탈출 슬라브에 매립되어 상기 슬라브와 상기 탈출 슬라브 간을 고정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관을 포위하도록 상기 배관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를 포위하며 상기 전도체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어 고체에서 액체로 상태 변화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 상기 탈출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탈출 슬라브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 및 상기 슬라브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 방향으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관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는 상기 탈출 슬라브 상에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홀에 상기 배관을 배치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상기 배관으로 물을 배출하는 유도관을 설치하는 배관 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바닥의 개략 투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연결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바닥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관 주위의 바닥의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4를 기준으로,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둘레 방향은 배관을 감싸는 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은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은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브(B1) 및 탈출 슬라브(B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은 바닥을 구성하는 상기 슬라브(B1) 및 상기 탈출 슬라브(B2)를 시공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은 연결부(100)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B1)를 시공하는 슬라브 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슬라브 시공단계는 기 설정된 위치에 철근(미 도시)을 배근하고, 상기 연결부(100)를 배치하며,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슬라브(B1)를 형성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브 시공단계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탈출 슬라브(B2)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빈 공간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상기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은 상층에서 하층으로 배수 가능한 배관(P)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브(B1)에 접촉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탈출 슬라브(B2)를 시공하는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는 상기 슬라브 시공단계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탈출 슬라브(B2)를 형성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탈출 슬라브(B2)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탈출 슬라브(B2)는 상기 슬라브(B1)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접촉되어 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출 슬라브(B2)와 상기 슬라브(B1) 사이에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경계면(K)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100)는 상기 슬라브(B1)와 상기 탈출 슬라브(B2) 간을 연결하는 연결 매개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100)는 일부가 상기 슬라브(B1)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상기 탈출 슬라브(B2)에 매립되어 상기 슬라브(B1)와 상기 탈출 슬라브(B2) 간을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100)는 상기 배관(P)을 포위하도록 상기 배관(P)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 상기 경계면(K)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100)는 전체적으로 띠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경계면(K)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경계면(K)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부(100)는 전도체(120) 및 상기 전도체(120)를 포위하며 상기 전도체(120)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체에서 액체로 상태 변화되는 본체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100)는 상기 전도체(12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인가부(미 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도체(120)는 상기 전류 인가부의 전류 인가에 의해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으며, 일례로, 구리, 철 등의 전도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상기 전도체(120)를 포위하는 전체적으로 띠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전도체(1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어 녹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10)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탄소 분말 및 탄소 분말간을 접착시키며 탄소 분말의 발열에 의해 소정의 고온에서 고체로부터 액체로 녹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10)는 상온에서는 고체 상태로서 상기 슬라브(B1)와 상기 탈출 슬라브(B2)간을 고정할 수 있으나, 발열되는 경우 수지가 녹아 액체 상태로 변하면서 상기 슬라브(B1)와 상기 탈출 슬라브(B2) 간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재질은 탄소 분말 및 수지로 설명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상기 본체부(11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공지된 기술로부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슬라브(B1)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B1)에 매립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0a), 상기 슬라브(B1)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B1)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10b), 상기 탈출 슬라브(B2)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탈출 슬라브(B2)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110c) 및 상기 슬라브(B1)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B2) 방향으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0d)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100)는 상기 배관(P)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경계면(K)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00)는 상기 경계면(K)을 따라 상기 배관(P)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브(B1) 상의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닌, 상기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P)을 중심으로 좌측 편의 상기 연결부(100)는 상기 슬라브(B1)의 하단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H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우측 편의 상기 연결부(100)는 상기 슬라브(B1)의 하단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H2)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경사면(110d)은 상기 경계면(K)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경계면(K)을 따라 유입된 의도치 않은 물은 상기 본체부(110)의 경사면(110d)에 도달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10)의 경사면(110d)에 도달된 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H1)에 배치된 상기 본체부(110)의 경사면(110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는 상기 탈출 슬라브(B2) 상에 상기 연결부(100)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B2)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관통공(H)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통공(H)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H1)에 배치된 상기 본체부(110)의 경사면(110d)으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B2)의 하단으로 이어지는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배치된 상기 본체부(110)의 경사면(110d)으로 이동된 물은 상기 관통공(H)을 통해 상기 탈출 슬라브(B2)의 하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은 상기 삽입홀에 상기 배관(P)을 배치하고, 상기 관통공(H)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상기 배관(P)으로 물을 배출하는 유도관(A)을 설치하는 배관 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도관(A)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H)과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배관(P)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관통공(H)을 통해 상기 탈출 슬라브(B2)의 하단으로 이동된 물은 상기 유도관(A)으로 유입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배관(P)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슬라브(B1)의 상단과 상기 탈출 슬라브(B2)의 상단이 동일 높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일례로, 상기 탈출 슬라브(B2)의 상단은 상대적으로 상기 슬라브(B1)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층에서의 의도치 않은 물은 상기 경계면(K)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나아가 거주자는 시각적으로 상기 슬라브(B1)와 상기 탈출 슬라브(B2)의 경계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바닥을 기준으로 상층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 감지 센서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거주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인가부가 가동될 수 있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 상기 본체부(110)가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한 후, 거주자가 상기 탈출 슬라브(B2)에 하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탈출 슬라브(B2)는 상기 슬라브(B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 상기 탈출 슬라브(B2)가 위치한 자리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거주자는 빈 공간을 통해 상기 배관(P)을 잡고 상층에서 하층으로 탈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B1: 슬라브
B2: 탈출 슬라브
P: 배관
A: 유도관

Claims (1)

  1.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에 있어서,
    연결부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시공하는 슬라브 시공단계; 및
    상층에서 하층으로 배수 가능한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브에 접촉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탈출 슬라브를 시공하는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탈출 슬라브는,
    높이 방향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일부가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상기 탈출 슬라브에 매립되어 상기 슬라브와 상기 탈출 슬라브 간을 고정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관을 포위하도록 상기 배관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를 포위하며 상기 전도체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어 고체에서 액체로 상태 변화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
    상기 탈출 슬라브와의 정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탈출 슬라브에 매립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 및
    상기 슬라브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 방향으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관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탈출 슬라브 시공단계는,
    상기 탈출 슬라브 상에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탈출 슬라브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홀에 상기 배관을 배치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상기 배관으로 물을 배출하는 유도관을 설치하는 배관 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
KR1020190009090A 2019-01-24 2019-01-24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 KR10199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090A KR101991090B1 (ko) 2019-01-24 2019-01-24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090A KR101991090B1 (ko) 2019-01-24 2019-01-24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090B1 true KR101991090B1 (ko) 2019-06-19

Family

ID=6710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090A KR101991090B1 (ko) 2019-01-24 2019-01-24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156B1 (ko) * 2019-12-20 2020-07-31 주식회사 라이프원 적층블록을 구비한 비상대피통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970A (ja) * 2003-02-19 2004-09-09 Mirai Ind Co Ltd 耐火材支持金具
KR101863832B1 (ko) * 2017-04-10 2018-07-04 손형석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970A (ja) * 2003-02-19 2004-09-09 Mirai Ind Co Ltd 耐火材支持金具
KR101863832B1 (ko) * 2017-04-10 2018-07-04 손형석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156B1 (ko) * 2019-12-20 2020-07-31 주식회사 라이프원 적층블록을 구비한 비상대피통로
WO2021125414A1 (ko) * 2019-12-20 2021-06-24 주식회사 라이프원 적층블록을 구비한 비상대피통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090B1 (ko)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바닥 시공방법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101688816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AU2018263284B2 (en) Electrical safety system for wet areas
JP2006302677A (ja) 接地装置及び該接地装置の施工方法
KR101234813B1 (ko) 공동주택용 매립형 배전박스의 고정 장치
KR200262291Y1 (ko)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
FI89295B (fi) Golvbrunn med genomfoeringsutrustning samt foerfarande foer installation av golvbrunnen
HUT73599A (en) Outlet component to be mounted in concrete floors in particular
KR101386405B1 (ko) 슬래브 매입형 콘크리트 박스
KR101568972B1 (ko) 철골 콘크리트 합성 기둥용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기둥 시공 방법
EP0434725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laying waste pipes in hollow flooring blocks
CA1107945A (en) Method of constructing an electrical radiant heating system
AU2018101694A4 (en) Electrical safety system for wet areas
CN111344462A (zh) 浴室单元的排水结构以及施工方法
KR20100109719A (ko) 벽체용 관 고정방법
CN215981223U (zh) 一种建筑工程用阻火圈固定点预留预埋装置
KR20050097400A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설치구조 및 이 구조를 이용한소방배관 설치방법
EP3681000A1 (en) A mounting box for mounting an electrical device into a cavity of a wall
KR200300946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481666Y1 (ko) 관통슬리브
JP2004068342A (ja) 建築用スリーブ及びその施工方法
FI77099C (fi) Valvgenomfoering.
KR100845207B1 (ko) 도관 설치구
JP2020197122A (ja) 排水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