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011A - 현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011A
KR20200094011A KR1020190011460A KR20190011460A KR20200094011A KR 20200094011 A KR20200094011 A KR 20200094011A KR 1020190011460 A KR1020190011460 A KR 1020190011460A KR 20190011460 A KR20190011460 A KR 20190011460A KR 20200094011 A KR20200094011 A KR 20200094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barcode
screen
insp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555B1 (ko
Inventor
백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Priority to KR102019001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5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현장 관리 시스템은 제품의 생산 및 출하 시 공정별로 바코드나 품번 코드를 부여하여 원재료 입고, 생산입력, 출하, 최종 검사까지 일련의 공정 과정을 추적할 수 있어 재고 파악 및 생산 실적을 모니터링하여 현장 통합 관리가 가능하며, 입고와 출하의 전 과정을 전산화하여 추적할 수 있어 생산 현장의 효율적인 운영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장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Working in Place}
본 발명은 현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의 생산 및 출하 시 공정별로 바코드나 품번 코드를 부여하여 원재료 입고, 생산입력, 출하, 최종 검사까지 일련의 공정 과정을 추적할 수 있어 재고 파악 및 생산 실적을 모니터링하여 현장 통합 관리가 가능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합 생산 관리 시스템은 생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과, 공정 진행 모니터링, 제어, 물류 및 작업 내역 추적 관리, 상태 파악, 불량 관리 등에 초점을 맞춘 현장 시스템이다.
이러한 종합 생산 관리 시스템은 대기업의 경우 많은 구축 비용, 유지 비용과 인력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용하게 되는데, 중소 기업에 적합하지 않는 불필요한 메뉴와, 복잡한 공정 시스템으로 인해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중소 기업은 현장 전산화에 큰 투자를 할 수 없는 실정이므로 원재료의 입고, 출고의 전 과정을 수기로 작성 후 관리하게 되므로 수많은 부품들의 추적 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발주와 수주 업무를 관리하기 어려움이 많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41500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의 생산 및 출하 시 공정별로 바코드나 품번 코드를 부여하여 원재료 입고, 생산입력, 출하, 최종 검사까지 일련의 공정 과정을 추적할 수 있어 재고 파악 및 생산 실적을 모니터링하여 현장 통합 관리가 가능한 현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현장 관리 시스템은,
현장 관리에 필요한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의 생산 및 출하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에서 '원재료 입고'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원재료 품번을 입력받는 원재료 품번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원재료 품번에 해당하는 업체 로트(LOT) 번호를 입력받는 로트번호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상기 원재료 품번과 상기 업체 로트번호를 스캔하여 수신하는 원재료 입고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수입 검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입고일자, 입고품번, 입고품명, 입고수량을 포함한 수입검사 대상 정보와, 이상원인, 처리방법, 반출수량을 포함한 이상발생 유무정보로 이루어진 수입 검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수입 검사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생산 실적'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생산 공정을 입력받는 생산 공정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생산 공정 입력 화면에서 조립반, 재단반, 핫스템핑반, 봉제반의 생산 공정 중 하나의 공정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반제품의 품번 바코드를 입력받는 품번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상기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반제품 품번 바코드를 스캔하여 반제품 품번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생산 실적부; 및
상기 메인 화면에서 '최종 검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최종 검사한 완제품의 품번 바코드를 입력받는 품번 바코드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상기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완제품 품번 바코드를 스캔하여 완제품 품번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최종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입고와 출하의 전 과정을 전산화하여 추적할 수 있어 생산 현장의 효율적인 운영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현장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하고 가공되어진 자료를 분석,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할 식별표를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수량만큼 출력해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식별표 관리의 손실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원재료 품번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로트번호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고 수량을 입력받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재료 식별표, 공정이동전표 및 부품식별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수입 검사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산 공정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품번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불량 유형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품번 바코드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비 종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모품 종합 관리 대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초중종물 검사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중종물 검사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트 추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량 집계 보고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산 실적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현장 효율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입력 내자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 입고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가동 현황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중종물 검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종 검사 일지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셀 파일의 테이블 항목과 폼 항목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관리 시스템(100)은 원재료 입고부(101), 수입 검사부(102), 생산 실적부(103), 최종 검사부(104), 설비 가동률부(105), 소모품 관리부(106), 초중종물 검사부(107), 제품 LOT 추적부(108), 불량 집계 현황부(109), 생산 실적 현황부(110), 현장 효율 현황부(111), 관리자 메뉴(112),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13), 디스플레이부(114), 바코드 리더기(115), 바코드 프린터(116) 및 제어부(117)를 포함한다.
제어부(117)는 원재료 입고부(101), 수입 검사부(102), 생산 실적부(103), 최종 검사부(104), 설비 가동률부(105), 소모품 관리부(106), 초중종물 검사부(107), 제품 LOT 추적부(108), 불량 집계 현황부(109), 생산 실적 현황부(110), 현장 효율 현황부(111), 관리자 메뉴(112)의 각 구성요소에서 발생되는 입출력 데이터를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13)에 해당 구성요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원재료 입고부(101)는 현장 관리에 필요한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의 생산 및 출하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도 2)에서 '원재료 입고'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원재료 품번을 입력받는 원재료 품번 입력 화면(도 3)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하고, 원재료 품번에 해당하는 업체 로트(LOT) 번호를 입력받는 로트번호 입력 화면(도 4)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한다. 여기서, 업체 로트번호는 원재료 품번의 입력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번호로 원재료를 생산하는 업체의 고유 로트이다.
원재료 입고부(101)는 바코드 리더기(115)를 통해 바코드 입력표의 원재료 품번을 스캔하면, 바코드 리더기(115)로부터 원재료 품번 정보(예를 들면, (P)TLTTX)를 수신하여 원재료 품번 입력 화면(도 3)에 표시한다.
바코드 입력표는 제품에 대한 원재료 품번, 업체 로트번호, 반제품품번, 제품품번, 거래처, 접수일자 등의 바코드 정보를 포함한 문서나 식별표지를 나타낸다.
원재료 입고부(101)는 바코드 리더기(115)를 통해 바코드 입력표의 업체 로트번호를 스캔하면, 바코드 리더기(115)로부터 원재료 업체의 로트번호(예를 들면, "3763") 정보를 수신하여 로트번호 입력 화면(도 4)에 표시한다.
도 3은 원재료 품번이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고, 도 4는 원재료 업체의 로트번호인 "3763"이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원재료 입고부(101)는 입고 수량을 입력받는 화면(도 5)을 통해 입고 수량이 입력되는 경우, 바코드 프린터(116)에 연동되어 로트번호, 원재료 품목코드, 품목명, 입고업체, 입고수량을 포함한 원재료 식별표(도 6)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프린터(116)를 통해 출력한다.
수입 검사부(102)는 메인 화면(도 2)에서 '수입 검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입고일자, 입고품번, 입고품명, 입고수량을 포함한 수입검사 대상 정보와, 이상원인, 처리방법, 반출수량을 포함한 이상발생 유무정보로 이루어진 수입 검사 인터페이스 화면(도 7)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한다.
수입 검사 인터페이스 화면(도 7)에는 왼쪽에 입고품번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수입 검사 기준서가 표시된다.
수입 검사 인터페이스 화면(도 7)은 합격처리 버튼과 이상처리 버튼이 구성되어 이상원인이 발생되는 경우, 이상발생 유무정보를 입력받은 후, 이상처리 버튼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이상원인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수입검사 대상 정보의 입력항목을 입력받은 후, 합격처리 버튼의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생산 실적부(103)는 메인 화면(도 2)에서 '생산 실적'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생산 공정을 입력받는 생산 공정 입력 화면(도 8)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하고, 공정 타임을 입력받는 타임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한다.
생산 실적부(103)는 상기 생산 공정 입력 화면(도 8)에서 조립반, 재단반, 핫스템핑반, 봉제반의 생산 공정 중 하나의 공정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첫번째 타임, 두번째 타임, 세번째 타임 네번째 타임, 잔업 타임, 연장 타임의 공정 타임 중 하나의 타임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생산 실적부(103)는 반제품의 품번 바코드를 입력받는 품번 입력 화면(도 9)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하고, 바코드 리더기(115)를 통해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반제품 품번(예를 들어 AD-TTX-RH) 바코드를 스캔하면, 바코드 리더기(115)에 수신된 반제품 품번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란에 입력된다.
생산 실적부(103)는 생산 수량을 입력받는 생산 수량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하고, 입력부를 통해 생산 수량을 입력받은 후, 입력 완료 버튼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되면 생산 수량 입력 과정이 종료된다.
생산 실적부(103)는 생산 수량이 입력되는 경우, 바코드 프린터(116)에 연동되어 품명, 수량을 포함한 공정이동전표(도 6)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프린터(116)를 통해 출력한다.
생산 실적부(103)는 생산 수량 입력 화면에서 입력 후 불량등록 버튼이 선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불량 유형을 선택하는 불량 유형 입력 화면(도 10)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한다. 생산 실적부(103)는 불량 유형 입력 화면(도 10)에서 불량 유형이 선택되면, 불량 개수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동일품번에 대한 추가불량등록이 가능한 기능버튼이 구비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된다.
최종 검사부(104)는 메인 화면(도 2)에서 '최종 검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최종 검사한 완제품의 품번 바코드를 입력받는 품번 바코드 입력 화면(도 11)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하고, 바코드 리더기(115)를 통해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완제품 품번(예를 들어 85220-F2010) 바코드를 스캔하면, 바코드 리더기(115)에 수신된 완제품 품번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란에 입력된다.
최종 검사부(104)는 완제품 품번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란에 입력되면, 검사 제품의 총 수량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입력 후 불량 등록이 가능한 기능버튼이 구비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된다.
최종 검사부(104)는 총 수량이 입력되는 경우, 바코드 프린터(116)에 연동되어 품번, 품명, 작업일자, 수량을 포함한 부품식별표(도 6)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프린터(116)를 통해 출력한다.
설비 가동률부(105)는 메인 화면(도 2)에서 '설비 가동률'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설비 가동률을 계산하기 위한 설비 종류를 선택하는 설비 종류 선택 화면(도 12)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하고, 작업자 결근, 조퇴, 설비 이상 정지, 설비 부품 교체 등의 비가동사유를 입력받는 화면과, 비가동 시간을 입력받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하여 설비 종류, 비가동사유와 비가동 시간을 입력받아 설비 가동률을 계산하여 저장한다.
소모품 관리부(106)는 메인 화면(도 2)에서 '소모품 관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부품 추가, 삭제, 안전재고, 원재고 등의 소모품을 관리하기 위한 소모품 종합 관리 대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도 13)이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도 13)은 안전재고 과부족 보고서의 항목이 구성되어 해당 항목이 선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예비부품 과부족 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된다.
초중종물 검사부(107)는 메인 화면(도 2)에서 '초중종물 검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조립반, 재단반, 핫스템핑반, 봉제반의 공정 종류와 검사 시간, 이상을 나타내는 NG 항목을 입력받는 초중종물 검사 인터페이스 화면(도 14)이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된다.
초중종물 검사부(107)는 공정 종류 중 하나의 공정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검사 시간을 입력받고, 검사 결과 확인을 나타내는 버튼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초중종물 검사 보고서(도 15)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한다.
제품 LOT 추적부(108)는 메인 화면(도 2)에서 '제품 LOT'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바코드 리더기(115)를 통해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원재료의 로트번호(예를 들어 3763)를 스캔하면, 바코드 리더기(115)로부터 로트번호 입력란에 원재료의 로트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로트번호에 해당하는 원재료 로트번호, 반제품 로트번호, 완제품 로트번호를 품목별로 출력하는 로트 추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도 16)을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세번째 타입의 원재료 업체의 로트번호인 3763이 있고, 재단반 로트번호 3763295, 핫스템핑반 로트번호 3763295301를 구성하는데,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에 따라 원재료 로트번호에서 숫자를 추가하여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반제품 로트번호는 상기 원재료 로트번호에 제1 식별번호를 뒷자리에 추가하여 생성하고, 상기 완제품 로트번호는 상기 반제품 로트번호에 제2 식별번호를 뒷자리에 추가하여 생성한다.
따라서, 완제품 로트번호를 알고 있으면, 반제품 로트번호, 원재료 로트번호를 역추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불량 집계 현황부(109)는 메인 화면(도 2)에서 '불량 집계 현황'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품목명, 공정에 따라 불량명을 기재하여 불량 집계 현황을 리스트하여 불량 집계 보고서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도 17)을 디스플레이부(114)를 통해 출력한다.
생산 실적 현황부(110)는 메인 화면(도 2)에서 '생산 실적 현황'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생산수량, 불량수량, 불량률, 일목표수량, 목표달성률이 표시된 생산 실적 모니터링 화면(도 18)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114)를 통해 출력된다.
현장 효율 현황부(111)는 메인 화면(도 2)에서 '현장 효율 현황'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생산반, 생산수량, 일목표수량, 목표달성률, 현장 효율을 수치로 표시한 현장 효율 화면(도 19)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114)를 통해 출력된다.
관리자 메뉴(112)는 근태입력, 설비 비가동 리스트, 설비 가동률 보고서를 메뉴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근태 입력 메뉴를 선택하면, 공정별로 총 근무시간이 입력되고, 입력된 총 근무시간 정보를 생산 실적 현황부(110)로 전송한다.
생산 실적 현황부(110)는 총 근무시간 정보를 기초로 생산 실적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원재료 입고부(101), 수입 검사부(102), 생산 실적부(103), 최종 검사부(104), 설비 가동률부(105), 소모품 관리부(106), 초중종물 검사부(107), 제품 LOT 추적부(108), 불량 집계 현황부(109), 생산 실적 현황부(110), 현장 효율 현황부(111) 및 관리자 메뉴(112)와 연결되어 메인 화면을 통해 원재료 입고, 수입 검사, 생산 실적, 최종 검사, 제품 LOT 추적, 불량 집계 등 현장 관리에 필요한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의 생산 및 출하 시 입출력되는 모든 데이터를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엑셀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엑셀 파일 형태는 좌측 하단 부분의 폼은 전술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포함되어 있으며, 좌측 상단 부분의 테이블은 원재료 입고, 수입 검사, 생산 실적, 최종 검사, 제품 LOT 추적, 불량 집계 등 각 단계마다 최종 데이터를 품목별, 품목코드, 날짜 등의 다양한 분류 방법으로 최종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구매 입력 내자 테이블로 거래처명, 품목코드, 품목명이 날짜별로 분류된 구매 입력 정보가 출력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도 21은 생산 입고 테이블로 품목명, 품목코드, 수량, 생산시간을 포함한 생산 입고 정보가 출력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도 22는 설비 가동 현황 테이블로 설비명, 비가동시간, 비가동사유의 설비 가동 정보가 출력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도 23은 초중종물 검사 테이블로 공정, 점검 항목, 점검 방법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도 24는 최종 검사 일지 테이블로 검사일자, 검사품목코드, 검사수량, 불량수량, 불량원인, 최종 검사 정보가 출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나머지 테이블도 동일한 방식으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5의 (a)와 같이, 테이블은 UPPH 분석, 구매입력내자, 맨아워, 불량정의, 불량코드, 생산입고, 설비리스트, 설비비가동현황, 예비부품리스트, 원재료리스트, 일일설비 가동률, 자가사용입력, 창고정의, 초중종검사, 최종검사일지, 품목리스트 등을 포함한다.
도 25의 (b)와 같이, 폼은 로트 추적, 관리자 메뉴, 메인화면, 불량입력, 생산실적, 생산현황, 수입검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13)와 연동하여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13)에 저장된 입고 및 출고와 관련된 데이터를 엑셀 파일의 각 구성요소와 메인 화면의 구성요소에 매칭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17)는 메인 화면, 엑셀 파일과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13)에 저장된 데이터는 동일한 구성요소의 데이터가 서로 연동되어 추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현장 관리 시스템 101: 원재료 입고부
102: 수입 검사부 103: 생산 실적부
104: 최종 검사부 105: 설비 가동률부
106: 소모품 관리부 107: 초중종물 검사부
108: 제품 LOT 추적부 109: 불량 집계 현황부
110: 생산 실적 현황부 111: 현장 효율 현황부
112: 관리자 메뉴 113: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114: 디스플레이부 115: 바코드 리더기
116: 바코드 프린터 117: 제어부

Claims (5)

  1.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현장 관리에 필요한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의 생산 및 출하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에서 '원재료 입고'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원재료 품번을 입력받는 원재료 품번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원재료 품번에 해당하는 업체 로트(LOT) 번호를 입력받는 로트번호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상기 원재료 품번과 상기 업체 로트번호를 스캔하여 수신하는 원재료 입고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수입 검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입고일자, 입고품번, 입고품명, 입고수량을 포함한 수입검사 대상 정보와, 이상원인, 처리방법, 반출수량을 포함한 이상발생 유무정보로 이루어진 수입 검사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수입 검사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생산 실적'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생산 공정을 입력받는 생산 공정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생산 공정 입력 화면에서 조립반, 재단반, 핫스템핑반, 봉제반의 생산 공정 중 하나의 공정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반제품의 품번 바코드를 입력받는 품번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상기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반제품 품번 바코드를 스캔하여 반제품 품번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생산 실적부; 및
    상기 메인 화면에서 '최종 검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최종 검사한 완제품의 품번 바코드를 입력받는 품번 바코드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상기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완제품 품번 바코드를 스캔하여 완제품 품번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최종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면에서 '설비 가동률'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설비 가동률을 계산하기 위한 설비 종류를 선택하는 설비 종류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작업자 결근, 조퇴, 설비 이상 정지, 설비 부품 교체 등의 비가동사유를 입력받는 화면과, 비가동 시간을 입력받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여 설비 종류, 비가동사유와 비가동 시간을 입력받아 설비 가동률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설비 가동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면에서 '소모품 관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부품 추가, 삭제, 안전재고, 원재고의 소모품을 관리하기 위한 소모품 종합 관리 대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소모품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면에서 '초중종물 검사'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조립반, 재단반, 핫스템핑반, 봉제반의 공정 종류와 검사 시간을 입력받는 초중종물 검사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고, 상기 공정 종류 중 하나의 공정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사 시간을 입력받아 검사 결과 확인을 나타내는 버튼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초중종물 검사 보고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초중종물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면에서 '제품 LOT'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바코드 입력표에 표시된 상기 업체 로트번호를 스캔하여 수신하고, 상기 로트번호에 해당하는 원재료 로트번호, 반제품 로트번호, 완제품 로트번호의 품목별로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품 LOT 추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제품 로트번호는 상기 원재료 로트번호에 제1 식별번호를 뒷자리에 추가하여 생성하고, 상기 완제품 로트번호는 상기 반제품 로트번호에 제2 식별번호를 뒷자리에 추가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KR1020190011460A 2019-01-29 2019-01-29 현장 관리 시스템 KR102221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460A KR102221555B1 (ko) 2019-01-29 2019-01-29 현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460A KR102221555B1 (ko) 2019-01-29 2019-01-29 현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011A true KR20200094011A (ko) 2020-08-06
KR102221555B1 KR102221555B1 (ko) 2021-03-02

Family

ID=7204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460A KR102221555B1 (ko) 2019-01-29 2019-01-29 현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5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718B1 (ko) * 2020-10-30 2022-04-14 주식회사 저그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CN116205517A (zh) * 2023-01-03 2023-06-02 湖北赛乐氏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食品生产的质检方法及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420A (ja) * 2001-10-11 2003-04-25 Ricoh Elemex Corp 生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90001710A (ko) * 2007-05-14 2009-01-09 (주)제이앤에스피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KR101041500B1 (ko) 2009-01-06 2011-06-14 권영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KR20120008171A (ko) * 2010-07-16 2012-01-30 보성테크 주식회사 실시간 smt 생산 라인 자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0275A (ko) * 2012-03-29 2013-10-10 (주)엔씨씨 생산정보 입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70014649A (ko) * 2015-07-30 2017-02-08 김철민 자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4156A (ko) * 2015-09-18 2017-03-28 성일기업(주) 근거리 통신 객체 인식과 클라우드 시스템을 결합한 lot 추적 및 재고관리시스템
KR20180120509A (ko) * 2017-04-27 2018-11-06 두베 주식회사 압출공정을 위한 무인 원자재 자동추적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420A (ja) * 2001-10-11 2003-04-25 Ricoh Elemex Corp 生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90001710A (ko) * 2007-05-14 2009-01-09 (주)제이앤에스피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KR101041500B1 (ko) 2009-01-06 2011-06-14 권영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KR20120008171A (ko) * 2010-07-16 2012-01-30 보성테크 주식회사 실시간 smt 생산 라인 자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0275A (ko) * 2012-03-29 2013-10-10 (주)엔씨씨 생산정보 입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70014649A (ko) * 2015-07-30 2017-02-08 김철민 자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4156A (ko) * 2015-09-18 2017-03-28 성일기업(주) 근거리 통신 객체 인식과 클라우드 시스템을 결합한 lot 추적 및 재고관리시스템
KR20180120509A (ko) * 2017-04-27 2018-11-06 두베 주식회사 압출공정을 위한 무인 원자재 자동추적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718B1 (ko) * 2020-10-30 2022-04-14 주식회사 저그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CN116205517A (zh) * 2023-01-03 2023-06-02 湖北赛乐氏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食品生产的质检方法及系统
CN116205517B (zh) * 2023-01-03 2023-11-21 湖北赛乐氏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食品生产的质检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555B1 (ko)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99103B (zh) 一种基于智能制造mes系统的生产管理子系统
CN108492016B (zh) 一种刀具管理方法
Brintrup et al. RFID opportunity analysis for leaner manufacturing
US7395273B2 (en) System providing receipt inspection reporting
CN110580572B (zh) 一种产品全寿命追溯系统
US20050040223A1 (en) Visual bottleneck management and control in real-time
KR102221555B1 (ko) 현장 관리 시스템
Slaichová et al. The effect of implementing a maintenance information system on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facilities
CN114781795A (zh) 一种基于erp的采购综合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12508314A (zh) 维吾尔药品的制造执行系统
Fajriani et al. Designing Green Procurement based on ERP for Leather Tanning Industry
KR101587502B1 (ko) 전자빔 조사공정을 위한 통합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Frusm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arehouse management improvement strategy using barcode system approch at PT Latinusa Tbk
Moso An application of lean six sigma techniques to accelerate the implementation of kaizen in the film packaging industry
Reinkemeyer Purpose: Identifying the right use cases
Vanany et al. Traceability System for Quality Assurance on Make to Order Products
KR20110010306A (ko) Olap 기반 중소기업형 고객관계 관리시스템
Dayal et al. Enabling Product Circularity Through Big Data Analytics and Digitalization
León-Duarte et al. REVISIÓN DE APLICACIONES DE SISTEMAS DE TRAZABILIDAD. CASO DE STUDIO: INDUSTRIA ARNESERA
You et al. Production management and optimization in injection molding companies based on MES
Chrobot Requirements for Flow Control Systems for Discrete Production of Mechanical Products
Latham Automating Manufacturing Processes at Stihl USA
BOCA et al. TRANSFER FROM TRADITIONAL KANBAN TO KANBAN 4.0 IN SMART FACTORY.
Zhang Wireless devices enabled information system design poka-yokes: a case study with a manufacturing logistics process
Dzanga Design and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SO 1694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