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500B1 -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500B1
KR101041500B1 KR1020090000681A KR20090000681A KR101041500B1 KR 101041500 B1 KR101041500 B1 KR 101041500B1 KR 1020090000681 A KR1020090000681 A KR 1020090000681A KR 20090000681 A KR20090000681 A KR 20090000681A KR 101041500 B1 KR101041500 B1 KR 10104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cost
item
data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443A (ko
Inventor
권영범
양춘혁
김은영
Original Assignee
권영범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범,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filed Critical 권영범
Priority to KR102009000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5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활동별 계정 구성비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으로서: 비용 센터 및 활동 센터에서 수집된 비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비용센터가 상기 활동센터로의 비용을 배부하는 기준인 배부기준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배부기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비용 데이터를 활동 센터로 배부 처리하여, 활동별 원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활동별 원가 데이터에 의한 활동별 계정 구성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활동별 원가, 상기 활동별 계정구성비 및 품목별 원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저장된 품목별 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품목별 활동 원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하여, 각 품목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나 활동에 대한 파악은 물론, 각각의 활동 원가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언가 산출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ACTIVITY COSTS FOR EACH PRODUCT USING COST-ACCOUNT RATIO I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본 발명은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에 관한 것이며, 특히 ERP 중 관리회계 분야의 활동 원가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활동을 위해 쓰이는 기업 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통합정보 시스템 기술로서의 ERP는 현재 각 기업체의 통합 응용소프트웨어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ERP 시스템은 기업의 경영활동을 위해 다수의 시스템, 즉, 생산과 자재, 구매와 수입, 영업과 물류, 운영관리, 회계, 인사, 급여 등의 운영 시스템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적인 시스템으로 재구축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다. 이러한 ERP 시스템은, "계획(Plan) → 업무 진행(Do) → 성과측정(See)"의 경영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또한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 중 "성과측정(See)"와 관련된 ERP 모듈에 대한 것이며, 특히 관리회계 시스템에 관련된다.
관리회계는 경영자의 의사결정과 통제활동에 도움이 되는 각종 정보를 수집, 분류, 요약, 분석하여 이를 이용자에게 보고하는 회계분야로서 내부경영계획과 경영통제활동에 초점을 맞추는 내부보고지향적인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관리회계의 목적은 기업 내부정보 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원가절감 노력으로 이어진다.
한편, 원가정보는 생산활동과 영업활동에 관한 원가자료를 확인, 분류, 집계한 결과물이다. 이러한 원가정보는 손익계산서상의 매출원가를 결정하는데 필요하며, 예산설정, 경영활동의 통제, 가격결정, 성과 평가 등과 같은 내부 관리적 의사결정에도 활용된다. 이러한 원가정보는 원가시스템에 의해 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원가시스템에서는 제품의 계정별 원가 산출은 가능하였으나, 어떤 프로세스나 활동에 의해 제품 생산이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고 각 원가는 실제 얼마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산업사회가 고도화되고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서, 자원에 대한 지출을 측정하던 전통적 원가계산은, 자원에 대한 소비를 측정하는 활동기준원가(Activity Based Cost; ABC)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전통적인 원가시스템은, 직접노무비 등에 의해 제조간접비를 배부하므로 정확한 제품원가가 산출되지 않는다는 점, 정확한 제품원가가 산출되지 않는 관계로 제품의 수익성 분석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 재무적 정보만 제공할 뿐 기업의 가치창조 활동이나 비재무적 측정치를 제공하지 못하는 점, 제품의 수명주기에 따른 비용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 등의 문제점으로 말미암아, 오늘날 내부 관리적 의사결정에 실제 도움이 될 수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와 같은 전통적인 원가시스템을 극복하기 위해 ABC가 제안되었다. 기업은 목표달성을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활동이 자원을 소비하여 원가를 발생시키고 또한 제품은 이러한 활동을 소비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제품원가계산도 제품이 거친 활동을 확인한 후 제품이 거친 활동별로 파악된 원가에 의해 원가계산을 한다는 것이다. 즉 ABC는 활동자체를 원가동인으로 보고 활동을 통제하여 원가관리를 한다.
그러나 ABC를 적용한 원가시스템의 경우, 활동분석에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크며, 활동을 명확히 정의하고 해당 활동에 대한 원가를 정확히 측정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말미암아, 일부 활동에만 그와 같은 ABC가 적용되었을 뿐이었고, 그 결과도 생산하는 품목이나 서비스의 원가 산출로 제한되었다.
즉, 실제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실행되는 개별 프로세스나 활동의 원가를 구현하여 제품의 원가를 산출하는 방식은, 활동 측정의 어려움과 비경제성, 나아가 활동과 제품간의 인과관계 파악이 어렵다는 것이고, 이것이, 종래 ABC 원가 시스템의 한계로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이를 ERP 모듈에 의해 시스템적으로 일관성 있고, 정확하며, 용이하게 구현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별 활동별 원가를 용이하게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각 제품 생산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나 활동의 원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기업의 업무 개선과 원가절감을 위한 계획 및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ERP 시스템 내에서의 본 발명의 모듈을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구현하고자 함에 있다. ERP 시스템 내에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세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 원가절감
- 자원활용의 효율적인 분석
- 지속적인 개선
- 수익성 분석
- 리엔지니어링
- 목표원가 설정
- 품질관리
- 전략적인 의사결정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으로서:
비용 센터 및 활동 센터에서 수집된 비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비용센터가 상기 활동센터로의 비용을 배부하는 기준인 제1 배부기준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활동센터가 각각의 개별 활동 단위로 비용을 배부하는 기준인 제2 배부기준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배부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2 배부기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비용 데이터를 활동 단위로 배부 처리하여, 활동별 원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활동원가의 계정별 금액을 기준으로 활동별 계정 구성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활동별 원가 데이터와 상기 계정별 활동 구성비, 품목별 원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저장된 품목별 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품목별 활동 원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품목별 원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는 기저장된 품목별 계정금액과, 상기 활동별 계정 구성비를 연산(곱)하여 품목별 활동원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으로서:
비용 센터 및 활동 센터에서 수집된 비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비용센터가 상기 활동센터로의 비용을 배부하는 기준인 배부기준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배부기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비용 데이터를 활동 센터로 배부 처리하여, 활동별 원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활동원가의 계정별 금액을 기준으로 각 활동 계정 구성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활동별 원가 데이터와 품목별 원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저장된 품목별 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품목별 활동 원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동 센터는 최상위 활동으로 정의되는 1개 이상의 프로세스와, 상기 프로세스에 계층적으로 속하는 1개 이상의 활동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동 센터는 최상위 활동으로 정의되는 1개 이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활동별 원가 데이터는 프로세스별 원가 데이터이며, 상기 활동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는 상기 프로세스 기준으로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동 센터는 최상위 활동으로 정의되는 1개 이상의 프로세스와, 상기 프로세스에 계층적으로 속하는 1개 이상의 활동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활동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는, 상기 활동 단위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으로서, 위와 같은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시스템에 의하여, 각 품목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나 활동에 대한 파악은 물론, 각각의 원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업의 원가절감과 업무개선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기업의 노력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내역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의 본 발명은 ERP 시스템에 통합화하여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등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비용센터(200)와 활동센터(300)의 기능을 개략 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ERP데이터베이스(10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용센터(200)와 활동센터(300)가 각각의 비용을 집계하고, 또한 각 프로세스와 활동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ERP데이터베이스는 기업 내 각종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비용센터(200)는 원가분석대상 활동을 가지고 있지 않는 기업 내 부서로 정의될 수 있으며, 활동센터(300)는 원가분석대상 활동을 가지고 있는 부서로 볼 수 있다. 전자는 비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후자는 비용 데이터와 활동 데이터를 수집한다. 기업의 활동(Activity)은 원재료 구입-생산-판매-A/S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주요 활동과 이 주요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존재하는, 경영지원, 인사, 총무, 회계 활동 등의 지원활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지원활동을 하는 기업 내 부문을 지원부서(210)로 표현하고 있다. 지원부서(210)는 여비교통비(201), 복리후생비(202), 임대료(203), 급여(204) 등의 계정과 관련된 전표를 수집하고, 이러한 전표는 ERP데이터베이스(100) 내에 모두 기록, 저장된다. 활동센터(300)는 프로세스(310)와 해당 프로세스(310)에 속하는 다수의 활동들(320)(330)이 계층적으로 트리(tree)를 이루며 포함될 수 있다. 활동센터(300)는 이러한 프로세스(310)와 계층의 하위 활동(320)(330)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한다. 프로세스(310)는 기업 내 주요활동을 1차적으로 분류하는 카테고리로 정의한다. 한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편의상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되는 '활동센터(300)'는 각 프로세스(310)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스(310)는 최상위 활동을 의미한다.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매(311), 생산(312), 판매(313), A/S(미도시)" 등이 프로세스(310)의 인자(因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기업의 유형에 따라서 설정되고 초기화될 수 있다. 예컨대 물류 회사의 경우에는 "접수, 분류, 운송"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예를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활동센터와 비용센터는 비용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한다(S10). 다음으로 비용센터에서 활동센터로 각 계정에 해당하는 비용을 배부하는 제1 배부기준 데이터를 정의하고 이를 시스템 프로그램의 연산규칙으로 등록한다(S12). 제1 배부기준 데이터는 제품(본 명세서에서 '제품'은 '품목'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첨언하는 바이다)의 원가를 구성하는 다양한 분류의 비용, 예컨대 여비교통비, 복리후생비, 임차료, 급여 등의 계정 비용을 분석대상활동을 가지고 있는 활동센터로 배부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제1 배부기준은 각 활동센터의 인원수 데이터, 면적 데이터 등 다양한 배부기준을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활동센터를 이루는 구매부서, 생산부서, 판매부서에 소속된 인원수에 따라서 비용센터의 각 계정 비용을 배부하는 규칙이 제1 배부기준이 될 수 있으며, 또는 각 활동센터가 차지하는 면적비율에 따라서 제품의 각 계정 비용을 배부하는 규칙이 상기 제1 배부기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배부기준의 정의는 비용센터와 활동센터의 인과관계 정의에 의해서 정해지며 각 기업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배부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배부기준에 의해 계정 비용을 배부받은 활동센터가, 이번 에는 자신에게 계층적으로 소속된 구체적인 하위 활동으로 다시 비용을 배부하는 제2 배부기준 데이터를 정의하고 등록한다(S14). 활동센터 중 '구매' 프로세스에 대해서 예를 들자면, 이 프로세스에 속하는 하위 개별 활동으로 '견적활동', '발주활동', '입고활동'이 분류되어 기록되어 있는 경우, 각 활동으로 다시 비용을 배부한다. 여기서, "구매 프로세스 비용 = 견적활동 비용 + 발주활동 비용 + 입고활동 비용"이며, 결국 다음식을 만족한다.
(1) 1차 배부된 프로세스 비용 + 활동센터 자체발생 비용= ∑(2차 배부된 하위의 개별 활동 비용)
(2) 임의의 계정 비용 = ∑(1차 배부된 프로세스 비용)+ 활동센터 자체발생 계정비용
위와 같은 배부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용 데이터를 배부처리하면, 프로세스별, 활동별 활동 원가 데이터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S16). 또한 활동별 원가의 계정별 금액을 기준으로 활동원가를 구성하는 활동별 계정 구성비를 산출할 수 있다(S18). 품목별 원가 데이터베이스에는 해당 품목의 원가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정별로 분류되어 있다.
다음으로, 품목별 계정금액과, 상기 활동별 원가계정 구성비를 곱하여 연산함으로써 품목별 활동원가 데이터를 산출한다(S20).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서 품목별 활동원가 데이터를 자동연산으로 산출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로 가시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어떤 활동을 개선하면, 어떤 원가를 절약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A/S 활동에 대한 활동원가가 많이 나온다는 정보 가 보고되면, 생산상에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얻어지는 품목별 활동원가 데이터를 그래픽 툴에 의해 가시화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품목별 활동원가 데이터에 대한 분석 툴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보고서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위에서 설명한 도 2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블록도에 의해 반복 설명하고 있다.
도 4는 어떤 한 품목 "A"에 대하여, 각 계정비용이 어떻게 프로세스로 배부되는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해당 기업은 다양한 품목을 생산하는데 품목 A(A 제품)는 그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리고 품목 A의 원가가 1500원이라고 가정하자. 원가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기록되어 있다.
이 품목의 원가중 재료비를 제외한 경비 1000원은 '여비교통비, 복리후생비, 임대료, 급여'라는 계정 항목(20)에 각각, 300원, 200원, 200원, 300원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렇게 각 품목의 계정별 원가금액이 산출되어진 데이터와 활동별 원가에서 산출된 각 계정의 활동구성비를 이용하면 각 품목의 활동별 원가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여비교통비 300원은 여비교통비 활동구성비에 의해서 구매 W1원, 생산 W2원, 판매 W3원으로 배부된다(300원 = ∑(W1,W2,W3)원). 복리후생비 200원은 복리후생비의 활동구성비에 의해서 구매 X1원, 생산 X2원, 판매 X3원으로 배부된다(200원 = ∑(X1,X2,X3)원). 임대료 200원은 구매 Y1원, 생산 Y2원, 판매 Y3원으로 배부된다(200원 = ∑(Y1,Y2,Y3)원). 급여 300원은 구매 Z1원, 생산 Z2원, 판매 Z3원으로 배부된다(300원 = ∑(Z1,Z2,Z)원). 다음으로 각 프로세스(31)(32)(33)가 위와 같이 배부된 금액을 해당 프로세스별로 합하면. 해당 품목의 프로세스별 활동 원가를 산출할 수 있다.
A품목의 구매 프로세스(31) 활동원가는 ∑(W1,X1,Y1,Z1)원이 되며, A품목의 생산 프로세스(32) 활동 원가는 ∑(W2,X2,Y2,Z2)원이 되며, A품목의 판매 프로세스(33)의 활동 원가는 ∑(W3,X3,Y3,Z3)원이 된다. 즉 A품목의 계정별 원가를 계정별 활동구성비에 의해 활동별 원가로 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 프로세스에 배부된 금액 중에서, 특정 계정이 차지하는 금액의 비율, 즉 프로세스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은 구매 프로세스(31)의 각 계정별 구성비 데이터이다.
(3) 여비교통비 계정 구성비 (P1%) = 100*W1/(W1+X1+Y1+Z1)(%)
(4) 복리후생비 계정 구성비 (P2%) = 100*X1/(W1+X1+Y1+Z1)(%)
(5) 임대료 계정 구성비(P3%) = 100*Y1/(W1+X1+Y1+Z1)(%)
(6) 급여 계정 구성비(P4%) = 100*Z1/(W1+X1+Y1+Z1)(%)
위와 같이 계정별 구성비 데이터를 산출하여 기록하면, 품목의 프로세스별 활동원가를 산출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품목의 계정별 비용은 회계상으로 발생된 계정에 의한 원가이므로 원가절감이나 업무개선을 위해서 어떤 개선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충분한 판단기준을 제시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개별 품목의 활동원가산출을 통해 원가가 다른 품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품목은 어떤 업무를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 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스가 최상위 활동을 의미하기 때문에, 프로세스별 활동원가 데이터를 산출하거나 또는 프로세스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를 산출하더라도, 기업의 원가절감의 방향성 또는 업무 개선의 방향성을 제공하는 장점은 있으나, 지나치게 광범위하기 때문에 기업 내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원가절감 부분, 업무 개선 부분을 실효적으로 제공하기는 어렵다. 이를 위해서는 각 프로세스에 속하는 구체적인 활동 단위에 대한 활동원가, 해당 활동별 계정 구성비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통하여, 구매 프로세스(31)에 대해서, 'W1+X1+Y1+Z1'의 금액이 배부되었다. 배부된 금액은 제2 배부기준 데이터(35)에 따라, 구매 프로세스(31)에 속하는 하위 개별 활동 분류(40)에 속하는 단위 활동, 즉 견적활동 단위(41), 발주활동 단위(42), 입고활동 단위(43)로 다시 배부한다. 제2 배부기준 데이터는 각 활동 단위를 담당하는 인원수의 비율, 처리시간의 비율 등에 의하여 정의되어 등록된다. 기타, 견적건수, 견적처리시간, 발주건수, 발주처리시간, 입고건수, 입고처리시간 등 활동처리 건수나 시간 등이 제2 배부기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는 도 2의 상기 S14 단계에서 미리 입력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매 프로세스(31)에 배부된, 'W1+X1+Y1+Z1' 금액은 견적활동 단위(41)로는 A1원이 배부되고, 발주활동 단위(42)로는 A2원이 배부되고, 입고활동 단위(43)로는 A3원이 배부된다. (W1+X1+Y1+Z1)원 = (A1+A2+A3)원이 성립된다. 각 활동 단위로 배부된 금액 중에서, 특정 계정이 차지하는 금액의 비율, 즉 활동 단위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은 구매 프로세스(31)에 속하는 각 활동 단위(41)(42)(43) 중 견적활동(41)의 각 계정의 구성비 데이터이다.
(7) 견적활동의 여비교통비 계정 구성비(Q1%) = P1*A1/(A1+A2+A3)%
(8) 견적활동의 복리후생비 계정 구성비(Q2%) = P2*A1/(A1+A2+A3)%
(9) 견적활동의 임대료 계정 구성비(Q3%) = P3*A1/(A1+A2+A3)%
(10) 견적활동의 급여 계정 구성비(Q4%) = P4**A1/(A1+A2+A3)%
위 (7) 내지 (10) 식에서 발주활동(42)의 각 계정의 구성비 데이터는 해당 계정의 프로세스별 계정 구성비(P1, P2, P3, P4)에, A2/(A1+A2+A3)를 곱하여 구하고, 입고활동(43)의 각 계정의 구성비 데이터는, 해당 계정의 프로세스별 계정 구성비(P1, P2, P3, P4)에, A3/(A1+A2+A3)를 곱하여 구한다.
위와 같은 제2 배부기준 데이터에 의한 각 활동단위에 대한 각 계정의 구성비 데이터는, 즉 활동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는 위와 같은 수식에 의하여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연산한다. 위와 같은 절차에 의해 얻어진 활동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에 계정별 금액을 곱하면 해당 제품의 구체적이고 정확한 활동원가를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시스템에 의하여, 각 품목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나 활동에 대한 파악은 물론, 각각의 원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기업의 원가절감과 업무개선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기업의 노력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내역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시스템은 ERP 시스템에 통합화하여 기업의 경쟁력 제고 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프로세스 구성예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비용집계에서 제품별 활동원가 산출에 이르기까지의 절차를 반복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계정비용이 배부되는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2 배부기준(35)에 따라 다시 단위 활동들로 비용이 배부되는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Claims (8)

  1.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으로서:
    비용 센터의 컴퓨터 단말 및 활동 센터의 컴퓨터 단말이 수집된 비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비용센터의 컴퓨터 단말이 상기 활동센터로의 비용을 배부하는 기준인 제1 배부기준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활동센터의 컴퓨터 단말이 각각의 개별 활동 단위로 비용을 배부하는 기준인 제2 배부기준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1 배부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2 배부기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비용 데이터를 활동 단위로 배부 처리하여, 활동별 원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활동별 원가 데이터의 계정별 금액을 기준으로 활동별 계정 구성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활동별 원가 데이터와 품목별 원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저장된 품목별 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활동별 계정 구성비에 의한 품목별 활동 원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품목별 원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는 기저장된 품목별 계정금액과, 상기 활동별 계정 구성비를 연산(곱)하여 품목별 활동원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2. 삭제
  3.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으로서:
    비용 센터의 컴퓨터 단말 및 활동 센터의 컴퓨터 단말이 수집된 비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비용센터의 컴퓨터 단말이 상기 활동센터로의 비용을 배부하는 기준인 배부기준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배부기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비용 데이터를 활동 센터로 배부 처리하여, 활동별 원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활동별 원가 데이터와 품목별 원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저장된 품목별 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활동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품목별 원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는 기저장된 품목별 계정금액과, 상기 활동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를 연산(곱)하여 품목별 활동원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센터의 컴퓨터 단말은 최상위 활동으로 정의되는 1개 이상의 프로세스와, 상기 프로세스에 계층적으로 속하는 1개 이상의 활동 단위를 포함하는,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센터의 컴퓨터 단말은 최상위 활동으로 정의되는 1개 이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활동별 원가 데이터는 프로세스별 원가 데이터이며, 상기 활동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는 상기 프로세스 기준으로 산출되는 것인,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센터의 컴퓨터 단말은 최상위 활동으로 정의되는 1개 이상의 프로세스와, 상기 프로세스에 계층적으로 속하는 1개 이상의 활동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활동별 계정 구성비 데이터는, 상기 활동 단위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것인,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8.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90000681A 2009-01-06 2009-01-06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KR10104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681A KR101041500B1 (ko) 2009-01-06 2009-01-06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681A KR101041500B1 (ko) 2009-01-06 2009-01-06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43A KR20100081443A (ko) 2010-07-15
KR101041500B1 true KR101041500B1 (ko) 2011-06-14

Family

ID=4264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681A KR101041500B1 (ko) 2009-01-06 2009-01-06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011A (ko)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현장 관리 시스템
KR20210132621A (ko) 2020-04-27 2021-11-04 김효상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706B1 (ko) 2018-09-12 2020-05-28 안철 전사적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2381411B (zh) * 2020-11-16 2024-01-26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群体生产活力的评估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848A (ko) * 2006-09-15 2008-03-19 이종량 활동 원가에 기초한 원가 계산 방법 및 원가 계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848A (ko) * 2006-09-15 2008-03-19 이종량 활동 원가에 기초한 원가 계산 방법 및 원가 계산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시스템 G&I - 관리회계를 위주로(한국경영정보학회, 영림원소프트랩, 2007.5.31 발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011A (ko)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현장 관리 시스템
KR20210132621A (ko) 2020-04-27 2021-11-04 김효상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43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Information sharing in a sustainable supply chain
Baykasoğlu et al. Application of activity-based costing to a land transportation company: A case study
Chea Activity-based costing system in the service sector: A strategic approach for enhancing managerial decision making and competitiveness
Kumar et al. Current trends of application of activity based costing (ABC): A review
Balakrishnan et al. Product costs as decision aids: An analysis of alternative approaches (Part 2)
Dehghan-Bonari et al.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through call option contract and revenue-sharing contract to cope with demand uncertainty
US20130085801A1 (en) Supply Chain Performance Management Tool Having Predictive Capabilities
US20090216576A1 (en) Method for constrained business plan optimization based on attributes
US20130024226A1 (en) Enterprise planning tool
Manyaeva et al. Strategic management accounting of company costs
Lee et al. Application of simulation technique to activity-based costing of agricultural systems: a case study
KR101041500B1 (ko)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Raut Environmental Performance: A Hybrid Method for Supplier Selection using AHP-DEA.
vom Brocke et al. Linking accounting and process-aware information systems–towards a generalized information model for process-oriented accounting
WO2009105100A1 (en) A method for constrained business plan optimization based on attributes
Järvinen et al. Customer Profitability Analysis Using Time-Driven Activity-Based Costing. Three Interventionist Case Studies.
US20140129269A1 (en) Forecasting Business Entity Characteristics Based on Planning Infrastructure
Cadavid et al. A framework for decision support system in inventory management area
Kannan et al. 3PRLP's selection using an integrate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linear programming
Adebayo et al. Transportation optimality approach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manufacturing firms in Lagos State: a decision approach
vom Brocke et al. Process management and accounting-an overdue take on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business processes
Bara et al. Economic evaluation in decision models: a critical review and methodological propositions
Radivojević et al. BI applications in Logistics
Dunković et al. MARKETING ASPECTS IN STRATEGIC MANAGEMENT ACCOUNTING.
Kamathi et al. INFLUENCE OF PROCUREMENT MANAGEMENT SYSTEMS ON PERFORMANCE OF MOTOR INDUSTRY IN KENY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