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591A -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그리퍼 조들 및 블레이드들, 및 인슐레이션 스트리퍼 - Google Patents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그리퍼 조들 및 블레이드들, 및 인슐레이션 스트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591A
KR20200093591A KR1020207018033A KR20207018033A KR20200093591A KR 20200093591 A KR20200093591 A KR 20200093591A KR 1020207018033 A KR1020207018033 A KR 1020207018033A KR 20207018033 A KR20207018033 A KR 20207018033A KR 20200093591 A KR20200093591 A KR 20200093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s
blades
gripper
cutting
gripper ja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043B1 (ko
Inventor
게오르크 홀란트-모리츠
미하엘 브뤼크너
랄프 레글러
Original Assignee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9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0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12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를 위한 그리퍼 조들(19, 20)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조는 파지 표면(F) 및 부착 연장부(76)를 포함하며, 파지 표면들이 끼워맞춰질 때 파지될 케이블(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들(81)은 파지 표면(F) 상에서 형성되고 그리고 리브들에 대응하는 홈형 오목부들(82)을 포함하고 그리고 리브들 사이에서 이어지며, 오목부들은 오목 베이스(83)를 갖는다. 그리퍼 조들 및 또한 사용의 용이함을 개선하기 위해 이러한 유형의 그리퍼 조들을 가지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추가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그리퍼 조들(19, 20)이 끼워맞춰질 때, 리브들(81)은 파지될 케이블(21)의 두께에 따라 대향 그리퍼 조(19, 20)의 오목부들(82) 내로 진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그리퍼 조들 및 블레이드들, 및 인슐레이션 스트리퍼
[0001] 먼저, 본 발명은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그리퍼 조들(gripper jaws)에 관한 것이며, 그리퍼 조들은 파지(gripping) 표면 및 부착 연장부(attachment extension)를 각각 가지며, 여기서 설치 상태로 파지될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들은 홈형 오목부들이 리브들 사이에서 그에 맞춰 이어지는 상태로 파지 표면 상에 형성되며, 이 오목부들은 오목 베이스를 갖는다.
[0002]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인슐레이션 스트리퍼(insulation stripper)를 위한 블레이드들에 관한 것이며, 단면에서 예각을 가지는 블레이드 팁으로 이어지는 이들의 자유 단부들에서, 블레이드들은 측면도에서 함몰부를 가지는 윤곽선을 가지며, 이 윤곽선은 블레이드의 종단선(termination line)을 형성하고, 이 윤곽선은 일체로 형성되는 블레이드들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함몰부는 측면도에서 (선택적 제1) 반경을 가지는 연속 곡선으로서 나타난다.
[0003]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외부 그리퍼 조들, 블레이드들을 갖는 2개의 내부 절단 조들, 및 2개의 핸들 부품들을 갖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에 관한 것이다.
[0004] 논의 중인 유형의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들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EP 1 557 920 B1 (US 7,513,177 B2), 또는 DE 44 20 006 C2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들은 전기 케이블들을 스트리핑(stripping)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케이블은 플라이어형(plier-like) 방식으로 작용하는 핸들 부품들을 함께 가압하는 결과로서 외부 그리퍼 조들 사이에서 클램핑되며, 여기서, 핸들 부품들을 추가적으로 함께 가압하는 동안, 블레이드들은 케이블의 절연 피복부로 잘라내고(cut into)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핸들 부품들의 추가의 가동 동안 노출될 전도체로부터 절연 피복부를 빼낸다.
[0005] 이전에 설명된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그리퍼 조들 및 블레이드들, 더욱이 사용을 위한 유리한 방식으로 이러한 그리퍼 조들 및 블레이드들을 가지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추가적으로 개선하는 것에서 알게 된다.
[0006] 제1 발명의 개념에 따라, 본 목적의 가능한 해결책은 그리퍼 조들에 의해 제공되며, 여기서 초점은, 그리퍼 조들의 설치 상태에서, 리브들이 파지될 케이블의 두께에 따라 반대편 그리퍼 조의 오목부 내로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0007] 이에 의해, 파지될 부품의 두께에 따라, 반대편 그리퍼 조들의 형상 끼워맞춤(form fit)은 각각의 경우에 합쳐짐(bring together)의 종료시에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달성된다.
[0008] 설치 상태에서 둘 모두의 반대편 그리퍼 조들의 모든 리브들이 이들의 길이 방향 연장부의 부분 상에 오목한 돌기를 가지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0009] 둘 모두의 그리퍼 조들에서의 이러한 돌기는, 클램핑 케이블들이 비교적 작은 단면들을 가질 때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된다. 리브의 돌기에서, 케이블은 이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 배향되는 유지(holding)를 겪는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폐쇄된 포지션의 그리퍼 조가 획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클램핑된 케이블 외측에 있는 길이 방향으로의 하나의 그리퍼 조의 리브들은, 그리퍼 조들의 폐쇄 포지션에서 케이블의 특정한 높이 또는 연장부에 걸쳐 케이블을 둘러싸거나 심지어 다른 그리퍼 조의 오목부들에서 맞물린다.
[0010] 오목한 돌기는, 바람직한 바와 같이, 둘 모두의 그리퍼 조들에 관해 동일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둘 모두의 돌기들 중 돌기들은 이들의 개구들과 함께 서로를 향해 가리킨다.
[0011] 그리퍼 조의 모든 리브들의 오목한 돌기의 결과로서, 오목부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로막히는 전반적인 트로프형 압입부(trough-like indentation)는, 돌기들 외측에 있는 리브 전방 면들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걸쳐있는(spanned)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파지 표면을 참조로 하여, 스트리핑을 위해 삽입되는 케이블에 대한 길이 방향 연장부에서 그리퍼 조에 걸쳐 획득된다.
[0012] 추가의 발명 개념에 따라, 본 목적의 가능한 해결책은 블레이드들에 의해 제공되며, 여기서 초점은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측면들 상에서, 삽입된 케이블을 계속 에워싸는 동안, 함몰부(depression)는 윤곽선에 접하며, 절단 평면의 절단 방향에서, 이 윤곽선은 절단 방향 및 절단 평면의 방향으로 계속되고, 그리고 제1 곡률과 비교하여 더 작은 곡률를 가진다는 사실에 있다.
[0013]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블레이드들은 인슐레이션 스트리퍼에 대해 특정되며, 이 블레이드들은 유리하게는 상이한 직경들의 케이블들의 절연 피복부를 잘라내는데 적합하다. 제안된 블레이드의 기하학적 형상의 결과로서, 절연 피복부에서의 충분한 절개(incision)는 케이블 직경에 대해 일반적인 사용 범위에 걸쳐 케이블의 원주 방향으로 달성될 수 있어서, 절단되지 않았던 작은 원주 방향 섹션을 선택적으로 인열시키면서(tearing off) 분리될 절연 피복부의 섹션의 후속 제거가 실행에 대해 안전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0014] 함몰부를 넘어, 이로부터 볼 때, 윤곽선의 추가적인 연장이 삽입된 케이블에 대해 포괄적인 방식으로 생성된다. 윤곽선은 또한 절단 평면에서 또는 절단 평면을 따라, 즉, 삽입된 케이블을 참조하여 횡방향으로의 팽창 연장부와 함께 연장한다.
[0015] 인슐레이션 스트리퍼에 관하여, 추가적인 발명 개념에 따른 목적의 가능한 해결책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이 해결책에는 이전에 그리고/또는 후속하여 설명되는 특징들을 가지는 그리퍼 조들 및/또는 블레이드들이 제공된다.
[0016] 따라서,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는 그리퍼 조들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설치 상태에서 둘 모두의 반대편 그리퍼 조들의 모든 리브들은 이들의 길이 방향 연장부의 부분 상에 오목한 돌기를 갖는다. 더욱이,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는 대안적으로 또는 또한 조합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블레이드들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측면들 상에서, 삽입된 케이블을 계속 에워싸는 동안, 함몰부는 윤곽선과 접하며, 절단 평면의 절단 방향에 대해 윤곽선은, 절단 방향의 방향으로 계속되고 그리고 제1 곡률과 비교하여 더 작은 곡률을 갖는다.
[0017]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이후에, 또한 도면들의 설명에서, 제1 항 및/또는 추가의 독립항들의 청구 대상 또는 추가의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대한 이들의 바람직한 과제에서 빈번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 특징들은 또한 제1 항 및/또는 추가의 독립항들 또는 추가의 청구항들의 단지 개별적인 특징들에 대한 과제에서 또는 각각의 경우에 독립적으로 중요할 수 있다.
[0018]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그리퍼 조 측 리브(gripper-jaw-side rib)의 돌기는 리브의 길이에 대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그리퍼 조의 모든 돌기들은 중심에 각각 형성된다.
[0019] 더욱이, 돌기는 깊이에 대해 각각 할당된 오목 베이스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의 가장 깊은 영역은 리브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관찰되는 리브의 높이 연장부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둔다.
[0020] 또한, 오목 베이스는 오목부의 길이에 걸쳐 깊이가 다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리브 단부 면들에 의해 결쳐있는 파지 표면에 대해 오목 베이스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평면-평행한 또는 단차형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0021] 또한, 돌기의 영역의 오목 베이스는 가장 작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리브들의 전방 면들을 갖는 평탄 파지 표면에 걸쳐있는, 리브의 상부 자유 전방 면으로부터 시작하는, 리브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하게 측정된다. 따라서, 오목 베이스는 상승부를 더 가질 수 있으며, 이 상승부는, 바람직한 구성에서, 오목 베이스의 범위를 정하는 리브들의 돌기의 영역에서 연장할 수 있다.
[0022] 하나의 가능한 구성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오목 베이스는 리브 또는 오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돌기의 영역에서 오목부의 단면에 대해 돔형 상승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길이 방향 단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오목부의 경계선은, 선택적으로, 연장부에 전체에 걸쳐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는 반경을 가질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또한 연장부에 걸쳐 상이한 반경들을 갖는 원형선을 따를 수 있다.
[0023] 따라서, 돔형 상승부는 오목부의 연관된 마진 에지(marginal edge)에 대해 단면에서 관찰되는 마진 에지에 대한 반대편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지향될 수 있으며, 이 연관된 마진 에지는 또한, 연장 길이에 걸쳐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변하는 반경을 추가적으로 선택적으로 또한 가지는 원형선을 또한 따를 수 있다.
[0024] 오목부의 가장 큰 깊이는 2개의 리브들의 리브 표면의 영역에서 2개의 리브들 사이의 자유 거리의 1/3 내지 5/3에 대응할 수 있다. 서로에 대한 2개의 리브들의 거리는 또한, 선택적으로 돔형 상승부들의 시작 전에 또는 위로부터 관찰될 때,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돔형 상승부들에 바로 인접한 상부 리브 단부들의 영역에서 오목부의 폭을 규정한다.
[0025] 그리퍼 조를 절연 스트리퍼 상에 고정하기 위해, 부착 연장부가 제공된다. 이는 베이스 본체로부터 또한 돌출하는 리브들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그리퍼 조의 베이스 본체로부터 연장한다. 부착 연장부는 리브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평면을 갖는 플레이트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부착 연장부는, 예를 들어, 리브의 연장 길이의 4/5까지 대략 연장 절반에 걸쳐 리브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연장부의 관련된 길이는 실질적으로 리브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심지어 이 리브의 길이를 초과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관찰될 때, 부착 연장부는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동일한 방향으로 관찰되는 리브의 두께의 1배 내지 3배, 선택적으로 최대 5배에 대응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칼형(sword-like) 부착 연장부는 바람직한 구성으로 획득된다.
[0026] 또한, 부착 연장부는 리브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가장 큰 길이를 갖는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슬롯은 플라이어 조의 전방 면으로부터 그리퍼 조의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나사에 의해 횡단된다. 슬롯은, 예를 들어, 공차들을 보상하기 위해 나사의 관통에 관하여 약간의 유격(play)을 남긴다. 플라이어 조의 전방 면으로부터의 나사 체결은 핸들링 기술에 대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된다.
[0027] 하나의 가능한 구성에서, 그리퍼 조의 제조는 소결 방법으로 제공된다.
[0028] 블레이드 윤곽부에 관해, 보다 작은 곡률은 선택적으로 제2 반경을 가지는, 추가적으로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반경과 비교하여 보다 큰 반경, 예를 들어, 제1 반경의 약 5배 내지 20배, 더욱이 선택적으로 최대 50배 이상의 치수를 가지는 원형선을 따를 수 있다.
[0029] 또한, 또한 바람직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곡률은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측면들 상에서 윤곽선의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절단 윤곽선의 예를 들어, V 형상 프로파일은 오목부의 영역에서 획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함몰부의 V-팁(tip)은 선택적으로 제1 반경을 가지는 연속 곡선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윤곽선의 이러한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은, 그 후 윤곽선의 제2 곡률에만 단지 접할 수 있다.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은, 인슐레이션 스트리퍼가 중력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절단 방향과 정렬될 때 수평으로 이어질 수 있다.
[0030] 제1 반경을 가지는 라운딩된 V-팁은 블레이드에 의해 보다 작은 직경 케이블의 유리한 둘러싸는 것(embracing)을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원주 방향으로의 절연 피복부의 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원주 방향 절개를 달성할 수 있다.
[0031] 더욱이, 함몰부에 대한 2개의 외부 반대편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들의 경우에, 이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들은 공통의 직선에 따라 이어진다. 이러한 추가의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들은, 바람직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둘 모두의 측면들 상의 함몰부의 범위를 정할 수 있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함몰부를 갖는 블레이드의 윤곽선을 전반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가능한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들은 절단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향되게 연장할 수 있다.
[0032] 논의 중인 유형의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는 특히, 이전에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각각의 경우에 그리퍼 조들 및/또는 블레이드의 배열의 결과로서 핸들링 기술에 대해 더 개선된다.
[0033] 본 발명은, 그러나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그리퍼 조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절단 조들의 쌍을 개별적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은 절단 조들의 쌍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4는 절단 조들의 쌍의 추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선(V-V)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가동되지 않은 기본 포지션에 관한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통한 길이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가동(actuation) 동안 중간 포지션에 관한 도 6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인슐레이션 스트리퍼의 추가의 가동 동안 도 7에 대한 팔로우-업 다이어그램(follow-up diagram)을 도시한다.
도 9는 가동 종료 포지션에 관한 도 8에 대한 팔로우-업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은, 절단 조들의 쌍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풀 로드의 잠금해제 포지션에 관한 도 7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의 길이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6의 영역(XI)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되는 영역을 부분 절취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영역의 추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의 그리퍼 조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도 15는 그리퍼 조를 추가의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그리퍼 조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영역(XVII)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4의 화살표(XVIII)에 따른 그리퍼 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의 선(XIX-XIX)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도 18의 선(XX-XX)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21은 절단 조의 블레이드를 개별적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2는 블레이드를 통과하는 도 21의 선(XXII-XX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23은 블레이드를 확대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24는 절단 조들의 쌍의 둘 모두의 블레이드들의 배열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그리퍼 조들 사이에 삽입되는 스트리핑될 케이블을 갖는 플라이어들 마우스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1의 영역(XXVI)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인슐레이션 스트리퍼의 플라이어 조들 및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에 따른 추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를 설정하기 위한 조절 수단 배열체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0은 조절 수단 배열체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1은 제1 및 제2 편심부를 갖는 조절 수단 배열체의 편심 부품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2는 도 31에 따른 배열체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3은 제1 편심부의 영역을 통과하는 도 31의 선(XXXIII-XXXI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34는 제2 편심부의 영역을 통과하는 도 31의 선(XXXIV-XXXIV)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35는 도 7의 영역(XXXV)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도 35에 대응하지만 조절 수단 배열체에 의한 수동 절단 깊이 조절 후의 도면을 도시한다.
[0034] 2개의 플라이어 조들(2, 3) 및 2개의 핸들 부품들(4, 5)을 갖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가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그리고 설명된다. 플라이어 조들(2 및 3)은 플라이어들 마우스(M)의 범위를 정한다.
[0035] 이후 고정된 것으로 지정되는 플라이어 조(2)는 칙 영역(cheek region)(6)을 통해 핸들 부품(4)에 대해 직접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연결된다.
[0036] 칙 영역(6)에서,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는, 회전 축(7)을 위한 장착에 이후에 추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플라이어 조(3)가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기하학적 축(x)을 제공한다.
[0037] 회전 축(7) 상에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장착은,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칙 영역(6)에 대한 돌출시에 축(x)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연장 숄더 영역(8)의 영역에서 획득된다.
[0038] 예를 들어 도 6의 도면에 따른 플라이어들 마우스 개방 포지션은,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연관된 지지 표면(10) 상의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 상의 돌출 영역(9)의 지지의 결과로서 범위를 정하는 것이 중지된다(stop-delimited).
[0039] 추가의 핸들 부품(5)은 회전 축(7) 또는 이의 기하학적 축(x)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추가의 기하학적 축(y)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관련된 물리적인 축은 마찬가지로 고정된 플라이어 조(2) 또는 고정된 핸들 부품(4)의 칙 영역(6)에서 유지된다.
[0040]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은 고정된 핸들 부품(4)의 방향으로 축(y)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며, 여기서 고정된 핸들 부품(4)의 방향으로의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의 선회가능한 변위는 축(x)을 중심으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커플링된 회전 움직임을 초래한다.
[0041]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각도로 동작하는 제어 레버(11)는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에 체결되며, 예를 들어 링키지의 방식으로 구성되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숄더 영역(8)의 사이드 암(13) 상의 이러한 영역에 바람직하게 배열되는 롤러(12)와 함께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 제어 레버는 그의 자유 단부와 작용한다.
[0042] 제어 레버(11)는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선회가능하도록 유지된다. 관련된 선회 축은 바람직하게는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하게 동작한다.
[0043] 바람직하게는 레그 스프링의 형태의 복귀 스프링(14)은 제어 레버(11)와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 사이에서 작용한다. 이는 도 6에서 도시되는 기본 포지션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을 로딩한다.
[0044] 이러한 기본 포지션에서, 핸들 영역을 등지는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의 기하학적 축(y)을 참조하여 연장하는 돌출 영역(15)은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숄더 영역(8)에 작용하여, 이는 압박되고 그리고 그의 정지-제한된 포지션에 유지된다.
[0045] 게다가,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은,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인 경우, 안내부(16)를 통해 칙 영역(6)의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블레이드(17)에 작용한다. 블레이드(17)의 장착은 칙 영역(6)에서 성취되며, 여기서 관련된 기하학적 축(z)은 또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하게 동작한다.
[0046] 블레이드(17)는 고정된 플라이어 조(2) 또는 칙 영역(6)의 자유-절단 영역(18)에서 자유롭게 놓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예를 들어 추가의 단계에서 스트리핑될 케이블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0047] 고정된 핸들 부품(4)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의 선회 변위 동안 블레이드(17)의 선회 움직임으로 인해, 영역(18)의 범위를 정하는 칙 영역(6)의 플랭크들에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영역(18)에 선택적으로 놓이는 케이블은 선회 블레이드(17)에 의해 절단된다.
[0048] 2개의 플라이어 조들(2 및 3) 각각은 자유 단부를 스트리핑하기 위한 플라이어들 마우스(M)에 삽입되는 케이블(21)의 클램핑 파지를 위한 외부 그리퍼 조(19, 20)를 갖는다(도 13 내지 도 16을 비교).
[0049] 더욱이,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해 그리퍼 조들(19 및 20)의 배열을 참조한 2개의 내부 절단 조들(22, 23)이 제공되며, 각각의 경우에 블레이드들(24, 25)은 그리퍼 조들(19 및 20)을 향하는 단부 영역에 고정된다. 블레이드들(24 및 25)은, 블레이드들이 서로를 향해 가리키도록 배열된다.
[0050] 절단 조들(22 및 23)(이 절단 조들에 대한 참조가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대해 더 상세히 이루어짐)은 절단 조 쌍(cutting jaw pair)(26)을 형성하도록 조합되고 그리고 블레이드들(24 및 25)을 등지는 단부들의 영역에서 선회 축(27)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이 선회 축(27)은 서로에 대한 절단 조들(22 및 23)의 상대적인 선회능력(pivotability)을 허용한다.
[0051] 선회 축(27)의 기하학적 축은 바람직하게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한 정렬로의 절단 조 쌍(26)의 작동 준비된 배열로 연장한다.
[0052] 스프링(28)은 실린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묘사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단 조들(22 및 23) 사이에 배열되며, 스프링(28)은 절단 조들(22 및 23)을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개방 포지션으로 로딩한다.
[0053]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절단 조(23) 상에서, 즉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할당되는 절단 조(22) 상에서, 절단 조(22)의 연장 방향으로 래칭된 포지션에 고정될 수 있는 정지 슬라이드(stop slide)(29)가, 이에 의해 스트리핑될 영역의 길이를 규정하기 위해 플라이어들 마우스(M) 내로 삽입되는 케이블(21)의 자유 단부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하도록 제공된다.
[0054] 절단 조들(22 및 23)은, 각각 할당된 플라이어 조(2, 3)(도 12 및 도 13을 또한 비교)에서 측방향으로 안내되어, 그의 길이 방향 연장의 방향으로, 즉, 종료 포지션의 방향으로의 그리퍼 조들(19 및 20)에 할당되는 처음 포지션으로부터 시작하는, 절단 조(22 및 23)의 순차적인 슬라이딩 변위(orderly sliding displacement)를 가능하게 하며, 이 절단 조(22 및 23)는 그리퍼 조들(19 및 20)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격되고 그리고 이러한 회전 축(x)의 방향으로 그리고 종료 포지션으로부터 시작 포지션으로 다시 변위된다.
[0055] 풀 로드(30)는 대체로, 절단 조들(22, 23), 바람직하게는 절단 조 쌍(26)의 이러한 변위를 위해 제공된다. 풀 로드(30)에 작용하는 스프링(39)의 힘에 대해 핸들 부품들(4, 5)을 함께 가압하는 동안 절단 조들(22, 23)은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종료 포지션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풀 로드(30)는 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슬롯(34)에 이동가능한 풀 핀(pull pin)(33)에 의해 횡단된다. 풀 로드(30)는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그의 핸들 측 단부 상에서의 풀 로드(30) 상에 체결되는 변위 부품을 갖는다. 변위 부품은 핸들 측 장착에 대해 풀 로드(30)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풀 로드(30)에 대한 스프링(39)의 힘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0056] 변위 부품은 특히 슬리브(35)로서 구성될 수 있다.
[0057] 풀 로드(30)가 핸들 측 장착에 대해 자유롭게 되다면, 풀 로드(30)는 풀 핀(33)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할 수 있다. 대응하는 선회의 결과로써, 절단 조들(22, 23)은 풀 로드(30)로부터 해제된다.
[0058] 풀 로드(30)는 또한 풀-로드-측 슬롯형 오목부(pull-rod-side slot-like recess)(31)를 횡단하면서, 물리적인 회전 축(7)을 통해 안내된다.
[0059] 절단 조 쌍(26)의 선회 축(27)에 할당되는 풀 로드(30)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방향으로, 더욱이 실질적으로 절단 조들(22 및 23)의 폐쇄 또는 개방 방향으로 지향되는 삽입 개구(32)를 갖는다. 이는 풀 로드(30)의 관련된 단부 영역의 전체적인 후크형 구성에 의해 생성된다.
[0060]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의 보통의 사용 포지션에서, 절단 조 쌍(26)의 선회 축(27)은 이러한 삽입 개구(32)에 놓여서, 그에 따라 오목부(31)의 슬롯형 구성의 결과로서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풀 로드(30)의 슬라이딩 움직임이 절단 조 쌍(26)의 대응하는 슬라이딩 변위로 이어진다.
[0061] 풀 로드(30)의 이러한 슬라이딩 변위는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 상에 유지되는 제어 레버(11)에 대한 커플링을 통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이 제어 레버(11)는 회전 축(7)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풀 핀(33)과 맞물리며, 이는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풀-로드-측 슬롯(34)에서 롤러(12)를 위한 축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슬롯(34)의 중심 길이 방향 라인은 풀 로드(30)의 변위 방향(r)에 대해 약 60° 내지 85°,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약 75°의 예각(α)으로 에워싼다.
[0062] 특히 회전 축(7) 및 풀 핀(33)의 영역에서 안내되는 영역에 대해 구부러진(bent) 풀 로드(30)의 섹션은, 고정된 핸들 부품(4) 내측에서, 임의의 경우, 이에 대한 할당시에,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의 일반적인 사용 포지션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0063] 핸들 측 단부의 영역에서, 풀 로드(30)는 상기 슬리브(35)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풀 로드(30) 상에서 캡티브(captive) 방식으로 유지되며, 이는 풀 로드(30)에 대한 슬리브(35)의 슬라이딩 변위능력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각각의 경우에 단부에서 슬리브 벽(37)의 영역의 핀 형상 리테이너 부품(36)을 고정시키면서, 슬리브 단면을 횡단하는 핀 형상 리테이너 부품(36)의 결과로서 가능하게 된다. 핀 형상 리테이너 부품(36)은 이러한 경우에 추가의 슬롯(38)의 영역에서 단부 영역쪽으로 슬리브(35)에 수용되는 풀 로드(30)를 횡단한다.
[0064] 스프링(39)은 슬리브(35) 내측에 슬리브(35)의 베이스(40) 상에서 일단부에 그리고 베이스(40)를 향하는 풀 로드(30)의 숄더(41) 상에서 타단부에 지지되는 실린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슬리브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의 풀 로드(30) 및 슬리브(35)의 상대적인 변위가 스프링(39)의 힘에 대해 가능하게 된다.
[0065]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슬리브(35)는 핸들 내부 측 상의 공동(cavity)(42)에서의 풀 로드(30)의 연관된 단부 영역과 함께 수용되며, 여기서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의 작동 준비된 상태에서, 슬리브(35)는 베이스(40) 위로 돌출하는 핀 형상 연장부를 통해 공동 베이스(cavity base)(43)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0066] 더욱이, 슬리브(35)는, 특히 공동(42)의 영역에서 핸들 부품(4) 상에 형성되는 래칭 오목부(45)에 맞물리기 위한 래칭 돌출부(44)를 갖는다.
[0067] 스프링 장착된 슬리브(35)의 이전에 설명된 배열 및 구성의 결과로서, 풀 로드(30)는 핸들 부품 측 상의 장착으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다(도 10을 비교). 이후에, 위에서 추가적으로 이미 설명되었던 바와 같이, 풀 로드(30)는 회전 축(7)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으며, 이는 풀 로드(30)의 슬롯(34)에서 안내되는 풀 핀(33)에 의해 부가적으로 또한 가능하게 된다.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의 방향으로의 풀 로드(30)의 이러한 선회 변위의 결과로서, 삽입 개구(32)를 가지는 풀 로드(30)의 자유 단부의 상방 선회는 절단 조 쌍(26)의 선회 축(27)을 해제하도록 유발된다. 더욱이, 풀 로드(30)의 상방 선회 움직임시에 선택적으로 중첩되는, 슬롯형 오목부(31)에서 맞물리는 회전 축(7)에 의해 안내되는 선형 움직임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풀 핀(33)을 통해 포함되는 제어 레버(11)는 복귀 스프링(14)의 힘과 반대로 선회가능하게 변위된다.
[0068] 도 10의 도면에 따른 풀 로드(30)의 상방으로 선회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된 포지션에서, 핸들링 기술에 관하여 유리한 방식으로의 절단 조 쌍(26)의 제거는, 절단 조들(22 및 23)을 로딩하는 스프링(28)에 대항하여 폐쇄 포지션의 방향으로의 절단 조들(22 및 23)의 선회 움직임을 실행하면서 성취될 수 있다.
[0069] 심지어 절단 조 쌍(26)의 재삽입후에,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의 정확한 작동 포지션은 핸들링 기술에 관한 유리한 방식으로 그리고 공구가 없는 방식으로 채택될 수 있다.
[0070] 절단 조들(22 및 23)은, 핸들 레그들(handle legs)(4 및 5)을 함께 운반하면서,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되는 개방 포지션으로 절단 조들(22 및 23)을 로딩하는 스프링(28)에 대한 폐쇄 포지션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가능하다.
[0071] 절단 조들(22 및 23)은 더욱이 교환을 위해 쌍으로 조합되어 제거가능하다. 더 상세하게, 절단 조들(22 및 23)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액슬 핀(axle pin)으로서 구성되는 선회 축(27)을 통해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0072] 각각의 절단 조(22, 23)는 링키지 부품(46, 47)을 통해 할당된 플라이어 조(2, 3)에서 지지되며, 이 링키지 부품(46, 47)은 클램핑-조 고정된 링키지(48, 49) 상에서 결국 지지된다.
[0073] 각각의 플라이어 조(2, 3) 상의 절단 조들(22, 23)의 이러한 간접적인 지지는 처음에 언급된 EP 1 557 920 B1으로부터 또한 공지되어 있다. 작동의 모드에 관한 이러한 특허 출원의 내용에 대한 참조가 또한 이루어진다.
[0074] 슬라이딩-웨지형(sliding-wedge-like) 링키지 부품(46 또는 47)은 슬라이딩 웨지 표면의 유형으로서 조 측 상에 구성되는 링키지(48 또는 49)를 따른 변위를 위해 적합하다. 링키지 부품(46, 47) 및 링키지(48, 49)의 협동 표면들의 반경들은 서로 일치된다. 전반적으로, 실질적으로 풀 로드(30) 및 절단 조 쌍(26)의 변위 방향(r)으로의 링키지 부품들(46 및 47)의 슬라이딩 변위능력이 주어진다.
[0075]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안내되는 링키지 부품(46)은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플라이어 조(2) 또는 고정된 핸들 부품(4)의 칙 영역(6)에 커플링 로드(50)를 통해 연결되며, 이는 제1 슬롯(52)의 칙 영역(6)에서 안내되는 커플링 로드(50)의 단부에서 제1 축(51)을 통해 제공된다.
[0076]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서 안내되는 링키지 부품(47)은 또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숄더 영역(8)에 제공되는 제2 슬롯(55)에서의 맞물림을 위해, 단부에서 제2 축(54)을 지닐 수 있는 커플링 로드(53)를 가질 수 있다.
[0077] 예를 들어, 도 6의 도면에 따른 기본 포지션을 참조하여, 슬롯들(52(도 25를 또한 참조) 및 55(도 27을 또한 참조))은 회전 축에 대해 수직하게 정렬된 평면에서 기하학적 회전 축(x)의 방향으로 동일한 부분의 돌출을 참조하여 정렬되어서, 이 슬롯들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변위 방향(r)에 대해 약 45°의 예각으로 에워싸며, 여기서 슬롯들(52 및 55) 둘 모두는 실질적으로 회전 축(x)의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로 동작한다.
[0078] 조-측 링키지들(48 및 49)과 협동하여 링키지 부품들(46 및 47)의 이전에 설명된 배열의 결과로서, 그리고 또한 추가적으로 실질적으로 반대편의 플라이어 조의 영역에 대한 커플링 로드들(50 및 53)을 통한 링키지 부품들(46 및 47)의 연결의 결과로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독립적인 (자동) 절단 깊이 일치(matching)가 케이블 외경에 따라 달성된다.
[0079] 핸들 부품들(4 및 5)이 적합하게 함께 가압될 때 그리퍼 조들(19 및 20) 사이에서 파지될 케이블(21)의 직경 또는 두께에 따라, 블레이드들(24 및 25) 및 절단 조들(22 및 23)의 상이한 절단 깊이들이 획득되는데, 왜냐하면 그리퍼 조들(19 및 20)의 파지된 케이블 두께 및 연관된 스페이싱(spacing)에 따라 그리고 플라이어 조들(2 및 3)의 파지된 케이블 두께 및 연관된 스페이싱을 통해, 링지키들(48, 49)을 따른 링키지 부품들(46 및 47)의 슬라이딩 변위가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링키지 부품들(46 및 47) 상의 절단 조들(22 및 23)을 위한 지지점이 변하기 때문이다. 케이블 두께에 따라, 링키지 부품들(46 및 47)은 커플링 로드들(50 및 53)을 통해 변위 방향(r)으로 또는 이와 반대로 동일한 양만큼 변위된다.
[0080] 커플링 깊이의 설정이 성취되며, 이에 의해 핸들 부품들(4 및 5)을 함께 그리고 플라이어 조들(2 및 3)의 이를 통한 가압 및 회전 축(7)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연관된 편향 동안,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하부 링키지 부품(47)이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연결되는 커플링 로드(53)를 통해 마우스 팁으로부터 약간 빼내어진다. 이렇게 할 때, 링키지 부품(47)은 소정의 양만큼 변위된다. 이러한 변위의 결과로서, 연관된 절단 조(23)는 운반 양(delivery amount)만큼 폐쇄되며, 그리고 동시에 링키지 부품(47)의 각도 포지션(angular position)이 변경된다.
[0081] 이와 동기식으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편향이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커플링 로드(50)를 통해 연결되는 링키지 부품(46)을 통해 발생하여, 이에 따라 연관된 링키지(48)에 대한 링키지 부품(46)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링키지 부품(47)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한다. 여기서 또한, 길이 방향 변위에 수직한 연관된 절단 조(22)의 운반 움직임 및 링키지 부품(46)의 포지션 수정이 이에 따라 발생한다.
[0082] 핸들 부품들(4 및 5)을 함께 가압하는 동안, 우선적으로, 절단 조 쌍(26)의 중첩된 폐쇄로의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대응하는 선회 변위의 결과로서 플라이어들 마우스(M)의 폐쇄가 실행된다(도 7을 비교). 절단 조들(22 및 23)의 블레이드들(17)은 케이블(21)의 절연 슬리브로 절단되며, 이는 케이블 두께에 따른 이전에 설명된 구성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는 절개(incision) 깊이를 갖는다.
[0083]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선회 변위는, 변위 방향(r)으로 대략적으로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의 기본 포지션에서 정렬되는 사이드 아암(13)의 직면하는 제어 표면 상의 제어 레버(11) 상에 배열되는 롤러(12)의 대응하는 작용의 결과로서 달성된다.
[0084] 도 8의 도면에 따른 고정된 핸들 부품(4)의 방향으로의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5)의 추가적인 선회 움직임 동안, 사이드 아암(13)의 롤러(12)는, 풀 로드(30) 상의 슬리브(35)에서 작용하는 스프링(39)의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사이드 아암(13)의 직면하고 그리고 이전에 설명된 전방 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풀 로드(30)는, 절단 조 쌍(26)을 동반하면서 변위 방향(r)으로 선형으로 당겨진다. 그 결과, 블레이드들(17)에 의해 컷 인(cutting in)함으로써 분리되는 절연 섹션(56)이 전도체로부터 스트리핑된다.
[0085] 도 9의 도면에 따라, 핸들 부품들(4 및 5)을 함께 추가적으로 가압하는 동안 사이드-아암-사이드 롤러(side-arm-side roller)(12)는 지지 포지션에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사이드 아암(13)으로 떠나며, 이 사이드-아암-사이드 롤러(12)는 플라이어들 마우스(M), 및 또한 절단 조 쌍(26)을 동시에 개방하면서 그의 개방 기본 포지션의 방향으로 다시 선회한다. 이는 특히, 절단 조들(22 및 23) 사이에 제공되는 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유발된다.
[0086] 단부-측 스트리핑된 케이블(21)은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노출된다. 분리되고 그리고 빼내어진 절연 섹션(56)은 제거를 위해 노출되거나, 선택적으로 플라이어들 마우스(M)로부터 독립적으로 떨어진다.
[0087] 중심 조절 수단은 절단 조들(22 및 23)의 블레이드들(24 및 25)에 대해 일치하는 자동 절단 깊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 2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편심 부품(eccentric part)(57)의 축 방향으로의 서로 이격되는 2개의 편심부들(58 및 59)과 일체로 형성되는 편심 부품(57)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도 31 내지 도 34에 대한 참조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진다.
[0088] 더욱이,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편심 부품(57)은, 특히, 편심부들(58 및 59) 사이에 형성되는, 단면이 원형인 동심 편심 부품 영역(concentric eccentric part region)을 통해 회전 축(7)을 형성할 수 있다.
[0089] 편심 부품(57)(또한 도 28을 비교)은 중심 중실(solid) 샤프트를 통한 통과를 위한 중공형-샤프트(hollow-shaft) 유형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레드형 볼트(threaded bolt)(60)에 의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편심 부품(57)은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칙 영역(6)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스레드형 볼트(60)는 이러한 경우에 칙 측 상에 칼라(collar)를 갖는 단부에서 지지된다. 축방향으로의 이러한 칼라의 반대편에 있는 나사 연결이 외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한 플레이트 형상 핸들(61)로 이루어지며, 이 플레이트 형상 핸들은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 연장부를 갖는 편심 부품(57)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동축 오목부(coaxial recess)(62)에서 회전불가능하게 맞물린다. 기하학적 회전 축(x)을 중심으로한 핸들(61)의 회전 변위는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편심 부품(57)의 회전 변위를 초래한다. 래칭 회전 변위가 달성될 수 있다.
[0090] 회전 축(7)을 형성하는 편심 부품(57)의 중심 영역에 관하여 핸들(61)을 향하는 제2 편심부(59)는, 즉, 또한 캠형 연장부에 관하여 회전 축(7)을 형성하는 섹션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반면, 핸들(61)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추가의 제1 편심부(58)에는 회전 축(7)을 형성하는 중심 영역에 대하여 보다 작은 직경이 형성될 수 있다.
[0091] 편심부들(58 및 59)은 커플링 로드들(50, 53)의 제1 또는 제2 축(51, 54) 상의 제1 및 제2 안내부들(63, 64)을 통해 작용한다(도 30, 도 35 및 도 36 참조).
[0092]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추가적으로 주어진 자동 절단 깊이 설정의 조절은 핸들(61)을 비트는(twisting) 결과로서 이루어지며, 이는 포지티브 연결을 통해 이에 따라 편심부들(58 및 59)의 회전 변위, 추가적으로 이에 따라, 각각의 각도 양만큼,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해 단면으로 편심으로 미리 휘어지는(pre-curved) 제어 영역들(65, 66)의 변위를 초래한다.
[0093] 도 33 및 도 34의 단면도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편심부들(58 및 59)의 제어 영역들(65 및 66)은 약 90°의 각도(β) 만큼 기하학적 회전 축(x)에 관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0094] 핸들(61)의 비틀림 및 기하학적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는 편심부들(58 및 59)의 수반하는 비틀림의 결과로서, 연관된 제1 및 제2 슬롯들(52, 55)에서의 둘 모두의 커플링 로드들(50 및 53)의 제1 및 제2 축(51, 54)의 균일한 그리고 정렬된 변위가 달성될 수 있다(화살표들(c)을 참조). 도 36은 도 35의 포지션에 대해 180°만큼 비틀린 핸들 포지션을 도시한다. 이에 따라, 편심부들(58 및 59)의 제어 영역들(65 및 66)은 연관된 안내부들(63 및 64)의 대응하는 동반(entrainment)과 함께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해 반대편 포지션으로 비틀린다. 하나의 가능한 구성에서, 이 연관된 안내부들은 각각의 편심부의 원주 방향 전방 면을 포함한다.
[0095] 예에 따라, 축들(51 및 54)은, 축들(51 및 54)에 연결되는 커플링 로드들(50 및 53) 및 최종적으로 제공되는 링키지 부품들(46 및 47)의 대응하는 동반으로 슬롯(52, 55)에서의 각각 할당된 슬롯(52, 55)의 연장 정도의 대략적으로 절반만큼 변위된다.
[0096] 따라서 구성되는 조절 수단 배열체의 경우에, 링키지 부품들(46 및 47)의 각도 포지션 및 각각의 링키지(48, 49)에 대한 동일한 링키지 부품들의 상대적인 포지션은 핸들(61)에 의해 그리고 이에 따라 플라이어들 마우스 개방 포지션의 기초 정렬에 대한 편심부들(58 및 59)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기본 포지션으로부터, 케이블 두께에 대한 추가의 자동 적응이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의 일반적인 사용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0097] 도 35 및 도 36의 도면들에 따라, 자동 절단 깊이 설정의 조절을 위해 180°만큼의 편심부들(58 및 59)의 예시적인 조절은,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가능하게는, 각도 치수의 1/4 내지 1/8,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가능하게는 1/6만큼 개방각(γ)에 대해 이러한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절단 조들(22 및 23)의 개구를 확대시킬 수 있다.
[0098] 연관된 슬롯들(52, 55)에서의 제1 및 제2 축(51, 54)의 상대적인 배열은 이러한 경우에 그리퍼 조들(19, 20) 또는 플라이어 조들(2 및 3)의 선회 포지션과는 독립적이다.
[0099] 인슐레이션 스트리퍼(1)에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그리퍼 조들(19 및 20) 및/또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되는 블레이드들(17)이 제공될 수 있다.
[00100] 절단 조들(22, 23)의 블레이드들(24, 25)은, 각각의 절단 조(22 또는 23) 상에서 전방 측을 통해 작동될 나사들(6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00101]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 블레이드(24, 25) 각각은 각각의 나사(67)에 의해 횡단될 보어(68)를 가질 수 있다.
[00102] 블레이드(24, 25)는, 플라이어들 마우스(M)의 방향으로 사용 상태 지점들에서, 도 23에 따른 측면도에서 윤곽선(contour line)(70)을 형성하는 도 21 및 도 22의 도면들에 따른 단면으로 예각으로 외부로 이어지는(run out) 단부를 가지는 블레이드 팁(69)을 갖는다. 도 23에 따른 측면도에서, 윤곽선(70)은 동시에 블레이드(17)의 종단선을 형성한다.
[00103] 윤곽선(70)은 오목부(71)를 가질 수 있다. 윤곽선은 연속적으로 곡선부(곡선 영역(72)), 바람직하게는 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라인 또는 섹션(73)에 의해 삽입된 케이블(21)을 계속 에워싸면서 양측면들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접하는 반경을 가지는 원형 선으로서 윤곽선(70)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관찰되는 중심 영역에서 나타난다. 묘사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중심 곡선부에 접하는 이러한 라인은, 전반적으로 윤곽선(70)의 실질적으로 V 형상 오목부(71)가 반경(a)을 가지는 대응하게 라운딩된 V 팁으로 획득되도록 곡률의 양측면들 상에서 직선일 수 있다.
[00104] 섹션(73)의 영역(72)의 라운딩된 윤곽에 접하는 윤곽선은 절단 평면(E)의 절단 방향(b)에 대해 절단 방향(b)의 방향으로 계속될 수 있다(도 24를 비교).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29를 참조하여, 이러한 윤곽선은 오목부로부터 시작하여 절단 방향(b)으로 상방으로 상승하거나 하방으로 하강한다.
[00105] 오목부(71)의 범위를 정하는 경우, 윤곽선(70)은 바람직하게는, 오목부(71)의 양측면들 상에서 절단 방향(b)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공통의 직선에 따라 이어질 수 있는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들(73, 74)로 계속된다.
[00106] 윤곽선(70)은 이러한 경우에 엄격하게 곡선형으로 이어지는 절단 평면(E)의 평면 연장부(도 23과 비교)에서 계속된다(도 3 및 도 11 참조). 따라서, 윤곽선(70)은 또한 폭 및 높이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라운딩된 외형의 영역에서보다 실질적으로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그리고 라운딩된 외형의 영역에서보다 실질적으로 폭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장한다.
[00107] 각각의 그리퍼 조(19 또는 2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반대편 넓은 측 표면들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 베이스 본체(75)를 처음에 가질 수 있다. 부착 연장부(76)는 대략 중심 배열을 갖는 하나의 넓은 측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다. 이는 그리퍼 조들(19 및 20) 사이에서 파지될 케이블(21)의 정렬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평면을 갖는 플레이트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00108] 부착 연장부(76)에 의해, 플라이어 조(2, 3)의 대응하게 형성되는 수용 포켓(receiving pocket)(77) 내로의 부착 연장부(76)의 삽입의 결과로서, 연관된 플라이어 조(2 또는 3) 상에 그리퍼 조(19 또는 20)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00109] 플라이어 조(2, 3)에 대한 고정은 나사 연결의 결과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관련된 체결 나사(78)가 플라이어 조(2, 3)의 대응하는 보어 및 부착 연장부(76)의 슬롯(79)을 통과하며, 여기서 그리퍼 조(19, 20)의 나사 체결은 각각의 플라이어 조(2, 3)의 전방 면(80)으로부터 이루어진다.
[00110] 둘 모두의 그리퍼 조들(19 및 20)에는, 설치된 상황에서 서로를 향해 가리키는 베이스 본체(75)의 넓은 측면들에 대해 그리퍼 조들(19 및 20) 사이에서 클램핑된 상태로 유지될 케이블(21)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들(ribs)(81), 이 제공된다. 오목 베이스(83)를 각각 가지는 홈형 오목부들(82)은 이러한 리브들(81) 사이에서 이어진다.
[00111]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그리퍼 조(19, 20)에는, 예를 들어, 이러한 6개의 리브들(81)이 제공되며, 이 6개의 리브들은 리브들(81)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볼 때 서로 균일하게 이격된다(또한 도 18과 비교). 더욱이, 리브들(81)은, 케이블(21)을 삽입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클램핑될 케이블(21)의 두께에 따라, 이 리브들이 반대편의 그리퍼 조의 오목부들(82) 내로의 콤형(comb-like)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00112] 2개의 그리퍼 조들(19 및 20)의 모든 리브들(81)은,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들의 길이 방향 연장의 부분 상에, 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길이 방향 연장의 중심에 오목한 돌기(concave protuberance)(84)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된 케이블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서 볼 때 그리고 모든 리브들(81)에 걸쳐 볼 때 오목한 돌기들(84)의 동일 평면(flush) 배열의 경우에, 이는 ─ 상기 길이 방향 연장부의 돌기들의 윤곽선들에 걸쳐 봉입 표면의 의미에서 ─ 플라이어들 마우스(M)의 방향으로 향하는 리브 표면(85)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앙 트로프 형상(trough-shaped) 함몰부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도 19 내지 도 20에 대한 참조가 또한 이루어진다.
[00113] 돌기들(84)의 양측면들 상의 리브 표면(85)은 평면 파지 표면(F)에 전반적으로 펼쳐진다.
[00114] 리브(81)의 연장의 방향에서 볼 때, 돌기(84)의 폭(d)은 리브 길이 방향 연장 치수의 대략적으로 절반에 대응할 수 있다. 폭(d) 치수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되는 돌기(84)의 깊이(e)는, 동일한 방향에서 볼 때, 오목부(82)의 가장 큰 최대 깊이(f)의 대략 절반에 대응할 수 있다.
[00115]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오목부(82)의 가장 큰 깊이(f)는 또한, 이들의 리브 표면(85)의 영역의 2개의 인접한 리브들(81) 사이의 리브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에서 볼 때의 자유 거리(g)의 대략 1.5배에 대응할 수 있다(도 17과 비교).
[00116] 또한, 오목 베이스(83)로부터 시작하는 리브(81)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단하는 단면에 관하여, 각각의 리브(81)는 리브 표면(85)의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82)의 범위를 정하는 리브 외부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약 15°의 원뿔각(cone angle)(δ)으로 에워쌀 수 있다.
[00117] 각각의 리브(81)의 리브 표면(85)은 파지 표면(F)을 규정하는 평면에서 부분적인 영역에 걸쳐 리브(81)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관하여 횡방향으로, 따라서, 예를 들어 파지 표면(F)에서 돌출되는 총 길이(k)의 대략 1/3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h)에 걸쳐 도 17의 도면에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도 17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길이(h)를 넘어 이어지는 리브 표면(85)의 섹션은 약 5°의 각도(ε)로 감소된다.
[00118] 오목 베이스(83)는 오목부(82)의 길이에 걸쳐 다양하게 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이한 치수들(f)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목 베이스 측 상의 돌기(84)의 영역에서, 오목부(82)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서 볼 때 폭(m)을 가지는 돔형(dome-like) 상승부(elevation)(86)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폭은 오목부(82) 또는 리브(81)의 총 길이의 대략 1/3 및 상승부(86)에 접하는 오목 베이스(83)의 영역의 레벨 위의 높이(n) ─ 이 높이(n)는 오목부(82)의 가장 큰 깊이(f)의 약 1/3 내지 1/5에 대응할 수 있음 ─ 에 대응할 수 있다.
[00119] 돌기(84) 및 상승부(86)의 배열 및 치수들은, 심지어 상승부(86)의 영역에서, 돌기(84)가 오목 베이스(83)에 도달하지 않도록 추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00120] 이전의 설명들은, 또한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다음의 특징 조합들(여기서, 다시 말해, 이러한 특징 조합들 중 2개, 수개 또는 모든 것이 또한 조합될 수 있음)에 의해 종래 기술을 추가적으로 개선하는 본 출원에 의해 전반적으로 포함되는 본 발명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00121] 본 발명은 그리퍼 조들에 관한 것이며, 그리퍼 조들(19, 20)의 설치 상태에서, 리브들(81)은 파지될 케이블(21)의 두께에 따라 반대편 그리퍼 조(19, 20)의 오목부들(82) 내로 이동할 수 있다.
[00122] 그리퍼 조들로서, 설치 상태에서 둘 모두의 반대편 그리퍼 조들(19, 20)의 모든 리브들(81)은 이들의 길이 방향 연장의 부분 상에 오목한 돌기(84)를 갖는다.
[00123] 그리퍼 조들로서, 오목 베이스(83)는 오목부(82)의 길이에 걸쳐 깊이가 다양하도록 형성된다.
[00124] 그리퍼 조들로서, 오목 베이스(83)는 길이 방향 연장부(84)의 영역에서 가장 작은 깊이를 갖는다.
[00125] 그리퍼 조들로서, 오목 베이스(83)는 돌기(84)의 영역에서 오목부(82)의 길이 방향 단면에 대해 돔형 상승부(dome-like elevation)(86)를 갖는다.
[00126] 그리퍼 조들로서, 오목부(82)의 가장 큰 깊이(f)는 2개의 리브들의 리브 표면(85)의 영역에서 2개의 리브들(81) 사이의 자유 거리(g)의 1/3 내지 5/3에 대응한다.
[00127] 그리퍼 조들로서, 부착 연장부(76)는 리브(8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평면을 갖는 플레이트형 방식으로 형성된다.
[00128] 그리퍼 조들로서, 부착 연장부(76)는 리브(8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가장 큰 길이를 갖는 슬롯(79)을 갖는다.
[00129] 그리퍼 조들로서, 슬롯(79)은 플라이어 조(2, 3)의 전방 면(80)으로부터 그리퍼 조(19, 20)의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나사(78)에 의해 횡단된다.
[00130] 블레이드들로서, 함몰부(71)는 윤곽선에 의해 삽입된 케이블(21)을 계속 에워싸는 동안,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측면들 상에서 접하며, 절단 방향(b)의 방향에서, 이 윤곽선은 이는 절단 평면(E)의 절단 방향(b)에 대해 계속되고 그리고 제1 곡률와 비교하여 더 작은 곡률을 갖는다.
[00131] 블레이드들로서, 더 작은 곡률은 선택적 제2 반경을 가지는 원형선을 따른다.
[00132] 블레이드들로서, 윤곽선(70)의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73)이 제1 또는 제2 곡률을 따른다.
[00133] 블레이드들로서, 공통의 직선을 따라 이어지는 2개의 직선으로 이어진 외부 섹션들(74)이 형성된다.
[00134]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는, 2개의 외부 그리퍼 조들(19, 20), 블레이드들(24, 25)를 갖는 2개의 내부 절단 조들(22, 23), 및 2개의 핸들 부품들(4, 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5] 개시된 특징들 모두는 또한, (이들 자체로 그리고 또한 서로 조합으로) 본 발명에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본 출원 적용의 개시는 관련된/첨부된 우선권 문헌들(이전 출원의 사본)의 개시 내용을 그의 전체 내용에, 또한 본 출원의 청구항들에 이들 문헌들의 특징들을 포함시키는 목적을 위해 포함한다. 종속항들은, 심지어 참조가 이루어지는 청구항의 특징들 없이, 특히 이들의 청구항들을 기초하여 분할 출원들을 만들기 위해, 종래 기술에 대한 발명의 추가의 개량들에 독립적인 이들의 특징들로 특징화된다. 각각의 청구항에서 특정된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도면 부호들로 제공되고 그리고 부호의 설명에 의해 특정되는, 이전 설명에서 특정된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이들이 각각의 사용 목적을 위해 명백하게 제거가능하거나 기술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다른 수단에 의해 교체될 수 있는 한, 이전의 설명에 언급된 특징들 중 개별적인 것들이 구현되지 않는 설계 형태들에 관한 것이다.
1 인슐레이션 스트리퍼
2 고정된 플라이어 조
3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
4 고정된 핸들 부품
5 이동가능한 핸들 부품
6 칙 영역
7 회전 축
8 숄더 영역
9 돌출 영역
10 지지 표면
11 제어 레버
12 롤러
13 사이드 아암
14 복귀 스프링
15 돌출 영역
16 안내부
17 블레이드
18 자유 절단 영역
19 그리퍼 조
20 그리퍼 조
21 케이블
22 절단 조
23 절단 조
24 블레이드
25 블레이드
26 절단 조 쌍
27 선회 축
28 스프링
29 정지 슬라이드
30 풀 로드
31 오목부
32 삽입 개구
33 풀 핀
34 슬롯
35 슬리브
36 리테이너 부품
37 슬리브 벽
38 슬롯
39 스프링
40 베이스
41 숄더
42 공동
43 공동 베이스
44 래칭 돌출부
45 래칭 오목부
46 링키지 부품
47 링키지 부품
48 링키지
49 링키지
50 커플링 로드
51 제1 축
52 제1 슬롯
53 커플링 로드
54 제2 축
55 제2 슬롯
56 인슐레이션 섹션
57 편심 부품
58 제1 편심부
59 제2 편심부
60 스레드형 볼트
61 핸들
62 오목부
63 제1 안내부
64 제2 안내부
65 제어 영역
66 제어 영역
67 나사
68 보어
69 블레이드 팁
70 윤곽선
71 오목부
72 곡선 영역
73 섹션
74 섹션
75 베이스 본체
76 부착 연장부
77 수용 포켓
78 체결 나사
79 슬롯
80 전방 면
81 리브
82 오목부
83 오목 베이스
84 돌기
85 리브 표면
86 상승부
a 반경
b 절단 방향
c 화살표
d 폭
e 깊이
f 깊이
g 거리
h 길이
k 총 길이
m 폭
n 높이
r 변위 방향
x 기하학적 회전 축
y 기하학적 축
z 기하학적 축
E 절단 평면
F 파지 표면
M 플라이어들 마우스
α 각도
β 각도
γ 개방각
δ 원뿔각
ε 각도

Claims (10)

  1. 그리퍼 조들(gripper jaws)(19, 20)로서,
    상기 그리퍼 조들은 파지 표면(gripping surface)(F) 및 부착 연장부(attachment extension)(76)를 각각 가지며,
    설치 상태에서 파지될 케이블(cable)(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들(ribs)(81)은 홈형 오목부들(groove-like recesses)(82)이 상기 리브들 사이에서 그에 맞춰(accordingly) 이어지는 상태로 상기 파지 표면(F) 상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들은 오목 베이스(recess base)(83)를 가지며,
    상기 그리퍼 조들(19, 20)의 설치 상태에서, 상기 리브들(81)은 파지될 상기 케이블(21)의 두께에 따라 상기 반대편 그리퍼 조(19, 20)의 상기 오목부들(82) 내로 이동할 수 있는,
    그리퍼 조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상태에서 둘 모두의 반대편 그리퍼 조들(19, 20)의 모든 상기 리브들(81)은 이들의 길이 방향 연장의 부분 상에 오목한 돌기(concave protuberance)(84)를 가지는,
    그리퍼 조들.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베이스(83)는 상기 오목부(82)의 길이에 걸쳐 깊이가 다양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 베이스(83)는 상기 돌기(84)의 영역에서 가장 작은 깊이를 가지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 베이스(83)는 상기 돌기(84)의 영역에서 상기 오목부(82)의 길이 방향 단면에 대해 돔형 상승부(dome-like elevation)(86)를 가지는,
    그리퍼 조들.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82)의 가장 큰 깊이(f)는 이들의 리브 표면(85)의 영역의 2개의 리브들(81) 사이의 자유 거리(g)의 1/3 내지 5/3에 대응하는,
    그리퍼 조들.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연장부(76)는 리브(8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평면을 갖는 플레이트형 방식(plate-like manner)으로 형성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부착 연장부(76)는 상기 리브(8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가장 큰 길이를 갖는 슬롯(slot)(79)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79)은 플라이어 조(plier jaw)(2, 3)의 전방 면(80)으로부터 상기 그리퍼 조(19, 20)의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나사(fastening screw)(78)에 의해 횡단되는,
    그리퍼 조들.
  6. 인슐레이션 스트리퍼(insulation stripper)(1)를 위한 블레이드들(blades)(24, 25)로서,
    단면에서 예각(acute angle)을 가지는 블레이드 팁(69)에서 외부로 이어지는(run out) 이들의 자유 단부들에서, 상기 블레이드들(24, 25)은 측면도에서 함몰부(depression)(71)를 가지는 윤곽선(70)을 가지며, 상기 윤곽선(70)은 상기 블레이드(24, 25)의 종단선(termination line)을 형성하고,
    상기 윤곽선(70)은 일체로 형성되는 블레이드들(24, 25)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함몰부(71)는 측면도에서 선택적 제1 반경(a)을 가지는 연속 곡선으로서 나타나며,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측면들 상에서, 상기 삽입된 케이블(21)을 계속 에워싸는 동안, 상기 함몰부(71)는 윤곽선과 접하며, 절단 평면(E)의 절단 방향(b)에서, 상기 윤곽선은, 상기 절단 방향(b) 및 절단 평면(E)의 방향으로 계속되고 그리고 제1 곡률과 비교하여 더 작은 곡률을 가지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블레이드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더 작은 곡률은 선택적 제2 반경을 가지는 원형선(circular line)을 따르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블레이드들.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곡률은 상기 윤곽선(70)의 직선으로 이어진 섹션(straight-running section)(73)에 접하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블레이드들.
  9. 제6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통의 직선을 따라 이어지는 2개의 직선으로 이어진 외부 섹션들(outer straight-running sections)(74)이 형성되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블레이드들.
  10.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로서,
    상기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는 2개의 외부 그리퍼 조들(19, 20), 블레이드들(24, 25)을 갖는 2개의 내부 절단 조들(22, 23), 및 2개의 핸들 부품들(4, 5)을 가지며,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리퍼 조들(19, 20) 및/또는 제6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레이드들(24, 25)을 가지는,
    인슐레이션 스트리퍼.
KR1020207018033A 2017-11-29 2018-11-07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그리퍼 조들 및 블레이드들, 및 인슐레이션 스트리퍼 KR102650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8227.0 2017-11-29
DE102017128227.0A DE102017128227A1 (de) 2017-11-29 2017-11-29 Klemmbacken und Schneiden für eine Abisolierzange, sowie Abisolierzange
PCT/EP2018/080468 WO2019105702A2 (de) 2017-11-29 2018-11-07 Klemmbacken und schneiden für eine abisolierzange, sowie abisolierza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591A true KR20200093591A (ko) 2020-08-05
KR102650043B1 KR102650043B1 (ko) 2024-04-18

Family

ID=6426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033A KR102650043B1 (ko) 2017-11-29 2018-11-07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그리퍼 조들 및 블레이드들, 및 인슐레이션 스트리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469576B2 (ko)
EP (1) EP3718184B1 (ko)
JP (1) JP7210575B2 (ko)
KR (1) KR102650043B1 (ko)
CN (1) CN111264008B (ko)
AU (1) AU2018374402B2 (ko)
CA (1) CA3080014A1 (ko)
DE (1) DE102017128227A1 (ko)
MX (1) MX2020005589A (ko)
RU (1) RU2763396C1 (ko)
TW (1) TWI801453B (ko)
WO (1) WO20191057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8226A1 (de) * 2017-11-29 2019-05-29 Rennsteig Werkzeuge Gmbh Abisolierzange
CN112873135A (zh) * 2021-03-17 2021-06-01 赵一玮 一种多功能自动取钉器及其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9981A (en) * 1973-05-23 1975-04-29 Joseph E Richards Fishline connector device
JP2008167813A (ja) * 2007-01-09 2008-07-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刃物
US20100101379A1 (en) * 2007-03-26 2010-04-29 Rennsteig Werkzeuge Gmbh Replaceable die for pliers, pliers having such a die, and storage fixture
US20160226229A1 (en) * 2015-02-03 2016-08-04 Wezag Gmbh Werkzeugfabrik Stripp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1087A (en) 1962-07-10 1964-12-15 Bartley Mfg Company Inc Wire stripping tool
FR96295E (fr) 1967-11-04 1972-06-16 Bieganski Zdzislaw Outil pour enlever la gaine d'un fil métallique gainé.
US3707099A (en) 1970-10-15 1972-12-26 Edmund Petz Head-on wire stripping tool
IT1005266B (it) 1974-01-15 1976-08-20 Elettrocontrolli Di Casadio R Pinza per spellare cavetti com posti da uno o pil fili elettrici rivestiti da una guaina isolante
DE2963728D1 (en) 1978-07-27 1982-11-04 Zdzislaw Bieganski Wire stripping tool
US4485696A (en) * 1980-03-17 1984-12-04 Zdzislaw Bieganski Apparatus for wire stripping
DE3308053A1 (de) * 1983-03-08 1984-09-13 Werner Möller GmbH & Co KG, 5630 Remscheid Abisolierzange
US4577405A (en) 1984-09-17 1986-03-25 Mechtrix Corporation Compound-angle blade for stripping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SU1345279A1 (ru) * 1986-04-07 1987-10-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8231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н ти изол ции с концов ленточного кабел
GB8617249D0 (en) 1986-07-15 1986-08-20 Abeco Ltd Cable stripping tool
GB9319719D0 (en) 1993-09-24 1993-11-10 Zb New Product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ire stripping tools
DE4420006C2 (de) 1994-06-08 1998-04-23 Rennsteig Werkzeuge Gmbh Zange zum Abisolieren von Leiterenden
GB9420577D0 (en) 1994-10-12 1994-11-30 Abeco Ltd Stripping tools
DE19512132C1 (de) 1995-03-31 1996-05-15 Weidmueller Interface Abisolierzange
US6094821A (en) 1998-07-01 2000-08-01 The Whitaker Corporation Optimized stripping blades
US6243947B1 (en) * 1998-09-22 2001-06-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ethod for processing an end of a shielded cable
US20040118251A1 (en) * 2002-08-09 2004-06-24 Craig Wilson Wire stripper
DE102004003462B3 (de) 2004-01-22 2005-08-11 Rennsteig Werkzeuge Gmbh Abisolierzange mit automatischer Anpassung an verschiedene Leiterquerschnitte
CN100472904C (zh) * 2004-01-22 2009-03-25 威斯汀工具有限公司 自动配合不同导线横截面的剥线钳
WO2008062375A2 (en) * 2006-11-22 2008-05-29 Schleuniger Holding Ag Device and method for folding back the braided shielding braiding of a cable
DK2166630T3 (en) 2007-11-02 2016-11-28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Kg Stripper
DK2056415T3 (en) 2007-11-02 2015-02-16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Kg Stripper
DE102011052926A1 (de) * 2011-05-20 2012-11-22 Knipex-Werk C. Gustav Putsch Kg Zange
JP6061224B2 (ja) * 2012-12-26 2017-01-18 ジェフコム株式会社 電線被覆ストリッパ
EP2977146B1 (de) * 2014-07-21 2020-02-12 Wezag GmbH Werkzeugfabrik Zangenteil
US11027399B2 (en) * 2015-04-02 2021-06-0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and tool such as a wire stripper or combination pliers
TWM508826U (zh) * 2015-04-21 2015-09-11 jin-quan Zhang 剝線鉗
CN204696439U (zh) * 2015-05-12 2015-10-0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贵阳局 一种可定剥线长度的剥线钳
CN205452977U (zh) * 2016-01-18 2016-08-10 广州番禺电缆集团有限公司 电缆剥皮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9981A (en) * 1973-05-23 1975-04-29 Joseph E Richards Fishline connector device
JP2008167813A (ja) * 2007-01-09 2008-07-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刃物
US20100101379A1 (en) * 2007-03-26 2010-04-29 Rennsteig Werkzeuge Gmbh Replaceable die for pliers, pliers having such a die, and storage fixture
US20160226229A1 (en) * 2015-02-03 2016-08-04 Wezag Gmbh Werkzeugfabrik Stripp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80014A1 (en) 2019-06-06
KR102650043B1 (ko) 2024-04-18
RU2763396C1 (ru) 2021-12-28
EP3718184A2 (de) 2020-10-07
AU2018374402A1 (en) 2020-05-07
WO2019105702A3 (de) 2019-08-01
WO2019105702A2 (de) 2019-06-06
EP3718184B1 (de) 2024-05-15
DE102017128227A1 (de) 2019-05-29
TW201926828A (zh) 2019-07-01
MX2020005589A (es) 2020-09-18
CN111264008B (zh) 2022-01-11
US11469576B2 (en) 2022-10-11
JP7210575B2 (ja) 2023-01-23
US20200335953A1 (en) 2020-10-22
CN111264008A (zh) 2020-06-09
AU2018374402B2 (en) 2023-08-10
TWI801453B (zh) 2023-05-11
JP2021505102A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909B1 (ko)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KR102651495B1 (ko)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KR20200093591A (ko) 인슐레이션 스트리퍼를 위한 그리퍼 조들 및 블레이드들, 및 인슐레이션 스트리퍼
CN106169719B (zh) 剥线钳
DE102014108041B4 (de) Tastkopf
EP1733642B1 (de) Haarformgerät
WO2017012858A2 (de) Abisolierwerkzeug
TW202212064A (zh) 用於實施壓接的手鉗以及具有鉗頭的手鉗
DE102015106269A1 (de) Klemmverb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