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355A -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355A
KR20200093355A KR1020190010740A KR20190010740A KR20200093355A KR 20200093355 A KR20200093355 A KR 20200093355A KR 1020190010740 A KR1020190010740 A KR 1020190010740A KR 20190010740 A KR20190010740 A KR 20190010740A KR 20200093355 A KR20200093355 A KR 20200093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ed composition
raw materials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535B1 (ko
Inventor
심근훈
Original Assignee
심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근훈 filed Critical 심근훈
Priority to KR102019001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5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2Dry f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근, 시금치, 호박, 케일, 표고버섯, 미역, 치아씨드, 브로콜리, 비트, 파슬리, 및 헴프씨드로 이루어진 농산물 원재료를 고압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a)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농산물 원재료를 5~15mm 크기로 절단하는 (b)단계; 상기 절단된 농산물 원재료에 황태 분쇄물과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배합한 후 건조하는 (c)단계; 및 상기 건조된 농산물 원재료를 포장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는 기존의 건식(Dry)사료에 많이 함유되어 있던 각종 가공육류나 부산물을 사용하지 않고, 곡물 알러지가 있는 반려견을 고려하여 옥수수, 대두, 밀가루 등의 곡물을 추가하지 않으면서, 방부제나 화학성분 또한 전혀 사용하지 않은 채 자연 그대로의 농수산물을 세척, 절단, 건조 및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반려견의 소화, 변의 양과 냄새의 감소와 더불어 다이어트 효과를 크게 증진시키고, 눈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하여 반려견의 눈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Damage of Eye in dogs and Feed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채소류와 허브를 포함한 농산물을 자연식 그대로인 원재료로 사용해서 별도의 열처리나 분말화 과정 없이 제조하여 반려견의 눈 손상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식(Dry) 사료는 펠렛(pellet) 형태로 원재료를 가공 처리하여 단단한 형상으로 만들어 보관과 먹기 쉽게 만들어진 타입을 말하는 것으로 말 그대로 수분이 거의 없는 사료이고, 습식사료(Wet)는 원재료를 거의 그대로 보존하면서 익히는 단순한 공정을 거쳐 캔이나 밀폐용기에 담아 판매되는 제품으로 적정의 수분을 함유하는 사료이며, 건조(dehydrated) 사료는 각 원재료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거의 말린 상태로 가공한 한 사료로, 수분함량이 10% 정도로 유통 기한이 길고, 보관이 편리하며, 물을 부으면 원재료가 물을 흡수하면서 습식사료의 형태로 변하는 사료이다.
국내 반려동물의 펫 푸드 시장에서 반려견 펫푸드는 82%, 반려묘 펫푸드는 18%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반려견 펫푸드 시장은 건식(Dry) 사료 56%, 습식(Wet) 사료 7%, 및 간식(Treats) 19%의 비중으로 구분된다.
그중 건식(Dry) 사료는 수분함량이 10% 정도로 급여와 보관이 편리하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으므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애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통조림이나 페이스트 형태의 자연식 습식(Wet) 사료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반려동물용으로 자연식의 건조(dehydrated) 사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건식(Dry) 사료는 딱딱한 알갱이 형태로 냄새가 덜 나고 깨끗한 데다 균형 잡힌 영양식으로 구성된 완전식품으로 인식되나, 가축을 도축하고 남은 부산물에 열을 가해 지방, 단백질 등 유용한 물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에게 병을 일으키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최근 언론에 보도된바 있고, 단백질과 지방이 적고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으며, 특히, 수분함량이 적어 요로 계통 질환의 재발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1만1천 내지 1만6천년 이전에 인간이 수렵 혹은 농경 생활을 하면서 개와 늑대의 공통 조상을 사육하면서부터 함께 살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게놈 해석 결과, 개는 전분을 소화하는 효소인 아밀라아제 유전자(AMY2B)를 갖는 등 소화 계통이 상당히 진화되었을 것이라 발표되고 있는데, 늑대와 자칼, 코요테 등 야생의 개과 동물들은 전분소화효소 Amy2B 유전자가 두 벌(copy)로 조사되나, 개들은 평균 열 벌 이상으로 나타나 곡물에 함유된 전분을 잘 소화하도록 진화되었다고 한다(출처: 학술지 PLoS Genetics "Genome Sequencing Highlights the Dynamic Early History of Dogs", 2014.01.16).
또한, 개는 사람이 먹다 남긴 음식을 주로 먹었기 때문에 늑대보다 28배 이상의 탄수화물 소화력이 뛰어난데, 개는 1년에 2~3번 임신과 출산을 할 수 있으므로, 소화 계통의 진화에 있어서 약 16,500~80,000회의 유전자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어, 소화 계통의 진화에 있어서 개가 사람만큼 잡식성이 좋은 잡식동물이기도 하다.
미국사료규제기구(AAFCO)에서 규정하는 단백질 최소 섭취량은 개 18%, 고양이 26%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고, 전세계 규격 사료 사전인 NRC(National Research Council)에 따르면, 단백질 최소 섭취량은 개 8%, 고양이 16%이고, NRC에서 권하는 개의 단백질 권장량은 10%, 고양이는 20%로써 섭취해야 하는 단백질량은 그다지 높지가 않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자는 미농림부(USDA) 국가표준식품성분 DB와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에서 규정한 성분 분석표를 토대로, 기호성을 고려하여 미국사료규제기구(AAFCO)에서 반려동물에게 꼭 필요하다고 규정한 일반성분, 미네랄과 비타민의 최소요구량에 부합되는 농수산물들을 원재료로 선별하여 자연식의 건조(dehydrated) 사료 개발을 추진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배합된 농산물 원료가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9026호(2013년07월10일)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기호성과 영양성이 개선되고 반려견의 눈 손상에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는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당근, 시금치, 호박, 케일, 표고버섯, 미역, 치아씨드, 브로콜리, 비트, 파슬리, 및 헴프씨드로 이루어진 농산물 원재료를 고압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a)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농산물 원재료를 5~15mm 크기로 절단하는 (b)단계; 상기 절단된 농산물 원재료에 황태 분쇄물과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배합한 후 건조하는 (c)단계; 및 상기 건조된 농산물 원재료를 포장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단계의 황태 분쇄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2~14 중량부로 첨가되고, 상기 홍삼 추출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5~2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단계의 건조는 수분함량이 8 내지 12%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단계 (a)에서 배합되는 농산물 원재료는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당근 2~6 중량부, 시금치 2~6 중량부, 호박 3~7 중량부, 케일 5~15 중량부, 표고버섯 5~15 중량부, 미역 5~15 중량부, 치아씨드 1~2 중량부, 브로콜리 8~12 중량부, 비트 2~6 중량부, 파슬리 1~3 중량부, 및 헴프씨드 1~3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자연식 사료는 총 수분함량이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당근, 시금치, 호박, 케일, 표고버섯, 미역, 치아씨드, 브로콜리, 비트, 파슬리, 및 헴프씨드로 이루어진 농산물 원재료를 포함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당근 2~6 중량부, 시금치 2~6 중량부, 호박 3~7 중량부, 케일 5~15 중량부, 표고버섯 5~15 중량부, 미역 5~15 중량부, 치아씨드 1~2 중량부, 브로콜리 8~12 중량부, 비트 2~6 중량부, 파슬리 1~3 중량부, 및 헴프씨드 1~3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눈 손상은 안구건조증, 노화 또는 백내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반려견 각막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고, 망막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눈은 동물의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으로 눈의 기능적 장애 또는 상실은 생활의 질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의 하나가 된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반려견도 노화, 또는 각막의 예민성 감소 등의 요인에 의하여 시력이 저하되고 있으며, 안구 건조증, 각막염, 백내장, 황반변성 등의 안질환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반려견은 노화가 진행될수록 눈의 수정체가 딱딱해지고 뿌옇게 탁해져 빛을 통과시키기 어려워져 점차 시야도 흐려지게 되고 백내장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활성산소 등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눈에 작용하면 수정체의 단백질이 산화되어 백내장이 유발될 수 있으며, 고령견일수록 활성산소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눈 손상의 발생이 증가한다.
본 발명자는 기호성을 고려하여 미국사료규제기구(AAFCO)에서 반려동물에게 꼭 필요하다고 규정한 일반성분, 미네랄과 비타민의 최소요구량에 부합되는 농수산물들을 원재료로 선별하여 자연식의 건조(dehydrated) 사료 개발을 추진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배합된 농산물 원료가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효과가 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농산물 원재료를 고압수로 세척하고 절단(슬라이스)기로 절단하여 농산물의 절단물을 얻는다. 이때 농산물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고구마, 감자, 당근, 방울다다기양배추, 시금치, 늙은호박(혹은 단호박과 같은 호박류), 케일, 아스파라거스,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미역, 다시마, 완두콩, 치아씨드, 아마씨드, 그린빈스(줄콩), 브로콜리, 주키니호박, 비트, 파슬리, 헴프씨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주요 원료인 당근은 주황색을 띄는 ‘카로틴(Carotene)’이라는 색소에서 유래한 것으로, 카로틴이 몸에 들어가면 비타민 A로 변하는데, 비타민 A는 체내에서 활성산소가 세포를 손상하는 것을 막아 준다. 당근은 카로틴뿐만 아니라 비타민 B와 C, 철분, 칼슘, 인,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다.
또한, 시금치는 3대 영양소뿐 아니라 수분, 비타민, 무기질 등을 다량 함유한 완전 영양 식품이다. 영양가가 높은 시금치에는 유기산으로 수산(蓚酸, oxalic acid), 사과산, 구연산, 아이오딘(요오드) 및 비타민 C가 채소 중에서 제일 많이 들어있다. 또한,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엽산,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당질, 단백질, 지방, 섬유질, 칼슘, 철 등의 영양소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호박은 당질,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당질은 생체 활동 에너지의 근원이며 소화흡수를 도와준다. 호박은 특히 아스파라긴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카로틴과 비타민 C를 함유하여 노화 방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식이섬유는 장내의 유익균 증식을 도와 피부를 곱게 하고 장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일은 녹황색 채소 중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가장 높은 채소이다. 베타카로틴은 우리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항산화 및 항암 작용이 있고, 면역력 향상은 물론 니코틴과 같은 독소를 제거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케일은 눈 건강에 좋은 루테인도 매우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또한, 케일은 혈액 응고와 뼈 건강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 K를 가장 많이 섭취할 수 있는 소재 중 하나이며, 칼슘과 마그네슘 역시 풍부하여 골다공증 예방에 좋다.
또한, 표고버섯에는 에리다데민이라는 물질을 함유하는데, 혈액의 콜레스테롤함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혈압 강하 및 동맥경화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리다데민은 마른 표고버섯을 물에 우려낼 때 녹아 나오므로 즙액은 버리지 않고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표고버섯은 비타민 B1과 B2도 풍부하다. 또한, 표고버섯의 감칠맛은 구아닐산으로 핵산계 조미료의 성분이고, 향기는 렌티오닌에 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고버섯은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기호성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밖에 표고버섯에는 에르고스테롤을 다량 함유하는데, 에르고스테롤은 자외선을 받으면 체내에서 비타민 D로 변환된다.
또한, 미역에는 섬유질, 요오드, 칼슘, 비타민 B, 비타민 B-12, 비타민 C, 카로틴 등 반려견에 유익한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무기질 함량은 다른 해조류에 비해 약 2배가량 많고, 해조류 중 가장 높은 강알칼리성 식품이다. 미역은 항암효과, 다이어트, 혈관 건강 등에 좋으며, 골다공증 등의 골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며, 해독작용과 관련된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치아씨드의 영양성분으로는 필수 아미노산 9종(발린, 루신, 이소루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라이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을 포함하여 아미노산 20종류를 포함하고 있고, 식물 중에서 오메가-3의 필수 지방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타민 7종(비타민 A, 비타민 E,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엽산, 비타민 C), 미네랄 7종(망간, 인, 칼륨, 아연, 마그네슘, 철분,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브로콜리는 비타민 C, 칼슘, 마그네슘, 인, 칼륨을 다량 함유하고, 섬유질, 셀레늄, 루테인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엽산, 철분, 비타민 A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비트는 주로 설탕 및 전분질로 구성되어 있고, 다량의 섬유소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비티민 A(베타카로틴), 비타민 B1, 2, 3, 5, 6, 및 9(엽산-아미노산과 DNA 합성의 필수영양소), 및 비타민 C, E, 및 K를 함유한다. 또한, 칼슘, 철, 망간, 인, 칼륨, 나트륨, 아연 등의 여러 가지 미네랄을 고르게 함유하고 있고 200 여종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파슬리는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B군, 비타민 C, 비타민E 등의 비타민과, 칼륨, 칼슘, 철분 등의 미네랄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그 외에도 섬유질과 엽록소, 루테올린과 제아잔틴 등의 폴리페놀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햄프씨드는 식물성 단백질과 다가불포화지방산(오메가-3, 및 6) 등이 매우 풍부할 뿐만 아니라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원료를 사용하여 상기 농산물 원재료를 5~15mm 크기로 절단하고, 배합한 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배합하는 과정에서 황태 분쇄물과 홍삼 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배합하게 된다.
상기 황태는 단백질, 지방, 칼슘, 철, 마그네슘, 인, 칼륨, 나트륨, 아연, 구리, 셀레늄, 콜린, 나이아신, 비타민B-6, 비타민B-12, 비타민A, 비타민E, 비타민D, 비타민K, 및 지방산 성분을 다량 함유한다. 특히, 메티오닌 성분은 간에서 중요한 효소로 작용하는 글루타치온의 원료가 되므로 간 해독에 좋고, 면역력을 회복하는데 굉장히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황태는 본 사료 조성물의 주요 단백질원으로 포함되고, 첨가됨에 따라 본 사료 조성물의 기호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황태 분쇄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2~14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홍삼 추출물은 상기 농산물 원재료에 포함된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이 되는 성분들의 체내 흡수를 촉진하고, 전체 사료 조성물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는데,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5~2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는 수분함량이 8 내지 12%로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늘한 곳에 보관하여 유통하는 것이 좋다.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를 반려동물에게 급여할 경우에는 적당량을 뜨거운 물에 10분 정도 불려서 습식 형태로 급여하면 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급여 시에 물을 부으면 원재료가 물을 흡수하면서 습식사료 형태로 변하도록 하여 수분함량이 적어서 걸리기 쉬운 요로계통 질환에 걸릴 확률이 줄어들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급여 시에 물을 부으면 원재료가 물을 흡수하면서 습식사료의 형태로 변하도록 하여 반려인이 눈으로 원재료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신선한 음식 재료를 먹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용 조성물을 개에 급여하는 급여조건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필수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는 기존의 건식(Dry)사료에 많이 함유되어 있던 각종 가공육류나 부산물을 사용하지 않고, 곡물 알러지가 있는 반려견을 고려하여 옥수수, 대두, 밀가루 등의 곡물을 추가하지 않으면서, 방부제나 화학성분 또한 전혀 사용하지 않은 채 자연 그대로의 농수산물을 세척, 절단, 건조 및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반려견의 소화, 변의 양과 냄새의 감소와 더불어 다이어트 효과를 크게 증진시킨다.
또한, 건식(Dry) 사료처럼 치아에 이물질이 끼지 않아 치석과 입 냄새가 줄어들게 하는 효과가 있고, 곡물 위주의 건식(Dry)사료에서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 및 미네랄을 별도로 첨가함이 없이 농산물 원재료로부터 절단 및 건조 공정만을 통해 직접 얻게 돼 반려견의 체내흡수율이 높아지고, 체내 대사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반려견의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으며, 눈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하여 반려견의 눈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제조예 4)의 사료검정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제조예 4)의 칼슘, 인 함량, 열량,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을 투여한 C57BL/6J 마우스의 동공을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표시된 농산물 원재료를 세척하고,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첨가비율로 제조예 1 내지 4의 원료를 배합한 후, 절단기에서 절단하였다. 절단된 농산물을 건조기에 이송한 다음 건조물을 얻었고, 다시 배합기에 이송후 배합하여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배합물의 총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10% 내지 12% 정도로 나타났다.
항목 분류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황태 어류 12 12 14 16
고구마 구근류 6 11 0 12
감자 구근류 6 11 10 6
당근 구근류 4 10 10 4
방울다다기양배추 채소류 0 0 0 0
시금치 채소류 4 0 0 2
단호박 채소류 5 0 0 4
케일 채소류 10 0 0 12
아스파라거스 채소류 0 0 0 0
양송이버섯 채소류 4 0 0 0
표고버섯 채소류 0 0 0 12
미역 해조류 12 10 10 12
다시마 해조류 0 0 0 0
완두콩 채소류 12 10 10 0
치아씨드 허브 1 6 8 1
아마씨드 허브 0 6 7 0
그린빈스 채소류 0 5 10 0
브로콜리 채소류 0 4 5 10
주키니호박 채소류 7 5 0 0
비트 채소류 12 5 5 4
파슬리 채소류 4 2 5 2
헴프씨드 허브 0 0 0 2
홍삼액기스 기타 1 1 1 1
전체   100 100 100 100
상기 [표 1]의 배합비에 있어서 그 단위는 "중량부"이다.
실시예 2.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료 조성물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기 제조예 4와 같은 배합비를 구성하면,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성견의 경우 미국사료규제기구(AAFCO)에서 규정한 영양소의 최소요구량에 근접하는 원료 성분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조예 4의 사료 조성물은 비타민 B12와 콜린 성분이 다소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두가지 성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양소 기준은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비타민 B12와 콜린 성분은 반려견용 간식으로 쉽게 보충할 수 있으므로 미국사료규제기구(AAFCO)의 최소요구량을 만족시키기 위해 억지로 인위적인 미네랄제와 비타민제를 추가로 첨가하지 않았다.
특히, 농산물에서 얻을 수 없는 비타민 B12와 콜린은 삶은 달걀에서 쉽게 얻을 수 있고(과하지 않는 일주일에 1~2개 정도), 부족한 아연은 다른 육류와 어패류, 특히, 굴, 대합, 홍합, 담치와 같은 이매패(二枚貝, Bivalves)류의 간식으로 부족한 영양소를 쉽게 보충할 수가 있다.
영양소(황태)  단위  AAFCO 요구량 제조예4 잇츠푸드
자견 성견 샘플검사(1) Pass/Fail
조단백 Crude Protein % 22.5 18,00 24.96% Pass
조지방 Crude Fat % 8.5 5.50 5.74% Pass
미네랄 Minerals
Calcium (Ca) % 1.2 0.5 0.521% Pass
Phosphorus (P) % 1 0.4 0.48% Pass
Potassium (K) % 0.6 0.6 1.93% Pass
Sodium % 0.3 0.08 0.72% Pass
Magnesium % 0.06 0.06 0.25% Pass
Iron mg/700g 61.6 28.00 49.24 Pass
Copper mg/700g 8.7 5.11 8.53 Pass
Manganese mg/700g 5.0 3.50 20.72 Pass
Zinc mg/700g 70.0 56.00 23.29 부족
Iodine mg/700g 0.7 0.70 7.27 Pass
Selenium mg/700g 0.2 0.245 0.258 Pass
비타민 Vitamins & Other
Vitamin A (IU) IU/700g 3,500.00 3,500.00 173,224.96 Pass
Vitamin D (IU) IU/700g 350.00 350.00 368.14 부족
Vitamin E (IU) IU/700g 35.00 35.00 35.52 Pass
Thiamine mg/700g 1.58 1.58 14.19 Pass
Riboflavin mg/700g 3.64 3.64 6.77 Pass
Pantothenic acid mg/700g 8.40 8.40 32.82 Pass
Niacin mg/700g 9.52 9.52 53.57 Pass
Pyridoxine mg/700g 1.05 1.05 6.68 Pass
Folic acid mg/700g 0.15 0.15 2.55 Pass
Vitamin B12 mg/700g 0.02 0.02 0.015 부족
Choline mg/700g 952.00 952.00 685.69 부족
Vitamin K mg/700g 0.00 0.00 5.95  
실험예 1. 사료 기호도 조사
상기 제조예 4의 사료 조성물 일정량을 반려견 2두에 1주일간 직접 급여(1일 1회, 아침)한 후 남은 사료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기호도를 측정하였다. 즉, 1회 사료 섭취량을 알고 있는 반려견을 대상으로 제조예 4의 조성으로 제조한 사료를 1회 섭취량만큼 급여한 후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건식사료와 비교하여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였다(표 3).
제조예 4 A사 건식사료 B사 건식사료 C사 건식사료
급여량(g) 150g 150g 150g 150g
잔존량(g) 0g 14g 27g 12g
섭취율 100% 90.6% 82% 92%
그 결과,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사료 조성물의 섭취율은 100%로 나타나 반려견의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에 대한 기호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식(Dry) 사료의 경우 급여를 하기 위해 봉지를 열 때마다 향미제와 유분이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산폐 발생으로 인하여 관능성이 낮은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는 브로콜리, 파슬리 등에서 나오는 향미 성분으로 인하여 기호도가 좋고, 항산화 물질들을 다수 포함하여 원재료의 산패 등 변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려견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2. 급여시험에 따른 증체량 및 배변량 분석
실험 반려견으로는 평창 농장에서 기르고 있는 건강한 비글 2두를 선택하였고, 제조예 4의 사료 조성물을 6주에 걸쳐서 급이하여 증체량 및 배변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비글 2두는 모두 태어난지 2년이 넘었고, 몸무게가 12~14kg이었으며, 한 달 반 동안 하루에 300g(1일 150g 2회)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급여기간 급여량 비글A 비글B
체중 배변량 체중 배변량
1주 2100g(비글) 12.4 5~10%감소 12.9 5~10%감소
2주 2100g(비글) 12.3 12.8
3주 2100g(비글) 12.1 12.6
4주 2100g(비글) 12.1 12.5
5주 2100g(비글) 11.9 12.3
6주 2100g(비글) 11.9 12.4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를 급여한 이후로 반려동물의 체중이 비글A의 경우 4.8%, 비글B의 경우 3.9% 정도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합물 100%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조단백질은 약 24.34%, 조지방은 약8.38%, 조섬유는 약 6.37%, 조회분은 7.92%, 열량은 4,142kcal/kg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판 중인 일반 건식사료들에 비하여 약 30% 정도 열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30% 정도 급여량을 줄이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참조).
또한, 치아와 잇몸에 찌꺼기가 덜 끼여서 입 냄새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냄새와 배변량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곡물 위주의 건식(dry) 사료와 달리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의 영양소가 대부분 잘 흡수됨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육안으로 보기에도 활동량이 많아지고, 슬림해졌음은 물론, 기존 사료를 섭취할 때 보다 모질이 좋아지고, 털의 윤기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3. 눈 손상 발생 억제 효과
C57BL/6J 마우스를 각각 6마리씩 정상군, 대조군(자외선 조사), 처리군(자외선 조사+제조예 4의 사료조성물 급이군)으로 나누었으며, 처리군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4의 사료조성물을 6주일간 공급하였다. 6주일 후 대조군과 처리군은 아트로핀(atropine)을 점안하여 동공을 확장시키고, 자외선(365nm)을 6시간 동안 조사하였으며, 6시간 후 안구는 대안 촬영하고 적출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자외선 조사)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식이한 경우, 백내장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당근, 시금치, 호박, 케일, 표고버섯, 미역, 치아씨드, 브로콜리, 비트, 파슬리, 및 헴프씨드로 이루어진 농산물 원재료를 고압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a)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농산물 원재료를 5~15mm 크기로 절단하는 (b)단계;
    상기 절단된 농산물 원재료에 황태 분쇄물과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배합한 후 건조하는 (c)단계; 및
    상기 건조된 농산물 원재료를 포장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황태 분쇄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2~14 중량부로 첨가되고, 상기 홍삼 추출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5~2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건조는 수분함량이 8 내지 12%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배합되는 농산물 원재료는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당근 2~6 중량부, 시금치 2~6 중량부, 호박 3~7 중량부, 케일 5~15 중량부, 표고버섯 5~15 중량부, 미역 5~15 중량부, 치아씨드 1~2 중량부, 브로콜리 8~12 중량부, 비트 2~6 중량부, 파슬리 1~3 중량부, 및 헴프씨드 1~3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식 사료는 총 수분함량이 10중량% 이하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당근, 시금치, 호박, 케일, 표고버섯, 미역, 치아씨드, 브로콜리, 비트, 파슬리, 및 헴프씨드로 이루어진 농산물 원재료를 포함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당근 2~6 중량부, 시금치 2~6 중량부, 호박 3~7 중량부, 케일 5~15 중량부, 표고버섯 5~15 중량부, 미역 5~15 중량부, 치아씨드 1~2 중량부, 브로콜리 8~12 중량부, 비트 2~6 중량부, 파슬리 1~3 중량부, 및 헴프씨드 1~3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눈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자연식 건조(dehydrated) 사료 조성물.
KR1020190010740A 2019-01-28 2019-01-28 반려견의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10222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40A KR102220535B1 (ko) 2019-01-28 2019-01-28 반려견의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40A KR102220535B1 (ko) 2019-01-28 2019-01-28 반려견의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355A true KR20200093355A (ko) 2020-08-05
KR102220535B1 KR102220535B1 (ko) 2021-02-24

Family

ID=7204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740A KR102220535B1 (ko) 2019-01-28 2019-01-28 반려견의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5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06B1 (ko) * 2020-11-25 2021-05-14 박진영 육류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간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3699B1 (ko) * 2021-12-27 2022-05-02 강명학 애견 사료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애견 사료
KR20220062798A (ko) * 2020-11-09 2022-05-17 박주현 눈 건강 재료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식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994B1 (ko) * 2022-10-26 2023-03-24 김태윤 반려동물의 눈물 착색예방용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06B1 (ko) * 2006-03-24 2007-07-02 (주)홀리케어바프 자연식 사료의 제조방법
KR20130073049A (ko) * 2011-12-23 2013-07-03 유민주 신장병이 있는 고양이를 위한 저단백 사료
KR20130079026A (ko) 2012-01-02 2013-07-10 주식회사 브랜하임 애견 사료 및 그에 따른 제조 방법
US20150056347A1 (en) * 2012-03-30 2015-02-26 Specialites Pet Food Food products having an improved appeal to pet owners and at least a maintained palatability to pets, and methods of preparation
JP2015126715A (ja) * 2013-12-27 2015-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フードの製造方法
KR101620734B1 (ko) * 2014-11-12 2016-05-23 조향선 스피루리나 (Spirulina)를 이용한 사료용 파우더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7140A1 (en) * 2015-12-28 2017-07-06 Spectrum Brands, Inc. Vegetable and fruit kabob pet treat
KR20180036343A (ko) * 2016-09-30 2018-04-09 정문주 모링가 잎과 딸기를 함유한 애견용 건강보조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06B1 (ko) * 2006-03-24 2007-07-02 (주)홀리케어바프 자연식 사료의 제조방법
KR20130073049A (ko) * 2011-12-23 2013-07-03 유민주 신장병이 있는 고양이를 위한 저단백 사료
KR20130079026A (ko) 2012-01-02 2013-07-10 주식회사 브랜하임 애견 사료 및 그에 따른 제조 방법
US20150056347A1 (en) * 2012-03-30 2015-02-26 Specialites Pet Food Food products having an improved appeal to pet owners and at least a maintained palatability to pets, and methods of preparation
JP2015126715A (ja) * 2013-12-27 2015-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フードの製造方法
KR101620734B1 (ko) * 2014-11-12 2016-05-23 조향선 스피루리나 (Spirulina)를 이용한 사료용 파우더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7140A1 (en) * 2015-12-28 2017-07-06 Spectrum Brands, Inc. Vegetable and fruit kabob pet treat
KR20180036343A (ko) * 2016-09-30 2018-04-09 정문주 모링가 잎과 딸기를 함유한 애견용 건강보조사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798A (ko) * 2020-11-09 2022-05-17 박주현 눈 건강 재료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식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2606B1 (ko) * 2020-11-25 2021-05-14 박진영 육류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간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3699B1 (ko) * 2021-12-27 2022-05-02 강명학 애견 사료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애견 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535B1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535B1 (ko) 반려견의 자연식 건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100733906B1 (ko) 자연식 사료의 제조방법
Nuhu Effect of Moringa leaf meal (MOLM) on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carcass and blood indices of weaner rabbits
US8691296B2 (en) Method for improving eye health
EP2023945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eye health
Onyimonyi et al. An assessment of pawpaw leaf meal as protein ingredient for finishing broiler
KR101945291B1 (ko) 반려동물용 영양보충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제조되는 영양보충제
WO2014089393A1 (en) Pet food with perceptible shapes
CN111955617A (zh) 一种含酶解鸽肉的宠物食品猫粮及其制备方法
JPH11289994A (ja) 栄養バランスのとれた添加剤を入れた配合飼料
RU2568136C2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изменения качества стула у животного
KR101484274B1 (ko) 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mao et al. Haematological profile and biochemical response of weaner rabbits fed graded levels of African star apple Chrysophyllum albidum seed meal
Tuleun et al. The feeding value of toasted mucuna seed meal diets for growing Japanese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CN107668340A (zh) 一种提高耕牛体质的牛饲料
Sunmola et al. Use of sweet orange peel meal (SOPM) in broiler chicken diet with and without Polyzyme®.
Onunkwo et al. Haematological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ckerels fed different levels of Tiger Nut (Cyperus esculentus) Seed Meal
Malik et al. Haematology, serum biochemistry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cockerels fed diets containing varying levels of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Mart.) Solms-Laubach] meal supplemented with Maxigrain® enzyme
Popoola et al. Carcass Evaluation of Snails (Archachatina marginata) Fed Diet Containing Varying Levels of African Yam bean (Sphenostylis stenocarpa L.)
Odutayo et al. Performance of finisher broiler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unpeeled sweet potato meal as partial substitute for maize
KR20180136344A (ko) 기능성 계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계란
AU2013206809B2 (en) Use of at least one polyphenol for promoting eye health
KR20210097569A (ko) 식용 꽃벵이, 아로니아 및 홍삼박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CN108740525A (zh) 一种蛋鸡养殖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647121A (zh) 一种提高耕牛体质的牛饲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