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954A - Iv형 알레르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Iv형 알레르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954A
KR20200092954A KR1020207014438A KR20207014438A KR20200092954A KR 20200092954 A KR20200092954 A KR 20200092954A KR 1020207014438 A KR1020207014438 A KR 1020207014438A KR 20207014438 A KR20207014438 A KR 20207014438A KR 20200092954 A KR20200092954 A KR 2020009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ctic acid
acid bacteria
polysaccharid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628B1 (ko
Inventor
마사노리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소네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네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네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6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e.g. locust bean gum,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6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Abstract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은,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하고, 특히,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혹은 개선을 위한 음식품, 의약품, 사료, 화장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IV형 알레르기용 조성물
본 발명은 IV형 알레르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IV형 알레르기, 특히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년, 식생활의 변화, 대기 오염의 악화, 알레르겐 물질, 금속성 장식물로의 노출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화분증이나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의 현저한 증가가 지적되고 있다. 알레르기는 면역 반응에 기초하는 생체에 대한 전신적 또는 국소적인 장해라고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알레르기에는, 혈중 항체에 의한 액성 면역 반응에 기초하는 I, II 및 III형 알레르기와, 감작 림프구에 의한 세포성 면역 반응에 기초하는 IV형 알레르기로 대별된다. IV형 알레르기는, 지연형 알레르기, 세포성 면역, 투베르쿨린형이라고도 불리며, 항원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감작 T세포에 의해 일어난다고 여겨지고 있다. IV형 알레르기에서는, 항원과 반응한 감작 T세포로부터, 매크로파지를 활성화하는 인자 등의 여러 가지 생리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주위의 조직 상해를 일으킨다고 여겨지고 있다. IV형 알레르기에는, 투베르쿨린 반응, 접촉성 피부염 등이 있고, 이 종류의 알레르기의 피내 반응은, 통상, 항원 피내 주사 24~48시간 후, 발적, 경결이 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알레르기에 대하여 사용되는 약물로는,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약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여러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지적되고 있어, 반드시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근년에는, 면역 반응에 관여하여 항알레르기 작용을 갖는 유산균이 안전성이 높은 항알레르기 소재로서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브레비스 등의 IgE 항체 생성을 억제하는 유산균(특허문헌 1), 히스타민 유리 억제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루테리(AD0002주)의 유산균(특허문헌 2), 장관 면역 또는 I형 헬퍼 T세포를 부활하는 엔테로코커스·패시움 유산균(특허문헌 3 및 4), Th1 면역 증강 작용과 Th2 면역 억제 작용을 갖는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 KW3110주의 유산균(비특허문헌 1)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29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956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78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04107호
International archives of allergy and immunology 2004; 135: 205-215
이러한 배경 기술 하에 있어서는,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알레르기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IV형 알레르기, 특히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혹은 개선에 유효한,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은, IV형 알레르기, 특히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혹은 개선을 위한 새로운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 및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가,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억제 작용을 가져, IV형 알레르기, 특히 접촉성 피부염을 예방 혹은 개선하는 작용이 있는 것을 알아내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서는,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유산균은 무화과 유래의 유산균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수탁 번호 NITE BP-02242) 또는 그것과 동등한 유산균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유산균의 배양물 혹은 발효물은, 유산균을 파인애플속 식물의 과즙의 존재 하에서 배양 혹은 발효하여 얻어지는 배양물 혹은 발효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유산균이 생성하는 다당류로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α-1,6 결합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 중성 다당체, 혹은, 주로 글루코스와 만노스로 구성되는 산성 다당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식품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음식품으로는, 음료, 기능성 식품, 발효 식품 또는 서플리먼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억제 작용을 가져,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하고, 특히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접촉성 피부염 등의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음식품, 의약품, 사료, 화장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아, 장기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저렴하게 대량 공급이 가능하여, 그 유용성 및 실용성은 매우 높다.
도 1은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1의 (A)가 그람 염색 현미경 사진, (B)가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2는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다당류의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TOYOPEARL DEAE-650M 수지(토소 주식회사))에 의한 분리 프로파일이다. 0 mM~500 mM의 구배 농도의 NaCl(파선)로 다당류를 용출시키고, 각 획분 중의 다당류를 페놀황산법에 의해 490 nm에서 모니터하였다(직선).
도 3은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다당류를 음이온 교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얻어진 중성 다당체를, 프로톤-NMR 및 카본-NMR로 처리하여 얻어진 각각의 NMR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3의 (A)가 프로톤-NMR의 NMR 프로파일이고, (B)가 카본-NMR의 NMR 프로파일이다.
도 4는 NMR 프로파일로부터의 중성 다당체의 구조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 구조 해석 결과로부터,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중성 다당체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α-1,6 결합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밝혀졌다.
도 5는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균체 또는 다당류를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경구 투여한 경우의,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Tukey 검정)이다.
도 6은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균체 또는 다당류를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경구 투여한 경우의,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Welch의 방법에 의한 t 검정)이다.
도 7은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균체 또는 다당류를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도포한 경우의,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Tukey 검정)이다.
도 8은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균체 또는 다당류를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도포한 경우의,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Welch의 방법에 의한 t 검정)이다.
도 9는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에 의한 발효 파인애플 과즙을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경구 투여한 경우의,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산성 다당체 및 중성 다당체를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경구 투여한 경우의,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산성 다당체 및 중성 다당체를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경구 투여한 경우의,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4의 발현에 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산성 다당체 및 중성 다당체를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경구 투여한 경우의,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의 혈청 중의 IgE 레벨의 상승에 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산성 다당체 및 중성 다당체를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경구 투여한 경우의,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의 이개에서의 염증의 모습에 대하여 현미경 관찰을 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유산균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으로, 무화과 유래의 유산균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해, 무화과의 잎으로부터 단리 동정된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를 들 수 있다. 이 균주는, 2016년 4월 19일에 독립행정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특허 미생물 센터(우편번호 292-0818 치바현 키사라즈시 카즈사카마타리 2-5-8 122호실)에 수탁 번호 NITE P-02242로서 국내 기탁되고, 그 후에 부다페스트 조약에 기초하는 국제 기탁으로 이관되어, 2017년 5월 26일에 NITE BP-02242로서 국제 기탁의 수탁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는, 도 1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탈라아제 음성인 그람 양성 간균이고, 또한, 백색 콜로니 형성성을 갖고, 조건적 헤테로 락트산 발효의 특성을 갖는다는 균학적 성질을 갖는다. 나아가서는, 다당류를 생성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와 동등한 유산균도 대상으로 한다. 여기서, 동등한 유산균이란, 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으로서,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와 마찬가지로, IV형 알레르기, 특히 접촉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유산균을 가리킨다. 이들 동등한 유산균은, 예를 들어,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에 대하여 돌연변이, 유전자 재조합 등의 통상의 변이 처리 기술을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또한,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자연 변이주의 선택 등에 의해 육종된 균주여도 된다.
2. 본 발명의 유효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유산균은, 통상 사용되는 MRS 배지나 그 수정 배지 등을 사용하여, 액체 정치 배양 등의 통상 이용되는 배양 방법에 의해 배양할 수 있다. 유산균은, 파인애플속 식물의 과즙 또는 그 추출물의 존재 하에서 배양함으로써, 그 증식을 촉진할 수 있고(국제 공개 제WO2011/046194호), 또한, 술지게미, 술지게미 추출물 또는 술지게미의 효소 분해물의 존재 하에서 배양함으로써도, 그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721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5366호 및 일본 특허 제2835548호). 유산균을 배양 후, 얻어진 배양물을 그대로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해도 되고, 얻어진 배양액을 희석 또는 농축하여 사용해도 되며, 배양물로부터 회수한 균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배양 후에 가열, 및 동결 건조 등의 여러 추가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유산균의 균체는, 그 세포 표층에 다당류를 부착하고 있는 생균체여도 되고 사균체여도 되며, 생균체 및 사균체의 양방이어도 된다. 사균체는, 파쇄물이어도 되지만 다당류를 그 표층에 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산균의 발효물은, 통상, 영양원으로서 글루코스 등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효모 엑기스, 파인애플속 식물의 과즙, 술지게미, 소주 지게미 등의 식물 유산균의 증식 촉진 물질을 더 첨가하여,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유산균이 생성하는 다당류는,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분리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물로부터 원심 분리에 의해 균체를 제거하고,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에탄올이나 아세톤 등을 사용하여 다당류를 침전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더 분리 정제하여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유산균이 생성하는 다당류에는, 중성 다당체 및 산성 다당체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산균이 생성하는 다당류로는, 구체적으로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α-1,6 결합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 중성 다당체, 혹은, 주로 글루코스와 만노스로 구성되는 산성 다당체를 들 수 있다. 이 중성 다당체는, 후술하는 실시예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의 배양물로부터 얻어지는 다당류를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정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중성 다당체는, 도 3에 나타내는 프로톤-NMR 및 카본-NMR의 NMR 프로파일로부터,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α-1,6 결합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는, 주로 글루코스와 만노스로 구성되는 산성 다당체를 균체외로 분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산성 다당체는,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및 람노스로 구성되고, 그들의 조성비는, 대략 10:170:2:1이다.
3. 본 발명의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식품 조성물, 의약 조성물, 사료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등의 각종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음식품 조성물의 음식품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청량 음료, 탄산 음료, 영양 음료, 과즙 음료, 유산균 음료 등의 음료, 이들 음료의 농축 원액, 조제용 분말 등; 아이스크림, 셔벗, 빙수 등의 빙과; 엿, 구미, 시리얼, 추잉껌, 캔디, 껌, 초콜릿, 정과, 스낵 과자, 비스킷, 젤리, 잼, 크림, 및 구운 과자 등의 과자류; 가공유, 유음료, 발효유, 드링크 요구르트, 버터 등의 유제품; 빵; 경장 영양식, 유동식, 육아용 밀크, 스포츠 음료; 퓌레 등의 식품; 기타 기능성 식품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음식품은, 서플리먼트여도 되고, 예를 들어, 과립상, 분말상, 태블릿상의 서플리먼트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음식품은, 음식품의 원료에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혹은 통상의 음식품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의 첨가는, 음식품의 제조 공정의 어느 단계에서 행하여도 된다. 첨가한 유산균에 의한 발효 공정을 거쳐, 음식품이 제조되어도 된다. 그러한 음식품으로는, 유산균 음료, 발효유 등의 발효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음식품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균체 또는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의 함유량은, 음식품의 양태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되는데, 통상, 음식품 조성물 중에, 1 × 106~1 × 1012 cfu/g 또는 1 × 106~1 × 1012 cfu/ml의 범위 내에서 균체가 포함되는 함유량이 바람직하고, 1 × 107~1 × 1011 cfu/g 또는 1 × 107~1 × 1011 cfu/ml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산균이 사균체인 경우, cfu/g 또는 cfu/ml는, 개별세포/g 또는 개별세포/ml로 치환할 수 있다. 유산균이 생성하는 다당류의 경우에는, 음식품 조성물 중에, 다당류의 중량 환산으로 통상 0.001 중량% 이상, 나아가서는 0.0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약 조성물은, 통상,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통상 사용되는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액체 또는 고체의 제제 담체에 배합해 제제화하여 사용된다. 의약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정제, 환제, 산제, 액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캡슐제, 시럽제, 좌제, 주사제, 연고제, 첩부제, 점안제, 및 점비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제제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균체 또는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의 함유량은, 제형, 용법, 대상의 연령, 성별, 질환의 종류, 질환의 정도, 및 그 밖의 조건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되는데, 통상 1 × 106~1 × 1012 cfu/g 또는 1 × 106~1 × 1012 cfu/ml의 범위 내에서 균체가 포함되는 함유량이 바람직하고, 1 × 107~1 × 1011 cfu/g 또는 1 × 107~1 × 1011 cfu/ml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산균이 사균체인 경우, cfu/g 또는 cfu/ml는, 개별세포/g 또는 개별세포/ml로 치환할 수 있다. 유산균이 생성하는 다당류의 경우에는, 의약 조성물 중에, 다당류의 중량 환산으로 통상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투여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용 대상에 따라, 적당하게 투여 시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방적으로 투여해도 되고, 유지 요법에 사용해도 된다. 투여 형태는 제제 형태, 투여 대상의 연령, 성별, 그 밖의 조건, 투여 대상의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 적당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어느 경우도 1일 1회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고, 또한, 수 일 또는 수 주일에 1회의 투여로 해도 된다.
사료 조성물의 사료로는, 펫 푸드, 가축 사료, 양어 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사료는, 일반적인 사료, 예를 들어, 곡류, 지게미류, 강류(糠類), 어분, 골분, 유지류, 탈지 분유, 유청(훼이), 간수, 광물질 사료, 효모류 등에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일리지의 경우와 같이, 첨가한 유산균에 의한 발효 공정을 거쳐, 사료가 제조되어도 된다. 제조된 사료는, 일반적인 포유 동물, 가축류, 양어류, 애완 동물 등에 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양어류의 경우에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첨가한 발효물을 양어장에 뿌리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균체 또는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의 함유량은, 사료의 양태나 적용 대상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되는데, 1 × 106~1 × 1012 cfu/g 또는 1 × 106~1 × 1012 cfu/ml의 범위 내에서 균체가 포함되는 함유량이 바람직하고, 1 × 107~1 × 1011 cfu/g 또는 1 × 107~1 × 1011 cfu/ml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산균이 사균체인 경우, cfu/g 또는 cfu/ml는, 개별세포/g 또는 개별세포/ml로 치환할 수 있다. 유산균이 생성하는 다당류의 경우에는, 사료 조성물 중에, 다당류의 중량 환산으로 통상 0.001 중량% 이상, 나아가서는 0.0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어, 비누, 바디 샴푸, 클렌징 크림, 세안료 등의 세정료; 화장수(로션), 배니싱 크림, 콜드 크림, 에몰리언트 크림, 마사지 크림 등의 크림; 유액, 미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재료에, 본 발명의 유산균의 균체 또는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닭 등의 조류의 알을 할란해 난황을 분리하여 얻은 액상의 난백에 본 발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유산균의 발효 난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산균의 발효는, 일반적으로 영양원으로서 글루코스 등을 사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효모 엑기스, 파인애플 과즙, 술지게미, 소주 지게미 등의 식물 유산균의 증식 촉진 물질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유산균의 발효 난백의 형태는, 배합하는 화장품에 따라, 예를 들어, 액상, 분말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젤리상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하는 유산균의 균체 또는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의 함유량은, 화장품의 양태나 적용 대상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되는데, 1 × 106~1 × 1012 cfu/g 또는 1 × 106~1 × 1012 cfu/ml의 범위 내에서 균체가 포함되는 함유량이 바람직하고, 1 × 107~1 × 1011 cfu/g 또는 1 × 107~1 × 1011 cfu/ml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산균이 사균체인 경우, cfu/g 또는 cfu/ml는, 개별세포/g 또는 개별세포/ml로 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산균의 발효 난백의 경우에는, 발효 난백의 함유량은, 락트산 발효 난백의 건물 환산으로 통상 0.001 중량% 이상, 나아가서는 0.01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산균이 생성하는 다당류의 경우에는, 화장품 조성물 중에, 다당류의 중량 환산으로 통상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는,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억제 작용을 가져, IV형 알레르기, 특히 접촉성 피부염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4의 발현 및 혈청 IgE 레벨의 상승을 억제하여, 염증 증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는,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뇌염, 아토피성 피부염, 과민성 폐렴, 결핵성 공동, 나병이나 사르코이도시스의 유상피세포성 육아종 병변, 천연두·홍역의 발진 등의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는,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억제 작용을 갖기 때문에, 약품 등의 피부 접촉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등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한 점에서, 특히, 건강 유지나 건강 증진용의 음식품의 소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1. 유산균 샘플의 분리
무화과(품종 「토요미츠히메」)의 잎, 줄기, 및 과실을 선택하고, 살균 완료 핀셋과 가위를 사용하여 2~3 mm로 세단편화한 후, 멸균이 완료된 MRS 액체 배지가 들어간 시험관에 5~6개씩의 세편을 넣고, 28℃ 및 37℃에서, 유산균의 표준 배지인 MRS 배지가 흐려질(증식할) 때까지 정치 배양하였다. 덧붙여, 유산균 후보주의 증식을 목시할 수 있을 때까지 2~4일간을 필요로 하였다.
상기 유산균 후보주의 각 배양액의 일부를 MRS 한천 배지 상에 디스포저블 루프로 선화도균한 후, 정치 배양을 행하였다. 한천 배지 상에 형성된 콜로니 중, 「색, 윤기, 형상이 다른 것」을 전부 픽업하고, 프레시한 MRS 한천 배지 상에 선화도균을 행하여, 콜로니를 순화하였다.
순화된 각 콜로니에 대하여, 카탈라아제 효소의 생성 유무를 검증하기 위하여, H2O2 테스트를 행하였다. 이것은, 10%의 H2O2 용액에 균체를 노출시켰을 때에 일어나는, 카탈라아제가 존재하면 생성되는 산소의 발생 유무를 관찰하는 시험법이다. 덧붙여, 유산균은 카탈라아제를 생성하지 않는다.
무화과로부터의 탐색 분리를 시도한 결과, 무화과의 잎을 분리원으로 한 것으로부터, 카탈라아제 음성을 나타내는 유산균 후보주를 1주 얻을 수 있었다.
2. 분리주의 동정
상기 유산균 후보주를 MRS 액체 배지에서 다시 배양하고, 원심에 의해 균체를 취득하였다. 세포벽 용해 효소로 처리한 후, DNAzol 시약을 사용하여,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Lane, D. J. (1991). 16S/23S rRNA sequencing. In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pp.115-175. Edited by E. Stackebrandt & M. Goodfellow. Chichester: Wiley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27f 프라이머 및 1525r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 반응에 의해 16S rDNA 부분을 증폭시키고, NucleoSpin Gel and PCR Clean-up kit(마슈레이·나겔사 제조)에 의해, 아가로스 겔로부터 목적 단편을 회수하였다. 염기 서열 결정을 위한 다이 터미네이터법에 의한 시퀀스 반응은, Big 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 FS Ready Reaction Kit ver.3.1(ThermoFisher Scientific사 제조)로 행하고, ABI PRISM 3130xl Genetic Analyzer(ThermoFisher Scientific사 제조)로 해석하였다. 해석한 16S rDNA의 염기 서열에 대하여 BLAST program에 의한 상동성 검색을 행하고, DNA data bank(DDBJ/EMBL/GenBank)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함으로써, 분리주의 분류학적 동정을 행하였다.
무화과의 잎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후보주를, IJH-SONE68주라고 명명하고, DNA data bank(DDBJ/EMBL/GenBank)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Lactobacillus paracasei R094」의 균주에서 염기 서열의 accession 번호가 「NR_025880」인 염기 서열과 100% 일치하였기 때문에, Lactobacillus paracasei로 동정하였다.
이 균주는, 2016년 4월 19일에 독립행정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특허 미생물 센터(우편번호 292-0818 치바현 키사라즈시 카즈사카마타리 2-5-8 122호실)에 수탁 번호 NITE P-02242로서 국내 기탁되고, 그 후에 부다페스트 조약에 기초하는 국제 기탁으로 이관되어, 2017년 5월 26일에 NITE BP-02242로서 국제 기탁의 수탁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3. 분리 동정된 유산균의 균학적 성질
분리 동정된 상기 유산균 IJH-SONE68주는, 도 1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탈라아제 음성인 그람 양성 간균이고, 또한, 백색 콜로니 형성성을 갖고, 조건적 헤테로 락트산 발효의 특성을 갖는 동시에, 다당류를 생성하는 능력을 갖고 있었다.
4. 분리 동정된 유산균의 당류의 자화 능력
(1) 자화 능력의 시험 방법
IJH-SONE68주의 49종류의 당류에 대한 자화 능력에 대하여 이하의 시험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IJH-SONE68주를 MRS 액체 배지에서 증식의 정상기까지 정치 배양하였다. 원심하여 얻어진 균체를 적량의 suspension medium(비오메류사 제조)으로 세정한 후, 최종적으로 2 mL의 suspension medium에 현탁하였다. 이 일부를, 5 mL의 suspension medium에 첨가하여 맥팔랜드 탁도가 2가 되는 양(n)을 구하였다. 계속해서, API 50 CHL 배지(비오메류사 제조)에 2 n의 균액을 첨가하고, 이것을 API 50 CHL 키트(비오메류사 제조, 각 웰의 바닥에는 각각 49종류의 당이 발라져 있다)의 각 웰에 분주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네랄 오일을 중층하고, 멸균수를 넣은 트레이에 세트하였다.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에, 각 웰에 있어서의 색조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자화능 유무의 판정을 행하였다.
5. 자화 능력의 시험 결과
IJH-SONE68주의 49종류의 당류에 대한 자화 능력을 조사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1.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다당류의 분리 정제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다당류를 이하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였다.
IJH-SONE68주를 MRS 액체 배지에서 증식의 정상기까지 정치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 5 mL를 종배양액으로 하고, 5 L의 다당류 생성용 반합성 배지(그 조성은 후술한다)에 식균한 후, 37℃에서 120시간 정치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4℃로 냉각한 후, 배양액 상청 중에 포함되는 단백질을 변성시켜, 나중 단계에서 침전으로서 제거하기 위하여, 202.5 mL의 100%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화한 후에 30분간 정치하였다. 원심에 의해 침전을 제거하고, 회수한 상청에 등량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혼화한 후, 4℃에서 하룻밤 정치시킴으로써,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다당체를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원심에 의해 회수한 후, 250 mL의 70% 에탄올로 침전물의 세정을 행하였다. 침전물을 바람 건조시킨 후, 75 mL의 50 mM Tris-HCl buffer(pH 8.0)를 첨가하여 1시간 혼화함으로써, 침전물을 용해시켰다. 원심에 의해 불용성의 협잡물을 제거한 후, 회수한 상청에 대하여, 각각 750 μL의 1 mg/mL DNase 용액(Worthington사) 및 1 mg/mL RNase 용액(나칼라이 테스크사)을 첨가하고, 37℃에서 8시간 반응시켰다. 계속해서 750 μL의 2 mg/mL proteinase K 용액(와코 순약 공업사 제조)을 첨가하고, 37℃에서 1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용액을 4℃로 냉각한 후, 첨가한 각 효소를 변성시켜, 다음의 원심에서 침전으로서 제거하기 위하여, 8.75 mL의 100%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화하고, 4℃에서 1시간 정치하였다. 원심에 의해 침전물을 제거하고, 얻어진 상청에 대하여 262.5 mL의 100% 에탄올을 첨가하여, 확실히 혼화한 후, 원심에 의해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다당류를 침전물로서 회수하였다. 50 mL의 70% 에탄올로 침전물을 세정한 후에 바람 건조시키고, 적량(약 25 mL)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4℃에서 하룻밤 정치함으로써, 다당류를 용해시켰다. 용해 후의 다당류 샘플은, 10,000 MWCO의 한외 여과 유닛(메르크사)을 사용하여, 용매를 정제수로 치환하면서, 회수한 샘플 중의 단당류 등의 소분자를 제거하여, 정제된 다당류 샘플을 얻었다.
정제한 다당류 샘플을, 미리 50 mM Tris-HCl buffer(pH 8.0)로 평형화한 TOYOPEARL DEAE-650M 수지(토소 주식회사)를 충전한 오픈 칼럼(2.5 × 22 cm)에 어플라이하고, 중성 다당 획분과 산성 다당 획분으로 분리 정제하기 위한 칼럼 워크를 행하였다. 용액은 동일한 buffer를 사용하고, 유속은 1 mL/min으로 고정하였다. 또한, 용출액은 6 mL마다 다른 시험관에 회수하였다. 먼저, 개시부터 240분까지의 동안에는 동일한 buffer로 용출시켰다(시험관 번호 1-40). 다음으로, 240분의 시점부터 600분의 시점까지는, 동일한 buffer를 사용한 0-500 mM NaCl의 농도 구배를 만들고, 용출을 계속하였다(시험관 번호 41-100). 칼럼 분리 스펙트럼을 도 2에 나타낸다. 시험관에 용출시킨 모든 샘플에 대하여, 페놀황산법(후술한다)에 의해 다당류의 존재를 확인한 후, 해당하는 시험관 내의 용액을 각각 중성 다당 획분, 산성 다당 획분으로서 정리하였다. 각각의 획분은 10,000 MWCO의 한외 여과 유닛을 사용하여, 용매를 정제수로 치환하면서, 회수한 샘플 중의 단당류 등의 소분자를 제거하였다.
이상에 의해,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다당류로서 중성 다당 획분 및 산성 다당 획분이 분리 정제되었다.
다당류 생성용 반합성 배지는 Kimmel SA, Roberts RF. Development of a growth medium suitable for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 RR. Int. J. Food Microbiol., 40, 87-92(1998)에 기재된 배지를 이하와 같이 개변하였다.
다당류 생성용 반합성 배지 [g/L]
Glucose 20
Tween 80 1.0
Ammonium citrate 2.0
Sodium acetate 5.0
MgSO4·7H2O 0.1
MnSO4·5H2O 0.05
K2HPO4 2.0
Bacto casitone 10.0
Vitamine Soln. 2 mL
Trace element Soln. 1 mL
Vitamine Soln. [g/L]
4-aminobenzoic acid 0.05
Biotin 0.001
Folic acid 0.025
Lipoic acid 0.025
Nicotinic acid 0.1
Pantothenic acid 0.05
Pyridoxamin-HCl 0.25
Vitamine B12 0.05
Pyridoxine 0.025
Riboflavin 0.05
Thiamine 0.1
Trace element Soln.은, Kets EPW, Galinski EA, de Bont JAM. Carnitine: a novel compatible solute in Lactobacillus plantarum. Arch. Microbiol., 192, 243-248(1994)에 기재되어 있고, 그 조성은 이하와 같다.
Trace element Soln. [g/L]
25% HCl 10 mL
FeCl2·4H2O 1.5
CoCl2·6H2O 0.19
MnCl2·4H2O 0.1
ZnCl2 0.07
H3BO3 0.006
Na2MoO4·2H2O 0.036
NiCl2·6H2O 0.024
CuCl2·2H2O 0.002
페놀황산법(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1956))
30 μL의 대상 샘플과 등량의 5 w/v % 페놀 수용액을 혼화한 후, 150 μL의 농황산을 첨가하여 혼화시키고, 반응을 개시시킨다. 10분 후에 즉시 빙냉하고, 반응을 정지시킨다. 반응액의 490 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당류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농도의 결정에는, 글루코스를 표품으로 하여 동일한 실험을 행함으로써 제작한 검량선을 사용하였다.
2. 균체외 중성 다당체의 구조 해석
상기한 음이온 교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TOYOPEARL DEAE-650M 수지(토소 주식회사))에 의해 정제된 중성 다당체를, 프로톤-NMR 및 카본-NMR로 처리하여, 얻어진 각각의 NMR 프로파일을 도 3에 나타냈다. 이들 NMR 프로파일로부터의 중성 다당체의 구조 해석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이 구조 해석 결과로부터,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균체외 중성 다당체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α-1,6 결합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밝혀졌다.
3. 균체외 산성 다당의 당 조성 분석
상기한 음이온 교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 산성 다당체의 당 조성 분석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HPLC)법으로 측정함으로써 행하였다.
정제된 산성 다당체(7.3 mg/mL) 10 μL와 물 60 μL를 혼합하여 7배 희석 시료 용액을 조제하고, 시험관에 조제한 희석 시료 용액 20 μL를 채취하여, 감압 건고하고, 2 mo1/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0 μL를 첨가하여 용해하고, 질소 치환, 감압 봉관, 100℃에서 6시간 가수분해하고, 이어서 감압 건고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물 200 μL를 첨가하여 용해하고, 0.22 μm의 필터로 여과하여 측정용 시료 용액을 얻고, 측정용 시료 용액을 물로 10배 희석하여 희석 측정용 시료 용액을 얻었다. 이들 측정용 시료 용액 및 희석 측정용 시료 용액 50 μL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기로서, HPLC 시스템: LC-20A 시스템(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및 분광 형광 광도계 M-10AxL(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을 사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이하와 같았다.
칼럼: TSK-gel Sugar AXG 4.6 mmI.D. × 15 cm(토소 주식회사)
칼럼 온도: 70℃
이동상: 0.5 mol/L 붕산칼륨 완충액, pH 8.7
이동상 유속: 0.4 mL/min
포스트 칼럼 표지: 반응 시약: 1 w/v % 아르기닌·3 w/v % 붕산
반응 시약 유속: 0.5 mL/min
반응 온도: 150℃
검출 파장: Ex.320 nm Em.430 nm
균체외 산성 다당체로 조제한 시료의 크로마토그램 및 각 단당류의 검량선 데이터를 구하고, 검량선으로부터 균체외 산성 다당의 구성 당의 시료 중 농도를 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IJH-SONE68주의 경구 투여에 의한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억제 작용
실시예 1에서 얻어진 IJH-SONE68주의 유산균 균체, 그리고 IJH-SONE68주의 유산균이 생성하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다당류를 경구 투여한 경우의,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억제 작용을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1. 시험 방법
(1) 마우스 시험용 샘플의 조제
IJH-SONE68주를, MRS 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액으로부터 원심에 의해 균체를 회수하여, 정제수에 재현탁한 것을 마우스 시험용의 샘플로 하였다(약 1 × 1012 cfu/ml 상당). 이 상태의 것을 생균체용의 샘플로서, 또한 121℃, 20분의 조건으로 가열 살균 처리한 것을 사균체용의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한편, 본 주를 modified-SDM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배양액 상청으로부터, 본 주가 생성하는 세포외 다당체를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정제한 것(실시예 2의 중성 다당 획분과 산성 다당 획분의 혼합물)을 세포외 다당류 투여군에 제공하였다(농도: 1 mg/mL).
(2) 시험에서 사용한 시약
피크릴클로라이드는 토쿄 화성 공업 주식회사의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 방법
동물은 웅성 BALB/cA Jcl계 마우스(7주령, 닛폰 클레어: 입하시)를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사육 케이지에서 5마리 사육으로 하고, 온도: 20~26℃, 습도: 40~60%, 조명 시간: 12시간(8:00~20:00)의 환경으로 조절된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하고, 먹이는 고형 사료 MF(오리엔탈 효모 주식회사)를 자유 섭취시켰다. 또한 음료수에 관해서는,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마우스 반입 후, 7일간 순화하였다. 순화 사육 후, 다음과 같이 군 나눔을 행하였다(군 A: 컨트롤군; 군 B: IJH-SONE68주 생균체 현탁액 투여군; 군 C: IJH-SONE68주 사균체 현탁액 투여군; 군 D: IJH-SONE68주 유래 세포외 다당체 투여군). 이 시점을 Day 0으로 하고, 마우스에는 샘플을 Day 0부터 1회/일의 빈도로 14일간 연속 경구 투여를 행하였다. 한편, 1일당의 투여 용량은 0.20 mL/마리로 하였다.
Day 6에, 모든 마우스에 대하여, 양 수족(20 μL), 흉복부(100 μL) 및 배부(100 μL)에 각각 7 w/v % 피크릴클로라이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마우스에 항원 정보를 기억시켰다. Day 14에, 마우스 우이개의 두께를 미리 버니어캘리퍼스에 의해 측정해 두고, 그 후, 우이개의 표리에 1 w/v % 피크릴클로라이드 용액을 20 μL씩 도포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시켰다. 24시간 후(Day 15), 이개의 두께를 측정하고, 야기 전후에서의 차이(Δ 이개 두께[mm])를 각 군간에서 비교하였다. 데이터는 평균값±표준 오차로 나타내고, 군간의 유의차 검정에는 Tukey 검정, 혹은 Welch의 방법에 의한 t 검정을 이용하여, 위험률(p값)이 0.05 미만에서 유의차 있음이라고 판정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각 샘플의 억제 작용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2. 시험 결과
각 군에 있어서의 Δ 이개 두께를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또한, 도 5(Tukey 검정) 및 도 6(Welch의 방법에 의한 t 검정)에도 나타냈다. 도 5로부터,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군 C 및 군 D에서 염증에서 기인하는 이개 두께의 증가가 유의하게 억제되는(p < 0.05)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6으로부터, 컨트롤군과 군 B만을 비교한 경우, 이개 두께의 증가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는(p < 0.1)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JH-SONE68주 균체 그리고 본 주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체를 항원 감작 전후에 반복 경구 투여한 경우, 피크릴클로라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접촉성 피부염 모델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4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다당류의 도포에 의한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억제 작용
실시예 1에서 얻어진 IJH-SONE68주의 유산균이 생성하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다당류를 도포한 경우의,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억제 작용을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1. 시험 방법
(1) 마우스 시험용 샘플의 조제
IJH-SONE68주를 modified-SDM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배양액 상청으로부터, 본 주가 생성하는 세포외 다당체를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정제한 것을 실험에 제공하였다(1 mg/mL). 한편, 기존의 항염증약의 비교 대조로서 사용한 글리시리진산2칼륨 수용액도 동일한 농도로 하였다.
(2) 시험에서 사용한 시약
피크릴클로라이드는 토쿄 화성 공업 주식회사의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 방법
동물은 웅성 BALB/cA Jcl계 마우스(7주령, 닛폰 클레어: 입하시)를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사육 케이지에서 5마리 사육으로 하고, 온도: 20~26℃, 습도: 40~60%, 조명 시간: 12시간(8:00~20:00)의 환경으로 조절된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하고, 먹이는 고형 사료 MF(오리엔탈 효모 주식회사)를 자유 섭취시켰다. 또한 음료수에 관해서는,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마우스 반입 후, 7일간 순화하였다. 순화 사육 후, 다음과 같이 군 나눔을 행하였다(군 A: 컨트롤군; 군 B: 글리시리진산2칼륨 도포군; 군 C: 미분할 EPS(실시예 2에서 얻어진 중성 다당 획분과 산성 다당 획분의 혼합물) 도포군; 군 D: 중성 EPS(실시예 2에서 얻어진 중성 다당 획분) 도포군; 군 E: 산성 EPS(실시예 2에서 얻어진 산성 다당 획분) 도포군). 이 시점을 Day 0으로 하고, 모든 마우스에 대하여, 양 수족(20 μL) 및 흉부(150 μL)에 각각 7 (w/v) % 피크릴클로라이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마우스에 항원 정보를 기억시켰다.
Day 6에, 마우스 우이개의 두께를 미리 버니어캘리퍼스에 의해 측정해 두고, 그 후, 우이개의 표리에 1 (w/v) % 피크릴클로라이드 용액을 20 μL씩 도포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시켰다. 도포부터 2시간 후, 각 군의 마우스 우이개의 표리 양면에 대하여, 각 샘플을 20 μL씩 도포하였다. 18시간 후(Day 7), 이개의 두께를 다시 측정하고, 야기 전후에서의 차이(Δ 이개 두께[mm])를 각 군간에서 비교하였다. 데이터는 평균값±표준 오차로 나타내고, 군간의 유의차 검정에는 Tukey 검정, 혹은 Welch의 방법에 의한 t 검정을 이용하여, 위험률(p값)이 0.05 미만에서 유의차 있음이라고 판정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각 샘플의 억제 작용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2. 시험 결과
각 군에 있어서의 Δ 이개 두께를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4
또한, 도 7(Tukey 검정) 및 도 8(Welch의 방법에 의한 t 검정)에도 나타냈다. 도 7로부터,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B군 및 D군에서 염증에서 기인하는 이개 두께의 증가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는(p < 0.1)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8로부터, 컨트롤군과 각 군을 개별적으로 비교한 경우, 이개 두께의 증가가 유의하게 억제되는(p < 0.05)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JH-SONE68주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의 염증 부위로의 도포에 의해, 피크릴클로라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접촉성 피부염 모델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5
IJH-SONE68주의 발효액에 의한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개선 작용
실시예 1에서 얻어진 IJH-SONE68주의 발효 파인애플 과즙을 경구 투여한 경우의,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개선 작용을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1. 시험 방법
동물은 웅성 BALB/cA Jcl계 마우스(7주령, 닛폰 클레어: 입하시)를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사육 케이지에서 5마리 사육으로 하고, 온도: 20~26℃, 습도: 40~60%, 조명 시간: 12시간(8:00~20:00)의 환경으로 조절된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하고, 먹이는 고형 사료 MF(오리엔탈 효모 주식회사)를 자유 섭취시켰다. 또한, 음료수에 관해서는,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마우스 반입 후, 7일간 순화하였다. 순화 사육 후, 다음과 같이 군 나눔을 행하였다.
군 A: 양성 컨트롤군(멸균 증류수 투여군)
군 B: 미발효 파인애플 과즙 투여군
군 C: IJH-SONE68주에 의한 발효 파인애플 과즙 원액 투여군
군 D: IJH-SONE68주에 의한 발효 파인애플 과즙 원액의 10배 희석액 투여군
군 E: IJH-SONE68주에 의한 발효 파인애플 과즙 원액의 100배 희석액 투여군
여기서, 발효 파인애플 과즙 원액이란, IJH-SONE68주를 100% 파인애플 과즙(1 w/v %의 소주 증류 잔사를 포함한다)으로 48시간 배양하여 얻어진 발효액을 가리킨다. 이 원액을 멸균 증류수로 10배로 희석한 것을 10배 희석액으로 하고, 100배로 희석한 것을 100배 희석액으로 하였다.
상기의 군 나눔을 행한 시점을 Day 0으로 하고, 마우스에는 상기의 각 샘플을 Day 0부터 1회/일의 빈도로 14일간 연속 경구 투여를 행하였다. 한편, 1일당의 투여 용량은 0.20 mL/마리로 하였다. Day 6에, 모든 마우스에 대하여, 양 수족(20 μL), 흉복부(100 μL) 및 배부(100 μL)에 각각 7 w/v % 피크릴클로라이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마우스에 항원 정보를 기억시켰다. Day 13에, 마우스 우이개의 두께를 미리 버니어캘리퍼스에 의해 측정해 두고, 그 후, 우이개의 표리에 1 w/v % 피크릴클로라이드 용액을 20 μL씩 도포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시켰다. 그 24시간 후(Day 14에 해당)에, 이개의 두께를 측정하고, 야기 전후에서의 차이(Δ 이개 두께(mm))를 각 군간에서 비교하였다. 데이터는 평균값±표준 오차로 나타내고, 군간의 유의차 검정에는 Tukey-Kramer법을 이용하여, 위험률(p값)이 0.05 미만에서 유의차 있음이라고 판정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각 샘플의 개선 작용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2. 시험 결과
각 군에 있어서의 Δ 이개 두께를 표 5 및 도 9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5
표 5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성 컨트롤군(군 A)과 비교하여, 발효 과즙 투여군(군 C)에서 염증에서 기인하는 이개 두께의 증가가 유의하게 억제되는(p < 0.05)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발효 과즙의 희석 샘플인 군 D 및 군 E에서는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증가의 값은 낮았다. 또한, 미발효의 파인애플 과즙 투여군인 군 B에서는, 전혀 개선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JH-SONE68주로 발효시킨 파인애플 과즙의 반복 경구 투여에 의해, 피크릴클로라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접촉성 피부염 모델의 증상이 예방·개선되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6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산성 다당체 및 중성 다당체의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개선 작용
IJH-SONE68주가 생성하는 산성 다당체 및 중성 다당체의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개선 작용을, 이하에 기재하는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의 이개 두께 변화의 측정, 염증 사이토카인 IL-4 및 혈청 IgE 레벨의 측정, 그리고 이개의 염증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1. 이개 두께 변화의 측정
(1) 시험 방법
동물은 웅성 BALB/cA Jcl계 마우스(7주령, 닛폰 클레어: 입하시)를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사육 케이지에서 5마리 사육으로 하고, 온도: 20~26℃, 습도: 40~60%, 조명 시간: 12시간(8:00~20:00)의 환경으로 조절된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하고, 먹이는 고형 사료 MF(오리엔탈 효모 주식회사)를 자유 섭취시켰다. 또한, 음료수에 관해서는,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마우스 반입 후, 7일간 순화하였다. 순화 사육 후, 다음과 같이 군 나눔을 행하였다.
군 A: 음성 컨트롤군(통상 사료만으로 사육한 군)
군 B: 양성 컨트롤군(멸균 증류수 투여군)
군 C: 정제한 산성 EPS 용액(1 mg/mL) 투여군
군 D: 정제한 산성 EPS 용액(0.1 mg/mL) 투여군
군 E: 정제한 중성 EPS 용액(1 mg/mL) 투여군
군 F: 정제한 중성 EPS 용액(0.1 mg/mL) 투여군
여기서, 군 C의 산성 EPS 용액 및 군 E의 중성 EPS 용액은, 각각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산성 다당 획분 및 중성 다당 획분이고, 그들을 멸균 증류수로 희석한 것이, 각각 군 D의 산성 EPS 용액 및 군 F의 중성 EPS 용액이다.
상기의 군 나눔을 행한 시점을 Day 0으로 하고, 마우스에는 샘플을 Day 0부터 1회/일의 빈도로 14일간 연속 경구 투여를 행하였다. 한편, 1일당의 투여 용량은 0.20 mL/마리로 하였다. Day 6에, 모든 마우스에 대하여, 양 수족(20 μL), 흉복부(100 μL) 및 배부(100 μL)에 각각 7 w/v % 피크릴클로라이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마우스에 항원 정보를 기억시켰다. Day 13에, 마우스 우이개의 두께를 미리 버니어캘리퍼스에 의해 측정해 두고, 그 후, 우이개의 표리에 1 w/v % 피크릴클로라이드 용액을 20 μL씩 도포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시켰다. 그 24시간 후(Day 14에 해당), 이개의 두께를 측정하고, 야기 전후에서의 차이(Δ 이개 두께(mm))를 각 군간에서 비교하였다. 데이터는 평균값±표준 오차로 나타내고, 군간의 유의차 검정에는 Tukey-Kramer법을 이용하여, 위험률(p값)이 0.05 미만에서 유의차 있음이라고 판정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마우스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 대한 각 샘플의 억제 작용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2) 시험 결과
군 B~F에 있어서의 Δ 이개 두께를 표 6 및 도 10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6
표 6 및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성 컨트롤군(군 B)과 비교하여, 산성 EPS 용액 투여군에서는 1 mg/mL(군 C) 및 0.1 mg/mL(군 D)의 어느 농도에서도 염증에서 기인하는 이개 두께의 증가가 유의하게 억제되는(각각 p < 0.01 및 p < 0.05)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성 EPS 용액 투여군에서는, 1 mg/mL의 농도(군 E, p < 0.05)에서는 유의한 억제가 관찰되고, 0.1 mg/mL의 농도(군 F)에서도 염증에서 기인하는 이개 두께의 증가가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JH-SONE68주에 의해 생성되는 산성 다당체 및 중성 다당체의 반복 경구 투여에 의해, 피크릴클로라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접촉성 피부염 모델의 증상이 예방·개선되는 것이 나타나고, 특히 그 효과는 산성 다당체에서 높은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2. 염증 사이토카인 IL-4 및 혈청 IgE 레벨의 측정
(1) 시험 방법
상기의 1의 시험 방법에 기재한 이개 두께의 측정 후에,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안락사 후에 각 군의 마우스로부터 염증을 야기시킨 우이개를 절제, 회수하여, NucleoSpin RNA Plus 키트(MACHEREY-NAGEL사 제조)에 의해 m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mRNA 샘플로 ReverTra Ace qPCR RT Master Mix with gDNA Remover 키트(TOYOBO사 제조)에 의해 cDNA를 합성하였다. cDNA를 주형으로 하고, 정량 RT-PCR법에 의해 염증 야기 부위에 있어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4의 mRNA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한편, 정량 RT-PCR은 KAPA SYBR FAST qPCR Master Mix(닛폰 제네틱스사 제조)를 사용하고, PikoReal Real-Time PCR System 장치(Thermo Fisher Scientific사 제조)에 의해 행하였다.
또한, 안락사 후에 회수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회수하고, 혈청 중의 IgE 농도를 Mouse IgE ELISA development kit(HRP)(Mabtech사 제조)를 사용한 ELISA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각각 데이터는 평균값±표준 오차로 나타내고, 군간의 유의차 검정에는 Tukey-Kramer법을 이용하여, 위험률(p값)이 0.05 미만에서 유의차 있음이라고 판정하였다(이하에 기재하는 도 11 및 12 중에는 양성 컨트롤군과의 유의차에 대해서만 기록한다).
(2) 시험 결과
군 A~F에 있어서의 IL-4의 mRNA의 발현량(IL-4 mRNA의 군 A에 대한 상대 발현량)에 대하여, 표 7 및 도 11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7
표 7 및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4의 mRNA의 전사가 염증 야기에 의해 양성 컨트롤군(군 B)에서는 유의하게 상승하고(p < 0.01), 다당체 각 섭취군에 있어서는, 양성 컨트롤군(군 B)과 비교하여 유의한 저하(군 D 및 군 E, 각각 p < 0.01 및 p < 0.05) 혹은 저하 경향(군 C, p < 0.1)이 관찰되었다.
군 A~F에 있어서의 혈청 중의 IgE 농도(ng/mL)를 표 8에, 군 A~F에 있어서의 혈청 중의 IgE 농도의 군 A에 대한 상대값을 표 9에 나타내고, 그 상대값을 그래프화한 것을 도 1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표 8 및 9 그리고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L-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성 컨트롤군(군 B)에서는 혈청 중의 IgE 농도가 유의하게 상승하고, 다당체 각 섭취군(특히, 군 C~E)에 있어서는, 양성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저하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JH-SONE68주에 의해 생성되는 산성 다당체 및 중성 다당체의 반복 경구 투여에 의해, 피크릴클로라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접촉성 피부염 모델 마우스에 있어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4의 발현 및 혈청 IgE 레벨의 상승이 억제되는 것이 나타났다.
3. 이개의 염증 관찰
(1) 시험 방법
상기의 1의 시험 방법에 기재한 이개 두께의 측정 후에,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안락사 후에 군 A~F의 마우스로부터 염증을 야기시킨 우이개를 절제, 회수하여, 10% 포르말린액으로 고정 후, 파라핀에 포매하여, 조직 절편을 제작하였다. 절편은 hematoxylin-eosin(HE) 염색을 하고, 염증의 모습에 대하여 현미경 하에서 관찰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 컨트롤(군 A)과 비교하여, 양성 컨트롤(군 B)에서는 표피층(EP)이 얇아지는 한편, 염증에 의해 진피층(DM)에서는 두께가 분명하게 증가되어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그 염증 증상은, 각 다당체 샘플의 투여에 의한 이개 두께의 감소와 비례하도록 억제되어 있는 것 같이 생각되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발명이 제공된다.
[1]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와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2]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상기 [1]에 기재된 조성물.
[3] 유산균이 무화과 유래의 유산균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조성물.
[4] 유산균이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수탁 번호 NITE BP-02242) 또는 그것과 동등한 유산균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5] 배양물 혹은 발효물이, 유산균을 파인애플속 식물의 과즙의 존재 하에서 배양 혹은 발효하여 얻어지는 배양물 혹은 발효물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6] 다당류가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α-1,6 결합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 중성 다당체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7] 다당류가 주로 글루코스와 만노스로 구성되는 산성 다당체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8] 조성물이 음식품 조성물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9] 음식품이, 음료, 기능성 식품, 발효 식품 또는 서플리먼트인 상기 [8]에 기재된 조성물.
[10] 조성물이 의약 조성물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1] 조성물이 사료 조성물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2]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3]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서의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와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의 사용.
[14]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인 상기 [13]에 기재된 사용.
[15] 유산균이 무화과 유래의 유산균인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사용.
[16] 유산균이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수탁 번호 NITE BP-02242) 또는 그것과 동등한 유산균인 상기 [13]~[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17] 배양물 혹은 발효물이, 유산균을 파인애플속 식물의 과즙의 존재 하에서 배양 혹은 발효하여 얻어지는 배양물 혹은 발효물인, 상기 [13]~[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18] 다당류가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α-1,6 결합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 중성 다당체인 상기 [13]~[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19] 다당류가 주로 글루코스와 만노스로 구성되는 산성 다당체인 상기 [13]~[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0] 조성물이 음식품 조성물인 상기 [13]~[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1] 음식품이, 음료, 기능성 식품, 발효 식품 또는 서플리먼트인 상기 [20]에 기재된 사용.
[22] 조성물이 의약 조성물인 상기 [13]~[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3] 조성물이 사료 조성물인 상기 [13]~[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4]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인 상기 [13]~[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5]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와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에 있어서 IV형 알레르기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
[26] 접촉성 피부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상기 [25]에 기재된 방법.
[27] 유산균이 무화과 유래의 유산균인 상기 [25] 또는 [26]에 기재된 방법.
[28] 유산균이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수탁 번호 NITE BP-02242) 또는 그것과 동등한 유산균인 상기 [25]~[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9] 배양물 혹은 발효물이, 유산균을 파인애플속 식물의 과즙의 존재 하에서 배양 혹은 발효하여 얻어지는 배양물 혹은 발효물인, 상기 [25]~[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0] 다당류가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α-1,6 결합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 중성 다당체인 상기 [25]~[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1] 다당류가 주로 글루코스와 만노스로 구성되는 산성 다당체인 상기 [25]~[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2] 조성물이 음식품 조성물인 상기 [25]~[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3] 음식품이, 음료, 기능성 식품, 발효 식품 또는 서플리먼트인 상기 [32]에 기재된 방법.
[34] 조성물이 의약 조성물인 상기 [25]~[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5] 조성물이 사료 조성물인 상기 [25]~[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6]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인 상기 [25]~[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에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하고, 특히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접촉성 피부염 등의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음식품, 의약품, 사료, 화장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아, 장기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저렴하게 대량 공급이 가능하여, 그 유용성 및 실용성은 매우 높다.

Claims (12)

  1. 락토바실러스·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그 배양물 혹은 발효물 또는 그것이 생성하는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IV형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산균이 무화과 유래의 유산균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산균이 Lactobacillus paracasei IJH-SONE68주(수탁 번호 NITE BP-02242) 또는 그것과 동등한 유산균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양물 혹은 발효물이, 유산균을 파인애플속 식물의 과즙의 존재 하에서 배양 혹은 발효하여 얻어지는 배양물 혹은 발효물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당류가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α-1,6 결합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 중성 다당체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당류가 주로 글루코스와 만노스로 구성되는 산성 다당체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음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음식품이, 음료, 기능성 식품, 발효 식품 또는 서플리먼트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의약 조성물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사료 조성물인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207014438A 2018-04-25 2019-04-04 Iv형 알레르기용 조성물 KR102368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84049 2018-04-25
JP2018084049 2018-04-25
PCT/JP2019/014998 WO2019208151A1 (ja) 2018-04-25 2019-04-04 Iv型アレルギー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954A true KR20200092954A (ko) 2020-08-04
KR102368628B1 KR102368628B1 (ko) 2022-02-28

Family

ID=6829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438A KR102368628B1 (ko) 2018-04-25 2019-04-04 Iv형 알레르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169953A1 (ko)
EP (1) EP3714701B1 (ko)
JP (1) JP6679202B2 (ko)
KR (1) KR102368628B1 (ko)
CN (1) CN111565581A (ko)
AU (1) AU2019260953B2 (ko)
CA (1) CA3086031C (ko)
TW (1) TWI727293B (ko)
WO (1) WO2019208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6955B (zh) * 2018-04-25 2021-11-21 日商曾根農場股份有限公司 第i型過敏用組成物
JP7195714B2 (ja) * 2020-10-19 2022-12-26 曽根ファーム株式会社 炎症性腸疾患用組成物
CN114736835B (zh) * 2022-04-24 2023-07-21 北京工商大学 副干酪乳杆菌菌株ss-01、用该菌株制备的胞外多糖、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9A (ja) 1995-06-16 1997-01-07 Yakult Honsha Co Ltd IgE抗体産生抑制剤および抗アレルギー剤
JP2000095697A (ja) 1998-09-18 2000-04-04 Advance Co Ltd 抗アレルギー剤
JP2006067881A (ja) 2004-09-01 2006-03-16 Nichimo Co Ltd 新規乳酸菌と乳酸菌製剤
JP2006104107A (ja) 2004-10-04 2006-04-20 Nichimo Co Ltd 抗食物アレルギー剤
KR20160008060A (ko) * 2014-07-11 2016-01-21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2171A (ja) 1989-11-30 1991-07-25 Nippon Oil & Fats Co Ltd 微生物の培養法
JP2835548B2 (ja) 1992-01-10 1998-12-14 森永乳業株式会社 発酵乳の製造法
EP1759597B1 (en) * 2003-03-13 2009-01-21 Kirin Holdings Kabushiki Kaisha Probiotic composition
JP5744462B2 (ja) * 2003-12-12 2015-07-08 株式会社明治 Nk細胞活性化剤
JP2010138147A (ja) * 2008-12-15 2010-06-24 Op Bio Factory Co Ltd メラニン産生抑制剤、抗酸化剤、抗炎症剤、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FR2942719B1 (fr) * 2009-03-04 2011-08-19 Oreal Utilisation de microorganismes probiotiques pour limiter les irritations cutanees
TWI520685B (zh) 2009-10-15 2016-02-11 Univ Hiroshima Lactic acid bacteria proliferation promoter
US8372392B2 (en) * 2009-12-23 2013-02-12 Lytone Enterprise, Inc.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 LT12 as immunity regulatory agent
WO2012133827A1 (ja) * 2011-03-31 2012-10-04 森永乳業株式会社 新規乳酸菌、並びに新規乳酸菌を含有する医薬、飲食品、及び飼料
CA3032572C (en) * 2017-06-09 2020-04-21 Asahi Kohsan Corporation Lactobacillus paracasei bacterium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9A (ja) 1995-06-16 1997-01-07 Yakult Honsha Co Ltd IgE抗体産生抑制剤および抗アレルギー剤
JP2000095697A (ja) 1998-09-18 2000-04-04 Advance Co Ltd 抗アレルギー剤
JP2006067881A (ja) 2004-09-01 2006-03-16 Nichimo Co Ltd 新規乳酸菌と乳酸菌製剤
JP2006104107A (ja) 2004-10-04 2006-04-20 Nichimo Co Ltd 抗食物アレルギー剤
KR20160008060A (ko) * 2014-07-11 2016-01-21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archives of allergy and immunology 2004; 135: 205-2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208151A1 (ja) 2020-04-30
JP6679202B2 (ja) 2020-04-15
TW202002800A (zh) 2020-01-16
TWI727293B (zh) 2021-05-11
AU2019260953A1 (en) 2020-05-07
EP3714701A1 (en) 2020-09-30
KR102368628B1 (ko) 2022-02-28
AU2019260953B2 (en) 2021-01-21
CA3086031A1 (en) 2019-10-31
WO2019208151A1 (ja) 2019-10-31
US20210169953A1 (en) 2021-06-10
EP3714701A4 (en) 2021-02-17
EP3714701B1 (en) 2022-08-10
CA3086031C (en) 2021-11-23
CN111565581A (zh)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7740B2 (en) Lactic acid bacterium and use thereof
KR102368627B1 (ko)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
JP6523579B2 (ja) 乳酸菌の菌体外多糖及びその用途
KR102368628B1 (ko) Iv형 알레르기용 조성물
TWI689585B (zh) 新穎乳酸菌株及包含新穎乳酸菌株之免疫賦活劑
KR20080019059A (ko) 표피세포 분화 및 각화 촉진제, 및 표피 각화 촉진용기능성 음식품
KR102368626B1 (ko) I형 알레르기용 조성물
WO2022085456A1 (ja) 炎症性腸疾患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