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806A - 전자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806A
KR20200091806A KR1020197024687A KR20197024687A KR20200091806A KR 20200091806 A KR20200091806 A KR 20200091806A KR 1020197024687 A KR1020197024687 A KR 1020197024687A KR 20197024687 A KR20197024687 A KR 20197024687A KR 20200091806 A KR20200091806 A KR 2020009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valve
solenoid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세이 다오카
히데미쓰 오오카
Original Assignee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16K31/0634Lift valves with fixed seats positioned between mova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41Multiple-way valves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Abstract

비상 시 등에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밸브의 전환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전자 밸브를 제공한다. 다이어프램형 전자 밸브는, 복수의 포트(8, 9, 10)를 가지는 하우징(1)과, 하우징(1)의 상부에 장착된 전자 솔레노이드(6)를 구비하고 있고,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23)에 상부 밸브 시트(7a)와 근접 및 이격 가능한 상부 밸브체(11)가 고착되고, 또한 플런저(23)에 연결된 구동 받이체(15)에 하부 밸브 시트(7b)와 근접 및 이격 가능한 하부 밸브체(13)가 고착되어 있고, 하우징(1)의 바닥면에 외부로부터 구동 받이체(15)에 액세스 가능한 관통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6)의 코일(22)에 문제점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관통공(17)에 공구(30)를 삽입하여 구동 받이체(15)를 밀어올리면, 구동 받이체(15)와 푸시 로드(26)를 통하여 플런저(23)가 상승 위치로 이동하므로, 상부 밸브체(11)를 상부 밸브 시트(7a)로부터 이격시켜, 상부 밸브 시트(7a)를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밸브
본 발명은, 하우징(housing)에 장착된 전자(電磁) 솔레노이드에의 통전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는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의 유체 유로(流體流路)와 전자 솔레노이드와의 사이에 다이어프램을 구획 배치한 다이어프램형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기(機器)나 각종 분석 기기 등에 구비되는 전자 밸브에는,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된 전자 솔레노이드로부터의 마모분(麻耗粉)이 하우징 내를 흐르는 유체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내의 유체 유로와 전자 솔레노이드와의 사이에 다이어프램을 배치한 전자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류의 다이어프램형 전자 밸브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성 부품인 플런저(plunger)의 하단(下端)에 밸브체를 장착하고, 밸브체의 주위에 일체화한 다이어프램의 외측 에지부를 하우징과 전자 솔레노이드 사이에 협지(sandwich)·고정함으로써, 밸브체의 이동하는 밸브실 내가 다이어프램으로 구획되어 있다. 밸브체는 하우징에 설치된 유로의 밸브 시트(valve seat)에 대향하고 있고, 전자 솔레노이드의 코일에 통전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플런저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강 위치에 유지되고 있으므로, 밸브체는 밸브 시트와 맞닿아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있다.
한편, 전자 솔레노이드의 코일에 통전되고, 코일에 발생하는 자력(磁力)에 의해 플런저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승하고, 그에 따라 밸브체가 끌어올려져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지므로, 액체는 유로 내를 소정 방향으로 흐른다. 이 때, 다이어프램의 중앙부는 밸브체의 움직임에 추종하도록 변위하지만, 다이어프램의 외측 에지부는 하우징과 전자 솔레노이드 사이에 고정된 밀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밸브체가 이동하는 밸브실 내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전자 솔레노이드로부터의 마모분이 밸브실을 통과하여 유체에 혼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2-195428호 공보
그런데, 이 종류의 다이어프램형 전자 밸브를, 예를 들면, 혈액 투석 시스템에서의 투석액 공급 장치의 전환 밸브로서 사용한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가 정상(正常)으로 작동하고 있으면, 전자 밸브의 전환 동작에 의해, 약액(藥液) A와 약액 B 및 물을 혼합/농도 조절하여 투석용액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솔레노이드의 문제점 등에 의해 플런저가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시스템 다운 등에 의해 코일에 통전되지 않게 되면, 통전 시에도 불구하고 밸브가 정확하게 개폐 동작하지 않으므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비상 시로 되면, 시스템 전체를 정지하여 전자 밸브의 수리/교환을 할 필요가 있고, 그 사이에는 혈액 투석을 중단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투석액 공급 장치 이외의 장치에 다이어프램형 전자 밸브를 적용한 경우에도, 전자 솔레노이드가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코일에 통전해도 밸브가 정확하게 개폐 동작하지 않아, 비상 시에 원하는 밸브 개폐를 행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비상 시 등에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밸브의 전환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밸브 시트를 가지는 유로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밸브 시트에 대향 배치된 밸브체와, 주위 에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또한 중앙부가 상기 밸브체에 접속된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플런저를 가지는 전자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시트를 개폐 동작하는 전자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상기 밸브체를 통하여 대향하는 구동 받이체(drive-receiving body)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외부로부터 상기 구동 받이체에 액세스 가능한 관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이어프램형 전자 밸브에서는, 비상 시나 유지보수 시 등에 있어서,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에 핀형의 공구를 삽입하여 구동 받이체에 충돌시키고, 이 공구를 하우징 내에 꽂아서 구동 받이체를 밀어올리는 것에 의해, 구동 받이체를 통하여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밸브의 전환 동작을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강제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관통공이 플런저의 축심(軸心; axis)을 지나는 연장선 상에 설치되어 있으면, 관통공에 삽입한 공구로부터의 압압력(押壓力; pressing force)이 구동 받이체를 통하여 플런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므로, 공구를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밸브의 전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공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관통공에 꽂는 공구가 극세로 되어 구동 받이체를 밀어올리는 것이 곤란해지고, 그 반대로 관통공의 직경이 너무 크면, 이물질이 관통공을 통하여 하우징 내로 진입하거나, 업자의 손가락 등이 관통공에 오삽입되어 구동 받이체에 액세스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관통공의 직경은 1㎜ 내지 9㎜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 밸브에 의하면, 비상 시나 유지보수 시 등에 밸브의 전환 동작을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밸브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선을 따른 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밸브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밸브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어프램형 전자 밸브는, 밸브 본체(2)와 복수의 링 부재(3, 4, 5)를 적층·일체화한 하우징(1)과, 하우징(1)의 상부에 장착된 전자 솔레노이드(6)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의 외관을 이루고 있다.
밸브 본체(2)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7)가 설치되어 있고, 유로(7)의 양 단부(端部)에는 볼록형의 상부 밸브 시트(7a)와 하부 밸브 시트(7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 본체(2)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포트(8, 9, 1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중 제1 포트(8)와 제3 포트(10)는 상부 밸브 시트(7a)를 통하여 연통되고, 제2 포트(9)와 제3 포트(10)는 하부 밸브 시트(7b)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상부 밸브 시트(7a)의 바로 위에는 상부 밸브체(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부 밸브체(11)의 주위에는 다이어프램(1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다이어프램(12)의 외측 에지부는 밸브 본체(2)와 상단(上段)의 링 부재(3)와의 사이에 협지·고정되어 있고, 상부 밸브체(11)는 전자 솔레노이드(6)의 구성 부품인 플런저(후술함)의 하단에 끼워맞춤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하부 밸브 시트(7b)의 바로 아래에는 하부 밸브체(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하부 밸브체(13)의 주위에는 다이어프램(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14)의 외측 에지부는 밸브 본체(2)와 중단(中段)의 링 부재(4)와의 사이에 협지·고정되어 있고, 하부 밸브체(13)는 금속 재료[또는 경질(硬質) 플라스틱으로도 가능]로 이루어지는 구동 받이체(15)의 상면에 끼워맞춤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 구동 받이체(15)는 중단의 링 부재(4)와 하단(下段)의 링 부재(5)와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구동 받이체(15)의 하면 중앙에는 돌출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하단의 링 부재(5)에는 바닥이 있는 형상의 오목부(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5a)에 구동 받이체(15)의 돌출부(15a)가 수납되어 있다. 구동 받이체(15)의 하면과 오목부(5a)의 바닥면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6)이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16)으로부터 구동 받이체(15)에 대하여 상방향의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하단의 링 부재(5)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7)은 링 부재(5)의 외부와 내부의 오목부(5a)를 연통시키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통공(17)은 구동 받이체(15)에 액세스 가능한 공구의 삽입을 허가하는 것이며, 그 직경은 1㎜ 내지 9㎜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링 부재(5)의 중앙에 직경 2㎜의 관통공(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17)은, 다이어프램(12, 14)이 수납된 하우징(1)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개방하는 대기 개방용 구멍으로 해도 기능하므로, 관통공(17)에 의해 상부 밸브체(11)나 하부 밸브체(13)의 동작에 다이어프램(12, 14)을 원활하게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밸브 본체(2)와 3개의 링 부재(3, 4, 5)는, 복수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나사(18)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하우징(1)을 구성하고 있다(도 4 참조).
전자 솔레노이드(6)는, 원통형의 케이싱(19)과, 케이싱(19)의 상단(上端)을 막도록 설치된 고정 코어(20)와, 보빈(21)에 권취된 코일(22)과, 보빈(2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23)와, 고정 코어(20)와 플런저(23)와의 사이에 개설(介設)된 스프링(2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코일(22)에 접속된 리드선(lead wire)(25)이 고정 코어(20)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도출(導出)되어 있다. 그리고, 리드선(25)의 도출 부위는 고정 코어(20)의 상면에 한정되지 않고, 리드선(25)을 고정 코어(20)나 케이싱(19)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도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를 통하여 코일(22)과 리드선(25)을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플런저(23)는 코일(22)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可動) 코어이며, 관통공(17)은 플런저(23)의 축심을 지나는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3)의 하단 측에는 플랜지부(flange portion)(2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23a)와 구동 받이체(15)의 주위 에지부와는 복수 개의 푸시 로드(push rod)(26)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푸시 로드(26)는 밸브 본체(2)와 링 부재(3, 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플런저(23)와 구동 받이체(15)는 푸시 로드(26)를 통하여 일체로 이동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23)의 하면에 상부 밸브체(11)가 고착되어 있고, 또한 구동 받이체(15)의 상면에 하부 밸브체(13)가 고착되어 있으므로, 플런저(23)와 구동 받이체(15)가 일체로 상하동하면, 그에 따라 상부 밸브체(11)와 하부 밸브체(13)도 같은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한다.
여기서, 스프링(24)의 스프링력은 코일 스프링(16)의 스프링력에 비해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어, 코일(22)에 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통전에 있어서, 플런저(23)는 코일 스프링(16)보다 큰 스프링(24)의 스프링력을 받아 하강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한편, 코일(22)에 통전되어 자력이 발생하면, 플런저(23)는 스프링(2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고정 코어(20)에 흡착되므로, 플런저(23)는 코일 스프링(16)의 스프링력에 어시스트 되면서 상승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3방 전자 밸브의 밸브 개방 폐쇄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23)를 제외한 부재는 도시하지 않고 있고, 하우징(1)은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는 전자 솔레노이드(6)의 코일(22)에 통전하고 있지 않은 비통전 시를 나타내고, 이 비통전 시에서는, 플런저(23)가 스프링(24)의 스프링력으로 압하(押下)되어 하강 위치에 유지되고 있으므로, 상부 밸브체(11)를 상부 밸브 시트(7a)와 맞닿게 하여, 상부 밸브 시트(7a)를 폐쇄하는 한편, 하부 밸브체(13)를 하부 밸브 시트(7b)로부터 이격시켜, 하부 밸브 시트(7b)를 개방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2 포트(9)에 유체를 공급하면, 유체는, 하부 밸브 시트(7b)로부터 유로(7)를 통하여 제3 포트(10)로 흐르고, 제3 포트(10)로부터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5의 (b)는 전자 솔레노이드(6)의 코일(22)에 통전한 통전 시를 나타내고, 이 통전 시에서는, 코일(22)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23)가 고정 코어(20) 측으로 끌어올려지므로, 플런저(23)가 스프링(2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푸시 로드(26)를 통하여 연결된 플런저(23)와 구동 받이체(15)가 코일 스프링(16)으로부터의 어시스트력을 받으면서 상승 위치까지 이동하므로, 상부 밸브체(11)가 상부 밸브 시트(7a)로부터 이격되어, 상부 밸브 시트(7a)를 개방하는 한편, 하부 밸브체(13)가 하부 밸브 시트(7b)와 맞닿아, 하부 밸브 시트(7b)를 폐쇄한다. 그러므로, 제1 포트(8)에 유체를 공급하면, 유체는, 상부 밸브 시트(7a)로부터 유로(7)를 통하여 제3 포트(10)로 흐르고, 제3 포트(10)로부터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포트(8)와 제3 포트(10)가 연통 상태에 있을 때, 전자 솔레노이드(6)의 문제점 등에 의해 플런저(23)가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시스템 다운 등에 의해 코일(22)에 통전되지 않게 되면, 통전 시에도 불구하고 플런저(23)가 도 5의 (b)에 나타낸 상승 위치 내지 도 5의 (a)에 나타낸 하강 위치로 돌아와 버려, 본래 연통되어 있지 않으면 안되는 제1 포트(8)와 제3 포트(10)가 차단된다.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어프램형 전자 밸브에서는, 이와 같은 비상 시에 있어서도, 상기 전자 밸브가 사용된 기기 장치의 생산 라인이나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고, 제1 포트(8)와 제3 포트(10)를 본래의 연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비상 시에 도 5의 (a)에 나타낸 상태로 돌아온 경우에는, 하단의 링 부재(5)에 형성된 관통공(17)에 정밀 드라이버나 핀 세트 등의 핀형[봉형(棒形)]의 공구(30)를 삽입하고, 이 공구(30)를 돌출부(15a)에 충돌하여 구동 받이체(15)를 밀어올리면,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로드(26)를 통하여 연결된 구동 받이체(15)와 플런저(23)가 일체로 상승하기 위해, 플런저(23)를 상승 위치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구동 받이체(15)에 고착된 하부 밸브체(13)가 하부 밸브 시트(7b)에 맞닿아, 하부 밸브 시트(7b)를 폐쇄하는 한편, 플런저(23)에 고착된 상부 밸브체(11)가 상부 밸브 시트(7a)로부터 이격되어, 상부 밸브 시트(7a)를 개방하므로, 제1 포트(8)와 제3 포트(10)를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 시뿐아니라, 예를 들면, 전자 밸브를 보수·점검하는 유지보수 시에 있어서도, 관통공(17)에 공구(30)를 삽입하여 구동 받이체(15)를 밀어올리고, 일부러 전자 솔레노이드(6)의 코일(22)에 통전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제1 포트(8)와 제3 포트(10)를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밸브는,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23)에 푸시 로드(26)를 통하여 구동 받이체(15)를 연결하여, 하우징(1)의 링 부재(5)에 외부로부터 구동 받이체(15)에 액세스 가능한 관통공(17)을 형성하였으므로, 비상 시나 유지보수 시 등에 있어서, 관통공(17)에 핀형의 공구(30)를 삽입하여 구동 받이체(15)에 충돌하여, 이 공구(30)를 하우징(1) 내에 꽂아서 구동 받이체(15)를 밀어올리는 것에 의해, 구동 받이체(15)와 푸시 로드(26)를 통하여 플런저(23)를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 솔레노이드(6)의 코일(22)의 문제점 등에 의해 통전해도 플런저(23)가 동작하지 않거나, 코일(22)에 통전하지 않으며 보수·점검하는 유지보수 시에, 밸브의 전환 동작을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강제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링 부재(5)]에 형성된 관통공(17)이 플런저(23)의 축심을 지나는 연장선 상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관통공(17)에 삽입한 공구(30)로부터의 압압력(pressing force)을 구동 받이체(15)와 플런저(23)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공구(30)를 사용하여 하우징(1)의 외부보다 용이하게 밸브의 전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밸브는 3개의 포트를 가지는 3방 밸브이지만, 본 발명은 3방 밸브 이외의 전자 밸브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하, 본 발명을 2방 전자 밸브에 적용한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밸브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6의 (a)는 비통전 시를, 도 6의 (b)는 통전 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포함하는 그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3방 전자 밸브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밸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6)의 코일(22)에 통전하고 있지 않은 비통전 시에서는, 플런저(23)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으로 압하되어 하강 위치에 있고, 상부 밸브체(11)가 상부 밸브 시트(7a)와 맞닿아, 상부 밸브 시트(7a)를 폐쇄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 포트(8)와 제2 포트(9)는 차단되어 있다.
또한, 전자 솔레노이드(6)의 코일(도시하지 않음)에 통전한 통전 시에서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23)가 끌어올려지므로, 푸시 로드(26)를 통하여 연결된 플런저(23)와 구동 받이체(15)가 코일 스프링(16)으로부터의 어시스트력을 받으면서 상승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결과, 상부 밸브체(11)가 상부 밸브 시트(7a)로부터 이격되어, 상부 밸브 시트(7a)를 개방하므로, 제1 포트(8)에 유체를 공급하면, 유체는, 상부 밸브 시트(7a)를 통하여 제2 포트(9)로 흐르고, 제2 포트(9)로부터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포트(8)와 제2 포트(9)가 연통 상태에 있을 때, 전자 솔레노이드(6)의 문제점 등에 의해 플런저(23)가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시스템 다운 등에 의해 코일에 통전되지 않게 되면, 통전 시에도 불구하고 플런저(23)가 도 6의 (b)에 나타낸 상승 위치 내지 도 6의 (a)에 나타낸 하강 위치로 돌아와 버려, 본래 연통되어 있지 않으면 안되는 제1 포트(8)와 제2 포트(9)가 차단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2방 전자 밸브에서는, 이와 같은 비상 시에 있어서도, 상기 전자 밸브가 사용된 기기 장치의 생산 라인이나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고, 제1 포트(8)와 제2 포트(9)를 본래의 연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비상 시에도 6의 (a)에 나타낸 상태로 돌아온 경우에는, 하우징(1)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17)에 핀형(봉형)의 공구(30)를 삽입하고, 이 공구(30)를 돌출부(15a)에 충돌하여 구동 받이체(15)를 밀어올리면,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로드(26)를 통하여 연결된 구동 받이체(15)와 플런저(23)가 일체로 상승하기 위해, 플런저(23)를 상승 위치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플런저(23)에 고착된 상부 밸브체(11)가 상부 밸브 시트(7a)로부터 이격되어, 상부 밸브 시트(7a)를 개방하므로, 제1 포트(8)와 제2 포트(9)를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 관한 2방 전자 밸브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 시만 아니라 유지보수 시에 있어서, 관통공(17)에 공구(30)를 삽입하여 구동 받이체(15)를 밀어올리고, 일부러 전자 솔레노이드(6)의 코일(22)에 통전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제1 포트(8)와 제2 포트(9)를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 하우징
2: 밸브 본체
3, 4, 5: 링 부재
5a: 오목부
6: 전자 솔레노이드
7: 유로
7a: 상부 밸브 시트
7b: 하부 밸브 시트
8: 제1 포트
9: 제2 포트
10: 제3 포트
11: 상부 밸브체
12, 14: 다이어프램
13: 하부 밸브체
15: 구동 받이체
15a: 돌출부
16: 코일 스프링
17: 관통공
19: 케이싱
20: 고정 코어
21: 보빈
22: 코일
23: 플런저
23a: 플랜지부
24: 스프링
25: 리드선
26: 푸시 로드
30: 공구

Claims (4)

  1. 밸브 시트(valve seat)를 구비하는 유로(流路; flowpath)가 설치된 하우징(housing)과, 상기 밸브 시트에 대향 배치된 밸브체와, 주위 에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또한 중앙부가 상기 밸브체에 접속된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플런저(plunger)를 구비하는 전자(電磁)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시트를 개폐 동작하는 전자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상기 밸브체를 통하여 대향하는 구동 받이체(drive-receiving body)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외부로부터 상기 구동 받이체에 액세스 가능한 관통공을 형성한, 전자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플런저의 축심(軸心; axis)을 지나는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직경이 1㎜ 내지 9㎜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전자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직경이 1㎜ 내지 9㎜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전자 밸브.
KR1020197024687A 2017-12-05 2018-11-01 전자 밸브 KR20200091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3617A JP6960318B2 (ja) 2017-12-05 2017-12-05 電磁弁
JPJP-P-2017-233617 2017-12-05
PCT/JP2018/040657 WO2019111605A1 (ja) 2017-12-05 2018-11-01 電磁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806A true KR20200091806A (ko) 2020-07-31

Family

ID=6674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687A KR20200091806A (ko) 2017-12-05 2018-11-01 전자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60318B2 (ko)
KR (1) KR20200091806A (ko)
CN (1) CN110418913B (ko)
TW (1) TWI685624B (ko)
WO (1) WO201911160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428A (ja) 2000-12-27 2002-07-10 Shinwa Controls Co Ltd ダイヤフラム型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3317A (ja) * 1975-03-08 1976-09-11 Akishi Kawakami Gasubakuhatsuboshoanzensochi
JPS5491728U (ko) * 1977-12-13 1979-06-28
JPS5940076A (ja) * 1982-08-30 1984-03-05 Konan Denki Kk 電磁弁
JPS6012777U (ja) * 1983-07-06 1985-01-28 シ−ケ−デイコントロ−ルズ株式会社 寒冷地用電磁弁
JPS6049370U (ja) * 1983-09-12 1985-04-06 シ−ケ−ディ株式会社 電磁弁の手動装置
JPS6113077U (ja) * 1984-06-28 1986-01-25 清重 半田 ガス緊急遮断装置
FR2577297B3 (fr) * 1985-02-12 1987-05-29 Bourgeois Jacques Dispositif de securite permettant l'ouverture manuelle d'une electrovalve normalement fermee
CN85205140U (zh) * 1985-04-01 1987-01-14 浙江省瑞安永久机电研究所 三位电磁阀
JPH0410446Y2 (ko) * 1985-05-27 1992-03-16
JPS63180784A (ja) * 1987-01-21 1988-07-25 Nec Corp 安全弁付電磁弁
JPH04341674A (ja) * 1991-05-17 1992-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閉止機能付流量比例弁
JP2000283322A (ja) * 1999-03-29 2000-10-13 Toto Ltd 電磁弁
DE29913134U1 (de) * 1999-07-27 1999-11-18 Altek Allg Landtech Schaltventil für eine landwirtschaftliche Austragvorrichtung
DE20023901U1 (de) * 2000-06-30 2007-06-06 Bosch Rexroth Aktiengesellschaft Hydraulisches Ventil
CN2635999Y (zh) * 2003-09-05 2004-08-25 胡仁升 可手操节电电磁阀
JP2005214265A (ja) * 2004-01-28 2005-08-11 Katsuhiko Sasaki 電磁弁
CN2736607Y (zh) * 2004-09-10 2005-10-26 董民超 一种温控阀门
US20130226089A1 (en) 2010-11-03 2013-08-2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ted Module for a Drug Delivery Device
CN102213334B (zh) * 2011-05-19 2013-06-26 张清海 自力式紧急切断阀
CN202501017U (zh) * 2012-03-15 2012-10-24 刘远 一种燃气紧急自动切断的电磁阀
JP6049370B2 (ja) 2012-09-18 2016-12-21 備前化成株式会社 新規カロテノイド
JP6292375B2 (ja) 2013-11-28 2018-03-14 株式会社スズパック おにぎり包装材及び該包装材に包装されたおにぎり包装体
JP6012777B2 (ja) 2015-01-16 2016-10-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経由地点設定装置及び経由地点設定プログラム
JP5841281B1 (ja) * 2015-06-15 2016-01-13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用チラ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428A (ja) 2000-12-27 2002-07-10 Shinwa Controls Co Ltd ダイヤフラム型電磁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18913B (zh) 2022-04-08
TW201932739A (zh) 2019-08-16
TWI685624B (zh) 2020-02-21
JP6960318B2 (ja) 2021-11-05
JP2019100486A (ja) 2019-06-24
CN110418913A (zh) 2019-11-05
WO2019111605A1 (ja)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369B1 (ko) 3방향 전자 밸브
EP2713085B1 (en) Solenoid valve
JP6212463B2 (ja) 小型電磁弁
JP2008208914A (ja) 電磁弁組立体
US11560955B2 (en) Electromagnetic valve device and use thereof
KR101035101B1 (ko) 이단 에어콘트롤 밸브
KR20110012263A (ko) 고압가스용 솔레노이드 밸브
US11306844B2 (en) Pilot solenoid valve
JP2015218883A (ja) 液圧制御装置
KR10184717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6587100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KR20200091806A (ko) 전자 밸브
KR10171587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결합 구조체
JP2018535369A (ja) 弁機構のための電磁アクチュエータ
KR102262070B1 (ko) 전자 밸브
KR20080086037A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14144607B (zh) 流路切换阀
JP5593105B2 (ja) 三方電磁弁
JP6649116B2 (ja) 圧力流体制御装置
JP2017150643A (ja) 圧力流体制御装置
JP6576674B2 (ja) 電磁弁
JP2006266375A (ja) 電磁弁
WO2017131135A1 (ja) 電磁切換弁
KR100715783B1 (ko) 고응답 특성을 가지는 포핏형 마이크로 밸브
JP2014214789A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